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856B1 - 회전 스텝머신 - Google Patents

회전 스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856B1
KR100878856B1 KR1020070093567A KR20070093567A KR100878856B1 KR 100878856 B1 KR100878856 B1 KR 100878856B1 KR 1020070093567 A KR1020070093567 A KR 1020070093567A KR 20070093567 A KR20070093567 A KR 20070093567A KR 100878856 B1 KR100878856 B1 KR 10087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rotating
pulley
rotation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태
Original Assignee
엄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태 filed Critical 엄정태
Priority to KR102007009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스텝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발구름을 함으로써, 소음발생을 줄이고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 회전 스텝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닥에 지지된 몸체;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축;상기 메인축 상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양방향 연장된 페달을 포함하는 한 쌍의 회전스텝;상기 메인축에 축 결합되며, 회전스텝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풀리;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 결합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메인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보조풀리;상기 메인축의 일측에 결합되되 메인축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자유회전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풀리와 연결된 감속디스크;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감속디스크를 간섭하면서 상기 감속디스크의 회전력을 구속하는 속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 스텝 머신을 제공한다.
회전, 스텝머신, 메인풀리, 보조풀리, 감속디스크, 감속부재, 속도조절

Description

회전 스텝머신{rotation step machine}
본 발명은 스텝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회전 스텝머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건강증진, 비만관리, 체형유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실외 활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실내와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내 운동기구들이 개발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현대인의 바쁜 생활과 적당한 운동량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업체들은 조작이 간편하고, 실내운동을 통해 실외 운동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각종 운동 기기들을 선보이기 시작했고 그 중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장치가 부피가 작고 실외 걷기 운동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스텝 머신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텝 머신은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하체 유산소 운동 및 근력 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프레임 상에 좌,우 한쌍의 발판을 유압실린더와 설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좌,우 발판을 교대로 가압시켜 마치 보행하는 동작을 정해진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텝머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텝머신은 지면의 전,후방에 지지된 프레임(1)과, 전방의 프레임(1a)상에 한 축을 중심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의 좌,우 페달(3)과, 페달(3)과 전방의 프레임(1a)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의 스텝 머신은 사용자가 페달(3)을 번갈아가며 밟음으로써 사용자에게 걷기 운동과 같은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스텝머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사용자가 페달(3)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페달(3)이 교차로 승강되는 과정에서, 페달(3)이 후방의 받침대(1b)에 지속적으로 부딪힘으로써 진동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그 진동은 사용자의 관절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뿐만 아니라, 그 진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물론, 주변 사람들, 나아가, 아파트의 경우 하층에 주거하는 사람들에게 소음피해를 끼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둘째, 운동효과가 저감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스텝머신은 페달을 가압하는 과정에서만 힘이 소모될 뿐, 발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힘이 덜 소모된다.
즉, 발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유압실린더(5)의 복원력에 의해 페달(3)이 밀어 올려짐으로써, 사용자의 발은 큰 힘의 소모 없이 자연적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다.
덧붙여, 스텝 머신의 기능 및 목적이라 하면, 걷기, 등산, 계단 오르기 등의 실외 운동을 실내에서 그와 유사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상기한 걷기, 등산, 계단 오르기 등의 공통점은 발을 옮기기 위해서 양발을 번갈아가면서 들어올리는 힘도 소모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스텝머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을 들어올리는 힘이 덜 소모됨에 따라, 본래의 취지에 맞는 운동효과를 얻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운동이 아닌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발구름을 함으로써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몸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한 회전 스텝 머신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닥에 지지된 몸체;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축;상기 메인축 상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양방향 연장된 페달을 포함하는 한 쌍의 회전스텝;상기 메인축에 축 결합되며, 회전스텝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풀리;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 결합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메인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보조풀리;상기 메인축의 일측에 결합되되 메인축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자유회전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풀리와 연결된 감속디스크;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감속디스크를 간섭하면서 상기 감속디스크의 회전력을 구속하는 속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 스텝 머신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하며,상기 속도조절장치는,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조절레버;일단부는 조절레버에 연결되며, 조절레버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타단부를 포함하는 연결선;상기 연결선의 타단부에 연결된 원형의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나사를 포함하는 회전판;상기 회전부재와 몸체 사이에 연결되어 연결선의 타단부에 의해 회전부재가 회전될 때 늘어나며,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상기 회전판의 나사가 체결된 너트와, 이 너트를 몸체에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너트부재;상기 회전판의 나사에 밀착되며, 일단부는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감속디스크에 근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타단부에는 감속패드가 설치된 감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고무벨트로 이루어지며, 몸체에는 상기 고무벨트의 이완을 방지하는 이완방지부가 더 설치되되,상기 이완방지부는,고무벨트에 밀착된 롤러와, 일단부는 몸체에 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롤러에 결합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부와 몸체에 연결되어 인장력에 의해 지지바를 고무벨트 측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에 의하면 발구름의 구조가 수직 승강방식이 아닌 회전운동을 이용한 발구름의 구조로써, 페달을 가압하기 위한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발을 들어올리기 위한 힘도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동효과가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진정한 걷기운동, 등산, 계단 오르기 등의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페달이 수직운동이 아닌 회전운동을 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페달은 지면에 부딪히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진동으로 인해 발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페달과 지면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 스텝 머신은 몸체(100)와, 메인축(200)과, 회전스텝(300)과, 메인풀리(400)와, 보조풀리(500)와, 감속디스크(600)와, 속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지면에 지지되며, 내부에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100)의 내부 공간은 몸체(100)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는 격벽(100a)에 의해 구획된다.
