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431B1 -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431B1 KR102248431B1 KR1020187030986A KR20187030986A KR102248431B1 KR 102248431 B1 KR102248431 B1 KR 102248431B1 KR 1020187030986 A KR1020187030986 A KR 1020187030986A KR 20187030986 A KR20187030986 A KR 20187030986A KR 102248431 B1 KR102248431 B1 KR 1022484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anchor
- self
- bracket
- concrete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인양 유닛(12)을 구비한 자체-인양 시스템 (10)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인양 브래킷(26) 및 작업 브래킷(20)이 각각 그들의 상대 위치에 관하여 그들의 패턴으로 서로 대응하는 앵커 리셉터클을 갖고, 그 결과, 앵커 구멍(32)을 자유롭게 해제한 후에,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의 앵커 지점(34, 36, 38)의 작업 브래킷(28)에 의해 사용되며, 인양 브래킷(26)은 앵커 지점(34, 36, 38)의 이들 해제된 앵커 구멍(32)에 정확하게 앵커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체-인양 시스템(10)용의 자체-인양 유닛(12)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12)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18)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체-인양 시스템(self-climbing system),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에서, 자체-인양 유닛이, 예컨대, 자체-인양 거푸집(self-climbing shuttering) 및/또는 자체-인양 보호 스크린으로서 그리고/또는 자체-인양 비계 유닛(self-climbing scaffolding unit)의 형태로, 특히 소위 빌딩 코어, 교량, 유지 벽 등의 수직으로 배향된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건설 시에 사용된다. 자체-인양 유닛에는 통상 작업 플랫폼이 제공되고, 해당 자체-인양 유닛은 작성되거나 마감될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하부의 마무리된 콘크리트 벽 구획부(concrete wall section)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의 추가의 더 높이 위치된 굳어진 추가의 콘크리트 구획부로 크레인 없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인양 또는 이동 동작을 위하여, 통상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리프팅 실린더 또는 소위 인양 실린더(climbing cylinder)가 이용된다. 인양 실린더는, 소위 인양 브래킷 상에 지지되고, 이는 콘크리트 빌딩 요소의 하부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앵커 지점(anchor point)에서 해제 가능하게 앵커링된다. 작업 플랫폼, 그리고 필요 시, 거푸집 작용을 위하여 사용될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는 소위 작업 브래킷 상에 그 자체가 고정되거나 지지된다. 작업 브래킷은 콘크리트 빌딩 요소 상에서 인양 브래킷 위쪽에 앵커링된다. 인양 과정 동안, 작업 브래킷은 먼저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인양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쪽으로 이동되고,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앵커 지점에서 앵커링된다. 마지막으로, 인양 브래킷은 인양 실린더에 의해서 인양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향으로 당겨질 수 있고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의 추가의 앵커 지점에 앵커링될 수 있다.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이 수직으로 배향되면, 인양 방향은 수직으로, 즉, 수직 방향과 일치한다. 적어도 단면에서, 댐(유지 벽)의 경우에서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건축될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경우에, 이에 따라서 인양 방향은 물론 수직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다.
콘크리트 구획부에서 작업 브래킷 및 인양 브래킷을 앵커링 하기 위한 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앵커 볼트가 사용된다. 앵커 볼트는 통상 볼트의 형태이다. 앵커 지점은 콘크리트 빌딩 요소의 각각의 콘크리트 구획부에서 콘크리트로 매립된 콘크리트 벽 앵커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벽 앵커는 정확하게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콘크리트 벽 구획부에 배열되어야만 하고, 따라서 거기에 매립될 철근(reinforcement steel)과 자주 충돌한다. 철근은 따라서 어느 정도 앵커 지점 부근으로 장황하게 안내되어야 하거나 또는 가능하게는 이들이 콘크리트 처리되기 전에 앵커 지점의 영역에서 제거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특히 다수의 앵커 지점을 가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구조적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동시에, 앵커 지점, 따라서 콘크리트 벽 앵커의 개수는 비용의 이유로 가능한 한 적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 적은 재료 및 설치 비용을 요구하고 자체-인양 유닛을 위한 앵커 지점에 의해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보강의 구조적 약화의 위험이 저감되는, 자체-인양 시스템 및 자체-인양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체-인양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간단화되고 더 적은 시간-소모적인 방법이 특정되어야 한다.
자체-인양 시스템과 관련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특정된 특징부를 갖는 자체-인양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고, 자체-인양 유닛과 관련된 목적은 청구항 제13항에 따른 자체-인양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항 제14항에 특정된 특징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인양 시스템은 인양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적층 방식으로 배열된 제1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와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를 포함한다. 자체-인양 시스템은, 하기를 포함하는 자체-인양 유닛을 포함한다:
- 앵커 볼트용의 제1 앵커 리셉터클(anchor receptacle)을 각각 구비한 인양 브래킷으로서, 앵커 볼트에 의해서 인양 브래킷이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1 앵커 지점 또는 앵커 부위의 앵커 구멍에 해제 가능하게 앵커링될 수 있는, 상기 인양 브래킷;
- 앵커 볼트용의 제2 앵커 리셉터클을 구비한 작업 브래킷(working bracket)으로서, 앵커 볼트에 의해 작업 브래킷이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의 앵커 구멍에 해제 가능하게 앵커링될 수 있되, 각 경우에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상기 제1 앵커 지점 중 하나와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 중 하나가 수직 또는 인양 방향으로 서로 정렬된 쌍으로 배열되는, 상기 작업 브래킷;
- 작업 브래킷에 부착 가능한 작업 플랫폼;
- 일단부에서 인양 브래킷 중 하나에 그리고 타단부에서 작업 브래킷 중 하나에 체결되는 인양 실린더로서, 이에 의해서 작업 브래킷이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3 앵커 지점으로 이동 가능하여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 위쪽에서 수직/인양 방향으로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에 맞닿는, 상기 인양 실린더.
본 발명에 따르면, 인양 브래킷의 제1 앵커 리셉터클과 작업 브래킷의 제2 앵커 리셉터클이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 관하여, 특히 그들의 길이방향 축 또는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는 중앙 길이방향 평면에 관하여 서로 그들의 패턴이 일치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인양 브래킷은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3 앵커 지점의 앵커 구멍에서 작업 브래킷을 앵커링한 후에, 인양 실린더의 복귀 행정 운동을 통해서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으로 앵커링될 수 있고 그리고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의 (한편으로) 해제된 앵커 구멍 내로 앵커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인양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에 있어서, 앵커 지점의 적어도 일부의 앵커 구멍은 작업 브래킷과 인양 브래킷 둘 다를 앵커링하는데 사용된다. 그 결과,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각각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에서 자체-인양 유닛을 앵커링하는데 요구되는 앵커 지점 또는 앵커 구멍의 개수는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자체-인양 시스템 또는 자체-인양 유닛과 비교해서 상당히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앵커 지점 또는 앵커 구멍의 개수는 절반으로 또는 거의 절반으로 될 수 있다. 건설될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각각의 최하부 콘크리트 벽 구획부에 대해서만, 인양 브래킷 및 작업 브래킷을 요구하는 별도의 앵커 지점 또는 앵커 구멍이 있다. 콘크리트 벽 구획부 내 앵커 지점의 영역 내로 콘크리트 벽 앵커를 가져가는데 요구되는 재료 및 시간이 더욱 저감된다. 이것은 비용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자체-인양 시스템뿐만 아니라 자체-인양 유닛의 설치 비용이 저감되고 가속된다. 인양 실린더는 자체-인양 거푸집의 층마다 재배치를 허용하며, 여기서 개별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는 균일한 또는 상이한 바닥 높이(floor height), 즉, 층고를 지닐 수 있다. 외부 리프팅 디바이스, 예컨대, 크레인이 인양 방향으로 그리고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자체-인용 유닛의 움직임을 위하여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인양 유닛의 설치 비용은, 인양 브래킷 및 작업 브래킷 각각이 (오로지) 2개의 앵커 리셉터클을 갖고 각 앵커 지점이 각 앵커 볼트에 대해서 오로지 2개의 대응하는 앵커 구멍만을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그 결과, 앵커 지점에 의한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에의 구조적 약화 또는 손상 위험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앵커 지점과 충돌할 수 있는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내에 도입되는 보강물에 관하여 계획 지출이 저감될 수 있다.
