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241Y1 - 자세 교정 보조구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241Y1
KR200383241Y1 KR20-2005-0004505U KR20050004505U KR200383241Y1 KR 200383241 Y1 KR200383241 Y1 KR 200383241Y1 KR 20050004505 U KR20050004505 U KR 20050004505U KR 200383241 Y1 KR200383241 Y1 KR 200383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waist
belt
spine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실근
Original Assignee
류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실근 filed Critical 류실근
Priority to KR20-2005-0004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도록 하는 자세 교정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허리압박용 벨트(10)와; 상기 압박용 벨트와 연결됨으로써 신체의 등뒤에 고정되어 척추의 휨을 방지하는 척추 지지대(30)와; 지지대의 위측 끝단에서 좌,우상방향으로 연장된 신축성 있는 어깨끈부 벨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착용시 길이 조절과 착용이 용이하도록 결착부재(a ,b)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있어, 착용감이 우수한 상태로 허리와 어깨등을 효과적으로 압박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바른 자세에서 착용할 경우 그 자세가 유지되도록 압박을 받게 되어, 무의식중에 굽히거나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이와 같은 기구는 그 착용이 용이하고 신체를 움직이는데 불편함이 없어 일상생활에 전혀 불편함을 받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바른 자세를 가지는 습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보조구{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본 고안은 몸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도록 하는 자세 교정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허리압박용 벨트(10)와; 상기 압박용 벨트와 연결됨으로써 신체의 등뒤에 고정되어 척추의 휨을 방지 하는 척추 지지대(30)와; 척주 지지대(30)의 위측 끝단에서 좌,우상방향으로 연장된 신축성 있는 어깨끈부 벨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착용시 길이 조절과 착용이 용이하도록 결착부재(a, b)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있어, 착용감이 우수한 상태로 허리와 어깨등을 효과적으로 압박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바른 자세에서 착용할 경우 그 자세가 유지되도록 압박을 받게 되어, 무의식중에 굽히거나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른 자세. 즉, 척추를 앞으로 굽히지 않고 수직으로 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습관화되지 않으면, 편 상태의 바른 자세는 오히려 불편함을 준다. 그로 인해 대부분 척추를 구부리고 있는 잘못된 자세에서 생활하게 되고, 오랜 시간에 걸쳐 바르지 못한 자세로 앉아 있거나 하는 등의 잘못된 생활습관으로부터 요통과 그에 따르는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요통은 대게 척추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척추의 휨이 가장 큰 원인이 되며, 척추는 인간의 몸체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근본이 된다. 그러므로 요통 환자나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사람에게 있어 바른 자세는 더욱 필요시 되는 생활습관이다.
종래에는 자세 교정을 위한 기구 내지 장치는 의료기관에 설비하기에 적당한 규모와 구성으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므로 일반생활에 있어서는 장치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착용했을 경우,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 바른 자세에 대한 교정은 특정한 기간 또는 특정한 시간 동안만 이루어져서는 효과가 크지 못하다.
한편, 상태가 심한 요통 환자가 아닌 습관적으로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는 일반인에게 있어서는 하루아침에 그 습관을 교정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자세 교정을 위한 기구의 구조상 착용감이 좋지 못한 경우가 많아, 널리 상용화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일상생활 중에서도 항시 착용이 가능한 자세 교정 보조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자세 교정 보조구의 착용시 길이 조절과 착용이 용이하도록 결착부재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있어, 착용감이 우수한 상태로 허리와 어깨등을 효과적으로 압박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바른 자세에서 착용할 경우 그 자세가 유지되도록 압박을 받게 되어, 착용자로 하여금 심각한 요통의 치료보다는 자세를 바르게 하는 습관을 배양하도록 하기 위한 자세 교정보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허리압박용 벨트(10)와; 상기 압박용 벨트와 연결됨으로써 신체의 등뒤에 고정되어 척추의 휨을 방지하는 척추 지지대(30)와; 척추 지지대(30)의 위측 끝단에서 좌,우상방향(Y 형)으로 연장된 신축성 있는 어깨끈부 벨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착용시 길이 조절과 착용이 용이하도록 결착부재(a, b)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있어, 착용감이 우수한 상태로 허리와 어깨등을 효과적으로 압박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바른 자세에서 착용할 경우 그 자세가 유지되도록 압박을 받게 되어, 무의식중에 굽히거나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 보조구의 평면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먼저,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허리압박용 벨트(10)의 구성은, 허리압박용 벨트(10)의 양단측에 벨크로드 테이프로 되어진 결착부재(a, b)로 결착부재 후크부(a)와 결착부재 루프부(b)로 나누어져 있어, 허리의 사이즈 또는 압박정도에 따라 허리압박용 벨트(10)를 조절하여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허리압박용 벨트(10)의 상단부 중앙에 결착부재 루프부(b)가 있어,
신체의 등뒤에 고정되어 척추의 휨을 방지하는 척추 지지대(30)의 하단부에 결착부재 후크부(a)와 결합되도록 하여, 신장(키)의 길이에 따라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척추 지지대(30)의 위측 끝단에서 좌,우상방향(Y형)으로 연장된 신축성 있는 어깨끈부 벨트(20)를 형성하고 있으며, 어깨끈부 벨트(20)의 양단측에는 벨크로드 테이프로 되어진 결착부재(a, b)로 결착부재 후크부(a)와 결착부재 루프부(b)를 구성하고 있으며,
양단측의 벨트부가 신체의 어깨부위를 정면에서 감싸 안으면서(도 2 참조), 다시 후면의 등부위의 척추 지지대(30)에서 교차되어(도 3 참조), 다시 신체 정면의 복부중앙의 허리압박용 벨트(10)위에서 어깨끈부 벨트(20) 양단면측의 결착부재(a, b)의 결착부재 후크부(a)와 결착부재 루프부(b)가 허리의 사이즈 또는 압박정도에 따라 어깨끈부 벨트(20)를 조절하여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결합되어져(도 2 참조), 어깨 전체를 펴게하여 척추의 구부러짐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허리압박용 벨트(10) 착용시, 허리를 압박해주는 동시에 척추 지지대(30)와 연결되어, 지지대를 신체의 등부위에 밀착(도 3 참조) 시킨다.
또한, 척추지지대(30)에는 압박과 형태유지를 위한 탄력성 지지심(40)이 포함되며, 이는 척추를 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다시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착용자는 착용했을 때의 자세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척추를 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착용자는 이에 의해 압박을 받게 되어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고 습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한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종래와는 달리 인체 공학적 구조를 감안하여 신축성 재질의 벨트와 밸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조건에 따라 길이 조절과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착용 후 인체공학적으로 최적의 위치인 허리 또는 어깨등의 주변을 감싸도록 위치시켜서, 통풍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상태로 허리, 어깨 및 척추를 효과적으로 압박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어깨의 양면부위에서 효과적으로 지탱(압박)되도록 구성하므로 인해 척추의 지지를 원활하게 할뿐만 아니라 어깨 및 척추의 통증완화와 피로회복 등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는 무의식 중에서도 바른자세를 유지될 수 있게 압박을 받게 되며, 그 착용이 용이하고 활동에 제약이 없어,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바른 자세를 취하는 습관을 가지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 보조구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 보조구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 보조구를 착용한 상태의 후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본 고안의 자세 교정 보조구
a : 결착부재 후크부 b : 결착부재 루프부
10 : 허리압박용 벨트 20 : 어깨끈부 벨트
30 : 척추 지지대 40 : 지지심

