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322B1 -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322B1
KR102213322B1 KR1020197013070A KR20197013070A KR102213322B1 KR 102213322 B1 KR102213322 B1 KR 102213322B1 KR 1020197013070 A KR1020197013070 A KR 1020197013070A KR 20197013070 A KR20197013070 A KR 20197013070A KR 102213322 B1 KR102213322 B1 KR 10221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hole
core
divided iron
back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827A (ko
Inventor
사토루 나카다
아키라 하시모토
가즈토시 야마조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7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inn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alient poles or claw-shaped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전기자는, 둘레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철심을 갖는 환상의 전기자 철심과,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끼리에 걸쳐져 마련되는 수지제의 성형체를 구비하고 있다. 각 분할 철심은, 제 1 관통 구멍이 마련된 백 요크부와, 백 요크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티스부를 갖고 있다. 성형체는,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에 마련된 제 1 성형부와,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타단부면에 마련된 제 2 성형부와, 제 1 관통 구멍에 마련되며, 제 1 성형부 및 제 2 성형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환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할 철심을 갖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자인 스테이터를 환상의 로터의 내측에 배치한 아우터 로터형의 회전 전기가 알려져 있다. 아우터 로터형의 회전 전기에서는, 전기자 철심의 백 요크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티스에 코일이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종래, 코일의 도선을 티스에 감을 때의 턴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전기자 철심을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티스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철심을 개별적으로 제작하고, 각 분할 철심을 환상으로 연결한 전기자 철심이 제안되어 있다. 각 분할 철심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끼리는, 한쪽의 분할 철심의 오목부와 다른쪽의 분할 철심의 볼록부가 끼워맞추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자 철심에서는, 각 분할 철심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티스에 코일의 도선을 감을 수 있어서, 코일의 턴 수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159170 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회전 전기에서는, 각 분할 철심의 티스에 코일을 마련한 후에, 오목부와 볼록부를 압입에 의해 끼워맞추어 각 분할 철심을 연결하지 않으면 안되어, 전기자 철심의 조립 작업에 수고와 시간이 들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전기의 전기자는, 둘레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철심을 갖는 환상의 전기자 철심, 및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끼리에 걸쳐져 마련되는 수지제의 성형체를 구비하고, 각 분할 철심은, 백 요크부와, 백 요크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티스부를 갖고, 각 백 요크부에는, 제 1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성형체는,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에 마련된 제 1 성형부와,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타단부면에 마련된 제 2 성형부와, 제 1 관통 구멍에 마련되며, 제 1 성형부 및 제 2 성형부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각 분할 철심끼리가 멀어지는 것을 성형체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분할 철심끼리를 연결하는 작업의 수고와 시간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의 다른 한쪽측으로부터 수지를 주입하는 것만으로도, 제 1 관통 구멍을 통하여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양측에 수지를 주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일단부면 및 축선방향 타단부면의 각각에 성형체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기자 철심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할 철심 연결체에 코일을 마련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기자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XIV-X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전기자 철심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1)는 회전 전기인 모터(2)와, 모터(2)에 마련되어 있는 시브(3)를 갖고 있다. 시브(3)의 외주부에는, 카 및 균형추를 매다는 복수의 로프가 감겨져 있다. 또한, 시브(3)의 외주부에는, 로프가 끼이는 복수의 홈이 시브(3)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모터(2)는 스테이터로서의 통형상의 전기자(4)와, 전기자(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통형상의 로터(5)와, 전기자(4) 및 로터(5)를 지지하는 하우징(6)과, 하우징(6)에 마련되며 로터(5)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7)와, 전기자(4)에 대한 로터(5)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기(8)를 갖고 있다.
