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198B1 - 몸통 근육 단련구 - Google Patents

몸통 근육 단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198B1
KR100828198B1 KR1020070061883A KR20070061883A KR100828198B1 KR 100828198 B1 KR100828198 B1 KR 100828198B1 KR 1020070061883 A KR1020070061883 A KR 1020070061883A KR 20070061883 A KR20070061883 A KR 20070061883A KR 100828198 B1 KR100828198 B1 KR 10082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handle
screw
pivot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가섭
Original Assignee
양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가섭 filed Critical 양가섭
Priority to KR102007006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7Abdomen moving torso or lower limbs laterally, i.e. substantially in the fr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Abstract

이 발명은 몸통 곧 허리 배 가슴 어깨의 근육을 골고루 단련할 수 있고, 상체로우더와 하체로우더를 하나의 피벗에 지지시키고, 하체로우더에 하체를 올리기 위한 무릅안장이 구비되고, 상체 로우더에 상체를 올리기 위한 핸들이 구비되고, 이용자가 업드린 모양으로 무릅과 손으로 로우더에 올라 상체와 하체 근육을 움직여 허리 근육 운동을 할 수 있고, 허리 거동의 부하가 조절되고, 상체로우더나 하체로우더의 어느 하나를 고정하고 상체나 하체 한쪽 만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고, 무릅안장의 위치를 이동 할 수 있고, 상체로우더 핸들의 조립각을 조절 할 수 있고, 허리 거동시 함께 거동하는 배, 가슴, 어깨 근육을 함께 단련 할 수 있는 몸통 근육 단련구이다.
몸통, 근육, 단련구

Description

몸통 근육 단련구 {TOOLS OF TEMPER FOR BODY MUSCLE}
도 1은 이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이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이 발명의 측 단면도
도 4는 이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은 이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이 발명의 동작 상태도
도 7은 이 발명의 동작 상태도
도 8은 이 발명의 동작 상태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1은 피벗, 12는 다리, 13은 대판, 14는 조절디스크, 15는 스크류홀, 16은 놉. 17은 스프링 돌기, 18은 지지홈, 21은 무릅안장, 22는 슬라이더, 23은 무릅홀더, 24는 지지체, 26은 손잡이스크류, 30은 마찰기구, 31은 하체로우더, 32는 머리허브, 33은 디스크, 36은 마찰패드, 40은 지지체, 41은 핸들, 42는 파이프클립, 43은 그립부재, 46은 손잡이스크류, 50은 마찰기구, 51은 상체로우더, 52는 꼬리허브, 53은 디스크, 54는 디스크, 55는 디스크, 56은 마찰패드, 57은 구멍, 58은 스크류, 59는 손잡이스크류, 60은 지지체
이 고안은 몸통 근육 단련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많은 질환은 도시 생활의 제약적인 생활 패턴에서 비롯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운동이 건강을 증진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생활속에서 적당한 운동량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특성이 고려되어 가정에서 신체를 단련하기 위한 많은 운동기구 들이 보급되고 있다.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은 신체에 주는 적절한 자극(stress)이므로 지나친 운동이나 신체에 무리를 주는 운동은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운동을 처음 하는 사람은 자신의 건강상태와 체력수준을 적절히 평가하여 이에 맞는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체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려면 심장기능, 폐기능,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근기능, 관절 기능과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특징 등을 전문 기관에서 측정하고 자신의 건강과 체력에 맞는 운동의 종류와 운동량을 정한다.
건강증진 운동프로그램은 심폐지구력 증진 운동이 중심이 되지만 이와 함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운동을 포함한다. 걷기, 조깅, 자전거타기, 에어로빅댄스는 큰근육군을 지속적으로 리드미컬하게 움직여 주므로 심폐지구력을 증진시킨다. 기술 습득이 있고 순발력이 있는 경우에는 테니스, 라켓볼, 스쿼시, 축구 등도 같은 효과를 증진시킨다. 중량물을 이용한 근력운동, 자기체중을 이용한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쪼그려 앉고 일어서기는 근력 및 근지구력을 향상시킨다. 유연성은 상지, 하지, 몸통 등 주요 근육군을 스트레칭 함으로써 개선된다.