이때, 상기 격벽(100a)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에는 메인풀리(400) 및 보조풀리(500) 등의 회전장치들이 설치되며, 다른 한 측에는 사용자가 스텝운동을 하기 위한 회전스텝(300) 및 대기하는 발판(110)이 설치된다.
상기 발판(110)은 사용자가 스텝운동을 하기 전, 또는 스텝운동을 한 후에 서 있기 위한 곳이며, 몸체(100)의 후방에 판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판(110)의 전방에는 미관을 위해 몸체(100)의 내부를 차폐하는 차폐판(120)이 설치되며, 이 차폐판(120)에는 회전스텝(300)의 회전운동시 후술하는 페달과 차폐판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페달의 회전을 위한 회전 홀(1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는 손잡이(130)가 더 설치된다.
이 손잡이(130)는 사용자의 스텝운동시 양손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몸체(100)의 전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메인축(200)은 사용자의 스텝운동으로 인해 발생된 동력을 메인풀리(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축(200)은 몸체(10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메인축(200)의 양단부는 각각 베어링(2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스텝(300)은 사용자의 발구름에 의해 메인축(2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메인축(200) 상에 고정된다.
이때, 회전스텝(300)은 사용자의 양발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스텝(300)은 메인축(200)의 둘레에 고정된 고정부(310)와, 이 고정부(310)로부터 메인축(200)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양방향 연장된 페달(320)을 포함한다.
이때, 페달(320)에는 돌기(32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스텝운동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한 지압효과를 더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돌기(320a)로 인해 사용자의 스텝운동시 미끄럼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회전스텝(300)이 메인축(200) 상에 고정된 상태는 상호 간에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사용자의 구름동작이 가능해짐은 이해 가능하다.
즉, 메인축(200) 상에 어느 하나의 회전스텝(300)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가 되면, 다른 하나는 메인축(200) 상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스텝(300)은 차폐판(120)의 회전홀(120a)에 배치되어 구조물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다음으로, 메인풀리(400)는 회전스텝(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보조풀리(500)를 회전시키며, 메인축(200)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메인풀리(400)는 메인축(2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메인풀리(400)는 메인축(200)과 연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보조풀리(500)는 메인풀리(400)의 동력을 전달받아 감속디스크(600)를 회전시키며, 메인풀리(400)가 설치된 방향을 몸체(100)의 전방이라 할 때 몸체(100)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때, 보조풀리(500)는 보조축(510)에 축 결합되며, 상기 보조축(510)은 몸체(1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보조축(510)에는 연결풀리(511)가 설치되며, 이 연결풀리(511)는 보조축(510)을 회전시킨다.
