KR20180048118A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118A
KR20180048118A KR1020160145287A KR20160145287A KR20180048118A KR 20180048118 A KR20180048118 A KR 20180048118A KR 1020160145287 A KR1020160145287 A KR 1020160145287A KR 20160145287 A KR20160145287 A KR 20160145287A KR 20180048118 A KR20180048118 A KR 2018004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drum
strip
inertia
exercis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723B1 (ko
Inventor
김태우
이건상
최준호
이만호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인제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인제스트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7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5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with flywheels
    • A63B21/227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with flywheels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alternate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직교한 방향으로 세워지는 설치브라켓(20)과, 상기 설치브라켓(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드럼(30)과, 상기 메인드럼(30)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드럼(30)과 함께 회전되는 관성휠(50)과, 상기 메인드럼(30)에 권취되는 운동스트립(S)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스트립(S)이 상기 메인드럼(30)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메인드럼(30)을 회전시키면 상기 메인드럼(30)은 상기 관성휠(50)의 관성모멘트에 의해 계속 회전하면서 완전히 풀어진 운동스트립(S)을 앞서 권취되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권취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유압장치나 스프링장치도 없이도 일정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어 운동기구의 크기가 줄어들고 제조비용이 줄어든다.

Description

운동기구{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과 방식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 기구라 함은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기는 등 여러 가지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운동 기구는 다양한 트레이닝 장치 또는 재활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운동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가정용 운동기구 중에서 상체 운동을 위한 아령, 하체 운동을 위한 자전거나 스테퍼 등은 상체 또는 하체만을 운동하는데 그친다. 물론 최근에는 상체와 전신운동이 가능한 로잉머신(Rowing machine)과 같은 복합운동기구도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복합운동기구는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집안에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로윙머신은 유압, 수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므로 비교적 크기가 크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운동기구 중에서 상체나 하체를 이용해 중량물을 당기는 운동기구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운동이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는 운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로잉머신 등 종래의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할 수는 없고, 한쪽 방향으로만 운동을 할 수 있어 제한된 운동효과만 얻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1881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운동기구를 이용해서 다양한 상체나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동가능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직교한 방향으로 세워지는 설치브라켓과, 상기 설치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드럼과, 상기 메인드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관성휠과, 상기 메인드럼에 권취되는 운동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스트립이 상기 메인드럼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메인드럼을 회전시키면 상기 메인드럼은 상기 관성휠의 관성모멘트에 의해 계속 회전하면서 완전히 풀어진 운동스트립을 앞서 권취되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권취시킨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지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메인드럼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성휠은 상기 메인드럼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성휠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다수개가 적층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메인드럼과 관성휠은 외부로 드러나 상기 운동스트립은 상기 메인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권취되거나 풀릴 수 있다.
상기 운동스트립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운동스트립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메인드럼에 권취되며, 상기 메인드럼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가능하다.
상기 운동스트립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가능한 하나의 스트립으로 구성되었다가, 분리되면 한 쌍의 운동스트립이 된다.
상기 메인드럼에는 상기 한 쌍의 운동스트립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가 돌출된다.
상기 운동스트립에는 연결스트립이 연결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성휠의 관성모멘트를 통해 운동기구를 당기고 미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유압장치나 스프링장치도 없이도 일정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어 운동기구의 크기가 줄어들고 제조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그 기본 구조를 로잉머신을 비롯하여 다양한 운동기구에 응용함으로써 운동기구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성휠을 회전시키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상체나 하체의 근력을 이용하여 당기는 동작을 하지만, 관성휠이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하므로 보다 다양한 신체 근육을 사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보다 높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운동기구에 연결된 한 쌍의 운동스트립을 같은 방향으로 당길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당길 수도 있어, 보다 다양한 운동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운동기구로 보다 많은 종류의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기구의 활용도가 커진다.