상기와 같은 자기 체중을 이용한 근 지구력 단련은 대체로 운동장비가 필요하지 않은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쪼그려 앉고 일어서기 운동 이지만 그 동작이 단순하여 팔 다리 머리를 제외한 몸통 허리 배 가슴 어깨의 근육을 균형있게 단련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몸통 대부분의 근육을 밀도 높게 단련하는 운동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발명은 몸통 곧 허리 배 가슴 어깨의 근육을 골고루 단련할 수 있는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상체로우더와 하체로우더를 하나의 피벗에 지지시킨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하체로우더에 하체를 올리기 위한 무릅안장을 구비한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상체 로우더에 상체를 올리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이용자가 업드린 모양으로 무릅과 손으로 로우더에 올라 상체와 하체 근육을 움직여 허리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는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허리 거동(옆으로 굽히기)의 부하가 조절되는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상체로우더나 하체로우더의 어느 하나를 고정하고 상체나 하체 한쪽 만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는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무릅안장의 위치를 이동 할 수 있는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상체로우더 핸들의 조립각을 조절 할 수 있는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허리 거동시 함께 거동하는 배, 가슴, 어깨 근육을 함께 단련 할 수 있는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하려는것이다.
이 발명은 상체로우더와 하체로우더를 하나의 피벗에 지지시키고, 하체로우더에 하체를 올리기 위한 무릅안장을 설치하고, 상체 로우더에 상체를 올리기 위한 핸들을 설치하였다.
이 발명은 이용자가 업드린 모양으로 손과 무릅을 상기 상체로우더와 하체로우더에 올리고 몸이 옆으로 굽도록 이쪽과 저쪽으로 상체와 하체 근육을 반복하여 움직여 허리 근육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관여되는 근육은 체중을 지탱하는 부분에서 상완이두근, 상완근, 상완삼두근, 대퇴이두근, 대퇴사두근, 장경골인대 등이고,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승모근 등이 관여하며, 몸통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광배근 복직근 등이 관여하고, 몸통을 좌우로 굽혀 거동하기 위하여 흉근, 복직근, 광배근, 늑간근, 외복사근, 둔근 등 무릅 상부의 대부분 전 근육이 관여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은 배, 가슴, 어깨 근육을 균형있게 단련한 수 있으며, 체중을 업드려 지탱하면서 근육 운동을 하므로 운동 밀도가 높아져 운동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몸통 근육 단련구는 실시 예의 도면을 인용하여 설명 하므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 발명 몸통 근육 단련구는 피벗(11)의 저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리(12)의 상부에 설치한 대판(13); 사용자의 하체를 올리기 위한 무릅안장(21)이 구비되고 내측 머리허브(32)를 상기 피벗(11)에 끼워 외측이 좌우로 이동되게 한 하체로우더(31); 사용자의 상체를 올리기 위한 핸들(41)을 구비하고 내측 꼬리허브(52)를 상기 피벗(11)에 끼워 외측이 좌우로 이동되 한 상체로우더(51); 및 상기 피벗(11)의 관부에 두어 상기 머리허브(32)와 상기 꼬리허브(52)의 이탈을 방지하는 허브덮개(61)로 구성하였다.
그리하여 무릅안장(21)에 사용자의 무릅을 올리고 핸들(41)의 양쪽을 손으로 잡아 상체를 핸들(41)에 올리면 업드린 자세로 이용자의 상체와 하체가 상체로우더(51)와 하체로우더(31)에 올려 진다. 상기 두 로우더(51,31)는 하나의 피벗(1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전 체중은 대판(13)위에 집중되고 대판에 집중된 체중의 대부분이 업드린 자세를 지키기 위한 근육에 분배되어 이들의 근육 단련이 운동이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는 피벗(11)을 운동축으로 좌로 굽히기와 우로굽히기 동작이 허용되므로 허리를 굽히는 거동의 힘은 이 거동에 관여되는 근육에 분배되어 이들 근육을 단련하게 된다.
상기 허리를 굽히는 거동에 들어가는 힘은 상기 상체로우더(51) 및 하체로우더(31)와 피벗(11)의 연결부 부하 조절에 의하여 그 크기가 조절되므로 이 거동에 관여된 근육운동 강도는 상기 부하 조절에 선택된다.
