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05U - 복근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근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05U
KR20200002105U KR2020190001096U KR20190001096U KR20200002105U KR 20200002105 U KR20200002105 U KR 20200002105U KR 2020190001096 U KR2020190001096 U KR 2020190001096U KR 20190001096 U KR20190001096 U KR 20190001096U KR 20200002105 U KR20200002105 U KR 202000021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trest
exercise
abdominal
f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신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훈 filed Critical 신상훈
Priority to KR2020190001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105U/ko
Publication of KR20200002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복근운동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복근운동기구는 소정길이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바닥에 앉아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다리를 구부리거나 펴면서 발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체 및 복근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근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to strengthen the abdominal muscles}
본 고안은 복근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여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체 및 복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근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부족으로 인해 각종 근육계 및 내장질환의 발생율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복부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 복부비만에 따른 각종 대사질환을 비롯해 소화기계통 질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강을 위해 운동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각종 운동기구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운동기구 중에서도 하체(허벅지) 운동에 대한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있으며, 이러한 하체 운동기구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21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701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34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037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는 자전거나 레그 익스텐션으로서, 하체강화에는 어느정도 효과가 있으나, 복근을 강화하는 효과는 기대에 못미치는 아쉬움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매우 고가여서 헬스클럽 등에서만 비치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복근을 강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경우가 많으나, 윗몸일으키기 운동은 허리에 무리를 주어 허리통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윗몸일으키기 외에 하체운동과 더불어 복근까지 함께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없기 때문에, 하체운동기구와 복근운동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이에 따른 부담이 가중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21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701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3493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제품단가가 낮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두 발을 고정시키고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하체 및 복근운동이 탁월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복근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두 발을 고정시키고 다리를 구비리고 펴는 동작을 반복할 때, 발을 미는 동작 보다는 발을 당기를 동작을 할 때 강한 운동부하가 발생하여 복근에 강한 자극을 줌으로써 하체강화는 물론 복근강화에 탁월한 효과를 줄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복근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복근운동기구는 소정길이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바닥에 앉아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다리를 구부리거나 펴면서 발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체 및 복근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전단부가 후단부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를 밀어줄 때 상기 발판부가 상기 경사진 전단부를 따라 올라가도록 구성되어 운동강도가 증가되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는, 사용자의 두 발이 함께 올려지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에 올려진 사용자의 두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가 구비되어, 상기 롤러부가 상기 레일부재에 안내되면서 상기 발판부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를 당길 때, 신장되면서 탄성복원력에 발생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를 밀때보다 당길 때 복근에 더 강한 자극이 발생되어 복근운동강도를 높이게 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웨이트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복근운동기구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앉은 상태에서 두 발을 발판부에 고정하여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하체는 물론 복근강화에 탁월한 효과를 줄 수 있다.
특히,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성이 편리하며 사용공간에 제약을 덜 받아 가정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낮가를 낮출 수 있어 구매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리를 구부려 발판부를 당길 때 탄성스프링이 늘어나 탄성복원력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다리를 펴 발판부를 밀때보다는 다리를 구부려 발판부를 당길 때 운동부하가 더 발생되게 함으로써 하체강화 뿐 아니라, 복근강화에 탁월한 효과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발판부를 밀거나 당기는 운동부하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증가시키도록 웨이트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맞게 운동부하를 조절하여 하체 및 복근강화운동을 시행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근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복근운동기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복근운동기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근운동기구의 일부구성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근운동기구의 사용예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근운동기구의 추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근운동기구(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복근운동기구(10)는 본체부(100), 발판부(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소정길이를 갖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판넬형태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0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10)과 커버판(102)으로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본체케이싱(101)의 개방된 상부에 커버판(102)이 덮혀지도록 본체케이싱(101)의 상단 테두리에 커버판(102)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전단부(110b)는 후단부(110a)보다 소정각도 상향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단부(110a)는 지지면(바닥)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0)의 상면 즉 커버판(102)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갖는 슬릿공(10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발판부(200)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발판부(200)에 두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바닥에 앉아 두 발을 발판부(200)에 고정한 상태에서, 다리를 구부고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체 및 복근운동이 이루어지게 하도록 구성된다.