또한, 한 쌍의 운동스트립 중 하나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운동보조원이 사용함으로써 재활환자의 재활도구로 본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어 운동기구의 용도가 더욱 다양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의 일실시례가 사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운동스트립을 당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례가 사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실시례에서 한쪽의 관성휠을 제거하고 내부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실시례에서 운동스트립이 완전히 풀린 상태의 내부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실시례에서 한 쌍의 운동스트립을 한 방향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례의 내부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기구로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구조는 베이스플레이트(10)가 그 하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운동기구의 하부에서 운동기구가 설치장소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비교적 얇은 판상으로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베이스부(12)와 연결부(15)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2)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축(35)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가능한한 넓은 면적에 걸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의 상부에는 후술할 설치브라켓(20)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부(12)를 사용자가 발로 밟은 상태로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부(12)는 설치브라켓(20) 양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밟을 수 있다. 사용자가 베이스스트립(S)을 도 1에 도시된 방향이 아니라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당기는 운동을 할 경우에, 사용자는 베이스부(12)를 밟은 상태로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기구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에 연결되는 연결부(15)는 상기 베이스부(12)의 연장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부(12)는 사용자 방향으로 연장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방향, 즉 후술할 운동스트립(S)을 당기거나 오무리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부(15)는 베이스부(12)로부터 한쪽 방향으로만 구비되어 있지만, 방향성이 없도록 양쪽에 대칭된 형태로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5)는 사용자가 도 1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스트립(S)을 당길 경우에 운동기구가 사용자 방향으로 쏠려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정도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15)를 발로 밟고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는 운동기구의 본체가 구비된다. 운동기구의 본체는 크게 설치브라켓(20), 메인드럼(30), 관성휠(50) 및 운동스트립(S)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브라켓(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직교한 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설치브라켓(20)은 메인드럼(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설치브라켓(20)은 상기 메인드럼(30)과 메인드럼(30)에 결합되는 관성휠(5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설치브라켓(20)에는 메인드럼(30)의 회전축(35) 양단이 연결된다.
상기 설치브라켓(20)의 사이에는 메인드럼(3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럼(3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브라켓(20)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럼(30)은 운동스트립(S)에 의해 회전하면서 관성휠(50)을 함께 회전시킨다. 상기 메인드럼(30)은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메인드럼(30) 양쪽에는 회전축(35)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5)은 상기 설치브라켓(2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드럼(30)이 회전축(35)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드럼(30)에는 설치부(37)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37)는 운동스트립(S)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부분인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설치부(37)가 메인드럼(30)의 외면으로부터 요입된 형태이다. 상기 설치부(37) 내부에는 메인스트립의 한쪽 끝이 고정될 수 있는 체결구, 예를 들어 볼트나 나사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설치부(37)는 상기 메인드럼(30)에 요입된 형태가 아니라, 메인드럼(30)으로부터 돌출된 고리와 같이, 운동스트립(S)을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드럼(30)에는 관성휠(50)이 구비된다. 상기 관성휠(50)은 상기 메인드럼(30)에 결합되어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관성휠(50)의 무게로 인해 느리게 회전되는 상태, 멈춘 상태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의 메인드럼(30)을 사용자가 회전시키는데 큰 힘이 들어가게 된다. 동시에 사용자가 메인드럼(30)을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더라도(운동스트립(S)에 가하는 외력을 제거), 회전되던 관성에 의해 상기 관성휠(50)은 계속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게 되고, 따라서 관성휠(50)과 메인드럼(30)은 어느 정도 더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를 멈추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또한번 운동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관성휠(50)은 중량이 큰 물질, 예를 들어 철과 같은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는 관성휠(50)이 원판형태를 갖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 도 1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관성휠(50)은 메인드럼(30) 양쪽에 각각 구비되지만, 어느 한쪽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성휠(50)은 보다 중량이 높은 다른 관성휠(50)로 교체되거나, 다수개가 적층되어 전체 중량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관성휠(50)의 사이, 즉 상기 메인드럼(30)의 외주면에는 운동스트립(S)이 권취된다. 상기 운동스트립(S)은 사용자가 실제 당기거나 오므리면서 운동을 하게 되는 부품으로, 한쪽 끝은 앞서 설명한 설치부(37)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손잡이(S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동스트립(S)은 상기 메인드럼(30)에 권취되어야 하므로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은데, 천재질, 합성고무나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특정한 재질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운동스트립(S)은 상기 메인드럼(30)에 다수회 권취된다. 권취된 운동스트립(S)은 사용자가 당기는 힘에 의해 외력을 받으면 풀리게 되고, 그 과정에서 메인드럼(30)이 회전된다. 물론 메인드럼(30)에는 관성휠(5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관성휠(50)도 함께 회전되므로, 사용자는 관성휠(50)까지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을 가해야 하고, 운동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운동스트립(S)이 권취되는 회수, 즉 운동스트립(S)의 길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부호 70은 운동스트립(S)이 권취된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운동스트립(S)은 다양한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상기 메인드럼(30)과 관성휠(50)이 외부로 드러나 있고, 상기 운동스트립(S)이 연장되는 방향도 제한되지 않으므로 운동스트립(S)이 풀리거나 감기는 방향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다양한 방향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운동스트립(S)의 한쪽 끝, 즉 손잡이(S1')를 파지한 상태에서 운동스트립(S)을 당기면, 상기 운동스트립(S)은 메인드럼(30)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리면서 메인드럼(30)을 회전시킨다. 메인드럼(30)이 회전되면 결합된 관성휠(50)이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초기에 운동스트립(S)을 당기기 위해 가하는 힘은 크다.
