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212A -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212A
KR20240028212A KR1020220106419A KR20220106419A KR20240028212A KR 20240028212 A KR20240028212 A KR 20240028212A KR 1020220106419 A KR1020220106419 A KR 1020220106419A KR 20220106419 A KR20220106419 A KR 20220106419A KR 20240028212 A KR20240028212 A KR 2024002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rod
rod
main frame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일
김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루트
김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루트, 김장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루트
Priority to KR102022010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212A/ko
Publication of KR2024002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2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9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separate for each leg, e.g. dual d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022/027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with reversible direction of the runn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 또는 동시에 또는 번갈아 왕복 가능한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와,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에 보강 구조가 구비된 보강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게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도 뒤틀림이나 변형 없이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STRENGTH EXCERCISE MACHINE OF CROSS SLIDING TYPE}
본 발명은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게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도 뒤틀림이나 변형 없이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팬데믹 사태가 장기화됨으로 인하여 직장인과 학생들의 업무 및 학업 스타일이 점차 비대면 재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현대인은 앉아서 업무 및 학습하는 것에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보내며 체육 활동을 거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운동 부족이 될 우려가 다분하다.
특히, 장시간 앉아있을 경우 하체 근육이 약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하체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틈틈이 해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하체 운동 또는 스트레칭을 도울 수 있는 장치로 개발된 것에, 등록특허 제10-1134999호의 "타동식 운동 보조 장치"(이하 '선행1') 및 등록특허 제10-1252723호의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이하 '선행2')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1 및 선행2는 구조적으로 너무 복잡하며, 고장 발생 개소가 많으며, 고가일 수 밖에 없으므로, 널리 보급하여 활용하기에는 가격의 측면에서 다소 부담스러운 한계점이 있다.
특히, 선행1은 지지 구조가 없이 단순한 발판 구조로 되어 있어 운동중 사용자의 부주의로 넘어질 경우 부상의 우려가 있다.
또한, 선행2는 운동 경로가 단순히 직선 왕복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치를 이용하여 운동함에 쉽게 지루해지고 운동을 지속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134999호 등록특허 제10-12527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게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도 뒤틀림이나 변형 없이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 전방 및 좌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직경을 가진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복수의 제1 연결 봉과,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벨트 시트를 포함하는 좌측 벨트 어셈블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우측 전방 및 우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직경을 가진 우측 전방지지 봉 및 우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복수의 제2 연결 봉과,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과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 벨트 시트를 포함하는 우측 벨트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을 회전 지지하는 제1 좌측 바 및 제1 우측 바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과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을 회전 지지하는 제2 좌측 바 및 제2 우측 바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보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벨트 시트와 상기 우측 벨트 시트는 각각 또는 동시에 또는 번갈아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벨트 어셈블리 각각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 바와, 상기 전방 바의 양단부 중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 바와 직교하며 상기 제1 좌측 바의 외측을 감싸는 제1 측방 바와, 상기 전방 바의 양단부 중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 바와 직교하며 상기 제2 우측 바의 외측을 감싸는 제2 측방 바와, 상기 전방 바의 중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벨트 어셈블리를 좌우로 구획하는 중간구획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각각의 양단부 외주면과 접하는 직선들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은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의 상부 가장자리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의 양단부 외주면과 접하는 직선들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의 상부 가장자리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유닛은,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이 설치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보강 리브편과, 복수의 상기 보강 리브편 각각의 하부측에 관통된 연결봉 지지홀과, 상기 연결봉 지지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된 연결봉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는 제1 봉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 유닛은,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 각각의 양단부측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각각 절개 형성되는 안착 