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678A - 조절식 요추 견인기 - Google Patents

조절식 요추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678A
KR20170007678A KR1020150098723A KR20150098723A KR20170007678A KR 20170007678 A KR20170007678 A KR 20170007678A KR 1020150098723 A KR1020150098723 A KR 1020150098723A KR 20150098723 A KR20150098723 A KR 20150098723A KR 20170007678 A KR20170007678 A KR 20170007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ulling
lumbar
guide member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곽재전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15009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7678A/ko
Publication of KR2017000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식 요추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요추를 상부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부재; 상기 견인 부재를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고정하며 허리 척추부에 밀착되도록 압박을 가해주는 고정 부재: 상기 견인 부재 및 고정 부재의 양끝부에 벨트 부재를 구비하도록 한 조절식 요추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절식 요추 견인기{ADJUSTABLE RETRACTOR OF LUMBER}
본 발명은 조절식 요추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요추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 부재와, 상기 견인 부재가 상하 이동하도록 내부에 래칫 멈춤쇠와 피니언을 구비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견인 부재 하부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로 구성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우리 몸의 대들보로서 근골계의 중심이다. 사람의 척추구조는 기본적으로 중력을 지탱하면서 활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크게 경추, 흉추, 요추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사회에서 요추질환은 갈수록 늘고 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확대로 일상생활에서 불량한 자세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특히 요추관 협착증은 디스크 탈출증과 함께 척추의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신경관과 신경근의 압박으로 요통이나 하지의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와 같이 척추를 보호하기 위한 척추 보조기는 다양하게 개발되는 실정이며, 일반적으로 종래의 척추 보조기는 척추의 움직임을 도와주고 근본적으로 힘을 전위 시키기 보다는 신체의 움직임을 억제 시켜 척추를 보호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척추 보조기를 착용함으로써 손상된 척추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며 동통을 경감시키고 약한 근육을 보호하여 퇴행성 질환을 예방하고 교정하여 근육의 이완, 체간을 지지하고 척추의 정렬 등의 효과에 대해서는 정확히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갈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절식 요추 견인기의 견인 부재를 요추에 밀착 착용함과 동시에 요추를 견인하여 효과적으로 체간을 지지,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조절식 요추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추를 견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요추를 상부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부재; 상기 견인 부재를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 요철이 형성되어 내부에 피니언 및 래칫 멈춤쇠가 구비되어 상기 견인 부재를 상부로 가압하거나 이완시키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고정하며 허리 척추부에 밀착되도록 압박을 가해주는 고정 부재; 상기 견인 부재 및 고정 부재의 양끝부에 벨트 부재가 구비되되 허리와 가슴을 감싸 고정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견인 부재는 중앙부에 가이드 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요철 평면부에 평 래칫 및 랙 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견인 부재가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이 가능한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일측에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핸들 삽입 구멍이 형성되며, 반대편 일측에는 래칫 멈춤쇠와 연결되는 밀핀의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 일측의 상단부에 래칫 멈춤쇠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단 양측에 고정 부재를 결속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견인 부재 및 고정 부재의 양끝부에 벨트 부재를 결속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벨트삽입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절식 요추 견인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착용자 스스로 가이드 부재의 핸들을 이용하여 견인 부재를 상부로 가압하는 방식으로서, 가압하는 세기의 조절을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강,약 조절이 용이하다.
둘째, 견인 부재 및 고정 부재에 결속되어 있는 벨트 부재를 가슴 및 허리에 압박 착용 후 요추를 견인시키는 방식으로서, 견인된 요추가 아래쪽으로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견인 부재의 착용위치를 달리하여 견인되는 부위가 요추뿐만 아니라 흉추까지 견고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셋째, 견인 부재와 고정 부재가 분리되어 있어 허리의 굽힘과 폄이 용이하므로 착용 후 신체활동 하기에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식 요추 견인기의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식 요추 견인기의 견인 부재-가이드 부재-고정 부재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식 요추 견인기의 조립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식 요추 견인기의 조립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식 요추 견인기의 조립 우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식 요추 견인기의 래칫 멈춤쇠 구성도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절식 요추 견인기를 첨부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요추를 견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수직의 3단으로 조립되어 가이드 부재(100), 견인 부재(200), 고정 부재(300)로 구성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00)는 상기 견인 부재(200)가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00)의 일측에 브라켓트(120)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구멍(10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00)의 내측에 핸들(150)을 지지하기 위한 핸들 지지부(10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견인 부재(200)를 구성하는 요소로서는 가이드 부재(100)를 가압하기 위한 랙 기어(220)와 가압 시 흘러내림을 방지해 주기 위한 평 래칫(2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부재(200)의 상단 양끝부에 벨트 부재(400)를 결속하기 위한 벨트삽입 홈(30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벨트 부재(400)는 착용자의 가슴에 압박을 주도록 결합 되어 구비되되 벨트 부재(400)의 양측부에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벨트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300)의 양끝 하단부에도 벨트 부재(400)를 결속하기 위한 벨트삽입 홈(301)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허리에 압박을 줄 수 있도록 결합 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00)는 상기 견인 부재(200)가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이 가능한 가이드 홈(101)을 형성하고 일측에 피니언(140)을 구동시키는 핸들(150) 삽입구멍(105)을 구비하며, 반대편 일측에는 래칫 멈춤쇠(136)의 밀핀 삽입구멍(106)을 형성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가이드 부재(100)-견인 부재(200)-고정 부재(300)를 결속시켜 견인 부재(200)의 견인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100)를 통과하여 연결된 핸들(150)을 돌려 피니언(140)을 회전시키면 견인 부재(200)에 형성되어 있는 랙 기어(220)가 상부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견인 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된 래칫 멈춤쇠(136)에 의해 요추가 견인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작동으로 상기 견인 부재(200) 위치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서 착용자의 조건에 맞는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 멈춤쇠(13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가이드 부재(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104)과 브라켓트(120)를 대향시켜 체결 편(160)으로 결속 시킨다.
상기 브라켓트(120) 사이에 로울러 홀더가이드(130)를 끼우고, 상기 로울러 홀더가이드(130)의 내부에 로울러(132) 일체형의 로울러 홀더(131)와 압축코일 스프링(134)을 끼운 후 상기 브라켓트(120)의 외측에서 코일스프링 지지나사(135)로 체결시킨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핀(133)을 상기 가이드 부재(100)의 밀핀 삽입구멍(106)을 통과시킨 후 브라켓트(120)를 관통하여 상기 로울러 홀더(131)의 한쪽에 결속시킨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120)의 일측에 래칫 멈춤쇠(136)와 토션 스프링(137)을 삽입하고 브라켓트(120)의 외측에서 핀(138)을 삽입하여 결속시킨다.
이러한 상기 래칫 멈춤쇠(136)의 구성에 의해 상기 밀핀(133)을 누르게 되면 로울러(132)에 의해 래칫 멈춤쇠(136)가 원래의 위치에서 아래로 밀려나게 되며, 상기 밀핀(133)을 놓게 되면 압축코일 스프링(134)에 의해 후진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토션 스프링(137)에 의해 래칫 멈춤쇠(136)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상기 평 래칫(210)에 고정되어 상기 견인 부재(200)가 하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허리 요추부에 가압 견인이 이뤄지도록 함에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가이드 부재 101 : 가이드 홈
102 : 체결 구멍 103 : 핸들 지지부
104 : 체결 구멍 105 : 핸들 삽입구멍
106 : 밀핀 삽입구멍 120 : 브라켓트
121 : 스프링 거치대 130 : 로울러 홀더 가이드
131 : 로울러 홀더 132 : 로울러
133 : 밀핀 134 : 압축 코일스프링
135 : 코일 스프링 지지나사 136 : 래칫 멈춤쇠
137 : 토션 스프링 138 : 핀
140 : 피니언 150 : 핸들
160 : 체결 편 200 : 견인 부재
201 : 벨트 삽입 홈 210 : 평 래칫
220 ; 랙 기어 300 : 고정 부재
301 : 벨트 삽입 홈 302 ; 체결구멍
400 : 벨트 부재

