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147A -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147A
KR20230018147A KR1020210099963A KR20210099963A KR20230018147A KR 20230018147 A KR20230018147 A KR 20230018147A KR 1020210099963 A KR1020210099963 A KR 1020210099963A KR 20210099963 A KR20210099963 A KR 20210099963A KR 20230018147 A KR20230018147 A KR 2023001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er
vertical
horizontal
gang for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719B1 (ko
Inventor
최영락
이상진
김승일
김치엽
강정기
이정환
김찬기
이제현
박경수
이종태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이 구비된 갱폼 시스템에서, 수평웨일러와 수직웨일러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수평웨일러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수직 변위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갱폼의 레벨링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예기치 않은 레일안착슈의 고정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은 하부층 외벽의 레일안착슈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한 쌍의 형강재로 구성되는 수직웨일러; 상기 수직웨일러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웨일러; 상기 수평웨일러의 전면에 결합되는 갱폼유닛; 및 상기 수평웨일러와 수직웨일러를 연결하는 것으로 수평웨일러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수직 변위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하는 연결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Climbing type gangform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이 구비된 갱폼 시스템에서, 수평웨일러와 수직웨일러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수평웨일러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수직 변위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갱폼의 레벨링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예기치 않은 레일안착슈의 고정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공동주택과 같이 상하부 평면이 동일하여 단면이 일정한 구조물은 대형 시스템 거푸집인 갱폼(gang form)을 주로 사용하여 시공된다.
갱폼은 벽체 거푸집패널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나 하부층 후속 미장 및 견출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케이지가 일체로 구성된다.
갱폼은 외벽 콘크리트 시공 완료 후 상부층으로 인양시킬 때 주로 타워크레인을 사용한다. 즉,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층으로 갱폼을 인양한 후 하부층 외벽 상부에 매립된 앵커볼트에 갱폼 하부를 고정하는 순서로 시공한다.
그러나 타워크레인에 의해 갱폼 인양시 바람에 의해 갱폼이 흔들리는 경우가 많다. 이에 갱폼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앵커볼트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작업자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부 외벽 전면에 가이드레일(3)을 고정하고 가이드레일(3)의 상부에 구비된 메인레일(5, 수직웨일러)에 갱폼을 결합함으로써, 갱폼 설치 및 해체시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고자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도 1, 등록특허 제10-0731315호, 제10-1574466호 등).
이때, 메인레일(5)은 조절클립부(힌지링크)에 의해 가이드레일(3)과 결합되고, 갱폼은 디비닥볼트(80) 등에 의해 메인레일(5)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Guide Climbing System)은 가이드레일(3)에 체결된 고정볼트가 외벽(1) 전면에 고정 설치된 레일안착슈(4) 상부에 거치되어 위치가 고정되는데, 상기 레일안착슈(4)는 상향 회전만 가능하고 하향 회전은 불가능하여 가이드레일(3)이 상승만 가능하고 하강은 제한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의 안착 후에는 갱폼의 높이를 미세 조정하여 외벽(1)에 매립된 앵커볼트(11)에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때 주로 타워크레인에 의해 갱폼의 높이를 조정한다.
그런데 종래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은 갱폼이 디비닥볼트(80)에 의해 메인레일(5)과 고정되어 있으므로, 갱폼 인양시 메인레일(5)과 메인레일(5)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레일(3)이 같이 상승하여 고정볼트가 레일안착슈(4)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갱폼 레벨링 작업시마다 디비닥볼트(80)를 해체 및 체결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예기치 않은 레일안착슈(4)의 고정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레일(5)에 높이조절볼트를 설치하여 타워크레인 대신 높이조절볼트로 갱폼 레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여전히 갱폼과 메인레일(5)을 고정하는 디비닥볼트(80)의 해체 및 체결 작업의 반복이 필요하고, 높이조절볼트의 조작 자체도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어서 시공성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이 구비된 갱폼 시스템에서 갱폼의 레벨링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갱폼 인양 등의 경우에 있어 하부층 외벽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이 거치되는 레일안착슈의 예기치 않은 고정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하부층 외벽의 레일안착슈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한 쌍의 형강재로 구성되는 수직웨일러; 상기 수직웨일러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웨일러; 상기 수평웨일러의 전면에 결합되는 갱폼유닛; 및 상기 수평웨일러와 수직웨일러를 연결하는 것으로 수평웨일러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수직 변위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하는 연결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는 일측이 수평웨일러의 외측에 고정되고, 측면을 관통하는 제1핀홀이 형성되어 수직웨일러의 형강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 양측의 형강재에는 상기 제1핀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이 형성되어 제2핀홀과 제1핀홀을 관통하는 가이드핀에 의해 연결구가 수직웨일러와 결합되되, 상기 제1핀홀과 제2핀홀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연결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하가 개방되어 상기 수직웨일러의 하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 외측에 고정되는 힌지박스 및 상기 힌지박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측의 제1힌지축은 힌지박스에 힌지 결합하고, 내측의 제2힌지축은 수직웨일러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링크로 구성되는 회전구에 의해 상기 수직웨일러가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되, 상기 힌지링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힌지박스의 양측면에는 힌지링크의 상면 위치에 제1고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에는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의 