절개부와, 상기 안착 절개부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된 지지봉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는 제2 봉지지 베어링과,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를 각각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중 최전방의 제1 연결 봉 및 제2 연결 봉과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 보강 격편과,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를 각각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중 최후방의 제1 연결 봉 및 제2 연결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 보강 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 유닛은,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를 상호 연결하는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블록의 상면은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의 외주면보다 낮거나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의 좌우측에 설치된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 각각의 좌측 벨트 시트와 우측 벨트 시트의 왕복을 지지하는 바 들에 보강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뒤틀림이나 변형 없이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장치 전체의 수명 연한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각각 또는 동시에 또는 번갈아 왕복 가능하며,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각각 형성하는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에 의하여 인간의 신체 조건상 가장 쉬운 자세로 역동적이며 재미있는 운동을 지속할 수 있음은 물론, 하체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돌출지지 봉과 높낮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 등의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체형과 체격을 가진 사용자들이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다양한 자세를 유지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힙업 효과는 물론 하체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신근육의 발달 또한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행기술들에 비하여 불필요하고 복잡한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염가로 제공되므로, 경제적으로도 부담없이 널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운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선수들이나 그에 준하는 사용자들의 스트레칭이나 재활 훈련을 돕는 기구로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의 좌측 벨트 시트 및 우측 벨트 시트의 왕복에 필요한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의 구조 파악을 위하여 좌측 벨트 시트 또는 우측 벨트 시트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중 제1 구동전달계 및 제2 구동전달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배면 개념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을 절개하여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중 제1 구동전달계 및 제2 구동전달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의 좌측 벨트 시트(215) 및 우측 벨트 시트(225)의 왕복에 필요한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의 구조 파악을 위하여 좌측 벨트 시트(215) 또는 우측 벨트 시트(225)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중 제1 구동전달계(500) 및 제2 구동전달계(6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배면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을 절개하여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중 제1 구동전달계(500) 및 제2 구동전달계(6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면에서 화살표 F 방향은 전방측을, 화살표 E 방향은 후방측을, 화살표 L 방향은 좌측을, 화살표 R 방향은 우측을, 화살표 U 방향은 상측을, 화살표 D 방향은 하측을 각각 나타낸다.
아울러, 도 7에서 괄호안의 도면부호는 제2 구동전달계(600)의 각 구성요소 및 제2 구동전달계(60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각각 가리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0)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 또는 동시에 또는 번갈아 왕복 가능한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와,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에 보강 구조가 구비된 보강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메인 프레임(100)은 설치대상면(40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설치대상면(400)과 마주보며,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와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가 설치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는 메인 프레임(100)의 좌측 전방 및 좌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직경을 가진 좌측 전방지지 봉(213) 및 좌측 후방지지 봉(2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는 좌측 전방지지 봉(213)과 좌측 후방지지 봉(21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복수의 제1 연결 봉(2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는 좌측 전방지지 봉(213)과 복수의 제1 연결 봉(216)과 좌측 후방지지 봉(214)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벨트 시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는 메인 프레임(100)의 우측 전방 및 우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직경을 가진 우측 전방지지 봉(223) 및 우측 후방지지 봉(2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는 우측 전방지지 봉(223)과 우측 후방지지 봉(22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복수의 제2 연결 봉(22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는 우측 전방지지 봉(223)과 복수의 제2 연결 봉(226)과 우측 후방지지 봉(224)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 벨트 시트(2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유닛(3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좌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좌측 전방지지 봉(213)과 복수의 제1 연결 봉(216)과 좌측 후방지지 봉(214)을 회전 지지하는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와, 메인 프레임(100)의 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우측 전방지지 봉(223)과 복수의 제2 연결 봉(226)과 우측 후방지지 봉(224)을 회전 지지하는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에 형성된다.
