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908A - 척추 디스크 감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디스크 감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908A
KR20170135908A KR1020177032000A KR20177032000A KR20170135908A KR 20170135908 A KR20170135908 A KR 20170135908A KR 1020177032000 A KR1020177032000 A KR 1020177032000A KR 20177032000 A KR20177032000 A KR 20177032000A KR 20170135908 A KR20170135908 A KR 2017013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user
traction
decompressio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알 몬탈보
폴 에이치 리크
Original Assignee
베르떼코어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떼코어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베르떼코어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13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2Orthopaedic corsets consisting of one or mor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61F5/048Tra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36Special cran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7Breathability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척추 감압 장치는, 상부(흉부) 조절식 벨트와, 하부(허리) 조절식 벨트와, 척추 디스크 감압을 용이하게 하고 척추 이상으로 인한 사용자의 통증을 경감시키도록 몸통에 견인력을 가하기 위해 설정된 앵커 포인트에 부착된 복수의 트랙션 장치를 포함한다. 다양한 형상 및 몸통 크기에 맞는 휴대용 장치는, 추가적인 도움 없이도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개인이 각각의 일상 중에 다양한 자세로 있는 동안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 디스크 감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4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144,958호의 이익을 주장하는데, 이 미국 가특허 출원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료 목적의 감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척추 디스크 감압을 조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척추 견인의 기본 원리는 오랫동안 척추 지압사, 정골 요법사, 및 다른 적절한 교육을 받은 보건 전문가들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견인 및 감압 요법은 모두, 통증을 완화시키고 추간판 팽륜증, 퇴행성 디스크 또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최적의 치유 환경을 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적용된다. 추간판 탈출 물질 또는 추간판 팽륜 물질을 수축하거나 재배치하는 것 및/또는 치유 영양분 및 다른 물질의 디스크에의 유입을 야기하는 저압을 디스크에 형성하는 것을 조장하도록, 추간판 내에 부압을 형성한 결과, 통증이 완화된다. 추가적으로, 척추 감압은 척수 또는 척추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된 신경근에 대한 압력을 완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척추 신경 요소의 감압은, 신경근병, 골수병, 파행 등과 같은 척추 이상의 치료에 있어서 핵심 요소이다.
척추 감압 요법은 요통 완화를 목표로, 트랙션 장치 또는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척추를 신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척추 디스크 감압을 용이하게 하고 개인에게 요통의 완화를 제공하도록, 견인력을 몸통에 가하는 장치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감압 장치는 부피가 크고, 조작하기 어려우며, 테이블에 엎드려 누워 있는 것 등과 같이, 사용자가 계속 단일 위치에서 단일 자세로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현재의 장치는 특정 몸통 타입에 제한되어 있어, 많은 고통을 받고 있을 수 있는 개인들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치료 목적의 완화를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평범한 일상 활동을 계속할 수 있게 하는, 감압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증을 완화시키고 추간판 팽륜증, 퇴행성 디스크 또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최적의 치유 환경을 조장하는, 견인 및 감압 요법을 제공하는 휴대용 감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부(흉부) 조절식 벨트와, 하부(허리) 조절식 벨트와, 척추 디스크 감압을 용이하게 하도록 몸통에 견인력을 가하기 위해 설정된 앵커 포인트에 부착된 복수의 트랙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상세한 설명을 도면과 함께 고려하여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중립 위치 또는 시작 위치에서 접혀 있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중립 위치 또는 시작 위치에서 접혀 있는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의 핸들이 정상적인 다운 위치에 있는, 감압을 위해 연장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감압을 위해 연장되는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가 연장되어 있고 핸들이 하향 중립 위치에 있는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가 연장되어 있고 핸들이 직립 포지티브 위치에 있는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사용자에 의해 감압의 과정에 있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반듯이 서 있는 동안에 감압을 제공하도록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가 연장되어 있는, 감압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감압되어 있고 사용자의 옆구리에 놓여 있는 장치를 사용자와 함께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시된다. 본 발명을 완전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설명을 목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필수적인 것은 아닌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특정 용례에 대한 설명은 대표적인 예로서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당업자에게 쉽게 드러날 것이며, 본원에 규정된 일반적 원리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형태들 및 용례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특징들과 조화를 이루는 가능한 가장 넓은 범위와 부합되는 것이다.
