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750B1 -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750B1
KR102623750B1 KR1020210162980A KR20210162980A KR102623750B1 KR 102623750 B1 KR102623750 B1 KR 102623750B1 KR 1020210162980 A KR1020210162980 A KR 1020210162980A KR 20210162980 A KR20210162980 A KR 20210162980A KR 102623750 B1 KR102623750 B1 KR 102623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ser
band portion
toes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6233A (ko
Inventor
황윤성
Original Assignee
황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성 filed Critical 황윤성
Priority to KR102021016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7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3Free movement, i.e. the only restriction coming from th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4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with signall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incorrect posture, for deep-breat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엉덩이와 골반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고 양측 단부에 체결고리가 형성되는 제1 밴드부, 상기 제1 밴드부의 상기 체결고리에 결합되고 사용자 복부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2 밴드부, 일측은 상기 제1 밴드부의 체결고리에 연결되고 타측은 사용자의 발바닥,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 및 발가락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3 밴드부를 포함하는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STRETCHING BAD ASSEMBLY FOR TRUNK FLEXION FORWARD}
본 발명은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골반은 신체의 하지와 척추를 이어주고 기립시 몸의 중심부로서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중요 부위이다. 이러한 골반의 움직임과 동작을 측정할 수 있는 좌전굴 테스트는 소방공무원, 경찰공무원 그 밖의 체대입시 등에서 자주 쓰이는 보편화된 평가 방법이다.
많은 사람들이 좌전굴의 단기간 기록향상을 위해 골반이 아닌 척추의 과한 움직임과 손상을 통해 연습을 하고 그로인한 후유증이 심해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30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좌전굴 운동과정에서 사용자의 골반과 허리가 본래의 자연적인 기능적 움직임을 회복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정 및 통증 완료는 물론 효과적인 운동효과를 통한 좌전굴 기록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골반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고 양측 단부에 체결고리가 형성되는 제1 밴드부;
상기 제1 밴드부의 상기 체결고리에 결합되고 사용자 복부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2 밴드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밴드부의 체결고리에 연결되고 타측은 사용자의 발바닥,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 및 발가락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밴드부의 중심 고정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3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밴드부 및 제2 밴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골반 또는 복부 부위를 지지하도록 직경이 상이한 밀착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밴드부의 밀착면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의 중심축이 지면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전방으로 골반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밴드부의 타측은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바닥 부위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직경이 상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밴드부, 제2 밴드부와 제3 밴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가능하도록 조절 클립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밴드부, 제2 밴드부 및 제3 밴드부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밴드부, 제2 밴드부 및 제3 밴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좌전굴 운동과정에서 가동성이 저하된 골반의 가동범위를 증진시켜 요추부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과 허리가 본래의 자연적인 기능적 움직임을 회복하여 일상 생활에서 교정 및 통증 완료는 물론 효과적인 운동효과를 통한 좌전굴 기록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의 장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의 일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의 사용 동작을 사용 상태도들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가 적용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앉은 자세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 현대인들은 골반의 뒤틀림, 하지 근육의 짧아짐 및 유연성의 문제로 골반을 움직여야 하는 활동에서 허리를 사용한다. 때문에 요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수가 늘어가고, 위 같은 요통 및 골반의 비가동성에 크게 작용하는 것이 뒷 허벅지근(Hamstring) 및 종아리 뒷부분의 비복근이다. 위 같은 문제로 야기되는 증상은 허리디스크, 골반의 뒤틀림, 다리의 부정적 교합, 하지의 부종 등이 있고, 그 중 가장 크게 대두되는 허리디스크(Disc herniation)는 대부분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골반 부위 전체를 지지하면서 골반의 전방으로 경사지는 자세를 갖도록 함으로써, 골반의 후방측으로 기울거나 과도한 요추부의 굴절을 방지하여 자세교정에 의한 효과적인 운동 및 이에 따른 기록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를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자세를 교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종아리 비복근(Gastronemius)과 뒷 허벅지근육(Hamstring)의 유연성, 골반(Pelvic)의 가동범위 및 요추부(Lumbar)의 움직임 정도 및 하지 신경의 유연성을 개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의 장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의 일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골반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고 양측 단부에 체결고리(111)가 형성되는 제1 밴드부(110), 제1 밴드부(110)의 체결고리(111)에 결합되고 사용자 복부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2 밴드부(120), 일측은 제2 밴드부(120)의 중심 고정홀(121)에 연결되고 타측은 사용자의 발바닥 또는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3 밴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밴드부(110)는 천 등의 섬유 소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골반이 좌전굴 운동과정에서 본래의 기능적인 움직임을 회복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밴드부(11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밀착면(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밴드부(110)의 양측 단부에는 제2 밴드부(120)와 제3 밴드부(130)가 각각 결합되도록 체결고리(111)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엉덩이와 골반 부위는 움직임의 가동범위의 증가에 따라 뒷 허벅지근(Hamstring)과 이를 사용하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뒷허벅지근의 스트레칭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엉덩이와 골반 부위 움직임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게 제1 밴드부(110)가 사용자의 골반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제2 밴드부(120)는 천 등의 섬유소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복부 부위에 밀착되도록 중심 부위는 형상의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위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밸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밴드부(120)의 양측 단부에는 후크 고리부(H)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크 고리부(H)가 제1 밴드부(110)의 체결고리(1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 제2 밴드부(120)의 중심부위, 즉 사용자의 복부 부위에는 중심 고정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3 밴드부(130)의 일측 단부는 제1 밴드부(110)의 체결고리(11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밴드부(120)의 중심 고정홀(1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밴드부(130)의 일측 단부가 제1 밴드부(110)의 체결고리(11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밴드부(120)의 중심 고정홀(121)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시에 발생되는 힘의 방향, 즉 벡터(vector)가 중심부위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밴드부(110)가 사용자의 엉덩이와 골반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지지하고 제2 밴드부(120)가 사용자의 복부 부위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을 안정적으로 견착하여 골반이 후방으로 비이상적 굴절되지 않도록 하여 교정할 수 있다.
