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285B1 -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 Google Patents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285B1
KR101205285B1 KR1020110087963A KR20110087963A KR101205285B1 KR 101205285 B1 KR101205285 B1 KR 101205285B1 KR 1020110087963 A KR1020110087963 A KR 1020110087963A KR 20110087963 A KR20110087963 A KR 20110087963A KR 101205285 B1 KR101205285 B1 KR 101205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belt
traction device
wai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원
Original Assignee
김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원 filed Critical 김정원
Priority to KR102011008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척추를 보호하고 지지하며, 척추 요추부 견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허리를 감싸 고정되도록 서로 접하는 양끝부에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는 허리 압박 부재; 상기 허리 압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견인장치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 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딩 홀더;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에 상하 이동되도록 삽입되되, 착용자의 착좌시 외부지지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허리 압박 부재를 수축시키는 가압 견인장치; 및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단 및 상기 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허리 압박 부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허리 압박 부재에 수축 및 이완작용을 수행하는 견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remedying belt for spine fixing and pulling}
본 고안은 척추 교정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추부 압력 상승으로 척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견인하기 위한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인체골격의 중추적인 골격으로, 우리 몸을 지탱하고 지지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구조로서 인대, 근육, 연골 등과 상호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우리 몸의 기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척추는 기둥 역할을 하는 척추체와,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추간판까지 다양한 관절과 신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척추는 정지 상태나 운동 상태에서도 균형을 유지해 주는 축 역할을 하고, 여러 가지 구조물들이 모여 상체의 체중을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하며, 구부리고 펴는 운동으로 상지 및 하지와 더불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관절 역할을 한다.
또한, 인체의 척추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인체의 머리부를 지탱하는 경추로 이어진다. 상기와 같은 인체의 척추와 경추는 다수개의 관절들로 이루어지고, 이들 관절 사이에는 관절들 사이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 수단인 디스크들이 각각 개재된다. 또한, 상기 인체의 척추 및 경추에는 뇌신경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각 근육 및 감각부로 전달하는 수단인 다수의 신경 라인들이 분포된다.
이에 따라, 인체에 있어서 척추는 사람이 활동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기둥의 역할을 하는 이러한 척추가 오랫동안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교통사고와 같이 외부로부터 심한 충격을 받게 되어 머리 쪽의 경추와 골반 쪽의 요추가 틀어져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 척추 측만증이나 허리 디스크 또는 요통이나 소화불량 등과 같은 척추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 골격 중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척추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척추보조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척추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척추 교정벨트(10)는 인체의 허리부위를 감싸듯이 장착되는 조임밴드(1), 상기 조임밴드(1)의 내측에 척추를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2), 상기 조임밴드(1)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체를 및 상기 척추보조기(10)를 착용할 때 허리의 크기에 대응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 역할을 수행하며,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허리부착부(4a, 4b)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종래의 척추 교정벨트(10)는 인체의 허리부위에 착용 되어 단단한 목판 등으로 되어 등 쪽 허리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2)가 삽입되어 있어 착용자의 허리를 곧게 지지하고, 척추가 뒤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밴드(1)의 양측부에 구비된 상기 허리부착부(4a, 4b)에 의해 착용자 신체에 고정하여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활동할 때 상기 척추 교정벨트(10)가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품들은 착용감이 좋지 않고 또한 착석, 보행 등 일상 거동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척추 교정벨트(10)은 허리를 전체적으로 보호할지는 몰라도 척추만을 중점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갖지는 못했다.
