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153B1 -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153B1
KR102264153B1 KR1020190156376A KR20190156376A KR102264153B1 KR 102264153 B1 KR102264153 B1 KR 102264153B1 KR 1020190156376 A KR1020190156376 A KR 1020190156376A KR 20190156376 A KR20190156376 A KR 20190156376A KR 102264153 B1 KR102264153 B1 KR 10226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ootrest
base plate
support post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095A (ko
Inventor
김창성
Original Assignee
김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성 filed Critical 김창성
Priority to KR102019015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1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1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a pivoting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35One or both ends being anchored to a rota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63B71/0672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using non-electron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로서,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100); 11자 형태를 이루도록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서로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발 바깥쪽과 인접한 외측을 따라 일정높이로 차단벽(2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발판부(200);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의 타단부 하측에 힌지결합되어, 지면과 구름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부(300);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의 타단부 상측에 각각 세워지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 및 탄성 변형되는 벨트로서, 양쪽이 상기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에 감기는 벨트부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to strengthen gluteal muscles}
본 발명은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발을 올린 상태에서 힘을 주어 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둔근을 강화시키는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둔근(gluteal muscles)이란 엉덩이 근육으로 크게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그리고 이상근으로 구분된다.
신체 근육에서 대근육에 속하는 둔근은 몸을 움직일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둔근은 상반신과 하반신을 연결하고, 후면사슬근육중에 가장 많은 큰일을 하며, 신체의 중심을 잡거나 폭발적인 힘을 쓸 때 파워존(power zone)으로서 힘의 원천이 되는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상에서 걷거나 달리기를 할 때도 둔근이 사용되며, 힘을 쓰는 역할만이 아니라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지금까지 둔근을 강화시키는 운동방법 또는 운동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5-0031989호('대둔근 운동 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대둔근 운동 기구'는 사용자의 몸체 뒷면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바, 상부 고정바가 고정되며 사용자의 둔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바 및 사용자의 몸체 앞면에 위치하도록 하부 고정바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바른 자세로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허벅지 안쪽 근육 등을 단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근력, 체력 등을 고려하여 강도를 조절하여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대둔근 운동 기구'는 몸을 굽혔다가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형태임으로 인해, 척추 기립근이 주로 단련되고, 대둔근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단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둔근 운동 기구'와 같이 몸을 굽혔다가 펴는 동작으로는 양쪽 둔근 중, 상대적으로 약한 둔근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둔근 운동 기구'는 이동바(30)의 각도 제한을 해제하는 동작, 이동부(30)를 상부고정바(10)로부터 멀어지게 한 후 제2 고정부(44)의 양측으로 양다리를 넣는 동작 등, 사전 준비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둔근 운동 기구'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어부(242, 252)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 부품수가 많음으로 인해, 제작 및 조립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989호(공개일자 2015년03월25일, 발명의 명칭 : 대둔근 운동 기구)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둔근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약한 쪽의 둔근을 더 강화하면서 균형있게 운동할 수 있으며, 별도의 준비과정없이 간단하게 운동할 수 있고,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한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100); 11자 형태를 이루도록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서로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발 바깥쪽과 인접한 외측을 따라 일정높이로 차단벽(2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발판부(200);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의 타단부 하측에 힌지결합되어, 지면과 구름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부(300);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의 타단부 상측에 각각 세워지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 및 탄성 변형되는 벨트로서, 양쪽이 상기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에 감기는 벨트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에는, 상기 발판부(200)의 힌지점(x)을 기준으로 호 형상으로 장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가 11자로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220)의 양 방면 중, 상기 차단벽(210)과 인접한 장공(220)의 일 방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는, 상기 스토퍼부재(600)에 의해 내측방향으로의 회전은 억제되고 외측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레버 