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690A - 척추 후만증 교정기 - Google Patents

척추 후만증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690A
KR20230072690A KR1020210159188A KR20210159188A KR20230072690A KR 20230072690 A KR20230072690 A KR 20230072690A KR 1020210159188 A KR1020210159188 A KR 1020210159188A KR 20210159188 A KR20210159188 A KR 20210159188A KR 20230072690 A KR20230072690 A KR 20230072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ight
wire
handle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086B1 (ko
Inventor
최건
Original Assignee
(주)스파인닥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파인닥터스 filed Critical (주)스파인닥터스
Priority to KR102021015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086B1/ko
Priority to PCT/KR2022/001806 priority patent/WO2023090535A1/ko
Publication of KR2023007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61F2005/016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when weight is appli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후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와이어의 감김정도 및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정상인의 척추 각도로 교정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 후만증 교정기{Spine kyphosis corrector}
본 발명은 척추 후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와이어의 감김정도 및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정상인의 척추 각도로 교정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Spinal column, SC)는 인체 골격의 중추적인 골격으로 우리 몸을 지탱하고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한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추는 목뼈에 해당하는 7개의 경추(Cervical spine, CS)와 등뼈에 해당하는 12개의 흉추(Thoracic spine, TS) 및 허리뼈에 해당하는 5개의 요추(Lumbar spine, LS), 각각 1개의 천추(Sacral spine, SS)와 미추(Coccyx, C)로 총 26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척추(SC)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추(CS)와 요추(LS)는 앞으로 볼록 나오는 전만곡을 형성하고, 흉추(TS)와 천추(SS)는 뒤로 휜 모양인 후만곡을 형성하는데, 이는 상하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정상인(P)의 척추만곡은 경추(CS)가 35°, 흉추(TS)가 40°, 요추(LS)가 45°도 정도이다. 이처럼 척추만곡을 유지하는 상태가 피로도가 가장 적은 이상적인 상태이며 이를 정상시상면균형(Normal sagittal balance)라 한다.
인간은 항상 중력을 받기 때문에 신체가 중력을 덜 받게 해야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직립 보행하는 인간의 흉추(TS)와 천추(SS)는 경추(CS)와 요추(LS)의 커브와 반대로 형성되어 그 중력을 완화하고 있다. 그리고 커브는 전체적으로 경추(CS), 흉추(TS), 요추(LS), 천추(SS)가 척추(SC) 기준선(RL)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균형 잡힌 척추(SC)의 S라인은 신체에 가해지는 중력을 완화한다. 경추(CS)와 요추(LS)가 일자가 되거나 후만이 되면 중력중심선이 추체의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무게 중심은 수핵 위로 이동하게 되고 추체가 불안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또한, 흉추(TS)가 일자가 되거나 전만이 되면 중력중심선이 추체의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무게 중심은 수핵 위로 이동하게 되고 추체가 불안정한 위치게 놓이게 된다. 그로 인해 수핵은 상대적으로 경계가 취약한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생기고 그 결과로 척추 질환이 쉽게 유발될 수 있으므로 경추(CS)의 전만각, 흉추(TS)의 후만각, 요추(LS)의 전만각을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잘못된 자세로 인한 척추(SC)의 변형은 갑작스런 외상이나 만성적인 외상이 보다 잘 일어나고, 요통(Low back pain), 좌골 신경통(Sciatica), 디스크 질환, 척추측만증(Scoliosis), 척추 전만증(Lordosis), 척추 후만증(Kyphosis), 목통증 등의 척추(SC) 질환과 팔다리 저림증, 감각 이상, 근위축, 팔다리의 마비, 만성 소화불량과 같은 장기능의 저하 등 신경학적인 질환 및 뼈, 관절 등의 각종 퇴행성 변화, 견비통, 만성두통, 만성피로 등의 구조적인 질환들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에 척추(SC)의 치료에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교정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척추 후만증은 등 뒤를 지탱하는 근력이 약하거나 척추(SC)의 골절로 인해 몸의 시상면균형(Sagittal balance)이 무너져 몸 전체의 균형이 앞으로 쏠리게 되면, 바로 서거나 걸을 때 두 배 이상의 피로도가 생겨 척추(SC)에 더욱 큰 무리를 주게 되고 통증으로 서거나 걷기 힘들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추 후만증 환자(Kyphosis patients, KP)는 흉추(TS)의 후만이 증가된 상태로 정상인(P) 척추 기준선(RL)에서 흉추(TS)의 후만이 벗어나있다.