하강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 및 연결구 양측의 형강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이 각각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홀에는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의 하강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핀홀이 상하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강재 외측면의 제2핀홀 양측에는 수평 방향의 세레이션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에는 상기 형강재의 세레이션에 치합되도록 대응되는 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지압고정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고정너트의 조임에 의해 가이드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웨일러의 전면에는 수평웨일러의 하부 위치에 가이드너트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너트에는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부가 수평웨일러를 관통하는 높이고정바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높이고정바에는 수평웨일러의 하부 위치에 수평웨일러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웨일러의 상부 위치에 수평웨일러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해 높이고정바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은 (n-2)층 외벽과 (n-1)층 외벽 상부 전면에 설치된 레일안착슈에 고정되고, 수직웨일러와 수평웨일러 및 갱폼유닛은 (n)층에 설치된 상기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1개 층 상승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a) 상기 힌지박스의 제1고정홀에 체결된 고정핀을 제거하고, 상기 연결구 및 수직웨일러의 제2고정홀에 고정핀을 체결하는 단계; (b) 상기 갱폼유닛을 인양하여 갱폼유닛과 수직웨일러 및 수평웨일러를 상향 외측으로 경사 이동시킴으로써 (n)층 외벽으로부터 갱폼유닛의 거푸집패널을 탈형하는 단계; (c) 상기 갱폼유닛을 더 인양하여 갱폼 시스템을 1개 층 상승시켜 가이드레일을 (n-1)층 외벽과 (n)층 외벽 상부 전면에 설치된 레일안착슈에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연결구 및 수직웨일러의 제2고정홀에 체결된 고정핀을 제거하고, 상기 힌지박스의 제1고정홀에 고정핀을 체결하는 단계; 및 (e) 상기 갱폼유닛의 높이를 조절하여 (n)층 외벽 상부 내부에 매립된 앵커볼트에 갱폼유닛을 고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홀에서 제거된 고정핀을 제2고정홀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이 구비된 갱폼 시스템에서, 수평웨일러와 수직웨일러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수평웨일러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수직 변위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구에 의해 수평웨일러와 수직웨일러가 결합된 상태에서, 갱폼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시 수직웨일러나 가이드레일의 움직임 없이 갱폼유닛만 높이 조절 가능하다.
그러므로 별도의 볼트 체결 없이 갱폼 레벨링 작업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며, 가이드레일이 안착된 레일안착슈의 예기치 않은 고정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연결구와 수직웨일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연결구에 의해 수직웨일러에 결합된 수평웨일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연결구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회전구와 수직웨일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회전구에 의한 수직웨일러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회전구의 제1고정홀에 고정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고정핀에 의해 힌지링크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0은 연결구 및 수직웨일러에 고정핀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1은 지압고정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지압고정플레이트에 의해 연결구의 수직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와 수직웨일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높이고정바에 의한 수직웨일러와 수평웨일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측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갱폼 상승시 높이고정바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갱폼 하강시 높이고정바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은 하부층 외벽(1)의 레일안착슈(4)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 상기 가이드레일(3)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한 쌍의 형강재(50)로 구성되는 수직웨일러(5); 상기 수직웨일러(5)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웨일러(6); 상기 수평웨일러(6)의 전면에 결합되는 갱폼유닛(7); 및 상기 수평웨일러(6)와 수직웨일러(5)를 연결하는 것으로 수평웨일러(6)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수직 변위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하는 연결구(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이 구비된 갱폼 시스템에서 갱폼의 레벨링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예기치 않은 레일안착슈(4)의 고정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은 가이드레일(3), 수직웨일러(5), 수평웨일러(6), 갱폼유닛(7) 및 연결구(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은 갱폼 인양시 갱폼의 상승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열로 구비되어 하부층 외벽(1)에 설치된 레일안착슈(4)에 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은 한 쌍의 형강재(30)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고정볼트(31)를 체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7, 도 8).
상기 형강재(30)는 ㄷ형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은 하부층 3개 층의 슬래브 위치 벽체(1)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설층 외벽의 콘크리트 강도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더라도 하부 2개 지점에서 지지되므로, 갱폼을 조기 탈형하여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안착슈(4)는 구조물 외벽(1) 내부에 매립된 앵커볼트(1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레일안착슈(4)는 수평 상태에서 상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하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며, 수평 상태에서 고정볼트(31)가 거치되어 가이드레일(3)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웨일러(5)는 가이드레일(3)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한 쌍의 형강재(5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웨일러(5)는 가이드레일(3)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갱폼유닛(7)을 가이드레일(3)과 연결한다.