마찬가지로, 착용자가 활동하는 경우 인체의 요추부와 척추 교정벨트(10)의 밀착이 극히 취약하게 되어 요추부로부터 쉽게 미끄러져 요추부 상측으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수직 견인식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척추 교정벨트(10)가 요추부에서 올라감에 따라 압박력이 원하지 않는 부위에도 작용할 수 있고, 착용한 교정기에 의해 작용하는 체간 교정력이 정확하게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정확히 확인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추부 압력 상승으로 척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견인하기 위한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허리를 감싸 고정되도록 서로 접하는 양끝부에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는 허리 압박 부재; 상기 허리 압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견인장치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 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딩 홀더;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에 상하 이동되도록 삽입되되, 착용자의 착좌시 외부지지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허리 압박 부재를 수축시키는 가압 견인장치; 및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단 및 상기 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허리 압박 부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허리 압박 부재에 수축 및 이완작용을 수행하는 견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허리 압박부재의 수축 및 이완하도록, 상기 견인 와이어는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단을 감싸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허리 압박 부재의 연장방향으로 밴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딩 홀더는, 중앙부에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이 형성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견인 와이어의 수축 및 이완을 안내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 견인장치는, 상단부에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안내홈부가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 하측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되, 외부지지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바에 외력을 전달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 및 상기 연장바 중 어느 일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높이 조절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높이 조절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척추 견인 지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허리 압박 부재가 벨크로 부재에 의해 척추 요추부에 착용 되고, 그의 외측을 감싸면서 벨트부재가 탄발 결합하여 이중 고정 지지하므로 상기 허리 압박 부재가 외력이나 혹은 사용자의 활동에 의해 착용부위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둘째, 신체조건이 다른 착용자들에 대응되도록 가압 견인장치의 높이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감이 좋고, 사용자 신체조건에 맞도록 가압 견인장치의 높이를 설정하여 가압하므로 견인되는 부위가 척추의 요추부가 되도록 정확한 견인 작용부위를 설정할 수 있다.
셋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하부를 가압하여 착용자의 척추 요추부를 견인하므로, 허리 디스크 환자 등의 착용자 허리부위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착용자가 바른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척추 요추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넷째, 가압 견인장치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어서, 착용자 스스로가 외부지지체를 이용하거나 착석 등을 이용하여 상기 허리 압박 부재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손쉽게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를 사용 가능하다.
다섯째, 착용자의 착좌로 가압 견인장치를 밀어넣어 가압하는 방식이므로, 착용자의 하체 무게에 따라 가압 되는 힘을 조절하여 견인 세기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척추 보호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고정대와 가이드바 부분 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착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100)은 허리 압박 부재(20), 가이딩 홀더(30), 가압 견인장치(40), 및 견인 와이어(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는 신체의 척추 요추부를 밀착되어 감싸도록 구비된 허리 복대부(21)와, 허리 복대부(21)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서로 접하는 양끝단부에 구비된 벨크로 부재(22, 23) 및 상기 허리 복대부(21)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벨트부재(24a, 24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허리 복대부(21)는 상기 척추 요추부를 감싸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이 가능하고, 신체 활동에 따라 활동에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허리 복대부(21)에 상기 척추 요추부를 감쌀 때 착용부위가 발열 될 수 있으므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의 통공된 홀로 형성된 통풍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벨크로 부재(22, 23)는 상기 허리 복대부(21)의 양 끝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허리 압밥 부재(20)의 선택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벨크로 부재(22, 23)는 제1벨크로(22)와 제2벨크로(23)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벨크로와 제2벨크로는 상기 허리복대부(21)의 전면과 이면에 선택적으로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벨크로(22)는 섬유 재질을 실타래가 모여 있는 듯하게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고, 상기 제2벨크로(23)는 합성수지 재질의 돌기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제1벨크로(22)와 제2벨크로(23)가 서로 맞닿게 되면 상기 제2벨크로(23)의 돌기 부분이 상기 제1벨크로(22)를 떨어지지 않도록 접착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허리 복대부(21)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착용자의 신체의 허리 부위에 두르고,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둘레로 상기 벨크로 부재(22, 23)을 접착시켜 상기 척추 요추부에 착용한다.
이로 인해, 척추 요추부를 감쌀 때 많은 힘을 주어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당긴 후 척추 요추부에 착용하게 되면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 자체의 압박작용이 발생하고,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견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벨트부재(24a, 24b)는 상기 허리 복대부(21)의 외측을 감싸듯 결합되어 구비되되, 일측 단부에는 탄발 변형 가능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 벨트부재(24a)와 그의 대향된 타측 단부에는 내부가 통공되어 상기 돌기 벨트부재(24a)와 결합 및 해지하는 수용 벨트부재(24b)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돌기 벨트부재(24b)는 상기 수용 벨트부재(24b) 내측으로 탄발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수용 벨트부재(24b)의 양측부에 구비된 결합홈(25)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수용 벨트부재(24b)의 결합홈(25)에 결합하여 돌출된 상기 돌기 벨트부재(24b)를 양측에서 가압하면 탄발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을 해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부재(24a, 24b)는 일측부에 벨트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 길이 조절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벨트 길이 조절부는 착용부위의 둘레와 대응되도록 벨트 끈을 잡아당기면 상기 벨트 끈의 둘레가 줄어들고, 상기 벨트 끈을 상기 길이 조절부 측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벨트 끈의 둘레가 늘어나게 된다.
