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368A - 척추교정기 - Google Patents

척추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368A
KR20170064368A KR1020150170094A KR20150170094A KR20170064368A KR 20170064368 A KR20170064368 A KR 20170064368A KR 1020150170094 A KR1020150170094 A KR 1020150170094A KR 20150170094 A KR20150170094 A KR 20150170094A KR 20170064368 A KR20170064368 A KR 20170064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fastened
straightener
curvatur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식
Original Assignee
장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식 filed Critical 장순식
Priority to KR102015017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368A/ko
Publication of KR2017006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곡률을 가지는 교정기본체를 척추가 앞쪽으로 굽은 사람의 등쪽에 밀착시켜서 어깨끈과 하부끈으로 등쪽에 고정되도록 착용함으로써, 교정기본체가 굽은 척추를 압박하여 교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교정기본체의 배면에 설치된 곡률조정대를 이용하여 교정기본체가 휘어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척추의 굽은 정도에 맞게 교정기본체를 선택하여 착용케함으로써, 척추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척추교정기이다.

Description

척추교정기{AN APPARATUS FOR REFORMING THE BACKBONE}
본 발명은 척추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곡률을 가지는 교정기본체를 척추가 앞쪽으로 굽은 사람의 등쪽에 밀착시켜서 어깨끈과 하부끈으로 등쪽에 고정되도록 착용함으로써, 교정기본체가 굽은 척추를 압박하여 교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교정기본체의 가압대 높이를 다양하게 구분하여 제작하거나 교정기본체의 배면에 곡률조정대를 설치하여 곡률조정대를 이용하여 교정기본체가 휘어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척추의 굽은 정도에 맞게 가압대가 형성된 교정기본체를 선택하여 착용케함으로써, 척추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척추교정기를 제공한다.
현대인은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고, 대부분의 업무가 책상 앞에 앉아 상체를 구부린 자세로 업무를 처리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여 장시간 업무를 처리하는 일이 많고, 공부를 하거나 허리를 굽히고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농사일도 있어서 이를 반복하다 보면 척추가 앞으로 굽어지게 되는 일이 발생될 뿐 아니라 이로인해 통증과 질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평상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이를 바로잡아줄 수 있는 교정기구 대부분이 병원에 설치되어 있어서 접근하기 불편한 결점이 있고, 개인용 교정기가 개발되어 있으나 효과가 미흡한 실정에 있어서 근본적인 치료를 미루다가 병원을 찾게 되므로 치료시기를 놓쳐 척추의 변형으로 건강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 10-0320077 호. 2. 등록특허공보 제 10-1306084 호.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가압대가 형성되게 탄성체로 만든 교정기본체를 척추가 앞쪽으로 굽은 사람의 등쪽에 밀착시키고 어깨끈과 하부끈으로 등쪽에 착용시켜 교정기본체의 가압대가 척추의 굽은 부분을 압박하여 교정할 수 있는 척추교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정기본체의 가압대 높이를 다양하게 만들어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교정기본체의 배면에 곡률조정대를 설치하고, 곡률조정 장치를 부착하여 교정기본체가 휘어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척추의 굽은 정도에 맞는 척추교정기를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척추 교정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척추교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교정기는 합성수지 또는 탄성체 소재로 성형되며 일정폭과 길이를 가지는 판체로서, 상단은 양측으로 갈라져 단부가 어깨부분 향하도록 어깨대(1)를 형성하고, 하단은 엉덩이 부분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부대(120)로 형성하며, 중간부는 등쪽으로 볼록하게 굽어져 일정곡률을 가지는 가압대(130)로 형성하여, 가압대의 높낮이가 다양하게 구분되게 하고, 상부의 어깨대는 어깨쪽에 고정되고, 하부대(120)는 허리쪽에 고정되며, 가압대(130)는 등쪽에서 척추의 굽은 부분을 압착할 수 있게 성형한 교정기본체(100)와,