여기서 보강 유닛(300)은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때 좌측 벨트 시트(215)와 우측 벨트 시트(225)는 각각 또는 동시에 또는 번갈아 왕복 가능(도 3 내지 도 5참조)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도 1 및 도 2, 특히 도 2와 같이 좌측 전방지지 봉(213) 및 좌측 후방지지 봉(214)과,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각각의 양단부 외주면과 접하는 직선들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함과 동시에, 좌측 전방지지 봉(213) 및 좌측 후방지지 봉(214)과, 복수의 제1 연결 봉(216)은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의 상부 가장자리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우측 전방지지 봉(223) 및 우측 후방지지 봉(224)과,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각각의 양단부 외주면과 접하는 직선들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함과 동시에, 우측 전방지지 봉(223) 및 우측 후방지지 봉(224)과, 복수의 제2 연결 봉(226)은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의 상부 가장자리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보강 유닛(300)은,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연장되어,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및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각각이 설치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보강 리브편(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유닛(300)은 복수의 보강 리브편(310) 각각의 하부측에 관통된 연결봉 지지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유닛(300)은 연결봉 지지홀(312)에 끼움 결합되어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및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된 연결봉 샤프트(217, 227)를 회전 지지하는 제1 봉지지 베어링(3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강 유닛(300)은,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 각각의 양단부측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각각 절개 형성되는 안착 절개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유닛(300)은, 안착 절개부(320)에 안착 고정되며, 좌측 전방지지 봉(213) 및 좌측 후방지지 봉(214)과, 우측 전방지지 봉(223) 및 우측 후방지지 봉(224)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된 지지봉 샤프트(230)를 회전 지지하는 제2 봉지지 베어링(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유닛(300)은,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를 각각 상호 연결하며,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및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중 최전방의 제1 연결 봉(216) 및 제2 연결 봉(226)과 좌측 전방지지 봉(213) 및 우측 전방지지 봉(223)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 보강 격편(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유닛(300)은,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를 각각 상호 연결하며,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및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중 최후방의 제1 연결 봉(216) 및 제2 연결 봉(226)과 좌측 후방지지 봉(214) 및 우측 후방지지 봉(224)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 보강 격편(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전방지지 봉(213) 및 좌측 후방지지 봉(214)과, 우측 전방지지 봉(223) 및 우측 후방지지 봉(224) 각각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 봉지지 베어링(322)의 중심까지 연장되며,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에 직교하는 제1 가상선(ℓ1)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및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각각의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및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각각의 중심까지 연장되며,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에 직교하는 제2 가상선(ℓ2)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상선(ℓ1)의 길이는, 제2 가상선(ℓ2)의 길이보다 크며, 제2 봉지지 베어링(322)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제1 가상선(ℓ1)의 말단과,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및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제2 가상선(ℓ2)의 말단은 좌측 벨트 시트(215) 및 우측 벨트 시트(225)의 상부 내측 천장면과 접촉하는 것을 도 2를 통하여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보강 유닛(300)은,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를 상호 연결하는 양단부를 가지며, 복수의 제1 연결 봉(216) 및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블록(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블록(330)의 상면은 좌측 전방지지 봉(213)과 좌측 후방지지 봉(214)과 우측 전방지지 봉(223)과 우측 후방지지 봉(224)과 복수의 제1 연결 봉(216)과 복수의 제2 연결 봉(226) 각각의 외주면보다 낮거나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좌측 벨트 시트(215) 및 우측 벨트 시트(225)의 원활한 왕복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보강 유닛(300)은,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의 마주보는 내측면과,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보강 블록(330) 각각의 하면 양측을 받침 지지하는 블록지지 브라켓(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지지 브라켓(340)은, 제1 좌측 바(211) 및 제1 우측 바(212)의 마주보는 내측면과, 제2 좌측 바(221) 및 제2 우측 바(222)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편(341)과, 제1 편(341)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편(341)과 직교되게 절곡 연장되어 보강 블록(330)의 하면을 받칩 지지하는 제2 편(3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좌,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a, 200b)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 바(110)와, 제1, 2 측방 바(121, 122) 및 중간구획 커버(13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측방 바(121)는 전방 바(110)의 양단부 중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전방 바(110)와 직교하며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의 가장자리 외측을 감싸는 것이다.
제2 측방 바(122)는 전방 바(110)의 양단부 중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전방 바(110)와 직교하며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의 가장자리 외측을 감싸는 것이다.