하우징(6)은 모터(2)의 축선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주축(6a)과, 주축(6a)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외통부(6b)와, 주축(6a)과 외통부(6b)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통형상의 내통부(6c)를 갖고 있다. 외통부(6b) 및 내통부(6c)는 주축(6a)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기자(4)는 외통부(6b)와 내통부(6c)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전기자(4)의 내주면은 내통부(6c)의 외주면에 끼워맞춰있다. 전기자(4)는 복수의 볼트(10)에 의해 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볼트(10)로서 육각 구멍을 갖는 볼트가 이용되어 있다.
로터(5)는 주축(6a)에 베어링(9)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로터 본체(51)와, 로터 본체(51)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영구 자석(52)을 갖고 있다.
로터 본체(51)는 통형상의 소경부(51a)와, 소경부(51a)보다 큰 외경을 갖는 통형상의 대경부(51b)와, 소경부(51a)와 대경부(51b)를 연결하는 연결부(51c)를 갖고 있다.
베어링(9)은 주축(6a)과 소경부(51a) 사이에 끼워맞춰있다. 따라서, 베어링(9)의 내륜은 주축(6a)의 외주면에 끼워맞춰있고, 베어링(9)의 외륜은 로터 본체(51)의 소경부(51a)의 내주면에 끼워맞춰있다. 시브(3)는 소경부(51a)의 외주면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로터 본체(51)에 고정되어 있다. 시브(3)는 주축(6a)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로터 본체(51)와 일체로 회전한다.
대경부(51b)는 외통부(6b)와 전기자(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영구 자석(52)은 대경부(51b)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나열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영구 자석(52)은 전기자(4)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영구 자석(52)은 전기자(4)와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7)는 로터 본체(51)의 대경부(51b)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7)는 대경부(51b)의 외주면에 접촉하거나 대경부(51b)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제동(制動) 부재인 미도시의 브레이크 패드를 갖고 있다. 로터(5) 및 시브(3)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은 브레이크 패드가 대경부(51b)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로터(5) 및 시브(3)에 부여된다. 또한, 로터(5) 및 시브(3)에 부여되어 있는 제동력은, 브레이크 패드가 대경부(51b)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의해 없어진다.
회전 검출기(8)는 주축(6a)에 장착되어 있는 검출기용 고정자(81)와, 로터 본체(51)의 소경부(51a)에 장착되어 있는 환상의 검출기용 회전자(82)를 갖고 있다. 검출기용 고정자(81)는 검출기용 회전자(8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검출기용 고정자(81)는 검출기용 회전자(82)의 회전 위치를 로터(5)의 회전 위치로서 검출한다. 로터(5)의 회전 위치의 정보는, 회전 검출기(8)로부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전달된다.
도 3은 도 1의 전기자(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전기자(4)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전기자 철심(41)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4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전기자(4)는 환상의 전기자 철심(41)과, 전기자 철심(41)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코일(42)과, 복수의 코일(42)보다 직경방향 내측에서 전기자 철심(41)에 마련되어 있는 수지제의 성형체(43)를 갖고 있다.
전기자 철심(41)은 둘레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철심(45)을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개의 분할 철심(45)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분할 철심 연결체(44)가 구성되고, 3개의 분할 철심 연결체(44)를 환상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환상의 전기자 철심(41)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18개의 분할 철심(45)이 1개의 전기자 철심(41)에 포함되어 있다.
각 분할 철심(45)은 편평한 백 요크부(46)와, 백 요크부(46)의 중간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티스부(47)를 갖고 있다. 복수의 분할 철심(45)은 백 요크부(46)끼리를 순차 연결시킨 상태에서 환상으로 나열하고 있다. 전기자 철심(41)의 내주면은 각 분할 철심(45)의 백 요크부(4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티스부(47)에는, 코일(42)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코일(42)은 코일(42)의 도선이 티스부(47)에 감긴 상태에서 티스부(47)에 마련되어 있다.