발판부(200)는 사용자의 두 발이 함께 올려지는 발판(210)과, 이 발판(210)의 양측에 설치되어 발판(210)에 올려진 사용자의 두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4,2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부재(214,215)는 말단에 각각 암수벨크로(216)가 형성된 한 쌍의 벨크로밴드(214,215)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발판(210) 위에 사용자의 두 발을 올려놓고, 한 쌍의 벨크로밴드(214,215)의 말단을 서로 겹쳐 암수벨크로(216)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두 발을 발판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발판부(200)가 본체부(100)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본체부(100)에는 레일부재(106)가 구비되고, 발판부(200)에는 롤러부(22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일부재(106)는 소정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부(2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레일부재(06)는 본체부(100)와 대응되도록 전단부가 후단부에 대해 소정각도 상향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일부재(106)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공(106a)이 형성되며, 이 절개공(106a)은 슬릿공(104)과 서로 일치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절개공(106a)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공(106b)이 형성되며, 연장공(106b)의 양측에는 롤러안착공(106c)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공(106a), 연장공(106b), 롤러안착공(106c)은 레일부재(10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레일부재(106)의 전후단을 관통하여 개방된 형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부(220)는 수직지지대(221)와, 수직지지대(221)의 하단에 양측으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는 축부재(222) 및, 축부재(222)의 양단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롤러(2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수직지지대(221)의 상단이 발판(210)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221)의 상단은 발판(210)의 하단 중앙에 용접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완전히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볼트결합 등으로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아울러, 수직지지대(221)의 상단이 발판(210)의 하단 중앙에 힌지부 등으로 연결되어 발판(210)이 수직지지대(221)의 상단에 전후로 힌지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대(221)는 슬릿공(114)과 절개공(106a)에 삽입되고, 축부재(222)는 연장공(106b)에 삽입되며, 한 쌍의 롤러(224)는 각각의 롤러안착공(106c)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두 발이 발판부(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동작하여, 발판부(220)가 전진 하거나 후진하게 되면, 롤러(224)가 롤러안착공(106c)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전후 이동되며, 이때, 롤러(224)의 이동에 따라 수직지지대(221)와 축부재(222)도 슬릿공(114), 절개공(106a) 및 연장공(106b)을 따라 전후진이동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발판부(200)가 본체부(100)에 대해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본체부(100)에 레일부재(106)가 구비되고, 발판부(200)에는 레일부재(106)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롤러부(2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00)에 레일이 설치되고, 발판부(200)에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어, 발판부(200)가 본체부(100)에 대해 전후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 이외에도 발판부(200)가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이면 여타의 이동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복근운동기구(1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바닥에 앉아 두 발을 발판(210)에 올리고 고정부재(214,215)를 결합하여, 두 발을 발판(210)에 고정시킨 다음,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체와 복근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사용자가 다리를 구부리거나 펴는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발판부(200)를 밀거나 당기는 경우, 사용자에게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탄성스프링(3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의 전단부(100b)가 후단부(100a)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다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다리를 펴는 경우, 소정구간에서는 발판부(200)가 수평전진하고, 소정구간 이후 즉 발판부(200)가 본체부(100)의 경사진 전단부(100b)를 따라 이동될 때에는 발판부(200)가 상향경사방향으로 전진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느끼는 운동부하가 증가시켜 운동강도를 높일 수 있다.
탄성스프링(300)은 롤러부(220)의 축부재(222)와 본체부(100)의 전단내벽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레일부재(106)의 연장공(106b)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탄성스프링(00)은 축부재(222)와 본체부(100)의 전단내벽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축부재(222)와 레일부재(106)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다리를 구부려 발판부(200)가 본체부(100)의 후단측으로 당겨질때, 탄성스프링(300)의 늘어나면서 탄성스프링(300)이 원상태로 수축하려는 탄성복원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발판부(200)가 후퇴하는 방향에 대해 저항력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리를 구부릴 때 복근에 힘이 많이 발생되게 하여 복근에 강한 자극이 발생되고 복근운동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본체부(100)의 전단부(100b)가 후단부(100a)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다리를 구부려 발판부(200)가 후퇴하는 경우, 본체부(100)가 평평한 형태에 비해 복근에 자극이 더 발생하여 운동강도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다리를 펴면서 발판부(200)를 밀어줄때는 탄성스프링(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발판부(200)를 당길 때보다는 보다 힘을 덜 들이면서 밀어줄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복근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다리를 구부리고 피면서 발로 발판부(200)를 밀거나 당길 때, 발판부(200)를 밀거나 당기는데 더 많이 힘이 필요하여 운동강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웨이트부재(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트부재(400)는 중공부를 구비한 금속원반형태의 웨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웨이트부재(400)는 