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989A - 대둔근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대둔근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989A
KR20150031989A KR20130111925A KR20130111925A KR20150031989A KR 20150031989 A KR20150031989 A KR 20150031989A KR 20130111925 A KR20130111925 A KR 20130111925A KR 20130111925 A KR20130111925 A KR 20130111925A KR 20150031989 A KR20150031989 A KR 2015003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r
gear
user
g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기
Original Assignee
이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기 filed Critical 이준기
Priority to KR2013011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989A/ko
Publication of KR2015003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는, 사용자의 몸체 뒷면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바; 상기 상부 고정바가 고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둔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바; 및 상기 사용자의 몸체 앞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바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둔근 운동 기구{EXERCISE MACHINE FOR GLUTAEUS MAXIMUS}
본 발명은 대둔근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등을 단련 및 강화할 수 있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래 동안 앉아 있는 운전자와 학생, 몸매에 관심이 많은 여성, 많은 나이에 의하여 굽힌 허리를 가진 노인이나 구부정한 허리를 가진 사람, 전립선이 약화되는 갱년기나 중년의 남성, 내반슬(일명 오다리)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에는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등의 운동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평상 시에는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등에 자극을 주는 동작이 거의 없고, 걷기, 달리기 등의 운동 또한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등에 자극을 주면서 운동하기가 어렵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근 손실로 인하여 데스테스테론 분비가 저하되어 성인병이나 무력감을 느낄 수 있다. 스쿼트 또는 데드 리트프 등의 웨이트 운동은 대둔근 훈련에는 효과적이나 바른 자세로 운동을 하기가 어려우며 각 가정에서 바벨이나 중량물 등을 보관하기도 어렵다.
이와 같이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등은 매우 중요한 근육이나 가정에서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운동 기구가 없어 그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 강도를 조절하여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허벅지 안쪽 근육 등을 단련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균형 잡힌 체형 및 자신감 있는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는 대둔근 운동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는, 사용자의 몸체 뒷면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바; 상기 상부 고정바가 고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둔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바; 및 상기 사용자의 몸체 앞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바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바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 내에 제1 기어부가 일단에 위치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위치하고, 상기 제2 본체부 내에 상기 제1 기어부에 결합하는 제2 기어부가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바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에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부의 후방에 고정 스토퍼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 스토퍼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 스토퍼와 이격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탄성 걸림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고정 스토퍼와 상기 탄성 걸림부 사이의 제1 위치 또는 상기 탄성 걸림부 후방의 제2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분리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부는, 제1 기어 및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큰 면적을 가져 상기 고정용 돌출부와 상기 제1 본체부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용 돌출부가 걸리는 고정용 쐐기부가 위치하여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돌출부와 상기 고정용 쐐기부에 의한 상기 이동부의 가동 각도가 4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는, 바른 자세로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허벅지 안쪽 근육 등을 단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근력, 체력 등을 고려하여 강도를 조절하여 운동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허리가 굽는 현상을 예방하고, 괄약근 등을 자극하여 중년의 건립선 건강을 도모하고, 내반슬, 팔자 걸음 등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작은 부피를 가져 가정에서 쉽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대둔근 운동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대둔근 운동 기구의 제1 및 제2 본체부가 제1 위치에서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대둔근 운동 기구의 제1 및 제2 본체부가 제2 위치에서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대둔근 운동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100)는, 사용자의 몸체 뒷면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바(10)와, 제1 고정부(42)에 의하여 상부 고정바(10)가 고정되며 사용자의 둔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바(20)와, 사용자의 몸체 앞면에 위치하며 제2 고정부(44)에 의하여 하부 고정바(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3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고정바(20)에는 상부 고정바(10) 및 이동바(30)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안착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고정바(10), 하부 고정바(20) 및 이동바(30)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며 바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10a, 20a, 30a)와, 