상기 수직웨일러(5) 역시 한 쌍의 형강재(50)를 이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형강재(50)는 ㄷ형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웨일러(6)는 수직웨일러(5)의 전면(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웨일러(6)는 갱폼유닛(7)을 수직웨일러(5)에 연결하는 것으로, 복수 열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웨일러(6)는 수직웨일러(5)와 갱폼유닛(7)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ㄷ 형강재를 조합하여 구성 가능하다.
상기 갱폼유닛(7)은 수평웨일러(6)의 전면에 결합된다.
상기 갱폼유닛(7)은 거푸집패널(71)과 작업케이지(72)로 구성된다.
상기 갱폼유닛(7)의 거푸집패널(71) 외측면에 수평웨일러(6)가 결합된다.
상기 작업케이지(72)는 작업층 및 타설층 하부 2개 층까지 총 3개 층에 걸쳐 구비한다.
상기 갱폼 시스템(2)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은 갱폼유닛(7)의 거푸집패널(71) 상단에 연결한다.
상기 연결구(8)는 수평웨일러(6)와 수직웨일러(5)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구(8)는 수평웨일러(6)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수직 변위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한다.
즉, 상기 연결구(8)는 수평웨일러(6)가 수직웨일러(5)로부터 수평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한다.
이에 따라 갱폼유닛(7)의 높이 조절 작업을 위해 크레인으로 갱폼유닛(7)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수직웨일러(5)나 가이드레일(3)의 움직임 없이 갱폼유닛(7)의 높이만 조절 가능하다. 그러므로 가이드레일(3)이 안착된 레일안착슈(4)의 예기치 않은 고정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갱폼유닛(7)은 수평 변위가 제한되고 상하로만 움직이므로, 앵커볼트(11)의 위치에 갱폼유닛(7)을 정위치시킬 수 있어 쉽고 빠르게 갱폼유닛(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 수평웨일러를 수직웨일러에 연결하기 위해 디비닥볼트의 체결 및 해체를 반복해야 했던 것과 달리, 별도의 볼트 체결 없이 연결구(8)에 의해 상시 수평웨일러(6)와 수직웨일러(5)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성이 향상된다.
도 3은 연결구와 수직웨일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연결구에 의해 수직웨일러에 결합된 수평웨일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연결구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8)는 일측이 수평웨일러(6)의 외측에 고정되고, 측면을 관통하는 제1핀홀(81)이 형성되어 수직웨일러(5)의 형강재(5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8) 양측의 형강재(50)에는 상기 제1핀홀(8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51)이 형성되어 제2핀홀(51)과 제1핀홀(81)을 관통하는 가이드핀(P1)에 의해 연결구(8)가 수직웨일러(5)와 결합되되, 상기 제1핀홀(81)과 제2핀홀(51)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연결구(8)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웨일러(6)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설정 범위 내에서 수직 변위를 허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8)는 수평웨일러(6)의 외측에 고정되어 돌출 형성되되, 수직웨일러(5)의 한 쌍의 형강재(50)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8)와 수직웨일러(5)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1핀홀(81)과 제2핀홀(5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핀홀(81)과 제2핀홀(51)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핀홀(81)과 제2핀홀(51)에는 가이드핀(P1)이 삽입 관통된다.
도 3, 도 5 등에는 상기 연결구(8)에 구비된 제1핀홀(81)이 장공으로 형성되고, 수직웨일러(5)에 구비된 제2핀홀(51)이 원형으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경우 도 5의 (a)에서와 같이, 갱폼유닛(7)의 높이 조절 전에는 가이드핀(P1)이 제1핀홀(81)과 제2핀홀(51)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도 5의 (b)에서와 같이, 높이 조절을 위해 갱폼유닛(7)을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가이드핀(P1)이 수직웨일러(5)의 제2핀홀(5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장공으로 형성된 제1핀홀(81)에 의하여 가이드핀(P1)에 대해 연결구(8)가 상하로 수직 이동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8)는 좌우 한 쌍의 형강재(50)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제1핀홀(81)과 제2핀홀(51)은 폭 또는 지름이 가이드핀(P1)의 지름과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구(8)는 전후나 좌우로는 이동이 제한되고 상하로만 움직이게 된다.