제3 밴드부(130)는 한 쌍의 밴드(131, 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밴드부(130)는 한 쌍의 밴드(131, 132)가 각각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으로 제1 밴드부(110)의 체결고리(11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3 밴드부(130)의 일측 단부에는 후크 고리부(H)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크 고리부(H)가 제1 밴드부(110)의 체결고리(111)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밴드부(120)의 중심 고정홀(1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밴드부(130)의 한 쌍의 밴드(131, 132)에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조절 클립(C)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밴드부(110)에도 조절 클립(C)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제3 밴드부(130)의 한 쌍의 밴드(131, 132)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의 무릎과 오금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지지하도록 밴드 형태의 오금 지지부(미도시)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금 지지부는 소정의 탄성으로 해당 부위를 지지하도록 폼(form) 형태의 완충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무릎관절의 과신전으로 발생할 수 잇는 손상을 예방하고, 골반의 전방경사를 돕는 대퇴사두근의 근력증진운동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 제3 밴드부(130)의 각각의 밴드(131, 132) 일측 단부, 즉 사용자의 발 부위에 고정되는 부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제3 밴드부(1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구조(131-1)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3 밴드부(130)의 일측 단부, 즉 사용자의 발 부위가 고정되는 부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가락을 감싸는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는 구조(131-2)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이 경우에 고리 형상의 구조(131-2)는,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당겨지는 제3 밴드부(130)의 장력을 보상하여 동일한 장력이 전달되도록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발목과 연결된 부분, 즉 종아리 비복근(Gastronemius)은 신경 및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통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 개선하여 사용자에 유발될 수 있는 통증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100)를 사용한 동작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의 사용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100)는 각각의 구성들, 즉 제1 밴드부(110), 제2 밴드부(120) 및 제3 밴드부(130)가 독립적인 구성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먼저, 사용자는 제1 밴드부(110)를 바닥면에 놓고 제1 밴드부(110)의 밀착면 (112) 부위에 엉덩이와 골반 부위가 위치되도록 착석한다.
그리고, 제2 밴드부(120)를 사용자의 복부 부위에 배치하고 제2 밴드부(1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크 고리부(H)를 제1 밴드부(110)의 체결고리(111)에 연결시키고, 타측 단부를 제2 밴드부(120)의 중심 고정홀(121)에 연결한 후에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조절 클립(C)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이어서, 제3 밴드부(130)의 각각의 밴드(131, 132)를 각각 좌측다리와 우측다리에 연결하되, 각각의 밴드(131, 132)의 일측은 제1 밴드부(110)의 체결고리(111)에 연결하고 타측은 사용자의 발가락이나 발바닥 또는 이들 사이에 안착시킨 상태로 제2 밴드부(120)의 중심 고정홀(121)에 연결시킨다.