중간구획 커버(130)는 전방 바(110)의 중간으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의 벨트 어셈블리(200)를 좌우로 구획하는 것이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은, 도 6과 같이 제1 측방 바(121)와 제2 측방 바(122)를 상호 연결하며 설치대상면(400)과 마주보는 하면을 가지는 복수의 바닥 연결 바(140)와, 복의 바닥 연결 바(140) 각각의 하면에 장착되어 설치대상면(400)에 접촉하는 미끄럼방지 패드(142)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메인 프레임(100)은, 다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또한, 메인 프레임(100)은, 전방 바(110)의 전방 중간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전방 바(11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돌출 봉(150)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은, 중간돌출 봉(150)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1 중간연결구(160)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은, 제1 중간연결구(16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파지 가능한 제1 손잡이 봉(151)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은, 중간돌출 봉(15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중간연결구(170)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은, 제2 중간연결구(17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파지 가능한 제2 손잡이 봉(152)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메인 프레임(100)은, 제2 손잡이 봉(152) 각각의 단부로부터 제1 측방 바(121) 및 제2 측방 바(122) 각각에 연결되도록, 제2 손잡이 봉(152) 각각의 단부와 측방 바에 탈착 결합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파지연결 봉(15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중간연결구(160)는, 중간돌출 봉(150)이 상하로 관통 삽입되는 양단 관통의 제1 중간연결체(161)와, 제1 중간연결체(16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손잡이 봉(151) 각각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제1 손잡이 수용체(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중간연결구(160)는, 제1 중간연결체(161)의 중간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중간돌출 봉(15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가지는 제1 고정볼트(163, 이하 도 1 참조)와, 제1 고정볼트(163)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제1 중간연결체(161)의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용의 제1 다이얼 디스크(16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중간연결체(161)의 높낮이를 중간돌출 봉(150)을 따라 이동시켜 제1 고정볼트(163)의 말단부가 중간돌출 봉(150)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제1 손잡이 봉(151)의 높낮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중간연결구(170)는, 중간돌출 봉(150)의 상단부가 하부측으로부터 관통 삽입되며 제1 중간연결구(16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양단 관통의 제2 중간연결체(171)와, 제2 중간연결체(17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손잡이 봉(152) 각각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제2 손잡이 수용체(17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중간연결구(170)는, 제2 중간연결체(171)의 중간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중간돌출 봉(15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가지는 제2 고정볼트(173, 이하 도 1 참조)와, 제2 고정볼트(173)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제2 중간연결체(171)의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용의 제2 다이얼 디스크(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중간연결체(161)와 후술할 제3 중간연결체(181)는 중간돌출 봉(150)이 상하로 관통되므로 상하 양단 관통되는 구조가 되어 전체적으로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비하여, 제2 중간연결체(171)는 제1 중간연결체(161) 및 후술할 제3 중간연결체(181)와는 달리 중간돌출 봉(150)의 하단부가 하부측으로부터 관통 삽입되는 구조가 되어 전체적으로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은, 제1 중간연결구(160)와 전방 바(110) 사이에 배치되고 중간돌출 봉(150)의 일정 위치에 탈착 결합되는 제3 중간연결구(180)와, 제3 중간연결구(18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수평연결 봉(191)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은, 전방 바(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탈착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연결 봉(192)과, 수평연결 봉(191)과 수직연결 봉(192)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지지 봉(19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3 중간연결구(180)는, 중간돌출 봉(150)이 상하로 관통 삽입되며 제1 중간연결구(16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양단 관통의 제3 중간연결체(181)와, 제3 중간연결체(18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연결 봉(191) 각각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연결봉 수용체(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중간연결구(180)는, 제3 중간연결체(181)의 중간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중간돌출 봉(15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가지는 제3 고정볼트(183, 이하 도 1 참조)와, 제3 고정볼트(183)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제3 중간연결체(181)의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용의 제3 다이얼 디스크(18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 중간연결체(181)의 높낮이를 중간돌출 봉(150)을 따라 이동시켜 제3 고정볼트(183)의 말단부가 중간돌출 봉(150)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중간돌출 봉(150) 외주면의 좌우 양측으로부터의 지지 구조의 높낮이 길이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3 중간연결구(180)에 탈착 결합된 수평연결 봉(191)과, 전방 바(110)에 탈착 결합된 수직연결 봉(192)이 연결지지 봉(193)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중간돌출 봉(15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자 형상 및 "┐"자 형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격렬한 운동에도 중간돌출 봉(150)이 흔들리거나 휘는 등의 변형 및 파손 우려를 불식시키고 안정적인 지지 보강 구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중간연결체(181)의 높낮이가 중간돌출 봉(150)을 따라 조정되면 이에 맞게 다양한 길이를 가진 수직연결 봉(192)를 장착하고 연결지지 봉(193)으로 연결하면 될 것이다.