일단 메인드럼(30)이 회전되고나면 관성휠(50)의 관성모멘트에 의해 관성휠(50)과 메인드럼(30)은 계속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사용자는 초기 보다는 작은 힘으로 운동스트립(S)을 당길 수 있다. 운동스트립(S)이 당겨지다가 메인드럼(30)으로부터 완전히 풀리면 사용자는 더 이상 운동스트립(S)을 당길 수 없지만, 메인드럼(30)은 관성휠(50)의 관성모멘트로 인해 계속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3에는 운동스트립(S)이 끝까지 당겨져 메인드럼(30)으로부터 완전히 풀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인드럼(30)이 계속 회전되면 완전히 풀린 운동스트립(S)은 반대 방향으로 감기기 시작한다. 관성휠(50)에 의한 관성모멘트가 작용하므로 반대 방향으로 감기는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사용자는 관성휠(50)의 회전력을 줄이는 방향, 즉 운동스트립(S)을 당기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힘을 주어, 상기 운동스트립(S)이 빠른 속도로 감기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운동이 이루어진다.
운동스트립(S)이 반대방향으로 완전히 감기면, 상기 운동스트립(S)의 손잡이(S1')는 메인드럼(30)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여기서부터 사용자는 다시 힘을 주어 운동스트립(S)을 당긴다. 그럼 이번에는 운동스트립(S)이 메인드럼(30)을 앞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메인드럼(30)은 관성휠(50)에 의해 아직 어느 정도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초기에 비해 더 큰 힘을 가해야만 메인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이 과정에서 더욱 큰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하면서 사용자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앞선 실시례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운동스트립(S)을 당기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운동스트립(S)은 사용자가 발로 조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발에 운동스트립(S)의 끝부분을 걸고, 발을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통해 운동스트립(S)을 메인드럼(30)에 감거나 풀면서 하체운동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한 운동기구의 기본구조를 로잉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의 구동원으로 응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8에 표현된 실시례는 앞선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례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는 다수개의 운동스트립(S)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운동스트립(S)은 한 쌍, 즉 두 가닥으로 구성되어 같은 사용자가 양손에 각각 파지하거나, 두 명의 사용자가 하나씩 파지하고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메인드럼(30)에 권취되며, 상기 메인드럼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을 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은 서로 결합된 상태였다가 분리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이 결합되는 방식은 지퍼나 핀, 또는 벨크로 등 다양한 방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운동스트립(S1,S2)이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각각 파지되면, 두 사용자가 각각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또는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 중 하나는 재활환자가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재활보조원이 사용함으로써 재활환자의 재활도구로 본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실시례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이 서로 반대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다시 이와 반대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감기면서 운동이 이루어진다.
도 6에는 본 실시례에서 한 쪽의 관성휠(50)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은 감긴 상태에서 풀리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풀릴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메인드럼(30)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7에는 운동스트립(S)이 메인드럼(30)에서 완전히 풀린 상태가 표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동스트립(S)이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도 메인드럼(30)과 관성휠(50)은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하므로 운동스트립(S)은 반대방향으로 감기기 시작하고, 운동스트립(S)은 메인드럼(30) 방향으로 당겨진다.