다양한 무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무게와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220)의 수직지지대(221)에 탈장착하도록 구성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판부(200)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부(220)의 수직지지대(221)에는 양측 연장되는 한 쌍의 끼움바(412)가 구비되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한 쌍의 끼움바(412)의 외측단에는 핀삽입공(413)이 각각 형성되고, 이 핀삽입공(413)에는 빠짐방지핀(415)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능력에 맞는 웨이트부재(400)를 골라, 끼움바(412)에 끼운 후, 웨이트부재(400)가 끼움바(412) 빠지지 않도록 빠짐방지핀(415)을 핀삽입공(413)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이트부재(400)를 롤러부(2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닥에 앉아 발을 발판부(200)에 고정하고, 다리를 구부리거나 펴면서 발판부(20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면, 웨이트부재(400)에 의해 발판부(200)를 밀거나 당길 때는 필요한 힘이 증가되어 하체나 복근운동의 운동강도를 강화시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바닥에 엉덩이가 직접 닿도록 앉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00)의 후단에는 지면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부재(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엉덩이를 바닥에 직접 닿지 않게 않고, 시트부재(미도시) 위에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만, 시트부재는 본체부(100)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바닥에 직접 닿지 않았을 뿐, 실질적으로는 바닥에 앉는 것과 동일한 형태로 앉은 자세가 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체부
100a...후단부
100b...전단부
101...본체케이싱
102...커버판
104...슬릿공
106...레일부재
106a...절개공
106b...연장공
106c...롤러안착공
200...발판부
210...발판
214,215...고정부재
220...롤러부
221...수직지지대
222...축부재
224...롤러
300...탄성스프링
400...웨이트부재
412...끼움바
413...핀삽입공
415...빠짐방지핀

Claims (6)

  1. 소정길이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바닥에 앉아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다리를 구부리거나 펴면서 발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체 및 복근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단부가 후단부에 대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를 밀어줄 때 상기 발판부가 상기 경사진 전단부를 따라 올라가도록 구성되어 운동강도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사용자의 두 발이 함께 올려지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에 올려진 사용자의 두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롤러부가 구비되어, 상기 롤러부가 상기 레일부재에 안내되면서 상기 발판부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를 당길 때, 신장되면서 탄성복원력에 발생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를 밀때보다 당길 때 복근에 더 강한 자극이 발생되어 복근운동강도를 높이게 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기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웨이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기구.
KR2020190001096U 2019-03-18 2019-03-18 복근운동기구 KR202000021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96U KR20200002105U (ko) 2019-03-18 2019-03-18 복근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96U KR20200002105U (ko) 2019-03-18 2019-03-18 복근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5U true KR20200002105U (ko) 2020-09-28

Family

ID=7266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96U KR20200002105U (ko) 2019-03-18 2019-03-18 복근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1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36B1 (ko) 2023-09-15 2024-04-30 김재숙 복부 운동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08B1 (ko) 2003-09-09 2006-05-23 김훈선 하체 운동기구
KR200453493Y1 (ko) 2009-03-13 2011-05-06 (주)맥디자인 실외용 레그 익스텐션컬 기구
KR101167017B1 (ko) 2010-03-10 2012-07-24 최철규 사이클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08B1 (ko) 2003-09-09 2006-05-23 김훈선 하체 운동기구
KR200453493Y1 (ko) 2009-03-13 2011-05-06 (주)맥디자인 실외용 레그 익스텐션컬 기구
KR101167017B1 (ko) 2010-03-10 2012-07-24 최철규 사이클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36B1 (ko) 2023-09-15 2024-04-30 김재숙 복부 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702B2 (en)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for stationary users
US9446276B2 (en) Exercis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bdominal muscles
US4635926A (en) Weight lifting type exercising device
CN110621383A (zh) 用于执行臀桥运动的锻炼装置
KR10102878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US20120040811A1 (en) Enhanced Push-Up Bars
US9168165B2 (en) Squat and lunge training device
US7604580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20080119338A1 (en) Body posture and physical fitness exercise device
US20060270535A1 (en) Wheeled abdominal exerciser
US20040014570A1 (en) Exercise bench
KR101441290B1 (ko) 근력운동 및 마사지 의자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US20080200319A1 (en) Exerciser with the legs being supported thereon by hanging in performing exercise
US20150297931A1 (en) Chin-up exercise mechanism for inclined body
US20030050156A1 (en) Exercise apparatus
KR20200002105U (ko) 복근운동기구
US6432029B1 (en) Exercise assembly
US6485400B1 (en) Gymnastic means
KR101870101B1 (ko) 로만 체어로 변형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RU2606576C1 (ru) Тренажер
JP3197972U (ja) 腹部運動用座椅子
US20200078656A1 (en)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for Stationary Users
KR20150031989A (ko) 대둔근 운동 기구
CN107198853B (zh) 深蹲辅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