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885B1 -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885B1
KR101698885B1 KR1020160013451A KR20160013451A KR101698885B1 KR 101698885 B1 KR101698885 B1 KR 101698885B1 KR 1020160013451 A KR1020160013451 A KR 1020160013451A KR 20160013451 A KR20160013451 A KR 20160013451A KR 101698885 B1 KR101698885 B1 KR 10169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ase
lower body
main frame
exercis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완식
Original Assignee
전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완식 filed Critical 전완식
Priority to KR102016001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립하여 발판을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하체 운동과 발판을 회전시키는 하체 운동 및 발판을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동시에 발판을 회전시켜 하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메인 프레임과 레일을 따라 횡 방향으로 왕복하는 슬라이딩 베이스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 상측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발판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평롤러가 구비되어 상기의 메인 프레임에 내장되는 운동부와 상기의 메인 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롤러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추가 구비되는 하중부와 상기의 수평롤러와 수직롤러를 따라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와 무게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전문가의 운동 자세의 교정이 필요없이 단순한 동작으로 재활 치료는 하체의 근육 및 관절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한쪽 다리나 발목 관절이 불편한 사용자는 물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하나의 기구로서 발목, 무릎, 골반 등의 관절 운동은 물론 내, 외전근과 괄약근 등의 근육 운동을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사용자의 하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Multifunctional Exercise Tool for the Lower Part of Body}
본 발명은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립하여 발판을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하체 운동과 발판을 회전시키는 하체 운동 및 발판을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동시에 발판을 회전시켜 하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앉은 채로 오랜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은 하체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무릎이나 발목 등의 관절은 물론, 하체의 다양한 근육의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 지지 않으며, 이 밖에도 다리가 휘거나 골반이 틀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하체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신체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하체 운동기구들이 공지되어 있다. 대표적인 하체 운동기구로서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부하를 상체에 고정한 후 무릎을 굽혔다 피는 스쿼드 타입의 하체 운동기구와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굽혔다 피는 동작을 통하여 부하를 극복하는 레크익스텐션 타입과 사용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무릎을 굽혔다 피는 동작을 통하여 부하를 극복하는 레그컬 타입 등이 있다. 그러나, 이는 주로 외회전 성향의 근육을 강화시키는데 주목적이 있으며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지속할 경우 무릎이나 발목 등의 관절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관절 손상을 입은 사용자가 재활을 위하여 하체 운동을 수행할 경우 상기의 하체 운동기구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신이 입식, 또는 좌식 형태로 기구에 의지하게 됨으로써 기구의 규모 역시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3261호에서는 본체에 발판을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직선운동과, 발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운동을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 운동시 다리를 벌렸다가 오므리는 과정에서 비틀림까지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전근과 괄약근을 동시에 운동시킬 수 있는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쪽 다리나 발목 관절이 불편한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하체 운동을 수행할 수 없어 재활 치료 등에 적합하지 않고, 발판의 폭이나 발목의 회전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체형의 공용으로 사용할 경우 비교적 다리가 짧은 성인 또는 어린이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3261호(2013.10.2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에서는 한쪽 다리나 발목 관절이 불편한 사용자는 물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하나의 기구로 발목, 무릎, 골반 등의 관절 운동은 물론 내외전근과 괄약근 등의 근육 운동을 동시에 또는 각각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과 레일을 따라 횡 방향으로 왕복하는 슬라이딩 베이스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 상측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발판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평롤러가 구비되어 상기의 메인 프레임에 내장되는 운동부와 상기의 메인 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롤러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추가 구비되는 하중부와 상기의 수평롤러와 수직롤러를 따라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와 무게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가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 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와이어가 당겨져 무게추가 상승하며, 상기의 무게추는 메인 프레임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분리되며 각각 횡 방향으로 무게추 관통홀이 구비되어 횡 방향 무게추 핀에 의하여 관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의 무게추 하측에 각각 고정추가 구비되어 상기의 무게추가 고정추에 탈착하며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가 레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잠금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딩 베이스 홀이 구비되고 상기의 발판에 1개 또는 2개의 발판 홀이 구비되며,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 홀과 발판 홀을 관통하는 발판 회전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의 메인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베이스 양측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는 전문가의 운동 자세의 교정이 필요없이 단순한 동작으로 재활 치료는 하체의 근육 및 관절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한쪽 다리나 발목 관절이 불편한 사용자는 물론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하나의 기구로서 발목, 무릎, 골반 등의 관절 운동은 물론 내, 외전근과 괄약근 등의 근육 운동을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사용자의 하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1실시 예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1실시 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2실시 예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2실시 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3실시 예의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3실시 예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4실시 예의 운동부 상면도.