즉, 연결풀리(511)는 메인풀리(400)의 동력을 전달받아 보조축(510)과 연결된 보조풀리(50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보조풀리(500)와 메인풀리(400)의 회전 비율은 7:1임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풀리(400)가 1회전되면 보조풀리(500)는 7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 비율을 결정하는 것은 메인풀리(400)의 둘레와 연결풀리(511)의 둘레의 비율이며, 상기한 비율은 연결풀리(511)의 둘레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연결풀리(511)와 메인풀리(400)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D)이 연결되며, 이 동력전달수단(D)은 고무벨트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감속디스크(600)는 보조풀리(500)의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후술하는 속도조절장치에 의해 간섭되어 메인축(200)의 회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감속디스크(600)는 메인축(200) 상에 설치되되, 메인축(200)의 회전과 관계없이 자유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감속디스크(600)와 보조풀리(500)와의 회전 비율 역시 7:1임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풀리(500)가 1회전되면 감속디스크(600)는 7회전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메인풀리(400)가 1회전되면, 보조풀리(500)는 7회전되고, 감속디스크(600)는 49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메인풀리(400),보조풀리(500),감속디스크(600)의 회전 비율은 상기한 1:7:49의 회전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감속디스크(600)는 메인축(2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어링부(610)와, 이 베어링부(610)로부터 연장되어 후술하는 감속패드에 밀착되는 밀착 면(620)을 포함한다.
한편, 감속디스크(600)와 보조풀리(500)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D)이 연결되며, 이 동력전달수단(D) 역시 고무벨트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속도조절장치는 메인축(200)의 회전력을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발구름 동작의 운동량을 차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속도조절장치의 제어로 인해, 사용자가 발구르는 동작, 즉, 페달(320a)을 가압하는 힘을 더 소모시킬 수도 있고 덜 소모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속도조절장치는 조절레버(710)와, 연결선(720)과, 회전판(730)과, 너트부재(740)와, 감속부재(750)와, 스프링(760)을 포함한다.
조절레버(7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감속부재(750)로 하여금 회전판(730)을 간섭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절레버(71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절레버(710)는 속도 또는 중량 등의 눈금이 표시된 표시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운동량을 체크하도록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선(720)은 조절레버(710)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면서 회전판(7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결선(720)의 일단부는 조절레버(710)에 연결되며, 연결선(720)의 타단부는 회전판(730)에 연결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절레버(710)의 회전으로 인한 연결선(720)의 상,하 수직운동은 회전판(73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판(730)은 감속부재(750)를 간섭하여 감속디스크(600)의 회전력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판(730)은 연결선(720)의 타단부가 권선된 원판의 회전부재(731)와, 이 회전부재(731)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나사(733)를 포함한다.
그리고, 너트부재(740)는 회전판(730)의 나사(733)를 지지하며, 이 나사(733)가 체결된 너트(741)와, 이 너트(741)를 몸체(100)에 고정하는 지지대(743)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대(743)의 일단부는 몸체(100)에 고정되며, 지지대(743)의 타단부는 감속부재에 대응된다.
이때, 너트(741)는 지지대(743)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너트(741)를 통과한 나사(733)는 감속부재(750)에 밀착된다.
그리고, 감속부재(750)는 회전판(730)에 의해 감속디스크(600)를 간섭하여 감속디스크(600)의 회전력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감속부재(750)의 일단부는 몸체(100)에 고정되며, 감속부재(750)의 타단부는 감속디스크(60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감속부재(750)의 타단부에는 감속패드(751)가 설치된다.
또한, 감속부재(750)의 재질은 탄성력과 강도를 겸비한 금속임이 바람직하며, 감속부재(750)에 설치된 감속패드(751)의 재질은 MBR고무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감속부재(750)는 너트(741)를 통과한 회전판(730) 의 나사(733) 단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스프링(760)은 탄성력에 의해 너트(741)로부터 회전판(730)의 나사(733)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부재(731)를 회전시킨다.
즉, 조절레버(710)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선(720)에 의해 회전판(73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760)은 늘어나게 되고, 조절레버(71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늘어난 스프링(760)은 복원되면서 그 탄성력으로 상기 회전판(73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프링(760)은 회전부재(731)와 몸체(100)의 구조물 사이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한 속도조절장치는 상기한 구성뿐만 아니라, 전자석을 이용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00)의 내부 중, 발판(110)의 저부에 발전부를 설치하여 메인풀리(400) 및 보조풀리(500)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감속부재(750)로 하여금 감속디스크(600)에 선택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100)에는 고무벨트(D)의 이완을 방지하는 이완방지부가 더 설치된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이완방지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이완방지부는 메인풀리(400)와 연결풀리(511) 사이에 연결된 고무벨트(D) 및 보조풀리(500)와 감속디스크(600) 사이에 연결된 고무벨트(D)의 이완을 방지한다.
상기 이완방지부는 고무벨트(D)에 밀착된 롤러(810)와, 상기 롤러(810)를 지지하기 위해 몸체(100)에 결합된 지지바(820)와, 상기 롤러(810)로 하여금 고무벨트(D)를 끌어당기도록 몸체(100)와 지지바(820)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830)을 포함한다.