Claims (4)

  1. 요추를 상부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부재; 상기 견인 부재를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 요철이 형성되며 내부에 래칫 멈춤쇠 및 피니언이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허리 척추부에 밀착되도록 압박을 가해주는 고정 부재: 상기 견인 부재 및 고정 부재의 양끝부에 벨크로가 구비되는 벨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부재는 가이드 요철부의 일측에 랙 기어 및 평 래칫이 구비되어 가압, 견인이 이뤄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견인 부재 삽입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피니언과 반대편 일측에 구비되는 래칫 멈춤쇠에 의해 상기 견인 부재에 외력을 가해 상하 이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가이드 부재와 체결이 가능하게 되도록 다수의 체결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요추 견인기
KR1020150098723A 2015-07-11 2015-07-11 조절식 요추 견인기 KR20170007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723A KR20170007678A (ko) 2015-07-11 2015-07-11 조절식 요추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723A KR20170007678A (ko) 2015-07-11 2015-07-11 조절식 요추 견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678A true KR20170007678A (ko) 2017-01-19

Family

ID=5799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723A KR20170007678A (ko) 2015-07-11 2015-07-11 조절식 요추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76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77B1 (ko) 2019-06-25 2020-11-19 시니어 티모시 칼 라이스 통증 완화기
KR20210048089A (ko) * 2019-10-23 2021-05-03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손목터널증후군 완화용 손목견인장치
KR102528553B1 (ko) * 2022-11-25 2023-05-04 서상혁 휴대용 척추 견인 치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77B1 (ko) 2019-06-25 2020-11-19 시니어 티모시 칼 라이스 통증 완화기
KR20210048089A (ko) * 2019-10-23 2021-05-03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손목터널증후군 완화용 손목견인장치
KR102528553B1 (ko) * 2022-11-25 2023-05-04 서상혁 휴대용 척추 견인 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130B2 (en) Support device
EP2301489B1 (en) Spinal three-dimensional orthopaedic equipment
US20080203249A1 (en) Arm support device
EP3280366B1 (en) Apparatus for spinal disc decompression
KR20170007678A (ko) 조절식 요추 견인기
KR102030379B1 (ko) 경추 교정기
KR20170064368A (ko) 척추교정기
US20130274800A1 (en) Spinal Column Correction Device
CN211460715U (zh) 一种骨科脊柱矫正装置
KR100390534B1 (ko) 경추 교정기
KR200457098Y1 (ko) 다리 교정장치
US20080105266A1 (en) Therapeutic Massage Ramp
KR101506009B1 (ko) 위치조절이 용이한 수배혈 자극기
KR20170135000A (ko) 경추 교정기
CN112716675A (zh) 头部前倾矫正装置
US9889037B2 (en) Spinal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813106B1 (ko) 자세교정을 위한 개량형 탈착식 척추지지대
KR20090121460A (ko) 일대일 맞춤형 척추체형교정기 및 그 성형방법
EP3482726A1 (en) Hyper-extending orthopedic bust
US20230157858A1 (en) Scoliosis Brace
KR101821634B1 (ko) 재활치료용 척추교정기구
KR20180097042A (ko) 경추 견인장치
WO1997031569A1 (de) Einrichtung zur erfassung des krümmungszustandes von bereichen des menschlichen körpers
KR101485364B1 (ko) 뒤통수 밑 근육 운동 장치
JP7137390B2 (ja) 腰用サポー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