도 2와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1실시 예의 상면도 및 정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제 1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0);과 레일(21)을 따라 횡 방향으로 왕복하는 슬라이딩 베이스(22)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 상측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발판(23)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평롤러(24)가 구비되어 상기의 메인 프레임(10)에 내장되는 운동부(20);와 상기의 메인 프레임(10)에 수직으로 결합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롤러(31)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추(32)가 구비되는 하중부(30);와 상기의 수평롤러(24)와 수직롤러(31)를 따라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와 무게추(32)를 연결하는 와이어(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1실시 예의 동작 원리는 하기와 같다. 사용자가 발판에 직립한 상태로 양다리를 오므리면 슬라이딩 베이스(22)와 연결되는 와이어(40)가 무게추(32)를 잡아당기면서 하체에 부하를 가한다. 이때, 발판(23)은 다리를 오므리기 용이한 각도로 회전하여 발목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발판(23) 회전 시 스프링 등에 의한 부하를 가하여 발목 관절은 감싸는 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평롤러(24)와 수직롤러(31)는 와이어(40)가 슬라이딩 베이스(22)와 무게추(32)를 연결한 상태에서 무게추(32)를 들어 올릴 경우 와이어(40)에 꼬임을 방지하고 와이어(40)가 메인 프레임(10) 및 하중부(30)에 걸리지 않으며 와이어(40)가 움직일 경우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발판(23)이 회전하는 경우 와이어(40)가 발판(23)의 회전축에 감기도록 하여 발목을 돌리는 운동을 수행할 경우에도 무게추(32)의 부하를 조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무게추(32)는 공지되어 있는 웨이트 운동 기구와 같이 쇠막대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무게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립하여 운동을 수행할 경우 메인 프레임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하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와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2실시 예의 상면도 및 정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제 2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의 무게추(32)는 메인 프레임(10)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분리되며 각각 횡 방향으로 무게추 관통홀(32a)이 구비되어 횡 방향 무게추 핀(33)에 의하여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의 무게추(32) 하측에 각각 고정추(32b)가 구비되어 상기의 무게추(32)가 고정추(32b)에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가 레일(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잠금부(2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2실시 예의 동작 원리는 하기와 같다. 횡 방향 무게추 핀(33)을 횡 방향으로 대칭 및 분리되어 구성된 각각의 무게추(32)에 구성된 무게추 관통홀(32a) 삽입된 경우 양측의 슬라이딩 베이스(22)가 동시에 내측으로 오므려질 경우 무게추(32)가 상승하고 양측의 슬라이딩 베이스(22)가 외측으로 벌어질 경우 무게추(32)가 하강한다. 그러나, 상기의 횡 방향 무게추 핀(33)을 제거한 경우 양측의 슬라이딩 베이스(22)는 각각 독립적으로 무게추(3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또한, 운동이 불편한 다리 쪽에 슬라이딩 베이스(22)와 연결된 무게추(32)를 고정추(32b)에 결합하는 경우 술라이딩 베이스(22)의 움직임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한쪽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려 운동하기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가 레일(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잠금부(25)가 구비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베이스(22)를 고정하여 한쪽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려 운동하기에 효과적이다.
도 6과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3실시 예의 상면도 및 정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제 3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가 메인 프레임(10)의 내측에서 외측 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와이어(40)가 당겨져 무게추(32)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3실시 예의 동작 원리는 하기와 같다. 슬라이딩 베이스(22)를 기준으로 와이어(40)가 외측에 있는 수평롤러(24)를 거쳐 무게추(32)에 연결되는 경우 슬라이딩 베이스(22)가 내측으로 이동될 때 무게추(32)가 상승한다. 이와 반대로, 슬라이딩 베이스(22)를 기준으로 와이어(40)가 내측에 있는 수평롤러(24)를 거쳐 무게추(32)에 연결되는 경우 슬라이딩 베이스(22)가 외측으로 이동될 때 무게추(32)가 상승한다. 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경우에 수평 롤러(24)의 중심축이 이동되거나 고정되도록 메인프레임(10) 상면에 잠금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베이스(22)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10) 외측에 있는 수평 롤러(24)의 중심축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딩 베이스(22)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10) 내측에 있는 수평 롤러(24)의 중심축을 고정하는 경우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가 메인 프레임(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될 경우 무게추(32)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슬라이딩 베이스(22)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10) 내측에 있는 수평 롤러(24)의 중심축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딩 베이스(22)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10) 외측에 있는 수평 롤러(24)의 중심축을 고정하는 경우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가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될 경우 무게추(32)가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운동기구를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운동기구에서 내, 외전근 운동을 필요에 따라,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 2실시 예에서 설명한 각각의 슬라이딩 베이스(22)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무게추(32)를 대칭되게 분리하는 것을 제 3실시 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령 롤러(24)의 중심축이 움직이게 하거나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는 메인 프레임(10) 상측에 수평 롤러(24) 축을 돌출시켜 너트 등의 잠금 부재를 통하여 손쉽게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4실시 예의 운동부 상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제 4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딩 베이스 홀(22a)이 구비되고 상기의 발판(23)에 1개 또는 2개의 발판 홀(23a)이 구비되며,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 홀(22a)과 발판 홀(23a)을 관통하는 발판 회전 스토퍼(26)가 구비되며, 상기의 메인 프레임(10) 내부에 슬라이딩 베이스(22) 양측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토퍼(27)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제 4실시 예의 동작 원리는 하기와 같다. 