한편, 좌,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a, 200b)는, 도 3 내지 도 5와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2 구동전달계(500, 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구동전달계(500)는 좌측 전방지지 봉(213)의 우측 단부와 연결됨과 동시에,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와 연결되며, 좌측 벨트 시트(215)의 상면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할 때, 우측 벨트 시트(225)의 상면이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측 또는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제1 구동전달계(500)는 우측 전방지지 봉(223)의 좌측 단부와 연결됨과 동시에,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와 연결되며, 우측 벨트 시트(225)의 상면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할 때, 좌측 벨트 시트(215)의 상면이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측 또는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제2 구동전달계(600)는 좌측 후방지지 봉(214)의 우측 단부와 연결됨과 동시에, 우측 벨트 어셈블리(200b)와 연결되며, 좌측 벨트 시트(215)의 상면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할 때, 우측 벨트 시트(225)의 상면이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측 또는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제2 구동전달계(600)는 우측 후방지지 봉(224)의 좌측 단부와 연결됨과 동시에, 좌측 벨트 어셈블리(200a)와 연결되며, 우측 벨트 시트(225)의 상면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할 때, 좌측 벨트 시트(215)의 상면이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측 또는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제1 구동전달계(500)는 도 7과 같이, 좌측의 벨트 어셈블리(200) 전방과 우측의 벨트 어셈블리(200) 전방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구획 커버(130) 하부측에 설치되는 전방 기어박스(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전방 기어박스(510)의 좌측 내측면(511)에 배치되고, 좌측의 벨트 어셈블리(200) 전방과 연결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좌측전방 원추기어(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전방 기어박스(510)의 우측 내측면(512)에 배치되고, 우측의 벨트 어셈블리(200) 전방과 연결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우측전방 원추기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전방 기어박스(510)의 바닥측 내측면(513)에 배치되고, 좌측전방 원추기어(520) 및 우측전방 원추기어(530)와 직교 결합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바닥전방 원추기어(5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전방 기어박스(510)의 천장측 내측면(514)에 배치되고, 좌측전방 원추기어(520) 및 우측전방 원추기어(530)와 직교 결합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천장전방 원추기어(5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전방 기어박스(510) 및 좌측전방 원추기어(520) 사이와, 전방 기어박스(510) 및 우측전방 원추기어(530) 사이와, 전방 기어박스(510) 및 바닥전방 원추기어(540) 사이와, 전방 기어박스(510) 및 천장전방 원추기어(550)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각 원추기어(520, 530, 540, 550)들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전방 회전지지 베어링(5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전방 기어박스(510)는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전방 원추기어(520)는 좌측 전방지지 봉(213)의 우측 단부와 연결되어 전방 회전지지 베어링(560)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측전방 원추기어(530)는 우측 전방지지 봉(223)의 좌측 단부와 연결되어 전방 회전지지 베어링(560)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2 구동전달계(600)는, 좌측의 벨트 어셈블리(200) 후방과 우측의 벨트 어셈블리(200) 후방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구획 커버(130) 하부측에 설치되는 후방 기어박스(6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전달계(600)는, 후방 기어박스(610)의 좌측 내측면(611)에 배치되고, 좌측의 벨트 어셈블리(200) 후방과 연결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좌측후방 원추기어(6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전달계(600)는, 후방 기어박스(610)의 우측 내측면(612)에 배치되고, 우측의 벨트 어셈블리(200) 후방과 연결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우측후방 원추기어(6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전달계(600)는, 후방 기어박스(610)의 바닥측 내측면(613)에 배치되고, 좌측후방 원추기어(620) 및 우측후방 원추기어(630)와 직교 결합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바닥후방 원추기어(6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전달계(600)는, 후방 기어박스(610)의 