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911B1 - 허리 견인 벨트 - Google Patents

허리 견인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911B1
KR101138911B1 KR1020110032927A KR20110032927A KR101138911B1 KR 101138911 B1 KR101138911 B1 KR 101138911B1 KR 1020110032927 A KR1020110032927 A KR 1020110032927A KR 20110032927 A KR20110032927 A KR 20110032927A KR 101138911 B1 KR101138911 B1 KR 10113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raction
waist
rod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섭
Original Assignee
유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섭 filed Critical 유인섭
Priority to KR102011003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2Orthopaedic corsets consisting of one or more shells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과 허리에 착용하여 골반과 허리를 강제 인장함으로써 디스크를 치료하거나 통증을 완화시키는 허리 견인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허리에 착용하는 상부벨트와 골반에 착용하는 하부벨트를 구비하고 상부벨트와 하부벨트 사이에 견인장치를 설치한 허리 견인 벨트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는 상부벨트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로드와, 하부벨트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내장되어 삽입되는 로드를 미는 압축 스프링과, 하부벨트의 축받이에 일단을 힌지 결합하되, 힌지를 중심으로 선단과 후단 내측면에 각각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버클과, 상부벨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받이와 버클 사이에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되 양 걸림턱의 경사면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여 버클의 스토퍼가 각각 걸림되도록 한 슬라이더와, 일단은 버클에 걸림되고 타단은 축받이에 걸림되어 버클 선단이 들리면서 후단의 스토퍼가 걸림턱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허리 견인 벨트{BELT FOR THE LUMBER TOW}
본 발명은 허리 견인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반과 허리에 착용하여 골반과 허리를 강제 인장 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치료하거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 견인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허리 견인 벨트는 디스크 치료와 함께 통증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골반과 허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당겨 인장 시킴으로써 추체 간격을 견인하여 상체의 압력을 받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변형된 디스크가 원상태로 회복되게 도와주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허리 견인 벨트는 대부분 공기 주입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벨트 내측에 세로 방향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튜브를 구비하여 수축된 튜브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튜브가 팽창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 허리를 견인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허리 견인 벨트는 공기 주입시 수축된 튜브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수직 방향뿐 아니라 내외측 방향으로도 그 부피가 커져 복부를 압박함으로써 복부가 답답하고 장이 눌려 소화가 안되며 혈액순환이 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든 공기통로가 서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이 눌리면 다른 부분으로 공기압이 집중되어 자칫 잘못하면 오히려 디스크가 더욱 악화하고, 이러한 문제는 허리를 움직이는 행동에서도 쉽게 발생하며, 특히 허리를 움직일 경우 견인되었던 어느 한 부분이 다시 수축되므로 그 순간 견인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공기압이 충분치 못할 경우 견인효과가 미비하고, 공기를 너무 많이 주입하면 튜브 팽창시 공기압에 의해 튜브의 접합부가 떨어지거나 파손되어 공기가 새어 나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공기를 충분히 넣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넓은 면적으로 눌릴 경우에도 쉽게 발생하고, 반복적인 공기 주입에 의해 조금씩 진행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접합부가 떨어지면 수리가 불가능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 그 수명이 짧다.
