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528B1 -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528B1
KR101834528B1 KR1020160099965A KR20160099965A KR101834528B1 KR 101834528 B1 KR101834528 B1 KR 101834528B1 KR 1020160099965 A KR1020160099965 A KR 1020160099965A KR 20160099965 A KR20160099965 A KR 20160099965A KR 101834528 B1 KR101834528 B1 KR 10183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traction
neck
human bod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066A (ko
Inventor
신옥순
Original Assignee
신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옥순 filed Critical 신옥순
Priority to KR102016009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5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61H2201/162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중앙부가 고정대에 연결되며 양단에 도르래가 연결된 견인지지봉; 일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제1분지라인 및 제2분지라인으로 분지되는 한쌍의 제1견인라인; 인체의 경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경부스트랩; 일단이 상기 제1분지라인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경부스트랩에 연결되는 한쌍의 경부연결라인; 인체의 흉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흉부스트랩; 및 일단이 상기 제2분지라인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흉부스트랩에 연결되는 한쌍의 흉부연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흉부스트랩으로부터 하측에 이격되어 인체의 요추가 견인되도록 요추견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추견인부는 인체의 요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요부스트랩과, 인체의 발을 감싸도록 구비된 족부지지대와, 일단은 상기 요부스트랩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족부지지대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2견인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apparatus for self-adjustable spinal traction}
본 발명은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척추는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미추 4∼5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추골군은 각기 특유의 형태를 하고 있다. 여기서, 경추는 목등뼈를 의미하고, 흉추는 가슴뼈를 의미하며, 요추는 허리등뼈를 의미한다.
한편, 현대인은 잘못된 생활 습관 등에 기인하여 경추, 흉추 및 요추를 포함한 척추에 통증이 유발되거나 심한 경우 디스크가 유발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는 척추의 각 추체 사이가 눌려 간격이 좁아지거나, 디스크 륜의 변형으로 수액이 빠져나와 척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상기 디스크를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좁아진 추체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고 그 주변의 근육을 보강시켜 빠져나간 수액을 원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액이 원위치되면 통증이 사라지고 상기 디스크가 치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의 치료를 위해 환자는 척추교정 물리치료를 받게 되며, 상기 척추교정 물리치료는 척추 측만증, 좌골 신경통, 척추 디스크, 퇴행성 관절염 등의 척추와 관련된 대부분의 질환을 호전 또는 치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척추교정 물리치료는 물리치료사에 의한 도수견인과 특수 제작된 척추교정 견인장치 즉, 견인침대를 이용한 자동견인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도수견인의 경우 여러 각도에서 견인할 수 있고 또 견인력을 환자의 반응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마다 고통을 느끼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숙련된 상기 물리치료사라 할지라도 견인력, 견인주기 및 견인시간 등을 환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모두 조절하여 치료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자동견인은 견인력, 견인주기 및 견인시간의 조절에 경직성이 있으며 환자의 키, 몸무게 및 체형에 맞게 견인하기에는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견인장치의 구매를 원하는 환자는 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전장부가 구비되어 자동화된 견인장치의 경우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므로 환자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20-019087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부가 고정대에 연결되며 양단에 도르래가 연결된 견인지지봉; 일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제1분지라인 및 제2분지라인으로 분지되는 한쌍의 제1견인라인; 인체의 경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경부스트랩; 일단이 상기 제1분지라인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경부스트랩에 연결되는 한쌍의 경부연결라인; 인체의 흉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흉부스트랩; 및 일단이 상기 제2분지라인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흉부스트랩에 연결되는 한쌍의 흉부연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흉부스트랩으로부터 하측에 이격되어 인체의 요추가 견인되도록 요추견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추견인부는 인체의 요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요부스트랩과, 인체의 발을 감싸도록 구비된 족부지지대와, 일단은 상기 요부스트랩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족부지지대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2견인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지라인과 상기 경부연결라인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2분지라인과 상기 흉부연결라인의 연결부분에는 각각 착탈이 가능한 결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견인라인 및 상기 제2견인라인의 일측에는 조작력을 완충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닥면에 누운 상태에서 인체의 요추가 견인되도록 상기 요추견인부에는 상기 요부스트랩과 연결되어 인체의 요부를 지지하는 요부매트와, 상기 요부매트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부프레임과, 중앙부가 교차되며 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각각 힌지 체결되되, 상기 제2견인라인에 가해지는 하체조작력에 의해 승강조작되도록 상기 중앙부의 교차각도가 가변되는 한쌍의 시져프레임을 포함하는 승강조작부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척추에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경추 내지 흉추에 대한 견인을 능동적으로 선택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견인라인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조작력에 의해 사용 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게 되므로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사용자는 거주하거나 요양하는 곳에서 간단한 설치만으로도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 중에도 편리하게 척추의 견인이 가능하며 단순한 구조와 컴팩트한 크기로 구비됨에 따라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에서 