이와 같은 척추 후만증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보통 척추의 열마디 이상에 유합술을 하게 되는데 이는 막대한 비용이 드는 수술로, 수술 위험도가 높고 환자의 만족도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수술 없이 간단하게 척추 후만증을 교정하여 위험도를 줄여주는 보조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4109호 “척추 측만증 교정기”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와이어의 감김정도 및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정상인의 척추 각도로 교정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는 사용자 상체에 착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와이어의 감김정도와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정상척추의 각도로 교정하는 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사용자의 등에서 전방으로 요추 및 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허리밴드부; 상기 허리밴드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흉추의 배면에 위치하는 흉추밴드부 및 상기 흉추밴드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어깨를 전방으로 감싼 뒤 상기 허리밴드부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어깨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부는, 사용자의 척추의 배면에 위치하되, 상기 허리밴드부 및 흉추밴드부의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배면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무게추가 상하 및 전후로 조정되도록 형성된 무게추조정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와이어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 및 몸체부는, 각각에 사용자의 척추 각도에 따라 곡률이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단위 베이스판 및 단위 몸체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단위 베이스판 및 단위 몸체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조정부는, 상기 단위 몸체부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최상단위 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결합하되, 상하가이드홀이 구비된 상하이동바 및 상기 한 쌍의 상하이동바에 삽입되어 상기 상하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무게추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상하이동핀으로 구성된 상하이동부; 상기 단위 몸체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바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이 수용되도록 전후가이드홀이 구비된 한 쌍의 전후이동바 및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이동핀으로 구성된 전후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핀 및 상기 전후이동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넛형태의 무게추가 수용되는 무게추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조정부는,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재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몸체부 각각의 양측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탈부착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단위 몸체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무게가 다르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척추 교정에 맞는 무게의 무게추를 선택하여 상기 무게추수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몸체부는,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최하단위 몸체부에 상기 와이어조정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조정부의 움직임이 확보되도록 상기 삽입홈이 와이어조정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조정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이 조작되도록 핸들몸체 및 중심축으로 구성된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기어; 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어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의해 감기고 풀리는 권취부; 내부에 상기 권취부가 수용되고, 배면에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도록 마련된 조정몸체홀 및 상기 고정기어와 결합하도록 상기 조정몸체홀의 테두리에 다수개로 형성된 조정몸체돌기를 포함하는 조정몸체 및 배면에 구비된 고정홈에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몸체는, 전면에 원형홈 형태로 형성되되, 내주면에 라쳇기어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핸들홈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은, 상기 핸들몸체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권취부의 배면에 형성된 권취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핸들돌기 및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핸들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어는, 중심에 형성된 기어홀; 상기 기어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조정몸체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기어홈 및 외측에 호형상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일단의 외측면에 상기 라쳇기어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라쳇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라쳇기어가 상기 라쳇기어홈과 결합될 경우 상기 핸들부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상기 권취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고, 상기 핸들부을 배면측으로 당길 경우 상기 라쳇기어홈에서 상기 라쳇기어가 분리되고 상기 핸들부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상기 와이어를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는 사용자의 척추와 밀접하게 착용되어 정확한 척추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술없이 간단하게 척추를 교정할 수 있어 척추 후만증환자의 신체적 위험도를 줄이고 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의 감김정도 및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정상인의 척추 각도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무게추조정부를 통해 무게추의 위치를 상하전후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조정부를 통해 와이어를 한 방향으로 간단히 조임 또는 풀림이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정상인의 척추와 척추 후만증 환자의 척추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가 사용자의 등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의 교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위 몸체부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3에서 최상단위 몸체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와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3에서 단위 몸체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와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도 3에서 최하단위 몸체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회전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무게추조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상하이동부에 의해 무게추가 상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도 9에서 지지부와 상하이동바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도 9에서 전후이동부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8에서 무게추수용부에서 무게추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3에서 와이어조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회전사시도이다.
도 17의 (a) 및 (b)는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을 조작할 경우 와이어조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서 핸들부와 고정기어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가 척추 후만증 환자에 적용되어 정상인(P)과 같은 척추만곡을 유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척추 후만증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와이어의 감김정도 및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정상인의 척추 각도로 교정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 또는 '배방' 이라 한다. 이에 따라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를 착용하여 척추 교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 척추 후만증 환자 등을 통칭할 수 있으며, 전문가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를 조작하여 사용자에게 척추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 척추전문 의사, 척추 지압사, 물리 치료사, 응급의료기사, 의료보조기술자 및 광범한 범위의 기타 훈련을 받고 척추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 자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가 사용자의 등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의 교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위 몸체부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도 3에서 최상단위 몸체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와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도 3에서 단위 몸체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와 저면사시도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도 3에서 최하단위 몸체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회전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서 무게추조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상하이동부에 의해 무게추가 상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고, 도 11의 (a) 및 (b)는 도 9에서 지지부와 상하이동바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12의 (a) 및 (b)는 도 9에서 전후이동부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13은 도 8에서 무게추수용부에서 무게추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도 14는 도 3에서 와이어조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회전사시도이고, 도 17의 (a) 및 (b)는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을 조작할 경우 와이어조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에서 핸들부와 고정기어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1)는 밴드부(10) 및 교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밴드부(10)는 사용자, 특히 척추 후만증 환자(KP) 상체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허리밴드부(11), 흉추밴드부(12) 및 어깨밴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0)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력 및 신축성을 가지는 섬유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밴드소재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밴드부(10)는 소아, 청소년, 성인 및 노약자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거나, 특수한 사이즈의 인체 형상의 대상을 위해 주문 제작될 수 있다.
