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876B1 -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 Google Patents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876B1
KR101650876B1 KR1020150100213A KR20150100213A KR101650876B1 KR 101650876 B1 KR101650876 B1 KR 101650876B1 KR 1020150100213 A KR1020150100213 A KR 1020150100213A KR 20150100213 A KR20150100213 A KR 20150100213A KR 101650876 B1 KR101650876 B1 KR 10165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cover body
correcting
back support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5010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등받이 커버체와; 상기 등받이 커버체의 양측에 각각 분리되게 구비된 프론트 커버체와; 상기 등받이 커버체와 프론트 커버체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연결되며, 당겨지는 것으로 간격이 좁아지게 조절되는 조임부재; 및 상기 등받이 커버체의 내부로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게 지지되어 틀어진 허리를 교정하는 허리교정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임부재를 당겨 묶거나 고정되도록 하여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허리교정구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체형이 다른 여러 사용자의 등에 등받이 커버체에 구비된 허리교정구가 타이트하게 가압되도록 하여 척추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리교정용 쪼끼구조{VEST STRUCTURE FOR BACK CORRECTION}
본 발명은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허리교정구가 구비된 등받이 커버체의 양측으로 프론트 커버체가 조임부재에 의하여 조여짐으로써, 사용자의 틀어진 허리에 허리교정구가 가압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업무가 책상 앞에서 어깨를 구부린 상태에서 서류를 처리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여 장시간 업무를 처리하는 일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컴퓨터의 자판을 조작하기 위하여 어깨를 구부린 상태에서 장시간 작업하거나, 서류의 처리를 위하여 장시간 작업하게 되면 척추가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척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할 때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꾸준한 운동을 병행하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는 있으나, 바쁜 현실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는 매우 힘든 실정이다.
척추측만증은 청소년기인 14~15세 이전에 많이 발생하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5 배 정도 많으며 후천적 자세불량, 운동저하 등 척추가 휘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척추측만증이 지속되면 앉아만 있어도 몸에 통증이 발생해 집중력과 기억력이 감퇴하고 학습효율도 떨어진다.
이러한 변형된 척추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탄력적인 재질인 밴드 형태나, 단단한 플라스틱 형태로 이루어진 별도의 척추 교정기를 사용하게 되는 과정에서 밴드를 채우거나 푸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상의는 신체의 상반부에 착용하는 의복으로서 블라우스, 셔츠, 재킷, 조끼와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단순하게 의복의 용도 외에는 또 다른 기능성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특히 등뼈를 바르게 교정하는 등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3031호(2002.04.10)
본 발명은 상의를 입은 상태에서 쪼끼를 착용함과 동시에 쪼끼의 등받이 커버체에 구비된 허리교정구가 틀어진 허리를 가압시켜 원래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허리가 자연적으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조임부재에 의하여 체형이 상이한 여러 사용자에게 타이트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항상 올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 커버체와; 상기 등받이 커버체의 양측에 각각 분리되게 구비된 프론트 커버체와; 상기 등받이 커버체와 프론트 커버체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연결되며, 당겨지는 것으로 간격이 좁아지게 조절되는 조임부재; 및 상기 등받이 커버체의 내부로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게 지지되어 틀어진 허리를 교정하는 허리교정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등받이 커버체와 프론트 커버체에 각각 형성된 끈홀에 조임끈이 지그재그로 배열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교정구는 제1허리지지부의 상부에 제2허리지지부가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허리지지부의 하부에 제3허리지지부가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허리지지부는 "
Figure 112016063299011-pat00001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허리지지부 및 제3허리지지부는 "
Figure 112016063299011-pat00002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허리지지부는 제2허리지지부 또는 제3허리지지부 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교정구는 탄성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교정구는 스폰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교정구는 튜브로 형성되되, 상기 튜브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교정볼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정볼은 가운데에서 상,하부로 향하여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교정볼은 각각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탄성와이어가 관통되게 끼워져 하나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쪼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등받이 커버체와 프론트 커버체 사이에 있는 조임부재를 당겨 묶거나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체형이 