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993B1 -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993B1
KR100791993B1 KR1020060092365A KR20060092365A KR100791993B1 KR 100791993 B1 KR100791993 B1 KR 100791993B1 KR 1020060092365 A KR1020060092365 A KR 1020060092365A KR 20060092365 A KR20060092365 A KR 20060092365A KR 100791993 B1 KR100791993 B1 KR 10079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support means
mold
bol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967A (ko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청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99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을 성형할 때 지수단관을 성형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맨홀을 성형시 그 유입구와 배출구에 인서트하기 위한 지수단관를 밀폐된 성형틀의 내부에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짧은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후단은 상기 지수단관이 결합되면서 결합된 지수단관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의 이탈방지리브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그 내주연에 상기 환형의 이탈방지리브를 관통하여 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구를 갖는 지수단관 고정편이 형성되고, 그 전단은 상기 성형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에 성형틀을 관통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구를 갖는 성형틀 고정편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인서트 성형하기 위한 지수단관을 성형틀 내부에 간편하게 결합 고정하여 맨홀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한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CONNECTING PIPE FIXER FOR MANHOLE FORMING}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도시한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a, 5b, 5c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이용한 맨홀 성형 과정을 도시한 요부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갖는 맨홀 성형틀에 의해 성형된 맨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적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맨홀 20: 지수단관
22a, 22b: 이탈방지리브 24: 고무실링
30: 지관 40a, 40b: 성형틀
100: 지수단관 고정부재 120: 성형틀 고정편
122: 볼트체결구 140: 지수단관 고정편
142: 볼트결합구 160: 결합너트부
200: 탈형유도볼트 220: 밀착단부
B: 볼트
본 발명은 맨홀을 성형할 때 지수단관를 성형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인서트 성형하기 위한 지수단관을 성형틀 내부에 간편하게 결합 고정하여 맨홀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한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에는 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지수단관을 일체로 인서트 성형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상기 지수단관은 통상 지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그 외면에는 인서트된 유입구와 배출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환형의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지수단관을 일체로 인서트 성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성형틀에 지수단관의 전/후단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틀의 결합구에 지수단관의 전/후단을 고정한 상태에 서 그 사이에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을 통해 지수단관이 일체로 인서트 형성된 맨홀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성형하고자 하는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 크기, 방향, 높이 또는 개수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태의 결합 고정구를 갖는 성형틀이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맨홀의 유입구나 배출구에 인서트 성형하기 위한 지수단관의 크기, 방향, 높이 또는 개수에 따라 그에 적합한 크기, 방향, 높이 또는 개수의 결합 고정구를 갖는 성형틀이 각각 별도로 준비되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인서트 성형하기 위한 지수단관을 성형틀 내부에 간편하게 결합 고정하여 맨홀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한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성형틀에 대하여 성형하기 위한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 크기, 방향, 높이 또는 개수에 따라 지수단관의 결합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 및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는 맨홀을 성형시 그 유입구와 배출구에 인서트하기 위한 지수단관을 밀폐된 성형틀의 내부에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짧은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후단은 상기 지수단관이 결합되면서 결합된 지수단관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의 이탈방지리브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그 내주연에 상기 환형의 이탈방지리브를 관통하여 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구를 갖는 지수단관 고정편이 형성되고,
그 전단은 상기 성형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에 성형틀을 관통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구를 갖는 성형틀 고정편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 상에는 성형된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로부터 각각 간편한 이탈이 이루어지도록 탈형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탈형수단은 지수단관 고정편 상에 돌출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너트부; 및 상기 결합너트부에 나사식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그 전단의 밀착단부가 출입하도록 형성된 탈형유도볼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는 맨홀의 성형 후 지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그 전단의 직경이 후단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외광내협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성형틀 고정편의 볼트 결합구는 좌우 횡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거나, 상하 종방향으로 장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도시한 분해도, 도 2는 본 발 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a, 5b, 5c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이용한 맨홀 성형 과정을 도시한 요부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를 갖는 맨홀 성형틀에 의해 성형된 맨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적용도이다.