허리밴드부(11)는 사용자의 등에서 전방으로 요추(LS) 및 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허리밴드부(11)는 배면에 벨크로파스너 테이프, 버클 등의 체결부재를 봉재하여 허리에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흉추밴드부(12)는 허리밴드부(11)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흉추(TS)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어깨밴드부(13)는 흉추밴드부(12)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어깨를 전방으로 감싼 뒤 허리밴드부(11)와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깨밴드부(13)는 사용자의 어깨에 닿는 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소재가 내재될 수 있다.
어깨밴드부(13)는 적절한 탄성력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체형, 신체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깨밴드부(13)는 탄성이 강할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척추(SC) 교정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탄성이 약할 경우, 사용자의 어깨에 필요이상의 힘이 가해져 교정부(20)를 지탱하기 힘들 수 있다.
교정부(20)는 밴드부(10)의 배면에 설치되고, 와이어(WI)의 감김정도와 무게추(WE)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척추(SC)를 정상척추의 각도로 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WI)는 사용자의 배면 길이방향으로 교정부(20)에 다수 개로 형성되고, 와이어(WI)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교정부(20)의 길이가 조정되어 척추(SC)가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
무게추(WE)는 무게가 다르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척추 교정에 맞는 무게의 무게추(WE)를 선택하여 교정부(20)에 체결할 수 있다.
교정부(20)는 베이스판(21), 몸체부(22), 무게추조정부(23) 및 와이어조정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정부(20)의 각 구성들을 결합시키는 나사, 볼트 등의 결합부재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베이스판(21)은 사용자의 척추(SC)의 배면에 위치하되, 허리밴드부(11) 및 흉추밴드부(12)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판(21)은 교정부(20)의 나머지 구성을 지지할 수 있고, 무게추(WE)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며, 사용자의 배면에 맞닿을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소재로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몸체부(22)는 베이스판(21)의 배면에 형성되되, 내부에 와이어(WI)가 수용될 수 있다. 몸체부(22)는 와이어(WI)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사용자의 척추만곡에 맞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몸체부(22)는 탄성력이 있으며 가볍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재질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몸체부(22)는 배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전면에 나사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나사홈몸체(22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판(21)은 나사홈몸체(2203)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판(21)과 몸체부(22)는 나사와 나사홈몸체(2203)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판(21) 및 몸체부(22)는 각각에 사용자의 척추(SC) 각도에 따라 곡률이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단위 베이스판(210) 및 단위 몸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베이스판(210) 및 단위 몸체부(220)는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단위 베이스판(210)은 사용자의 흉추(TS) 및 요추(LS)의 척추만곡을 고려하여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위 베이스판(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와 측면의 형상이 사용자의 허리선 모양대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척추(SC) 교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몸체부(220)는 단위 베이스판(2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연결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단위 몸체부(220)가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연결된 상태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힌지결합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단위몸체부(22)는 서로 연결되기 위해 힌지홀(22010)이 구비된 힌지몸체(220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힌지몸체(2201)에 형성된 힌지홀(22010)에 힌지핀(2202)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힌지몸체(2201)는 하측힌지몸체(2201a) 및 상측힌지몸체(2201b)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위 몸체부(220)의 하측에는 하측힌지몸체(2201a)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측힌지몸체(2201b)가 형성될 수 있다. 단위 몸체부(220)는 인접하게 위치한 한 쌍의 단위 몸체부(220)가 연결될 때, 하측힌지몸체(2201a) 및 상측힌지몸체(2201b)를 대응되도록 배치한 뒤 힌지핀(2202)을 힌지홀(22010)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베이스판(210) 및 단위 몸체부(220)는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베이스판(210) 및 단위 몸체부(220)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판(211) 및 단위 몸체부(221)(이하, 최상단위 베이스판(211) 및 최상단위 몸체부(221)라 칭함.)는 무게추조정부(23)가 설치됨에 따라 무게추(WE)의 하중을 견디도록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단위 베이스판(210) 및 단위 몸체부(220)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판(212) 및 단위 몸체부(222)(이하, 최하단위 베이스판(212) 및 최하단위 몸체부(222)라 칭함.)는 와이어조정부(24)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최상단위 몸체부(221)는 와이어(WI)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와이어홀(2204) 및 와이어고정홈(2210)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홀(2204)은 최상단위 몸체부(221)의 하단에 와이어(WI)가 삽입될 수 있도록 최상단위 몸체부(221) 내측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와이어고정홈(2210)과 연통될 수 있다. 와이어고정홈(2210)은 최상단위 몸체부(221)의 배면에 형성되되, 와이어홀(2204)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고정홈(2210)은 와이어홀(2204)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어 와이어홀(2204)과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WI)는 끝단이 와이어홀(220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와이어고정홈(2210)에 위치함으로써 최상단위 몸체부(2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고정홈(2210)은 와이어(WI)를 고정하여, 하기에서 서술할 와이어조정부(24)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WI)가 감겼을 경우 단위 몸체부(220) 최상단위 몸체부(221) 및 최하단위 몸체부(222)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위 몸체부(220)는 결합홈(2200), 하측힌지몸체(2201a), 상측힌지몸체(2201b), 나사홈몸체(2203) 및 와이어홀(220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2200)은 단위 몸체부(220)의 양측 배면에 형성되어 무게추조정부(23)의 고정바(2320)가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200)은 다수 개의 단위 몸체부(220) 각각에 형성되므로 전문가의 요구에 따라 선택되어 고정바(2320)와 연결될 수 있다.