상기 부하 조절을 위하여 이 발명은 상기 허브덮개(61)는
머리허브(32) 상부에 둔 디스크(33), 꼬리허브(52) 하부에 둔 디스크(53), 상기 두개 디스크(33,53) 사이에 끼운 마찰파드(36)로 구성하여 접촉 압력을 높이면 마찰력이 커지는 하부 마찰기구(30)와,
꼬리허브(52) 상부에 둔 디스크(54), 디스크(54)의 덮개 디스크(55), 상기 두개 디스크(54,55)의 사이에 끼운 마찰패드(56)로 구성하여 접촉 압력을 높이면 마찰력이 커지는 상부 마찰기구(50)와,
피벗(11)의 원주 상부의 평면부(12), 피벗의 평면부(12)에 상하 이동체로서 중심 구멍을 끼우고 상기 덮개 디스크(55)에 부착된 조절디스크(14), 놉(16) 밑으로 돌출시켜 둥근 끝이 지지홈(18)에 이동 결합 할 수 있는 스프링 돌기(17), 상기 돌기와 부합되어 마찰기구(30)의 마찰 압력을 복수 단계로 조절 할 수 있게 상기 조절 디스크에 원주 트랙을 따라 배열한 지지홈(18), 스크류(14)를 스크류홀(15)에 끼우고 조절디스크(14)를 스크류 조임으로 가압하는 부하조절기(10)로 구성하여 상기 하체로우더(31)와 상체로우더(51) 거동 저항을 조절한다.
상기 스프링 돌기(17)는 자세하게는 끝부분의 볼록한 축과, 축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부하 조절을 위한 기는 놉(16)을 돌려 주므로 상체로우더와 하체로우더의 거동 부하가 조절된다. 부하조절 동작을 살펴보기 위하여 놉(16)을 스크류(14)의 조이는 방향으로 돌린다. 이 조작은 놉(16)이 조절디스크(14)를 가압하고, 기 가압은 스프링 와셔(19)와 머리허브(32)의 접촉 압력을 높이고, 하부마찰기구(30)의 두 디스크(33,53)와 마찰패드(36)의 접촉 압력을 높이고, 동시에 상부마찰기구(50)의 두 디스크(54,55)와 마찰패드(56)의 접촉압력을 높여 상체로우 더(51)와 하체로우더(31)의 거동 저항이 커진다. 상기 놉(16)의 조임을 더 강하게 하면 상기 거동 저항은 더 커지고, 상기 놉(16)의 조입을 풀면 상기 와 반대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거동저항을 감소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은 상기 상체로우더(51)와 하체로우더(51)의 거동저항 조절에 의하여 허리굽히기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의 운동강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놉(16)의 조이기 동작 또는 풀기 동작에서 스프링돌기(17)는 동작전 결합된 지지홈(18)에서 벗어나 동일 트랙 상에 있는 다른 지지홈(18)에 결합되므로 놉(16)의 조작에 의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거동 저항은 놉(16)을 다시 조작하기 까지 지켜진다.
이 발명 상기 무릅안장(21)은 사각 파이프인 하체로우더(31),
사각 파이프에 끼운 사각형 슬라이더(22),
상기 슬라이더 좌우에 지지하고 무릅을 올리기 좋게 만든 무릅홀더(23),
두개의 무릅홀더를 좌우로 벌려 상기 슬라이더에 부착하는 지지체(24)
상기 사각 파이프에 등 간격으로 배열한 지지홈(25)
상기 슬라이더(22)를 상기 지지홈 위치에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게 슬라이더(22)에 설치한 손잡이스크류(26)로 구성하였다.
이 발명 상기 손잡이스크류(26)는 도면에 생략이 되었으나 공구 없이 스크류를 조일 수 있는 손잡이와 손잡이에 부착된 스크류와 이 스크류를 끼울 수 있게 슬라이더(22)설치한 너트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손잡이스크류(26)을 조이면 너트에 조립된 스크류가 상기 지지홈에 끼워져 슬라이더(22)가 하체로우더(31)에 부착된다. 이와 반대로 손잡이스크류(26)를 풀면 상기 슬라이더(22)는 하체로우더(31)에서 분리된다.