즉,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가 상기 벨크로 부재(22, 23)에 의해 척추 요추부에 착용되고, 그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벨트부재(24a, 24b)가 탄발 결합 후 길이 조절하여 착용자의 신체둘레와 대응되도록 고정하므로,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착용부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 고정 지지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딩 홀더(30)는 상기 가압 견인장치(40)를 상하 이동되도록 내측에 수용하는 견인장치 수용홈(32)이 형성된 홀더 프레임(35)과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딩 홀더(30)는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척추 요추부를 지지하기 위해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되, 상기 척추 요추부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척추 지지체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딩 홀더(30)는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에 의해 착용 되는 착용 부위의 척추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부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오목한 단면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이딩 홀더(30)의 딱딱한 재질로 인한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그의 내면에 섬유 부재 및 메모리 폼 부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 프레임(35)의 중앙부에는 상기 가압 견인장치(40) 및 견인 와이어(50)의 폭 이상의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32)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견인장치 안내바(31)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 프레임(35)의 각 상측 모서리에는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착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외력을 분산하는 지지체(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장치 안내바(31)은 상단 개구부 및 하단 개구부 및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32)을 형성하고, 형성된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32)의 내측으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32)에 수용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하단부가 착용자의 착좌로 인해 외부지지체로 가압 되면 상기 견인장치 안내바(31)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딩 홀더(30) 내측으로 수용되며, 상기 가압 견인장치(40)를 상기 가이딩 홀더(30) 외부로 소정의 이동시 상기 견인장치 안내바(31)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딩 홀더(30) 외측으로 해제된다.
한편, 상기 지지체(34)는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32) 내측에 수용된 가압 견인장치(40)와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이동 가능하도록 두께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지지체(34)는 상기 홀더 프레임(35) 내부의 모서리에 상호 균형을 이루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딩 홀더(30)가 착용자의 활동 및 허리 압박 부재(20)에 의해 외력 혹은 압력을 받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33)는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외주에 권취되어 구비되되,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하이동거리 변화량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부드럽게 이동되어 상기 가이딩 홀더(30)에 수용되도록 상기 홀더 프레임(35)의 양측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상기 허리 압박부재(20)의 수축 및 이완하도록, 상기 견인 와이어(50)는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단을 감싸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33)에 의해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연장방향인 수평방향으로 밴딩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가압 견인장치(40)는 가이드바(41)와 연장바(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견인장치 안내바(31)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41) 및 상기 연장바(45) 중 어느 일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높이 조절홀(46)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44)가 상기 높이 조절홀(46)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홀(4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바(41)의 하단부에 상기 체결홀(43)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45)의 일측부에 상기 높이 조절홀(46)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41)는 상단부에 상기 견인 와이어(5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안내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41) 하측부에는 상기 연장바(45)가 체결부재(4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세히, 상기 안내홈부(42)는 상기 견인 와이어(50)의 지름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안내홈부(42) 측으로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고정되어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견인 와이어(50) 외측에 접착제를 포함하여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부(42)는 상기 견인 와이어(50)의 지름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관통홀로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견인 와이어(50)를 관통시켜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연장바(45)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높이 조절홀(46)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44)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41)와 선택적인 체결하여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바(41)의 체결홀(43)이 구비된 하단부에 상기 연장바(45)가 위치하고 상기 체결홀(43)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장바(45)의 높이 조절홀(46)을 위치시킨 후 나사 등의 체결부재(44)를 체결하여 상기 가이드바(41)를 연장하는 구조로 상기 연장바(45)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바(45)는 외부지지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바(41)에 외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데, 상기 척추 견인 지지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착용자가 성인이거나 키 또는 앉은 키가 큰 경우에는 상기 연장바(45)의 상측에 구비된 높이 조절홀(46)과 상기 가이드바(41)의 상기 체결홀(43)을 상기 체결부재(44)로 체결하여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착용자가 소아이거나 키 또는 앉은 키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연장바(45)의 하측에 구비된 높이 조절홀(46)과 상기 가이드바(41)의 상기 체결홀(43)을 상기 체결부재(44)로 체결하여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신체조건이 다른 착용자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높이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감이 좋고, 사용자 신체조건에 맞도록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높이를 설정하여 가압하므로 견인되는 부위가 척추의 