하측힌지몸체(2201a)는 단위 몸체부(220)의 하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측힌지몸체(2201b)는 단위 몸체부(220)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인접한 단위 몸체부(220)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힌지몸체(2201a)가 삽입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측힌지몸체(2201a)는 상측힌지몸체(2201b)가 삽입되면서 하나로 연통된 힌지홀(22010)을 형성할 수 있다.
나사홈몸체(220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 생략하기로 한다.
와이어홀(2204)은 단위 몸체부(2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WI)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최하단위 몸체부(222)는 상측힌지몸체(2201b), 나사홈몸체(2203), 와이어홀(2204), 삽입홈(2220), 조정몸체고정돌기(2221) 및 관통홀(2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최상단위 몸체부(221) 및 단위 몸체부(220)를 통해 설명한 상측힌지몸체(2201b), 나사홈몸체(2203)는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와이어홀(2204)은 최하단위 몸체부(222)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삽입홈(2220)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홀(2204)은 와이어(WI)가 삽입홈(2220)을 거쳐 와이어조정부(24)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삽입홈(2220)은 와이어조정부(24)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와이어조정부(24)의 움직임이 확보되도록 와이어조정부(24)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몸체고정돌기(2221)는 삽입홈(2220)의 내부 배면에 형성되어 조정몸체(243)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관통홀(2222)은 조정몸체고정돌기(2221)의 배면에서 최하단위 몸체부(222)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조정부(24)에서 회전하는 구성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무게추조정부(23)는 전문가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척추(SC) 교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무게추조정부(23)는 몸체부(22)의 배면에 형성되되, 무게추(WE)가 상하 및 전후로 조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무게추조정부(23)는 지지부(230), 상하이동부(231), 고정부(232), 전후이동부(233) 및 무게추수용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0)는 최상단위 몸체부(221)의 외면에 설치되어 무게추(WE)를 지지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231)는 무게추(WE)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하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하이동부(231)는 상하이동바(2310) 및 상하이동핀(2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이동바(2310)는 지지부(230)의 하측에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하이동바(2310)는 상하가이드홀(23100)이 형성되어 상하이동핀(2311)이 삽입되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하이동바(2310)는 전문가가 무게추(WE)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적은 힘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며 상하이동바(231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하이동핀(2311)과 무게추(WE)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하이동핀(2311)은 한 쌍의 상하이동바(2310)를 차례로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상하가이드홀(23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하이동핀(2311)은 배면측에 무게추(WE)가 배치되어 있어 상하이동핀(2311)의 움직임에 따라 무게추(WE)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하이동부(231)의 상하이동핀(2311)은 무게추수용부(234)와 연결되어 있고, 상하이동바(2310)의 상하가이드홀(23100)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이동바(23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이동핀(2311)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무게추(WE)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척추(SC)에 작용하는 힘의 각도가 달라져 미세하게 척추(SC)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231)는 지지부(230)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231) 및 지지부(230)는 맞닿는 부위가 서로 맞물리도록 기어구조로 형성되어 각도를 조절한 뒤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하이동부(231)는 무게추(WE)가 사용자의 척추(SC)를 당기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232)는 단위 몸체부(220)와 전후이동부(233)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고정바(2320) 및 고정핀(232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232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단위 몸체부(220)의 결합홈(2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고정바(2320)는 전문가가 무게추(WE)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적은 힘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며 무게추(WE)가 흔들림없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바(2320)는 단위 몸체부(220)와 탈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232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23200)는 고정바(2320)의 일단에 형성되어 단위 몸체부(220)의 결합홈(2200)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23200)는 복수 개의 단위 몸체부(220) 중 하나의 단위 몸체부(220)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23200)는 삽입되는 단위 몸체부(220)의 위치에 따라 무게추(WE)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23200)는 결합홈(2200)에서 탈부착되도록 클립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탈부착 방식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결합부재(23200)는 클립형으로 형성될 경우, 강한 강도를 가지며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탈부착 과정에서 형태가 원복될 수 있다.