동작에 의해 다수의 숫자회전휠의 축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는 휠레버(710)를 구비하는 기계식카운터(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레버(710)는, 일단부가 상기 발판부(200)의 회전방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발판부(20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장공(220)에는, 상기 장공(220)과 교차되도록 상기 장공(220)의 타 방면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교차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홈(22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교차홈(221)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발판부(200)의 회전범위를 조정하는 인서트블록(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400)는, 상기 지지포스트(400)의 몸체가 2등분되도록 상부에서 일정깊이로 절개되게 형성되는 절개홈(410)과, 하면의 둘레를 따라 원형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하면의 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스프링홈(430)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맞닿는 베이스판(100)의 상면에는, 상기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동일한 형상으로 다수의 걸림홈(150)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200)를 관통하여 상반부는 상기 지지포스트(400)의 스프링홈(430)에 삽입되고, 하반부는 상기 발판부(20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홀드부재(900);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로서, 상기 지지포스트(400)와 상기 홀드부재(900)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포스트(40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홀드부재(90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000); 및 상기 홀드부재(900)의 하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발판부(200)의 하면에 밀착되는 너트부재(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따르면, 힘을 주어 다리를 양쪽으로 동시에 벌리고 힘을 빼면서 다리를 다시 오므리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대둔근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힘의 평형 원리를 이용하여 양쪽 다리의 힘의 크기가 같도록, 양쪽 다리 중, 둔근이 덜 발달된 다리에는 긴장이 더 들어가고, 둔근이 더 발달된 다리에는 긴장이 덜 들어감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쪽의 둔근을 더 강화하면서 균형있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 비율이 높은 엉덩이 부분의 근육 비율을 높이면서, 하체 체력을 강화하고 엉덩이 쪽의 볼륨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구를 바닥에 놓고 바로 올라가 운동하는 방식이므로, 별도의 준비과정없이 간단하게 운동할 수 있고, 거실 등에 놓고 언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가 장착된 한 쌍의 발판부를 베이스판에 결합한 후 벨트부재를 감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일측면에 비전동식의 기계식카운터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량을 체크하면서 목표량만큼 정확히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여건에 따라 발판부의 회전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편하고 안정적으로 둔근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포스트를 돌려가며 벨트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근력에 맞춰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1의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포함된 기계식카운터의 카운트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의 세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서 벨트의 장력조정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도 1의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는 두 발을 올린 상태에서 힘을 주어 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로서, 베이스판(100), 한 쌍의 발판부(200), 한 쌍의 롤러부(300),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 벨트부재(500)와 한 쌍의 스토퍼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놓여지는 금속 재질로 된 판체이다.
베이스판(100)의 양측은 힌지부(110)로 정의되고, 그 사이는 연결부(120)로 정의된다. 연결부(120)는 본 실시예와 같이 중앙을 기준으로 만곡된 곡선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손으로 들기 편하다.
베이스판(100)의 양측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15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발판부(200)는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11자 형태를 이루도록 일단부가 베이스판(100)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발 바깥쪽과 인접한 외측을 따라 일정높이로 차단벽(21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발판부(200)는 힌지부(110)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영역(201)과, 힌지영역(201)에서 연장되되 발 바깥쪽과 인접한 일측을 따라 차단벽(210)이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발판영역(202)과, 발판영역(202)에서 연장되는 구름영역(203)으로 구분되고, 베이스판(100)에 대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11자 형태를 이룬다.
구름영역(203)에는 도 2의 우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롤러부(300) 장착을 위한 사각홈(203a)과, 사각홈(203a)의 전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한 쌍의 지지리브(203b)가 각각 형성된다.
발판부(200)에는 발판부(200)의 힌지점(x)을 기준으로 호 형상으로 장공(220)이 형성된다.
한 쌍의 롤러부(300)는 원형 단면의 전동체(轉動體)로서, 한 쌍의 발판부(200)의 타단부 하측에 힌지결합되어, 지면과 구름접촉하는 구성이다.
롤러부(300)는 회전축이 한 쌍의 지지리브(203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부(200)가 힌지점(x)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롤러부(300)는 발판부(200)의 선회방향과 항상 나란하게 구르면서 발판부(200)를 지지하게 된다.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는 한 쌍의 발판부(200)의 타단부 상측에 각각 세워지게 결합되는 봉 형태의 구성이다.
지지포스트(400)의 상단부는 직경을 확대하여 후술되는 벨트부재(5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부재(500)는 탄성 변형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벨트로서, 양쪽이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에 감기는 구성이다.