각 분할 철심(4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6a)의 축선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판 형상의 코어편(45a)을 갖고 있다. 각 분할 철심(45)의 백 요크부(46)에 있어서의 각 코어편(45a)의 둘레방향 양단부는 연결용 단부로 되어 있다. 전기자 철심(4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45)의 각각의 백 요크부(46) 중, 한쪽의 백 요크부(46)의 코어편(45a)의 연결용 단부와, 다른쪽의 백 요크부(46)의 코어편(45a)의 연결용 단부가, 축선방향으로 교대로 중첩되며, 또한, 서로 중첩되는 연결용 단부끼리가 연결축(10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45)은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을 따른 연결축(10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코어편(45a)의 교대로 중첩되는 연결용 단부를 관통하는 연결축(101)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45)의 각각의 백 요크부(46)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분할 철심(45)의 백 요크부(46)의 각각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관통 구멍(103)과, 제 1 관통 구멍(103)과 상이한 제 2 관통 구멍(102)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관통 구멍(103) 및 제 2 관통 구멍(102)은 백 요크부(46)를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 1 관통 구멍(103)이 제 2 관통 구멍(102)으로부터 멀어져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 1 관통 구멍(103)의 내경이 제 2 관통 구멍(102)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 2 관통 구멍(102)이 제 1 관통 구멍(103)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제 2 관통 구멍(102) 중,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이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다. 볼트 통과 구멍으로서의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에는, 하우징(6)에 고정된 볼트(10)가 통과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분할 철심(45)에 1개씩 마련된 18개의 제 2 관통 구멍(102) 중, 6개의 제 2 관통 구멍(102)이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분할 철심(4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백 요크부(46)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어편(45a)끼리를 고정하는 복수의 용접부(48)가 복수의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각 용접부(48)는 전기자 철심(41)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는 6개의 제 2 관통 구멍(102)의 둘레방향의 위치에 맞추어 6개의 용접부(48)가 전기자 철심(41)에 마련되어 있다.
성형체(43)는 몰드 성형에 의해 전기자 철심(41)에 마련되어 있다. 즉, 성형체(43)는 전기자 철심(41)과 일체로 되어 있는 몰드 성형체이다. 전기자(4)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성형체(43)의 형상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자 철심(4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되는 환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성형체(43)는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45)끼리에 걸쳐져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체(43)는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45)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성형체(4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에 마련된 제 1 성형부(43a)와,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타단부면에 마련된 제 2 성형부(43b)와, 제 1 관통 구멍(103)에 마련되며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 사이에 마련된 연결부(43c)를 갖고 있다.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의 각각의 형상은 전기자 철심(4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되는 환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43c)는 각 제 1 관통 구멍(103)의 각각에 충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43c)는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각 제 1 관통 구멍(103)의 각각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부(43c)는 공통된 제 1 성형부(43a) 및 공통된 제 2 성형부(43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성형체(43)는 각 분할 철심(45)의 백 요크부(46)에 제 2 관통 구멍(102)을 피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체(43)는 코일(42)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전기자(4)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코일(42)과 각 제 2 관통 구멍(103) 사이를 통과하는 환상의 영역에만 성형체(43)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기자(4)가 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백 요크부(46)의 표면의 일부가 하우징(6)에 접촉하고 있으며, 각 백 요크부(46)의 하우징(6)에 접촉하는 면이, 성형체(43)로 덮이지 않고 하우징 장착면으로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각 분할 철심(45)에서는, 티스부(47)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면도 성형체(43)로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다음에, 전기자(4)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강판을 금형으로 펀칭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코어편(45a)을 제작한다. 각 코어편(45a)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코어편(45a)의 연결용 단부에 돌기 및 움푹부가 마련된다. 그 후, 6개의 코어편(45a)을 나열한 코어편 배열층을 복수 중첩하여 적층한다. 이 때, 각 코어편(45a)의 연결용 단부가 적층 방향으로 교대로 중첩되도록 복수의 코어편 배열층을 적층한다. 그 후, 교대로 중첩되는 연결용 단부끼리를 연결축(101)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서로 중첩되는 연결용 단부 중, 한쪽의 연결용 단부의 돌기와, 다른쪽의 연결용 단부의 움푹부를 서로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돌기를 연결축(101)으로 하여 연결용 단부끼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의해, 6개의 분할 철심(45)이 연결된 분할 철심 연결체(44)가 완성된다.
