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917U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917U
KR19990004917U KR2019970018174U KR19970018174U KR19990004917U KR 19990004917 U KR19990004917 U KR 19990004917U KR 2019970018174 U KR2019970018174 U KR 2019970018174U KR 19970018174 U KR19970018174 U KR 19970018174U KR 19990004917 U KR19990004917 U KR 199900049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frame
exercise
arm
plug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3537Y1 (ko
Inventor
린이션
Original Assignee
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이션 filed Critical 린이션
Priority to KR2019970018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53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9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with springs acting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운동기구와 관련된 것으로, 하나의 U자형틀, 하나의 가로대, 한 쌍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 한 쌍의 각도위치조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로대는 U자형틀의 터진 입구 부근에 가로로 설치하여 D자형의 형태를 나타낸다. 팔 흔들기 운동기구는 핸들부과 탄력구조부를 포함하여 구부렸을 때의 힘을 받아낸다. U자형틀의 터진 입구 양끝단과 한 쌍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는 각도위치조정기구로 연결되며, 팔 흔들기 운동기구와 U자형틀 사이의 각도 크기를 즉시 조정할 수 있다. U자형틀과 가로대를 인체의 한 부위에 고정시키고, 팔 흔들기 운동기구의 핸들 부분에 힘을 가해 구부렸다 폈다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근육운동을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외에, U자형틀과 가로대를 인체의 서로 다른 부위에 고정시켜 서로 다른 운동의 효과를 달성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사용방식은 극히 다양하고 또 조작이 간단하고 원가가 저렴한 것이 좋은 점이라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
본 고안은 다기능 운동기구와 관련된 것으로 매우 간단한 운동기구로 윗몸일으키기·노젓기 운동·복부 수축 운동·페달 밟기·상박 근육 이완 운동 및 흉부 운동 등을 나누어 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서로 다른 헬스기능을 가지며 실용적으로 설계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실외에서 운동할 수 있는 장소가 상당히 부족한 이유로 사람들이 선택하는 운동장소가 갈수록 실내로 옮겨지는 추세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실내에서 운동할 수 있는 헬스기구가 생겨나기 시작했고, 헬스기구의 사용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매우 깊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들은 건강운동을 할 때 헬스기구를 사용하며 헬스기구의 실용성은 더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일반 전통식 실내용 헬스기구에 관해 논하자면, 헬스방내에 있는 윗몸일으키기 헬스기구·노젓기 헬스기구·복부 수축 운동기구 혹은 흉부 운동 헬스기구 등을 막론하고, 대체로 체적이 크고 또 단지 단일 기능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운동방식도 너무 단조로운 결점을 안고 있다. 그래서 위에 설명한 운동기구들이 실제로 일반 가정의 가족원들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고, 또 체적이 크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이 넓지 않은 일반 가정주택에 이러한 대형 운동기구를 놓을 수가 없다. 그래서 위에 상술한 대형 운동기구들은 일반 가정의 가족원으로부터 호감을 얻을 수가 없고, 더 나아가 구입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하기 때문에, 위에 상술한 전통식 대형 운동기구의 실용성이 부족하여 개선의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위에 상술한 대형 운동기구 구성의 결점에 대하여 심도있게 구상하고, 개선의 방법을 적극적으로 연구하여 장기간의 노력과 실험을 거쳐 개발하고 설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고 구성이 간단하고 튼튼하고 정교하며 보관하기가 쉽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윗몸일으키기·노젓기 운동·복부 수축 운동·페달 밟기 및 흉부 운동 등 여러 종류의 서로 다른 기능의 운동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사용 방식도 극히 다양하고 더욱이 조작이 간단하고 원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여 인체의 팔·복부 등 및 다리 근육의 운동을 촉진시키고,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U자형틀, 하나의 가로대, 한 쌍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 한 쌍의 각도위치조정기구. 가로대는 U자형틀의 터진 입구부근에 가로로 설치하여 U자형틀과 D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팔 흔들기 운동기구는 탄력구조부와 핸들부를 포함하고, 탄력구조부는 구부렸을 때의 힘을 받아낸다. 한 쌍의 각도위치조정기구는 각각 U자형틀의 터진 입구 양끝에 설치하여 한 쌍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와 각각 연결되고, 팔 흔들기 운동기구와 U자형틀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 크기를 즉시 조정할 수 있다. U자형틀과 가로대를 인체의 한 부위에 고정을 시키고, 팔운동기구의 핸들부분에 힘을 가해 구부렸다 폈다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근육운동을 촉진하는데 목표가 있다.