요추부가 되도록 정확한 견인 작용부위를 설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되어 구비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기 연장바(45)의 하단부가 외부지지체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되면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부(42)에 구속되어 구비된 상기 견인 와이어(50) 역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50)와 연결되어 구비된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하단부가 조이면서 착용부위를 견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상기 가이딩 홀더(30)의 상기 견인장치 안내부(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 견인장치(40) 양측부의 상하부를 제외한 측면부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딩 홀더(30)의 상기 견인장치 안내부(31)의 하측부에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상하 이동거리 변화량에 따라 이동하여도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양측부에 구비된 홀과 상기 견인장치 안내부(31) 하단에 구비된 돌기부로 걸림 구속을 수행하여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상기 가이딩 홀더(30)에 구속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 견인장치(140)는 단면형상이 아닌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원통형의 가이드바(141)와 원통형의 연장바(142)가 체결되어 높이조절된다. 여기서, 원통형의 상기 가이드바(141)와 상기 연장바(142) 중 어느 하나의 지름이 다른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연장바(142)의 지름에 대응되어 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상기 가이드바(14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141) 내측으로 상기 연장바(142)가 수용되어 체결부재(144)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하여 상기 가압 견인장치(140)가 높이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견인 와이어(50)는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단 및 상기 롤러(33)를 경유하여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에 수축 및 이완작용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 와이어(50)는 상기 가압 견인 장치(40)의 상기 안내홈부(42)에 수용되는 와이어부재(53)과 그의 양끝단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벨트부재(51, 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외측을 감싸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벨트부재(51, 52)는 상기 벨트부재(24a, 24b)와 마찬가지로 일측 단부에는 탄발 변형 가능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 벨트부재(51)와 그의 대향된 타측 단부에는 내부가 통공되어 상기 돌기 벨트부재(51)를 수용하는 수용 벨트부재(52)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돌기 벨트부재(51)는 상기 수용 벨트부재(52) 내측으로 탄발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수용 벨트부재(51)의 양측부에 구비된 결합홈(53)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수용 벨트부재(51)의 결합홈(53)에 결합하여 돌출된 상기 돌기 벨트부재(25)를 양측에서 가압하면 탄발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을 해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벨트부재(51, 52)는 일측부에 벨트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 길이 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와이어 벨트부재(51, 52)로 상기 착용자의 허리를 따라 외측으로 결합상태를 띄는 상기 견인 와이어(50)의 상기 와이어 부재(53)은 상기 롤러(33)에 권취되고, 상기 견인장치 안내바(31)의 외측을 따라 경유하고,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기 안내홈부(42)에 수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롤러(33)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 부재(53)도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하이동거리 변화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딩 홀더(30) 측으로 수용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33)는 상기 와이어 부재(53)가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에 의해 수직이동하는 것을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감싸는 수평방향 이동으로 전환시키며, 상기 와이어 부재(53)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50)의 부드러운 이동을 제공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를 이용하여 척추 요추부의 견인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가이딩 홀더와 가압 견인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척추 요추부에 착용된 허리 압박 부재(2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하단부에 외력을 가하거나, 의자 등에 착석하여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가 구비된 상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가압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는 상기 가이딩 홀더(3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견인장치 안내바(31)을 따라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32)의 상측방향으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기 안내홈부(42)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부재(53)는 회전가능한 상기 롤러(33)에 권취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수직 이동은 상기 롤러(33)에 의해 수평방향의 이동으로 전환되고, 수평방향 이동으로 전환된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수축시킨다.
이로 인해, 착용자의 신체를 감싸듯이 구비된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착용자의 착좌으로 발생하는 상기 와이어 부재(53)의 수용길이에 대응되도록 당겨지게 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착용된 부위를 조이고 가압하여 상기 척추 요추부를 견인하므로, 착용자의 하체의 무게에 의해 선택적인 견인 세기가 설정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100)의 하부를 가압하여 착용자의 척추 요추부를 견인하므로, 허리 디스크 환자 등의 착용자 허리부위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착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척추 요추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상기 척추 요추부를 가압한다고 예를 들었지만, 지지하고자 하는 착용부위에 따라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더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착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6를 참고하여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의 바람직한 착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100)의 허리 압박 부재(2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착용시 불편함 없이 척추 요추부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바(41)와 상기 연장바(45)를 체결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바(41)와 상기 연장바(45)를 신체에 대응되는 높이를 조절한 뒤, 상기 가이드바(41)에 상기 형성된 체결홀(43)과 상기 연장바(45)에 형성된 상기 높이 조절홀(46)을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44)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바(41)와 상기 연장바(45)를 체결하여 구비한다.
