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46B1 - 바른자세교정기 - Google Patents

바른자세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46B1
KR101849646B1 KR1020160153067A KR20160153067A KR101849646B1 KR 101849646 B1 KR101849646 B1 KR 101849646B1 KR 1020160153067 A KR1020160153067 A KR 1020160153067A KR 20160153067 A KR20160153067 A KR 20160153067A KR 101849646 B1 KR101849646 B1 KR 101849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aist
posture
shoulder
posture cor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영
김인호
이재현
이호상
정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to KR102016015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는 자세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할 때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유도하는 바른자세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는 등받이부, 허리부, 자세교정부, 어깨걸이, 허리고정부를 포함한다.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흉추 부위에 착용된다. 허리부는 등받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착용된다. 자세교정부는 등받이부와 허리부에 걸쳐 형성되며, 사용자의 흉추 또는 요추가 굽어지는 정도에 따라 휘어지기 시작하는 항복 굽힘력이 작용하는 경우 사용자를 인지시킨다. 어깨걸이는 일단이 등받이부의 양측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등받이부의 양측 하단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된다. 허리고정부는 허리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의와 결합된다.

Description

바른자세교정기{Correct posture straightener}
본 발명은 바른자세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는 자세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할 때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유도하는 바른자세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각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기관으로서, 몸의 기둥역할을 하며 몸무게를 지탱해준다. 뿐만 아니라, 뇌에서 우리 몸의 각 부위로 연결되는 신경이 집중되는 중추신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척추가 바르지 못한 자세 등으로 인하여 전후 또는 좌우로 휠 경우, 신체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없으며, 중추신경에 압박이 가해져 각종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신체가 바른 자세를 가지도록 유도하여 척추가 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크기, 즉,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착용 범위가 가변되지 않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지 않는 보조기를 착용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며, 이는 오히려 자세교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된다.
또한, 기존의 자세교정용 보조기는 단지 사용자의 신체를 고정하여 바른 자세를 가지도록 유도하는 장치로, 사용자가 보조기를 착용하고 바르지 않은 자세를 가지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69164호 (발명의 명칭: 자세교정용 보조기, 공고일: 2014년 03월 25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는 자세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할 때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유도하는 바른자세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흉추 부위에 착용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착용되는 허리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허리부에 걸쳐 형성되며, 사용자의 흉추 또는 요추가 굽어지는 정도에 따라 휘어지기 시작하는 항복 굽힘력이 작용하는 경우 사용자를 인지시키는 자세교정부;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하단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걸이; 및 상기 허리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의와 결합되는 허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교정부는 사용자의 흉추 및 요추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기준 굽힘력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자세교정부의 단면 형상이 변화하기 시작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세교정부는 상기 기준 굽힘력 미만의 힘을 전달받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흉추 및 요추가 굽혀진 정도와 대응되도록 휘어지다가, 상기 기준 굽힘력 이상의 힘을 전달받아 휘어지는 경우 소리가 발생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바른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교정기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자세교정부는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허리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자세교정부의 단면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리부의 폭은 상기 자세교정부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지며, 상기 등받이부의 폭은 상기 어깨걸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허리부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깨걸이 상에는 상기 어깨걸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어깨걸이 길이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리고정부는 상기 허리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허리끈과, 상기 허리끈 상에 형성되어 상기 허리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허리끈 길이조절부와, 상기 허리끈의 단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의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어깨걸이와 허리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어깨걸이 길이조절부와 허리끈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착용범위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가지지 않을 경우 자세교정부에서 소리로 사용자를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바른자세교정기의 등받이부 및 허리부가 홑겹으로 도시되어 자세교정부의 위치 및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른자세교정기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바른자세교정기의 제 1 사용 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바른자세교정기의 제 2 사용 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사용 예 중 사용자가 c방향으로 허리를 굽혀 자세교정부가 휘어진 것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의 제 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는 등받이부(10), 허리부(20), 자세교정부(30), 어깨걸이(40) 및 허리고정부(50)를 포함한다.
등받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흉추부위에 착용되며, 허리부(20)는 등받이부(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착용된다.
등받이부(10) 및 허리부(20)는 후술하는 자세교정부(30)가 등받이부(10) 및 허리부(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이중으로 겹쳐져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를 착용하고 자세를 변동하여도 그 형상이 변화하지 않도록 신축성이 없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자세가 변화하여도 늘어나지 않고 원래의 면적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등과 허리에 밀착됨에 따라 사용자 자세의 변동에 의해 자세교정부(30)에 전달되는 외력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허리부(20)의 폭은 자세교정부(3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지며, 등받이부(10)의 폭은 어깨걸이(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허리부(20)보다 넓게 형성된다.
