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958Y1 -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958Y1
KR200435958Y1 KR2020070002645U KR20070002645U KR200435958Y1 KR 200435958 Y1 KR200435958 Y1 KR 200435958Y1 KR 2020070002645 U KR2020070002645 U KR 2020070002645U KR 20070002645 U KR20070002645 U KR 20070002645U KR 200435958 Y1 KR200435958 Y1 KR 200435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edestal
crank arm
bas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2020070002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9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 A63B22/0069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about an ax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steppers with an inclined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원형 궤적의 동작을 통하여 운동을 쉽게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자가 페달을 밟음에 따라 페달이 타원형 궤적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페달과 받침대사이에 위치되고 내측의 상부에 받침대의 구름부를 주행하는 바퀴와 받침대의 하부를 주행하는 바퀴를 구비하고, 한쪽끝이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발판브래킷, 발판 브래킷과 페달지지부재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받침대, 한쪽끝이 발판브래킷의 외측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제2 크랭크아암에 연결되는 로드, 및 한쪽끝이 회전가능하게 페달지지부재의 외측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회전가능하게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크랭크아암을 포함하고 있다.
페달, 받침대, 페달지지부재, 크랭크아암, 바퀴, 풀리, 회전 손잡이부

Description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ELLIPTICAL TRAIN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주요 구성요소의 단면도,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도.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원형 궤적의 동작을 통하여 운동을 쉽게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운동기구들 중에서 페달을 밟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은 실내자전거 또는 스테퍼등이 대표적이다. 실내자전거는 통상적인 자전거를 베이스에 설치하여 바퀴가 공중에 떠있도록 되어 있어 페달을 밟으면 바퀴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고 공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정된 장소에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테퍼는 소위 런닝머신의 대체품으로서 좌우 페달을 교대로 밟으면서 걷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실내자전거 또는 스테퍼는 페달이 원형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거나 또는 단순히 상하로 움직이므로 특정한 부위의 근육만을 발달시키는 단점이 있고 무릎관절에 과다한 힘이 가해지므로 무릎관절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람이 걸을 때의 발의 궤적과 흡사하게 페달이 타원형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 운동기구가 있지만 이러한 형태의 운동기구는 운동자의 무릎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고 하체의 근육이 불균형적으로 발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페달이 자연스런 타원형 궤적을 형성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운동을 하더라도 무릎관절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하체의 근육이 골고루 발달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방향으로 뻗어 있는 프레임, 로커링크를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상부에서 횡단방향으로 뻗어있는 고정부재, 한쪽끝이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페달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로커링크, 로커링크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 손잡이부, 베이스의 후방의 기둥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풀리의 축에 연결된 제 1 크랭크아암, 한쪽 끝이 피벗가능하게 로커링크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이 제 1 크랭크아암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페달지지부재 및 페달지지부재상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페달을 포함하고 있고, 운동자가 페달을 밟음에 따라 페달이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페달과 받침대사이에 위치되고 내측의 상부에 받침대의 구름부를 주행하는 바퀴와 받침대의 하부를 주행하는 바퀴를 구비하고, 한쪽끝이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발판브래킷,
발판 브래킷과 페달지지부재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받침대,
한쪽끝이 발판브래킷의 외측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제2 크랭크아암에 연결되는 로드,