또한, 팔 흔들기 운동기구 한 쌍의 핸들 부분은 개별적으로 힘을 가해 움직이는 것 이외에도 두 개의 핸들을 가로로 서로 연결하여 하나로 만들면 U자형 구조가 되어 팔 흔들기 운동기구로 하여금 각각 탄력구조부를 갖추게 하여 핸들에 힘을 가하면 동시에 굽힘의 힘을 받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여, 각도로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한 쌍의 위치고정체·하나의 스프링·T자형 핀 및 편심캠(eccentric cam). 두 개의 위치고정체는 팔 흔들기 운동기구와 U자형틀이 서로 연결된 곳의 한 끝에 각각 설치하고, 두 개의 위치고정체 사이에는 오목하고 볼록한 톱니를 서로 맞물리도록 대응되게 관통구멍에 각각 설치한다. 스프링은 두 개의 위치고정체의 관통구멍 안에 설치하고, T자형 핀은 두 개의 위치고정체의 관통구멍 안의 스프링 중앙을 통과한 후, 너트로 T자형 핀의 끝을 잠가 고정시키면, 두 개의 위치고정체가 결합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편심캠은 T자형 핀의 T자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편심캠의 움직임에 따라서, 두 개의 위치고정체가 서로를 밀어내며 맞물려 있던 오목하고 볼록한 톱니를 서로 떨어지는 상태로 만들며, 두 개의 위치고정체가 서로 회전을 하면서 팔 흔들기 운동기구와 U자형틀 사이에 형성된 각을 변하게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다기능 운동기구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U자형틀·하나의 가로대·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 및 두 개의 각도위치조정기구. 가로대 양 끝에 조정식의 쓰리웨이 연결기구를 설치하여 U자형틀에 연결되도록 하고, U자형틀 위에는 다수의 조정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쓰리웨이 연결기구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관통구멍이 U자형틀 위에 설치되어 있고, 바깥 변이 나사산으로 되어 있는 중앙 구멍이 하나 있다. 중앙구멍 안에는 순서대로 하나의 플러그·플러그 위에 덮어 씌우는 하나의 스프링·하나의 너트가 있어 중앙구멍 바깥 변에 있는 나사산에 결합되게 되어 플러그 및 스프링이 중앙구멍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플러그의 끝은 너트의 구멍 밖으로 돌출되어 나와 플러그 머리 부분과 결합하게 된다. 스프링의 탄력으로 정상 상태의 플러그에 변화를 주어 U자형틀의 어느 한 구멍 안으로 눌려 들어가게 되고, 이렇게 해서 가로대와 U자형틀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러그 머리 부분을 위로 잡아 당기면, 플러그가 끌어올려지면서 조정구멍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고, 가로대가 U자형틀의 틀 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가로대가 U자형틀 위의 관계되는 위치에 조정이 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탄력(신축)구조부의 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각도위치조정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고안의 각도위치조정기구의 평면도 및 그 동작상태도이다.
제 6 도는 본 고안의 쓰리웨이(three-way) 연결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7 도는 본 고안의 윗몸일으키기 운동의 실시도이다.