이뿐만 아니라 공기 주입시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주입해야 하므로 입으로 직접 주입할 수 없어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며 착용 전 공기 주입 과정과 사용 후 공기 배출 과정이 필히 수반되어야 하므로 사용함에 있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내외측으로의 부피 변화가 없어 복부를 압박하지 않으며 착용한 상태에서는 인장만 될 뿐 압축되지 않아 견인력이 극대화되는 허리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는,
허리에 착용하는 상부벨트와 골반에 착용하는 하부벨트를 구비하고 상부벨트와 하부벨트 사이에 견인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견인장치를 작동하는 조작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견인장치는 상부벨트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로드와; 하부벨트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내장되어 삽입되는 로드를 미는 압축 스프링과; 상부벨트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며 외측면에는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향 걸림턱 및 하향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되 양 걸림턱의 경사면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한 슬라이더와; 하부벨트에 구비된 축받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선단에는 상향 걸림턱에 걸림되는 제 1 스토퍼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하향 걸림턱에 걸림되는 제 2 스토퍼가 구비되어 삽입되는 슬라이더의 상향 걸림턱 및 하향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버클과; 일단은 버클에 걸림되고 타단은 축받이에 걸림되어 버클 선단이 들리면서 후단의 스토퍼가 걸림턱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벨트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및 로드는 제 1 고정판에 일체로 구비하되 슬라이더의 양측에 로드가 위치되도록 배열하고, 상기 하부벨트에 구비되는 실린더 및 축받이는 제 2 고정판에 일체로 구비하되 축받이의 양측에 실린더가 위치되도록 배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벨트와 하부벨트에는 보조 로드 및 압축 스프링이 내장된 보조 실린더를 더 구비하여 견인력이 증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요추가 위치한 골반에 하부벨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벨트가 허리를 견인하므로 추간판의 탈출을 막고 신경 압박을 풀어주어 통증이 없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착용 후 인장만 될 뿐 압축되지 않으며, 움직일 때마다 계속 견인되므로 견인효과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단순히 착용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별다른 조작이 필요치 않아 장착이 매우 쉬운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만 변화가 이루어지므로 복부를 압박하지 않아 소화불량 및 호흡 불량이 없으며 압박에 의한 통증도 없다.
다섯째, 본 발명은 장력 조절나사에 의해 스프링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그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를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의 견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의 견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A-A선 단면도.
도 5는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를 착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를 착용하여 견인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의 견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의 견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B-B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는 허리에 착용하는 상부벨트(10)와, 골반에 착용하는 하부벨트(20)와,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 사이에 설치되는 견인장치(30) 및 견인장치(30)를 눌러 조작하는 조작벨트(4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는 허리와 골반을 감쌀 수 있는 길이와 면적을 가지며 그 양단에 벨크로 파스너(11)(21)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는 그 내부에 미끄럼방지를 위해 고무나 실리콘 등의 미끄럼방지재가 코팅된다.
상기 견인장치(30)는 상부벨트(10)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더(32) 및 로드(33)와 하부벨트(20)에 고정 설치되는 축받이(34)와 버클(35) 및 실린더(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13)와 로드(14)는 사각으로 이루어진 제 1 고정판(31a)에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제 1 고정판(31a)의 중앙으로부터 슬라이더(32)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더(32)의 양측에 로드(33)가 나란히 하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32)는 후술되는 축받이(34)와 버클(35)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향 걸림턱(32a)이 형성되고, 상향 걸림턱(32a)의 양측으로 하향 걸림턱(32b)이 형성되는데, 상향 걸림턱(32a)과 하향 걸림턱(32b)은 경사면(T)과 수직면(V)이 반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단, 상향 걸림턱(32a)과 하향 걸림턱(32b)의 경사면(T)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향 걸림턱(32a)의 경사면(T)은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지만 하향 걸림턱(32b)은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슬라이더(32) 그 말단에 이탈 방지턱을 형성하여 상향 이동시 버클(35)로부터 