신축성과 탄력성이 구비된 세폭띠로 되어 교정기본체(100)의 어깨대에 형성한 끈연결공(140)에 끼워지고 양단에 벨크로테이프나 버클과 같은 체결구(210a)(210b)가 부착되어 교정기본체(100)의 어깨대를 어깨쪽에 고정시키는 어깨끈(200)과,
신축성과 탄력성이 구비된 세폭띠로 되어 교정기본체(100)의 하부대에 형성된 끈연결공(150)에 끼워지고, 양단에 벨크로테이프나 버클과 같은 체결구(310a)(310b)가 부착되어 교정기본체(100)의 하부대를 엉덩이쪽에 고정시키는 하부끈(300)으로 이루어저 교정기본체(100)를 어깨끈(200)과 하부끈(3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쪽에 착용하고, 장시간 굽은 척추를 가압할 수 있게 만든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교정기의 교정기본체(100)는 가압대의 높이가 척추의 굽은 정도에 맞도록 다양하게 제조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되며, 또한 교정기본체(100)는 상단에 어깨대를 형성하고, 하단에 하부대를 가지며 중간부에 가압대를 가지는 판체를 만들어 판체부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관통되게 안내장공(410)을 형성한 지지대(400)를 구비하고 판체 하단에서 배면으로 돌출되어 중심부에 고정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대(160)를 형성하고, 상기 교정기본체의 배면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체 판으로 되어 지지대(400)의 안내장공(410)을 관통하여 교정기본체 배면에 설치되며, 상단은 교정기본체(100)의 상단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당김대(510)가 형성되어 고정볼트(170)가 장치되는 곡률조정대(500)와,
곡률조정대(500)의 당김대(510)에 형성한 볼트구멍(510a)과 교정기본체(100)의 고정대(160)에 형성한 볼트구멍(160a) 사이에 고정볼트(170)를 설치하여 고정대(160) 외면으로 돌출된 고정볼트의 나사부에 나비너트(171)를 나사조임한 곡률조정장치(가)를 구비하여 교정기본체를 인위적으로 굽혀 가압대(130)의 높이를 조정하고, 나비너트로 고정시켜 사용자 척추의 굽은 정도에 맞게 교정기본체의 가압대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기본체(100)의 고정대(160)와 곡률조정대(500)의 당김대(510) 사이에 설치되는 곡률조정장치는 고정볼트(170) 일단을 곡률조정대의 당김대에 힌지연결(510b)하고, 고정볼트를 교정기본체 고정대(160)에 형성한 볼트구멍(16a)상에 형성한 너트장치공(160b)에 삽입한 너트(172)로 고정하는 곡률조정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교정기본체를 사용자의 등쪽에 밀착하고 어깨끈을 당겨 어깨대를 도10과 같이 먼저 고정하고, 하부끈을 당겨 하부대를 도11과 같이 허리에 고정하면 어깨끈과 교정기본체에 작용하는 탄력성이 축적되면서 교정기본체가 등쪽에 밀착되므로 양측 어깨를 뒤로 당기고 가압대로 척추를 눌리는 상태가 되도록 착용하여 교정기본체가 지속적으로 가압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교정기본체를 착용하고, 다른 일을 하면서 장시간 동안 척추 교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척추교정기는 등이 굽은 정도에 따라 가압대의 높이가 구분되도록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교정기본체와, 교정기본체의 배면에 곡률조정대를 장치하고, 곡률조정장치를 부착하여 교정기본체의 휘어지는 정도를 사용자의 굽어진 척추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든 척추교정기를 선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척추 휘임정도에 맞는 척추교정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어깨끈 고정 방법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끈 고정 방법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곡률조정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오 13은 본 발명의 버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기는 교정기본체(100), 어깨끈(200), 하부끈(300)으로 구성된다.
교정기본체(100)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일정폭과 길이를 가지는 판으로 구성된다.
교정기본체(100)의 상단은 양측으로 갈라져 어깨부분에 결합할 수 있게 어깨대(110)를 형성하고, 하단은 엉덩이 부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대(120)로 형성하며, 중간부는 등쪽으로 볼록하게 굽어져 일정곡률을 가지는 가압대(130)로 형성하며, 가압대가 척추의 굽은 정도에 맞추어 척추를 가압할 수 있게 다양한 높이로 구분되게 제조된다.