고정핀(2321)은 한 쌍의 고정바(232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후이동부(233)는 무게추(WE)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무게추(WE)의 전후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전후이동부(233)는 전후이동바(2330) 및 전후이동핀(2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이동바(2330)는 한 쌍의 고정바(2320)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후이동바(2330)는 전후가이드홀(23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가이드홀(23300)은 고정핀(2321)이 수용되도록 전후이동바(2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전후이동바(2330)는 고정핀(2321)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후이동핀(2331)은 한 쌍의 전후이동바(233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하기에서 서술할 무게추수용부(234)와 결합될 수 있다. 전후이동핀(2331)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후이동바(2330)가 고정바(2320)로부터 신축 및 신장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이동핀(2331)는 배면측에 무게추(WE)가 위치한 상태로, 고정핀(2321)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추수용부(234)를 배면측으로 당길 경우, 전후이동핀(2331)는 고정핀(2321)에서 멀어지면서 전후이동바(2330)가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무게추(WE)는 척추(SC)에서 멀어지게 되고 척추(SC)가 받는 힘의 각도도 달라지게 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게추수용부(234)는 상하이동핀(2311) 및 전후이동핀(233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넛형태의 무게추(WE)가 수용될 수 있다. 무게추수용부(234)는 연결몸체(2340), 무게추수용몸체(2341) 및 무게추수용나사(2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몸체(2340)는 상하이동핀(2311), 전후이동핀(2331) 및 무게추(WE)가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하이동핀(2311) 및 전후이동핀(2331)의 이동방향에 따라 무게추(WE)가 상하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몸체(2340)는 상하이동바(2310)가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무게추(WE)가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에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무게추수용몸체(2341)는 연결몸체(2340)의 배면에 형성되되, 도넛형태의 무게추(WE)가 수용되도록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무게추(WE)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무게추수용나사(2342)는 무게추수용몸체(2341)와 나사결합하여 무게추(WE)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결박할 수 있다. 이때 무게추수용몸체(2341)는 배면에 무게추수용나사(2342)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게추수용나사(2342)는 무게추수용몸체(2341)과의 나사결합면적을 조절하여 무게추(WE)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수용나사(2342)가 무게추수용몸체(2341)의 홈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나사결합될 경우, 무게추수용부(234)는 무게추(WE)를 2개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무게추수용나사(2342)가 무게추수용몸체(2341)의 홈에 일부 삽입되도록 나사결합될 경우, 무게추수용부(234)는 늘어난 수용 공간만큼 무게추(WE)의 개수를 늘려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게추(WE)는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무게추(WE)를 전문가가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무게추(WE)는 개수뿐만 아니라 중량, 두께 등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전문가는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무게추(WE)의 형태, 중량, 두께를 선택하고 다양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척추(SC)를 교정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와이어조정부(24)는 몸체부(22)에 형성되되, 와이어(WI)의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조정부(24)는 핸들부(240), 고정기어(241), 권취부(242), 조정몸체(243) 및 고정판(244)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240)는 회전에 의해 와이어(WI)의 감김과 풀림이 조작되도록 핸들몸체(2400) 및 중심축(2401)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몸체(2400)는 전문가에 의해 회전되면서 와이어(WI)의 권취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핸들몸체(2400)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와이어(WI)를 감을 수 있도록 핸들홈(2400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홈(24000)은 핸들몸체(2400)의 전면에 원형홈 형태로 형성되되, 내주면에 라쳇기어홈(240000)이 형성되어 고정기어(241)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라쳇기어홈(240000)은 핸들홈(240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와이어(WI)를 감는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라쳇기어홈(240000)은 고정기어(241)에 결합된 상태에서 예각이 형성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의 고정기어(241)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중심축(2401)은 핸들몸체(2400)의 전면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고정기어(241), 권취부(242), 조정몸체(243)를 관통하여 고정판(244)에 고정될 수 있다. 