다른 여러 사용자의 등에 등받이 커버체에 구비된 허리교정구가 타이트하게 가압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의 굽어진 허리를 가압시켜 원래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척추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굽어진 허리, 척추가 교정됨으로써, 항상 올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에 구비된 허리교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에 구비된 허리교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에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쪼끼를 착용함과 동시에 굽어진 허리 또는 척추가 가압되어 교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올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업무 또는 공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허리교정용 쪼끼는 등받이 커버체(10), 프론트 커버체(20)(20'), 조임부재(30) 및 허리교정구(40)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등받이 커버체(10)는 사용자의 등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등받이 커버체(10)의 양측 즉, 사용자의 옆구리를 따라 수직방향을 가지며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끈홀(31)이 형성되어 조임부재(30)의 일측이 관통된 상태로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 커버체(10)는 의복을 이루는 동일한 천으로 구비된 것으로 내측의 중앙에 수직된 형태 즉,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가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상기 허리교정구(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체(20)(20')는 등받이 커버체(10)의 양측 즉, 좌우 양측에 일정간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옆구리와 배 및 가슴부분이 커버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체(20)(20')는 등받이 커버체(10)와 근접되는 즉, 마주하는 부분의 가장자리에 사용자의 옆구리를 따라 수직방향을 가지며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끈홀(31)이 형성되어 조임부재(30)의 타측이 관통된 상태로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는 조임부재(30)에 의하여 등받이 커버체(10)의 양측에 각각 프론트 커버체(20)(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조임부재(30)의 양끝을 잡아당김과 동시에 조임부재(30)가 당겨지면서 등받이 커버체(10)와 각각의 프론트 커버체(20)(2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상체를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등받이 커버체(10)의 내측으로 구비된 허리교정구(40) 역시 사용자의 틀어진 허리를 가압하여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임부재(30)는 조임끈(32)으로 구비되어 등받이 커버체(10)와 프론트 커버체(20)(20')에 각각 형성된 끈홀(31)에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조임부재(30)의 끝에는 별도의 멈춤구 등을 구비할 경우, 당겨진 조임부재(30)가 역방향으로 풀리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허리교정구(40)는 등받이 커버체(10)의 내부로 구비되어 쪼끼를 착용하여 조임부재(30)를 당겨 조여짐과 동시에 사용자의 틀어진 허리에 밀착되게 지지되어 틀어진 허리가 바르게 펴질 수 있게 교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허리교정구(40)는 사용자의 허리 또는 척추에 밀착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1허리지지부(41)의 상부에 제2허리지지부(42)가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허리지지부(41)의 하부에 제3허리지지부(43)가 하부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허리지지부(41)는 "
Figure 112016063299011-pat00003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허리지지부(42) 및 제3허리지지부(43)는 "
Figure 112016063299011-pat00004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허리지지부(41), 제2허리지지부(42) 및 제3허리지지부(43)는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6063299011-pat00005
"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허리지지부(41)는 제2허리지지부(42) 또는 제3허리지지부(43) 보다 큰 곡률(R)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허리교정구(40)는 스폰지(S)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허리교정구(40)는 스폰지(S) 이외에 속이 비어 있는 튜브(T)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튜브(T)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중공형태를 갖도록 사출성형된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무게를 초소화함과 동시에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하고, 아울러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에 구비된 허리교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교정구(40)가 단순히 곡률(R)을 달리한 "
Figure 112016063299011-pat00006
"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탄성판이 하나로 벤딩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폰지(S)에 비해 큰 탄성력이 척추에 가해지도록 하여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허리교정구(40)가 속이 비어있는 단순한 형태의 튜브(T)로 사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튜브(T)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교정볼(B)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에 구비된 허리교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허리지지부(41), 제2허리지지부(42) 및 제3허리지지부(43)가 일체로 형성된 허리교정구(40)가 사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교정볼(B)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정볼(B)은 가운데에서 상,하부로 향하여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굽어진 허리 또는 척추가 안정적이게 받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교정볼(B)은 각각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H)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H)에 탄성와이어(W)가 관통되게 끼워져 하나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낱개의 교정볼(B)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간혹 각각의 교정볼(B) 중심이 틀어져 척추가 안정적이게 받쳐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등받이 커버체 20,20':프론트 커버체