자체-인양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는 작업 브래킷들에 의해 운반되거나 이들 브래킷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는 수직 방향으로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연속적인, 특히 층간 확장을 허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주택의 빌딩 코어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은 자체-인양 유닛을 이용해서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작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브래킷은 자체-인양 유닛의 작동 동안 수직 또는 인양 방향으로 작업 브래킷으로부터 적어도 단면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지지 기둥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지지 기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인양 실린더 중 하나에 대해서 복수개의 부착 지점을 갖는다. 그 결과, 인양 실린더는 미세한 등급으로 지지 기둥에 부착(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는, 지지 기둥에 부착, 특히 현수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은 층 높이와 큰 층 높이 둘 다 생성될 수 있다.
지지 기둥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의 전개에 따라서 중공 프로파일로서 설계된다. 이것은 자체-인양 유닛의 중량이 최소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게다가, 지지 기둥은 인양 실린더에 대해서 보호 케이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인양 실린더가 각각 지지 기둥 중 하나에 연장될 경우, 이들은 기계적 손상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새로운 콘크리트에 의한 과도한 오염에 대해서 어떠한 추가적인 비용 없이 보호된다.
간단화된 부착, 특히 지지 기둥에 인양 실린더의 간단화된 볼트 부착을 위하여,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작은) 축방향 유격을 가진 채 인양 브래킷에 부착된다. 축방향 유격은 특히 최대 15 밀리미터일 수 있다.
리프팅 또는 인양 실린더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유압 실린더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는 내구성이 있고 제조하기에 저렴하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자체-인양 유닛을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을 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유압 실린더는 자체-인양 유닛의 민감한, 비교적 조용한, 따라서 신속한 이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위 기저 플랫폼은 작업 플랫폼 아래쪽의 영역에서 작업하기 위하여 또는 안전 상의 이유로 인양 브래킷 상에 체결 또는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인양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유압식 펌핑 디바이스(hydraulic pumping device)에는 제어 디바이스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서 동기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유압식 펌핑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펌핑 유닛 또는 펌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펌핑 유닛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각각의 유체 밸브를 통해서 인양 실린더의 하나 이상에 접속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각 유압 실런더에 대해서, 유압 실린더로/로부터 유압 매질의 각각의 용적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한다. 용적 유량을 기반으로, 제어 디바이스는 최소 비용으로 정확하게 동기화된 방식으로 개별의 유압 인양 실린더의 (조절) 속도 또는 실제 연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각 인양 실린더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검출된 유압 매질의 용적 유량을 기반으로, 각 인양 실린더는, 인양 실린더가 그들의 작동 동안 서로 정확하게 동기해서 조절(연장/인입)되는 방식으로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물론, 건설 산업에서 사용되는 인양 실린더는 불가피한 제작 공차를 겪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인양 실린더의 용적-유동-기반 제어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단위당 유압 매질의 용적 유량과 인양 실린더의 길이 조절 간의 의존성에 대한 특징적인 곡선이 각 인양 실린더에 대해서 제어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특징은, 예를 들어, 표 값으로서 또는 분석 함수로서 전자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인양 실린더의 각각의 특징적인 곡선은, 필요 시, 특히 실험적으로, 인양 실린더의 동작 동안 대안적인 시간/거리 측정(레이저에 의한 또는 광 장벽 시스템에 의한 스케일/거리 측정)을 사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를 구비한 자체-인양 거푸집 유닛으로서 또는 자체-인양 비계 유닛으로서 설계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자체-인양 유닛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앵커 볼트에 의해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1 앵커 지점의 앵커 구멍에 인양 브래킷을 앵커링시키는 단계(여기서 앵커 볼트는 인양 브래킷의 제1 앵커 리셉터클에 맞물림);
b. 앵커 볼트에 의해서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의 앵커 구멍에 작업 브래킷을 앵커링시키는 단계(여기서, 앵커 볼트는 작업 브래킷의 제2 앵커 리셉터클에 맞물리며, 이에 따라서 제1 앵커 지점과 제2 앵커 지점은 인양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적층하여 쌍으로 배열됨);
c.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으로부터 작업 브래킷을 해제시키는 단계;
d. 각각 인양 브래킷 중 하나에 그리고 작업 브래킷 중 하나에 부착된 인양 실린더에 의해서 작업 브래킷을 제2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3 앵커 지점으로 상승시키고, 앵커 볼트에 의해서 각각의 제3 앵커 지점의 앵커 구멍에 작업 브래킷을 앵커링시키는 단계;
e. 인양 실린더에 의해 인양 브래킷을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상승시키고 인양 브래킷을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으로 수직 또는 인양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및
f. 앵커 볼트에 의해서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2 앵커 지점의 해제된 앵커 구멍에 인양 브래킷을 앵커링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위에서 기재된 자체-인양 유닛의 사용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 이해된다. 인양 과정, 즉,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을 따라서 수직 또는 인양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전체로서 더 적은 재료, 설치 및 인건비로 수행될 수 있다. 동시에, 마무리된 또는 아직 세워지지 않은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각각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에서의 요구되는 앵커 지점의 개수와,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관련된 구조적 약화의 위험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의 진보에 따르면, 자체-인양 유닛은 콘크리트 벽 거푸집 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수직 또는 인양 방향으로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 위쪽에서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와 맞닿는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가 상기 단계 d)와 단계 e) 사이에서 생성된다. 이 경우에, 자체-인양 유닛은 따라서 자체-인양 거푸집 유닛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자체-인양 유닛을 구비한 자체-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인양 브래킷과 작업 브래킷은 각각 상대적인 위치에 관하여 그들의 패턴이 서로 대응하는 앵커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그 결과,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앵커 지점의 작업 브래킷에 의해 사용되는 앵커 구멍의 해제 후에, 인양 브래킷은 앵커 지점의 이들 해제된 또는 이용 가능한 앵커 구멍에 정확하게 앵커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자체-인양 시스템용의 자체-인양 유닛 및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여러 개의 인양 브래킷과 작업 브래킷 및 작업 플랫폼을 구비한 자체-인양 유닛을 갖는 자체-인양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자체-인양 유닛은 여러 개의 인양 실린더에 의해서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수직 또는 인양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인양 브래킷은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작업 브래킷의 해제된 앵커 지점의 각각에 앵커링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의 작업 브래킷의 지지 기둥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의 인양 브래킷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인양 브래킷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의 작업 브래킷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작업 브래킷의 정면도;
도 7은 인양 브래킷 및 작업 브래킷을 구비한 도 1의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를 매우 개략적으로 제시하는 정면도;
도 8은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 작업 브래킷을 상승 및 재-앵커링한 후의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자체-인양 유닛의 완전한 층간 이동 후의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자체-인양 유닛의 블록도; 및
도 11은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개략적 도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의 작업 브래킷의 지지 기둥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의 인양 브래킷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인양 브래킷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의 작업 브래킷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작업 브래킷의 정면도;
도 7은 인양 브래킷 및 작업 브래킷을 구비한 도 1의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를 매우 개략적으로 제시하는 정면도;
도 8은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 작업 브래킷을 상승 및 재-앵커링한 후의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자체-인양 유닛의 완전한 층간 이동 후의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자체-인양 유닛의 블록도; 및
도 11은 도 1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개략적 도해도.
도 1은 이 경우에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의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에 그리고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에 앵커링된 자체-인양 유닛(12)을 구비한 자체-인양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와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는, 예를 들어, 이 경우에 수직 방향과 일치하는 인양 방향(20)에서 적층 형식으로 배열된다. 유지 벽 등의 건축의 경우에서와 같이, 관련된 인양 방향(20)은 수직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은 새로운 콘크리트 작업에서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상향 적층식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인양 방향(20)으로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와 인접하여 건축될 구조물(18)의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는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 위쪽에 도시되어 있다.
단,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2)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는 각각 균일한 또는 그 밖에 각각 상이한 (층) 높이(24)를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18)은, 특히,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빌딩의 후속의 수직 이송 또는 기술적 기반시설에 사용되는 소위 빌딩 또는 기반시설 코어일 수 있다. 이러한 기반시설 코어는 통상 빌딩의 정적 골격을 나타내고, 특히 빌딩의 천정용의 지지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은 기본적으로 다각형, 특히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유형 단면이 또한 상정 가능하다. 빌딩 코어로서 기능하는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의 경우에, 각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2개의 벽 세그먼트를 구비하거나 또는 그의 변 중 3 또는 4개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자체-인양 유닛은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 상의 모든 변에 가이드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자체-인양 유닛(12)은 도 1에 따르면 몇 개의 소위 인양 브래킷(26) 및 몇 개의 소위 작업 브래킷(28)을 포함한다. 인양 브래킷(26)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설계로 되어 있다. 작업 브래킷(28)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동일한 설계로 되어 있다. 인양 브래킷과 작업 브래킷은 그들의 상이한 기능으로 인해 상이한 설계를 지닐 수도 있다.