요추견인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에서 요추견인부의 변형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는 견인지지봉(10), 제1견인라인(20), 경부스트랩(30), 경부연결라인(31), 흉부스트랩(40) 그리고 흉부연결라인(41)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는 디스크환자가 병원을 왕래하지 않고도 집안이나 요양하는 공간 등에서 간단한 설치만으로도 상기 디스크환자의 경추, 흉추 및 요추의 하중을 감소시켜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박이 완화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크는 추골과 추골 사이의 수핵이 탈출하여 신경근을 압박함에 따라 발생하는 추간판 수핵 탈출증으로 좁아진 추체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고 그 주변의 근육을 보강시켜 빠져나간 수액을 원위치시킴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크환자는 바닥에 누운 상태로 자신의 두부 전측에 상기 견인지지봉(10)을 배치하여 치료하도록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측은 사용자가 바닥에 누운 상태로 사용자의 하체에서 상체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후측은 사용자가 바닥에 누운 상태로 사용자의 상체에서 하체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견인지지봉(10)은 중앙부가 고정대(11)에 연결되며 양단에 도르래(12)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대(11)는 고정부재 및 고정연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구비된 공간에서 문지방과 같은 돌출부(1)가 형성된 구조물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는 사용자의 상측으로 구비된 구조물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앉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에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하측은 상기 바닥면에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1)에 결합되기 위하여 양단에 연장된 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고정홀에는 나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측에 상기 돌출부(1)가 삽입되어 나사를 조임에 따라 상기 돌출부(1)는 수나사의 단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 사이에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은 연장될수록 단부가 중앙부로 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의 연장된 단부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1)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연결라인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견인지지봉(10)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견인지지봉(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연결라인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견인지지봉(10)에 용접 또는 접착되어 일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연결라인은 복수개의 이음매가 형성된 링으로 구비되어 체인 형상으로 결합하고 이음매가 단접 또는 용접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연결라인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후크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후크의 단면과 대응되는 후크홀이 형성된 단부가 돌설되어 삽입 체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방법은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견인지지봉(10)은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합금,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견인력이 가해져도 변형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르래(12)는 상기 견인지지봉(10)의 양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1견인라인(20)이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체조작력을 받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체조작력은 사용자가 팔의 힘을 이용하여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기 제1견인라인(20)에 가하는 견인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쌍의 상기 제1견인라인(20)은 상기 견인지지봉(10)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후 상기 도르래(1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르래(12)와 접촉된 후 외주면을 따라 경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르래(12)는 중앙부에 도르래홀이 형성되어 상기 견인지지봉(10)의 양단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한쌍의 상기 제1견인라인(20)에는 일단에 손잡이부(21)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도르래(12)를 경유하여 제1분지라인(22) 및 제2분지라인(23)으로 분지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견인라인(20)은 일단에 상기 손잡이부(21)가 구비되어 상기 도르래(12)의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경유하게 된다. 여기서, 외측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내측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측에 구비된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일단에는 상기 손잡이부(21)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체조작력을 가하기에 용이하도록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다각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21)가 없이 사용자가 상기 제1견인라인(20)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1)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합금,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손이 그립되는 외주면은 그립된 손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21)를 감싸도록 보조손잡이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손잡이부는 인조가죽, 라텍스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그립감이 개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르래(12)로부터 내측으로 경유한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타단은 상기 제1분지라인(22) 및 상기 제2분지라인(23)으로 분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분지라인(22)은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타단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분지라인(23)은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일측에 연결됨에 따라 분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분지라인(23)이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타단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분지라인(22)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타단에 각각의 상기 제1분지라인(22) 및 상기 제2분지라인(23)이 연결되어 분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분지라인(22) 및 상기 제2분지라인(23)은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타단에 재봉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타단에 분지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면 