30:조임부재 31:끈홀
32:조임끈 40:허리교정구
41:제1허리지지부 42:제2허리지지부
43:제3허리지지부

Claims (9)

  1. 등받이 커버체와;
    상기 등받이 커버체의 양측에 각각 분리되게 구비된 프론트 커버체와;
    상기 등받이 커버체와 프론트 커버체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연결되며, 당겨지는 것으로 간격이 좁아지게 조절되는 조임부재; 및
    상기 등받이 커버체의 내부로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게 지지되어 틀어진 허리를 교정하는 허리교정구가 구비된 허리교정용 쪼끼구조에 있어서,
    상기 허리교정구는 튜브로 형성되되, 상기 튜브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교정볼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볼은 가운데에서 상,하부로 향하여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볼은 각각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탄성와이어가 관통되게 끼워져 하나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KR1020150100213A 2015-07-15 2015-07-15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KR10165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13A KR101650876B1 (ko) 2015-07-15 2015-07-15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13A KR101650876B1 (ko) 2015-07-15 2015-07-15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876B1 true KR101650876B1 (ko) 2016-08-24

Family

ID=5688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13A KR101650876B1 (ko) 2015-07-15 2015-07-15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8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745A (ko) 2020-12-31 2022-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전해질과 열적 인발공정을 이용한 슈퍼캐패시터,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6617A (ko) 2021-02-15 2022-08-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보조유닛 및 인체 모사 척추 후만증 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0297A (en) * 1976-03-05 1978-10-17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Orthopedic corset
KR200273031Y1 (ko) 2002-01-07 2002-04-20 김성기 척추 교정용 상의
KR200350514Y1 (ko) * 2004-02-12 2004-05-17 류실근 허리보호대
EP1962747B1 (en) * 2005-10-12 2011-03-16 F.G.P. Srl Orthopedic support or orthesis for the spinal column
KR20150047217A (ko) * 2013-10-24 2015-05-04 양시훈 자세 교정용 가능성 의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0297A (en) * 1976-03-05 1978-10-17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Orthopedic corset
KR200273031Y1 (ko) 2002-01-07 2002-04-20 김성기 척추 교정용 상의
KR200350514Y1 (ko) * 2004-02-12 2004-05-17 류실근 허리보호대
EP1962747B1 (en) * 2005-10-12 2011-03-16 F.G.P. Srl Orthopedic support or orthesis for the spinal column
KR20150047217A (ko) * 2013-10-24 2015-05-04 양시훈 자세 교정용 가능성 의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745A (ko) 2020-12-31 2022-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전해질과 열적 인발공정을 이용한 슈퍼캐패시터,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6617A (ko) 2021-02-15 2022-08-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보조유닛 및 인체 모사 척추 후만증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621B1 (ko) 체형교정 건강베개
US10383466B2 (en) Adjustable spine alignment pillow
KR102118778B1 (ko)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US8893334B1 (en) Orthopedic pillows
KR101638138B1 (ko) 허리 보호대
KR101723920B1 (ko)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JP5210449B1 (ja) 腰曲がり矯正具
US11273065B2 (en) Posture control systems
KR102034921B1 (ko) 척추 교정 장치
US20170225022A1 (en) Yoga Block Configured For The Neck (Neck Block)
CN102512301A (zh) 用于身体校正的身体姿态辅助设备
KR101650876B1 (ko)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KR102204316B1 (ko) 자세 교정용 쿠션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CN206867320U (zh) 下颚可调式护颈圈
KR200395827Y1 (ko) 자세교정용 벨트
US20190091056A1 (en) Posture correcting device
JP6325259B2 (ja) 上向き作業のサポート装置
JPWO2020152787A1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CN108283538A (zh) 下颚可调式护颈圈
KR200479406Y1 (ko) 신체용 보조 교정기구
KR20170115886A (ko) 척추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KR101813106B1 (ko) 자세교정을 위한 개량형 탈착식 척추지지대
CN218636164U (zh) 一种头颈背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