도 8과 같이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을 각각 파지하고 운동을 할 수 있다. 물론 양손이 아니라 발을 이용하여 운동스트립(S)을 당기거나 오므릴 수도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드럼(30)에는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이 권취되되, 그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38)가 돌출된다. 상기 구획부(38)는 한 쌍의 운동스트립(S1,S2)이 권취되는 과정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획부(38)는 상기 메인드럼(30)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링형태로 돌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앞선 실시례들에서는 운동스트립(S)의 총 길이가 고정된 형태였지만, 상기 운동스트립(S)에는 연결스트립(미도시)이 연결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도 있다. 운동스트립(S)의 길이가 변하면 사용자가 운동스트립(S)을 당기는 행정거리가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에 맞게 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10: 베이스플레이트 12: 베이스부
15: 연결부 20: 설치브라켓
30: 메인드럼 35: 회전축
38: 구획부 50: 관성휠

Claims (8)

  1.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세워지는 설치브라켓과,
    상기 설치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드럼과,
    상기 메인드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관성휠과,
    상기 메인드럼에 권취되는 운동스트립을 포함하고,
    권취된 상기 운동스트립이 상기 메인드럼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메인드럼을 회전시키면 상기 메인드럼은 상기 관성휠의 관성모멘트에 의해 계속 회전하면서 완전히 풀어진 운동스트립을 앞서 권취되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권취시키는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지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메인드럼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휠은 상기 메인드럼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성휠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다수개가 적층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과 관성휠은 외부로 드러나 상기 운동스트립은 상기 메인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권취되거나 풀릴 수 있는 운동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스트립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운동스트립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메인드럼에 권취되며, 상기 메인드럼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운동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스트립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가능한 하나의 스트립으로 구성되었다가, 분리되면 한 쌍의 운동스트립이 되는 운동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에는 상기 한 쌍의 운동스트립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가 돌출되는 운동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스트립에는 연결스트립이 연결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운동기구.
KR1020160145287A 2016-11-02 2016-11-02 운동기구 KR10189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87A KR101891723B1 (ko) 2016-11-02 2016-11-02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87A KR101891723B1 (ko) 2016-11-02 2016-11-02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118A true KR20180048118A (ko) 2018-05-10
KR101891723B1 KR101891723B1 (ko) 2018-08-24

Family

ID=6218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287A KR101891723B1 (ko) 2016-11-02 2016-11-02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7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0024A (zh) * 2020-09-23 2020-12-1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身器械转矩输出控制方法、装置、健身器械及介质
WO2023129609A1 (en) * 2021-12-29 2023-07-06 Hydrow, Inc. Exercise machine brak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786A (ja) * 2003-02-19 2004-09-09 Sds:Kk 筋力トレーニング用牽引装置
JP4643620B2 (ja) * 2007-07-24 2011-03-02 甲斐工業株式会社 ぶら下がり運動装置
US9155931B2 (en) * 2010-08-27 2015-10-13 Fitness Anywhere, Llc Strap restraint apparatus
CN202315094U (zh) * 2011-11-07 2012-07-11 重庆工商大学 一种可调节配重的旋转式拉力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0024A (zh) * 2020-09-23 2020-12-1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身器械转矩输出控制方法、装置、健身器械及介质
WO2023129609A1 (en) * 2021-12-29 2023-07-06 Hydrow, Inc. Exercise machine brak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723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440B2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US7329212B2 (en) Multi-exercise rotary device
US6315701B1 (en) Portable exercise machine
US8944976B2 (en) Exercise device
KR101759441B1 (ko) 회전관성을 이용한 근력운동장치 및 그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US7955239B2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20080287272A1 (en) Exercise apparatus
EP3089790A1 (en) Elastic resistance apparatus
JP2010504802A (ja) 多目的運動器具
CN106730592B (zh) 划船器
US20040242388A1 (en) Unidirectional uniform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KR101115545B1 (ko)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
KR101891723B1 (ko) 운동기구
US20040142799A1 (en) Muscular training apparatus
US20110256986A1 (en) wrist and forearm exerciser
US20220362620A1 (en) Rally fitness equipment
WO2022041622A1 (zh) 力量训练机
KR200479150Y1 (ko) 실내용 자전거형 운동기구
KR101851103B1 (ko) 저항력 조절이 가능한 운동기구
KR102247708B1 (ko)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
KR101582904B1 (ko) 진동과 스트레칭 복합 운동기
US20110183821A1 (en) Orbital vibration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CN214971546U (zh) 一种小型健身器材
US20030224909A1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KR102340836B1 (ko) 근력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