상부의 어깨대는 사람의 어깨분에 닿아 양측 어깨를 뒤쪽으로 젖히면서 가압대가 척추쪽에 가압되도록 하고, 하부대(120)는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며, 중간부의 가압대(130)는 사람 등쪽에 밀착하여 굽은 척추를 압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높이와 곡률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어깨끈(200)은 교정기본체(100)의 어깨대에 형성한 끈연결공(140)에 끼워져서 교정기본체(100)의 상단이 사람의 어깨부분에 밀착되게 묶어주도록 신축력과 탄력성을 충진하고 발휘하는 소재로 제조되며, 양단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버클과 같은 체결구(210a)(210b)를 구비하고
하부끈(300)은 교정기본체(100)의 하부대에 형성된 끈연결공(150)에 끼워져서 교정기본체(100)의 하단부를 엉덩이와 허리 사이에 묶어주도록 신축력과 탄력성을 충진하고 발휘하는 소재로 제조되며, 양단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버클과 같은 체결구(310a)(310b)를 구비한다.
교정기본체(100)는 어깨끈(200)과 하부끈(300)에 의해 사람 등쪽에 밀착되도록 착용함으로써, 지속적인 탄력으로 굽은 척추를 가압하게 되어 장시간 착용하고 다른 일을 하면서 굽은 척추를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게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기는 교정기본체(100). 어깨끈(200), 하부끈(300), 지지대(400), 곡률조정대(500), 곡률조정장치(가)로 이루어진다.
교정기본체(100)는 상단에 어깨대(110)를 형성하고, 하단에 하부대(120)를 가지며, 중간부에 가압대(130)를 구비하고, 하단에서 배면으로 돌출되어 중심부에 고정볼트삽입공(160a)이 형성된 고정대(160)가 더 형성되고, 교정기본체 배면에는 지지대(400)가 부착되며, 지지대(400)는 교정기본체(100)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교정기본체의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부착되며, 부착면에 세로방향으로 관통되게 안내장공(410)을 형성하고,
곡률조정대(500)는 탄성체로 제조되어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판으로 형성하여 교정기본체(100)에 부착된 지지대(400)의 안내장공(410)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곡률조정대(500)의 상단은 교정기본체(100)의 상단에 결합구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볼트삽입공(510a)이 형성된 당김대(510)가 형성되어 고정볼트(170)가 장치된다.
곡률조정대(500)의 당김대(510)에 장치된 고정볼트(170)는 일단이 교정기본체(100)의 고정대(16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으로 투입되어 고정대 외면으로 돌출된 고정볼트의 나사부에 나비너트(171)를 나사조임하는 곡률조정장치(가)를 구비함으로써, 교정기본체(100)를 의도적으로 휘어지게 하고, 나비너트(171)를 조여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고정대(160) 하단의 나비너트(171)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교정기본체(100)의 가압대(130) 높이를 사용자의 척추에 맞도록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기는 교정기본체(100)의 배면에 설치된 곡률조정대(500)와 곡률조정장치(가)를 이용하여 교정기본체(100)의 가압부높이를 척추가 휘어지는 정도에 맞게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척추정도에 맞게 교정기본체(100)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척추 상태에 맞는 교정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척추교정기를 사용자가 착용할 때에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교정기본체(100)의 상단을 등쪽에 대고 어깨끈(200)을 사용자의 어깨위를 지나 앞으로 당겨 양단을 허리 뒤쪽에서 엇갈리게 통과시킨 후 허리 앞쪽에서 양단을 모아 어깨끈에 부착된 체결구(210a)(210b)로 양단을 체결하여 고정하고, 또 도 11에 예시한바와 같이 교정기본체(100)의 하부끈(300) 양단을 허리앞쪽에서 모아 하부끈에 부착된 체결구(310a)(310b)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어깨끈과 하부끈 그리고 교정기본체의 탄력성으로 척추의 굽은 부분에 교정기본체의 가압대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교정기본체 110 : 어깨대
120 : 하부대 130 : 가압대
140, 150 : 끈연결공 160 : 고정대
170 : 고정볼트 171 : 나비너트
200 : 어깨끈 210a,210b : 체결구
300 : 하부끈 310a,301b : 체결구
400 : 지지대 410 : 안내장공
500 : 곡률조정대 510 : 당김대
가 : 곡률조정장치