그 후, 분할 철심 연결체(44)에 있어서의 각 분할 철심(45)의 티스부(47)에 코일(42)을 마련한다.
도 6은 도 5의 분할 철심 연결체(44)에 코일(42)을 마련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분할 철심 연결체(44)의 각 티스부(47)에 코일(42)을 마련할 때에는,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47)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연결축(101)의 축선을 중심으로 분할 철심(45)을 회동시켜, 분할 철심 연결체(44)를 전개시킨다. 그 후, 권선기(104)의 권선 노즐을 이동시키면서, 코일(42)의 도선을 티스부(47)에 감는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티스부(47)에 코일(42)을 개별적으로 마련한다.
그 후, 전체 티스부(47)에 코일(42)을 마련한 3개의 분할 철심 연결체(44)를 환상으로 나열한 상태에서, 분할 철심 연결체(44)끼리를 연결축(101)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의해, 18개의 코일(42)이 마련된 환상의 전기자 철심(41)이 완성된다.
그 후, 전기자 철심(41)의 내주면에 대하여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는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의 둘레방향의 위치에 맞추어 복수의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용접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전기자 철심(41)의 내주면에 복수의 용접부(48)가 마련된다.
그 후, 전기자 철심(41)에 대해 수지에 의한 몰드 성형을 실행한다. 이 때, 전기자 철심(41)의 축선방향 일단부면 및 축선방향 타단부면 중, 한쪽편으로부터만 전기자 철심(41)에 수지를 주입한다. 전기자 철심(41)의 한쪽편으로부터 주입된 수지는, 각 제 1 관통 구멍(103)을 통하여, 전기자 철심(41)의 다른쪽편, 즉 주입측과 반대측으로 나온다. 이에 의해, 전기자 철심(41)의 축선방향 일단부면 및 축선방향 타단부면의 각각에 성형체(43)가 마련된다. 즉, 성형체(43)를 전기자 철심(41)과 일체로 몰드 성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18개의 코일(42)이 마련된 전기자 철심(41)에 수지제의 성형체(43)가 일체로 마련되어져, 전기자(4)가 완성된다.
그 후, 하우징(6)의 내통부(6c)의 외주면에 전기자(4)를 끼워맞춘 후, 볼트 통과 구멍으로서의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을 통과한 복수의 볼트(10)를 하우징(6)에 장착한다. 이에 의해, 전기자(4)가 하우징(6)에 고정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코일(42)로의 급전이 실행되면, 전기자(4)에 회전 자계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로터(5) 및 시브(3)가 주축(6a)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시브(3)가 회전하면, 카 및 균형추가 시브(3)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브(3) 및 로터(5)가 주축(6a)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시브(3) 및 로터(5)의 회전에 따라서 검출기용 회전자(82)가 검출기용 고정자(81)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검출기용 회전자(82)의 회전 위치가 검출기용 고정자(81)에 의해 시브(3) 및 로터(5)의 회전 위치로서 검출되고, 시브(3) 및 로터(5)의 회전 위치의 정보가 검출기용 고정자(81)로부터 제어 장치로 이송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검출기용 고정자(81)로부터 제어 장치로 이송된 시브(3) 및 로터(5)의 회전 위치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이와 같은 회전 전기의 전기자(4)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45)끼리에 수지제의 성형체(43)가 걸쳐져 마련되어 있으므로, 각 분할 철심(45)끼리가 멀어지는 것을 성형체(43)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와 볼록부를 압입에 의해 끼워맞추는 작업이 없어지므로, 오목부 및 볼록부를 정밀도 양호하게 가공하는 작업을 없앨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분할 철심(45)끼리를 연결하는 작업의 수고와 시간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각 분할 철심(45)의 백 요크부(46)에 제 1 관통 구멍(103)이 마련되며, 성형체(43)의 연결부(43c)가 제 1 관통 구멍(103)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수지를 주입하는 것만으로도, 제 1 관통 구멍(103)을 통해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의 양측으로 수지를 주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일단부면 및 축선방향 타단부면의 각각에 성형체(43)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자(4)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관통 구멍(103)에 마련된 연결부(43c)를 거쳐서 제 1 성형부(43a)와 제 2 성형부(43b)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분할 철심(45)이 축선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전기자(4)를 하우징(6)에 고정하는 볼트(10)가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분할 철심(45)에서는, 복수의 코어편(45a)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수 ㎛ 내지 수십 ㎛의 적층 간극이 각 코어편(45a) 사이에 생겨 있다. 따라서, 통상, 분할 철심(45)은 볼트(10)의 체결력에 의해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으로 수축하는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더욱 수축된다. 분할 철심(45)이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으로 수축되면, 볼트(10)가 느슨해지기 쉬워져 버려, 각 코어편(45a)끼리가 진동하기 쉬워져 버린다. 