벨트부재(500)는 한 쌍의 발판부(200)가 벌어지면 늘어나면서, 한 쌍의 발판부(200)가 원상태가 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한 쌍의 스토퍼부재(600)는 한 쌍의 발판부(200)가 11자로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장공(220)의 양 방면 중, 차단벽(210)과 인접한 장공(220)의 일 방면에 밀착되도록 베이스판(100)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 구성이다.
스토퍼부재(600)가 체결되면, 한 쌍의 발판부(200)는 스토퍼부재(60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내측방향으로의 회전은 억제되고 서로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운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부(200) 상으로 올라간다.
그 다음, 도 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발판부(200) 상에 두 발을 나란하게 올린다. 사용자가 힘을 주어 다리를 벌리지 않으면, 벨트부재(500)의 당김력에 의해 한 쌍의 발판부(200)는 11자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힘을 주어 다리를 벌리면, 도 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발판부(200)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벨트부재(500)가 늘어난다. 이 상태는 양 다리에 힘을 주어 벌린 상태로서, 둔근의 긴장이 높아진 상태이다.
사용자가 다리를 벌릴 때, 차단벽(2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이 미끄러지더라도 발 바깥쪽이 차단벽(210)에 막힘으로써, 다리 벌림 동작으로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발에 힘을 빼면, 도 3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재(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발판부(200)가 원래의 11자 상태가 됨과 동시에, 양 다리는 모아진 상태로 둔근의 긴장은 풀린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힘을 주어 다리를 양쪽으로 동시에 벌리고 힘을 빼면서 다리를 다시 오므리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대둔근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예컨대, 두 다리 중 하나를 옆으로 올리는 옆차기 동작을 하면 엉덩이 부분에 강한 압박감이 느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힘을 주어 다리를 벌릴 때, 벨트부재(500)는 늘어나서 어느 쪽으로도 움직이지 않는다. 즉, 줄다리기를 할 때 양쪽에서 같은 크기의 힘으로 당기면 줄은 마치 아무런 힘도 작용하지 않는 것처럼 어느 쪽으로도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이는 일직선 상에서 크기가 같은 두 힘이 한 물체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면 합력이 0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힘의 평형 원리에 따라, 본 발명은 양쪽 다리의 힘의 크기가 같도록, 양쪽 다리 중, 둔근이 덜 발달된 다리에는 긴장이 더 들어가고, 둔근이 더 발달된 다리에는 긴장이 덜 들어감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쪽의 둔근을 더 강화하면서 균형있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지방 비율이 높은 엉덩이 부분의 근육 비율을 높이면서, 하체 체력을 강화하고 엉덩이 쪽의 볼륨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구를 바닥에 놓고 바로 올라가 운동하는 방식이므로, 별도의 준비과정없이 간단하게 운동할 수 있고, 거실 등에 놓고 언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가 장착된 한 쌍의 발판부를 베이스판에 결합한 후 벨트부재를 감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포함된 기계식카운터의 카운트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기계식카운터(700)가 더 포함된다.
기계식카운터(700)는 베이스판(10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레버 동작에 의해 다수의 숫자회전휠의 축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는 휠레버(71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기계식카운터(700)는 3개 또는 4개의 숫자회전휠을 동일축에 설치하고 서로 인접한 회전휠의 사이에는 이들의 회전향을 조절하기 위한 접속치차를 설치하여 1단위의 회전휠의 360°회전하면 접속치차에 위해 그 다음 10단위의 회전휠의 한 눈금만큼 회전하게 되는 비전동식 카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휠레버(710)는 일단부가 발판부(200)의 회전방면을 향해 연장되어, 발판부(20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리를 벌려 발판부(200)가 외측으로 회전되면, 발판부(200)의 측면이 기계식카운터(700)의 휠레버(710)를 밀게 되고, 숫자회전휠(720)이 1단위씩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일측면에 비전동식의 기계식카운터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량을 체크하면서 목표량만큼 정확히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발판부(200)의 장공(220)에 장공(22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도록 장공(220)의 타 방면(도면상 좌측)에서부터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교차홈(221)이 형성되고, 인서트블록(800)이 더 포함된다.
인서트블록(800)은 교차홈(22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교차홈(221)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어 발판부(200)의 회전범위를 제한·조정하는 구성이다.