본체부(10a, 20a, 30a)의 외면을 감싸는 쿠션부(10b, 20b, 3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a, 20a, 30a)는 반복되는 운동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10b, 20b, 30b)는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었을 때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몸에 접촉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가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 예로, 본체부(10a, 20a, 30a)는 금속 또는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쿠션부(10b, 20b, 30b)는 스펀지와 같은 발포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고정바(20)의 본체부(20a)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부 고정바(10)의 본체부(10a)와 하부 고정바(20)의 본체부(20a)를 연결하는 제1 고정부(42), 그리고 하부 고정바(20)의 본체부(20a)와 이동바(30)의 본체부(30a)를 연결하는 제2 고정부(44)는 이들의 중앙 부분을 지나면서 상부 고정바(10), 하부 고정바(20) 및 이동바(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고정부(42)와 제2 고정부(44)가 곡률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몸체의 앞면으로부터 뒷면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운동할 때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고정부(42) 및 제2 고정부(44) 중 적어도 하나에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장치(420, 440)가 구비된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조절 장치(420, 440)가, 제1 고정 홀(422a, 442a)을 포함하는 외관(422, 442)과, 외관(422, 442)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제2 고정 홀(424a, 444a)을 포함하는 내관(424, 444)과, 제1 및 제2 고정 홀(422a, 442a)(424a, 444a)에 삽입되어 내관(424, 444)과 외관(422, 442)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426, 44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26, 446)를 풀어서 내관(424, 444)과 외관(422, 442)을 서로 분리한 다음 내관(424, 444)의 복수 개의 제2 고정 홀(424a, 444a) 중 하나를 제1 고정 홀(422a, 442a)에 일치시킨 후에 제1 및 제2 고정 홀(422a, 442a)(424a, 444a)에 고정 부재(426, 446)를 체결하여 내관(424, 444)과 외관(422, 442)을 고정한다. 이에 의하여 제1 고정부(42)와 제2 고정부(4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고정부(42, 44)의 길이 조절 장치(420, 440)로 다양한 구조,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고정바(20)에는 상부 고정바(10) 및 이동바(30)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안착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50)는 하부 고정바(2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바닥에 지지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50)는 하부 고정바(20)의 본체부(20a) 또는 쿠션부(20b)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안착부(50)에 의하여 하부 고정바(20) 및 이동바(30)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대둔근 운동 기구(100)를 신체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바(30)와 하부 고정바(20)가 사용자의 운동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원리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대둔근 운동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대둔근 운동 기구를 A-A선, B-B선 및 C-C선을 지나면서 점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잘라서 펼쳐 도시한 단면도이다.
하부 고정바(20)의 본체부(20a)는, 서로 결합되는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을 포함한다. 제1 본체부(210)는 내부의 공간을 가지면서 일측 단부(외측 단부)이 개구되고 타측 단부(내측 단부)이 개구되면서 제2 본체부(220) 쪽(좀더 정확하게는 제2 본체부(220) 내에 위치한 연결부(25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본체부(220)는 내부의 공간을 가지면서 제1 본체부(210)와 인접한 단부가 개구되고 제1 본체부(210)와 멀리 있는 단부(외측 단부)가 닫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42)는 본체부(20a)에 연결되고, 제2 고정부(44)는 본체부(20a)의 내부에 위치한 연결부(250)에 연결되며 본체부(20a)에 제2 고정부(44)의 통과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0)에 의하여 이동하는 제2 고정부(44)에 대응하는 개구부는 제2 고정부(44)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 고정부(44)에 의하여 연결된 이동부(30)와 연결부(250)가 연동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면서 제1 고정부(42)에 의하여 연결된 상부 고정부(10)와 하부 고정부(20)는 이동부(30)의 이동과 관계 없이 사용자의 몸체 뒷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고정부(20)와 제1 및 제2 고정부(42, 44)의 고정 구조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 본체부(210)의 내부에는 제1 기어부(242)를 가지는 비틀림 스프링(240)이 위치하고 제2 본체부(220)의 내부에는 제2 기어부(252)를 가지는 연결부(250)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본체부(210)의 개구된 일측에는 제1 본체부(210)의 개구된 일측을 막으면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회전부(230)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본체부(210)의 개구된 일측의 외면에는 제1 나사산(212)이 형성되고, 회전부(230)의 내측면에는 제1 나사산(212)에 맞물리는 제2 나사산(232)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본체 부분(220)의 개구된 일측에 회전부(230)이 회전 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부(210)의 제1 나사산(212)에 회전부(230)의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 고정부(234)가 위치한다. 회전 고정부(234)의 내면에는 제1 나사산(212)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부(230)을 회전시킨 다음 회전 고정부(234)를 이용하여 회전부(2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에 의하여 회전부(230)의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회전 고정부(234)으로는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본체부(20a)의 내부에는 비틀림 스프링(240)이 위치한다. 비틀림 스프링(240)은 비틀림 응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는 스프링으로서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240)은 이동부(30)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이동부(30)를 밀어야 이동부(30)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틀림 스프링(240)의 일단에는 제1 기어부(242)가 위치하고, 비틀림 스프링(240)의 타단은 회전부(230)에 고정된다.
