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879Y1 -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879Y1
KR200349879Y1 KR20-2003-0023001U KR20030023001U KR200349879Y1 KR 200349879 Y1 KR200349879 Y1 KR 200349879Y1 KR 20030023001 U KR20030023001 U KR 20030023001U KR 200349879 Y1 KR200349879 Y1 KR 200349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plate
upper plate
lower plate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균
Original Assignee
임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균 filed Critical 임용균
Priority to KR20-2003-0023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2Abdomen moving torso and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서 제일 운동량이 적은 복부와 옆구리 그리고 허리에 부담을 적게 주고 운동하게 하는 운동기구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은 힘과 편안한 방법으로 복부운동 옆구리와 허리의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많은 힘을 드리는 운동이 아니므로 지속적으로 꾸준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For Abdomem Haunch Motion Machine}
본 고안은 인체에서 제일 운동량이 적은 복부와 옆구리 그리고 허리에 부담을 적게 주고 또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운동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본 고안은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기구로써 특히 비만 한 분이나 허리 근력이 약한 사람 그리고 연세가 많으신 분들이 쉽게 운동 할 수 있는 운동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살이 찌면 빼기 어려운 부분중위 하나가 복부와 옆구리인데 한번 이 부분에 살이 찌면 살을 빼기 위한 운동이 쉽지 않다. 윗몸 일으키키 걷기, 뛰기, 수영 등 많은 운동 방법이 있지만 그런 운동으로 복부와 허리의 살을 빼기에는 많은 어려움과 노력이 필요로 하게 된다. 대부분의 운동들이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하기가 어렵고 또한 운동 후 많은 에너지 소모로 오히려 과식하기가 쉽고 또한 그것을 참기도 쉽지 않다. 또한 노약자들의 경우 그런 운동들을 권하기도 어려워진다.
본 고안의 경우 허리를 중심으로 상체와 하체로 나누어 두 개의 중심 축을 만들어 줌으로써 상체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 움직임이 엉덩이에 전달되고 그 움직임으로 인해 하체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수축과 이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체중이 양쪽의 두 축에 의해 지탱되기 때문에 움직임이 쉽고, 누워서 움직이기 때문에 허리에 부담이 적어지고 또한 무릎 아래에 무릎 바침 베개를 고임으로 허리의 부담을 더욱 줄이고 운동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복부와 옆구리 허리의 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고안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복부와 옆구리 허리 부분의 운동을 많은 힘을 들여서 운동하는 근력 운동이 아니라 적은 힘으로 지속적으로 지구력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복부와 허리 옆구리 부분의 운동을 원하는 사람이 아주 쉽게 운동 할 수 있도록 누울수 있는 상판(10)과 하판(20)을 제공하며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운동 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회전축 즉 상판 회전축(11)과 하판 회전축(21)을 마련하여 적은 힘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도면 1 은 본 고안에 따른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기구 사시도
도면 2 는 본 고안 위에 실제 사람이 운동을 위해 올라갔을 때의 측면도
도면 3 은 본 고안 위에 실제 사람이 운동을 위해 올라갔을 때의 위에서 본 예시도도면 4 의 가와 나는 본 고안 위에 실제 사람이 올라가서 운동 할 때의 위에서 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10 : 상판 10a : 상판의 등허리 부분 10b : 상판의 머리 부분11 : 상판 회전축 12 : 베어링13 : 상판 받침대 14 : 결합볼트20 : 하판 20a : 하판의 엉덩이부분 20b : 하판의 다리부분21 : 하판 회전축 22 : 베어링23 : 하판 받침대 24 : 결합볼트30 : 머리 베개 31 : 무릎 받침베개100 : 상판의 회전 중심점 200 : 하판의 회전 중심점