만약, 다리를 벌리는 간격이 넓으면, 인서트블록(800)을 아예 빼거나, 다수의 교차홈(221) 중 타 방면과 가까운 교차홈(221)에 인서트블록(800)을 삽입고정하고, 반대로, 다리를 벌리는 간격이 좁으면, 다수의 교차홈(221) 중 일 방면과 인접한 교차홈(221)에 인서트블록(800)을 삽입고정하여 발판부(200)의 회전범위를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여건에 따라 발판부의 회전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편하고 안정적으로 둔근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의 세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에서 벨트의 장력조정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지지포스트(400)는 지지포스트(400)의 몸체가 2등분되도록 상부에서 일정깊이로 절개되게 형성되는 절개홈(410)과, 하면의 둘레를 따라 원형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하면의 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스프링홈(430)를 구비한다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맞닿는 베이스판(100)의 상면에는,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동일한 형상으로 다수의 걸림홈(150)이 형성된다.
여기에 홀드부재(900), 탄성부재(1000) 및 너트부재(1100)가 더 포함된다.
홀드부재(900)는 발판부(200)를 관통하여, 상반부는 지지포스트(400)의 스프링홈(430)에 삽입되고 하반부는 발판부(20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블록이다.
탄성부재(1000)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로서, 지지포스트(400)와 홀드부재(900)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부가 지지포스트(40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홀드부재(900)에 결합된다.
탄성부재(1000)는 홀드부재(900)를 고정기준으로 하여, 지지포스트(400)가 발판부(20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너트부재(1100)는 홀드부재(900)의 하반부에 나사결합되어 발판부(200)의 하면에 밀착되는 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는 지지포스트(400)를 돌려가며 벨트부재(5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그 조절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400)의 절개홈(410)에 벨트부재(500)가 끼워져 걸리면, 둔근 운동이 가능한 최초 상태가 된다. 이때, 벨트부재(500)의 장력은 최소이다.
이 상태에서, 벨트부재(500)의 장력이 약하다고 판단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400)를 잡아 위로 올려, 지지포스트(400)의 톱니기어(420)가 베이스판(100)의 걸림홈(150)에서 빠지게 한다. 그러면, 지지포스트(400)가 회전될 수 있는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400)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수만큼 지지포스트(400)에 걸린 벨트부재(500)가 감기면서, 벨트부재(500)의 장력이 점점 높아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400)를 원하는 만큼 회전시킨 다음, 지지포스트(400)를 놓으면, 탄성부재(10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포스트(400)의 톱니기어(420)가 베이스판(100)의 걸림홈(150)에 삽입됨으로써, 지지포스트(400)가 회전될 수 없는 잠금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포스트를 돌려가며 벨트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근력에 맞춰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는, 힘을 주어 다리를 양쪽으로 동시에 벌리고 힘을 빼면서 다리를 다시 오므리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대둔근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힘의 평형 원리를 이용하여 양쪽 다리의 힘의 크기가 같도록, 양쪽 다리 중, 둔근이 덜 발달된 다리에는 긴장이 더 들어가고, 둔근이 더 발달된 다리에는 긴장이 덜 들어감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쪽의 둔근을 더 강화하면서 균형있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 비율이 높은 엉덩이 부분의 근육 비율을 높이면서, 하체 체력을 강화하고 엉덩이 쪽의 볼륨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구를 바닥에 놓고 바로 올라가 운동하는 방식이므로, 별도의 준비과정없이 간단하게 운동할 수 있고, 거실 등에 놓고 언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가 장착된 한 쌍의 발판부를 베이스판에 결합한 후 벨트부재를 감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일측면에 비전동식의 기계식카운터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량을 체크하면서 목표량만큼 정확히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여건에 따라 발판부의 회전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편하고 안정적으로 둔근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포스트를 돌려가며 벨트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근력에 맞춰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베이스판
200 : 한 쌍의 발판부
300 : 한 쌍의 롤러부
400 : 한 쌍의 지지포스트
500 : 벨트부재

Claims (5)

  1.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100);
    11자 형태를 이루도록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서로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발 바깥쪽과 인접한 외측을 따라 일정높이로 차단벽(2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발판부(200);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의 타단부 하측에 힌지결합되어, 지면과 구름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부(300);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의 타단부 상측에 각각 세워지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 및