중심축(2401)은 권취부(242)와 결합하고 고정판(244)에 고정되도록 제1 핸들돌기(24010) 및 제2 핸들돌기(240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돌기(24010)는 핸들몸체(2400)의 전면에 형성되되, 권취부(242)의 배면에 형성된 권취홀(24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권취홀(24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핸들돌기(24010)는 핸들부(240)로부터 회전력을 권취부(242)에 전달하여 와이어(WI)가 감길 수 있도록 육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핸들돌기(24011)는 중심축(2401)의 외측 끝단에 형성되되, 고정홈(24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홈(244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핸들돌기(24011)는 고정판(244)과 결합하여 권취부(242)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핸들돌기(24011)는 고정판(244)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육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기어(241)는 핸들부(240)의 전면에 결합되어 핸들부(240)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기어(241)는 기어홀(2410), 기어홈(2411) 및 라쳇기어(24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홀(2410)은 고정기어(24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조정몸체홀(2430)의 돌출된 테두리에 끼워질 수 있다. 기어홈(2411)은 기어홀(24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조정몸체돌기(24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어홀(2410) 및 기어홈(2411)은 조정몸체(243)에 고정기어(241)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핸들부(240)의 회전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라쳇기어(2412)는 외측에 호형상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일단의 외측면에 핸들부(240)의 라쳇기어홈(240000)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라쳇기어(2412)는 고정기어(241)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핸들부(24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권취부(242)는 릴 형태로 형성되되, 와이어(WI)가 고정되어 핸들부(240)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WI)가 감기고 풀리도록 할 수 있다. 권취부(242)는 중심축(2401)이 관통하도록 권취홀(2420)이 형성될 수 있다. 권취홀(2420)은 배면에 중심축(2401)의 제1 핸들돌기(24010)가 삽입되면서 결합하고 권취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권취홀(2420)은 배면측 형태가 육각형태로 형성되어 같은 형태로 형성된 제1 핸들돌기(24010)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핸들부(240)로부터 권취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형태는 모두 가능하다.
또한, 권취홀(2420)은 전면측 형태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조정몸체(243)는 내부에 핸들부(240)의 핸들몸체(2400)을 제외한 와이어조정부(24)의 구성인 중심축(2401), 권취부(242), 고정판(244)가 수용되도록 내부가 중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몸체(243)는 조정몸체홀(2430) 및 조정몸체돌기(243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몸체홀(2430)은 조정몸체(243)의 배면에 형성되되, 중심축(2401)이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정몸체홀(2430)은 고정기어(241)의 기어홀(2410)이 끼워지도록 테두리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조정몸체홀(2430)와 고정기어(241)는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는 장점이 있다.
조정몸체돌기(2431)는 조정몸체홀(2430)의 테두리에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몸체돌기(2431)는 고정기어(241)의 기어홈(24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기어홈(2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몸체(243)는 와이어조정부(2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핸들부(240)를 고정하기 위해 외주면돌기(24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주면돌기(2432)는 조정몸체(243)의 외주면에 다수 개로 형성되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240)는 핸들몸체(2400)에 외주면돌기(2432)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핸들테두리홈(24001)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테두리홈(24001)은 핸들몸체(240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돌기(243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외주면돌기(2432)는 핸들부(240)가 전면측으로 이동하면서 핸들테두리홈(24001)에 삽입되고 조정몸체(243)와 핸들부(24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정몸체(243)는 상면에 와이어(WI)가 유입되는 와이어유입홀(2433)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유입홀(2433)은 최하단위 몸체부(212)를 통해 삽입홈(2220)에 들어온 와이어(WI)를 조정몸체(243) 내부의 권취부(242)에 보내어 권취부(24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유입홀(2433)은 와이어(WI)가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조정몸체(24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고정판(244)은 와이어조정부(24)의 전면에 위치하며, 배면에 중심축(2401)의 제2 핸들돌기(240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24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2440)은 제2 핸들돌기(240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육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정판(244)은 제2 핸들돌기(24011)와 연결되어 권취부(242)가 조정몸체(24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들부(24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조정부(24)는 와이어(WI)을 한 방향으로만 감기도록 하여 손쉽게 와이어(WI)를 감을 수 있으며, 그 과정은 하기와 같다.
도 17의 (a)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240)의 라쳇기어홈(240000)가 라쳇기어(2412)와 결합될 경우, 핸들부(240)는 라쳇기어(2412)의 예각이 형성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권취부(242)에 와이어가 감기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핸들부(240)을 배면 측으로 당길 경우,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쳇기어홈(240000)에서 라쳇기어(2412)가 분리되고 핸들부(240)가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며, 반대 방향으로 돌려 감겨있는 와이어(WI)를 풀 수 있다.