도 6은 회전구와 수직웨일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회전구에 의한 수직웨일러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회전구의 제1고정홀에 고정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고정핀에 의해 힌지링크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방되어 상기 수직웨일러(5)의 하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의 상부 외측에 고정되는 힌지박스(91) 및 상기 힌지박스(91)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측의 제1힌지축(921)은 힌지박스(91)에 힌지 결합하고, 내측의 제2힌지축(922)은 수직웨일러(5)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링크(92)로 구성되는 회전구(9)에 의해 상기 수직웨일러(5)가 가이드레일(3)과 결합되되, 상기 힌지링크(9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힌지박스(91)의 양측면에는 힌지링크(92)의 상면 위치에 제1고정홀(9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93)에는 고정핀(P2)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외벽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된 후 갱폼 탈형시에는 갱폼유닛(7)의 거푸집패널(71)을 후퇴시키면서 상승시켜야 콘크리트 면에서 쉽게 탈형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수직웨일러(5)와 가이드레일(3)을 힌지링크(92)로 연결하여, 크레인 인양에 의한 수직웨일러(5) 상승시 힌지링크(92)가 상향 회전하면서 수직웨일러(5)가 후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7의 (b)).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3)의 상부 외측에 힌지박스(91)를 고정 결합하고, 힌지박스(91) 내에서 힌지링크(92)를 수직웨일러(5)와 힌지 결합한다.
이때, 상기 힌지링크(92)의 외측에 위치한 제1힌지축(921)은 힌지박스(91)에 힌지 결합되고, 내측에 위치한 제2힌지축(922)은 수직웨일러(5)의 한 쌍의 형강재(50)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 형강재(50)에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웨일러(5)는 힌지링크(92)에 의해 가이드레일(3)에 결합되므로, 갱폼유닛(7) 인양시 수직웨일러(5)가 상향 외측으로 경사 이동할 수 있다. 즉, 갱폼유닛(7) 인양시 수직웨일러(5) 및 이에 연결된 갱폼유닛(7)은 수직 방향 변위뿐 아니라 수평 방향 변위도 발생한다.
도 7의 (a)는 갱폼유닛(7)의 설치 상태, 즉 수직웨일러(5)의 상승 전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7의 (b)는 갱폼유닛(7)의 탈형 상태, 즉 수직웨일러(5)의 상승 후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갱폼유닛(7)을 상부층으로 인양 완료한 후 갱폼유닛(7)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갱폼유닛(7)의 거푸집패널(71)이 외벽(1)과 이격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이때, 갱폼유닛(7)이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외벽(1) 내에 매립된 앵커볼트(11)의 위치에 맞게 갱폼유닛(7)의 위치를 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갱폼유닛(7)의 높이 조절시에는 힌지링크(92)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갱폼유닛(7)을 인양하더라도 수직웨일러(5)가 후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링크(92) 상면 위치의 힌지박스(91) 양측면에 제1고정홀(93)을 관통 형성하고, 갱폼유닛(7)의 높이 조절시 제1고정홀(93)에 고정핀(P2)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도 8, 도 9).
그러므로 상기 갱폼유닛(7)의 높이 조절시, 갱폼유닛(7)과 수직웨일러(5)가 수평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하여 거푸집패널(71) 하부의 볼트 체결공(미도시)을 앵커볼트(11) 위치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웨일러(5)에는 수직웨일러(5)가 힌지박스(91)의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3)는 힌지박스(91)의 상단에 걸려 수직웨일러(5)가 일정 깊이 이상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 10은 연결구 및 수직웨일러에 고정핀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8)의 하강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8) 및 연결구(8) 양측의 형강재(50)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82, 52)이 각각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홀(82, 52)에는 고정핀(P2)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핀홀(81)이나 제2핀홀(51) 중 어느 하나가 상하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갱폼유닛(7)과 수직웨일러(5) 사이 수직 변위가 허용되므로, 갱폼유닛(7)의 탈형을 위해 갱폼유닛(7) 인양시 허용되는 수직 변위 범위 내에서 수직웨일러(5)는 움직이지 않고 갱폼유닛(7)만 상승한다.
