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060B1 -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 Google Patents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060B1
KR101583060B1 KR1020150003359A KR20150003359A KR101583060B1 KR 101583060 B1 KR101583060 B1 KR 101583060B1 KR 1020150003359 A KR1020150003359 A KR 1020150003359A KR 20150003359 A KR20150003359 A KR 20150003359A KR 101583060 B1 KR101583060 B1 KR 10158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wearer
pulling
waist
abd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지
임필숙
Original Assignee
정은지
임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지, 임필숙 filed Critical 정은지
Priority to KR102015000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어깨를 후방으로 견인하여 착용자가 상체를 바르게 편 상태를 유지하게 해 주고, 복부에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안착할 수 있는 밀대안착부가 구성되어 바르게 서서 걸으면서도 용이하게 밀대걸래로 바닥청소를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양 팔을 각각 넣어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두 개의 어깨걸이부와, 두 개의 어깨걸이부의 일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착용자의 등에서 교차된 후 허리둘레를 감싸 복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고, 결합되면 어깨걸이부를 신축성으로 견인하게 되는 어깨견인부와, 어깨견인부가 결합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밀대걸래의 손잡이의 끝단이 안착될 수 있게 가운데에 요입된 안착홈이 형성된 밀대안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CLEANING VEST FOR SUPPORTING HANDLE OF MOP ON ABDOMEN}
본 발명은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어깨를 후방으로 견인하여 착용자가 상체를 바르게 편 상태를 유지하게 해 주고, 바르게 서서 걸으면서도 용이하게 밀대걸래로 바닥청소를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개인용 컴퓨터 및 휴대기기의 발달로 올바르지 않은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은 전자기기 이용뿐만 아니라 학업을 위해 장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있게 됨으로 골격이 바르지 않게 성장하여 척추측만증 또는 근육비대칭 등의 장애를 갖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들의 올바른 자세를 위한 지도는 현재도 매우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척추측만이나 근육비대칭이 진행되더라도 이에 대한 적절한 교정과 치료가 조기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태가 악화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 다음에서야 개인적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학생들은 학업 중에도 학교 또는 학원을 관리하기 위한 청소에 동원되는데, 학생들은 좌식생활이 일상화 되어 허리 건강이 좋지 못하고, 체력이 저하된 상태이기 때문에 청소를 마치고 나면 쉽게 지치게 된다.
또한, 청소를 전문적으로 하는 근로자는 하나의 자세를 오랜 시간동안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청소를 마치게 되면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거북함을 느끼게 된다.
한편에서는 인체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활동을 보조하는 여러 기술들이 고안되고 있다. 허리 부상 또는 척추측만증, 디스크 등의 허리 및 척추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환자의 자세를 강제로 고정하는 착용형 보조기구가 그 중 하나이며, 신축성으로 착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의류 등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착용형 보조기구들은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면서 동시에 활동성을 겸비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205285 :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보조하면서도 청소의 효율 향상을 위해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는, 착용자의 양 팔을 각각 관통하여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두 개의 어깨걸이부와, 상기 두 개의 어깨걸이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착용자의 등에서 중간 교차된 후 허리둘레를 감싸 복부에서 상호 교차 결합 및 분리되고, 상호 교차 결합되었을 때 상기 어깨걸이부를 후방으로 견인하게 되는 어깨견인부와, 상기 어깨견인부가 상호 교차 결합된 부위에 설치되고, 밀대걸래 손잡이의 상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밀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깨견인부의 상호 교차 결합을 위해 교차되는 부위에 부착되며, 탄력 및 보온성을 가지는 쿠션과, 상기 밀대안착부의 안착홈에서 밀대걸래 손잡이의 상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대안착부의 전면에는 착용자가 들어올린 화물의 하단부를 걸칠 수 있도록 돌출된 화물거치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견인부의 중간 교차되는 부위에 고정되며, 척추에 대응하는 형상의 굴곡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척추지지부와, 양단부가 상기 어깨견인부의 각 끝단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척추지지부가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는 허리압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견인부와 상기 밀대안착부 사이에 착용자의 손을 수용할 수 있게 시트가 덧대어지는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척추지지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되더라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에 따르면,
첫째, 밀대걸래를 복부에 위치한 밀대안착부에 고정하면 착용자가 밀대걸래를 손으로 잡고 밀기 위해 상체를 숙일 필요가 없게 되어 허리에 가해지는 피로가 감소된다.
둘째, 장대로 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밀대걸래는 종류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밀대안착부에 요입된 안착홈 내에 밀대걸래의 손잡이가 안착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전진하는 중에는 밀대걸래의 손잡이가 밀대안착부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
셋째, 밀대안착부의 안착홈에 형성된 클립이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양측에서 압박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후진하더라도 밀대걸래가 밀대안착부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넷째, 착용자의 양측 어깨가 걸쳐진 어깨걸이부를 어깨견인부가 등 방향으로 견인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어깨를 올바로 편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자세교정 효과가 있게 된다.