사용자는 하체를 하체로우더(31)에 올리기 전에 자기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기 무릅홀더(23)의 위치를 선택한다. 선택 과정은 손잡이스크류(26)를 풀고 슬라이더(22)를 이동시켜 선택된 위치에서 손잡이스크류(26)를 조여 슬라이더(22)를 하체로우더(31)에 고정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하체를 하체로우더(31)에 올리자면 지지체(24)로 슬라이더(22)에 부착된 양쪽의 무릅안장(21)에 사용자의 무릅을 앉히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24)에 일정한 탄성을 부여하면 상기 무릅안장(21)은 쿠션 안장이 되므로 좋은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무릅안장(22)는 하체를 받을 수 있는 강도와 무릅을 보호할 수 있는 소프트한 거죽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상기 무릅안장의 심재로서는 강화플라스틱이나 금속 판을 사용할 수 있고 무릅안장의 거죽재료는 가죽이나 레자 또는 플라스틱 쿠션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 무릅안장은 사용자의 몸에 맞게 이동시킬수 있다.
이 발명 상체를 상체로우더에 실기 위한 상기 핸들(41)은
상체로우더(51)의 끝에 부착한 파이프클립(42),
상기 파이프클립에 가운데를 물려 고정하고 양단 그립부를 사용자가 양손으붙잡고 상체의 체중을 상체 로우더(51)에 실어 주는 그립부재(43),
상기 파이프 클립을 조여묶어 상기 그립부재(43)의 중앙을 상기 파이프클립(42)에 고정하거나 핸들의 조립각을 바꿀 수 있게 상기 파이프 클립에 설치한 손잡이스크류(46)로 구성하였다.
상기 핸들(41)에 상체를 올리자면 상기 무릅안장(22)에 하체를 온린다음 팔을 벌려 양 손으로 핸들(41)를 잡고 대퇴부를 세워 몸을 업드린 자세로 만드는 것이다. 상기 핸들은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핸들(41)의 조립각을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스크류(42)는 공구 없이 스크류를 조일 수 있는 손잡이와 손잡이에 부착된 스크류와 스크류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클립에 부착된 너트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스크류(42)를 풀면 상기 핸들(41)은 상체로우더(51)에서 분리된다. 분리 상태에서 핸들의 조립각을 조절하고 손잡이스크류(42)를 조인다. 이 조임으로 핸들(41)은 다시 상체로우더(51)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이 발명은 핸들의 조립각을 다른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절 할 수 있아 사용자가 체적의 자세로 근육 단련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거동하여 근육운동을 할 수 있으나 하체만을 거동하여 운동을 하거나 상체만을 거동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상체를 고정하고 하체 만을 거동하는 운동을 위하여 상기 피벗(11)을 설치한 대판(13)에 상체로우더 고정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장치는 상체로우더(51)에 설치한 구멍(57),
스크류(58)를 상기 구멍(57)에 끼워 상체 로우더(51)를 상기 대판(13)에 고정할 수 있게 대판(13)에 설치한 손잡이스크류(59),
상기 손잡이스크류(59)를 상기 대판(13)에 지지하는 지지체(60),
상기 스크류(59)를 끼우기 위하여 지지체(60)에 설치한 너트(58a)로 구성하 였다.
그리하여 손잡이스크류(59)를 조작하여 스크류(58)을 전진시키면 스크류(58)가 상기 구멍(57)에 끼워져 상기 상체로우더(51)는 상기 대판(13)에 묶이게 된다. 이때는 상체를 고정하고 하체만을 거동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발명은 하체를 고정하고 상체 만을 거동하는 운동을 위하여 상기 피벗(11)을 설치한 대판(13)에 하체로우더 고정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장치는 하체로우더(51)에 설치한 구멍(37),
스크류(38)를 상기 구멍(37)에 끼워 하체 로우더(31)를 상기 대판(13)에 고정할 수 있게 대판(13)에 설치한 손잡이스크류(39),
상기 손잡이스크류(39)를 상기 대판(13)에 지지하는 지지체(40)와,
상기 지지체(40)에 설치하여 스크류(38)를 끼우는 너트(38a)로 구성 하였다.