제1 기어부(242)는, 제1 기어(242c) 및 고정용 돌출부(242d)가 형성되는 제1 부분(242a)과, 제1 부분(242a)보다 큰 면적을 가져 고정용 돌출부(242d)와 하부 고정바(20)의 본체부(20a) 내면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제2 부분(24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기어(242c)는 암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0a)(좀더 상세하게는, 제1 본체부(210))의 내면에는 고정용 돌출부(242d)가 걸리는 고정용 쐐기부(212d)가 위치할 수 있다. 고정용 쐐기부(212d)는 고정용 돌출부(242d)의 이동을 막는 다양한 구조,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고정용 돌출부(242d)가 서로 반대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두 개가 구비되고, 고정용 쐐기부(212d)가 서로 반대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두 개가 구비된다. 그러면, 고정용 돌출부(242d)가 두 개의 고정용 쐐기부(212d) 사이에서 이동하여 제1 기어부(242)가 180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고정용 돌출부(242d) 및 고정용 쐐기부(212d)의 개수 및 위치, 고정용 돌출부(242d) 및 고정용 쐐기부(212d)에 의한 제1 기어부(242)의 회전 각도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고정용 돌출부(242d)와 고정용 쐐기부(212d)에 의하여 제1 기어부(242)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여 하부 고정바(20)에 고정된 이동바(30)의 가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이동바(30)의 가동 각도는 대략 45도 이내(일 예로, 20도 내지 45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동바(30)의 가동 범위는 고정용 돌출부(242d) 및 고정용 쐐기부(212d)에 의한 제1 기어부(242)의 회전 각도, 비틀림 스프링(240)의 재질, 크기 및 그에 따른 탄성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230)에는 비틀림 스프링(240)이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부(236)가 위치한다. 이에 의하여 비틀림 스프링(240)의 타단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23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부(230)를 회전시켜 비틀림 스프링(240)의 길이를 변화시키면,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변화시켜 비틀림 스프링(240)의 변형에 필요한 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대둔근 운동 기구(100)의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본체부(220) 내부에는 제1 기어부(242)에 맞물리는 제2 기어부(252)를 가지며 제2 고정부(44)에 연결되는 연결부(250)가 위치한다. 제2 기어부(252)는 제1 기어(242c)에 맞물리는 제2 기어(252b)를 구비한다. 일 예로, 제2 기어(252b)는 제1 기어(242c)에 맞물리는 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어부(242)와 제2 기어부(252)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이동바(30)에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 이상의 힘을 제공한 경우에만 제2 기어부(252) 및 이에 맞물린 제1 기어부(242)가 회전되면서 이동바(30)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어부(252)는 제2 기어(252b)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 본체부(210)가 제2 본체부(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스토퍼(252a)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스토퍼(252a)의 후방에는 고정 스토퍼(252a)와 이격되면서 탄성 걸림부(252c)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걸림부(252c)는 일정한 힘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제2 기어부(252)가 탄성 걸림부(242c)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볼-스프링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스토퍼(252a) 및 탄성 걸림부(252c)는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의 결합 위치가 제1 또는 제2 위치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바(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는 제1 위치에서 결합되면 이동바(30)에 아주 작은 힘을 가하여 이동바(3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가 제2 위치에서 결합되면 이동바(30)에 운동에 의한 큰 힘을 주어야 이동바(3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위치에서 이동바(30)의 이동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100)의 제1 및 제2 본체부(210, 220)가 제1 위치에서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둔근 운동 기구(100)의 제1 및 제2 본체부(210, 220)가 제2 위치에서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위치에서는 제1 본체부(210)의 내측 단부가 고정 스토퍼(252a)와 탄성 걸림부(252c)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면, 본체부(20a) 내부의 제1 기어부(242)와 제2 기어부(252)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제1 기어부(242)와 제2 기어부(252)가 서로 분리된다. 