그런데 이 경우 거푸집패널(71)이 콘크리트 면에 평행한 면으로 이동하므로 거푸집패널(71)과 콘크리트 면의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갱폼유닛(7)의 탈형을 위해 갱폼유닛(7) 인양시, 인양 초기부터 갱폼유닛(7)이 수평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갱폼유닛(7)을 수직웨일러(5)에 고정하여 수직 방향 상대 변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구(8)와 수직웨일러(5)에 제2고정홀(82, 52)을 형성하여 탈형 시점에 제2고정홀(82, 52)에 고정핀(P2)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P2)은 갱폼유닛(7)의 높이 조절 작업시에는 제거하여 갱폼유닛(7)의 수직 방향 상대 변위가 허용되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홀(93)에 삽입되는 고정핀(P2)과 제2고정홀(82, 52)에 삽입되는 고정핀(P2)은 동일한 고정핀을 사용하여 힌지링크(92)와 연결구(8)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지압고정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지압고정플레이트에 의해 연결구의 수직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8)의 하강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핀홀(51)이 상하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강재(50) 외측면의 제2핀홀(51) 양측에는 수평 방향의 세레이션(51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P1)에는 상기 형강재(50)의 세레이션(510)에 치합되도록 대응되는 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지압고정플레이트(54)가 결합되어 고정너트(N)의 조임에 의해 가이드핀(P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8)의 제2고정홀(82)과 수직웨일러(5)의 형강재(50)에 형성된 제2고정홀(52)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2고정홀(82, 52)들을 관통하여 고정핀(P2)을 고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홀(82, 52)을 대체하여, 수직웨일러(5)의 형강재(50)에 구비된 제2핀홀(51)을 상하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하는 한편, 장공의 좌우에는 수평 방향의 세레이션(5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강재(50)의 외측에서 세레이션(510)에 치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세레이션이 형성된 지압고정플레이트(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P1)은 지압고정플레이트(54)를 관통하여 고정너트(N)가 체결됨으로써, 고정너트(N)의 조임에 의해 지압고정플레이트(54) 및 가이드핀(P1)의 수직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공인 제2핀홀(51)의 수직 허용 거리 이내에서 가이드핀(P1) 및 연결구(8)가 어느 위치에 있든 연결구(8)와 수직웨일러(5)의 수직 상대 변위를 자유롭게 제한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와 수직웨일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높이고정바에 의한 수직웨일러와 수평웨일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은 갱폼 상승시 높이고정바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갱폼 하강시 높이고정바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8)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웨일러(5)의 전면에는 수평웨일러(6)의 하부 위치에 가이드너트(55)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너트(55)에는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부가 수평웨일러(6)를 관통하는 높이고정바(56)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높이고정바(56)에는 수평웨일러(6)의 하부 위치에 수평웨일러(6)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너트(57)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웨일러(6)의 상부 위치에 수평웨일러(6)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해 높이고정바(56)의 체결홀(561)에 체결되는 체결핀(58)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는 높이고정바(56)가 구비된 경우 연결구(8)와 수직웨일러(5)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것으로, 연결구(8)의 수직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수직웨일러(5)의 전면 측에는 가이드너트(55)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너트(55)는 수평웨일러(6)의 하부에 수평웨일러(6)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너트(55)는 원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너트(55)의 내부에는 높이고정바(56)가 나사 결합된다. 이에 상기 높이고정바(56)를 회전시켜 높이고정바(5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고정바(56)는 상부가 수평웨일러(6)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높이고정바(56)에는 수평웨일러(6)의 하부 위치에 지지너트(5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너트(57)는 용접 등에 의해 높이고정바(56)에 고정 가능하며, 수평웨일러(6)의 하면을 지지한다. 이에 상기 수평웨일러(6)는 지지너트(57)에 걸려 하부로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높이고정바(56)는 수평웨일러(6)의 상부 위치에 체결홀(56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561)에 체결핀(58)이 삽입되며, 체결핀(58)이 수평웨일러(6)의 상면에 걸려 지지된다. 이에 상기 수평웨일러(6)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갱폼 상승시 높이고정바(56)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높이고정바(56)에서 체결핀(58)을 제거한다. 그리고 타워 크레인 등으로 갱폼유닛(7)을 인양하면 수평웨일러(6)와 연결구(8)가 상승한다(도 16).
이후, 상기 높이고정바(56)를 회전시켜 지지너트(57)가 수평웨일러(6)의 하면에 맞닿을 때까지 높이고정바(56)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높이고정바(56)의 체결홀(561)에 체결핀(58)을 삽입하여 체결핀(58)이 수평웨일러(6)의 상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평웨일러(6)의 위치를 고정한다(도 17).
아울러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여 갱폼 하강시 높이고정바(56)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높이고정바(56)에서 체결핀(58)을 제거한다. 그리고 높이고정바(56)를 회전시켜 지지너트(57)가 수평웨일러(6)의 하부와 충분히 이격되도록 높이고정바(56)를 하강시킨다(도 18).