자세교정부(30)는 등받이부(10)와 허리부(20)에 걸쳐 형성되어 등받이부(10) 및 허리부(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단면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자세교정부(30)는 사용자의 흉추 또는 요추가 굽어지기 시작하는 항복 굽힘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사용자를 인지시킨다.
자세교정부(30)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다시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제작된다. 자세교정부(30)의 재질은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쉽게 부러지거나 휘지 않으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자세교정부(30)의 단면 형상은 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자세교정부(30)가 외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 일정 크기의 힘 이하로 외력은 받는 경우에는 형상을 유지하다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받게 되는 경우 형상이 변화하며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대체 가능하다.
어깨걸이(40)는 일단이 등받이부(10)의 양측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등받이부(10)의 양측 하단과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깨걸이(40) 상에는 어깨걸이 길이조절부(41)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어깨걸이(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어깨걸이(4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게 구성되어 착용성을 높이며, 어깨걸이(40)를 어깨에 착용한 후 어깨걸이 길이조절부(41)로 어깨걸이(4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어깨걸이(40)가 사용자의 어깨에 보다 밀착되게 착용될 수 있게 된다.
허리고정부(50)는 허리부(20)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의와 결합되며 허리끈(51), 허리끈 길이조절부(52) 및 고정결합부(53)를 포함한다.
허리끈(51)은 허리부(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착용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허리끈 길이조절부(52)는 허리끈(51)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허리끈(51)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체형에 맞춰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허리끈 길이조절부(52)는 밸크로 테이프, 길이조절버클 등과 같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깨걸이 길이조절부(41) 또한 허리끈 길이조절부(52)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결합부(53)는 허리끈(51)의 단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의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밀착되게 허리끈(51)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를 사용자가 착용하여 어깨걸이(40)와 허리부(20)의 길이를 사용자 체형에 맞추어 길이교정을 완료하고 상술한 고정결합부(53)를 사용자의 하의에 고정하였을 때 자세교정부(30)는 사용자의 흉추와 요추부위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사용자가 바른 자세, 즉 어깨와 등을 펴고 척추를 곧게 세운 자세를 유지할 경우 자세교정부(30)는 사용자의 흉추와 요추부위에 밀착된 채 원래의 형상을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어깨와 등이 안쪽으로 굽어지며 척추가 휘게 되는 경우 자세교정부(30)는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받게 된다.
외력이 항복 굽힘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사용자를 바른 자세로 유도하기 위해 휘어지지 않고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지만, 항복 굽힘력보다 크게 작용할 경우 사용자의 척추가 휘어지는 형상에 따라 같이 휘어지게 된다. 물론 자세교정부(30)가 항복 굽힘력 이상의 외력을 받아 휘어지게 되는 경우에도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를 바른 자세로 유도한다.
이때, 항복 굽힘력보다 크며 자세교정부(30)의 단면 형상이 변화시킬 정도의 기준 굽힘력이 자세교정부(30)에 작용하여 자세교정부(30)가 휘어지게 되는 경우, 기준 굽힘력이 작용하고 있는 자세교정부(30)의 위치에서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세교정부(30)는 사용자에게 자신의 자세를 인지시켜 바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를 착용하여 의자에 앉아 있고, 사용자가 자세교정부(30)에 기준 굽힘력 이상의 외력을 전달할 수 있을 정도의 기울어진 자세(a)를 취했을 경우에 자세교정부(30)에서는 소리가 발생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바른 자세(b)로 유도하여 유지하도록 하여 거북목 증후군, 척추측만증과 같이 자세로 인해 발생되는 척추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를 착용하고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 자세교정부(30)가 기준 굽힘력 이상의 외력을 받을 정도로 사용자의 척추가 휘어진 경우(c)에 자세교정부(30)에서는 소리가 발생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를 바른 자세(d)로 유도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5에서 사용자가 c 방향으로 척추를 휜 상태에서 물건을 들어올릴 경우, 자세교정부(30)에 기준 굽힘력 이상의 외력이 전달되면 자세교정부(30) 상에서 소리가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를 인지시켜 바른 자세를 가지게 한다. 따라서 척추가 휘어진 상태로 물건을 들어올려 물건의 무게가 척추로 전달되어 발생하게 되는 요통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에 포함되는 등받이부(10), 허리부(20), 어깨걸이(40) 및 허리고정부(50)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는 휨센서부(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휨센서부(60)는 등받이부(10)와 허리부(20)에 걸쳐 형성되며, 사용자의 흉추 또는 요추가 굽어지는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흉추 또는 요추의 휘어짐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사용자의 흉또 또는 요추의 휘어짐이 일정 기준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를 인지시킨다.
상술한 일정 기준 이상의 값은 사용자의 흉추 또는 요추의 굽어짐의 정도가 계속 유지될 경우 사용자에게 거북목 증후군, 척추측만증과 같이 자세로 인한 척추질환이 발생될 수 있는 수준 이상의 값을 의미한다.
휨센싱부(60)는 휨센싱부(60)에 구비되어 있는 알람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흉추 또는 요추의 휘어짐이 일정 기준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알람소리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를 인지시켜 바른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휨센싱부(60)는 휨센싱부(60)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신호를 전달하여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알람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를 인지시킬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에 포함되는 등받이부(10), 허리부(20), 어깨걸이(40) 및 허리고정부(50)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른자세교정기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의 자세교정부(30)와, 제 2 실시 예의 휨센싱부(60)가 동시에 형성되어 사용되는 목적이나 위치에 따라 자세교정부(30)와 휨센싱부(6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자세교정부와 휨센싱부(60)를 병용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지시켜 바른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등받이부
20: 허리부
30: 자세교정부
40: 어깨걸이
41: 어깨걸이 길이조절부
50: 허리고정부
51: 허리끈
52: 허리끈 길이조절부
53: 고정결합부
60: 휨센싱부