인양 브래킷(26)은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1 앵커 지점(34)의 앵커 구멍(32)에 앵커 볼트(30)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앵커링된다. 작업 브래킷(28)은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의 앵커 구멍(32)에 앵커 볼트(30)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앵커링된다.
2개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의 제1 및 제2 앵커 지점(34, 36)은 적층 방식으로 서로 쌍으로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그들의 앵커 구멍(32)과 함께 배열되고 서로 정렬된다. 각 경우에,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의 제3 앵커 지점(38)은 제1 및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의 제1 앵커 지점(34) 중 하나 그리고 제2 앵커 지점(36) 중 하나에 인양/수직 방향(20)으로 그의 앵커 구멍(32)과 정렬되어 배열된다.
자체-인양 유닛은 작업 브래킷(26) 상에 부착되고 지지된 접근 가능한 제1 작업 플랫폼(40)을 포함한다. 플랫폼(40)은 또한 소위 "레벨 0"으로서 건설 분야에서 지칭된다.
자체-인양 유닛(12)은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를 따라서 수직 방향(20)으로 크레인의 사용 없이 몇 개의 인양 실린더(42)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인양 실린더(42)는 특히 유압 실린더로서 설계될 수 있고, 이어서 통상의 방식으로 각각 실린더(44)와, 실린더(44)로부터 유압식으로 연장되거나 실린더(44) 내로 인입될 수 있는, 실린더(44) 내로 안내되는 유체-작동식 피스톤(46)을 구비한다.
인양 실린더(42)는, 일단부에서 작업 브래킷(28) 중 하나에 그리고 타단부에서, 이 경우에 그의 피스톤(46)의 자유 단부에, 그 밑에 배열된 인양 브래킷(26) 중 하나에 부착된다.
소위 기저 플랫폼(48)은 인양 브래킷(26)에 부착될 수 있다. 기저 플랫폼(48)은 점선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 기둥(50)은 작업 브래킷(28)의 각각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지 기둥(5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단면에서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관련된 작업 브래킷(28)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프레임(52)은 지지 기둥(50)의 상단부에 부착된다. 지지 프레임(52)은 상호 접속된 복수개의 크로스빔(54)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52)은 이의 형상 및 이의 설계에 있어서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수직 방향(20)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가로축(56)의 방향에서, 지지 프레임(52)은 제1 및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위로 방사상 방향으로 갤로스(gallows)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자체-인양 유닛(12)은 자체-인양 거푸집으로서 설계되고 복수개의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58a, 58b)를 구비한다.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에 의해서,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는 새로운 콘크리트 주조 방법에 의해 작성되었다. 거푸집 요소(58)는 지지 기둥(52)에 부착되고, 특히 그 지지 기둥에 현수될 수 있다. 각 경우에, 2개의 거푸집 요소(58a, 58b)는 방사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다. 거푸집 요소(58a, 58b)는 바람직하게는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 위쪽의 인양 방향(20)으로 생성될 콘크리트 벽 구획부를 거푸집하고 완료 후에 재차 거푸집을 스트리핑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자체-인양 유닛(12)의 지지 프레임(52) 상에 가로축(56)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거푸집 요소(58a, 58b)의 변위 가능한 장착으로 인해, 상이한 벽 두께(= 벽 강도)가 최소 비용으로 각각의 콘크리트 구획부에 설정될 수 있다.
작업 플랫폼(60)은 지지 프레임(52) 상에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플랫폼(60)은 작업 플랫폼(40) 위쪽의 자체-인양 유닛(12)의 작동적 사용 시 배열된다. 이 작업 플랫폼은 "레벨 +1"로서 건설 분야에서 통상 지칭된다. 작업 플랫폼(60)은 바람직하게는 거푸집 요소(58a, 58b) 사이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도입하기 위한 관통-구멍(= 배출 개구)(62)을 갖는다. 배출 개구(62)는 필요 시 폐쇄될 수 있다. 작업 플랫폼(60)은 낙하 보호를 위하여 레일링(64)에 의해 가장자리 측면 상에 제공된다. 지지 프레임(52)은 작업 브래킷(28)에 추가의 지지 받침대(6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중량 상의 이유로, 지지 기둥(50)은 각각 중공 프로파일로서 설계되고, 수직 방향(20)으로 각각의 작업 브래킷(28)의 작업 플랫폼 시트(68)로부터 하향 및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자체-인양 유닛(12)에서, 인양 실린더(42)는 각각 지지 기둥(50) 중 하나에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지지 칼럼(50)은 인양 실린더(42)의 보호 케이지로서 역할한다. 따라서, 인양 실린더(42)는 오염으로부터 또는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손상에 대해서 대체로 보호된다.
작업 브래킷(28)은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의 제3 콘크리트 벽 부분(22)의 제3 앵커 지점(38)으로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의 인양 방향(20)으로 인양 실린더(42)의 동기화된 공급 움직임에 의해서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의 완료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 1로부터의 자체-인양 유닛(12)의 지지 기둥(50) 중 하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기둥(50)은 지지 기둥(50)을 따라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인양 실린더(42)용의 복수개의 부착 지점(70)을 구비한다. 인양 실린더(42)용의 지지 기둥(50)의 부착 지점(70)은 지지 기둥의 적어도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측면 상에 관통-개구(혹은 관통-구멍)(72)를 포함한다. 관통-구멍(72)은 방사상 방향으로 쌍으로 서로에 대해서 정렬하여 배열된다. 인양 실린더(42)는 관통-구멍(72)을 통해서 지지 기둥(50)에 볼트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지지 기둥(50) 상에 축방향으로 적소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인양 실린더(42)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인양 브래킷에 각각 작은 축방향 간극(0.5㎝ 내지 2㎝)을 두고 부착되므로, 각각의 지지 기둥(50)의 각각의 부착 지점(70)에서의 인양 실린더(42)는 더 용이하게 적층/볼트로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로부터의 자체-인양 유닛(12)의 인양 브래킷(26)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노출된 측면도로 도시하고 그리고 도 4에서는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인양 브래킷(26)은 상부벽 슈 구획부(upper wall shoe section)(74) 및 하부 지지 부분(76)을 구비하고, 각각은 각각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에 대해서 접촉면(78)(즉, 그의 수직 관찰면)을 갖는다. 벽 슈 구획부(74)는 각각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 중 하나에 인양 브래킷(26)을 앵커링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구획부(76)는 본질적으로 각각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 상의 작업 브래킷(28)의 수평으로 지향된 지지부로서 역할한다. 벽 슈 구획부(74) 및 지지 구획부(76)는 길이방향 프로파일(80)을 통해서 상호 접속된다. 캔틸레버 빔(82)은 기저 플랫폼 또는 인양 실린더를 부착하는데 사용된다(도 1).
인양 브래킷(26)은 앵커 볼트(30)용의 2개의 제1 앵커 리셉터클(84a)을 구비한다(도 1). 제1 앵커 리셉터클(84a)은 각각 벽 슈 구획부(74)의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앵커 리셉터클(82)은 브래킷 길이방향 축(86)에 직교하여 뻗고 거리(90)에서 이로부터 이격된 가로축(88) 상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다. 2개의 제1 앵커 리셉터클(84a)은 여기에서 접촉면(78)에 직교하여 배향되고 브래킷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는 인양 브래킷(26)의 길이방향 중심 평면(92)에 관하여 거울 대칭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수직으로 배향되는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 중 하나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인양 브래킷(26)(도 1)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그의 브래킷 길이방향 축(84)과 수직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다. 그 결과, 가로축(88)은 수평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인양 브래킷(26)의 설치된 상태에서 배열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체-인양 유닛(12)의 작업 브래킷(28)의 노출된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에서는 단면도(end view)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인양 브래킷(26)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작업 브래킷(28)은 상부벽 슈 구획부(74) 및 하부 지지 구획부(76)를 구비하며, 이들에는 각각 각각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에 대해서 접촉면(78)(즉, 그의 수직 관찰면)이 제공된다. 벽 슈 구획부(74)와 지지 구획부(76)는 예로서 2개의 길이방향 프로파일(80)을 통해서 순수하게 서로 접속된다. 캔틸레버 빔(82)은 지지 기둥(50) 중 하나 또는 작업 플랫폼(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1).