본 고안에 따르면 크게 세 개의 부분으로 프레임(1)부분과 상판(10), 베어링(12), 상판 회전축(11)부분 그리고 하판(20), 베어링(22), 하판 회전축(21)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물위에 실제로 사람이 운동을 위해서 올라갔을 때의 옆에서 본 예시도 이다. 도 1 과 도 2 를 보면 프레임(1) 부분에 수직으로 힘을 받는 베어링(12),(22)을 결합볼트(14),(24)를 사용하여 고정하였으며 이두개의 베어링 (12),(22)에 상판 회전축(11)과 하판 회전축(21)을 연결하여 상판(10)과 하판(20)을 고정하고 상판받침대(13)과 하판받침대(23)를 보강하여 상판(10)과 하판(20)을 더욱 튼튼하게 고정하였다. 상판받침대(13)는 상판회전축(11)과 결합볼트(14)에 의해 고정되고 하판받침대(23)는 하판회전축(21)과 결합볼트(24)에 의해서 고정된다.상판(10)은 인체의 상반신 즉 허리 위 부분이 올라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 상판(10)에 상판 회전축을(11)을 연결하여 상판(10)의 회전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판(20)은 인체의 하반신 즉 엉덩이 다리 부분이 올라갈 공간을 제공하며 이 하판(20)에 하판 회전축(21)을 연결하여 하판(20)의 회전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상판(10)과 하판(20)은 더 세밀하게 나누면 도 1 의 상판 회전중심점(100)을 기준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실제 사람이 누웠을 때 머리부분이 닿는 곳인 상판 머리부분(10b)과 인체의 등허리 와 허리 중간부분이 닿는 상판의 등허리부분(10a)와 하판 회전중심점(200)을 기준으로 인체의 엉덩이 부분이 닿는 하판 엉덩이부분(20a) 과 인체의 다리부분이 닿는 하판 다리부분(20b)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운동의 이해를 위해서 필요하다.도 4 에서 보듯이 실제로 사람이 누웠을 경우인 도-4-가-a,도-4-가-c 그리고 도-4-나-a, 도-4-나-c를 대신해서 사람이 누운 것으로 가정하고 상판(10)과 하판(20)과 상판의 회전중심점(100)과 하판의 회전중심점(200)을 표시한 도 즉 도 4-가-b, 4-가-d 그리고 도-4-나-b, 도-4-나-d를 통해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 하고자 한다. 도-4-가-d와 같이 상판의 회전중심점(100)위쪽인 상판의 머리부분(10b)을 좌측으로 회전하면 상판 회전중심점(100) 아래 부분인 상판 등허리 부분(10a)이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인체의 특성상 허리와 엉덩이 부분이 동시에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하판의 엉덩이부분(20a)부분이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은 하판의 회전중심점(200)을 통하여 하판의 다리부분(20a)부분을 좌측으로 움직이게 한다. 결과적으로 사람의 허리 엉덩이부분이 우측으로 머리 다리부분은 좌측으로 움직인 모양이 되며 이때 허리 배 옆구리의 근육들이 좌측은 수축되고 우측은 이완하게 된다. 반대의 경우는 도-4-나-d와 같은 모양이 되는데 허리 엉덩이부분은 좌측으로 머리 다리부분은 우측으로 움직인 모양이 되고 허리 배 옆구리 근육들은 좌측은 이완 우측은 수축하게 되며 이와 같은 움직임은 설명은 단계적으로 했지만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도 1 에서 보는 봐와 같이 두 개의 회전축(11), (21)이 있으므로 해서 상기와 같은 움직임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 두개의 회전축(11), (21)은 본 고안의 목적중 하나인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의 허리부분을 기준으로 나눈 상판(10)과 하판(20)에 가중되는 사람의 무게를 수직으로 힘을 받으면서 회전하는 두 개의 베어링(12), (22)과 회전축(11), (21)을 사용해서 상판(10)과 하판(20)이 회전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들지 않게 된다. 상당히 무거운 물체라도 바닥에 닿은 어느 한 좁은 부분을 기준으로 중심이 잡혀 있으면 그 물체를 회전시키는 데는 그리 많은 힘이 들지 않는 이유와 같다.도 2 를 보면 상판(10)에는 머리 베개(30)가 하판(20)에는 무릎 받침 베개(31)가 각각 놓여 있는데 이 두 개의 베개는 실제로 사람이 본 고안물위에 올라가서 운동 할 때 더욱 편안하게 운동하기 위해서 머리베개(30)와 무릎 받침베개(31)를 사용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누워서 허리와 배 그리고 옆구리 부분의 운동을 할 수 있고 도 1에 있는 두 개의 베어링(12), (22)과 두 개의 회전축(11), (21)에 의해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운동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약자들도 쉽게 운동 할 수 있게 하며 근력운동이 아닌 지구력 운동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허리와 배 옆구리 부분의 운동을 할 수 가 있다.