그리하여 손잡이스크류(39)를 조작하여 스크류(38)을 전진시키면 스크류(38)가 상기 구멍(37)에 끼워져 상기 하체로우더(31)는 상기 대판(13)에 묶이게 된다. 이때는 하체를 고정하고 상체만을 거동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은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거동하여 근육단련 운동을 할 수 있고 상체나 하체 한쪽만을 거동하여 운동을 할 수 있어 신체의 일부을 움직일 수 없거나 신체의 근육 발달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일부 거동에 의한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은 몸통 곧 허리 배 가슴 어깨의 근육을 골고루 단련할 수 있고, 상체로우더와 하체로우더를 하나의 피벗에 지지시키고, 하체로우더에 하체를 올리기 위한 무릅안장이 구비되고, 상체 로우더에 상체를 올리기 위한 핸들이 구비되고, 이용자가 업드린 모양으로 무릅과 손으로 로우더에 올라 상체와 하체 근육을 움직여 허리 근육 운동을 할 수 있고, 허리 거동의 부하가 조절되고, 상체로우더나 하체로우더의 어느 하나를 고정하고 상체나 하체 한쪽 만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고, 무릅안장의 위치를 이동 할 수 있고, 상체로우더 핸들의 조립각을 조절 할 수 있고, 허리 거동시 함께 거동하는 배, 가슴, 어깨 근육을 함께 단련 할 수 있는 몸통 근육 단련구를 제공 한다.

Claims (5)

  1. 피벗(11)의 저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리(12)의 상부에 설치한 대판(13),
    사용자의 하체를 올리기 위한 무릅안장(21)이 구비되고 내측 머리허브(32)를 상기 피벗(11)에 끼워 외측이 좌우로 이동되게 한 하체로우더(31),
    사용자의 상체를 올리기 위한 핸들(41)을 구비하고 내측 꼬리허브(52)를 상기 피벗(11)에 끼워 외측이 좌우로 이동되 한 상체로우더(51),
    및 상기 피벗(11)의 관부에 두어 상기 머리허브(32)와 상기 꼬리허브(52)의 이탈을 방지하는 허브덮개(61)로 된 몸통 근육 단련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덮개(61)는
    머리허브(32) 상부에 둔 디스크(33), 꼬리허브(52) 하부에 둔 디스크(53), 상기 두개 디스크(33,53) 사이에 끼운 마찰파드(36)로 구성하여 접촉 압력을 높이면 마찰력이 커지는 하부 마찰기구(30),
    꼬리허브(52) 상부에 둔 디스크(54), 디스크(54)의 덮개 디스크(55), 상기 두개 디스크(54,55)의 사이에 끼운 마찰패드(56)로 구성하여 접촉 압력을 높이면 마찰력이 커지는 상부 마찰기구(50),
    피벗(11)의 원주 상부의 평면부(12), 피벗의 평면부(12)에 상하 이동체로서 중심 구멍을 끼운 조절디스크(14), 놉(16) 밑으로 돌출시켜 둥근 끝이 지지홈(18) 에 이동 결합 할 수 있는 스프링 돌기(17), 상기 돌기와 부합되어 마찰기구(30)의 마찰 압력을 복수 단계로 조절 할 수 있게 상기 조절 디스크에 원주 트랙을 따라 배열한 지지홈(18), 스크류(14)를 스크류홀(15)에 끼우고 조절디스크(14)를 스크류 조임으로 가압하는 부하조절기(10)로 구성하여
    상기 하체로우더(31)와 상체로우더(51)의 거동 저항을 조절하는 몸통 근육 단련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릅안장(21)은
    사각 파이프인 하체로우더(31),
    사각 파이프에 끼운 사각형 슬라이더(22),
    상기 슬라이더 좌우에 지지하고 무릅을 올리기 좋게 만든 무릅홀더(23),
    두개의 무릅홀더를 좌우로 벌려 상기 슬라이더에 부착하는 지지체(24)
    상기 사각 파이프에 등 간격으로 배열한 지지홈(25)
    상기 슬라이더(22)를 상기 지지홈 위치에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게 슬라이더(22)에 설치한 손잡이스크류(26)를 포함하여 구성한 몸통 근육 단련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1)을
    상체로우더(51)의 끝에 부착한 파이프클립(42),
    상기 파이프클립에 가운데를 물려 고정하고 양단 그립부를 사용자가 양손으붙잡고 상체의 체중을 상체 로우더(51)에 실어 주는 그립부재(43),
    상기 파이프 클립을 조여묶어 상기 그립부재(43)의 중앙을 상기 파이프클립(42)에 고정하거나 상기 핸들의 조립각을 바꿀 수 있게 상기 파이프 클립에 설치한 손잡이스크류(46)를 포함하여 구성한 몸통 근육 단련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11)을 설치한 대판(13)은
    상체로우더(51)에 설치한 구멍(57),
    스크류(58)를 상기 구멍(57)에 끼워 상체 로우더(51)을 상기 대판(13)에 고정할 수 있게 대판(13)에 설치한 손잡이스크류(59),
    상기 손잡이스크류(59)를 상기 대판(13)에 지지하는 지지체(60) 및.