Claims (3)

  1. 자세 교정 보조구에 있어서,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허리압박용 벨트(10)와;
    상기 압박용 벨트와 연결됨으로써 신체의 등뒤에 고정되어 척추의 휨을 방지하는 척추 지지대(30)와;
    척추 지지대(30)의 위측 끝단에서 좌,우상방향(Y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어깨끈부 벨트(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어깨끈부 벨트(20)의 양단측, 척추 지지대(30)의 하단부, 허리압박용 벨트(10)의 양단측과 상단부 중앙에 결착부재(a, b)인 결착부재 후크부(a)와 결착부재 루프부(b)에 의해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보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척추 지지대(30)는 압박과 형태유지를 위한 탄력성 지지심(4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보조구.
KR20-2005-0004505U 2005-02-14 2005-02-14 자세 교정 보조구 KR200383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505U KR200383241Y1 (ko) 2005-02-14 2005-02-14 자세 교정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505U KR200383241Y1 (ko) 2005-02-14 2005-02-14 자세 교정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241Y1 true KR200383241Y1 (ko) 2005-05-03

Family

ID=4368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505U KR200383241Y1 (ko) 2005-02-14 2005-02-14 자세 교정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2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41B1 (ko) 2007-03-26 2007-06-19 이용곤 좌선용 자세 교정기
KR20190027825A (ko) * 2016-07-20 2019-03-15 유피아르 가부시키가이샤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GB2619398A (en) * 2022-04-01 2023-12-06 Campbell Colm Device for supporting the spine of a user and improving pos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41B1 (ko) 2007-03-26 2007-06-19 이용곤 좌선용 자세 교정기
KR20190027825A (ko) * 2016-07-20 2019-03-15 유피아르 가부시키가이샤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KR102257797B1 (ko) 2016-07-20 2021-05-28 유피아르 가부시키가이샤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GB2619398A (en) * 2022-04-01 2023-12-06 Campbell Colm Device for supporting the spine of a user and improving pos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334B1 (en) Orthopedic pillows
KR101690957B1 (ko)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개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US20080004556A1 (en) Multifunctional neck brace
KR100961620B1 (ko) 가슴받침대를 구비한 안면베개
US20210007876A1 (en) Neck collar
KR200383241Y1 (ko) 자세 교정 보조구
KR102183964B1 (ko) 허리 보호 벨트
US20210212483A1 (en) Pillow supporting alternate regions of a user's hea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ser's recumbent position
CN211131579U (zh) 一种用于脊柱外科的定位绑定装置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GB2495972A (en) A neck brace holding a TENS unit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JP3144164U (ja) 鼻補正器具
CN201179130Y (zh) 防治颈椎病的生理枕
CN217908116U (zh) 一种肩锁关节脱位固定支具
KR200305903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KR200308940Y1 (ko) 경추베개
CN217310959U (zh) 一种整脊理疗床
KR200216334Y1 (ko) 자세교정구
CN219323296U (zh) 午睡枕
CN216257711U (zh) 一种轻型颈托
CN215229576U (zh) 一种适用于卧床患者的头部固定装置
KR102190685B1 (ko) 척추 교정벨트
CN211187689U (zh) 多功能支撑型护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