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18Y1 -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 Google Patents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18Y1
KR950007618Y1 KR2019930018242U KR930018242U KR950007618Y1 KR 950007618 Y1 KR950007618 Y1 KR 950007618Y1 KR 2019930018242 U KR2019930018242 U KR 2019930018242U KR 930018242 U KR930018242 U KR 930018242U KR 950007618 Y1 KR950007618 Y1 KR 950007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bstrate
buried
pres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273U (ko
Inventor
이처술
Original Assignee
이처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처술 filed Critical 이처술
Priority to KR2019930018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618Y1/ko
Publication of KR950010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몰탈성형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완성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삽통관
3 : 매입관 4 : 링
5 : 캡 101, 102 : 연결수단
본 고안은 인수공 벽체에 관구를 구성하는 관구 형체에 관한 것이다.
인수공은 알려진 바와 같이 지하에 설치된 시멘트 몰탈의 지하 구조물로써 전화선등의 터미널등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벽체는 전화선등의 유입구와 배출구 즉 관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관구를 구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커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플라스틱 관체를 매입하여 시멘트 몰탑을 채워 경화시켜서 거푸집을 떼어내는 공정을 취하였는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관구형체는 단순히 관체로만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매입되는 관체와 기판이 일체로 되어 있어 기판과 관전체가 벽체에 매입되므로 형체의 소비가 크며 시멘트가 경화 되었을때 관체와 시멘트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수분이 침투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매입된 관체가 쉽게 이탈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관구의 대소 또는 관구의 개수에 따라 관구,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하였으므로 제작비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들을 해결하고자 기판과 매입되는 관체를 분리하고 관체의 주변에는 고무링을 설치하며 기판에는 상호 연결 가능한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관구의 개수에 관계없이 다목적으로 사용하게 한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형체를 얻고자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로써 못구멍(1')이 있는 기판(1) 일면에 삽통관(2)을 연설하고 그 전방에는 전광후협 한 매입관(3)을 형성하되 그 외벽에 탄성소재로된 링(4)을 다수 끼우고 매입관(3)의 전방에는 캡(5)으로서 매입관(3)의 전방구멍에 밀접되게 구성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을 시멘트 몰탈이 체워진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부에 바깥 거푸집(10)이 있고 본 고안의 기판(1)이 못(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삽통관(2)에는 매입관(3)이 삽지되어 있다. 매입관(3)의 끝에는 캡(5)이 삽지되어 매입관(3) 입구를 막고 있고 매입관(3)의 외벽에는 탄성재링(4)이 다수 끼워져 있다.
캡(5)의 아래 측에는 내측 거푸집(20)이 설치되고 내외측 거푸집(10)(20)사이에는 시멘트 몰탈층(30)이 층입된다.
상기 설명은 실제로 인수공을 구축하는 구축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한 것인바 이와 같이 구축하여 시멘트 몰탈이 경화되면 내외측 거푸집(10)(20)을 떼어내고 기판(1)과 캡(5)을 이탈시키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구가 형성되는 것이며 매입관은 전방의 직경이 크므로 기판(1)을 이탈시킬때 매입관이 같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매입관 외주벽에 끼워져 있는 탄성재 링(4)에 의해 시멘트가 경화되어 약간의 틈새가 생기더라도 외부에서 수분침투가 방지된다.
제4도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판(100)에는 연결수단(101)(102)이 있어 관구가 여러개 필요한 경우에는 기판을 서로 연결하면 형틀을 여러개 제작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판과 매입관이 분리되고 기판은 이탈되므로 기판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매입관과 시멘트사이에 물이 스며들지 않으므로 인수공내에는 습기가 침투되지 않아 전화선의 부식에 의한 접촉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못구멍(1')이 있는 기판(1)이 일면에 삽통관(2)을 연설하고 그 전방에는 전광후협 한 매입관(3)을 형성하되 그 외벽에 탄성소재로된 링(4)을 다수 끼우고 매입관(3)의 전방에는 캡(5)으로서 매입관(3)의 전방구멍에 밀접되게 구성하여서 된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기판(1)은 핀(101)과 핀공(102)로 구성된 연결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형체.
KR2019930018242U 1993-09-13 1993-09-13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KR950007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242U KR950007618Y1 (ko) 1993-09-13 1993-09-13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242U KR950007618Y1 (ko) 1993-09-13 1993-09-13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273U KR950010273U (ko) 1995-04-24
KR950007618Y1 true KR950007618Y1 (ko) 1995-09-15

Family

ID=1936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242U KR950007618Y1 (ko) 1993-09-13 1993-09-13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6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153B1 (ko) * 2019-11-29 2021-06-10 김창성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273U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729688D0 (da) Forbindelsesstang til en isoleret vaegkonstruktion
ATE246757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rfabrizierter bauelemente und vorgespannte baukonstruktion aus solchen elementen hergestellt
CA2291231A1 (en) Multi-prong connectors used in making highly insulated composite wall structures
US1804478A (en) Multiple conduit and spacing supports therefor
DE3471517D1 (en) A pipe connection of fibre reinforced plastic pipe parts
KR950007618Y1 (ko) 전화선로 인수공 관구 형체
KR102167251B1 (ko) 탈착식 패킹을 포함하는 파이프
KR100758675B1 (ko) 콘크리트 맨홀
WO2015122645A1 (ko) 배관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 매립함
KR200193141Y1 (ko) 거푸집 매설관 위치 표시구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JP3238850U (ja) エルボ装置
CN208996236U (zh) 一种便于安装的外墙保温板
CN211081217U (zh) 一种混凝土电线杆
JP73132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設置方法
JPH11303399A (ja) 圧入コンクリート漏出防止構造
KR200349595Y1 (ko) 탄성체 결합핀 내장 콘넥터
KR100490026B1 (ko)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하수관용연결기구
KR100791993B1 (ko)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KR200169737Y1 (ko) 맨홀용 방수 조립식 연결관
KR200217584Y1 (ko) 와이어 정착용 성형체
JPS61125812A (ja) 建物の排水用管、ケ−ブル埋設管等の成形方法
KR970031132A (ko)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KR200366675Y1 (ko) 결합핀 내장 커풀링
JPH0484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