상기한 장치는, 사용자들이 평범한 일상 활동을 완수해가는 동안에 조작할 수 있는 휴대형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당업계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사용자가 제2 개인으로부터 치료를 받는 동안에 움직이지 않은 채 계속해서 단일 자세로 있는 것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감압 장치와는 달리, 상기한 휴대용 장치는 운전 중, 보행 중, 컴퓨터로 일하는 중, 앉아 있는 중, 요리 중 등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고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몸통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개인들에게 통증 완화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척추 디스크 통증으로 많은 고통을 받고 있을 수 있는 아이, 운동선수, 및/또는 비만인 개인들이 상기 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해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9)는 조절식 벨트(10, 20)와, 사용자 상에 있는 동안에 톱니형 로드(32)를 늘이고 줄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정된 앵커 포인트에 복수의 견인 장치를 구비하는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0)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흉부 벨트(10)는 몸통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연장 또는 감압을 위한 상부 수직 앵커 포인트(13)의 호스트의 역할을 한다. 하부 허리 벨트(20)는 허리 부위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연장 또는 감압을 위한 하부 수직 앵커 포인트(23)의 호스트의 역할을 한다. 상부 수직 앵커 포인트(13)와 하부 수직 앵커 포인트(23)는 각각 상부 흉부 벨트(10)와 하부 허리 벨트(20)에 부착되거나 또는 배치된다.
상기한 두 벨트, 즉 흉부 벨트(10)와 허리 벨트(20)는 허리둘레가 큰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사용자 크기 및 몸통 타입을 수용하도록 감압 로드(32)의 위치가 벨트들을 따라 앞으로 또는 뒤로 조절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장치를 척추 측만증 등과 같은 특정 척추 이상을 치료하는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을 향상시키는, 벨크로에 의해 상기 벨트들이 결합된다.
상기 벨트들이 흉부 또는 가슴 부위와 허리 부위를 형성하거나, 윤곽을 형성하거나, 또는 둘러싸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식 섬유뿐만 아니라 신축성을 갖는 임의의 재료로 벨트(10, 20)가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는 나일론 등과 같은 통기성 재료이다.
또한, 벨트는 벨크로 이외의 메커니즘, 예를 들어 걸쇠, 버클, 스냅,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결합부 등에 의해 견고히 체결 및 결합될 수 있다.
벨트는 또한, 더 편안하거나, 더 타이트한 핏, 또는 보다 정확한 이동 및 조정을 위한 몰딩 부재, 패딩, 또는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벨트 디자인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를 사용자에게 고정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들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감압 장치는, 두 벨트들 사이의 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작동된다. 로드(32)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상부 앵커 포인트(13)와 하부 앵커 포인트(23) 사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유압식, 공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 등과 같은 메커니즘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0)는 흉부 벨트(10) 및 허리 벨트(20)에 포함된 두 앵커 포인트(13, 23) 사이에서 연결 요소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연장 또는 감압에 이용되는 힘을 인가하는 요소의 역할을 한다.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0)는, 사용자 조작형 래칫 타입 액추에이터 메커니즘 및 통합된 릴리스를 통해, 감압하고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데 필요한 힘 또는 적정한 양력을 사용자가 가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시, 양력 또는 힘이 사용자에 의해 액추에이터 핸들(35)에 가해지는 경우, 래칫 타입 액추에이터는 톱니형 로드(32)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한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조립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상부 앵커 포인트(13)를 포함하는 흉부 벨트(10)가 2개의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의 상단부(31)에 삽입되는데, 각 앵커 포인트마다 하나의 어셈블리가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삽입된다. 유사하게 적어도 2개의 하부 앵커 포인트(23)를 포함하는 허리 벨트(20)가 동일한 2개의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4)의 하측 부분에 삽입되어, 조절식 벨트(10, 20)의 양측에서 서로 평행한 2개의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0)가 유지된다.
사용자는 먼저 그 가슴 둘레에 상측 흉부 벨트(10)를 부착하고, 겨드랑이(액와) 부위에 근접 배치하며, 흉부 내측 랩 벨트(11)의 탄성 벨크로 폐쇄를 이용하여 상기 벨트(10)를 타이트한 핏에 맞게 조정한다. 꼭 맞는 커스텀 핏을 보장하도록, 외측 장력 조절부(12)가 더 조여질 수 있다. 양측에 반씩 나뉘어 벨트에 부착된 2개의 상부 앵커 포인트(13)가 겨드랑이의 우묵한 곳 내에 꼭 맞게 배치된다.