Claims (8)

  1. 사용자의 흉추 부위에 착용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착용되는 허리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허리부에 걸쳐 형성되며, 사용자의 흉추 또는 요추가 굽어지는 정도에 따라 휘어지기 시작하는 항복 굽힘력이 작용하는 경우 사용자를 인지시키는 자세교정부;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하단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걸이; 및
    상기 허리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의와 결합되는 허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교정부는 사용자의 흉추 및 요추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기준 굽힘력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자세교정부의 단면 형상이 변화하기 시작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세교정부는 상기 기준 굽힘력 미만의 힘을 전달받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흉추 및 요추가 굽혀진 정도와 대응되도록 휘어지다가, 상기 기준 굽힘력 이상의 힘을 전달받아 휘어지는 경우 소리가 발생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바른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교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부는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허리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교정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부의 단면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교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의 폭은 상기 자세교정부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지며, 상기 등받이부의 폭은 상기 어깨걸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허리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교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걸이 상에는 상기 어깨걸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어깨걸이 길이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교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고정부는 상기 허리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허리끈과, 상기 허리끈 상에 형성되어 상기 허리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허리끈 길이조절부와, 상기 허리끈의 단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의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교정기.
KR1020160153067A 2016-11-17 2016-11-17 바른자세교정기 KR101849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067A KR101849646B1 (ko) 2016-11-17 2016-11-17 바른자세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067A KR101849646B1 (ko) 2016-11-17 2016-11-17 바른자세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646B1 true KR101849646B1 (ko) 2018-04-18

Family

ID=6208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067A KR101849646B1 (ko) 2016-11-17 2016-11-17 바른자세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22A (ko) 2021-08-31 2023-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흉추 굽힘자세 교정기구
KR20230077151A (ko) * 2021-11-25 2023-06-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334Y1 (ko) * 2000-09-29 2001-03-15 황옥순 자세교정구
KR101553585B1 (ko) * 2014-06-02 2015-09-17 박정근 자세 교정 유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334Y1 (ko) * 2000-09-29 2001-03-15 황옥순 자세교정구
KR101553585B1 (ko) * 2014-06-02 2015-09-17 박정근 자세 교정 유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22A (ko) 2021-08-31 2023-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흉추 굽힘자세 교정기구
KR20230077151A (ko) * 2021-11-25 2023-06-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KR102591446B1 (ko) * 2021-11-25 2023-10-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3675A1 (en) Orthosis for correction of a varus/valgus malalignment
CN109561978B (zh) 用于辅助服的脊骨构件以及辅助服
KR102118778B1 (ko)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US5199940A (en) Posture training and correcting device
US9849021B2 (en) Orthopedic back support or vertebral column brace
KR101638138B1 (ko) 허리 보호대
KR101614621B1 (ko) 체형교정 건강베개
KR102103271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1273065B2 (en) Posture control systems
KR101849646B1 (ko) 바른자세교정기
KR20170068415A (ko) 척추 교정 장치
KR20210016209A (ko) 최적의 3 포인트 프레셔 기능을 구현하는 척추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척추측만증 관리 시스템
KR101697554B1 (ko) 척추자세 교정기
JP2009148403A (ja) 側彎矯正装具
EP3834785A1 (en) Brace for supporting jaw angle, and jaw angle correc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US2760486A (en) Spinal flexion brace
KR20110002122U (ko) 자세 교정을 위한 경고장치 및 자세 교정기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20190036815A (ko) 자세 교정 장치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US10813783B1 (en) Spinal orthosis
ES2847748T3 (es) Dispositivo de ayuda para mejorar la postura
CN211723570U (zh) 脊椎矫正带
KR101653286B1 (ko) 백팩 지지용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