이후, 타워 크레인 등으로 갱폼유닛(7)을 하강시키면 수평웨일러(6)와 연결구(8)가 하강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고정바(56)의 높이를 미세 조정하여 지지너트(57)가 수평웨일러(6)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체결홀(561)에 체결핀(58)을 체결하여 수평웨일러(6)의 위치를 고정한다(도 19).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가이드레일(3)은 (n-2)층 외벽(1)과 (n-1)층 외벽(1) 상부 전면에 설치된 레일안착슈(4)에 고정되고, 수직웨일러(5)와 수평웨일러(6) 및 갱폼유닛(7)은 (n)층에 설치된 상기 상승식 갱폼 시스템(2)을 1개 층 상승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a) 상기 힌지박스(91)의 제1고정홀(93)에 체결된 고정핀(P2)을 제거하고, 상기 연결구(8) 및 수직웨일러(5)의 제2고정홀(82, 52)에 고정핀(P2)을 체결하는 단계; (b) 상기 갱폼유닛(7)을 인양하여 갱폼유닛(7)과 수직웨일러(5) 및 수평웨일러(6)를 상향 외측으로 경사 이동시킴으로써 (n)층 외벽(1)으로부터 갱폼유닛(7)의 거푸집패널(71)을 탈형하는 단계; (c) 상기 갱폼유닛(7)을 더 인양하여 갱폼 시스템(2)을 1개 층 상승시켜 가이드레일(3)을 (n-1)층 외벽(1)과 (n)층 외벽(1) 상부 전면에 설치된 레일안착슈(4)에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연결구(8) 및 수직웨일러(5)의 제2고정홀(82, 52)에 체결된 고정핀(P2)을 제거하고, 상기 힌지박스(91)의 제1고정홀(93)에 고정핀(P2)을 체결하는 단계; 및 (e) 상기 갱폼유닛(7)의 높이를 조절하여 (n)층 외벽(1) 상부 내부에 매립된 앵커볼트(11)에 갱폼유닛(7)을 고정하는 단계; 로 구성된다.
본 발명 상승식 갱폼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서는 먼저, (a) 상기 힌지박스(91)의 제1고정홀(93)에 체결된 고정핀(P2)을 제거하고, 상기 연결구(8) 및 수직웨일러(5)의 제2고정홀(82, 52)에 고정핀(P2)을 체결한다(도 20).
상기 (a) 단계는 (n)층 외벽 콘크리트 타설 후 갱폼 탈형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이드레일(3)은 (n-2)층과 (n-1)층의 2개 층에 구비되는 것으로, (n-2)층과 (n-1)층의 외벽(1) 상부에 구비된 레일안착슈(4)에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제1고정홀(93)에서 고정핀(P2)을 제거하여 힌지링크(92)의 회전을 허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홀(82, 52)에 고정핀(P2)을 체결하여 갱폼 유닛(7)과 수직웨일러(5)를 고정함으로써, 갱폼유닛(7)의 수직 상대 변위를 제한한다.
다음으로, (b) 상기 갱폼유닛(7)을 인양하여 갱폼유닛(7)과 수직웨일러(5) 및 수평웨일러(6)를 상향 외측으로 경사 이동시킴으로써 (n)층 외벽(1)으로부터 갱폼유닛(7)의 거푸집패널(71)을 탈형한다(도 21).
상기 (b) 단계에서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갱폼유닛(7)을 인양하여 (n)층 외벽(1)으로부터 갱폼을 탈형한다.
즉, 크레인을 갱폼유닛(7)에 연결한 후 크레인으로 갱폼유닛(7)을 인양한다. 그러면 수직웨일러(5)의 상승에 따라 힌지링크(92)가 외측으로 회전하여 수직웨일러(5)와 갱폼유닛(7)이 외측 상향으로 경사 이동하여 탈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홀(82, 52)에 고정핀(P2)이 체결되어 갱폼유닛(7)과 수직웨일러(5)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갱폼유닛(7)의 인양과 함께 수직웨일러(5)가 상승한다. 그런데 수직웨일러(5)는 힌지링크(92)에 의해 가이드레일(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직웨일러(5)가 상승하면서 힌지링크(92)가 상향 회전하여 수직웨일러(5) 및 수직웨일러(5)에 고정된 갱폼유닛(7)이 상향 외측으로 후퇴와 동시에 상승하여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타워크레인을 더욱 인양하면 힌지링크(92)에 인장력이 걸리면서 가이드레일(3)도 함께 상승하여 (n+1)층으로 1개 층 상향 이동한다.
그리고 (c) 상기 갱폼유닛(7)을 더 인양하여 갱폼 시스템(2)을 1개 층 상승시켜 가이드레일(3)을 (n-1)층 외벽(1)과 (n)층 외벽(1) 상부 전면에 설치된 레일안착슈(4)에 고정한다(도 22).
한 쌍의 형강재(30)로 구성되는 가이드레일(3)에서 형강재(30) 사이에는 레일안착슈(4) 위치에 고정볼트(31)가 결합된다.