완전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1 고정판(31a)은 양측에 고정공이 다수 형성되어 리벳팅이나 제봉함으로써 상부벨트(10)에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축받이(34)와 버클(35) 및 실린더(36)는 하부벨트(20)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의 제 2 고정판(31b)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축받이(34)는 제 2 고정판(31b)으로부터 한 쌍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축받이(34)에는 버클(35)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H)를 중심으로 버클(35)이 회동되는 구조를 갖되, 하부벨트(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힌지(H) 결합된 부위를 제 2 고정판(31b)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더(32)가 제 2 고정판(31b)과 버클(35)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버클(35)은 그 일면에 힌지(H)를 중심으로 선단에는 상향 걸림턱(32a)에 걸림되는 제 1 스토퍼(35a)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하향 걸림턱(32b)에 걸림되는 제 2 스토퍼(35b)를 구비하되 버클(35)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위치에 따라 제 1 스토퍼(35a) 및 제 2 스토퍼(35b) 중 어느 하나가 상향 걸림턱(32a)이나 하향 걸림턱(32b)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러한 버클(35)의 힌지(H)에는 비틀림 스프링(37)이 설치되는데, 비틀림 스프링(37)의 일단은 버클(35)에 걸림되고 타단은 축받이(34)에 걸림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비틀림 스프링(37)의 탄력에 의해 버클(35)의 선단이 들려 제 2 스토퍼(35b)가 하향 걸림턱(32b)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버클(35)의 선단이 눌려 제 1 스토퍼(35a)가 상향 걸림턱(32a)에 걸림된 상태에서는 상향 걸림턱(32a)에 형성된 경사면(T)에 의해 제 1 스토퍼(35a)가 들리므로 상기 슬라이더(32)는 상향 이동할 수 있지만 하향 이동은 불가능하다. 반대로 상기 버클(35)의 선단이 들려 제 2 스토퍼(35b)가 하향 걸림턱(32b)에 걸림된 상태에서는 하향 걸림턱(32b)에 형성된 경사면(T)에 의해 제 2 스토퍼(35b)가 들리게 되므로 상기 슬라이더(32)는 하향 이동할 수 있지만 상향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축받이(34)의 양측에는 상기 로드(33)와 대응 조립되는 실린더(36)가 나란히 배열된다. 상기 실린더(36)는 상부로 개방되어 로드(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그 내부에 압축 스프링(38)이 내장되어 삽입되는 로드(33)를 탄력적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견인장치(30)는 벨트 착용시 사용자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견인장치(30)를 더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압축 스프링(38)의 압축력이 강해지므로 이를 염두에 두어 설계한다.
또한, 상기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에는 견인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조 로드(33')와 보조 실린더(36')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 중 어느 한 쪽에 보조 로드(33')를 수직 설치하고, 다른 쪽에 보조 로드(33')가 대응되어 삽입되는 실린더(36')를 설치하며, 실린더(36') 내에 압축 스프링(38')을 내장한다. 이와 같이 보조 로드(33') 및 보조 실린더(36')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견인력이 상승시킨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36) 및 보조 실린더(36')의 하부 즉, 압축 스프링(38)(38')이 밀착되는 부위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에 압축 스프링(38)(38')의 일단이 밀착되는 장력 조절나사(39)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력 조절 나사(39)가 체결된 경우 장력 조절 나사(39)의 정 역회전함에 따라 실린더 내부로 또는 외부로 이송하게 되는데, 장력 조절나사(39)가 압축 스프링(38)(38') 쪽으로 이송하면 압축 스프링(38)(38')의 장력이 강해지고 반대쪽으로 이송하면 압축 스프링(38)(38')의 장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나 증상에 맞추어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벨트(20)의 외측에는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조작벨트(4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벨트(40)는 그 일단이 하부벨트(20)의 중앙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벨크로 파스너(41)가 부착되어 하부벨트(20)를 감싸면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조작벨트(40)가 상기 견인장치(30)의 돌출된 버클(35)을 누르게 됨으로써 제 2 스토퍼(35b)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견인이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22는 조작벨트(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 고리이며, 23은 사용자의 피부와 견인장치(30) 사이에 구비되는 신축부재 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 벨트의 사용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허리 견인 벨트를 착용하기 전에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의 간격이 벌어져 있다면 한 손으로 상부벨트(10)의 제 1 고정판(31a) 부위를 잡고 다른 손으로 하부벨트(20)의 제 2 고정판(31b)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어 서로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버클(35)은 비틀림 스프링(37)에 의해 그 선단이 들린 상태 즉, 제 2 스토퍼(35b)가 하향 걸림턱(32b)에 걸려 있는 상태인데,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를 서로 밀착시키면 슬라이더(32)가 하향하고 버클(35)의 제 2 스토퍼(35b)는 경사면(T)에 의해 살짝 들리면서 슬라이더(32)가 하향한다. 