제3 밴드부(130)의 각각의 밴드(131, 132)에 형성되는 조절 클립(C)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허벅지 근육이 당겨지도록 긴장시킨다. 여기서, 사용자의 무릎(knee)과 골반이 허벅지 근육에 연결된 부위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제1 밴드부(110)가 사용자의 비의도적인 움직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을 둘러싼 근육의 비대칭 완화와 골반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사용자의 골반 부위 전체는 제1 밴드부(110)를 통해 지지되도록 하고 반대방향, 즉 복부 부위에 배치되는 제2 밴드부(120)가 안정적으로 후방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이 전방, 발이 위치된 방향으로 경사지는 자세를 갖도록 함으로써, 골반의 후방측으로 기울거나 과도한 요추부의 굴절을 방지하여 자세교정에 의한 효과적인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100)는, 바닥면에 대한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우측, 즉 사용자의 발 방향으로 적어도 90 이상의 각도로 소정의 수평 경사면을 가지는 자세가 나오도록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100)는 제1 밴드부(110) 및 제2 밴드부(120)의 효과적인 지지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부위가 만곡되는 형상을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좌전굴의 교정을 통하여 운동효과를 향상시킴을 물론, 하지 부종 등의 요통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밴드 어셈블리 110: 제1 밴드부
111: 체결고리 112: 밀착면
120: 제2 밴드부 121: 중심 고정홀
130: 제3 밴드부 H: 후크 고리

Claims (6)

  1.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가 안착되도록 직경이 상이한 타원형 형상의 밀착면을 구비하여 엉덩이 부위를 완전히 감싸 밀착 지지하고, 양측 단부에 체결고리가 형성되는 유연한 소재의 제1 밴드부;
    사용자의 복부 부위에 밀착되도록 중심 부위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심 부위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제1 밴드부의 대응하는 체결고리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 부위에 중심 고정홀을 갖는 제2 밴드부; 및
    양단에 후크 고리부를 각각 구비하여 일측은 상기 제1 밴드부의 체결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사용자의 발바닥,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 및 발가락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밴드부의 중심 고정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양 발을 당겨 긴장시키는 복수의 제3 밴드부;를 포함하여,
    운동 시 사용자의 양 발에 발생되는 힘의 방향이 상기 중심 부위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밴드부의 밀착면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의 중심축이 지면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전방으로 골반경사가 형성되는,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밴드부의 사용자의 발 부위가 고정되는 부위는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바닥 부위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직경이 상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 제2 밴드부와 제3 밴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가능하도록 조절 클립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6. 삭제
KR1020210162980A 2021-11-24 2021-11-24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KR10262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80A KR102623750B1 (ko) 2021-11-24 2021-11-24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80A KR102623750B1 (ko) 2021-11-24 2021-11-24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233A KR20230076233A (ko) 2023-05-31
KR102623750B1 true KR102623750B1 (ko) 2024-01-11

Family

ID=8654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980A KR102623750B1 (ko) 2021-11-24 2021-11-24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7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905Y1 (ko) 2002-12-06 2003-03-03 김락균 복대 겸용 척추 교정용 벨트
JP2008006229A (ja) * 2006-05-29 2008-01-17 Takeshi Ogawa 矯正具
US9241820B2 (en) 2010-12-16 2016-01-26 Richard A. Graham Pneumatic joint separator for lower body align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021B1 (en) 1993-07-28 1998-12-02 SANYO ELECTRIC Co., Ltd. Cassette loading device
KR200448745Y1 (ko) * 2008-06-05 2010-05-13 김상학 자세교정용 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905Y1 (ko) 2002-12-06 2003-03-03 김락균 복대 겸용 척추 교정용 벨트
JP2008006229A (ja) * 2006-05-29 2008-01-17 Takeshi Ogawa 矯正具
US9241820B2 (en) 2010-12-16 2016-01-26 Richard A. Graham Pneumatic joint separator for lower body alig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233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669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
KR101064031B1 (ko) 체형교정용 바지
US7758481B2 (en) Dynamic hip stabilizer
US9089403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s
US10085869B2 (en) Knee orthosis for treatment of PCL injury
US20200253291A1 (en) Wearable orthopedic device for lower body posture correction and improved ergonomics
JPH06285102A (ja) 弾性支持部材を有するヒンジ式整形外科用装具
CA2586249C (en) Knee brace having an adaptable thigh pad
US11857395B2 (en) Triple flexion device
JPWO2019159281A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EP2364131B1 (en) Brace for dynamically correcting the bending of the joints of the lower limb
US5172703A (en) Torsion control harness
KR102623750B1 (ko)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JP3923929B2 (ja) 運動用被服
JP6459692B2 (ja) 膝部を覆う着用物品
JP2016199820A (ja) 下肢用衣類
CN211067240U (zh) 一种足下垂矫正裤
US20220249268A1 (en) Knee orthosis
KR102100146B1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KR101975493B1 (ko)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KR200444532Y1 (ko)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
JP2005168532A (ja) 膝関節サポーター
CN219307071U (zh) 一种髋关节置换术后防脱位编织裤
CN211095040U (zh) 一种便于矫正腿型腿雕
KR102160635B1 (ko) 운동용 타이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