이때, 메인풀리(400)와 연결풀리(511) 사이에 연결된 고무벨트(D)의 이완을 방지하는 이완방지부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830)으로 하여금 지지바(820)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도록 하고, 보조풀리(500)와 감속디스크(600) 사이에 연결된 고무벨트(D)의 이완을 방지하는 이완방지부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830)으로 하여금 지지바(820)를 상방으로 끌어당기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무벨트(D)는 지속적으로 팽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회전 스텝 머신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발판에 대기 한 상태에서 조절레버(710)를 회전(이를 편의상 '정회전'이라 한다)시켜 필요한 운동량을 조절한다.
이때, 조절레버(710)의 회전에 따라 연결선(720)은 상기 조절레버(710)에 권선되면서 끌어 올려진다.
이때, 연결선(720)의 타단부에 연결된 회전부재(731)는 연결선(720)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회전부재(731)와 몸체(100) 사이에 스프링(760)은 늘어나게 된다.
이후, 회전부재(731)의 회전에 의해 너트(741)에 체결된 나사(733)는 조여지면서 감속부재(750)를 향해 진행된다.
이후, 나사(733)는 감속부재(750)를 밀게 되고, 감속부재(750)의 타단부에 설치된 감속패드(751)는 감속디스크(600)의 밀착면(620)에 밀착된다.
즉, 감속패드(751)와 밀착면(620) 사이의 마찰계수가 높아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조절레버(710)에 의해 운동량의 조절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회전스텝(300)의 페달(320)에 발을 올려 발구름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발을 번갈아가면서 페달(320)을 가압하고, 페달(320)에 힘이 가해짐에 따라 메인축(200)은 페달(320)이 회전홀(120a)을 통해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양발을 번갈아가면서 페달(320)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발을 내리는 동작은 물론, 발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병행하여야 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 운동을 이용한 스텝 머신은 발을 내리는 동작 후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큰 힘의 소모 없이 발이 자연스럽게 들어 올려지는 반면에,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회전 운동을 이용한 스텝 머신은 발을 들어올려야 하는 동작을 반드시 취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은 앞서 효과부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계단을 오르거나 걷기, 등산 등의 운동과 가장 근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발구름 동작에 의해 메인축(200)은 회전되고, 메인축(200)의 회전에 의해 메인풀리(400)가 회전된다.
이후, 메인풀리(400)의 동력은 고무벨트(D)에 의해 보조풀리(500)의 보조축(510)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동력은 보조축(510)으로 하여금 보조풀리(500)를 회 전시킨다.
이후, 보조풀리(500)는 고무벨트(D)를 통해 감속디스크(600)에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감속디스크(600)는 회전되지만, 감속부재(750)의 간섭으로 인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즉, 감속패드(751)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감속디스크(600)의 회전력이 저하됨으로써, 사용자는 페달(320)을 가압하는 힘을 더 소모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량은 더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운동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절레버(710)를 역회전시킨다. 이때, 늘어난 스프링(760)은 복원되며, 그 복원되는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731) 역시 반대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판(730)의 나사(733)는 너트(741)로부터 풀리게 되며, 감속부재(750)를 밀고 있던 나사(733)는 밀려나게 된다.