재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부스트랩(30)은 인체의 경부를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부는 머리와 가슴을 이어주는 신체 부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경부스트랩(30)은 경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기 위하여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부스트랩(30)은 양단이 구비되도록 이분되어 각각의 양단에는 섬유 재질 및 합성수지 재질의 밸크로테이프가 접착되어 상호 부착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밸크로테이프의 부착 범위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경부스트랩(30)의 둘레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경부를 견고하게 압박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부스트랩(30)의 일단에는 타단과 체결되도록 후크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양단이 연결되어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부스트랩(30)은 메쉬, 패브릭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조가죽, 라텍스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사용자의 경부를 편안하게 감싸며 고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쌍의 상기 경부연결라인(31)은 일단이 상기 제1분지라인(22)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경부스트랩(3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한쌍의 상기 경부연결라인(31)은 타단이 상기 경부스트랩(3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각각의 상기 제1분지라인(22)에 연결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견인라인(20)과 상기 경부스트랩(30)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체조작력을 상기 손잡이부(21)를 통하여 제공함에 따라 상기 경부스트랩(30)이 견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부연결라인(31)은 상기 제1견인라인(20)과 같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체조작력에 의한 견인력이 완화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라텍스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부연결라인(31)은 상기 경부스트랩(30)에 재봉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스트랩과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면 재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부연결라인(31)은 상기 경부스트랩(30)과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흉부스트랩(40)은 인체의 흉부를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흉부는 목과 복부 사이에 위치하는 신체 부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흉부스트랩(40)은 인체의 구조상 흉부가 경부보다 둘레가 더 크기 때문에 상기 경부스크랩보다 둘레가 더 크게 구비되되, 상기 경부스트랩(30)과 동일한 구조와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한쌍의 상기 흉부연결라인(41)은 일단이 상기 제2분지라인(23)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흉부스트랩(4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한쌍의 상기 흉부연결라인(41)은 타단이 상기 흉부스트랩(4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각각의 상기 제2분지라인(23)에 연결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견인라인(20)과 상기 흉부스트랩(40)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체조작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흉부스트랩(40)이 견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분지라인(22)과 상기 경부연결라인(31)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2분지라인(23)과 상기 흉부연결라인(41)의 연결부분에는 각각 착탈이 가능한 결합부(22a,23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결합부(22a,23a)는 각각의 연결부분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고정되며, 착탈이 가능하기 위해 버클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22a,23a)가 버클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각각의 연결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견인 부위를 선택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즉, 사용자가 경부를 견인하기 위해 상기 제2분지라인(23)과 상기 흉부연결라인(41)의 상기 결합부(23a)를 분리하고 상기 손잡이부(21)에 상체조작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경부스트랩(30)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분지라인(22)과 상기 경부연결라인(31)의 상기 결합부(22a)를 분리하고 상기 손잡이부(21)에 상체조작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흉부스트랩(40)이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부(22a,23a)를 모두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부(21)에 상체조작력이 제공되어 경부 및 흉부를 모두 견인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견인 부위를 선택하여 견인함에 따라 사용자의 견인 부위에 좁아진 추체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고 그 주변의 근육을 보강시켜 빠져나간 수액을 원위치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팔을 이용해서 당기는 견인력으로 상체조작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견인력, 견인주기 및 견인시간이 보다 능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원하는 치료 부위도 능동적으로 선택하여 견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견인 조건으로 치료가 진행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부(22a,23a)는 후크가 구비되어 체결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상기 분지라인(22,23)과 상기 연결라인(31,41)의 결합 또는 분리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의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기 위하여 상기 제1견인라인(20)이 이분되어 양측의 단부에 상기 탄성부재(60)의 양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견인라인(20)은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60)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5cm 내외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는 사용자에 의해 상체조작력이 제공되는 경우 갑작스러운 견인력으로 인하여 견인 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디스크가 발생한 척추가 제공되는 견인력을 충분히 받아들이지 못할 정도로 약화된 상태라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1)를 잡아당김에 따라 견인력에 의해 오히려 디스크가 악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0)가 구비되면 상기 제1견인라인(20)에 상체조작력이 제공되는 경우 직접적으로 상기 경부스트랩(30) 또는 상기 흉부스트랩(40)에 견인력이 제공되기 이전에 상기 탄성부재(60)에 먼저 견인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6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어 길이가 최대치로 증가한 후에 상기 경부스트랩(30) 또는 상기 흉부스트랩(40)에 견인력이 제공되므로 완충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고무, 