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06Y1 -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06Y1
KR200479406Y1 KR2020150006512U KR20150006512U KR200479406Y1 KR 200479406 Y1 KR200479406 Y1 KR 200479406Y1 KR 2020150006512 U KR2020150006512 U KR 2020150006512U KR 20150006512 U KR20150006512 U KR 20150006512U KR 200479406 Y1 KR200479406 Y1 KR 200479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istband
shoulder
pres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성
Original Assignee
한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성 filed Critical 한동성
Priority to KR2020150006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허리나 어깨 등 인체에 착용하여 척추 또는 어깨가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교정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신체의 곡선 형태에 맞추어 입체적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 신체에 밀착되도록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 제공하는 공간이 막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압박시트; 상기 프레임을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체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Apparatus For Supporting Physical Alignment}
본 고안은 신체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나 어깨 등 인체에 착용하여 척추 또는 어깨가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교정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직립보행하는 인류에게 있어서 척추는 신체를 바르게 지탱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신체 구조상 척추가 가지는 부담은 매우 크며 건강한 척추를 위해서는 올바른 관리와 자세가 중요하다.
그러나 불의의 사고, 선천적인 척추의 형태 또는 오랜 기간 바르지 못한 자세에 의해 많은 사람이 척추질환으로 고생하고 있다. 그래서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많은 의료기관 및 시술소가 주변에 보급되어 있다.
척추를 교정하는 방법으로는 시술소 등에 설치된 교정장치의 도움을 받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시술소를 방문하여야 하며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을 써야 한다. 그리고 허리에 직접 착용하는 형식의 교정 보조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허리밴드 형태로서 허리에 착용하고 허리를 압박 내지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또한 일시적이며 통증을 완화해주는 정도의 효과에 그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107380 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2957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허리 또는 등을 곧게 펴고 일상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목적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도 신체 교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늘 바른 자세에 대한 생각을 주지시킴으로써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체 보조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신체의 곡선 형태에 맞추어 입체적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체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신체에 밀착되도록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 제공하는 공간이 막(膜)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압박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박시트는 직물 망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스프링강을 포함함으로써 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허리를 받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신체고정수단은 상기 압박시트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띠를 끼울 수 있는 허리띠끼움홈이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허리띠홀더이며;
상기 허리띠홀더의 허리띠끼움홈은 측부에서 보았을 경우 상측이 수직선에 대하여 5 ~ 30°의 각도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허리띠를 착용시 상기 프레임의 상부가 신체를 향해 압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며,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세로조임밴드를 더 포함으로써 활시위를 당기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만곡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어깨와 인접한 등의 상부를 받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신체고정수단은 어깨에 멜 수 있는 멜빵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좌측 단부에 연결되며,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로조임밴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만곡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이 허리 부위에 맞게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척추의 바람직한 형태가 되도록 스트레칭 또는 교정하는 기구가 마련된다. 또한 프레임이 등 상부에 맞게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어깨가 신체의 뒤로 젖혀지게, 즉 어깨를 펼 수 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몸통 상부의 스트레칭 또는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구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의 허리띠홀더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리고 필요시 다른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이하, '교정기구'라 한다)는 특정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스트레칭 또는 신체교정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교정기구(10)는 신체받침부(20)와 이 신체받침부(20)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체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신체받침부(20)는 신체의 곡선 형태에 맞추어 입체적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22)과 프레임(22)이 제공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압박시트(21)를 포함한다. 프레임(22)으로는 고탄성을 가지는 선재 형태로 된 스프링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을 가진 강인한 소재라면 무방하기 때문에 탄소섬유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압박시트(21)는 신체에 밀착되도록 단부가 프레임(22)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22)이 제공하는 공간이 막(膜)으로 채워지도록 한다. 압박시트(21)는 인장강도가 높은 섬유를 망체 형태로 제직하여 형성된 시트를 재단 및 재봉함으로써 제공된다.