천장측 내측면(614)에 배치되고, 좌측후방 원추기어(620) 및 우측후방 원추기어(630)와 직교 결합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천장후방 원추기어(6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구동전달계(600)는, 후방 기어박스(610) 및 좌측후방 원추기어(620) 사이와, 후방 기어박스(610) 및 우측후방 원추기어(630) 사이와, 후방 기어박스(610) 및 바닥후방 원추기어(640) 사이와, 후방 기어박스(610) 및 천장후방 원추기어(650)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각 원추기어(620, 630, 640, 650)들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후방 회전지지 베어링(6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후방 기어박스(610)는 제1 우측 바(212)와 제2 좌측 바(221)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후방 원추기어(620)는 좌측 후방지지 봉(214)의 우측 단부와 연결되어 후방 회전지지 베어링(660)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측후방 원추기어(630)는 우측 후방지지 봉(224)의 좌측 단부와 연결되어 후방 회전지지 베어링(660)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1 구동전달계(500)는 도 7과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전방 원추기어(540) 또는 천장전방 원추기어(550)의 회전축(545)에 연결되는 제1 스프라켓(570)과, 제1 스프라켓(570)과, 제2 구동전달계(600)에 구비된 제2 스프라켓을 상호 연결하는 구동전달 체인(7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제1 스프라켓(570)에 걸림 결합되는 구동전달 체인(700)의 전방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전방 선단부(581)를 가지며, 제1 전방 선단부(581)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방 선단부(581)측으로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 전방 말단부(582)를 가지는 좌측전방 스프링(5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전방 바(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1 전방 말단부(582)와 연결되고 좌측전방 스프링(580)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토크(torque)를 발생시키는 제1 전방 태엽(58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제1 스프라켓(570)에 걸림 결합되는 구동전달 체인(700)의 전방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방 선단부(591)를 가지며, 제2 전방 선단부(591)로부터 연장되어 제2 전방 선단부(591)측으로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2 전방 말단부(592)를 가지는 우측전방 스프링(5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전달계(500)는, 전방 바(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2 전방 말단부(592)와 연결되고 우측전방 스프링(590)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는 제2 전방 태엽(59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구동전달계(600)는, 바닥후방 원추기어(640) 또는 천장후방 원추기어(650)의 회전축(645)에 연결되는 제2 스프라켓(6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전달계(600)는, 제2 스프라켓(670)과, 제1 구동전달계(500)에 구비된 제1 스프라켓(570)을 상호 연결하는 구동전달 체인(7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전달계(600)는, 제2 스프라켓(670)에 걸림 결합되는 구동전달 체인(700)의 후방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후방 선단부(681)를 가지며, 제1 후방 선단부(681)로부터 연장되어 제1 후방 선단부(681)측으로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 후방 말단부(682)를 가지는 좌측후방 스프링(6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전달계(600)는,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어 제1 후방 말단부(682)와 연결되고 좌측후방 스프링(680)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토크(torque)를 발생시키는 제1 후방 태엽(68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전달계(600)는, 제2 스프라켓(670)에 걸림 결합되는 구동전달 체인(700)의 후방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후방 선단부(691)를 가지며, 제2 후방 선단부(691)로부터 연장되어 제2 후방 선단부(691)측으로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2 후방 말단부(692)를 가지는 우측후방 스프링(6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전달계(600)는,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어 제2 후방 말단부(692)와 연결되고 우측후방 스프링(690)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는 제2 후방 태엽(69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게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도 뒤틀림이나 변형 없이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메인 프레임
110...전방 바
121...제1 측방 바
122...제2 측방 바
130...중간구획 커버
140...바닥 연결 바
142...미끄럼방지 패드
150...중간돌출 봉
151...제1 손잡이 봉
152...제2 손잡이 봉
153...파지연결 봉