즉, 와이어조정부(24)는 전문가가 핸들부(240)를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손쉽게 와이어(WI)를 감고 풀 수 있으며 회전 수에 따라 몸체부(22)의 길이를 단계별로 조절 할 수 있다.
도 1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가 척추 후만증 환자에 적용되어 정상인(P)과 같은 척추만곡을 유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때,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척추 후만증 교정기에서 밴드부를 제외하고 교정부만 도시하였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후만증 교정기(1)는 척추 후만증 환자(KP)의 척추만곡을 정상인(P)의 척추만곡과 유사하도록 교정할 수 있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추 후만증 환자(KP)는 정상인(P) 척추 기준선(RL)에서 흉추(TS)의 후만곡이 벗어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전문가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1)를 척추 후만증 환자(KP)가 착용하게 한 뒤, 무게추조정부(23) 및 와이어조정부(24)를 조작하여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인(P)의 척추만곡을 형성하도록 교정할 수 있다.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연결부를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척추 후만증 교정기
10 : 밴드부
11 : 허리밴드부
12 : 흉추밴드부
13 : 어깨밴드부
20 : 교정부
21 : 베이스판
210 : 단위 베이스판
211 : 최상단위 베이스판
212 : 최하단위 베이스판
22: 몸체부
220 : 단위 몸체부
2200 : 결합홈
2201 : 힌지몸체
2201a : 하측힌지몸체
2201b : 상측힌지몸체
22010 : 힌지홀
2202 : 힌지핀
2203 : 나사홈몸체
2204 : 와이어홀
221 : 최상단위 몸체부
2210 : 와이어고정홈
222 : 최하단위 몸체부
2220 : 삽입홈
2221 : 조정몸체고정돌기
2222 : 관통홀
23 : 무게추조정부
230 : 지지부
231 : 상하이동부
2310 : 상하이동바
23100 : 상하가이드홀
2311 : 상하이동핀
232 : 고정부
2320 : 고정바
23200 : 결합부재
2321 : 고정핀
233 : 전후이동부
2330 : 전후이동바
23300 : 전후가이드홀
2331 : 전후이동핀
234 : 무게추수용부
2340 : 연결몸체
2341 : 무게추수용몸체
2342 : 무게추수용나사
24 : 와이어조정부
240 : 핸들부
2400 : 핸들몸체
24000 : 핸들홈
240000 : 라쳇기어홈
24001 : 핸들테두리홈
2401 : 중심축
24010 : 제1 핸들돌기
24011 : 제2 핸들돌기
241 : 고정기어
2410 : 기어홀
2411 : 기어홈
2412 : 라쳇기어
242 : 권취부
2420 : 권취홀
243 : 조정몸체
2430 : 조정몸체홀
2431 : 조정몸체돌기
2432 : 외주면돌기
2433 : 와이어유입홀
244 : 고정판
2440 : 고정홈
C : 미추
CS : 경추
KP : 척추 후만증 환자
LS : 요추
P : 정상인
RL : 기준선
SC : 척추
SS : 천추
TS : 흉추
WI : 와이어
WE : 무게추

Claims (10)

  1. 사용자 상체에 착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와이어의 감김정도와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정상척추의 각도로 교정하는 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사용자의 등에서 전방으로 요추 및 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허리밴드부;
    상기 허리밴드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흉추의 배면에 위치하는 흉추밴드부 및
    상기 흉추밴드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어깨를 전방으로 감싼 뒤 상기 허리밴드부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어깨밴드부를 포함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사용자의 척추의 배면에 위치하되, 상기 허리밴드부 및 흉추밴드부의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배면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무게추가 상하 및 전후로 조정되도록 형성된 무게추조정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와이어조정부를 포함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및 몸체부는,
    각각에 사용자의 척추 각도에 따라 곡률이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단위 베이스판 및 단위 몸체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단위 베이스판 및 단위 몸체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조정부는,
    상기 단위 몸체부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최상단위 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결합하되, 상하가이드홀이 구비된 상하이동바 및 상기 한 쌍의 상하이동바에 삽입되어 상기 상하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무게추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상하이동핀으로 구성된 상하이동부;
    상기 단위 몸체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바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이 수용되도록 전후가이드홀이 구비된 한 쌍의 전후이동바 및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이동핀으로 구성된 전후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핀 및 상기 전후이동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넛형태의 무게추가 수용되는 무게추수용부를 포함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조정부는,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재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몸체부 각각의 양측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탈부착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단위 몸체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무게가 다르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척추 교정에 맞는 무게의 무게추를 선택하여 상기 무게추수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몸체부는,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최하단위 몸체부에 상기 와이어조정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조정부의 움직임이 확보되도록 상기 삽입홈이 와이어조정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조정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이 조작되도록 핸들몸체 및 중심축으로 구성된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기어;
    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어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의해 감기고 풀리는 권취부;
    내부에 상기 권취부가 수용되고, 배면에 상기 중심축이 관통하도록 마련된 조정몸체홀 및 상기 고정기어와 결합하도록 상기 조정몸체홀의 테두리에 다수개로 형성된 조정몸체돌기를 포함하는 조정몸체 및
    배면에 구비된 고정홈에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몸체는,
    전면에 원형홈 형태로 형성되되, 내주면에 라쳇기어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핸들홈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은,
    상기 핸들몸체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권취부의 배면에 형성된 권취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핸들돌기 및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핸들돌기를 포함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는,
    중심에 형성된 기어홀;
    상기 기어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조정몸체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기어홈 및
    외측에 호형상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일단의 외측면에 상기 라쳇기어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라쳇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라쳇기어가 상기 라쳇기어홈과 결합될 경우 상기 핸들부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상기 권취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고,
    상기 핸들부을 배면측으로 당길 경우 상기 라쳇기어홈에서 상기 라쳇기어가 분리되고 상기 핸들부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상기 와이어를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후만증 교정기.