작업 브래킷(28)은, 작업 브래킷(26)과 유사하게, 앵커 볼트(30)에 대해서 2개의 제2 앵커 리셉터클(84b)을 구비한다 (도 1). 제2 앵커 리셉터클(84b)은 브래킷 길이방향 축(86)에 직교하여 뻗는 인양 브래킷(26)의 가로축(88) 상에 서로로부터 거리(90)에서 배열된다. 2개의 제2 앵커 리셉터클(84b)은 인양 브래킷(26)의 접촉면(78)에 직교하여 배향되고 브래킷 길이방향 축(86)을 포함하는 인양 브래킷(26)의 길이방향 축(92)에 관하여 거울-대칭으로 배열된다. 작업 브래킷(28)은 인양 방향(20)의 방향으로 이 경우에 수직으로 또는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는 브래킷 길이방향 축(86)을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 중 하나 상에 조립된 상태로 구비한다. 그 결과, 가로축(88)은 인양 브래킷(26)의 설치 상태에서 수평으로 또는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다.
작업 브래킷(28)의 제2 앵커 리셉터클(84b)과 인양 브래킷(26)의 제1 앵커 리셉터클(84a)은 각각의 벽 슈 부분 상의 그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하여 그들의 패턴이 서로 대응한다.
도 7에서,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의 제1 및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및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가 인양 브래킷(26) 및 작업 브래킷(28)과 함께 그의 완료(경화) 후에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다. 인양 브래킷(26) 및 작업 브래킷(28)은 매우 개략적으로 제공된다.
각각 서로 적층 방식으로 위치된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의 앵커 지점(34, 36, 38)은, 각각 벽 슈 부분(74) 상의 인양 브래킷(26) 및 작업 브래킷(28)의 앵커 리셉터클(84a, 84b)의 상대적 위치에 관해서 뿐만 아니라 그들의 상대적 위치에 관하여 그들의 패턴이 서로 대응하는 작업 브래킷(28) 및 인양 브래킷(26)의 앵커 리셉터클(84a, 84b)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앵커 볼트(30)에 대해서 2개의 앵커 구멍(32)을 갖는다.
따라서, 각 경우에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앵커 지점(34)의 하나의 앵커 구멍(32),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2 앵커 지점(36)의 하나의 앵커 구멍(32) 및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의 제3 앵커 지점(38)의 하나의 앵커 구멍(32) 그리고 인양 방향(20)에서 임의의 추가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각각 추가의 위에 놓인 앵커 지점의 하나의 앵커 구멍은 서로 정렬된다.
그 결과, 인양 실린더(42)의 복귀 행정 운동(= 실린더(44) 내로 피스톤(46)의 인입)에 의해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제3 앵커 지점(38)의 앵커 구멍(32)으로 상승된 후에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1 앵커 지점(34)에 앵커링된 인양 브래킷(26)은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으로 이동되고 해제되어 있는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2)의 앵커 구멍(32)에 앵커링된다.
도 8 및 도 9에서, 도 1로부터의 자체-인양 유닛은 인양 또는 이동 과정의 두 연속적인 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따르면, 작업 브래킷(28)은 그들의 앵커링으로부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으로 해제되어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인양 실린더(42)의 공급 이동에 의해서 마무리된(굳은)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의 제3 앵커 지점(38)으로 상향으로 이동되었다. 작업 브래킷(28)은 제3 앵커 지점(38)의 앵커 구멍(32)에 앵커 볼트(30)에 의해서 앵커링된다. 인양 실린더는,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두 전체 층 높이(24)를 가로지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따라서 인양 실린더의 대응하는 정적 설계는 필수적이다.
도 9에서의 자체-인양 시스템의 예시도에 따르면, 인양 브래킷(26)은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1 앵커 지점(34)의 앵커 구멍(30)에 그들의 앵커링으로부터 해제되고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으로 인양 실린더(42)의 복귀 행정 운동에 의해 이동되었다. 인양 브래킷(26)은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의 해제된 앵커 구멍(30)에 앵커링되고 각각 2개의 앵커 볼트(30)를 구비하며, 이들 앵커 볼트는 인양 브래킷(26)의 제1 앵커 리셉터클(84a)과 맞물린다. 이어서 자체-인양 유닛(12)의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58a, 58b)는 인양 방향(20)으로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 위쪽에서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와 직접 이웃하는 추가의, 본 명세서에서의 제4 콘크리트 벽 구획부를 둘러싸기 위하여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인양 시스템에서, 서로 적층되어 위치결정된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앵커 지점의 동일 앵커 구멍은 따라서 작업 브래킷에 대해서 그리고 인양 브래킷에 대해서 교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위에서 설명된 자체-인양 유닛(12)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인양 실린더(42)는 각각 복수의 유압 라인(94)을 통해서 유압식 펌핑 디바이스(96)에 접속된다. 유압식 펌핑 디바이스는 유압식 펌핑 디바이스(96)의 개별의 폄핑 유닛(99)(펌프)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98)를 구비한다. 각 펌핑 유닛(99)은 인양 실린더(42), 또는 필요시 복수개의 인양 실린더(42)의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펌핑 유닛(99)은 후자의 경우에 펌핑 유닛(99)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접속된 각 인양 실린더(42)에 대해서 제어 디바이스(98)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밸브(f)를 갖는 것이 이해된다. 그 결과, 이 경우에도, 유압 매질의 용적 유량은 각 개별적인 인양 실린더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수십개의 도시된 인양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는 자체-인양 유닛(12)의 움직임 동안에, 작업 브래킷(28)은, 각각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16, 22)의 각각의 앵커 지점(34, 36, 38)의 미리 결정된 앵커 구멍(32)의 앞쪽에서 가능한 한 정확하게 그들의 제2 앵커 리셉터클(84b)과 또는 인양 브래킷(16)은 그들의 제1 앵커 리셉터클(84a) 전체와 위치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100)는 인양 실린더(42)의 작동용의 유압 매질의 각각의 용적 유량(102)을 검출하기 위하여 각 인양 실린더(42)에 대해서 센서(100)를 가질 수 있다. 센서(100)는 또한 (98)로 지칭된 제어 디바이스의 하우징에 배열될 수 있다. 유압 매질의 개별적으로 검출된 용적 유량에 기초하여, 각 유압 실린더(42)는 제어 디바이스(98)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인양 실린더는 그들의 작동 동안 서로 정확하게 동기해서 이동(연장/인입)된다. 자체-인양 유닛(12)의 인양 실린더(42)는 당연히 불가피한 제작 공차를 겪고 그리고 다양한 정도의 마모 및 인열을 겪게 된다. 제어 디바이스(98)에서, 각각의 인양 실린더(42)에 대해서, 개별적인 특징 곡선(104)이 따라서 단위시간당 유압 매질의 용적 유량과 인양 실린더(42)의 관련된 작동 길이 조절 간의 의존도에 대해서 저장될 수 있다. 특징 곡선(104)은 예를 들어 표 값으로서 또는 분석 함수로서 전자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98)는 특징 곡선(104)을 저장하기 위한 적합한 저장 매체(106)뿐만 아니라 CPU(도시 생략)을 가져야 하는 것이 이해된다.
위에서 설명된 자체-인양 유닛(12)은 자체-인양 거푸집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자체-인양 유닛(12)은 또한 도시된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58a, 58b) 없이, 즉, 자체-인양 비계 유닛의 형태로 건설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18)은, 예를 들어, 그의 원래 건축 상태에서, 마무리된 빌딩 코어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자체-인양 유닛(12)을 이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200)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할 것이다. 제1 단계 202에서, 인양 브래킷(26)은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1 앵커 지점(34)의 앵커 구멍(32)에 앵커 볼트(30)에 의해서 앵커링된다.
각 앵커 볼트(30)는 인양 브래킷(26)의 제2 앵커 리셉터클(84b) 중 하나에 맞물린다.
추가의 단계 204에서, 작업 브래킷(28)은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의 앵커 구멍(32)에 앵커 볼트(30)에 의해 앵커링된다. 각 경우에 앵커 볼트(30)는 도 6에 도시된 작업 브래킷(28)의 앵커 리셉터클(84b) 중 하나에 맞물린다.