라텍스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탄성력이 구비되어 견인력에 대해 완충 효과가 제공될 수 있는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제1견인라인(20)이 분지되는 타단부와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21)와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견인라인(20)의 타단부와 상기 손잡이부(21)에 인접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탄성부재(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탄성부재(60)에 의해 이중으로 완충작용이 되어 견인 부위에 대한 안전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는 인체의 요추가 견인되도록 요추견인부(5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요추견인부(50)는 사용자가 인체의 요부에 착용하여 사용하도록 상기 흉추견인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요부는 허리 부분을 형성하는 신체 부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요추견인부(5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견인지지봉(10)을 이용하여 경추 또는 흉추를 견인함과 동시에 요추를 견인할 수도 있으며, 요추만 견인하도록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한쌍의 스트랩연결라인이 더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흉부스트랩(40)과 상기 요추견인부(50)에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요추견인부(50)는 요부스트랩(51), 족부지지대(52) 및 한쌍의 제2견인라인(5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부스트랩(51)은 인체의 구조상 요부가 경부보다 둘레가 더 크기 때문에 상기 경부스크랩보다 둘레가 더 크게 구비되되, 상기 경부스트랩(30)과 동일한 구조와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족부지지대(52)는 인체의 발을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족부지지대(52)는 바닥부와 발등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는 인체의 족부 하측에 즉, 인체의 발바닥과 접촉하며 EVA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천연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사용자의 발바닥의 피로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편안함이 제공될 수 있는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면은 인체의 발바닥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이 개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등부는 인체의 발등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발등부의 양단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의 족부는 상기 바닥부의 내주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발등부는 신축성이 있는 라텍스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족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등부의 일단에는 버클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족부의 둘레에 맞게 선택적으로 상기 발등부의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등부의 양단에는 각각 밸크로테이프가 접착되어 상기 발등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제2견인라인(53)은 일단에 상기 요부스트랩(51)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족부지지대(52)가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제2견인라인(53)은 상기 요부스트랩(51) 및 상기 족부지지대(52)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견인라인(20)과 같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견인라인(53)의 일단 또는 타단에는 버클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2견인라인(53)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회전이송되면서 권취되도록 조임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견인라인(53)의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견인라인(53)은 상기 요부스트랩(51)와 상기 족부지지대(52)의 양측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 하체부의 외측과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하체조작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요부스트랩(51)을 견인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체조작력은 사용자가 다리를 이용하여 요부에서 족부 방향으로 상기 제2견인라인(53)에 가하는 견인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견인라인(53)은 상기 하체조작력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견인력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측탄성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탄성부재(70)는 상기 탄성부재(60)와 동일한 소재 및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견인라인(53)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기 위하여 상기 제2견인라인(53)이 이분되어 양측의 단부에 상기 하측탄성부재(70)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에서 요추견인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에서 요추견인부의 변형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요추견인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요추견인부(50)는 요부매트(54), 상부프레임(55), 하부프레임(56) 그리고 승강조작부(57)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요부매트(54)는 상기 요부스트랩(51)과 연결되어 요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부매트(54)는 메쉬, 패브릭 및 인조가죽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요부매트(54)는 복수개의 매트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매트부재가 다단이 연결되며 기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요부매트(54)는 사용자의 요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매트부재마다 각도가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요부매트(54)의 하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5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면부는 상기 바닥면과 대면하는 방향에 있는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면부는 상기 바닥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있는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55)의 상면부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요부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부매트(54)의 하면부와 접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요부매트(54)의 하면부와 상기 상부프레임(55)의 상면부에 상호 대응되는 밸크로테이프가 접착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상부프레임(55)과 이격되는 상기 하부프레임(5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56)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6)의 하면부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하부프레임(56)이 배치된 위치의 변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조작부(57)는 한쌍의 시져프레임(57a,57b)이 포함된다.