다음과 같이, 높이가 조절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를 포함한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100)의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지지하고자 하는 척추 요추부에 감싸듯이 두르고, 상기 허리 압박 부재의 양 끝단에 구비된 상기 벨크로 부재(22, 23)을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대응되도록 상호 접하여 부착시킨다.
여기서, 착용된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는 신축성과 유연성을 포함한 상기 허리 복대부(21)로 인해 상기 척추 요추부와 대응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 압박 부재(22) 내측에는 상기 허리 요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의 상기 가이딩 홀더(30)가 포함되어 상기 허리 요추부의 바른자세를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딩 홀더(30)가 착용자에게 주는 단단한 재질의 이질감을 줄이기 위하여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내측에 메모리 폼 등의 섬유 재질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착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척추의 요추부에 착용된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그의 외측으로 감싸듯이 구비된 상기 벨트부재(24a, 24b)를 결합한다. 그리고, 결합된 벨트부재(24a, 24b)의 일측부에 구비된 길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가 활동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척추 요추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허리의 둘레에 대응되게 상기 벨트부재(24a, 24b)의 길이조절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견인 와이어(50)의 양끝단부에도 상기 와이어 벨트부재(51, 52)가 구비되어 상기 벨트부재(24a, 24b)과 같은 방식으로 상호 탄발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견인 와이어(50)는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외측을 감싸듯이 형성되고 그의 내부에 착용자의 상기 척추 요추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100)를 상기 척추 요추부에 착용한 후, 착용자는 활동에 의해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가 흘러내리거나 회전이동하는지 확인하고,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다시 한번 상기 벨트부재(24a, 24b) 및 상기 와이어 벨트부재(51, 52)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100)가 착용된 모습은 도 6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100)가 착용자의 상기 척추 요추부에 착용하면,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일측으로 상기 가이딩 홀더(30)와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기 가이드바(41)의 최상단에 구비된 상기 안내홈부(42)에는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바(41)와 결합을 이룬 상기 견인 와이어(50)는 상기 가이딩 홀더(30)의 상기 견인장치 안내바(31)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며 회전가능한 상기 롤러(33)에 권취되어 구비되며 양 끝단은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감싸듯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돌출된 하단부를 상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거나, 착용자의 착좌시 외부지지체로 눌러져 가압하면, 상기 가이딩 홀더(30)의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32)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는 상기 견인장치 안내바(31)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딩 홀더(30)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와 연결된 상기 견인 와이어(50)는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롤러(33)에 권취되어 수평방향 이동으로 전환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감싸듯이 구비된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당겨지게 지게 되며,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를 수축시킨다.
즉, 상기 허리 압박 부재(20)의 외측을 감싸듯 구비된 견인 와이어(50)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에 의해 상기 가이딩 홀더(30) 내측으로 수용되므로 착용된 부위를 가압하여 척추 요추부를 조이게 되고, 조여지는 척추 요추부는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제공하는 압력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100)를 착용 부위에서 해지할 경우에는 상기 벨트부재(24a, 24b)와 상기 와이어 벨트부재(51, 52)의 결합을 해지시키고 상기 벨크로 부재(22, 23)의 접합을 해지하면 상기 척추 요추부로부터 간편하게 착용을 해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 와이어(50)가 척추 요추부를 감싸고 착용부위를 상기 가압 견인장치(40)의 상측이동으로 가압하므로 신체부위 중 견인 및 지지가 꼭 이루어져야 할 신체부위를 정확히 가압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압 견인장치(40)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어서, 착용자 스스로가 상기 척추 요지부에 압력을 제공할 때, 착용자의 착좌 혹은 외부지지체에 의한 눌림 작용 이용하여 상기 허리 압박 부재를 조일 수 있으므로 손쉽게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를 사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 120: 허리 압박 부재 21, 121: 허리 복대부
22, 23, 122, 123: 벨크로 부재 24a, 24b, 124a, 124b: 벨트부재
30, 130: 가이딩 홀더 31: 견인장치 안내바
32:견인장치 삽입홈 33: 롤러
34: 지지체 35: 홀더 프레임
40, 140: 가압 견인장치 41, 141: 가이드바
42, 142: 안내홈부 43, 143: 체결홀
44, 144: 체결부재 45, 145: 연장바
46: 높이 조절홀 50, 150: 견인 와이어
51, 52: 와이어 벨트부재 53, 153: 와이어 부재
100, 200: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Claims (5)

  1. 선택적으로 허리를 감싸 고정되도록 서로 접하는 양끝부에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는 허리 압박 부재;
