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288B1 - 척추 균형 조절밸트 - Google Patents

척추 균형 조절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288B1
KR101638288B1 KR1020150057654A KR20150057654A KR101638288B1 KR 101638288 B1 KR101638288 B1 KR 101638288B1 KR 1020150057654 A KR1020150057654 A KR 1020150057654A KR 20150057654 A KR20150057654 A KR 20150057654A KR 101638288 B1 KR101638288 B1 KR 10163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front plate
knee
suppor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이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일 filed Critical 이선일
Priority to KR102015005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척추 균형 조절밸트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받이대; 상기 허리받이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고정끈과 조절끈 및 상기 고정끈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끈이 무릎에 걸려 당겨지도록 상기 조절끈이 연결되는 체결조절구를 포함하는 당김끈; 사용자의 양쪽 다리가 모아지도록 양쪽 당김끈의 조절끈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끈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척추 균형 조절밸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이대는, 상기 허리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허리의 척추에 밀착되는 볼록형상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연장돌출되어 상기 허리의 근육을 감싸는 오목형상의 근육지지부 및 상기 중심부와 오목부의 하부에 연장돌출되어 엉덩이를 감싸는 오목형상의 엉덩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이대는, 상기 무릎을 감싸며 체결조절구에 연결된 상기 조절끈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허리와 엉덩이에 밀착되며 상기 척추를 곧게 펴지게 하고 곧은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척추 균형 조절밸트{BELT}
본 발명은 척추 균형 조절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중심체가 되는 추체와 활 모양의 추궁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추체와 추궁에 둘러싸여 중앙에 커다란 추공이 형성되어 있다. 신체 움직임이나 모든 신체 작용을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은 척추를 감싸고 있는 장요근, 기립근, 요방형근 등이다.
척추는 상하좌우전후에 정상적으로 배열되어 정상적인 각도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그러나 척추를 지지하는 근육의 노화, 또는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척추지지근육이 긴장하여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변형이 되어 척추질환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척추 특히 추간판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비적상적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 예를 들어, 평소 앉은 자세나 수면 자세와 같이 잘못된 생활 습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앉은 자세의 교정을 할 수 있는 척추 균형 조절벨트(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04844호)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척추 균형 조절벨트는, 허리에 허리받이대를 착용하고 무릎을 당김끈으로 당겨주어 척추가 바르게 교정되도록 균형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 균형 조절벨트는 천재질로 이루어진 허리받이대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교정이 되기 때문에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장시간 착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당김끈을 무릎에 걸친 상태에서 당김끈이 당겨짐에 따라 무릎에 힘이 가해져 무릎에 통증이 가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척추 균형 조절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몸을 비틀거나 움직이게 될 경우 허리받이대의 위치가 변동되어 재설정하여 재착용해야 하는 사용상에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04844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받이대가 허리와 엉덩이에 밀착되어 무릎을 감싸며 체결조절구에 연결된 조절끈의 끝단이 당겨짐에 따라 척추를 바람직한 형상으로 곧게 펴지게 하고 곧은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척추 균형 조절밸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척추 균형 조절밸트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받이대; 상기 허리받이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고정끈과 조절끈 및 상기 고정끈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끈이 무릎에 걸려 당겨지도록 상기 조절끈이 연결되는 체결조절구를 포함하는 당김끈; 사용자의 양쪽 다리가 모아지도록 양쪽 당김끈의 조절끈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끈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척추 균형 조절밸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이대는, 상기 허리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허리의 척추에 밀착되는 볼록형상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연장돌출되어 상기 허리의 근육을 감싸는 오목형상의 근육지지부 및 상기 중심부와 오목부의 하부에 연장돌출되어 엉덩이를 감싸는 오목형상의 엉덩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이대는, 상기 무릎을 감싸며 체결조절구에 연결된 상기 조절끈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허리와 엉덩이에 밀착되며 상기 척추를 곧게 펴지게 하고 곧은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받이대는, 측단면이 '
Figure 112015039953425-pat00001
'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단면이 '
Figure 112015039953425-pat00002
'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받이대는, 전방판과 후방판을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전방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 사이에 구비된 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허리받이대가 허리에 밀착됨에 따라 밀착되는 허리의 근육을 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전방판은, 상기 공간부가 개구되도록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판은, 상기 관통공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공간부로 돌출된 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지지바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몸체부 및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판은, 내측면에 오목한 받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은, 상기 받침홈이 개구되도록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는, 구형상의 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받침홈에 지지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방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끈에 구비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무릎과 정강이 부분을 감싸도록 오목형상의 무릎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릎지지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끈이 당겨짐에 따라 가해지는 압박력이 무릎과 정강이 부분에 직접가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끈은, 끝단에 손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홀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허리받이대가 허리와 엉덩이에 밀착되어 무릎을 감싸며 체결조절구에 연결된 조절끈의 끝단이 당겨짐에 따라 척추를 바람직한 형상으로 곧게 펴지게 하고 곧은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척추 균형 조절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허리받이대 측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허리받이대 평면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지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허리받이대와 지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허리받이대와 지압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무릎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척추 균형 조절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는, 허리받이대(10), 당김끈(20) 및 연결구(30)를 포함한다.