    하체로우더(51)에 설치한 구멍(37),
    스크류(38)를 상기 구멍(37)에 끼워 하체 로우더(31)를 상기 대판(13)에 고정할 수 있게 대판(13)에 설치한 손잡이스크류(39),
    상기 손잡이스크류(39)를 상기 대판(13)에 지지하는 지지체(40)를
    포함하여 구성한 몸통 근육 단련구.
KR1020070061883A 2007-06-22 2007-06-22 몸통 근육 단련구 KR10082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883A KR100828198B1 (ko) 2007-06-22 2007-06-22 몸통 근육 단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883A KR100828198B1 (ko) 2007-06-22 2007-06-22 몸통 근육 단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198B1 true KR100828198B1 (ko) 2008-05-08

Family

ID=3964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883A KR100828198B1 (ko) 2007-06-22 2007-06-22 몸통 근육 단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1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762B1 (ko) * 2007-10-16 2010-01-26 강경모 체형관리를 위한 부위별 집중 운동기구
EP2446937A1 (en) * 2008-09-08 2012-05-02 Robson Splane Abdominal exercise device
KR101170439B1 (ko) 2010-02-19 2012-08-07 (주)디자인파크개발 마찰패드가 구비된 회전력 감쇠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465A (en) 1986-03-25 1989-07-11 Superspine, Inc. Method for manipulation of a person's truncal muscles and spine
KR200317032Y1 (ko) 1998-09-26 2003-09-19 정태근 허리 및 복부 운동기
KR200349879Y1 (ko) 2003-07-15 2004-05-10 임용균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465A (en) 1986-03-25 1989-07-11 Superspine, Inc. Method for manipulation of a person's truncal muscles and spine
KR200317032Y1 (ko) 1998-09-26 2003-09-19 정태근 허리 및 복부 운동기
KR200349879Y1 (ko) 2003-07-15 2004-05-10 임용균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762B1 (ko) * 2007-10-16 2010-01-26 강경모 체형관리를 위한 부위별 집중 운동기구
EP2446937A1 (en) * 2008-09-08 2012-05-02 Robson Splane Abdominal exercise device
KR101170439B1 (ko) 2010-02-19 2012-08-07 (주)디자인파크개발 마찰패드가 구비된 회전력 감쇠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hm et al. The role of instability with resistance training
US6666801B1 (en) Sports specific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7951054B2 (e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KR101445135B1 (ko) 근육 운동 장치
US8202205B2 (en) Omni-directional exercise device
US20050107226A1 (en) Encased resistance cabl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20130225378A1 (en) Leg Stretch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Stretching All Stride Muscles And Method Of Using
US8529412B2 (en) Omni-directional exercise device
US20120264576A1 (en) Exercise brace
CN204447147U (zh) 体育教学用蹬伸锻炼器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US20160236025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equipment
US5169362A (en) Strength-aerobic exercise method
Leontijevic et al. Selective effects of weight and inertia on maximum lifting
US10406396B2 (en) Double ended exercise device
US4468026A (en) Leg exercise apparatus with elevated stand and lower line grinding member
KR100828198B1 (ko) 몸통 근육 단련구
US5156581A (en) Finger conditioning device
KR200485362Y1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US4804180A (en) KTB exerciser
US11660488B2 (en) Spring exercise system and method of exercising
CN204246754U (zh) 多功能上肢锻炼器
CN102553165A (zh) 脚踏弹性健肌器
CN202526828U (zh) 卧式曲腿杠铃架
UA121370C2 (uk) Тренажер-рукохв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