이후, 감속부재(750)는 탄성력에 의해 감속디스크(600)의 밀착면(620)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후, 감속디스크(600)는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되고, 사용자는 메인축(200)을 원활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운동량은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텝 머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의 메인축과 회전스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의 속도조절장치가 감속디스크를 간섭하기 전을 나타낸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의 속도조절장치가 감속디스크를 간섭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스텝 머신의 이완방지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몸체 110 : 발판
120 : 차폐판 120a : 회전홀
200 : 메인축 210 : 베어링
300 : 회전스텝 310 : 고정부
320 : 페달 400 : 메인풀리
500 : 보조풀리 510 : 연결풀리
511 : 보조축 600 : 감속디스크
610 : 베어링부 620 : 밀착면
710 : 조절레버 720 : 연결선
730 : 회전판 731 : 회전부재
733 : 나사 740 : 너트부재
741 : 너트 743 : 지지대
750 : 감속부재 751 : 감속패드
760,830 : 스프링 810 : 롤러
820 : 지지바

Claims (3)

  1. 바닥에 지지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축;
    상기 메인축 상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양방향 연장된 페달을 포함하는 한 쌍의 회전스텝;
    상기 메인축에 축 결합되며, 회전스텝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풀리;
    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 결합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메인풀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보조풀리;
    상기 메인축의 일측에 결합되되 메인축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자유회전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풀리와 연결된 감속디스크;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감속디스크를 간섭하면서 상기 감속디스크의 회전력을 구속하는 속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 스텝 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조절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조절레버;
    일단부는 조절레버에 연결되며, 조절레버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타단부를 포함하는 연결선;
    상기 연결선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연결선의 타단부에 의해 회전되는 원형의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나사를 포함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부재와 몸체 사이에 연결되어 연결선의 타단부에 의해 회전부재가 회전될 때 늘어나며,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
    상기 회전판의 나사가 체결된 너트와, 이 너트를 몸체에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너트부재;
    상기 회전판의 나사에 밀착되며, 일단부는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감속디스크에 근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타단부에는 감속패드가 설치된 감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텝 머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고무벨트로 이루어지며,
    몸체에는 상기 고무벨트의 이완을 방지하는 이완방지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이완방지부는,
    고무벨트에 밀착된 롤러와, 일단부는 몸체에 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롤러에 결합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부와 몸체에 연결되어 인장력에 의해 지지바를 고무벨트 측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텝 머신.
KR1020070093567A 2007-09-14 2007-09-14 회전 스텝머신 KR100878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67A KR100878856B1 (ko) 2007-09-14 2007-09-14 회전 스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67A KR100878856B1 (ko) 2007-09-14 2007-09-14 회전 스텝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856B1 true KR100878856B1 (ko) 2009-01-15

Family

ID=4048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67A KR100878856B1 (ko) 2007-09-14 2007-09-14 회전 스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461B1 (ko) * 2015-02-17 2017-07-06 이서원 근력 운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504Y1 (ko) 2003-10-31 2004-02-11 동허 우 등산 활동 모방 운동용 고정 장치
KR20060131841A (ko) * 2006-08-10 2006-12-20 (주)휴먼메덱스텍 운동기구
KR200435958Y1 (ko) 2007-02-14 2007-03-23 임정수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CN200991530Y (zh) 2006-12-15 2007-12-19 张煌东 腿部运动健身器行进导引结构改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504Y1 (ko) 2003-10-31 2004-02-11 동허 우 등산 활동 모방 운동용 고정 장치
KR20060131841A (ko) * 2006-08-10 2006-12-20 (주)휴먼메덱스텍 운동기구
CN200991530Y (zh) 2006-12-15 2007-12-19 张煌东 腿部运动健身器行进导引结构改良
KR200435958Y1 (ko) 2007-02-14 2007-03-23 임정수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461B1 (ko) * 2015-02-17 2017-07-06 이서원 근력 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336B2 (en) Cordless treadmill
US10850162B2 (en) Interactive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cle strengthening
US20040102292A1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US5916069A (en) Rowing exerciser with magnetic resistance
US6855093B2 (en) Stairclimber apparatus pedal mechanism
US7410449B2 (en) Multifunctional exercise treadmill with sensor for activating motor driven tread belt or not in response to force exerted upon the tread belt for additionally exercising either foot muscles or both foot and hand muscles
USRE34959E (en) Stair-climbing exercise apparatus
US7303506B1 (en) Combined vertical and horizontal rope climbing apparatus
US20050227817A1 (en) Stairclimber apparatus pedal mechanism
JPH0581155B2 (ko)
CN206613083U (zh) 磁控式跑步机
KR100878856B1 (ko) 회전 스텝머신
US7060003B1 (en) Horizontal rope pulling apparatus
KR101094821B1 (ko) 페달운동기구
CN213285494U (zh) 一种具有独立单车和划船功能的健身训练凳
US5263909A (en) Drive with torque arm support for exercise device
CN212880783U (zh) 一种可调速的无动力登山机
CN211635080U (zh) 一种躯干多维伸展训练器
CN219001896U (zh) 一种健身器材助力装置
CN219941717U (zh) 力量训练机
KR200321886Y1 (ko) 사이클 런닝 머신
KR200334068Y1 (ko) 다리운동기구
CN111939516B (zh) 一种自重作为负重的可变拉力家用健身器材
CN210583559U (zh) 具有磁粉制动器的攀登机
CN217939053U (zh) 神经内科训练及神经内科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