Claims (2)

  1. 합성수지 또는 탄성체 소재로 성형되며, 일정폭과 길이를 가지는 판체로서, 상단은 양측으로 갈라져 단부가 어깨부분에 향하도록 어깨대(110)를 형성하고, 하단은 엉덩이 부분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부대(120)로 형성하며, 중간부는 등쪽으로 볼록하게 굽어져 일정곡률을 이루는 가압대(130)로 형성하여, 그 높이가 척추의 굽은 정도에 맞도록 다양하게 형성되고, 상부의 어깨대는 어깨쪽에 고정되고, 하부대(120)는 허리쪽에 고정되며, 가압대는 등쪽에 밀착하여 척추의 굽은 부분을 압박할 수 있게 성형한 교정기본체(100)와,
    신축성과 탄력성이 구비된 세폭띠로 되어 교정기본체(100)의 어깨대에 형성한 끈연결공(140)에 끼워지고 양단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버클로 된 체결구가 부착되어 교정기본체(100)의 어때대를 어깨쪽에 고정시키는 어깨끈(200)과,
    신축성과 탄력성이 구비된 세폭띠로 되어 교정기본체(100)의 하부대에 형성된 끈연결공(150)에 끼워지고 양단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버클로 된 체결구가 부착되어 교정기본체(100)의 하부대를 엉덩이 쪽에 고정시키는 하부끈(300)으로 이루어지고,
    교정기본체(100)를 어깨끈(200)과 하부끈(3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쪽에 착용하고 장시간 굽은 척추를 가압할 수 있게 구성한 척추 교정기
  2. 합성수지 또는 탄성체 소재로 성형되며, 일정폭과 길이를 가지는 판체로서, 상단은 양측으로 갈라져 단부가 어깨부분에 향하도록 어깨대(110)를 형성하고, 하단은 엉덩이 부분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부대(120)로 형성하며, 중간부는 등쪽으로 볼록하게 굽어져 일정곡률을 이루는 가압대(130)로 형성하여, 상부의 어깨대는 어깨쪽에 고정되고, 하부대(120)는 허리쪽에 고정되며, 가압대(130)는 등쪽에 밀착하여 척추의 굽은 부분을 압박할 수 있게 성형한 판체와.
    판체 배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교정기본체의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부착부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관통되게 안내장공(410)을 형성한 지지대(400)를 형성하고,
    판체 하단에서 배면으로 돌출되어 중심부에 고정볼트 삽입공(160a)이 형성된 고정대(160)를 가지는 교정기본체(100)와,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체 판으로 되어 지지대(400)의 안내장공(410)을 관통하여 교정기본체 배면에 설치되며,
    상단은 교정기본체(100)의 상단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고정볼트삽입공(510a)이 있는 당김대(510)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70)가 장치되는 곡률조정대(500)와,
    곡률조정대(500)의 당김대(510)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교정기본체(100)의 고정대(160)에 형성된 볼트구멍 사이에 고정볼트(170)를 설치하여 고정대(160) 외면으로 돌출된 고정볼트 나사부에 나비너트(171)를 나사조임하는 곡률조정장치(가)와,
    신축성과 탄력성이 구비된 세폭띠로 되어 교정기본체(100)의 어깨대에 형성한 끈연결공(140)에 끼워지고 양단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버클로 된 체결구가 부착되어 교정기본체(100)의 어때대를 어깨쪽에 고정시키는 어깨끈(200)과,
    신축성과 탄력성이 구비된 세폭띠로 되어 교정기본체(100)의 하부대에 형성된 끈연결공(150)에 끼워지고 양단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버클로 된 체결구가 부착되어 교정기본체(100)의 하부대를 엉덩이 쪽에 고정시키는 하부끈(300)으로 구서되어 교정기본체의 곡률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기
KR1020150170094A 2015-12-01 2015-12-01 척추교정기 KR20170064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094A KR20170064368A (ko) 2015-12-01 2015-12-01 척추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094A KR20170064368A (ko) 2015-12-01 2015-12-01 척추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368A true KR20170064368A (ko) 2017-06-09

Family

ID=5922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094A KR20170064368A (ko) 2015-12-01 2015-12-01 척추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3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2095A (zh) * 2018-11-10 2019-01-11 王胜利 一种矫正脊柱侧弯的外用固定装置
CN111529161A (zh) * 2020-05-15 2020-08-14 合肥三青鸾医疗机械有限公司 一种医疗护理的可调式脊椎矫正装置
CN111920565A (zh) * 2020-08-03 2020-11-13 太和县卡巴拉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医疗康复用脊柱侧弯矫正装置
GB2619398A (en) * 2022-04-01 2023-12-06 Campbell Colm Device for supporting the spine of a user and improving pos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2095A (zh) * 2018-11-10 2019-01-11 王胜利 一种矫正脊柱侧弯的外用固定装置
CN111529161A (zh) * 2020-05-15 2020-08-14 合肥三青鸾医疗机械有限公司 一种医疗护理的可调式脊椎矫正装置
CN111920565A (zh) * 2020-08-03 2020-11-13 太和县卡巴拉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医疗康复用脊柱侧弯矫正装置
GB2619398A (en) * 2022-04-01 2023-12-06 Campbell Colm Device for supporting the spine of a user and improving pos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4368A (ko) 척추교정기
KR101638138B1 (ko) 허리 보호대
US20200229960A1 (en) Adjustment system
KR101205285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KR20170068415A (ko) 척추 교정 장치
KR20200029304A (ko)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KR102253097B1 (ko) 어깨 자세 교정장치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KR20140100342A (ko) 허리보호대
KR101035675B1 (ko) 체간 및 골반 정상화를 위한 재활치료용 교정기구
KR200457098Y1 (ko) 다리 교정장치
KR101297399B1 (ko)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KR20170007678A (ko) 조절식 요추 견인기
KR101115938B1 (ko) 척추 견인용 허리 교정기
KR101849646B1 (ko) 바른자세교정기
KR101552528B1 (ko) 자세 교정용 프레임 장치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KR101650876B1 (ko)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KR101386713B1 (ko) 허리보호대
KR200479406Y1 (ko)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JP3156477U (ja) 腰、背部の疲労緩和具
KR20100015101A (ko) 자세 교정 보조기
CN210494334U (zh) 脊柱侧弯辅助支撑装置
KR20070008434A (ko) 다리 교정기구
KR20180097042A (ko) 경추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