이에 의해, 전기자(4)가 진동에 대해 약해져 버린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4)에서는, 각 분할 철심(45)의 강도가 수지제의 성형체(43)에 의해 높아져 있으므로, 분할 철심(45)이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볼트(10)의 느슨함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코어편(45a)끼리를 진동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서, 전기자(4)를 진동에 대해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성형체(43)는 전기자 철심(41)과 일체로 되어 있는 몰드 성형체이므로, 성형체(43)를 몰드 성형에 의해 전기자 철심(41)에 마련할 수 있어서, 전기자(4)의 제조를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할 철심(4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백 요크부(46)에는, 복수의 코어편(45a)끼리를 고정하는 용접부(48)가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으므로,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에 대한 분할 철심(45)의 강도를 용접부(48)에 의해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에 대한 분할 철심(45)의 수축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서, 제 2 관통 구멍(102)을 통과한 볼트(10)가 느슨해져 분할 철심(45)이 진동하기 쉬워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접부(48)가 전기자 철심(41)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접부(48)에 의한 분할 철심(45)의 비틀림이 모터(2)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45)의 각각의 백 요크부(46) 중, 한쪽의 백 요크부(46)의 연결용 단부와, 다른쪽의 백 요크부(46)의 연결용 단부가 축선방향으로 교대로 중첩되며, 또한 서로 중첩되는 연결용 단부끼리가 연결축(10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분할 철심(45)끼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분할 철심(45)의 티스부(47)에 코일(42)의 도선을 감을 때에, 티스부(47)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분할 철심(45)끼리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티스부(47)에 마련되는 코일(42)의 턴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42)을 티스부(47)에 마련하기 전에 복수의 분할 철심(45)끼리를 미리 연결해 둘 수 있으므로, 전기자 철심(41)을 조립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티스부(47)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면은, 성형체(43)에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로터(5)의 각 영구 자석(52)과 전기자(4) 사이의 간극 치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자(4)와 로터(5) 사이에서의 조립 정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모터(2)의 제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백 요크부(46)의 표면의 일부는 하우징 장착면으로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기자(4)를 하우징(6)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전기자 철심(41)과 하우징(6) 사이에 성형체(43)를 개재시키지 않고 전기자 철심(41)을 하우징(6)에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모터(2)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코일(4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동손(copper loss), 및 전기자 철심(41)에 흐르는 자속에 의한 철손(iron loss)에 의해 전기자(4)가 발열된다. 전기자(4)가 고온이 되면, 모터(2)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자 철심(41)을 하우징(6)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자(4)에서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6)에 효과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어서, 모터(2)가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분할 철심(45)의 티스부(47)는 백 요크부(46)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환상의 로터(5)의 내측에 전기자(4)를 배치한 아우터 로터형의 모터(2)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터(5)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7)를 로터(5)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할 수 있어서, 보수원이 브레이크(7)의 유지 보수 작업을 실행할 때에 브레이크(7)로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의 보수 대상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브(3) 및 브레이크(7)를 예로 들 수 있다. 브레이크의 종류로서는, 로터(5)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외접식의 브레이크와, 로터(5)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내부확장식의 브레이크가 있다. 내부확장식의 브레이크는, 로터(5)의 내측에 브레이크가 배치되기 때문에, 브레이크와 시브(3)를 역 방향으로 보수할 필요가 있어, 브레이크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의 부담이 커져 버린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터(2)에서는, 로터(5)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외접식의 브레이크(7)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시브(3) 및 브레이크(7)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동일한 방향으로 실행할 수 있어서, 모터(2)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수고와 시간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실을 마련하지 않고, 카와 승강로 벽 사이의 간극에 박형의 권상기를 설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건물 내에서의 레이아웃의 사정 상, 권상기의 박형화의 수요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환상의 전기자의 내측에 로터를 배치한 이너 로터형의 모터에, 외접식의 브레이크(7)를 적용하는 경우, 로터의 외주면이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브레이크(7)로 가압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기자의 단부면으로부터 로터의 외주면이 나올때까지 전기자로부터 로터를 축선방향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1)에서는, 환상의 로터(5)의 내측에 전기자(4)를 배치한 아우터 로터형의 모터(2)가 이용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7)를 설치하기 위해 전기자(4)의 단부면으로부터 로터(5)를 축선방향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1)에서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1) 전체의 축선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성형체(43)의 형상이 전기자 철심(4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되는 환상으로 되어 있지만, 전기자 철심(41)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성형체(43)를 복수의 분할 부분으로 분할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분할 철심(45)마다 마련된 복수의 분할 부분에 성형체(43)를 분할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전기자(4)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각 코일(42)은,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로 덮여 있다. 이 예에서는, 전기자(4)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의 어느 형상도, 전기자 철심(4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되는 환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는 각 제 1 관통 구멍(103) 내의 연결부(43c)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티스부(47) 사이 및 각 코일(42) 사이의 각각의 간극에 개재되는 성형체(43)의 부분을 거쳐서도 연결되어 있다.