상기 레일안착슈(4)는 수평 상태에서 상부로만 회전하고 하부로는 회전이 제한되며, 자중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갱폼 시스템(2)을 인양하여 고정볼트(31)를 레일안착슈(4)보다 상부로 상승시키면, 고정볼트(31)에 밀려 상부로 회전했던 레일안착슈(4)가 자중에 의해 다시 하향 회전하여 수평 상태로 복귀한다. 이후, 갱폼 시스템(2)을 하강시키면, 고정볼트(31)가 레일안착슈(4)의 상부에 거치되어 가이드레일(3)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후, (d) 상기 연결구(8) 및 수직웨일러(5)의 제2고정홀(82, 52)에 체결된 고정핀(P2)을 제거하고, 상기 힌지박스(91)의 제1고정홀(93)에 고정핀(P2)을 체결한다(도 23).
상기 (d) 단계에서는 제2고정홀(82, 52)에서 고정핀(P2)을 제거하고, 제1고정홀(93)에 고정핀(P2)을 체결한다.
상기 제2고정홀(82, 52)에서 고정핀(P2)이 제거되면 갱폼유닛(7)의 수직 상대 변위가 허용된다.
상기 레일안착슈(4)에 가이드레일(3)이 안착된 상태에서 갱폼유닛(7)을 더 하강시키면, 수직웨일러(5)도 같이 하강하면서 힌지링크(92)가 하향 회전하여 수평 상태를 이룬다. 즉, 상기 힌지링크(92)가 제1고정홀(93)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이후, 상기 힌지링크(92) 상부의 제1고정홀(93)에 고정핀(P2)을 체결한다.
이에 따라 힌지링크(92)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갱폼유닛(7) 상승시에도 수직웨일러(5)가 상향 외측으로 경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e) 상기 갱폼유닛(7)의 높이를 조절하여 (n)층 외벽(1) 상부 내부에 매립된 앵커볼트(11)에 갱폼유닛(7)을 고정한다.
상기 (e) 단계에서는 갱폼유닛(7)의 높이를 조절하는 레벨링 단계가 실시된다.
상기 제2고정홀(82, 52)에서 고정핀(P2)이 제거되었으므로, 갱폼유닛(7)을 미세 상승시켜 레벨링할 때 수직웨일러(5)는 갱폼유닛(7)을 따라 같이 수직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고정홀(93)에 고정핀(P2)이 체결되어 수직웨일러(5)의 수평 변위가 제한되므로, 갱폼유닛(7)은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수평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아 경사 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갱폼유닛(7)의 거푸집패널(71) 하부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의 위치를 앵커볼트(11)의 위치에 쉽게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고정홀(93)에서 제거된 고정핀(P2)을 제2고정홀(82, 52)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즉, 동일한 고정핀(P2)을 이용하여 제1고정홀(93)과 제2고정홀(82, 52)을 순차적으로 체결함으로써, 힌지링크(92)와 연결구(8)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실수하여 제1고정홀(93)과 제2고정홀(82, 52)에 모두 고정핀(P2) 체결을 누락하거나, 모두 고정핀(P2)을 체결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외벽 11: 앵커볼트
2: 갱폼 시스템 3: 가이드레일
30: 형강재 31: 고정볼트
4: 레일안착슈 5: 수직웨일러
50: 형강재 51: 제2핀홀
510: 세레이션 52: 제2고정홀
53: 스토퍼 54: 지압고정플레이트
55: 가이드너트 56: 높이고정바
561: 체결홀 57: 지지너트
58: 체결핀 6: 수평웨일러
7: 갱폼유닛 71: 거푸집패널
72: 작업케이지 8: 연결구
81: 제1핀홀 82: 제2고정홀
9: 회전구 91: 힌지박스
92: 힌지링크 921: 제1힌지축
922: 제2힌지축 93: 제1고정홀
N: 고정너트 P1: 가이드핀
P2: 고정핀

Claims (8)

  1. 하부층 외벽(1)의 레일안착슈(4)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
    상기 가이드레일(3)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한 쌍의 형강재(50)로 구성되는 수직웨일러(5);
    상기 수직웨일러(5)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웨일러(6);
    상기 수평웨일러(6)의 전면에 결합되는 갱폼유닛(7); 및
    상기 수평웨일러(6)와 수직웨일러(5)를 연결하는 것으로 수평웨일러(6)의 수평 변위는 제한하고, 수직 변위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하는 연결구(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구(8)는 일측이 수평웨일러(6)의 외측에 고정되고, 측면을 관통하는 제1핀홀(81)이 형성되어 수직웨일러(5)의 형강재(5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8) 양측의 형강재(50)에는 상기 제1핀홀(8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51)이 형성되어 제2핀홀(51)과 제1핀홀(81)을 관통하는 가이드핀(P1)에 의해 연결구(8)가 수직웨일러(5)와 결합되되,
    상기 제1핀홀(81)과 제2핀홀(51)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연결구(8)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하가 개방되어 상기 수직웨일러(5)의 하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의 상부 외측에 고정되는 힌지박스(91) 및 상기 힌지박스(91)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측의 제1힌지축(921)은 힌지박스(91)에 힌지 결합하고, 내측의 제2힌지축(922)은 수직웨일러(5)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링크(92)로 구성되는 회전구(9)에 의해 상기 수직웨일러(5)가 가이드레일(3)과 결합되되,
    상기 힌지링크(9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힌지박스(91)의 양측면에는 힌지링크(92)의 상면 위치에 제1고정홀(9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93)에는 고정핀(P2)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연결구(8)의 하강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8) 및 연결구(8) 양측의 형강재(50)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82, 52)이 각각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홀(82, 52)에는 고정핀(P2)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연결구(8)의 하강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핀홀(51)이 상하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강재(50) 외측면의 제2핀홀(51) 양측에는 수평 방향의 세레이션(51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P1)에는 상기 형강재(50)의 세레이션(510)에 치합되도록 대응되는 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지압고정플레이트(54)가 결합되어 고정너트(N)의 조임에 의해 가이드핀(P1)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