Claims (1)

  1. 두 개의 판으로 나누어진 상판(10)과 하판(20)과 이 두 판을 회전축(11), (21)과 수직으로 힘을 받으면서 회전하는 베어링(12), (22)과 더불어 상판(10)과 하판(20)을 지지해주는 상판받침대(13)와 하판받침대(23)로 이루어진 허리와 배를 위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판(10)과 하판(20)을 사람이 누울 수 있도록 구성하되 허리를 기준으로 상판(10)은 인체의 상반신이 하판(20)은 인체의 하반신이 누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판(10)을 상판 회전축(11)과 베어링(12)으로 연결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하판(20)을 하판 회전축(21)과 베어링(22)로 연결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판(10)이나 하판(20)중 한쪽만의 회전으로 하판(20)이나 상판(10)의 회전이 동시에 발생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 허리와 배를 위한 운동기구
KR20-2003-0023001U 2003-07-15 2003-07-15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KR200349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01U KR200349879Y1 (ko) 2003-07-15 2003-07-15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01U KR200349879Y1 (ko) 2003-07-15 2003-07-15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879Y1 true KR200349879Y1 (ko) 2004-05-10

Family

ID=4942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01U KR200349879Y1 (ko) 2003-07-15 2003-07-15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8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98B1 (ko) 2007-06-22 2008-05-08 양가섭 몸통 근육 단련구
WO2018217028A1 (ko) * 2017-05-26 2018-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98B1 (ko) 2007-06-22 2008-05-08 양가섭 몸통 근육 단련구
WO2018217028A1 (ko) * 2017-05-26 2018-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KR20180129444A (ko) * 2017-05-26 2018-12-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KR102034891B1 (ko) * 2017-05-26 2019-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US11744761B2 (en) 2017-05-26 2023-09-05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stabil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740A (en) Exercise machine for simulating swimming motions
US5318494A (en) Elastically resilient exercise device
Cozen Use of Pilates in foot and ankle rehabilitation
WO1987005816A1 (en) Device permitting a user to simulate crawling motions to improve movement of the truncal muscles and spine
Mohamed Effect of TRX suspension training as a prevention program to avoid the shoulder pain for swimmers.
WO2005118078A1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US4886050A (en) Device permitting a user to simulate crawling motions to improve movement of the truncal muscles and spine
US8425381B2 (en) Exerciser and rehabilitative device
KR200349879Y1 (ko) 복부와 허리를 위한 운동 기구
KR100869178B1 (ko)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US11766587B1 (en) Versatile board exercise apparatus
CN212880088U (zh) 多功能按摩健身器
US20030130097A1 (en) Quadricep isolation exercise apparatus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2008237785A5 (ko)
JP2003116940A (ja) 足筋肉関節トレーニング装置
KR102079425B1 (ko) 하지 혈액 순환 기구
CN106563251A (zh) 一种多功能康复健身器
JP3071378B2 (ja) 健康用器具
RU2802147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верхних и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и туловища ВЕЛОСИПЕДИСТ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RU2798356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верх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и туловища РУЛЕВОЙ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JP3221504U (ja) フィットネス装置
JPS6025249Y2 (ja) 脚マツサ−ジ機
CN215307963U (zh) 一种用于神经康复的下肢训练装置
JP2011156311A (ja) 足(足首・膝関節)ストレッチ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