KR1020210159188A 2021-11-18 2021-11-18 척추 후만증 교정기 KR102613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188A KR102613086B1 (ko) 2021-11-18 2021-11-18 척추 후만증 교정기
PCT/KR2022/001806 WO2023090535A1 (ko) 2021-11-18 2022-02-07 척추 후만증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188A KR102613086B1 (ko) 2021-11-18 2021-11-18 척추 후만증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690A true KR20230072690A (ko) 2023-05-25
KR102613086B1 KR102613086B1 (ko) 2023-12-15

Family

ID=8639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188A KR102613086B1 (ko) 2021-11-18 2021-11-18 척추 후만증 교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3086B1 (ko)
WO (1) WO2023090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22458B (zh) * 2023-10-23 2023-12-29 安禧新材料(南通)有限公司 一种背负式脊柱矫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409A (ko) * 1991-08-07 1993-03-23 게오르그 그라프 무선 전화기
US20150133842A1 (en) * 2012-04-20 2015-05-14 F.G.P. S.r.I. Tensioning system for dorsal orthopedic supports for the vertebral column
KR20190068020A (ko) * 2017-12-08 2019-06-18 김주현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KR20190121512A (ko) * 2018-04-18 2019-10-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의복형 척추 안정화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3846A1 (de) * 2006-03-14 2007-09-20 Claudia Zours Wirbelsäulenorthesen
KR101026825B1 (ko) * 2010-08-23 2011-04-04 장호석 척추 보정용 속옷
WO2019213720A2 (ru) * 2018-05-10 2019-11-14 Jalilov Toqrul Yashar Kорриг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ифотических деформац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409A (ko) * 1991-08-07 1993-03-23 게오르그 그라프 무선 전화기
US20150133842A1 (en) * 2012-04-20 2015-05-14 F.G.P. S.r.I. Tensioning system for dorsal orthopedic supports for the vertebral column
KR20190068020A (ko) * 2017-12-08 2019-06-18 김주현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KR20190121512A (ko) * 2018-04-18 2019-10-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의복형 척추 안정화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086B1 (ko) 2023-12-15
WO2023090535A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130B1 (ko) 맞춤형 교정장치
US7118543B2 (en) Orthosis closure system with mechanical advantage
US9522077B1 (en) Adjustable dual function spinal exoskeleton active spinal orthosis
KR101205285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US20220023697A1 (en) Elastic Resistance Harness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20160065881A (ko) 맞춤치료용 롤필로우
US5782781A (en) All-in-one girdling belt for lumbar and coxa support
KR102030379B1 (ko) 경추 교정기
KR20230072690A (ko) 척추 후만증 교정기
US8419594B2 (en) Exercise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KR101834528B1 (ko)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US20060135897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JP2021519196A (ja) 前方頭位補正カラー
KR101530484B1 (ko) 척추 교정 벨트
KR101647439B1 (ko) 경추와 흉추의 만곡을 유지하는 쿠션
KR101294556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RU2607367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напряжения в шее
US20050137510A1 (en) Removable and adjustable, multi-component connection element, and orthosis containing such an element
KR102232082B1 (ko) 휴대용 경추 교정장치
JP2004530483A (ja) 拘束及び運動装置
US11363889B2 (en) Physiological seat device
KR101244838B1 (ko)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KR100758929B1 (ko) 척추 신경 활성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