다섯째, 올바른 척추의 형상을 가진 척추지지부가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어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상체를 바른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여섯째, 어깨견인부를 상호 결합시키면 허리압박부가 착용자의 허리 및 등을 압박하게 되어 척추지지부가 착용자에게 더욱 밀착된다.
일곱째, 척추지지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되더라도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재료로 제작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착용한 착용자의 움직임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올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어덟째, 어깨견인부가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쿠션이 결함됨으로, 착용자가 밀대안착부에 밀대걸래를 안착한 후 전진했을 때 복부로 가해지는 압박이 완충 및 분산 된다.
아홉째, 보온성을 가진 쿠션이 어깨견인부에 결함됨에 따라 착용자의 복부에 보온성이 향상되어 착용자의 장기에 이로움을 줄 수 있다.
열째, 밀대안착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화물거치돌기에 착용자가 들어올린 화물의 일측 모서리를 거치시키면 손으로만 화물을 들어 올리는 것보다 용이하게 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열한째, 착용자의 손을 어깨견인부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가 손에 한기를 느끼게 되면 포켓에 손을 넣어 녹일 수 있게 된다.
열두째, 쿠션으로 복부가 보온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포켓도 언제든지 따뜻한 상태가 유지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손을 녹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한 후 포켓에 손을 삽입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한 착용자의 뒷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의 밀대안착부에 밀대걸래를 지지시킨 후 청소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의 화물거치돌기에 착용자가 운반하는 화물을거치한 것을 나타낸 예시 도면.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청소를 할 수 있고, 특히 밀대걸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하여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밀대걸래로 바닥 청소를 할 수 있는 기술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는 착용자의 양 팔을 각각 관통하여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두 개의 어깨걸이부(110)와, 두 개의 어깨걸이부(110)에서 각각 연장되어 착용자의 등에서 중간 교차된 후 허리둘레를 감싸 복부에서 상호 교차 결합 및 분리되고, 상호 교차 결합되었을 때 어깨걸이부(110)를 후방으로 견인하게 되는 어깨견인부(115)를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착용자의 척추를 올바른 형태로 펴지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척추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이 형성된 척추지지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자가 착용하는 방법과 각각의 구성을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한 후 포켓에 손을 삽입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자가 착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착용자가 청소보조 조끼에 형성된 어깨걸이부(110)에 양 팔을 넣어 어깨에 걸친다. 다음으로 착용자의 허리 양측에 늘어진 어깨견인부(115)를 복부 방향으로 당긴 후, 복부에서 상호 교차 결합시킨다.
어깨견인부(115)를 복부 방향으로 당겨 상호 교차 결합시키면 신축성을 가진 어깨견인부(115)가 어깨걸이부(110)를 후방으로 견인하게 된다.
어깨견인부(115)를 착용자의 복부에서 상호 교차 결합하기 위한 방법은 어깨견인부(115)에 벨크로가 형성되어 어깨견인부(115)를 복부 위에서 적층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바지를 허리에 고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허리띠와 같은 구조가 어깨견인부(115)에 형성되는 등 공지된 결합 방법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깨견인부(115)의 상호 교차 결합을 위해 교차되는 부위에는 쿠션(140)이 부착된다.
쿠션(140)은 탄력성을 가지고 있어서 신축성에 의해 복부를 압박하는 어깨견인부(115) 및 허리지지부(130)의 압력을 분산시키고, 밀대안착부(150)에 지지된 밀대걸래로 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완충한다.
쿠션(140)은 탄력 및 보온성을 가진 소재로서, 적층된 직물 또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질의 폼 소재 등이 될 수 있다.
쿠션(140)은 어깨견인부(115)에 내장될 수 있고, 어깨견인부(115)의 내외측에 접착, 재봉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c와 같이, 어깨견인부(115)와 밀대안착부(150) 사이에 착용자의 손을 수용할 수 있게 시트가 덧대어지는 포켓(160)이 형성된다.
청소를 위해 오랫동안 물에 노출된 손은 한기를 느끼게 되는데, 이 때 착용자는 손을 포켓(160)에 넣는 것으로 손의 온도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포켓(160)은 어깨견인부(115)와 밀대안착부(150) 사이, 즉 쿠션(140)이 결합되어 보온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인접하게 형성됨에 따라 포켓(160)에 손을 넣으면 즉시 온기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의 어깨견인부(115)가 상호 교차 결합된 부위에는 밀대안착부(150)가 설치되는데, 밀대안착부(150)에는 청소 시 이용하는 밀대걸래의 손잡이 상단을 안착해 지지시키는 것으로 밀대걸래를 용이하게 밀고 다닐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한 착용자의 뒷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는 착용자의 양 팔을 각각 넣어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두 개의 어깨걸이부(110)와, 두 개의 어깨걸이부(110)의 일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착용자의 등에서 교차된 후 허리둘레를 감싸 복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고, 결합되면 상기 어깨걸이부(110)를 신축성으로 견인하게 되는 어깨견인부(115)를 포함한다.