제 1 성형부(43a)는 제 2 관통 구멍(102)을 피해 각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성형부(43b)는 제 2 관통 구멍(102)을 피해 각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타단부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분할 철심(45)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티스부(47)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면(41c)과, 백 요크부(46)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분이 성형체(43)로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전기자(4)가 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요크부(46)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분 중,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의 부분(41a)과, 백 요크부(46)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면의 부분(41b)이 하우징 장착면으로서 하우징(6)에 접촉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전기자(4)에서는, 각 코일(42)이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로 덮여져 있으므로, 각 코일(42)을 성형체(43)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자 철심(41)이 진동했다고 하여도, 각 코일(42)이 손상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코일(42)이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로 덮여 있는 것에 의해, 각 코일(42)로부터 외부로 직접 방열되는 것이 억제되어 버리지만, 각 분할 철심(45)의 표면의 일부가 하우징 장착면으로서 하우징(6)에 접촉하므로, 전기자(4)에서 발생한 열을 전기자 철심(41)으로부터 하우징(6)으로 효과적으로 방산할 수 있어서, 전기자(4)가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전기자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1의 XIII-X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XIV-X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1의 전기자 철심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각 분할 철심(45)에서는, 제 1 관통 구멍(103)이 제 2 관통 구멍(102)과 연결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 1 관통 구멍(103)이 전기자 철심(41)의 직경방향을 따른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관통 구멍(103)이 제 2 관통 구멍(102)과 연결된 구멍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슬릿이 연장된 형상, 즉 오뚝이 구멍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코일(42)은,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제 1 성형부(43a) 및 제 2 성형부(43b)로 덮여 있다. 또한, 각 백 요크부(46)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면, 및 각 티스부(47)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면은,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성형체(43)로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성형부(43a)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01) 및 제 2 관통 구멍(102)을 피해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에서는, 백 요크부(46)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분만이 제 1 성형부(43a)로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성형부(43b)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타단부면의 전체를 덮은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제 2 성형부(43b)에는, 복수의 제 2 관통 구멍(102) 중,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는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만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복수의 노출용 구멍(431)이 마련되어 있다. 각 노출용 구멍(431)은 전기자(4)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제 2 성형부(43b)를 관통하고 있다.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는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은 노출용 구멍(431)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6개의 노출용 구멍(431)이,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는 6개의 제 2 관통 구멍(102)의 위치에 맞추어 제 2 성형부(43b)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전기자(4)는 특정의 각 제 2 관통 구멍(102)을 통과한 6개의 볼트(10)에 의해 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10)는 노출용 구멍(431)을 통하여 제 2 관통 구멍(102)에 삽입된다. 전기자(4)가 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요크부(46)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분 중, 분할 철심(45)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의 부분과, 백 요크부(46)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면의 부분이, 하우징 장착면으로서 하우징(6)에 접촉한다.