여기서, 한쌍의 상기 시져프레임(57a,57b)은 중앙부가 교차되며 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55)과 상기 하부프레임(56)에 각각 힌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견인라인(53)에 가해지는 하체조작력에 의해 승강조작되도록 상기 중앙부의 교차각도가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쌍의 상기 시져프레임(57a,57b)은 각각 교차되어 힌지 체결됨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접철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55) 및 상기 하부프레임(56)에는 한쌍의 상기 시져프레임(57a,57b)이 원활하게 접철되도록 각각의 일측에 가이드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상기 시져프레임(57a,57b) 일단은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송되어 원활하게 접철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상기 시져프레임(57a,57b)에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6)에는 탄성복귀수단(56a)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시져프레임(57b)의 일단에는 상기 제2견인라인(53) 및 상기 탄성복귀수단(56a)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복귀수단(56a)의 타단은 상기 하부프레임(56)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견인라인(53)에 하체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상기 탄성복귀수단(56a)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시져프레임(57b)이 전측으로 배치되어 중앙부의 상기 교차각도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견인라인(53)에 상기 탄성복귀수단(56a)의 복원력보다 큰 하체조작력이 더 가해짐에 따라 상기 시져프레임(57b)은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후측으로 이송되며 중앙부의 상기 교차각도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철된 한쌍의 상기 시져프레임(57a,57b) 양단은 높이 차이가 발생하므로 승강조작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체조작력을 가하면 사용자의 요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요부매트(54)에 지지되어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워서 상기 요추견인부(50)를 사용한다면 사용자의 요추가 더욱 견고하게 바닥에 지지 고정되어 경추 및 흉추의 견인력에 대한 반력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승강을 통해 요추에 대한 견인력이 더욱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는 사용자가 병원 또는 관련 치료소 등으로 이동하지 않고 집, 요양처 등 사용자가 거주하거나 요양을 하는 곳에서 치료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크의 병세가 심한 환자의 경우 거동이 불편하여 장소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환자에게는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물리치료사가 방문치료를 하거나 견인침대와 같은 장치를 구매하여 집안에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모두 적지않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는 단순한 구조로 구비되어 생산성이 더욱 개선되고 다른 치료수단에 비해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구매하기에도 부담이 없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100)는 물리치료사 또는 자동으로 견인되는 견인침대의 치료에서 나타나는 제한적인 견인력, 견인주기 및 견인시간 등의 조건과는 달리 스스로 상기 조건들을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조건에 맞추어 팔 또는 다리 힘을 스스로 조절하여 견인함에 따라 견인 부위를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와 더불어 팔, 어깨 및 다리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부를 결합 또는 분리함에 따라 치료부위까지도 선택적으로 선택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견인지지봉 20 : 제1견인라인
30 : 경부스트랩 40 : 흉부스트랩
50 : 요추견인부 60 : 탄성부재
100 :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Claims (5)

  1. 중앙부가 고정대에 연결되며 양단에 도르래가 연결된 견인지지봉;
    일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제1분지라인 및 제2분지라인으로 분지되는 한쌍의 제1견인라인;
    인체의 경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경부스트랩;
    일단이 상기 제1분지라인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경부스트랩에 연결되는 한쌍의 경부연결라인;
    인체의 흉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흉부스트랩; 및
    일단이 상기 제2분지라인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흉부스트랩에 연결되는 한쌍의 흉부연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흉부스트랩으로부터 하측에 이격되어 인체의 요추가 견인되도록 요추견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추견인부는 인체의 요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요부스트랩과, 인체의 발을 감싸도록 구비된 족부지지대와, 일단은 상기 요부스트랩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족부지지대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2견인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지라인과 상기 경부연결라인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2분지라인과 상기 흉부연결라인의 연결부분에는 각각 착탈이 가능한 결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견인라인 및 상기 제2견인라인의 일측에는 조작력을 완충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누운 상태에서 인체의 요추가 견인되도록 상기 요추견인부에는