한쪽끝이 회전가능하게 페달지지부재의 외측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회전가능하게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크랭크아암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베이스의 양 측면에 끼워져서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서 베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하측으로 뻗어있는 돌출부, 하부에 발판 브래킷의 하부측 바퀴가 접촉하여 원활하게 구르게 하기 위한 하면 및 상부에 브래킷의 상부측 바퀴가 접촉하는 구름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받침대의 구름부는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는 베이스(1)와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베이스(1)상에서 로커링크(5)와 제 1 크랭크아암(13)에 연결된 한쌍의 페달지지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는 베이스(1)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방향으로 뻗어 있는 프레임(2), 바닥과 접촉하여 운동기구의 지지를 위해 베이스의 전후에 부착된 크로스부재(18), 풀리(10)와 알터내이터(12)를 장착하기 위한 받침대(16), 풀리(11)를 부착하고 기둥부(1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7)를 포함하고 있다. 크로스부재(18)의 양쪽 끝에는 운동기구와 바닥과의 평형을 잡기 위한 높이조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은 로커링크(5)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하고 전후로만 회전하도록 하기위하여 로커링크(5)의 한쪽끝에 피벗적으로 연결된 고정부재(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2)은 상부에 고정부착되는 한쌍의 고정 손잡이부(19)와 페달의 회전수와 회전속도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포함하고 있다. 로커링크(5)의 상부에는 팔 운동을 하기 위한 회전손잡이부(3)가 부착되고 로커링크(5)의 다른쪽 끝에는 페달지지부재(4)가 피벗축에 의해서 피벗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지지부재(4)는 한쪽 끝에 피벗축에 의해서 피 벗적으로 연결된 로커링크(5), 페달지지부재(4)를 타원형 궤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페달지지부재(4)의 내측에 위치되고 다른쪽 끝에 풀리(10)의 회전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제 1 크랭크 아암(13), 페달지지부재(4)의 외측에 위치되고 제 1 크랭크아암(13)과 마주하고 있고 제 1 크랭크아암과 함께 회전하는 제 2 크랭크아암(14)을 포함하고 있다. 풀리(10)의 축은 받침대의 양쪽면에 장착된 베어링 조립체의 구멍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뻗어있다. 외측으로 뻗어 있는 상기 축의 양끝에는 제 1 크랭크아암(13)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페달지지부재(4)의 내측면에는 제 1 크랭크아암(13)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있고 외측면에는 제 2크랭크아암(14)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크랭크(13)과 제 2 크랭크아암(14)은 동일한 축선을 가지고 있다. 페달지지부재(4)의 상면에는 바퀴(24,25)를 구비한 발판브래킷(7)을 구름이동시키기 위한 받침대(9)가 장착되어 있다. 받침대(9)와 페달(7)사이에는 운동자가 페달을 양발로 밟은 상태에서 페달중의 어느 하나의 페달에 힘을 가했을 때 페달지지부재(4)가 자연스런 타원형 궤적을 형성하기 위한 발판 브래킷(8)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브래킷(8)은 받침대(9)의 구름부에서 구름하는 바퀴(24)와 받침대(9)의 하면에서 구름하는 바퀴(25) 및 후방의 한쪽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15)를 포함하고 있다. 로드(15)의 한쪽 끝은 발판 브래킷의 후방의 한쪽 측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제 2 크랭크아암(14)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로 인해 로드(15)는 운동자가 어느 하나의 페달에 힘을 가했을 때 회전운동하는 제 1 크랭크아암(13)과 함께 회전하는 제 2 크랭크아암(14)의 회전운동을 발판 브래킷(8)에 전달하고 페달지지부재(4)의 좌우이동을 방지한다.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4,25)의 중심구멍에는 베어링을 구비한 축(23, 26)이 삽입되고 이들 축(23,26)은 발판 브래킷(8)의 상부 양측면 및 하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바퀴(24,25)는 제 2 크랭크와 함께 회전하는 로드(15)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발판 브래킷(8)은 받침대(9)상에서 바퀴(24,25)의 구름에의해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9)는 베이스(1)의 양 측면에 끼워져서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서 베이스(1)에 고정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뻗어있는 돌출부(29), 하부에 발판 브래킷(8)의 하부측 바퀴(25)가 접촉하여 원활하게 구르게 하기 위한 하면(30) 및 상부에 발판 브래킷(8)의 상부측 바퀴(24)가 접촉하여 구르는 구름부(2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름부(28)는 발판 브래킷(8)의 상부측 바퀴(24)가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로 이루어져 있다. 발판 브래킷(8)의 상부측 바퀴(24)와 하부측 바퀴(25)사이에 받침대(9)의 구름부(28)와 하면(30)이 견고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발판 브래킷(8)은 받침대(9)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구름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 및 도 2를 재참조하면, 기둥부(16)는 베이스(1)의 후방에 위치되고 베이스(1)로부터 수직상향으로 뻗어 있고 풀리(10)의 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조립체를 가지고 있다. 풀리(10)의 축은 중심구멍에 삽입되어 그 중심부에서 용접에 의해서 풀리(10)에 고정된다. 베어링 조립체의 양측으로 돌출한 축의 양끝에는 크랭크아암(13)이 고정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크랭크 아암(13)이 회전하면 풀리(10)도 함께 회전 한다. 풀리(10)는 벨트에 의해서 풀리(11)에 연결되어 있다.