제 1 성형부(43a)와 제 2 성형부(43b)는 각 제 1 관통 구멍(103)에 충전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부(43c)를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는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에는, 볼트(10)가 삽입되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체(43)의 연결부(43c)는 충전되어 있지 않다. 한편, 볼트 통과 구멍 이외의 제 2 관통 구멍(102)에는, 볼트(10)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체(43)의 연결부(43c)가 충전되어져 마련되어 있다. 즉, 볼트 통과 구멍 이외의 제 2 관통 구멍(102)에 연결되는 제 1 관통 구멍(103)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부(43c)는, 제 2 관통 구멍(102)에도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 통과 구멍 이외의 제 2 관통 구멍(102)과 제 1 관통 구멍(103)으로 구성된 구멍에는, 연결부(43c)가 전체에 걸쳐서 충전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전기자(4)에서는, 제 1 관통 구멍(103)이 제 2 관통 구멍(102)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터(2)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에 대한 분할 철심(45)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성형체(43)에 의해 분할 철심(45)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제 1 관통 구멍(103)의 내경을 단순히 크게 하면, 티스부(47) 부근을 지나는 백 요크부(46)의 자로(magnetic path)가 좁아져 버려, 모터(2)의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자(4)에서는, 제 1 관통 구멍(103)을 제 2 관통 구멍(102)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티스부(47) 부근을 지나는 백 요크부(46)의 자로의 범위에 제 1 관통 구멍(103)이 확대되는 일 없이, 제 1 관통 구멍(103) 내의 공간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티스부(47) 부근을 지나는 백 요크부(46)의 자로를 좁게 하는 일 없이, 제 1 관통 구멍(103)에 충전하는 연결부(43c)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제 1 성형부(43a)와 제 2 성형부(43b)를 연결하는 힘이 불충분하게 되는 개소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모터(2)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에 대한 분할 철심(45)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어서, 진동에 대한 전기자(4)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제 2 관통 구멍(102) 중,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이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제 1 관통 구멍(103)에 마련된 연결부(43c)가, 볼트 통과 구멍 이외의 제 2 관통 구멍(102)에도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 1 관통 구멍(103)을 확대시키는 일 없이, 연결부(43c)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백 요크부(46)의 자로를 좁게 하는 일 없이, 제 1 성형부(43a)와 제 2 성형부(43b)를 연결하는 힘이 불충분하게 되는 개소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모터(2)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에 대한 분할 철심(45)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어서, 진동에 대한 전기자(4)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분할 철심(45)에 있어서, 제 1 관통 구멍(103)이 제 2 관통 구멍(102)과 연결되어 있지만,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제 1 관통 구멍(103)이 제 2 관통 구멍(102)으로부터 멀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는 특정의 제 2 관통 구멍(102)에는 연결부(43c)는 충전되지 않으며, 볼트 통과 구멍 이외의 제 2 관통 구멍(102)에는 연결부(43c)가 충전된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코어편(45a)의 교대로 중첩되는 연결용 단부를 관통하는 연결축(101)에 의해, 각 분할 철심(45)의 백 요크부(46)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교대로 중첩되는 복수의 코어편(45a)의 각각의 연결용 단부에,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와,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으로 움푹한 움푹부를 마련하고, 돌기 및 움푹부를 서로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각 분할 철심(45)의 백 요크부(46)를 서로 연결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돌기 및 움푹부는 코어편(45a)의 적층 방향을 따른 가상의 연결축의 축선 상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각 분할 철심(45)의 백 요크부(46)는 가상의 연결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분할 철심(45)의 각각의 백 요크부(46)가 연결축(10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각 분할 철심(45)은 성형체(43)만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각 분할 철심(45)을 연결축(101)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성형체(43)에 의해 각 분할 철심(45)을 연결할 수 있어서, 전기자(4)를 제조할 때의 수고와 시간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전기가 모터(2)로서 이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전기를 발전기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1: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2: 모터(회전 전기)