이어서, 하부 허리 벨트(20)를 허리 둘레에 배치하고, 허리 내측 랩 벨트(21)의 탄성 벨크로 폐쇄를 이용하여 타이트한 핏에 맞게 조정한다. 사용자는, 양측의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0)가 겨드랑이에서부터 허리께를 향해 그리고 몸통에 평행하게 이어져 있는 점에 주목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사용자가 장치(9)를 부착하는 것을 마치면, 장치는 중립 또는 시작 위치에서 압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0)를 연장시키고 감압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통합된 액추에이터(33)를 각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0)의 측면에 있는 퀵 릴리스 핸들(35)을 이용해 간단히 붙잡고, 앞뒤로 래칫 동작하는 상기 핸들(35)을 들어올리고 내린다. 잘 들리는 딸깍딸깍하는 소리는, 핸들(35)을 이동시킴으로써 톱니형 로드(32)를 따라 연장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여 준다.
각 벨트(10, 20)가 그 앵커 포인트(13, 23)에 대해 조여질 때, 척추의 압력이 완화됨에 따라 감압이 시작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이 직립 위치 또는 포지티브 위치에 있을 때, 장치는 사용자가 핸들(35)을 아래로 이동시켜 장력을 더 가할 준비가 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도 3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이 완화 또는 감압 지점에 도달하였음을 사용자가 느낄 때, 핸들(35)은 다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완화 지점에 도달한 후, 사용자는 서 있는 것, 앉아 있는 것, 또는 누워 있는 것 등과 같은 임의의 다수의 자세로 평범한 일상 활동을 계속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통증 완화를 느끼거나, 한 세션 동안 충분히 감압되었음을 느낀다면, 이는 단순히, 각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30)의 액추에이터(33) 상의 퀵 릴리스(35)를 작동시켜 유닛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에 관한 문제이다. 조절식 벨트(10, 20)를 착용하는 방식과는 반대로, 쉬운 방식으로 조절식 벨트가 제거되고, 전체 유닛은 다음 사용까지 쉽게 보관된다.
감압을 위해 힘을 받고 전달하는 앵커 포인트(13, 23)는 여러 실시형태에서 고정 및 사용될 수 있고 각양각색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절식 벨트 또는 조끼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유틸리티 스타일 벨트와 다양한 멜빵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싱글 및 듀얼 포인트 앵커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9)의 잠재적인 실시형태는, 중립 시작 위치에 있을 때 로드(32) 길이의 높이 요건을 더 줄이고, 장치(9)를 사용할 수 있는 개인 사용자의 범위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 신축식 스톡을 구비한 로드(32)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장치의 잠재적인 실시형태는, 연장 또는 감압이 개시되고 있거나, 예약되어 있거나, 진행되고 있을 때, 파운드 힘, 지속 시간, 또는 연장 길이 등과 같은 특정 지표에 대한 전자 판독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으면서, 가청 지표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통증을 경감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경추 견인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청구범위와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은, 명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개방형 그룹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부정관사와 단어의 단수 형태는 동일한 단어의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부정관사는 하나 이상의 대상이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하나의" 또는 "단일의"는, 하나의 그리고 단 하나의 대상을 의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둘" 등과 같은 다른 특정 정수값은, 특정 개수의 물건을 의도하고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바람직하게", "바람직한",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할 수도 있다" 및 유사한 용어들은, 언급되는 항목, 조건 또는 단계가 본 발명의 선택적인 (필수적인 것이 아닌) 특징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여러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형태들과 기술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계속 속해 있으면서 변경 및 변형을 다수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 이외의 방법, 장치, 장치 요소, 재료, 절차 및 기술이, 과도한 실험에 의지하지 않고서도, 본원에 개략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 장치, 장치 요소, 재료, 절차 및 기술의 당업계에 알려진 모든 기능적 등가물은 본 발명에 망라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범위가 개시될 때마다, 모든 부분 범위와 개별 값이 망라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거나 명세서에 예시된 것을 비롯한, 한정이 아닌 예로서 주어진,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원의 혜택을 받는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른 실시형태들이 창안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전반에 걸쳐 있는 모든 참조 문헌, 예를 들어 등록된 또는 허여된 특허 혹은 등가물, 특허 출원 공개 공보, 및 비특허 문헌 서류, 또는 근거 자료 등은, 개별적으로 참조로 인용된 것처럼, 각 참조 문헌이 본 출원의 개시 내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모순되는 참조 문헌은, 이 참조 문헌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모순되는 부분을 제외하고서 참조로 인용된다)로,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Claims (9)

  1. 휴대용 척추 감압 장치로서:
    a. 흉부 벨트;
    b. 허리 벨트;
    c. 로드; 및
    d. 로드를 연장할 수 있는 트랙션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휴대용 척추 감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를 연장하는 트랙션 메커니즘은 유압식, 공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인 휴대용 척추 감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를 연장하는 트랙션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척추 감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퀵 릴리스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척추 감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신축식 스톡인 것인 휴대용 척추 감압 장치.