    상기 요부스트랩과 연결되어 인체의 요부를 지지하는 요부매트와,
    상기 요부매트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부프레임과,
    중앙부가 교차되며 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각각 힌지 체결되되, 상기 제2견인라인에 가해지는 하체조작력에 의해 승강조작되도록 상기 중앙부의 교차각도가 가변되는 한쌍의 시져프레임을 포함하는 승강조작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KR1020160099965A 2016-08-05 2016-08-05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KR10183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65A KR101834528B1 (ko) 2016-08-05 2016-08-05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65A KR101834528B1 (ko) 2016-08-05 2016-08-05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66A KR20180016066A (ko) 2018-02-14
KR101834528B1 true KR101834528B1 (ko) 2018-03-05

Family

ID=6122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965A KR101834528B1 (ko) 2016-08-05 2016-08-05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596B1 (ko) 2021-10-21 2022-08-18 김현성 척추 음압 보행이 가능한 보조기구
KR20220166399A (ko) 2021-06-09 2022-12-19 황지성 헤드기어를 포함하는 견인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751B1 (ko) * 2018-03-14 2018-09-05 차민준 척추 디스크, 척추 측만 견인 치료 장치
KR200493640Y1 (ko) * 2019-08-22 2021-05-10 김기온 간이 경추견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288A (ja) 2010-04-07 2013-06-17 ジョン ボヴェル,ニコラス 脊椎牽引装置
CN204971749U (zh) * 2015-06-23 2016-01-20 苗术田 自控式颈腰椎牵引座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288A (ja) 2010-04-07 2013-06-17 ジョン ボヴェル,ニコラス 脊椎牽引装置
CN204971749U (zh) * 2015-06-23 2016-01-20 苗术田 自控式颈腰椎牵引座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399A (ko) 2021-06-09 2022-12-19 황지성 헤드기어를 포함하는 견인치료기
KR102433596B1 (ko) 2021-10-21 2022-08-18 김현성 척추 음압 보행이 가능한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66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212B1 (ko) 억제, 재위치, 견인 및 운동 장치와 그 방법
KR101834528B1 (ko)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US10426650B2 (en) Recliner-type orthosis comprising tightening straps
US4531514A (en) Orthopedic traction apparatus
JP4627113B2 (ja) 健康器具
KR100711104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US5143057A (en) Overpressure device for mechanical treatment of the human body
KR101205285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KR101706587B1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KR20170135908A (ko) 척추 디스크 감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US5782781A (en) All-in-one girdling belt for lumbar and coxa support
US20110105972A1 (en) Belt for posture correction
KR102532823B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KR101097106B1 (ko)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US5637079A (en) Traction apparatus
KR101297399B1 (ko)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KR20090055662A (ko) 체중 견인방식에 의한 척추 교정 기구
RU2607367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напряжения в шее
KR20150025851A (ko) 체중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용 좌석 걸이장치
US9226844B2 (en) Apparatus for sacro-lumbar back support, reduction of load on vertebrae discs and stimulation of circulation and muscles through axial tensioning exercises
KR20130073164A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JP2000210318A (ja) 腰痛治療器具
KR200480674Y1 (ko) 의료용 복대
US8535254B2 (en) Lumbar tra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