허리받이대(10)는,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된다.
당김끈(20)은, 허리받이대(1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고정끈(21)과 조절끈(22) 및 고정끈(21)의 단부에 구비되고 조절끈(22)이 무릎에 걸려 당겨지도록 조절끈(22)이 연결되는 체결조절구(23)를 포함한다.
연결구(30)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가 모아지도록 양쪽 당김끈(20)의 조절끈(22)에 구비되어 조절끈(22)의 중간부를 연결한다.
여기서,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당김끈(20)과 연결구(30)는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작동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허리받이대 측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허리받이대 평면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허리받이대(10)는, 허리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의 허리가 허리받이대(1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허리받이대(10)는, 중심부(11), 근육지지부(12) 및 엉덩이지지부(13)를 포함한다.
중심부(11)는, 허리의 척추에 밀착되는 볼록형상으로 형성된다.
근육지지부(12)는, 중심부(11)를 중심으로 양쪽에 연장돌출되어 허리의 근육을 감싸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허리받이대(10)는 평단면이 '
Figure 112015039953425-pat00003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허리에 밀착된다.
엉덩이지지부(13)는, 중심부(11)와 오목부의 하부에 연장돌출되어 엉덩이를 감싸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엉덩이는 허리보다 볼록하게 돌출되기 때문에 허리받이대(10)는, 엉덩이지지부(13)는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되 엉덩이를 감싸는 측면은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허리받이대(10)는 측단면이 '
Figure 112015039953425-pat00004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허리와 엉덩이에 밀착된다.
특히, 사용자가 허리받이대(10)를 착용할 때, 허리받이대(10)의 형상대로 허리에 맞춰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이 용이하다.
따라서, 허리받이대(10)는, 무릎을 감싸며 체결조절구(23)에 연결된 조절끈(22)이 당겨짐에 따라 허리와 엉덩이에 밀착되며 척추가 곧게 펴지게 하고 곧은 자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조절끈(22)은, 끝단에 손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홀이 형성된 손잡이부(2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부(24)의 파지홀에 손을 넣어서 강하게 조절끈(22)을 잡아당길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지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허리받이대(10)는, 전방판(14)과 후방판(16)을 포함한다. 이때, 허리받이대(10)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허리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판(14)과 후방판(16)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결합된다.
전방판(14)은, 공간부가 개구되도록 관통된 관통공(15)이 형성되고, 후방판(16)은, 관통공(15)과 마주하는 위치에 공간부로 돌출된 지지바(17)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는, 지압부(40)를 더 포함한다.
지압부(40)는, 일측이 전방판(1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전방판(14)과 후방판(16) 사이에 구비되어, 허리받이대(10)가 허리에 밀착됨에 따라 밀착되는 허리의 근육을 지압한다.
여기서, 지압부(40)는, 몸체부(41)와 탄성부재(45)를 포함한다.
몸체부(41)는, 지지바(17)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이 관통공(15)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러한, 몸체부(41)는, 후방판(16)의 지지바(17)가 삽입되는 삽입공(46)이 형성되며 공간부에 구비된 이동체(42)와, 이동체(42)의 일측에 전방판(14)의 관통공(15)을 관통하여 전방판(14)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허리의 근육 지압가능한 지압돌기(43) 및 몸체부(4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관통공(15)으로 몸체부(4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44)를 포함한다.
탄성부재(45)는, 공간부에 구비되되 이탈방지부(44)와 후방판(16)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부(41)를 탄성지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허리받이대와 지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허리받이대와 지압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압부(40)의 또 다른 실시예로, 허리받이대(10)의 후방판(16)은, 내측면에 오목한 받침홈(18)이 형성되고, 전방판(14)은, 받침홈(18)이 개구되도록 관통된 관통공(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압부(40)는, 구형상의 볼로 이루어져 전방판(14)과 후방판(16)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받침홈(18)에 지지되고 관통공(15)을 관통하여 전방판(1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전방판(14)에 형성된 관통공(15)의 직경, 즉, 전방판(14)의 외측면에 개구된 관통공(15)의 직경은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지압부(40)가 이탈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의 무릎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균형 조절밸트는, 무릎지지대(50)를 더 포함한다.
무릎지지대(50)는, 조절끈(22)에 구비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무릎과 정강이 부분을 감싸도록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무릎지지대(50)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조절끈(22)의 당겨짐에 따라 가해지는 압박력이 무릎과 정강이 부분에 직접가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무릎지지대(50)는, 외측면에 조절끈(22)이 삽입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된 삽입홀(5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무릎지지대(50)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어린이 및 남녀노소 상관없이 용이하게 무릎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삽입홀(51)은 무릎지지대(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조절끈(22)이 정강이 상부 또는 정강이와 무릎사이부분에 위치됨으로써, 조절끈(22)을 강하게 잡아 당길 수 있으며, 무릎지지대(50)가 무릎에서부터 이탈되지 않아 사용이 용이하다.
즉, 사용자는 무릎지지대(50)를 무릎에 고정시키면 사용시마다 같은 위치에서 조절끝이 위치되어 임의로 위치를 조절하지 않아 착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허리받이대 11: 중심부
12: 근육지지부 13: 엉덩이지지부
14: 전방판 15: 관통공
16: 후방판 17: 지지바
18: 받침홈 20: 당김끈
21: 고정끈 22: 조절끈
23: 체결조절구 24: 손잡이부
30: 연결구 40: 지압부
41: 몸체부 42: 이동체
43: 지압돌기 44: 이탈방지부
45: 탄성부재 50: 무릎지지대
51: 삽입홀