어깨걸이부(110)는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각각 걸쳐지기 위해 팔을 넣을 수 있는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다.
어깨견인부(115)가 어깨걸이부(110)를 견인하는 힘에 의해 착용자는 어깨가 후방, 즉 착용자의 등 방향으로 견인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어깨가 후방으로 견인됨에 따라 착용자는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상체를 올바른 자세로 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어느 하나의 어깨걸이부(110)에서 연장된 어깨견인부(115)는 반대편에 위치한 착용자의 허리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어깨걸이부(110)를 어깨에 걸친 후, 양측 허리 위치에서 처진 상태에 있는 어깨견인부(115)를 각각 당겨 복부 위치에서 상호 교차 결합하게 되면, 이로써 어깨견인부(115)가 어깨걸이부(110)를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체형과 착용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위해 어깨견인부(115)는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견인부(115)는 어깨걸이부(110)에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반대편 허리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등에서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게 되는데, 이러한 어깨견인부(115)가 중간 교차된 부위에는 바람직한 척추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이 형성된 척추지지부(120)가 고정된다.
어깨걸이부(110)와 어깨견인부(115)가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면 어깨견인부(115)가 중간 교차되는 부위는 착용자 등의 가운데가 된다. 따라서 어깨견인부(115)가 중간 교차되는 부위에 척추지지부(120)가 고정되면 착용자의 등에서 척추에 대응하는 위치에 척추지지부(120)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인간의 척추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척추지지부(120)도 대응되게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길이는 일반적인 사람의 목과 엉덩이 사이의 거리가 된다.
척추지지부(120)는 어깨견인부(115)의 신축성으로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는데, 척추지지부(120)는 바람직한 척추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이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등을 펼 수 있게 유도한다.
또한, 척추지지부(120)는 착용자가 등을 올바른 자세로 펼 수 있게 유도하면서도 활동을 제약하지 않게 하기 위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면서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단부가 어깨견인부(115)의 각 끝단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감싸면서 척추지지부(120)가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는 허리압박부(130)를 더 포함한다.
허리압박부(130)는 어깨견인부(115)로는 밀착되지 않는 착용자의 허리 하부 및 엉덩이에서 척추지지부(120)를 밀착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허리압박부(130)는 어깨견인부(115)와 마찬가지로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됨으로 착용자의 활동을 최대한 방해하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의 밀대안착부(150)에 밀대걸래를 지지시킨 후 청소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견인부(115)가 상호 교차 결합되는 부위에는 밀대걸래 손잡이의 상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안착홈(152)이 형성된 밀대안착부(150)가 설치된다.
청소보조 조끼를 착용한 착용자는 복부에 위치한 밀대안착부(150)에 밀대걸래의 손잡이 끝단을 안착해 지지되게 함으로 복부로 밀대걸래를 밀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복부에 밀대걸래 손자이를 지지한 후 밀고 다니게 되면, 기존의 밀대걸래를 잡는 자세, 즉 손으로 밀대걸래 손잡이를 잡고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청소 중 허리에 피로가 쌓이는 것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착용자가 전진할 때 밀대안착부(150)에 안착된 밀대걸래의 손잡이가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밀대안착부(150)에는 소정의 깊으로 요입되게 안착홈(152)이 형성된다.
또한, 밀대안착부(150)에서 밀대걸래가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해, 밀대걸래 손잡이의 상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클립(154)이 밀대안착부(150)의 안착홈(152)에 구성될 수도 있다.