제 8 도는 본 고안의 노젓기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제 9 도는 본 고안의 복부 수축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제 10 도는 본 고안의 흉부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제 11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두 개의 핸들부분이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 12 도는 본 고안의 상박 근육 이완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제 13 도는 본 고안의 페달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제 13A 도 내지 제 13D 도는 본 고안의 서로 다른 핸들조형의 여러가지 실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U자형틀 11,21,41 : 보호커버
12,31 : 위치고정체 13,32 : 톱니
14,402 : 관통구멍 101 : 조정구멍
20 : 팔 흔들기 운동기구 22 : 탄력(신축)구조부
23 : 핸들부 24 : 안전밴드
30 : 각도위치조정기구 33,405 : 스프링
34 : 가로구멍 35 : 홈부
36 : 핀 37,406 : 너트
38 : 편심캠 40 : 가로대
401 : 연결기구 403 : 중앙구멍
404 : 플러그 407 : 플러그 머리
408 : 시일(seal)
이하, 본 고안의 특징 및 실질적인 효능, 내용등을 더욱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기능 운동기구 구조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총체구조이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하나로 윗몸일으키기·노젓기 운동·복부 수축 운동·페달 밟기·상박 근육 이완 운동 및 흉부 운동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헬스기구이며, 하나의 U자형틀(10), 하나의 가로대(40), 한 쌍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 및 한 쌍의 각도위치조정기구(3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도에서와 같이 가로대(40)는 가로로 U자형틀(10)의 터진 입구부근에 설치하여, U자형틀(10)과 함께 D형의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한 쌍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는 한 개의 탄력구조부(22) 및 하나의 핸들부(23)를 각각 포함하며, 탄력구조부(22)는 구부린 후에 본래 가지고 있는 탄성의 힘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고, 핸들부(23)는 사용자가 탄력구조부(22)에 힘을 가할 때 꼭 잡고서 힘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다.
각도위치조정기구(30)는 U자형틀(10)의 터진 입구 양끝에 각각 설치하고,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와 각각 연결되며, 그것은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와 U자형틀(10)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각도 크기로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위치를 조정한다.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는 가로로 서로 연결시켜 하나로 만들면 한 개의 U자형 구조가 형성되고, 하나의 핸들부(23)에 힘을 가해 운동을 하면,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에 각각 갖추어져 있는 탄력(신축)구조부(22)가 동시에 움직인다.
U자형틀(10)과 가로대(40)를 인체의 한 부위에 고정시켜 놓고,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에 힘을 가하면, 각도위치조정기구(30)에 의하여 힘을 받는 추축점이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탄력구조부(22)에 구부렸다 폈다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근육 운동을 촉진시키는 목적에 도달하게 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탄력구조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221)은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탄력구조부(22)에 있는 스프링 구조 부분이고, 이것은 탄력구조부(22)에 적당한 굽히는 탄성을 갖게 한다. 탄력구조부(22)의 바깥부분은 보호커버(222)(스폰지(foam)층 혹은 고무층 구조로 되어 있다)가 둘러싸고 있는데, 이것은 본 고안이 사용상의 안전성 및 외관상의 미관을 더욱 갖추도록 한 것이다.
두개의 각도위치조정기구(30)는 U자형틀(10)을 터진 입구 양끝에 각각 설치하여,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에 각각 연결 되는데, 그것은 두 개의 위치고정체(12,31), 하나의 스프링(33), 하나의 T자형 핀(36), 하나의 너트(37) 및 하나의 편심캠(38)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위치고정체(12,31)는 U자형틀(10)과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서로 연결되는 곳의 대응되는 한 끝에 각각 설치하고, 두 개의 위치고정체(12,31) 사이에 서로 맞추어 질 수 있도록 오목하고 볼록한 톱니(13,32)를 각각 설치하고, 또 대응되어 통과되는 관통구멍(14)을 설치한다. 두 개의 위치고정체(12,31)의 중앙을 관통하면 가로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위치고정체(31)의 바깥 표면에는 홈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3)은 두 개의 위치고정체(12,31)의 관통구멍(14)안에 장치한다. 가로구멍(34), 관통구멍(14), 스프링(33) 내부에 T자형 핀(36)이 통과하도록 설치하고, 한 개의 너트(37)로 T자형 핀(36)의 끝부분을 꼭 잠가 고정시켜준다. 그 결과 너트(37)는 두 개의 위치고정체(12,31)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T자형 핀(36)의 T자형 끝이 편심캠(38)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편심캠(38)이 움직이면(제 5 도 참조), 서로 상대되어 있는 두 개의 위치고정체(12,31)가 서로를 밀어내어 떨어지게 한다. 이 때, 두 개의 위치고정체(12,31)가 서로 회전을 하는데, 두 개의 위치고정체가 적당한 각도까지 회전한 후, 다시 편심캠(38)이 아래쪽으로 움직이면(제 4 도 참조), 오목하고 볼록한 톱니(13,32)가 서로 적당하게 맞물리게 되며,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와 U자형틀(10)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를 고정시켜 준다. 이 조정에 의해서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와 U자형틀(10)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를 실제의 요구에 맞게 즉시 맞추어 줄 수 있다.