160...제1 중간연결구
161...제1 중간연결체
162...제1 손잡이 수용체
163...제1 고정볼트
164...제1 다이얼 디스크
170...제2 중간연결구
171...제2 중간연결체
172...제2 손잡이 수용체
173...제2 고정볼트
174...제2 다이얼 디스크
180...제3 중간연결구
181...제3 중간연결체
182...연결봉 수용체
183...제3 고정볼트
184...제3 다이얼 디스크
191...수평연결 봉
192...수직연결 봉
193...연결지지 봉
200a...좌측 벨트 어셈블리
200b...우측 벨트 어셈블리
211...제1 좌측 바
212...제1 우측 바
213...좌측 전방지지 봉
214...좌측 후방지지 봉
215...좌측 벨트 시트
216...제1 연결 봉
217, 227...연결봉 샤프트
221...제2 좌측 바
222...제2 우측 바
223...우측 전방지지 봉
224...우측 후방지지 봉
225...우측 벨트 시트
226...제2 연결 봉
230...지지봉 샤프트
300...보강 유닛
310...보강 리브편
311...제1 봉지지 베어링
312...연결봉 지지홀
320...안착 절개부
321...전방 보강 격편
322...제2 봉지지 베어링
323...후방 보강 격편
330...보강 블록
340...블록지지 브라켓
341...제1 편
342...제2 편
400...설치대상면
500...제1 구동전달계
510...전방 기어박스
511...전방 기어박스(510)의 좌측 내측면
512...전방 기어박스(510)의 우측 내측면
513...전방 기어박스(510)의 바닥측 내측면
514...전방 기어박스(510)의 천장측 내측면
520...좌측전방 원추기어
530...우측전방 원추기어
540...바닥전방 원추기어
545...바닥전방 원추기어(540) 또는 천장전방 원추기어(550)의 회전축
550...천장전방 원추기어
560...전방 회전지지 베어링
570...제1 스프라켓
580...좌측전방 스프링
581...제1 전방 선단부
582...제1 전방 말단부
585...제1 전방 태엽
590...우측전방 스프링
591...제2 전방 선단부
592...제2 전방 말단부
595...제2 전방 태엽
600...제2 구동전달계
610...후방 기어박스
611...후방 기어박스(610)의 좌측 내측면
612...후방 기어박스(610)의 우측 내측면
613...후방 기어박스(610)의 바닥측 내측면
614...후방 기어박스(610)의 천장측 내측면
620...좌측후방 원추기어
630...우측후방 원추기어
640...바닥후방 원추기어
645...바닥후방 원추기어(640) 또는 천장후방 원추기어(650)의 회전축
650...천장후방 원추기어
660...후방 회전지지 베어링
670...제2 스프라켓
680...좌측후방 스프링
681...제1 후방 선단부
682...제1 후방 말단부
685...제1 후방 태엽
690...우측후방 스프링
691...제2 후방 선단부
692...제2 후방 말단부
695...제2 후방 태엽
700...구동전달 체인

Claims (7)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 전방 및 좌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직경을 가진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복수의 제1 연결 봉과,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벨트 시트를 포함하는 좌측 벨트 어셈블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우측 전방 및 우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직경을 가진 우측 전방지지 봉 및 우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진 복수의 제2 연결 봉과,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과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우측 벨트 시트를 포함하는 우측 벨트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을 회전 지지하는 제1 좌측 바 및 제1 우측 바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과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을 회전 지지하는 제2 좌측 바 및 제2 우측 바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보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벨트 시트와 상기 우측 벨트 시트는 각각 또는 동시에 또는 번갈아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벨트 어셈블리 각각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 바와,
    상기 전방 바의 양단부 중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 바와 직교하며 상기 제1 좌측 바의 외측을 감싸는 제1 측방 바와,
    상기 전방 바의 양단부 중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 바와 직교하며 상기 제2 우측 바의 외측을 감싸는 제2 측방 바와,
    상기 전방 바의 중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좌측 벨트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벨트 어셈블리를 좌우로 구획하는 중간구획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각각의 양단부 외주면과 접하는 직선들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은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의 상부 가장자리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의 양단부 외주면과 접하는 직선들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의 상부 가장자리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유닛은,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이 설치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보강 리브편과,
    복수의 상기 보강 리브편 각각의 하부측에 관통된 연결봉 지지홀과,
    상기 연결봉 지지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된 연결봉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는 제1 봉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유닛은,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 각각의 양단부측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각각 절개 형성되는 안착 절개부와,