이상 설명된 프레임(22)과 압박시트(21)는 사무용 의자 또는 차량용 등받이 시트에 허리를 받치기 위해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메시형 등받이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프레임(22)은 척추 하부에 해당되는 부위인 허리를 받칠 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척추 상부에 해당되는 부위인 등(back)의 상부를 받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허리를 받칠 수 있는 형식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교정기구(10)는 프레임(22) 내지 압박시트(21)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각종의 신체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신체고정수단(30)은 일단은 프레임(22)의 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22)의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1쌍의 고정벨트(31)가 될 수 있다. 고정벨트(31)의 단부에는 벨크로(32)가 설치되어 원하는 길이로 쉽게 고정 또는 해체할 수 있다. 고정벨트(31)의 폭은 사용자의 옆구리부분을 받치는 부분이므로 폭이 넓은 것이 좀 더 편안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정벨트(31)는 프레임(22)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신체고정수단(30)은 탈부착벨트(36)가 될 수 있다. 탈부착벨트(36)는 벨크로(37)에 의해 압박시트(21)의 배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벨트(36)를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탈부착벨트(36)의 상하방향으로의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의하면, 신체고정수단은 사용자의 바지에 착용하는 허리띠(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2, 또는 압박시트)의 배면 중앙에 고정되는 허리띠홀더(50)가 신체고정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허리띠홀더(50)는 전면(52)이 프레임(22, 또는 압박시트)에 고정된다. 허리띠홀더(50)가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하지 않도록 허리띠홀더(50)와 압박시트 사이에는 허리띠홀더(50)의 압박면적을 넓히기 위한 완충판(미도시됨)이 개입될 수 있다.
허리띠홀더(50)는 전면이 사용자의 허리띠(33)를 끼울 수 있는 허리띠끼움홈(51)이 마련된다. 허리띠(33)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허리띠끼움홈(51)에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허리띠끼움홈(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에 대하여 윗부분이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5 ~ 30°의 각도(A)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허리띠(33)를 착용할 경우에는 허리띠(33)가 허리띠홀더(50)를 화살표(K) 방향으로 당기게 되며, 이에 의해 프레임(22)의 상부는 화살표(K')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즉 프레임(22)의 상부가 신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게끔 토크를 받게 된다.
허리띠홀더(50)로부터 허리띠(33)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밴드(53)가 허리띠홀더(5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밴드(53)는 벨크로(54) 또는 스냅단추에 의해 허리띠홀더(50)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41a)은 프레임(22)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41b)은 프레임(22)의 하단에 연결되며,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세로조임밴드(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세로조임밴드(40)는 직물로 된 강인한 끈부재(41)를 포함하다. 멜빵 또는 등산가방의 끈에서 널리 사용되는 길이조정용 클립(42)이 끈부재(41)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끈부재(41)의 단부(43)를 당김으로써 자신의 길이(H)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활시위를 당기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임(22)의 만곡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프레임(22)의 곡선 형태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며, 신체의 스트레칭의 강도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허리가 아닌 그 윗쪽 신체부위 즉 등에 착용하는 형태의 교정기구(100)를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6은 어깨에 매는 형태의 교정기구(100)와 허리에 착용하는 교정기구(10)가 동시에 표현되어 있다. 이들은 도시된 것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어깨용 교정기구(1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다만 착용부위가 다르므로 신체받침부(110)는 형태를 달리한다. 신체받침부(110)를 구성하는 프레임(112)은 그에 맞도록 가로로 가다란 입체적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교정기구(100)는 어깨를 뒤로 젖힌 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압박시트(111)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을 가진다.
프레임(112)은 어깨와 인접한 등의 상부를 받칠 수 있는 입체적 형태로 되어 있으며, 신체고정수단(120)은 끈부재(121)로 된 것으로서 어깨에 멜 수 있는 멜빵 형태로 되어 있다. 멜빵의 길이는 클립(123)에 의해 단부(122)를 잡아당김으써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도 신체적 특징이라던가 또는 스트레칭의 강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로조임밴드(140)가 사용될 수 있다. 가로조림밴드(140)는 인장강도가 좋은 직물로 된 끈부재(141)를 포함한다. 일단(141a)은 상기 프레임(112)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141b)은 좌측 단부에 연결되며,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1)의 양측은 화살표(L) 방향으로 활처럼 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교정기구(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부위를 화살표(M) 방향으로 스트레칭하도록, 즉 어깨(또는 가슴)를 펴는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프레임와 압박시트가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압박대(60)를 제공한다. 압박대(60)는 신체의 형상에 부합하는 굴곡을 가지도록 성형된 것으로서 합성수지, 목재 등을 성형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일체형일 수도 있고 조립형일 수도 있다. 압박대(60)에는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신체고정수단으로서의 허리띠끼움홈(51)이 마련된다. 허리띠끼움홈(51)은 압박대(60)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띠를 끼울 수 있는 관통홈을 제공한다. 허리띠끼움홈은 측부에서 보았을 경우 상측(62)이 수직선에 대하여 5 ~ 30°의 각도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허리띠끼움홈(51)의 상단은 허리띠(30)를 K 방향으로 당길 경우 K'방향으로 신체를 압박하게 된다(도 9 참조).