제 6 도를 참고하여 보면, 가로대(40)의 양끝이 U자형틀(10)과 연결되어 있고, 조정식 쓰리웨이 연결기구(401)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U자형틀(10) 위에 다수의 조정구멍(101)이 있다. 이 쓰리웨이 연결기구(401)는, 하나의 관통구멍(402)이 구비되어 있고, 이것은 U자형틀(10)이 통과하는데 사용되고, 바깥 측에 나사산이 있는 하나의 중앙구멍(403)이 구비되어 있다. 중앙구멍(403) 안에는 다음과 같은 것을 순서대로 장치한다. 플러그(404)가 하나 있는데, 스프링(405)을 플러그(404) 위에 덮어 씌우고, 너트(406)를 중앙구멍(403) 바깥변에 있는 나사산에 잠가 맞추고, 플러그(404) 및 스프링(405)을 중앙구멍(403) 안에 장치한다. 또한, 플러그(404)의 끝은 너트(406)의 구멍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 플러그 머리(407) 부분과 결합되게 한다. 스프링(405)의 탄력을 이용해 플러그(404)의 아래 끝에 변화를 주어, U자형틀(10)의 어느 하나의 조정구멍(101) 안으로 압력에 의해 들어가게 되어, 가로대(40)가 U자형틀(10) 위에 고정이 된다. 플러그 머리(407) 부분을 잡아당기면 플러그(404)가 위로 끌어올려져 조정구멍(101)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면, 가로대(40)가 U자형틀(10)의 틀을 따라 움직여 플러그(404) 끝까지 내려가 또 다른 조정구멍(101) 속으로 끼워들어가게 되는데, 이것은 가로대(40)를 U자형틀(10) 위의 관계되는 위치에 위치 조정을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외에, 쓰리웨이 연결기구(401)의 관통구멍(402) 안의 변에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시일(seal)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것은 가로대(40) 양끝과 U자형틀(10) 사이의 접촉·힘을 받았을 때의 충격을 완화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또 가로대(40)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기능이 있다.
다시 제 1 도를 보면,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U자형틀(10) 및 가로대(40) 위에 보호커버(21,11,41)(스폰지 혹은 고무 구조로 만들어졌다)를 각각 설치하였다. 가로대(40) 위에 설치한 보호커버(41)는 우리 인체의 등의 곡선에 근거하여 설계되었고 인체 공학의 활형에 부합되도록 나타내었다. 그러나 보호커버(41) 역시 보호커버(21,11)와 같이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제조 자본을 줄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에는 안전밴드(24)를 각각 추가 설치하여, 사용자가 운동할 때 팔목이나 발목을 안전밴드(24) 안에 끼워넣어 운동할 수 있어 조작시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시 제 7 도를 보면, 이것은 윗몸일으키기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U자형틀(10)과 가로대(40)를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U자형틀(10)과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 사이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위치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90˚각도로 둔다. 그 다음 사용자는 U자형틀(10)과 가로대(40) 위에 반듯하게 누워, 등·허벅지 혹은 엉덩이·발부분이 U자형틀(10) 및 가로대(40)에 무게를 가하여 고정시켜 주어 위치를 조정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팔목을 안전밴드(24) 안에 끼워 넣은 후, 사용자는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를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때 탄력구조부(22)가 적당한 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잡아 당긴 후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어 윗몸일으키기 운동 효과를 더욱 증진시킨다.
제 8 도를 보면, 이것은 노젓기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사용자가 가로대(40)를 U자형틀(10) 위의 적당한 자리에 위치를 조정한 후, 사용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을 U자형틀(10)과 가로대(40)에 둔다. 그리고 U자형틀(10)과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 사이의 각을 비교적 큰 각도로 조정한다. 예를 들면, 150˚∼ 180˚각도로 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의 양 손이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를 꼭잡고 앞으로 밀었다가 뒤로 잡아당기면, 노를 젓는 것과 같은 운동이 된다.
제 9 도를 보면, 이것은 복부 수축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U자형틀(10)과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 사이의 각을 뾰족하고 날카로운 각 모양으로 조정하고, 가로대(40)를 U자형틀(10)의 적당한 자리에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몸이 가로대(40)와 U자형틀(10) 사이로 들어가 자리를 잡도록 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손으로 핸들부(23)를 꼭 잡고 아래를 향해 힘을 가한다. 그러면 U자형틀(10)의 보호커버(11)가 복부를 누르면서 복부 근육을 단련시켜주고, 손 부위의 자세 역시 또 다른 운동 효과를 만들어 주게 된다.