    탄성 변형되는 벨트로서, 양쪽이 상기 한 쌍의 지지포스트(400)에 감기는 벨트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포스트(400)는, 상기 지지포스트(400)의 몸체가 2등분되도록 상부에서 일정깊이로 절개되게 형성되는 절개홈(410)과, 하면의 둘레를 따라 원형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하면의 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스프링홈(430)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맞닿는 베이스판(100)의 상면에는, 상기 다수의 톱니기어(420)와 동일한 형상으로 다수의 걸림홈(150)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200)를 관통하여 상반부는 상기 지지포스트(400)의 스프링홈(430)에 삽입되고, 하반부는 상기 발판부(20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홀드부재(900);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로서, 상기 지지포스트(400)와 상기 홀드부재(900)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포스트(40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홀드부재(90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000); 및
    상기 홀드부재(900)의 하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발판부(200)의 하면에 밀착되는 너트부재(1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에는, 상기 발판부(200)의 힌지점(x)을 기준으로 호 형상으로 장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가 11자로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220)의 양 방면 중, 상기 차단벽(210)과 인접한 장공(220)의 일 방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200)는, 상기 스토퍼부재(600)에 의해 내측방향으로의 회전은 억제되고 외측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레버 동작에 의해 다수의 숫자회전휠의 축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는 휠레버(710)를 구비하는 기계식카운터(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레버(710)는, 일단부가 상기 발판부(200)의 회전방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발판부(20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220)에는, 상기 장공(220)과 교차되도록 상기 장공(220)의 타 방면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교차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홈(22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교차홈(221)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발판부(200)의 회전범위를 조정하는 인서트블록(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5. 삭제
KR1020190156376A 2019-11-29 2019-11-29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KR10226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76A KR102264153B1 (ko) 2019-11-29 2019-11-29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76A KR102264153B1 (ko) 2019-11-29 2019-11-29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095A KR20210067095A (ko) 2021-06-08
KR102264153B1 true KR102264153B1 (ko) 2021-06-10

Family

ID=7637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376A KR102264153B1 (ko) 2019-11-29 2019-11-29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20B1 (ko) 2022-02-10 2022-07-08 (주)뉴텍웰니스 힙 트러스트 벤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0621A1 (en) * 2009-01-29 2010-07-29 Palmer Dennis D Exercise device with resistance
JP2018019753A (ja) * 2016-08-01 2018-02-08 有限会社ソレイユ 運動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618Y1 (ko) * 1993-09-13 1995-09-15 이처술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KR20150031989A (ko) 2013-09-17 2015-03-25 이준기 대둔근 운동 기구
KR101668041B1 (ko) * 2014-12-19 2016-10-20 주식회사 메디시온 괄약근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0621A1 (en) * 2009-01-29 2010-07-29 Palmer Dennis D Exercise device with resistance
JP2018019753A (ja) * 2016-08-01 2018-02-08 有限会社ソレイユ 運動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20B1 (ko) 2022-02-10 2022-07-08 (주)뉴텍웰니스 힙 트러스트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095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5079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3415515A (en) Rubber cord skipping rope and exerciser
US4861023A (en) Leg musc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11135470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30123078A1 (en) Double rollers exercise device
CH703397B1 (de) Trainingsgerät.
KR102264153B1 (ko)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US20200398102A1 (en) Sliding Grip Resistance Exercise Device
DE2639307C3 (de) Gymnastikgerät
US10569127B2 (en) Core exercise machine
KR101698885B1 (ko)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DE102015113113A1 (de) Therapie-Trainings-Gerät
EP2329863A1 (de) Fitness-Wippschaukel
EP1955735B1 (de) Trampolin
DE202009011930U1 (de) Bewegungsgerät, insbesondere für ältere Personen
KR20110089913A (ko) 하체 및 복근 운동기구
KR102474978B1 (ko)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KR200322633Y1 (ko) 신체 운동기구
KR20150031989A (ko) 대둔근 운동 기구
DE4101971C2 (ko)
CN212679967U (zh) 健身练习器
TWM465941U (zh) 肢體復健器
RU190411U1 (ru) Настен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лиц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которые перемещаются в инвалидных колясках
KR102509674B1 (ko) 등 마사지 기능을 갖는 스쿼트 운동장치
JP3212139U (ja) 運動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