    상기 안착 절개부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 각각의 양단부에 구비된 지지봉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는 제2 봉지지 베어링과,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를 각각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중 최전방의 제1 연결 봉 및 제2 연결 봉과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 보강 격편과,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와,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를 각각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중 최후방의 제1 연결 봉 및 제2 연결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 및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 사이에 배치되는 후방 보강 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유닛은,
    상기 제1 좌측 바 및 상기 제1 우측 바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좌측 바 및 상기 제2 우측 바를 상호 연결하는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블록의 상면은 상기 좌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좌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전방지지 봉과 상기 우측 후방지지 봉과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봉 각각의 외주면보다 낮거나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KR1020220106419A 2022-08-24 2022-08-24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KR20240028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419A KR20240028212A (ko) 2022-08-24 2022-08-24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419A KR20240028212A (ko) 2022-08-24 2022-08-24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212A true KR20240028212A (ko) 2024-03-05

Family

ID=9029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419A KR20240028212A (ko) 2022-08-24 2022-08-24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21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99B1 (ko) 2006-09-25 2012-04-10 파나소닉 주식회사 타동식 운동 보조 장치
KR101252723B1 (ko) 2010-10-28 2013-04-09 차명신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99B1 (ko) 2006-09-25 2012-04-10 파나소닉 주식회사 타동식 운동 보조 장치
KR101252723B1 (ko) 2010-10-28 2013-04-09 차명신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0730B2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US7938761B2 (en) Multi axes exercise apparatus
EP2842610B1 (en) Lower body mimetic exercise device with fully or partially autonomous right and left leg links and ergonomically positioned pivot points
US20170252603A1 (en) Stepper exercise machine
TWI401103B (zh) Sports device
US20060293153A1 (en) Exercise equipment with convergent hand grips
US5306218A (en) Rowing exerciser
CN105142739A (zh) 包括可调节脚垫的健身器械及相关方法
US20210346756A1 (en) Handrail configuration for a treadmill
TW200934553A (en) Standing-position type passive exercise machine
US10493322B2 (en)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US20030096677A1 (en) Oval orbit exercise bike
US5620400A (en) Mountain climbing exercise apparatus
KR20240028212A (ko)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JP5491706B2 (ja) 運動補助装置
TWI738110B (zh) 符合人因工程之橢圓機
CA2939992C (en) Isometric exercise and stretching apparatus
EP1533004A2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KR101380237B1 (ko) 몸짱 만들기에 사용되는 다기능 헬스 복합 운동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45375A (ko)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CN210845131U (zh) 一种健身器躯体支撑装置
KR101739685B1 (ko)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US5489257A (en) Massaging assembly with movable lower-back supporting member
US8371994B2 (en) Adjustable spring device for walking and running
WO2012008662A1 (ko) 수평이동을 활용한 운동 및 재활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