제 10 도를 보면, 이것은 흉부 운동시의 실시도이다.
U자형틀(10)과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 사이의 각을 둔각의 상태로 만들고, 사용자는 반듯하게 누워 U자형틀(10)과 가로대(40)를 꼭 눌러주며 고정을 시키고, 두 손으로 핸들부(23)를 꽉 잡고, 위를 향해 밀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계속 반복하면 흉부 부분의 운동이 된다.
다음은 본 고안의 기타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구체화 한 실시도로, 만약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조나 기능이 앞에 서술한 작품과 비슷한 것이면, 똑같은 번호와 명칭으로 사용했다.
제 11 도를 보면, 이것은 핸들부(23)를 분리하여 각각의 작동 상태를 구체화한 실시도이다.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지 않고, 각각 나누어져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또한 분리하면 L자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꼭 붙잡는데 편리함을 주고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도를 보면, 이것이 핸들부(23)가 두 개로 나누어진 상태의 핸들을 두 팔을 사용해 운동을 하는 실시도이다. 사용자는 U자형틀(10)을 발로 밟아 고정을 시키고, 핸들부(23)의 두 개로 나누어진 핸들을 두 팔로 각각 꼭 잡은 뒤, 밀고 잡아당기는 흔드는 동작을 반복하며 팔 뻗는 운동을 진행한다.
이외에, 제 13 도를 보면,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를 적당히 늘린 후, U자형틀(10)과 가로대(40)를 바닥에 수평으로 놓고, U자형틀(10)과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20) 사이의 각을 적당한 각도(예를 들면 90˚각도)로 조정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U자형틀(10)과 가로대(40) 위에 반듯하게 누워, 등과 엉덩이가 U자형틀(10)과 가로대(40)를 눌러 위치를 고정하게 한다. 그리고 발목을 안전밴드(24)에 끼워 넣으면, 발이 팔 흔드는 운동기구(20)의 탄력구조부(22)에 대해 반복적으로 페달을 밟으며 자전거 타기 운동을 할 수 있다.
물론,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의 핸들부(23)의 형태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하고 시범으로 보였던 것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3A 도 내지 제 13D 도는 핸들부(23)의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서로 다른 운동 기능에 맞게 팔 흔들기 운동기구(20)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의 내용에 근거해 부분 개선한 것이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위배되지 않았을 때, 바로 본 고안품의 범위에 속한다.
그러므로, 위에 설명한 것으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우수한 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당히 간단하고 또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구조의 형태로 만들어졌고, 윗몸일으키기·노젓기 운동·복부 수축 운동·페달 밟기 운동·상박 근육 이완 운동 및 흉부 운동 등 여러 종류의 서로 다른 기능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실용성이 우수한 창작과 설계를 갖추고 있다.

Claims (5)

  1. 인체의 팔, 복부, 등 및 다리 부위의 근육을 촉진시키는 다기능 운동기구로서,
    하나의 U자형틀과,
    상기 U자형틀의 터진 입구 부근에 가로로 설치하여 U자형틀과 D자형 구조를 형성하는 하나의 가로대와,
    탄력구조부와 핸들부를 포함하고, 탄력구조부의 주요한 작용은 구부렸을 때의 힘을 받아내는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와,
    각각 U자형틀의 터진 입구 양끝에 설치하여, 한 쌍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와 각각 연결되고, 팔 흔들기 운동기구와 U자형틀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각도 크기를 즉시 조정할 수 있는 두 개의 각도위치조정기구를 포함하고, U자형틀과 가로대를 인체의 한 부위에 고정시키고, 팔 흔들기 운동기구의 핸들부에 힘을 가해 구부렸다 폈다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근육 운동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의 핸들부는 가로로 서로 연결하여 하나로 되고, 이 핸들부에 힘을 가해 운동을 하면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에 갖추어져 있는 탄력구조부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됨을 특징으로 다기능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팔 흔들기 운동기구의 핸들부에 안전 밴드를 각각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 양끝에 조정식 쓰리웨이 연결기구를 U자형틀에 설치하고, U자형틀 위에는 다수의 조정구멍을 설치하며, 상기 쓰리웨이 연결기구는, 하나의 관통구멍이 U자형틀 위에 설치되어 있고, 바깥 변이 나사산으로 되어 있는 하나의 중앙구멍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구멍 안에는 순서대로 하나의 플러그, 플러그 위에 덮어 씌우는 하나의 스프링, 하나의 너트가 구비되어 중앙구멍 바깥 변에 있는 나사산에 결합되게 되어 플러그 및 스프링이 