이와 함께 로드(33) 및 보조 로드(33')는 실린더(36) 및 보조 실린더(36') 내로 더욱 삽입되면서 그 내부의 압축 스프링(38)(38')을 압축시킨다.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가 밀착되어 손에 힘을 제거하면 압축 스프링(38)(38')의 반발력에 의해 로드(33) 및 보조 로드(33')를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제 2 스토퍼(35b)가 하향 걸림턱(32b)의 수직면(V)에 걸림되어 슬라이더(32)가 상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에 하부벨트(20)를 착용하고 허리에 상부벨트(10)를 착용하는데 상부벨트(10) 및 하부벨트(20)의 양단을 중첩시켜 양 벨크로 파스너(11)(21)가 서로 접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하부벨트(20)에 구비된 조작벨트(40)를 상부벨트(10) 및 하부벨트(20)와 같은 방법으로 조이면서 착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조작벨트(40)는 돌출된 버클(35)을 누르게 되고 버클(35)이 눌리면서 슬라이더(32)의 하향 걸림턱(32b)에 걸림된 제 2 스토퍼(35b)가 들리면서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제 1 스토퍼(35a)는 상향 걸림턱(32a)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압축 스프링(38)(38')의 반발력에 의해 로드(33) 및 보조 로드(33')가 밀려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벨트(10)가 견인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토퍼(35a)는 슬라이더(32)가 하향하는 것을 방지할 뿐 상향하는데 방해되지 않으므로 상부벨트(10)의 견인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향 걸림턱(32a)의 경사면(T)에 의해 제 1 스토퍼(35a)가 살짝 들리므로 버클(35)의 선단도 살짝 들리게 되는데, 조작벨트(40)가 자체 탄력이 있고 뱃살도 탄력이 있으므로 버클(35)의 작동에 있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착용한 허리 견인 벨트는 요추가 위치한 골반에 하부벨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벨트(10)가 허리를 견인하므로 추간판의 탈출을 막고 신경 압박을 풀어주어 통증이 없게 된다. 또한, 착용 후에는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 간에 인장만 될 뿐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움직일 때마다 계속 견인되므로 견인효과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단순히 착용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별다른 조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이 매우 쉽다.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만 변화가 이루어지므로 복부를 압박하지 않아 소화불량 및 호흡 불량이 없으며 압박에 의한 통증도 없으며, 스프링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증상에 맞추어 그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10 : 상부벨트 11, 21, 41 : 벨크로 파스너
20 : 하부벨트 22 : 벨트고리 23 : 신축부재
30 : 견인장치 31a : 제 1 고정판 31b : 제2 고정판
32 : 슬라이더 32a : 상향 걸림턱 32b : 하향 걸림턱
33 : 로드 33' : 보조 로드 34 : 축받이
35 : 버클 35a : 제 1 스토퍼 35b : 제2 스토퍼
36 : 실린더 36' : 보조 실린더 37 : 비틀림 스프링
38, 38' : 압축 스프링 39 : 장력 조절나사 H : 힌지
T : 경사면 V : 수직면

Claims (3)

  1. 허리에 착용하는 상부벨트(10)와 골반에 착용하는 하부벨트(20)를 구비하고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 사이에 견인장치(30)를 설치하며 상기 견인장치(30)를 눌러 작동하는 조작벨트(40)로 구성되며,
    상기 견인장치(30)는,
    상부벨트(10)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로드(33);
    하부벨트(2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로드(33)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실린더(36);
    실린더(36) 내에 내장되어 삽입되는 로드(33)를 미는 압축 스프링(38);
    상부벨트(10)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며, 외측면에는 수직면(V)과 경사면(T)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향 걸림턱(32a) 및 하향 걸림턱(32b)을 각각 형성하되 양 걸림턱의 경사면(T)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한 슬라이더(32)와;
    하부벨트(20)에 구비된 축받이(34)에 일단이 힌지(H) 결합되며, 힌지(H)를 중심으로 선단에는 상향 걸림턱(32a)에 걸림되는 제 1 스토퍼(35a)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하향 걸림턱(32b)에 걸림되는 제 2 스토퍼(35b)가 구비되어 삽입되는 슬라이더(32)의 상향 걸림턱(32a) 및 하향 걸림턱(32b)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버클(35);
    일단은 버클(35)에 걸림되고 타단은 축받이(34)에 걸림되어 버클(35) 선단이 들리면서 후단의 스토퍼(35b)가 하향 걸림턱(32b)에 걸림되도록 한 비틀림 스프링(37); 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2) 및 로드(33)는 상부벨트(10)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고정판(31a)에 일체로 구비하되 슬라이더(32)의 양측에 로드(33)가 위치되도록 배열하고,
    상기 실린더(36) 및 축받이(34)는 하부벨트(20)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고정판(31b)에 일체로 구비하되 축받이(34)의 양측에 실린더(36)가 위치되도록 배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 벨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벨트(10)와 하부벨트(20)에는 보조 로드(33') 및 압축 스프링(38')이 내장된 보조 실린더(36')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하여 견인력이 증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 벨트.