본 발명의 지수단관 고정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10)을 성형하기 위해 밀폐된 성형틀(40a, 40b) 내부에 지수단관(20)을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수단관 고정부재(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맨홀(10)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40a, 40b)과 상기 성형틀(40a, 40b)에 고정되어 맨홀(10)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인서트된 상태로 지관(30)을 연결하기 위한 지수단관(2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성형틀(40a, 40b)은 통상 맨홀(10)의 내외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성형틀(40b)과 외부 성형틀(40a)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내외부 성형틀(40a, 40b)은 각각 밀폐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틀(40a, 40b)은 원형은 물론이고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수단관(20)은 통상 지관(3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하되, 그 외면에는 맨홀(10)의 유입구와 배출구 내부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환형의 이탈방지리브(22a, 2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리브(22a, 22b)는 전후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하는데, 본 발명의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와 밀착되는 전방 이탈방지리브(22a)는 상기 지수단관 고정편(140) 보다 넓게 형성하여 그 테두리가 맨홀(10)의 유입구와 배출구 내부에 인서트 된다. 한편, 상기 지수단관(20)의 후단은 앞서 설명한 내부 성형틀(40)의 형태에 따라 그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수단관(20)의 전후 이탈방지리브(22a, 22b) 사이에는 수분과 접촉시 팽창하는 고무실링(24)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지하다.
이에, 본 발명의 지수단관 고정부재(100)는 앞서 설명된 지수단관(20)과 외부 성형틀(40a) 사이에 결합되어 지수단관(20)의 후단이 내부 성형틀(40b)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면서 그 전단 또한 외부 성형틀(40a)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짧은 관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 형태로 형성된 지수단관 고정부재(100)는 전단의 직경이 후단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외광내협의 형태로 형성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관(30)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된 지관(30)의 외부에 형성된 공간을 접착 시멘트로 채워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후단은 그 중앙에 상기 지수단관(20)이 결합된 상태로 그 지수단관(20)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의 이탈방지리브(22a)가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즉, 지수단관(20)의 외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리브(22a)와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후단 사이로 맨홀을 성형 시 타설되는 시멘트 콘크리트가 유입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수단관(20)의 이탈방지리브(22a)와 밀착되는 내주연에는 상기 이탈방지리브(22a)를 관통하여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구(122)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지수단관 고정편(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수단관(20)의 이탈방지리브(22a)에는 상기 볼트 결합구(122)와 대응하여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등 간격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전단은 상기 외부 성형틀(40a)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즉, 맨홀(10)을 성형하기 위해서 성형틀(40a, 40b)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 콘크리트가 지수단관 고정부재(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전단에 근접한 내부 공간에는 외부 성형틀(40a)을 관통하여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구(142)를 갖는 성형틀 고정편(1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성형틀 고정편(140)은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용접되어 상기 외부 성형틀(40a)로 관통한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성형틀 고정편(140)에 형성된 볼트 결합구(142)는 체결시 좌우 횡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 성형틀(40a)에 지수단관 고정부재(100)를 볼트(B)로 체결시 장공 형태의 볼트 결합구(142)에 의해 좌우 조절하면서 긴밀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성형틀 고정편(140)에 형성된 좌우 장공 형태의 볼트 결합구(142)에 대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 결합구(142)를 "+" 형태로 형성하여 좌우 조절은 물론이고 상하 조절도 가능한 구성이 된다.
한편, 상기 외부 성형틀(40a)에는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100)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B)가 결합되도록 좌우에 구멍이 형성되는데, 만약 다른 방향에 또 다른 구멍을 형성하고자 할 때는 기존의 구멍을 테이프 등으로 간편하게 막을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지수단관 고정부재(100)는 성형된 맨홀(10)의 유입구와 배출구로부터 각각 간편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탈형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탈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지수단관 고정편(120) 상에 돌출된 상태로 관통된 결합너트부(16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너트부(160)에 탈형유도볼트(200)를 나사식 체결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그 전단의 밀착단부(220)가 출입하면서 지수단관(20)으로부터 밀어내도록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결합너트부(160)의 단부에는 상기 탈형유도볼트(200)의 밀착단부(2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결합 시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지수단관 고정편(120)과 지수단관(20)의 이탈방지리브(22a)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맨홀의 성형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하고자 하는 맨홀(10)의 유입구와 배출구의 크기, 방향, 높이 또는 개수가 결정되면 그에 적합한 크기와 개수의 지수단관(20)를 각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에 결합한다. 즉, 상기 지수단관(20)의 전단을 지수단관 고정편(120) 사이로 밀어 끼우면서 지수단관 고정편(120)과 이탈방지리 브(22)를 상호 밀착시킨 후 볼트(B)로 긴밀하게 체결한다.
이어, 상기 지수단관(20)이 결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전단을 외부 성형틀(40a)에 대하여 적합한 위치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성형틀 고정편(140)의 볼트 결합구(142)를 통해 외부 성형틀(40a)과 긴밀하게 체결한다.