본 실시예에 의한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는 부피감이 적어 실제 착용하고 일상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전 실시예에서의 어깨에 착용하는 교정기구(100)와 병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100 : (신체용 보조)교정기구 20,110 : 신체받침부
21,111 : 압박시트 22,112 : 프레임
30,120 : 신체고정수단 31 : 고정벨트
33 : 허리띠 36 : 탈부착벨트
40 : 세로조임밴드 50 : 허리띠홀더
60 : 압박대 140 : 가로조임밴드

Claims (5)

  1. 삭제
  2. 신체의 곡선 형태에 맞추어 입체적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체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신체에 밀착되도록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 제공하는 공간이 막(膜)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압박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허리를 받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신체고정수단은 상기 압박시트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띠를 끼울 수 있는 허리띠끼움홈이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허리띠홀더이며;
    상기 허리띠홀더의 허리띠끼움홈은 측부에서 보았을 경우 상측이 수직선에 대하여 5 ~ 30°의 각도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허리띠를 착용시 상기 프레임의 상부가 신체를 향해 압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며,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세로조임밴드를 더 포함으로써;
    활시위를 당기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만곡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어깨와 인접한 등의 상부를 받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신체고정수단은 어깨에 멜 수 있는 멜빵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좌측 단부에 연결되며,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로조임밴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만곡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KR2020150006512U 2015-10-02 2015-10-02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KR200479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12U KR200479406Y1 (ko) 2015-10-02 2015-10-02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12U KR200479406Y1 (ko) 2015-10-02 2015-10-02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406Y1 true KR200479406Y1 (ko) 2016-01-26

Family

ID=5531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512U KR200479406Y1 (ko) 2015-10-02 2015-10-02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842A (ko) 2017-12-11 2019-06-19 이정화 발열 기능을 가지는 교정조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514Y1 (ko) 2004-02-12 2004-05-17 류실근 허리보호대
KR200395827Y1 (ko) 2005-06-09 2005-09-14 기용호 자세교정용 벨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514Y1 (ko) 2004-02-12 2004-05-17 류실근 허리보호대
KR200395827Y1 (ko) 2005-06-09 2005-09-14 기용호 자세교정용 벨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842A (ko) 2017-12-11 2019-06-19 이정화 발열 기능을 가지는 교정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8010A1 (en) Adjustable posterior spinal orthosis
JP5210449B1 (ja) 腰曲がり矯正具
KR101369164B1 (ko) 자세교정용 보조기
KR102034921B1 (ko) 척추 교정 장치
KR101205285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US20190231577A1 (en) Sacrum pressing tool and sacrum pressing unit
TW202106262A (zh) 脊椎矯正器及利用其的脊椎側彎症管理系統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KR102167617B1 (ko) 자세교정벨트
KR200479406Y1 (ko)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KR101097106B1 (ko)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KR20170064368A (ko) 척추교정기
KR20160146269A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RU2607367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напряжения в шее
KR101297399B1 (ko)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KR20120116264A (ko) 자세교정용 밴드
KR20110124846A (ko) 어깨 및 목의 근육 이완 및 자세 교정용 브레이스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KR101650876B1 (ko)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101386713B1 (ko) 허리보호대
KR20160085980A (ko) 의료용 복대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CN219763668U (zh) 一种用于上胸弯矫形的脊柱侧凸支具
KR20150102293A (ko) 자세 교정용 프레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