이에 의하여 제2 기어부(252)가 위치한 연결부(250)에 연결된 이동바(30)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동바(3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에 대둔근 운동 기구(100)를 쉽게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위치에서는 제1 본체부(210)의 내측 단부가 탄성 걸림부(252c) 후방에 위치한다. 그러면, 본체부(20a) 내부의 제1 기어부(242)와 제1 기어부(252)의 거리가 가까워서 제1 기어부(242)와 제2 기어부(252)가 서로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제2 기어부(252)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242)에 고정된 비틀림 스프링(240)이 제2 기어부(252)가 형성된 연결바(250)에 연결된 이동바(30)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에 의하여 이동바(30)에 일정 이상의 힘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이동바(3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바(3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대둔근 운동 기구(100)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대둔근 운동 기구(1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고정바(20)의 제1 본체부(210)를 외측으로 당겨서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를 제1 위치에서 결합하여 이동바(30)의 각도 제한을 해제한다. 그리고 이동부(30)를 상부 고정바(10)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다음에, 사용자의 몸체 앞면에 이동바(30)가 위치하고 뒷면에 상부 고정바(10)가 위치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한 다리를 제2 고정부(44)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사용자의 다른 다리를 제2 고정부(44)의 다른 측에 위치시킨다. 이에 의하여 하부 고정바(20)가 사용자의 둔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몸은 무릎과 허리가 굽혀진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안착부(50)에 의하여 상부 고정바(10)와 이동바(30)가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상부 고정바(10)와 이동바(30) 사이에 몸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바(30)를 사용자의 몸체 쪽으로 당긴 후에 제1 본체부(210)를 내측으로 밀어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를 제2 위치에서 결합시킨다. 그러면, 제1 기어부(242)와 제2 기어부(252)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가지므로 제1 기어부(242)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가할 경우에만 이동부(30)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회전부(230)를 회전하여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몸을 펴서 대둔근, 척추 기립근 등의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몸을 펴기 위해서는 대둔근, 척추 기립근 등을 이용하여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힘을 이동부(30)에 가하여만 이동부(30)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을 펴기 위해서는 대둔근, 척추 기립근에 힘을 주어야 하므로 대둔근, 척추 기립근 등의 근육을 키울 수 있는 운동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몸을 펴서 이동부(30)가 이동하게 되면 제1 및 제2 기어부(242, 252)가 회전하게 되는데, 제1 기어부(242)의 고정용 돌출부(242d)가 고정용 쐐기부(212d)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이동부(30)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도 6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을 굽혔다가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대둔근, 척추 기립근 등의 운동을 반복하여 할 수 있다. 몸을 굽히는 경우에도 제1 및 제2 기어부(242, 252)가 회전하게 되는데, 제1 기어부(242)의 고정용 돌출부(242d)가 고정용 쐐기부(212d)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이동부(30)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몸을 펴서 이동부(30)가 이동할 때 제1 기어부(242)의 고정용 돌출부(242d)가 고정용 쐐기부(212d)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이동부(30)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을 굽혔다가 펴는 동작에서 이동부(30)의 가동 범위는 고정용 돌출부(242d)와 고정용 쐐기부(212d) 등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대둔근, 척추 기립근 등의 운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동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대둔근 운동 기구(100)는, 바른 자세로 대둔근, 척추 기립근, 괄약근, 허벅지 안쪽 근육 등을 단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근력, 체력 등을 고려하여 회전부(230)를 회전시켜 비틀림 스프링(240)의 강도를 조절하여 운동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허리가 굽는 현상을 예방하고, 괄약근 등을 자극하여 중년의 건립선 건강을 도모하고, 내반슬, 팔자 걸음 등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대둔근 운동 기구(100)는 작은 부피를 가져 가정에서 쉽게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둔근 운동 기구
10: 상부 고정바
20: 하부 고정바
30: 이동바

Claims (7)

  1. 사용자의 몸체 뒷면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바;