이와 같이 지수단관 고정부재(100)가 체결된 외부 성형틀(40a)을 내부 성형틀(40b) 외부에 설치하면서 상호 체결하여 고정하는바, 이때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후단에 결합된 지수단관(20)의 후단은 내부 성형틀(40b)과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진다.
이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외부 성형틀(40a, 40b) 사이에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시간 양생을 통해 맨홀(10)을 성형한다.
마지막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맨홀(10)로부터 내외부 성형틀(40b)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외부 성형틀(40a)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성형틀 고정편(140)으로부터 체결된 볼트(B)를 분리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지수단관(20)에 결합된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지수단관 고정편(120)으로부터 볼트(B)를 풀어 분리함으로써 맨홀(10)의 성형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100)의 외면은 상기 성형된 맨홀에 의해 접착된 상태이므로 이때, 상기 탈형유도볼트(200)를 회전시켜 그 밀착단부(220)가 이탈방지리브(22a)를 밀면서 간편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된 맨홀(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인서트 성형 된 지수단관(20)을 통해 지관(30)의 연결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에 의하면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에 인서트 성형하기 위한 지수단관을 성형틀 내부에 간편하게 결합 고정하여 맨홀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의 향상을 통해 생산력이 증대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성형틀에 대하여 성형하기 위한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 크기, 방향, 높이 또는 개수에 따라 지수단관의 결합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 및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지수단관가 결합된 맨홀을 성형하기 위한 공정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성형된 맨홀을 통해 지관의 연결이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5)

  1. 맨홀을 성형시 그 유입구와 배출구에 인서트하기 위한 지수단관을 밀폐된 성형틀의 내부에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짧은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후단은 상기 지수단관이 결합되면서 결합된 지수단관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의 이탈방지리브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그 내주연에 상기 환형의 이탈방지리브를 관통하여 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구를 갖는 지수단관 고정편이 형성되고,
    그 전단은 상기 성형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에 성형틀을 관통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구를 갖는 성형틀 고정편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 상에는 성형된 맨홀의 유입구와 배출구로부터 각각 간편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탈형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탈형수단은 지수단관 고정편 상에 돌출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너트부 및
    상기 결합너트부에 나사식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그 전단의 밀착단부가 출입하면서 밀어내도록 형성된 탈형유도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단관 고정부재는 맨홀의 성형 후 지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그 전단의 직경이 후단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외광내협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 고정편의 볼트 결합구는 좌우 횡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 고정편의 볼트 결합구는 상하 종방향으로 장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성형용 지수단과 고정부재.
KR1020060092365A 2006-09-22 2006-09-22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KR10079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365A KR100791993B1 (ko) 2006-09-22 2006-09-22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365A KR100791993B1 (ko) 2006-09-22 2006-09-22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615U Division KR200433752Y1 (ko) 2006-09-22 2006-09-22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67A KR20060107967A (ko) 2006-10-16
KR100791993B1 true KR100791993B1 (ko) 2008-01-04

Family

ID=3762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365A KR100791993B1 (ko) 2006-09-22 2006-09-22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9946B2 (ja) 2021-07-07 2024-05-2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C/SiC複合体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極触媒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402713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67A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278B1 (ko)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KR100791993B1 (ko)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KR200433752Y1 (ko) 맨홀 성형용 지수단관 고정부재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1639322B1 (ko) 원형맨홀에 부합하는 타원형 커넥터
KR100890825B1 (ko) 관 일체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블럭의 성형몰드 및 이를이용한 맨홀블럭 제조방법
KR101352294B1 (ko)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블록 제조방법
KR100744173B1 (ko) 지수단관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성형장치
JPH0150797B2 (ko)
EP1222418B1 (en) Connection piece
KR101975166B1 (ko) 패킹재와 패킹링을 포함하는 소켓관 연결용 패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소켓관 및, 소켓관의 제조방법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101890409B1 (ko)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200414288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KR20200012014A (ko) 벽체용 관통슬리브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CN218985216U (zh) 一种含预埋件的预应力混凝土管桩的生产模具
CN214197656U (zh) 一种方便安装的管件连接结构
KR20040037655A (ko) 관이음용 플랜지 및 사출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US20040154239A1 (en) Plastic duct terminator
KR20130081936A (ko) 철근 연결용 슬리브
KR960009113Y1 (ko)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KR200345670Y1 (ko) 관로구용 방수 덮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