추가의 단계 206에서, 인양 실린더(42)는 인양 방향(20)으로, 그리고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또한 이것이 아직 행해지지 않은 경우, 서로 수직 방향으로 쌍으로 배열된 인양 브래킷 및 작업 브래킷(26, 28)의 각각에 부착된다. 인양 실린더(42)는 바람직하게는 위쪽으로부터 각각의 작업 브래킷(28)의 지지 기둥(50)으로 삽입된다.
추가의 단계 208에서, 작업 플랫폼(40) 및/또는 작업 플랫폼(60)은 작업 브래킷(28)에 부착된다.
추가의 선택적 단계 210에서, 구축될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는 자체-인양 유닛의 거푸집 요소로 거푸집되고 이어서 새로운 콘크리트 방식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자체-인양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업 브래킷(28)은 제2 앵커 지점(36)의 앵커 구멍(30)으로부터 제거되는 각각의 앵커 볼트(30)에 의해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으로부터 추가의 단계 212에서 해제된다. 작업 브래킷(28)들은, 이들 및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58a, 58b) 상에 배열된 작업 플랫폼(60)과 함께, 이제, 인양 브래킷(26) 중 적어도 하나에 기저에서 지지된 인양 실린더(42)에 의해 단독으로 운반된다.
추가의 단계 214에서, 작업 브래킷(28)은 인양 방향(20)으로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의 제2 앵커 지점(36)으로부터 제3 앵커 지점(38)으로 인양 실린더(42)의 유압식 펌핑 디바이스(96)의 제어 디바이스(98)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된 공급 모션에 의해서 이동(상승)되고, 작업 브래킷(28)은 앵커 볼트(30)에 의해 각각의 제3 앵커 지점(38)의 앵커 구멍(32)에 앵커링된다.
추가의 단계 216에서, 인양 브래킷(26)은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1 앵커 지점(34)으로부터 해제된다. 자체-인양 유닛(12)의 선택적으로 부착된 후미 플랫폼(48)뿐만 아니라 인양 브래킷(26)은 이 경우에 단독으로 인양 실린더(42)를 통해서 작업 브래킷에 유지된다.
최후의 단계 218에서, 인양 브래킷(26)은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1 앵커 지점(34)으로부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으로 인양 실린더(42)의 복귀 행정 운동에 의해서 인양 방향(20)으로 이동(상승)되고, 이어서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지점(36)의 해제된 앵커 구멍(32) 내로 앵커 볼트(30)에 의해서 앵커링된다.
자체-인양 유닛(12)은 이하에서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 위쪽에서 인양 방향(20)으로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에 인접한 추가의 콘크리트 벽 구획부를 콘크리트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 콘크리트 구조물(18)용 자체-인양 시스템(self-climbing system)(10)을 위한 자체-인양 유닛(self-climbing unit)(12)으로서,
상기 자체-인양 시스템(10)은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서로 적층하여 배열된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concrete wall section)(14)와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인양 유닛은,
- 각 경우에 앵커 볼트(30)용의 제1 앵커 수용 기구(84a)를 포함하는 인양 브래킷(climbing bracket)(26)으로서, 상기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인양 브래킷(26)이 각 경우에 상기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1 앵커 부위(34)의 앵커 구멍(32)에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앵커링될 수 있는, 상기 인양 브래킷(26);
- 앵커 볼트(30)용의 제2 앵커 수용 기구(84b)를 구비한 작업 브래킷(working bracket)(28)으로서, 상기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작업 브래킷(28)이 각 경우에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부위(36)의 앵커 구멍(32)에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앵커링될 수 있고, 각 경우에 상기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상기 제1 앵커 부위(34) 중 하나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상기 제2 앵커 부위(36) 중 하나가 상기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서로에 대해서 정렬된 쌍으로 배열되는, 상기 작업 브래킷(28)을 포함하되;
- 상기 작업 브래킷(28)에 체결되는 작업 플랫폼(40);
- 일단부에서 상기 인양 브래킷(26) 중 하나에 그리고 타단부에서 상기 작업 브래킷(28) 중 하나에 체결되는 인양 실린더(climbing cylinder)(42)로서, 이에 의해서 상기 작업 브래킷(28)이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 위쪽에서 상기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에 맞닿는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의 제2 앵커 부위(36)로부터 제3 앵커 부위(38)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인양 실린더(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양 브래킷(26)의 상기 제1 앵커 수용 기구(84a)와 상기 작업 브래킷(28)의 상기 제2 앵커 수용 기구(84b)는 각 경우에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 관하여 그들의 패턴이 서로 대응하므로, 상기 작업 브래킷이 상기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의 상기 제3 앵커 부위(38)의 앵커 구멍(32)에 고정된 후에, 상기 인양 브래킷(26)은 상기 인양 실린더(42)에 의해서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상기 제2 앵커 부위(36)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상기 제2 앵커 부위(36)의 해제된 앵커 구멍(30)에 앵커링될 수 있고, 상기 자체-인양 유닛(12)은 상기 작업 브래킷(28) 상에 지지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58a, 58b)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브래킷(28)은 각 경우에 상기 자체-인양 유닛이 작동 중인 동안 상기 작업 브래킷(28)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직 방향(20)에 있어서 적어도 단면에서 상향으로 각 경우에 연장되는 지지 기둥(50)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브래킷(28)의 상기 지지 기둥(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양 실린더(42) 중 하나에 대해서 다수의 체결 부위(7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위(70)는 상기 인양 실린더(42)가 완만한 단차 방식으로 상기 지지 기둥(5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 기둥(50)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58a, 58b)는 상기 지지 기둥(50)에 체결, 특히 상기 지지 기둥에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브래킷(26) 및 상기 작업 브래킷(28)은 각 경우에 2개의 앵커 수용 기구(84a, 84b)를 포함하고, 각각의 앵커 부위(34, 36, 38)는 각 경우에 각각 하나의 앵커 볼트(30)에 대해서 단지 2개의 앵커 구멍(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50)의 적어도 일부가 중공 프로파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실린더(42)의 적어도 일부가 각 경우에 상기 지지 기둥(50) 중 하나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실린더(42)는 각 경우에 상기 인양 브래킷(26)에 축방향 유격을 가진 채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실린더(42)는 각 경우에 유압 실린더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2차 플랫폼(48)이 상기 인양 브래킷(26)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98)를 구비하는 유압식 펌프 장치(96)에 의해서 상기 인양 실린더(42)를 동기 방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98)는 바람직하게는 각 유압식 센서(42)에 대해서 상기 유압 실린더(42)로/로부터 유압 매질의 각각의 용적 유량(102)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펌프 장치(96)는 다수의 펌프 유닛(99)을 포함하되, 각 펌프 유닛(99)은 각 경우에 상기 제어 디바이스(98)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유체 밸브(F)를 통해서 상기 인양 실린더(42)의 하나 또는 다수에 접속되고, 그 결과, 각 펌프 유닛의 유체 밸브의 개수는 각 경우에 상기 펌프 유닛에 접속되는 적어도 상기 인양 실린더의 개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인양 유닛은 자체-인양 거푸집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12).