발목, 무릎, 골반 등의 관절에 염증이나 문제가 있어 관절 운동이 힘들 경우 발판(23)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 홀(22a)과 발판 홀(23a)의 중심축을 맞춘 후 발판 회전 스토퍼(26)를 삽입하여 발판(23)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된 발판(23)은 다리를 오므리거나 벌리는 운동 수행 시 관절이 회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관절이 문제가 있는 사용자의 재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판 회전 스토퍼(26)를 제거하여 발판(23)이 회전되도록 설정한 경우 제 2실시 예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잠금부(25)를 통하여 슬라이딩 베이스(22)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관절의 회전만으로 부하를 부여 또는 해제하는 운동을 할 수 있어, 내, 외전근이 불편한 사용자도 하나의 운동 기구에서 관절 운동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마다 신체 사이즈가 상이하고 다리를 오므리거나 벌리는 폭이 다를 경우 슬라이딩 베이스(22) 양측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토퍼(27)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베이스(22)가 좌우 운동할 수 있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기구에서 성인, 남녀, 노소 누구나 다양한 하체 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 및 적용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메인 프레임 11 : 스토퍼
20. 운동부 21. 레일
22. 슬라이딩 베이스 22a. 슬라이딩 베이스 홀
23. 발판 23a. 발판 홀
24. 수평롤러 25. 슬라이딩 잠금부
26. 발판 회전 스토퍼 27. 스토퍼
30. 하중부 31. 수직롤러
32. 무게추 32a. 무게추 관통 홀
32b. 고정추 33. 횡 방향 무게추 핀
40. 와이어

Claims (7)

  1. 메인 프레임(10);과 레일(21)을 따라 횡 방향으로 왕복하는 슬라이딩 베이스(22)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 상측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발판(23)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평롤러(24)가 구비되어 상기의 메인 프레임(10)에 내장되는 운동부(20);와 상기의 메인 프레임(10)에 수직으로 결합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롤러(31)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추(32)가 메인 프레임(10)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분리되며 각각 횡 방향으로 무게추 관통홀(32a)이 구비되어 횡 방향 무게추 핀(33)에 의하여 관통하여 구비되는 하중부(30);와 상기의 수평롤러(24)와 수직롤러(31)를 따라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와 무게추(32)를 연결하는 와이어(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22)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딩 베이스 홀(22a)이 구비되고 상기의 발판(23)에 1개 또는 2개의 발판 홀(23a)이 구비되며, 상기의 슬라이딩 베이스 홀(22a)과 발판 홀(23a)을 관통하는 발판 회전 스토퍼(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13451A 2016-02-03 2016-02-03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KR101698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451A KR101698885B1 (ko) 2016-02-03 2016-02-03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451A KR101698885B1 (ko) 2016-02-03 2016-02-03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885B1 true KR101698885B1 (ko) 2017-01-23

Family

ID=5798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451A KR101698885B1 (ko) 2016-02-03 2016-02-03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8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730A3 (ko) * 2017-02-02 2018-10-04 (주)드림헬스 하체 운동 기구
CN113018792A (zh) * 2021-04-20 2021-06-25 巢湖学院 一种体育健身用的韧带拉伸训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47B1 (ko) * 2012-04-25 2013-09-26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KR101323261B1 (ko) 2012-05-18 2013-10-30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KR20130122590A (ko) * 2013-08-26 2013-11-07 강기완 운동기구
KR20150073178A (ko) * 2012-10-19 2015-06-30 (주)에드보우 체형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47B1 (ko) * 2012-04-25 2013-09-26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KR101323261B1 (ko) 2012-05-18 2013-10-30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KR20150073178A (ko) * 2012-10-19 2015-06-30 (주)에드보우 체형 교정장치
KR20130122590A (ko) * 2013-08-26 2013-11-07 강기완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730A3 (ko) * 2017-02-02 2018-10-04 (주)드림헬스 하체 운동 기구
CN113018792A (zh) * 2021-04-20 2021-06-25 巢湖学院 一种体育健身用的韧带拉伸训练器
CN113018792B (zh) * 2021-04-20 2021-11-23 巢湖学院 一种体育健身用的韧带拉伸训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US11135470B2 (en) Exercise apparatus
US9586074B2 (en) Portable collaborative exercise device
US9364700B2 (en) Waist twisting station
KR200486552Y1 (ko) 철봉 운동기구
WO2017205923A1 (en)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US9682270B2 (en) Apparatus for exercise
WO2020163293A1 (en) Exercise equipment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KR101698885B1 (ko)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KR102012192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US9895574B2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US10569127B2 (en) Core exercise machine
CN110559600A (zh) 一种多功能健身椅
KR102120008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개량형 의자 어셈블리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102533017B1 (ko) 스트레칭 및 근력 운동 기구
CN205412084U (zh) 一种健身器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2482764B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20140124194A (ko) 호랑이걸음용 다용도 운동기구
KR200476052Y1 (ko) 근력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