  6. 척추 감압 방법으로서:
    흉부 벨트, 허리 벨트, 및 사용자에게 차도록 구성된 트랙션 텐셔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마련하는 단계; 및
    로드에 힘을 가하고 로드를 연장시키며 로드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벨트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척추 감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를 연장하는 메커니즘은 유압식, 공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인 척추 감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를 연장하는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척추 감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퀵 릴리스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인 척추 감압 방법.
KR1020177032000A 2015-04-09 2016-04-06 척추 디스크 감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135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4958P 2015-04-09 2015-04-09
US62/144,958 2015-04-09
PCT/US2016/026257 WO2016164490A1 (en) 2015-04-09 2016-04-06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al disc decompre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908A true KR20170135908A (ko) 2017-12-08

Family

ID=5707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000A KR20170135908A (ko) 2015-04-09 2016-04-06 척추 디스크 감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931283B2 (ko)
EP (1) EP3280366B1 (ko)
JP (1) JP2018513763A (ko)
KR (1) KR20170135908A (ko)
CN (1) CN107613910A (ko)
AU (2) AU2016246601A1 (ko)
CA (1) CA2982113A1 (ko)
EA (1) EA201792171A1 (ko)
ES (1) ES2959615T3 (ko)
HK (1) HK1244420A1 (ko)
HU (1) HUE064208T2 (ko)
MX (1) MX2017012892A (ko)
PL (1) PL3280366T3 (ko)
WO (1) WO2016164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5875B2 (en) * 2016-05-03 2018-08-14 Ekramul Haque Vest to provide decompression and traction for spine and method of use
WO2017201437A1 (en) 2016-05-19 2017-11-23 Auctus Surgical, Llc Spinal curvature modulation systems
US11504259B2 (en) 2016-12-05 2022-11-22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Controlled tension device faste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18187566A1 (en) 2017-04-05 2018-10-11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Distractive and mobility-enabling lumbar spinal orthosi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echanical low back pain
RU187499U1 (ru) * 2018-05-15 2019-03-11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Ложкин Тракционный корсет
RU189471U1 (ru) * 2019-01-09 2019-05-23 Сайд-Эмин Баудинович Дадаев Корсет для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JP7423211B2 (ja) * 2019-07-18 2024-01-29 ユーピーアール株式会社 動作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2306A (en) * 1951-03-16 1953-06-16 William R Beeler Scrap paper spear
US2835247A (en) * 1956-08-28 1958-05-20 Ludwik M Stabholc Lumbar traction apparatus
IL41411A (en) * 1973-01-29 1976-05-31 Stabholy L Lumbar traction apparatus
US3889664A (en) * 1974-05-13 1975-06-17 Gordon D Heuser Ambulatory traction treatment apparatus
NZ214557A (en) * 1984-12-18 1989-07-27 Yulorwoh Pty Ltd Traction device: biasing means includes slide members and springs
US4715362A (en) * 1986-02-27 1987-12-29 Henry Scott Ambulatory lumbo-sacral traction systems and methods
IL84695A0 (en) * 1987-12-02 1988-06-30 Ludwig Shtabholz Lumbar traction apparatus
CN2038378U (zh) * 1988-09-22 1989-05-31 施仁照 携带式腰椎牵引器