- 콘크리트 구조물(18)용의 자체-인양 시스템(10)으로서,
제1항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12)과,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에서 서로 적층하여 배열되는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 및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을 포함하는, 자체-인양 시스템(10). - 콘크리트 구조물(18) 상에서 제11항에 따른 자체-인양 유닛(12)을 수직 위치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앵커 볼트(30)로 인양 브래킷(26)을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제1 앵커 부위(34)의 앵커 구멍(32)에 앵커링시키는 단계(202)로서, 상기 앵커 볼트는 상기 인양 브래킷(26)의 제1 앵커 수용 기구(84a)에 맞물리는, 상기 앵커링시키는 단계(202);
b) 앵커 볼트(30)에 의해 작업 브래킷(28)을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제2 앵커 부위(36)의 앵커 구멍(32)에 앵커링시키는 단계(204)로서, 상기 앵커 볼트는 상기 작업 브래킷(28)의 제2 앵커 수용 기구(84b)에 맞물리고, 상기 제1 앵커 부위(34)와 상기 제2 앵커 부위(36)는 각 경우에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쌍으로 적층하여 배열되는, 상기 앵커링시키는 단계(204);
d)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상기 제2 앵커 부위(36)로부터 상기 작업 브래킷(28)을 해제시키는 단계;
e) 각 경우에 상기 인양 브래킷(26) 중 하나에 그리고 상기 작업 브래킷(28) 중 하나에 체결되는 인양 실린더(42)에 의해서 상기 작업 브래킷(28)을 상기 수직 방향(20)으로 상기 제2 앵커 부위(36)로부터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 내의 제3 앵커 부위(38)로 상승시키고, 상기 앵커 볼트(30)에 의해서 상기 작업 브래킷(28)을 각각의 제3 앵커 부위(38)의 앵커 구멍(32)에 앵커링시키는 단계;
f) 상기 인양 실린더(42)에 의해 상기 인양 브래킷(26)을 상기 제1 콘크리트 벽 구획부(14)의 상기 제1 앵커 부위(34)로부터 상승시키고 상기 인양 브래킷(26)을 상기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상기 제2 앵커 부위(36)로 상승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앵커 볼트(30)에 의해서 상기 인양 브래킷(26)을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의 상기 제2 앵커 지점(36)의 해제된 앵커 구멍(32)에 앵커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을 수직 위치 조정하기 위한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단계 b)와 단계 d) 사이에, 콘크리트 거푸집 요소(58a, 58b)에 의해서, 상기 자체-인양 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제3 콘크리트 벽 구획부(22)가 상기 수직 또는 인양 방향(20)으로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 위쪽으로 상기 제2 콘크리트 벽 구획부(16)와 맞닿도록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인양 유닛을 수직 위치 조정하기 위한 방법.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6205956.4 | 2016-04-08 | ||
DE102016205956.4A DE102016205956A1 (de) | 2016-04-08 | 2016-04-08 |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
PCT/EP2017/057795 WO2017174473A1 (de) | 2016-04-08 | 2017-04-03 |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0537A KR20180130537A (ko) | 2018-12-07 |
KR102248431B1 true KR102248431B1 (ko) | 2021-05-06 |
Family
ID=5848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0986A KR102248431B1 (ko) | 2016-04-08 | 2017-04-03 |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2) | US11359390B2 (ko) |
EP (1) | EP3440283B1 (ko) |
KR (1) | KR102248431B1 (ko) |
AU (1) | AU2017247955B2 (ko) |
CA (1) | CA3020211A1 (ko) |
DE (1) | DE102016205956A1 (ko) |
ES (1) | ES2801798T3 (ko) |
MY (1) | MY197748A (ko) |
PL (1) | PL3440283T3 (ko) |
SG (1) | SG11201808752QA (ko) |
WO (1) | WO20171744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6205956A1 (de) * | 2016-04-08 | 2017-10-12 | Peri Gmbh |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
WO2018223144A1 (en) * | 2017-06-02 | 2018-12-06 | Zitting James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vertical slip forming in concrete construction |
ES2695626B2 (es) * | 2017-06-30 | 2020-05-19 | Hws Concrete Towers S L | Dispositivo auto-trepante por superficies de hormigón verticales y cuasi-vertica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
DE102017217715A1 (de) * | 2017-10-05 | 2019-04-11 | Peri Gmbh | Hydraulik-Anordnung mit vernetzten Hydraulikaggregaten sowie Kletterschalung und Verfahren zum Bewegen der Kletterschalung mit einer solchen Hydraulik-Anordnung |
DE102018117727A1 (de) | 2018-07-23 | 2020-01-23 | Peri Gmbh | Hubantrieb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
DE102018123405A1 (de) | 2018-09-24 | 2020-03-26 | Peri Gmbh | Klettereinrichtung für ein schalungsgerüst |
CN109057321B (zh) * | 2018-11-16 | 2019-02-15 |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 整体钢平台模架超大承载力附墙系统及施工方法 |
DE102019104548A1 (de) * | 2019-02-22 | 2020-08-27 | Peri Gmbh | Hubantrieb für ein schienengeführtes freivorbaugerät |
US20210156156A1 (en) * | 2019-11-27 | 2021-05-27 | OM Engineering Pty Ltd | Independent self-climbing form system for building vertical structures |
US11655641B2 (en) * | 2019-12-29 | 2023-05-23 |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US11814266B2 (en) * | 2020-09-01 | 2023-11-14 | Otis Elevator Company | Self-climbing self-locking elevator |
US11248382B1 (en) | 2020-11-10 | 2022-02-15 | Peri Ag | Climbing support subsystem |
CN114105053B (zh) * | 2021-10-28 | 2023-08-01 | 中建三局第一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爬升机构及布料机 |
WO2023102592A1 (en) * | 2021-12-07 | 2023-06-15 | Fabquip Holdings Pty Ltd | A climbing formwork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
DE102021214963A1 (de) | 2021-12-22 | 2023-06-22 | Doka Gmbh | Aufhängeschuh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5073A (ja) | 2005-06-29 | 2008-12-11 | ペリ ゲー・エム・ベー・ハー | クライミング型枠のための分離可能なクライミングシュー |
Family Cites Families (1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55947E (fr) * | 1945-02-27 | 1952-09-09 | Blaw Knox Cie Fse | Matériel de coffrage métallique |
US2516318A (en) * | 1945-10-02 | 1950-07-25 | Kwikform Ltd | Means for supporting and adjusting movable shuttering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walls or the like from concrete or similar material |
DE805312C (de) * | 1948-12-16 | 1951-05-15 | Balder Zahnow | Kletterschalung aus Holz |
DE870023C (de) * | 1949-11-04 | 1953-03-09 | Franz Ing Scharsach | Schalung fuer die Herstellung von Bauwerken |
US3472477A (en) * | 1967-01-16 | 1969-10-14 | Paul Juhl | Support bracket for concrete forms |
US3591123A (en) * | 1968-08-08 | 1971-07-06 | Andrew D Edwards |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
DE1908714A1 (de) * | 1969-02-21 | 1970-09-03 | Wayss & Freytag Ag | Verfahren zum Herstellen hoher Schornsteine und Tuerme aus Stahlbeton |
US3628223A (en) * | 1970-05-11 | 1971-12-21 | Alexander Babee | Climbing concrete form hoist |
US3779678A (en) * | 1971-02-09 | 1973-12-18 | Cottrell Res Inc |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walls |
DE2402683C3 (de) * | 1974-01-21 | 1979-07-05 | Peri-Werk Artur Schwoerer Kg, 7912 Weissenhorn | Kletterschalung |
FR2313520A1 (fr) * | 1975-06-05 | 1976-12-31 | Coignet Sa | Echafaudage grimpant a coffrage associe |
US4040774A (en) * | 1976-04-29 | 1977-08-09 | Research-Cottrel, Inc. |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walls |
IT1071572B (it) * | 1977-02-10 | 1985-04-10 | Tesco Spa | Cassero automontante per la gettata di strutture di calcestruzzo qualidighe e muri di sostegno di terre |
GB1536014A (en) * | 1977-05-17 | 1978-12-13 | Bierrum & Partners Ltd | Climbing falsework |
DE2814930C2 (de) * | 1978-04-06 | 1986-07-03 | Peri-Werk Artur Schwörer GmbH & Co KG, 7912 Weißenhorn | Klettergerüst |
DE2921636C2 (de) * | 1979-05-28 | 1982-09-09 | Hünnebeck GmbH, 4030 Ratingen | Gerät mit Hubvorrichtung zum Klettern an einer Wand |
DE3006491C2 (de) * | 1980-02-21 | 1983-01-05 | Streif AG, 5461 Vettelschoß | Versetzbares, an einem Bauwerk verankertes Gerüst |