밀대걸래 손잡이의 상단을 클립(154)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억지끼움하면, 클립(154)은 밀대걸래 손잡이를 양측에서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클립(154)은 가운데에 밀대걸래 손잡이 상단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밀대걸래 손잡이 상단을 가압시키면 절개부위가 다소 벌어지면서 억지끼움되어 클립(154)이 밀대걸래 손잡이 상단을 파지하는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보조 조끼의 화물거치돌기(156)에 착용자가 운반하는 화물을거치한 것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안착부(150)의 전면에는 착용자가 들어 올린 화물의 하단부를 걸칠 수 있는 화물거치돌기(15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청소를 하는 중에는 화물은 운반하게 되는 상황이 빈번하다. 특히 부피가 큰 화물을 운반해야 할 경우, 손으로만 화물을 운반하면 자세가 안정되지 않고, 중량이 무거울 경우에는 얼마 가지 않아 손과 팔, 어깨 등 신체 여러 부위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밀대안착부(150)에 돌출되어 형성된 화물거치돌기(156)에 착용자가 들어 올린 화물의 하단부를 걸치면, 화물의 중량이 분산되어 손과 팔이 견뎌야 하는 하중이 감소되고, 부피가 큰 화물이더라도 손에 더하여 화물거치돌기(156)로도 지지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어깨걸이부 115 : 어깨견인부
120 : 척추지지부 130 : 허리압박부
140 : 쿠션 150 : 밀대안착부
152 : 안착홈 154 : 클립
156 : 화물거치돌기 160 : 포켓

Claims (5)

  1. 착용자의 양 팔을 각각 관통하여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두 개의 어깨걸이부와;
    상기 두 개의 어깨걸이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착용자의 등에서 중간 교차된 후 허리둘레를 감싸 복부에서 상호 교차 결합 및 분리되고, 상호 교차 결합되었을 때 상기 어깨걸이부를 후방으로 견인하게 되는 어깨견인부와;
    상기 어깨견인부가 상호 교차 결합된 부위에 설치되고, 밀대걸래 손잡이의 상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밀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보조 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견인부의 상호 교차 결합을 위해 교차되는 부위에 부착되며, 탄력 및 보온성을 가지는 쿠션과;
    상기 밀대안착부의 안착홈에서 밀대걸래 손잡이의 상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보조 조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안착부의 전면에는 착용자가 들어올린 화물의 하단부를 걸칠 수 있도록 돌출된 화물거치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보조 조끼.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견인부의 중간 교차되는 부위에 고정되며, 척추에 대응하는 형상의 굴곡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척추지지부와;
    양단부가 상기 어깨견인부의 각 끝단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척추지지부가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는 허리압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보조 조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견인부와 상기 밀대안착부 사이에 착용자의 손을 수용할 수 있게 시트가 덧대어지는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척추지지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되더라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보조 조끼.
KR1020150003359A 2015-01-09 2015-01-09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KR101583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359A KR101583060B1 (ko) 2015-01-09 2015-01-09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359A KR101583060B1 (ko) 2015-01-09 2015-01-09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060B1 true KR101583060B1 (ko) 2016-01-07

Family

ID=5516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359A KR101583060B1 (ko) 2015-01-09 2015-01-09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0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373U (ko) * 1990-02-09 1991-10-24
KR200374514Y1 (ko) * 2004-10-22 2005-01-29 이석문 개량형 빗자루
JP3971781B1 (ja) * 2006-11-01 2007-09-05 学 棚谷 ショルダーベルト牽引型手押し道具
KR101205285B1 (ko) 2011-08-31 2012-11-27 김정원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KR101436349B1 (ko) * 2014-01-08 2014-09-05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인체 근육에 밀착되어 착용하는 다용도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373U (ko) * 1990-02-09 1991-10-24
KR200374514Y1 (ko) * 2004-10-22 2005-01-29 이석문 개량형 빗자루
JP3971781B1 (ja) * 2006-11-01 2007-09-05 学 棚谷 ショルダーベルト牽引型手押し道具
KR101205285B1 (ko) 2011-08-31 2012-11-27 김정원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KR101436349B1 (ko) * 2014-01-08 2014-09-05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인체 근육에 밀착되어 착용하는 다용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463B2 (en) Portable reflexology chair
US9839554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US9572738B2 (en) Face-down therapeutic system for improved posture and spine alignment
US9398992B1 (en) Pressure free face rest
CN201823039U (zh) 颈腰健护器
KR101097106B1 (ko)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KR200477364Y1 (ko) 등쿠션
KR101297399B1 (ko)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KR101583060B1 (ko) 밀대걸래의 손잡이를 복부에 지지할 수 있는 청소보조 조끼
US20050231014A1 (en) Orthopedic appliance
JP2007044389A (ja) 運動補助具
KR200496638Y1 (ko) 휴대용 자세 교정백
JPWO2015076011A1 (ja) 指圧器具、これを備える指圧器具セット及びその配置方法
JP3156477U (ja) 腰、背部の疲労緩和具
US20120289874A1 (en) Spinal Posture Brace
JP3198998U (ja) 指圧器具セットの配置構造
KR101520837B1 (ko) 척추교정 및 골반강화장치
JP3235152U (ja) 肩と背中と腰と内蔵のストレッチ具
JPH105257A (ja) 整体ブロック
US20170071351A1 (en) Back support devices with force distributing knee pads
KR20210107363A (ko) 등 근육 및 목 근육 이완장치
KR20120000763A (ko) 혈액순환 활성화와 정상자세 습관화 시스템
CA2965181C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KR101774487B1 (ko) 기능성매트
CN204581616U (zh) 一种可改善腰椎问题的便携护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