  6. 제3항에서,
    상기 연결구(8)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웨일러(5)의 전면에는 수평웨일러(6)의 하부 위치에 가이드너트(55)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너트(55)에는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부가 수평웨일러(6)를 관통하는 높이고정바(56)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높이고정바(56)에는 수평웨일러(6)의 하부 위치에 수평웨일러(6)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너트(57)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웨일러(6)의 상부 위치에 수평웨일러(6)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해 높이고정바(56)의 체결홀(561)에 체결되는 체결핀(5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
  7. 가이드레일(3)은 (n-2)층 외벽(1)과 (n-1)층 외벽(1) 상부 전면에 설치된 레일안착슈(4)에 고정되고, 수직웨일러(5)와 수평웨일러(6) 및 갱폼유닛(7)은 (n)층에 설치된 제4항에 의한 상승식 갱폼 시스템을 1개 층 상승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a) 상기 힌지박스(91)의 제1고정홀(93)에 체결된 고정핀(P2)을 제거하고, 상기 연결구(8) 및 수직웨일러(5)의 제2고정홀(82, 52)에 고정핀(P2)을 체결하는 단계;
    (b) 상기 갱폼유닛(7)을 인양하여 갱폼유닛(7)과 수직웨일러(5) 및 수평웨일러(6)를 상향 외측으로 경사 이동시킴으로써 (n)층 외벽(1)으로부터 갱폼유닛(7)의 거푸집패널(71)을 탈형하는 단계;
    (c) 상기 갱폼유닛(7)을 더 인양하여 갱폼 시스템(2)을 1개 층 상승시켜 가이드레일(3)을 (n-1)층 외벽(1)과 (n)층 외벽(1) 상부 전면에 설치된 레일안착슈(4)에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연결구(8) 및 수직웨일러(5)의 제2고정홀(82, 52)에 체결된 고정핀(P2)을 제거하고, 상기 힌지박스(91)의 제1고정홀(93)에 고정핀(P2)을 체결하는 단계; 및
    (e) 상기 갱폼유닛(7)의 높이를 조절하여 (n)층 외벽(1) 상부 내부에 매립된 앵커볼트(11)에 갱폼유닛(7)을 고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의 시공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고정홀(93)에서 제거된 고정핀(P2)을 제2고정홀(82, 52)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갱폼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20210099963A 2021-07-29 2021-07-29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0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63A KR102603719B1 (ko) 2021-07-29 2021-07-29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63A KR102603719B1 (ko) 2021-07-29 2021-07-29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47A true KR20230018147A (ko) 2023-02-07
KR102603719B1 KR102603719B1 (ko) 2023-11-16

Family

ID=8522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63A KR102603719B1 (ko) 2021-07-29 2021-07-29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7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922A (ko) * 2007-11-09 2009-05-13 김상석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KR101574466B1 (ko) * 2015-02-02 2015-12-0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갱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922A (ko) * 2007-11-09 2009-05-13 김상석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KR101574466B1 (ko) * 2015-02-02 2015-12-0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갱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719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403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
CN106812120B (zh) 液压自升桁架式悬臂重型拱坝模板系统
US3782061A (en)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with improved post tensioning means
EP2365159B1 (en)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KR20130061127A (ko) 조절 가능한 거푸집 클라이머
KR20180127066A (ko) 시스템 동바리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1710536B1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230066338A (ko) 폼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0665340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KR102387167B1 (ko)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KR20230018147A (ko)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69434B1 (ko) 갱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69702B1 (ko)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KR20110105489A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KR101520833B1 (ko) 가변형 철골계단 선행공법형 지지시스템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101021945B1 (ko) 수직구 성형용 강재 거푸집
CN113015833B (zh) Alphadeck-大面积平板模板系统
KR102207137B1 (ko) 이동식 거푸집
CN106812122B (zh) 液压自升悬臂重型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