FR2487410A1 (fr) * | 1980-07-24 | 1982-01-29 | Bouygues Sa | Coffrage grimpant pour la coulee de parois en beton |
US4397441A (en) * | 1981-07-23 | 1983-08-09 | Anthes Equipment Ltd. | Wall form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
WO1984004127A1 (en) * | 1983-04-19 | 1984-10-25 | Kisuezemi Innovacios Iroda | Self propelled scaffold for buildings, cable tensioner and method for building and/or maintaining high buildings |
US4530648A (en) * | 1984-04-18 | 1985-07-23 | Economy Forms Corporation | Wall climbing form hoist |
GB2189831B (en) * | 1986-04-29 | 1989-12-13 | Epitestudomanyi Intezet |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of monolithic ceilings |
ATA165386A (de) * | 1986-06-17 | 1992-10-15 | Rund Stahl Bau Gmbh & Co | Schalung |
JPS63261064A (ja) * | 1987-04-15 | 1988-10-27 | 株式会社大林組 | 自昇式型枠装置 |
JPS6429573A (en) * | 1987-07-27 | 1989-01-31 | Kajima Corp | Self-lifting formwork device |
EP0358433B1 (en) * | 1988-09-05 | 1994-01-05 | Ohbayashi Corporation | Construction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
DE3844977C2 (de) * | 1988-12-14 | 1997-10-23 | Peri Werk Schwoerer Kg Artur | Kletterschalungs-Verschiebebühn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
DE4302197A1 (de) * | 1993-01-27 | 1994-07-28 | Peri Gmbh | Klet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lettergerüst |
DE19639038C1 (de) * | 1996-09-23 | 1998-06-04 | Doka Ind Gmbh | Kletterschalungssystem und Verfahren zum sukzessiven Betonieren von hohen vertikalen Wänden |
US6260311B1 (en) * | 1999-02-11 | 2001-07-17 | Peter Vladikovic | Concrete form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
US6557817B2 (en) * | 2000-01-18 | 2003-05-06 | Wilian Holding Company | Wall climbing form hoist |
WO2005054604A1 (es) * | 2003-11-27 | 2005-06-16 | Ulma C Y E, S. Coop. | Sistema trepador para encofrados, andamios y cargas en general |
DE102005030336A1 (de) | 2005-06-29 | 2007-01-04 | Peri Gmbh |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
DE102005030335A1 (de) * | 2005-06-29 | 2007-01-04 | Peri Gmbh | Kletterzylinder einer Selbstkletterschalung |
DE102006026201B4 (de) * | 2006-06-06 | 2008-04-10 | Doka Industrie Gmbh | Selbstklettersystem |
DE102006040092A1 (de) * | 2006-08-28 | 2008-03-06 | Putzmeister Ag | Anordnung zum Fördern von Beton mit höhenverstellbarem Betonverteilermast |
DE102006049037A1 (de) * | 2006-10-13 | 2008-04-24 | Lothar Bitschnau | Schalung zum Betonieren einer Wand |
CN1948666B (zh) * | 2006-11-03 | 2010-05-12 |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 壁挂式布料机 |
US7938380B2 (en) * | 2007-02-28 | 2011-05-10 | Brand Services, Llc | Column hung overhang bracket for concrete forming systems |
US8020271B2 (en) | 2007-07-11 | 2011-09-20 | Norton Baum | Self-raising form control system and method |
DE102008015682A1 (de) * | 2008-03-25 | 2009-10-08 | Peri Gmbh | Schienengeführtes Selbstkletterschalungssystem mit Kletterschienen-Verlängerungsstücken |
CN101492962A (zh) * | 2009-03-06 | 2009-07-29 | 江都揽月机械有限公司 | 大载荷整体式液压自动提模成套装置 |
EP2365159B1 (en) * | 2010-03-05 | 2013-01-30 | ULMA C y E, S. COOP. |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
US9181719B2 (en) * | 2010-04-14 | 2015-11-10 | Vsl International Ag | Adjustable formwork climber for casting a protruding region of a structure |
US9611663B2 (en) * | 2012-06-13 | 2017-04-04 | Norton Baum | Self-lifting concrete 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
US9279260B2 (en) * | 2012-10-12 | 2016-03-08 | Norton Baum | Modular panel concrete form for self-lifting concrete form system |
NO20121187A1 (no) * | 2012-10-15 | 2014-04-16 | Odd Jahr | Fremgangsmåte og anordning til en glideforskaling som ikke har sammenbindende åk. |
US9217255B2 (en) * | 2012-11-30 | 2015-12-22 | Chicago Bridge & Iron Company | Self-jacking scaffold for large cylindrical tanks |
PL2871304T3 (pl) * | 2013-11-12 | 2017-07-31 | Ulma C Y E, S. Coop. | System samowznoszący do zespołów rusztowań w budowie budynków |
CA2838259C (en) * | 2013-12-30 | 2020-08-18 | International Chimney Corporation | Scaffold system |
GB2529747B (en) * | 2015-06-11 | 2016-08-17 | Ischebeck Titan Ltd | Hoisting apparatus and system |
KR101744345B1 (ko) * | 2015-06-16 | 2017-06-08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외단열 동시 공사용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
ITUB20154872A1 (it) * | 2015-10-27 | 2017-04-27 | Despe S P A | Impianto di scalata e metodo per la costruzione di edifici |
EP3228776A1 (en) * | 2016-04-08 | 2017-10-11 | DOKA GmbH | Climbing formwork and method for ere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
DE102016205956A1 (de) * | 2016-04-08 | 2017-10-12 | Peri Gmbh |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
ES2705718T3 (es) * | 2016-05-04 | 2019-03-26 | Ulma C Y E S Coop | Cabeza trepante para fijar un andamio trepante a una sección de hormigón de un edificio en construcción |
CN106401174A (zh) * | 2016-06-02 | 2017-02-15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用于变截面核心筒施工的爬模系统及其施工方法 |
US10077564B1 (en) * | 2017-02-24 | 2018-09-18 | Doka Gmbh | Method for erecting a concrete structure and climbing formwork |
CN106836146B (zh) * | 2017-03-21 | 2022-08-09 | 中国葛洲坝集团三峡建设工程有限公司 | 液压自升悬臂重型拱坝模板工作平台 |
CN206680962U (zh) * | 2017-03-21 | 2017-11-28 | 中国葛洲坝集团三峡建设工程有限公司 | 液压自升桁架式悬臂重型拱坝模板系统 |
KR101793403B1 (ko) * | 2017-04-11 | 2017-11-02 | 이명래 |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 |
US11098490B2 (en) * | 2017-05-17 | 2021-08-24 | Forming Concepts, Inc. | Self-lifting concrete form with plat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
WO2018223144A1 (en) * | 2017-06-02 | 2018-12-06 | Zitting James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vertical slip forming in concrete construction |
ES2695626B2 (es) * | 2017-06-30 | 2020-05-19 | Hws Concrete Towers S L | Dispositivo auto-trepante por superficies de hormigón verticales y cuasi-vertica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
EP3470602A1 (en) * | 2017-10-10 | 2019-04-17 | DOKA GmbH | Formwork and method for ere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
US10988949B2 (en) * | 2017-10-27 | 2021-04-27 | Doka Gmbh | Safety screen and safety screen system |
CN108331335A (zh) * | 2018-01-29 | 2018-07-27 | 江苏江中集团有限公司 | 一种钢木组合预拼分离式液压自爬升架 |
CN108590171A (zh) * | 2018-01-29 | 2018-09-28 | 江苏江中集团有限公司 | 一种钢木组合预拼分离式自爬升架体模板施工方法 |
US10914083B2 (en) * | 2018-06-11 | 2021-02-09 | Wilian Holding Co. | Wall-climbing concrete form lifting system |
DE102018117727A1 (de) * | 2018-07-23 | 2020-01-23 | Peri Gmbh | Hubantrieb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
IT201800008150A1 (it) * | 2018-08-22 | 2020-02-22 | Faresin Formwork Spa | Dispositivo di supporto e guida di una trave di cassaforma rampicante e tale trave |
CN109162203A (zh) * | 2018-09-07 | 2019-01-08 |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用于混凝土浇筑成型的滑模装置 |
DE102018123405A1 (de) * | 2018-09-24 | 2020-03-26 | Peri Gmbh | Klettereinrichtung für ein schalungsgerüst |
CN208830717U (zh) * | 2018-09-26 | 2019-05-07 | 贵州卓良模板有限公司 | 一种设有吊平台斜撑的混凝土用爬模装置 |
CN108915251A (zh) * | 2018-09-26 | 2018-11-30 | 贵州卓良模板有限公司 | 一种设有吊平台斜撑的混凝土用爬模装置 |
CN209082956U (zh) * | 2018-09-26 | 2019-07-09 |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用于钢塔施工的自动爬升平台 |