    상기 허리 압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견인장치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 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딩 홀더;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에 상하 이동되도록 삽입되되, 착용자의 착좌시 외부지지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허리 압박 부재를 수축시키는 가압 견인장치; 및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단 및 상기 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허리 압박 부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허리 압박 부재에 수축 및 이완작용을 수행하는 견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허리 압박부재의 수축 및 이완하도록, 상기 견인 와이어는 상기 가압 견인장치의 상단을 감싸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허리 압박 부재의 연장방향으로 밴딩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홀더는,
    중앙부에 상기 견인장치 삽입홈이 형성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견인 와이어의 수축 및 이완을 안내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견인장치는,
    상단부에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안내홈부가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 하측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되, 외부지지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바에 외력을 전달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 및 상기 연장바 중 어느 일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높이 조절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높이 조절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KR1020110087963A 2011-08-31 2011-08-31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KR101205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63A KR101205285B1 (ko) 2011-08-31 2011-08-31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63A KR101205285B1 (ko) 2011-08-31 2011-08-31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285B1 true KR101205285B1 (ko) 2012-11-27

Family

ID=4756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963A KR101205285B1 (ko) 2011-08-31 2011-08-31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28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11B1 (ko) * 2011-11-23 2013-01-21 유인섭 자기 반발력을 이용한 허리 견인 벨트
KR101294556B1 (ko) 2011-12-23 2013-08-07 김정원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WO2015030267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하나인시스템 허리 지지대
KR101583060B1 (ko) 2015-01-09 2016-01-07 정은지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KR20160046338A (ko) 2014-10-20 2016-04-29 김정원 척추 견인장치 조립체
KR20160125825A (ko)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20200079043A (ko) 2018-12-24 2020-07-02 정욱조 직립 자세 교정기구
KR20200087386A (ko) * 2019-01-10 2020-07-21 백태영 복합마사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1351B2 (en) 2002-10-17 2006-02-21 Amei Technologies, Inc. Brace with integrated lumbar support system
KR100612432B1 (ko) 2003-07-26 2006-08-16 빈 이 척추견인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1351B2 (en) 2002-10-17 2006-02-21 Amei Technologies, Inc. Brace with integrated lumbar support system
KR100612432B1 (ko) 2003-07-26 2006-08-16 빈 이 척추견인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11B1 (ko) * 2011-11-23 2013-01-21 유인섭 자기 반발력을 이용한 허리 견인 벨트
KR101294556B1 (ko) 2011-12-23 2013-08-07 김정원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WO2015030267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하나인시스템 허리 지지대
KR20160046338A (ko) 2014-10-20 2016-04-29 김정원 척추 견인장치 조립체
KR101583060B1 (ko) 2015-01-09 2016-01-07 정은지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KR20160125825A (ko) 2015-04-22 2016-11-01 김응주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KR20200079043A (ko) 2018-12-24 2020-07-02 정욱조 직립 자세 교정기구
KR102164598B1 (ko) 2018-12-24 2020-10-12 정욱조 직립 자세 교정기구
KR20200087386A (ko) * 2019-01-10 2020-07-21 백태영 복합마사지기
KR102338646B1 (ko) * 2019-01-10 2021-12-14 백태영 복합마사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285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US20220023697A1 (en) Elastic Resistance Harness
KR102221233B1 (ko) 선골 압압 기구 및 선골 압압 유닛
US20200276043A1 (en) Trunk orthosis
KR101294556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US20110105972A1 (en) Belt for posture correction
KR101834528B1 (ko)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KR101937835B1 (ko) 요추천골 견인 장치
KR20100090619A (ko) 발목보호대와 탈,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KR101297399B1 (ko)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KR101530484B1 (ko) 척추 교정 벨트
KR101647439B1 (ko) 경추와 흉추의 만곡을 유지하는 쿠션
KR20150025851A (ko) 체중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용 좌석 걸이장치
RU2607367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напряжения в шее
KR200393967Y1 (ko)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KR20160001493U (ko) 밴드교정용구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20230072690A (ko) 척추 후만증 교정기
KR101244838B1 (ko)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JP3156477U (ja) 腰、背部の疲労緩和具
KR20020011618A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JP3156652U (ja) 腰部、背部の疲労緩和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