CN2053093U (zh) * 1989-07-06 1990-02-21 施仁照 携带式腰椎牵引器
NO180514C (no) 1995-01-18 1997-05-07 Svein Ousdal Anordning ved strekkorsett og nakkestrekker
US5651764A (en) * 1996-03-05 1997-07-29 Chiu; Shui-Shang Portable apparatus for reforming spine
US6280405B1 (en) 1996-12-03 2001-08-28 Fisheries Management And Supply Co A.B. Device for stationary and/or ambulant traction of the spinal column
CN2351111Y (zh) * 1998-08-19 1999-12-01 吴智江 一种腰椎牵引装置
US6533740B2 (en) * 2001-03-01 2003-03-18 Amei Technologies Inc. Lifting mechanism for a traction device
US7144380B2 (en) 2001-07-23 2006-12-05 Gilliam Larry A Traction method and device
US20040073150A1 (en) * 2002-10-15 2004-04-15 Roballey Thomas C. Ambulatory trans-lumbar traction system
US7276038B2 (en) * 2003-01-14 2007-10-02 Amei Technologies Inc. Field adjustable traction device
KR100612432B1 (ko) 2003-07-26 2006-08-16 빈 이 척추견인기
CN2676868Y (zh) * 2003-12-28 2005-02-09 徐安顺 一种腰椎牵引治疗仪
US20060161083A1 (en) 2005-01-15 2006-07-20 Dunfee Matthew J Ambulatory spinal unloading method and apparatus
CN200939192Y (zh) * 2006-08-24 2007-08-29 贺石生 一种腰椎牵引器
CN201026255Y (zh) * 2006-10-30 2008-02-27 徐安顺 一种腰椎牵引仪
CN201524158U (zh) * 2009-08-26 2010-07-14 张克俭 双向调节腰椎牵引仪
KR101138911B1 (ko) 2011-04-08 2012-07-12 유인섭 허리 견인 벨트
KR101370518B1 (ko) 2012-07-27 2014-03-10 유인섭 허리 견인 벨트
US9308036B2 (en) 2013-01-27 2016-04-12 Ivan L. Robinson Portable assembly and method for treating desiccated and injured spinal dis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0366A1 (en) 2018-02-14
MX2017012892A (es) 2018-05-02
EP3280366A4 (en) 2018-10-24
JP2018513763A (ja) 2018-05-31
US20160296361A1 (en) 2016-10-13
EA201792171A1 (ru) 2018-07-31
EP3280366B1 (en) 2023-08-30
WO2016164490A1 (en) 2016-10-13
US11931283B2 (en) 2024-03-19
CA2982113A1 (en) 2016-10-13
ES2959615T3 (es) 2024-02-27
HK1244420A1 (zh) 2018-08-10
NZ736236A (en) 2023-08-25
HUE064208T2 (hu) 2024-02-28
AU2016246601A1 (en) 2017-11-02
EP3280366C0 (en) 2023-08-30
AU2020277156A1 (en) 2020-12-24
CN107613910A (zh) 2018-01-19
PL3280366T3 (pl) 202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5908A (ko) 척추 디스크 감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A2879503C (en) Support device
US9839554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KR101430899B1 (ko) 척추 교정용 복합 지압기구
KR20120015286A (ko) 신체 정렬을 위한 신체 자세교정 보조구
KR101834528B1 (ko) 자가조절식 척추 견인장치
KR20210088129A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KR20170135000A (ko) 경추 교정기
US20120289874A1 (en) Spinal Posture Brace
JP3178018U (ja) 腰痛緩和サポーター
CN204563299U (zh) 一种腰髋保健带
EA040979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компрессии позвоночного диска
KR101485364B1 (ko) 뒤통수 밑 근육 운동 장치
US20200222264A1 (en) Apparatus for back decompression with variable sized waists
NZ7362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al disc decompression
JP6949308B2 (ja) 矯正用締め付け腰ベルト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JP2018007999A (ja) 腰痛施術ベルト
CA2965181C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CN2345176Y (zh) 非卧床式腰椎牵引器
JP6042755B2 (ja) 簡単自立牽引具
US20180064598A1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KR20200059929A (ko) 정위반사를 이용한 자세 교정 벨트
US20110154559A1 (en) Belt with handgrips
TWM452755U (zh) 脊椎矯正輔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