CN109403622A (zh) * | 2018-10-29 | 2019-03-01 | 高渭泉 | 一种轨道自提升式悬挂可调平吊模系统及其施工方法 |
CN109267494B (zh) * | 2018-11-16 | 2023-10-03 |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 一种用于圆柱墩施工的抱箍式液压爬模体系及施工方法 |
CN109469319B (zh) * | 2018-12-29 | 2023-10-24 | 平煤神马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高耸异形结构体系核心筒提模设备 |
US11408188B1 (en) * | 2019-06-04 | 2022-08-09 | Peri Formwork Systems, Inc. | Suspended translating platform |
DE102019115346A1 (de) * | 2019-06-06 | 2020-12-10 | Peri Gmbh | Anordnung von einer kletterschiene und einer kletterhubschiene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
CN110388048A (zh) * | 2019-07-16 | 2019-10-29 | 中交一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 一种液压爬模装置 |
CN110469105A (zh) * | 2019-08-08 | 2019-11-19 | 北京城建六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翻模施工体系及其施工方法 |
CN110656802A (zh) * | 2019-08-29 | 2020-01-07 |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 一种筒仓滑模移动吊架装置 |
CN110714611A (zh) * | 2019-11-11 | 2020-01-21 | 昆明市银桥钢模有限公司 | 轻型爬模钢架系统 |
CN212176540U (zh) * | 2019-12-10 | 2020-12-18 |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 液压爬模系统模架 |
US11549272B2 (en) * | 2019-12-24 | 2023-01-10 | Klaus And Associates, Inc. | Slip form constru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
US11655641B2 (en) * | 2019-12-29 | 2023-05-23 |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15380B1 (ko) * | 2019-12-31 | 2020-05-27 | 동해이앤씨(주) | 유압식 슬립폼 안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와 중간슬라브 시공방법 |
CN111456403B (zh) * | 2020-03-31 | 2022-01-18 |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 用于集成平台的轨架一体式支撑顶升系统及其顶升方法 |
GB2598124A (en) * | 2020-08-19 | 2022-02-23 | Ischebeck Titan Ltd | Climbing formwork |
CN112390171A (zh) * | 2020-10-19 | 2021-02-23 | 中国铁建港航局集团有限公司 | 一种液压爬模及其倒角模板悬吊机构 |
US11248382B1 (en) * | 2020-11-10 | 2022-02-15 | Peri Ag | Climbing support subsystem |
AU2021384059A1 (en) * | 2020-11-17 | 2023-06-29 | Fastform Corporation Pty Ltd | A slip form system and a method of continuously forming a building structure |
CN214114729U (zh) * | 2020-12-16 | 2021-09-03 |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 一种用于动臂塔吊的内爬升装置 |
CN113266145A (zh) * | 2021-06-25 | 2021-08-17 | 江西志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爬模系统及其操作方法 |
CN216515141U (zh) * | 2021-07-28 | 2022-05-13 | 四川省交通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新悬挑施工爬模装置 |
CN216405121U (zh) * | 2021-10-25 | 2022-04-29 | 中交二航局广西建设工程有限公司 | 用于变截面空心墩施工的悬臂液压爬架系统 |
CN114673343B (zh) * | 2022-03-18 | 2024-02-27 | 顾建亮 | 一种便携式液压自爬模板 |
CN114961228A (zh) * | 2022-05-05 | 2022-08-30 |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外爬架的附墙装置 |
CN115030046A (zh) * | 2022-06-27 | 2022-09-09 |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 一种空心薄壁墩液压爬模及其施工工法 |
CN115306135B (zh) * | 2022-07-18 | 2024-02-27 | 广州金辉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模板爬升系统及其方法 |
CN115182568B (zh) * | 2022-08-25 | 2023-05-05 | 广州达蒙安防科技有限公司 | 一种液压爬架及升降调节方法 |
CN115182269A (zh) * | 2022-08-25 | 2022-10-14 | 中国铁建港航局集团有限公司 | 一种超高墩大截面重型液压爬模分次拼装方法 |
CN115637645A (zh) * | 2022-09-29 | 2023-01-24 |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 一种用于钢塔施工的智能筑塔装置 |
CN219080090U (zh) * | 2022-11-24 | 2023-05-26 | 柳州黔桥技术有限公司 | 液压爬模模板监控及姿态调整装置 |
CN115788012A (zh) * | 2022-12-05 | 2023-03-14 | 上海建工装备工程有限公司 | 一种适用于斜墙施工的液压爬模整体爬升滑移装置及方法 |
CN219527362U (zh) * | 2023-03-31 | 2023-08-15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一种混凝土主塔施工爬模体系 |
CN219972946U (zh) * | 2023-04-20 | 2023-11-07 | 重庆市交通工程监理咨询有限责任公司 | 一种桥梁墩柱施工用爬模 |
CN116537071A (zh) * | 2023-06-02 | 2023-08-04 | 中交四航局第一工程有限公司 | 一种液压顶升整体式钢架平台及其翻模施工方法 |
CN116676873A (zh) * | 2023-06-05 | 2023-09-01 | 中交路桥华东工程有限公司 | 液压爬模装置及物料转运方法 |
CN220394299U (zh) * | 2023-06-13 | 2024-01-26 | 云南兴滇钢模板钢结构有限公司 | 一种新型液压爬模悬挑操作平台 |
-
2016
- 2016-04-08 DE DE102016205956.4A patent/DE102016205956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7
- 2017-04-03 PL PL17715445T patent/PL3440283T3/pl unknown
- 2017-04-03 ES ES17715445T patent/ES2801798T3/es active Active
- 2017-04-03 KR KR1020187030986A patent/KR10224843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4-03 MY MYPI2018703687A patent/MY197748A/en unknown
- 2017-04-03 AU AU2017247955A patent/AU2017247955B2/en active Active
- 2017-04-03 WO PCT/EP2017/057795 patent/WO2017174473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4-03 EP EP17715445.7A patent/EP3440283B1/de active Active
- 2017-04-03 CA CA3020211A patent/CA3020211A1/en active Pending
- 2017-04-03 SG SG11201808752QA patent/SG11201808752QA/en unknown
- 2017-04-03 US US16/092,208 patent/US11359390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6-13 US US17/839,111 patent/US1204401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5073A (ja) | 2005-06-29 | 2008-12-11 | ペリ ゲー・エム・ベー・ハー | クライミング型枠のための分離可能なクライミングシュ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40283B1 (de) | 2020-06-03 |
US20220307276A1 (en) | 2022-09-29 |
WO2017174473A1 (de) | 2017-10-12 |
PL3440283T3 (pl) | 2020-09-07 |
US11359390B2 (en) | 2022-06-14 |
AU2017247955A1 (en) | 2018-10-25 |
AU2017247955B2 (en) | 2022-09-29 |
MY197748A (en) | 2023-07-12 |
SG11201808752QA (en) | 2018-11-29 |
US20200332539A1 (en) | 2020-10-22 |
ES2801798T3 (es) | 2021-01-13 |
KR20180130537A (ko) | 2018-12-07 |
US12044017B2 (en) | 2024-07-23 |
EP3440283A1 (de) | 2019-02-13 |
DE102016205956A1 (de) | 2017-10-12 |
CA3020211A1 (en) | 2017-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8431B1 (ko) |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 |
US10633874B2 (en) | Climbing equipment and climbing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 |
AU2019409113B2 (en) | Building site device having a climbing formwork and an elevator system | |
KR101223614B1 (ko) |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
US10077564B1 (en) | Method for erecting a concrete structure and climbing formwork | |
US20240102303A1 (en) | Method for displacing a ceiling formwork, collision protection element, and ceiling formwork, supporting device and incremental launching device comprising such a collision protection element | |
KR102387167B1 (ko) |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 |
KR101651840B1 (ko) |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 |
KR100647977B1 (ko) |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 |
US11098490B2 (en) | Self-lifting concrete form with plat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 |
JP6503716B2 (ja) |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 |
KR200425807Y1 (ko) | 인양형 갱폼 | |
KR20070005533A (ko) | 갱폼 | |
US3201502A (en) | Method of erecting concrete structures | |
CN113015833A (zh) | Alphadeck-大面积平板模板系统 | |
CN115961593A (zh) | 一种弧门的门槽施工装置及施工方法 | |
KR101021945B1 (ko) | 수직구 성형용 강재 거푸집 | |
KR102207137B1 (ko) | 이동식 거푸집 | |
CN1352721A (zh) | 一种混凝土楼板的成形方法 | |
CN114134812A (zh) | 一种现浇桥梁钢管桩水中支架拆除体系的施工方法 | |
KR20230018147A (ko) |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0432806Y1 (ko) |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 |
KR20170123829A (ko) | 시스템 동바리 | |
HU192772B (hu) | KI.ÖIÍKQYÁRTO TT ΜΛΟVTÁI41-Á S T’ÖI)AMZSΑΓ.ΠΖΛΤ, A: ELJÁRÁS EÖDÉzMÍÍ^SALUZÁS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