Claims (7)

  1.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받이대; 상기 허리받이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고정끈과 조절끈 및 상기 고정끈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끈이 무릎에 걸려 당겨지도록 상기 조절끈이 연결되는 체결조절구를 포함하는 당김끈; 사용자의 양쪽 다리가 모아지도록 양쪽 당김끈의 조절끈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끈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척추 균형 조절밸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이대는,
    상기 허리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허리의 척추에 밀착되는 볼록형상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연장돌출되어 상기 허리의 근육을 감싸는 오목형상의 근육지지부 및
    상기 중심부와 오목부의 하부에 연장돌출되어 엉덩이를 감싸는 오목형상의 엉덩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이대는, 상기 무릎을 감싸며 체결조절구에 연결된 상기 조절끈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허리와 엉덩이에 밀착되며 상기 척추를 곧게 펴지게 하고 곧은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허리받이대는, 측단면이 '
    Figure 112016501437618-pat00016
    '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단면이 '
    Figure 112016501437618-pat00017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허리받이대의 형상대로 허리에 맞춰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허리받이대는, 전방판과 후방판을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전방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 사이에 구비된 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허리받이대가 허리에 밀착됨에 따라 밀착되는 허리의 근육을 지압하며,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전방판은, 상기 공간부가 개구되도록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판은, 상기 관통공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공간부로 돌출된 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지지바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몸체부 및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판은, 내측면에 오목한 받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은, 상기 받침홈이 개구되도록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압부는, 구형상의 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받침홈에 지지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방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는 후방판의 지지바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공간부에 구비된 이동체와, 이동체의 일측에 전방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전방판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허리의 근육 지압가능한 지압돌기 및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관통공으로 몸체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공간부에 구비되되 이탈방지부와 후방판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부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허리받이대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허리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균형 조절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끈에 구비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무릎과 정강이 부분을 감싸도록 오목형상의 무릎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릎지지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끈이 당겨짐에 따라 가해지는 압박력이 무릎과 정강이 부분에 직접가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균형 조절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끈은, 끝단에 손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홀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균형 조절밸트.
KR1020150057654A 2015-04-24 2015-04-24 척추 균형 조절밸트 KR101638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54A KR101638288B1 (ko) 2015-04-24 2015-04-24 척추 균형 조절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54A KR101638288B1 (ko) 2015-04-24 2015-04-24 척추 균형 조절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288B1 true KR101638288B1 (ko) 2016-07-08

Family

ID=5650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654A KR101638288B1 (ko) 2015-04-24 2015-04-24 척추 균형 조절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2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553U (ko) * 1990-01-30 1991-10-14
KR19990018498U (ko) * 1997-11-11 1999-06-05 김성철 앉은자세 교정벨트
KR100304844B1 (ko) 1997-11-20 2001-09-24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반도체집적회로장치
KR20050058862A (ko) * 2003-12-12 2005-06-17 박경한 조깅 밴드
KR200448745Y1 (ko) * 2008-06-05 2010-05-13 김상학 자세교정용 벨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553U (ko) * 1990-01-30 1991-10-14
KR19990018498U (ko) * 1997-11-11 1999-06-05 김성철 앉은자세 교정벨트
KR100304844B1 (ko) 1997-11-20 2001-09-24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반도체집적회로장치
KR20050058862A (ko) * 2003-12-12 2005-06-17 박경한 조깅 밴드
KR200448745Y1 (ko) * 2008-06-05 2010-05-13 김상학 자세교정용 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138B1 (ko) 허리 보호대
US20050197607A1 (en) Posture improv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13138468A1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KR102177307B1 (ko)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KR102034921B1 (ko) 척추 교정 장치
JP2014090959A (ja) 腰曲がり矯正具
KR101554878B1 (ko) 자세 교정용 가능성 의복
KR102253097B1 (ko) 어깨 자세 교정장치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CN211863051U (zh) 用于测量、增强和促进正确脊柱对准的装置
KR20170064368A (ko) 척추교정기
KR101638288B1 (ko) 척추 균형 조절밸트
KR20190093057A (ko)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KR101115938B1 (ko) 척추 견인용 허리 교정기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200479406Y1 (ko)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KR200439676Y1 (ko) 골반교정 벨트
JP3156477U (ja) 腰、背部の疲労緩和具
JPH11313861A (ja) 背筋伸ばし器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JP3156652U (ja) 腰部、背部の疲労緩和ベルト
KR20160085980A (ko) 의료용 복대
US20170071351A1 (en) Back support devices with force distributing knee pads
KR20160035357A (ko) 목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