풀리(11)는 크로스부재(18)와 기둥부(16)사이의 베이스(1)의 부분과 기둥부(16)의 상부에 용접에 의해서 경사지게 연결된 지지대(17)에 축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기둥부(16)의 상부에는 운동량의 강도를 조정하기 위한 알터내이터(12)가 장착되어 있다. 풀리(11)와 알터내이터(12)는 벨트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풀리(10)가 회전하면 풀리(11)도 벨트에 의해서 회전하며 이에따라 풀리(11)의 회전에 의해 알터내이터(12)도 회전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작동원리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운동자가 페달(7,7)을 양발로 밟은 상태에서 페달중의 어느 하나에 힘을 가하면, 힘은 받은 페달(7)은 프레임(2)쪽으로 전진하면서 하향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페달지지부재(4)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1 크랭크아암(13)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 1 크랭크아암(13)과 함께 회전하는 제 2 크랭크아암(14)이 로드(15)를 회전운동시키고 이 로드에 연결된 발판 브래킷(8)은 바퀴(24,25)에 의해서 로드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바퀴(24,25)에 의해서 변환된 직선운동에 의해서 발판 브래킷(8)에 부착된 페달(7)은 받침대(9)상에서 미끄럼이동하고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손잡이부도 회전하면서 전후이동을 한다. 즉 페달(7)은 페달지지부재(4)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면서 발판브래킷(8)내의 바퀴(24,25)에 의해 전방으로 구름이동하여 최저점에 도달하고 최저점에서 운동방향이 바뀌게 되면 페달(7)은 페달지지부재(4)의 회전운동하면서 발판브래킷(8)내의 바퀴(24,25)에 의해 후방으로 구름이동하면서 최고점에 도달하여 운동자의 무릎관절에 충격을 가해지지 않고 하체근육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받침대상에서 발판브래킷의 바퀴가 제 1 크랭크아암과 함께 회전하는 제 2 크랭크 아암에 연결된 로드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판 브래킷상에 장착된 페달이 구름이동함과 동시에 페달지지부재에 의해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자연스런 타원형궤적을 형성하여 운동자는 무릎관절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하체근육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의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방향으로 뻗어 있는 프레임, 로커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상부에서 횡단방향으로 뻗어있는 고정부재, 한쪽끝이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페달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로커링크, 로커링크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 손잡이부, 베이스의 후방의 기둥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풀리의 축에 연결된 제 1 크랭크아암, 한쪽 끝이 피벗가능하게 로커링크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이 제 1 크랭크아암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페달지지부재 및 페달지지부재상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페달을 포함하고 있고, 운동자가 페달을 밟음에 따라 페달이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페달과 받침대사이에 위치되고 내측의 상부에 받침대의 구름부를 주행하는 바퀴와 받침대의 하부를 주행하는 바퀴를 구비하고, 한쪽끝이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발판브래킷,
    발판 브래킷과 페달지지부재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받침대,
    한쪽끝이 발판브래킷의 외측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제2 크랭크아암에 연결되는 지지대, 및
    한쪽끝이 회전가능하게 페달지지부재의 외측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회전가능하게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크랭크아암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베이스의 양 측면에 끼워져서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서 베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하측으로 뻗어있는 돌출부, 하부에 발판 브래킷의 하부측 바퀴가 접촉하여 원활하게 구르게 하기 위한 하면 및 상부에 브래킷의 상부측 바퀴가 접촉하는 구름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구름부는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20070002645U 2007-02-14 2007-02-14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0435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645U KR200435958Y1 (ko) 2007-02-14 2007-02-14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645U KR200435958Y1 (ko) 2007-02-14 2007-02-14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680 Division 2006-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958Y1 true KR200435958Y1 (ko) 2007-03-23

Family

ID=4156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645U KR200435958Y1 (ko) 2007-02-14 2007-02-14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9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56B1 (ko) 2007-09-14 2009-01-15 엄정태 회전 스텝머신
KR100944809B1 (ko) * 2007-10-22 2010-02-26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운동부하 제어성능이 향상된 운동장치
KR101385745B1 (ko) 2007-04-28 2014-04-17 쟝 지아샹 실내 운동용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745B1 (ko) 2007-04-28 2014-04-17 쟝 지아샹 실내 운동용 자전거
KR100878856B1 (ko) 2007-09-14 2009-01-15 엄정태 회전 스텝머신
KR100944809B1 (ko) * 2007-10-22 2010-02-26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운동부하 제어성능이 향상된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6811B (zh) 具多種運動型態的複合式運動機
EP3341091B1 (en) Pedal path of a stepping machine
US6758790B1 (en) Low impact walking/jogging exercise machine
US7618351B2 (en) Pedal exercise machine having arc trajectory
US7704192B2 (en) Elliptical exercise equipment with adjustable stride
US6835166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US7618350B2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ramp
US20060281604A1 (en) Cross training exercise device
US20080227602A1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EP1607121B1 (en) Exercise device
WO2007055584A1 (en) Indoor exercise cycle with tilt function
US7909739B2 (en) Pedal exercise machine having arc trajectory
KR200435958Y1 (ko)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US20030127822A1 (en) Transportation device
US6312362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US20020107112A1 (en) Physical trainer having pedals moving along an elliptical route
US20070099762A1 (en) Elliptical trainer
KR200334981Y1 (ko) 사이클 운동기구
TWI741862B (zh) 可調整步幅之橢圓運動機
KR102554727B1 (ko) 회전 틸팅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자전거
EP3225286A1 (en) Heel-lifting elliptical machine
TWI597091B (zh) 手足複合式運動機
KR200207041Y1 (ko)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