KR1020110032927A 2011-04-08 2011-04-08 허리 견인 벨트 KR10113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27A KR101138911B1 (ko) 2011-04-08 2011-04-08 허리 견인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27A KR101138911B1 (ko) 2011-04-08 2011-04-08 허리 견인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911B1 true KR101138911B1 (ko) 2012-07-12

Family

ID=4671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927A KR101138911B1 (ko) 2011-04-08 2011-04-08 허리 견인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9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76Y1 (ko) 2013-02-18 2013-04-17 임락재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KR101370518B1 (ko) * 2012-07-27 2014-03-10 유인섭 허리 견인 벨트
US11931283B2 (en) 2015-04-09 2024-03-19 Vertecor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al disc decompre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6182A (en) 1973-01-29 1975-12-16 Meditrac Lumbar traction apparatus
US7001351B2 (en) 2002-10-17 2006-02-21 Amei Technologies, Inc. Brace with integrated lumbar support system
KR100612432B1 (ko) 2003-07-26 2006-08-16 빈 이 척추견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6182A (en) 1973-01-29 1975-12-16 Meditrac Lumbar traction apparatus
US7001351B2 (en) 2002-10-17 2006-02-21 Amei Technologies, Inc. Brace with integrated lumbar support system
KR100612432B1 (ko) 2003-07-26 2006-08-16 빈 이 척추견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18B1 (ko) * 2012-07-27 2014-03-10 유인섭 허리 견인 벨트
KR200466476Y1 (ko) 2013-02-18 2013-04-17 임락재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US11931283B2 (en) 2015-04-09 2024-03-19 Vertecor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al disc decompre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6576A1 (en) Prosthesis sock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djustment of an inner circumference of a prosthesis socket
CA2803517C (en) Emergency stabilization of a fractured pelvis
US10575980B2 (en) Boot with lockable strap
US10639516B2 (en) Multi-sport athletic resistance training belt
US8920351B2 (en) Emergency stabilization of a fractured pelvis or an injured neck
US9554639B1 (en) Action camera foot mount
WO2017010797A1 (ko) 3차원 신체 교정 장치
KR101138911B1 (ko) 허리 견인 벨트
US201303248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a fractured pelvis or an injured neck
US20150032038A1 (en) Self-Actuated Muscle Compression Device
KR101217011B1 (ko) 자기 반발력을 이용한 허리 견인 벨트
US20060189908A1 (en) Pelvic traction harness
KR101572452B1 (ko) 목디스크 치료 견인기
KR101449243B1 (ko) 허리보호대
CN208910624U (zh) 一种多功能足部护理用具
KR20110000793U (ko) 키 성장 촉진 장치
KR101869200B1 (ko)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
KR101277361B1 (ko) 허리보호대
CN219000434U (zh) 可调式股动脉穿刺压迫止血装置
KR20150040824A (ko) 어깨 펼침 마사지기
JP2904835B2 (ja) 股関節牽引装具
KR20230094398A (ko) 간편 목 고정대
US20030200596A1 (en) Support belt and buckle
GB2578579A (en) A step aid
FR2917643A1 (fr) Dispositif de traction de la tete a visee sportive ou medicale qui permet les etirements des chaines musculaires en decompression articulaire et suspension, en autonom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