    상기 상부 고정바가 고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둔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바; 및
    상기 사용자의 몸체 앞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바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
    를 포함하는 대둔근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바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 내에 제1 기어부가 일단에 위치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위치하고,
    상기 제2 본체부 내에 상기 제1 기어부에 결합하는 제2 기어부가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바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위치하는 대둔근 운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에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이 제어되는 대둔근 운동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의 후방에 고정 스토퍼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 스토퍼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 스토퍼와 이격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탄성 걸림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고정 스토퍼와 상기 탄성 걸림부 사이의 제1 위치 또는 상기 탄성 걸림부 후방의 제2 위치에서 고정되는 대둔근 운동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분리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결합되는 대둔근 운동 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는, 제1 기어 및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큰 면적을 가져 상기 고정용 돌출부와 상기 제1 본체부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용 돌출부가 걸리는 고정용 쐐기부가 위치하여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대둔근 운동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출부와 상기 고정용 쐐기부에 의한 상기 이동부의 가동 각도가 45도 이하인 대둔근 운동 기구.
KR20130111925A 2013-09-17 2013-09-17 대둔근 운동 기구 KR20150031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925A KR20150031989A (ko) 2013-09-17 2013-09-17 대둔근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925A KR20150031989A (ko) 2013-09-17 2013-09-17 대둔근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989A true KR20150031989A (ko) 2015-03-25

Family

ID=5302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925A KR20150031989A (ko) 2013-09-17 2013-09-17 대둔근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9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176Y1 (ko) * 2018-08-24 2020-02-27 추앙 룽-페이 다중 위치 조절식 운동 장치
KR20210067095A (ko) 2019-11-29 2021-06-08 김창성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176Y1 (ko) * 2018-08-24 2020-02-27 추앙 룽-페이 다중 위치 조절식 운동 장치
KR20210067095A (ko) 2019-11-29 2021-06-08 김창성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5871B2 (en) Body weight trainer
Comerford et al. Functional stability re-training: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managing mechanical dysfunction
RU26137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намической растяжки, укрепления и стабилизации с целью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и переучивания
US9205295B2 (en) Exercise device
US20140221881A1 (en)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US7094189B2 (en) Apparatus for fitness stretching
US10456620B1 (en) Squat and spinal fitness and rehabilitation device
KR20080017891A (ko) 윗몸일으키기
US201602567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ysical Exercise
US20160236026A1 (en) Double ended exercise device
KR20150031989A (ko) 대둔근 운동 기구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101323261B1 (ko)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102264153B1 (ko)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KR101975563B1 (ko) 스쿼트 운동 장치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20200002105U (ko) 복근운동기구
KR20100000660U (ko) 다목적 슬라이드 운동기구
KR101768999B1 (ko) 하체운동기구
JP4292520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20190113310A (ko) 스쿼트용 운동기구
KR101590921B1 (ko) 운동기구
KR200380528Y1 (ko) 체력단련수단이 형성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