중앙구멍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플러그의 끝은 너트의 구멍 밖으로 돌출되어 나와 플러그 머리 부분과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스프링의 탄력으로 정상 상태의 플러그에 변화를 주어 U자형틀의 어느 한 구멍 안으로 눌려 들어가게 되고, 이렇게 해서 가로대와 U자형틀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게 되며, 플러그 머리 부분을 위로 잡아 당기면 플러그가 끌어올려지면서 조정구멍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고, 가로대가 U자형틀의 틀 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가로대가 U자형틀 위의 관계되는 위치에 조정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 흔들기 운동기구의 탄력구조부 및 핸들부에 모두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2019970018174U 1997-07-10 1997-07-10 다기능 운동기구 KR200213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174U KR200213537Y1 (ko) 1997-07-10 1997-07-10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174U KR200213537Y1 (ko) 1997-07-10 1997-07-10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917U true KR19990004917U (ko) 1999-02-05
KR200213537Y1 KR200213537Y1 (ko) 2001-04-02

Family

ID=5389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174U KR200213537Y1 (ko) 1997-07-10 1997-07-10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53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33Y1 (ko) * 2009-11-05 2010-08-25 김기수 다기능 운동기구
KR101048064B1 (ko) * 2009-02-03 2011-07-08 황헌식 복근 및 하체 단련을 위한 복합운동기구
KR101384966B1 (ko) * 2013-03-26 2014-04-14 주식회사 삼양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겸한 전신운동기구
WO2014112743A1 (ko) * 2013-01-21 2014-07-24 Lee Seowon 근육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07B1 (ko) 2005-06-20 2006-07-18 이원학 자동차 외장 바용 완충패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64B1 (ko) * 2009-02-03 2011-07-08 황헌식 복근 및 하체 단련을 위한 복합운동기구
KR200449833Y1 (ko) * 2009-11-05 2010-08-25 김기수 다기능 운동기구
WO2011055963A2 (ko) * 2009-11-05 2011-05-12 Kim Ki-Soo 다기능 운동기구
WO2011055963A3 (ko) * 2009-11-05 2011-11-03 Kim Ki-Soo 다기능 운동기구
WO2014112743A1 (ko) * 2013-01-21 2014-07-24 Lee Seowon 근육 운동 장치
KR101445135B1 (ko) * 2013-01-21 2014-10-01 이서원 근육 운동 장치
KR101384966B1 (ko) * 2013-03-26 2014-04-14 주식회사 삼양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겸한 전신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537Y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579B1 (en) Yoga balance trainer
US5518486A (en) Exercise strap device
US5772563A (en) Multipurpose exerciser
US7285079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5007632A (en) Combination sit-up, rowing, arm, leg and foot exercise device
US6872175B2 (en) Exercise balance trainer
US4844448A (en) Stand up exerciser
US7637855B2 (en) Unsteady exercise platform having resistance bands
US6001051A (en) Body exerciser
CA2581064A1 (en) Collapsi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KR100909449B1 (ko) 복근 운동기구
JP2010511425A (ja) 腹部運動装置
US5846170A (en) Exercising apparatus for exercising abdominal muscles and for performing stretching exercises
KR200213537Y1 (ko) 다기능 운동기구
EP0797467B1 (en) Gymnastic means
KR20110121114A (ko) 운동기구가 형성된 의자
CN111494885A (zh) 一种手摇脚踏健腰瘦身康复器及其使用方法
JP3045412U (ja) 多機能運動器具
CN212651287U (zh) 一种手摇脚踏健腰瘦身康复器
US20060235344A1 (en) Portable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KR20020056859A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435976Y1 (ko) 다목적 운동 의자
JP2750398B2 (ja) 足用ダンベルの保持具
KR102247749B1 (ko) 수중 운동용 반신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