3: 시브 4: 전기자
5: 로터 6: 하우징
7: 브레이크 9: 베어링
41: 전기자 철심 42: 코일
43: 성형체 43a: 제 1 성형부
43b: 제 2 성형부 43c: 연결부
45: 분할 철심 45a: 코어편
46: 백 요크부 47: 티스부
48: 용접부 52: 영구 자석
101: 연결축 102: 제 2 관통 구멍
103: 제 1 관통 구멍

Claims (14)

  1. 둘레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철심을 갖는 환상의 전기자 철심,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분할 철심끼리에 걸쳐져 마련되는 수지제의 성형체를 구비하고,
    각 상기 분할 철심은 백 요크부와, 상기 백 요크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티스부를 구비하며,
    각 상기 백 요크부에는, 제 1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체는, 상기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에 마련된 제 1 성형부와, 상기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타단부면에 마련된 제 2 성형부와, 상기 제 1 관통 구멍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성형부 및 상기 제 2 성형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각 상기 분할 철심은, 축선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코어편을 갖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분할 철심의 각각의 상기 백 요크부 중, 한쪽의 상기 백 요크부의 상기 코어편의 연결용 단부와, 다른쪽의 상기 백 요크부의 상기 코어편의 연결용 단부가 축선방향으로 교대로 중첩되며, 또한 서로 중첩되는 상기 연결용 단부끼리가 연결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 1 관통 구멍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2. 둘레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철심을 갖는 환상의 전기자 철심,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분할 철심끼리에 걸쳐져 마련되는 수지제의 성형체를 구비하고,
    각 상기 분할 철심은 백 요크부와, 상기 백 요크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티스부를 구비하며,
    각 상기 백 요크부에는, 제 1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체는, 상기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일단부면에 마련된 제 1 성형부와, 상기 분할 철심의 축선방향 타단부면에 마련된 제 2 성형부와, 상기 제 1 관통 구멍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성형부 및 상기 제 2 성형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각 상기 백 요크부에는,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상이한 제 2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상기 제 1 관통 구멍은 상기 제 2 관통 구멍과 연결되어 있으며,
    각 상기 제 2 관통 구멍 중, 특정의 상기 제 2 관통 구멍이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백 요크부에는, 상기 제 1 관통 구멍이 개별로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상기 전기자 철심과 일체로 되어 있는 몰드 성형체인
    회전 전기의 전기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분할 철심은 축선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코어편을 갖고,
    상기 복수의 분할 철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백 요크부에는, 상기 복수의 코어편끼리를 고정하는 용접부가 상기 복수의 코어편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티스부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제 1 성형부 및 상기 제 2 성형부로 덮여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티스부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백 요크부의 표면의 일부는 하우징 장착면으로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백 요크부에는,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상이한 제 2 관통 구멍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각 상기 제 2 관통 구멍 중, 특정의 상기 제 2 관통 구멍이 볼트 통과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 통과 구멍 이외의 상기 제 2 관통 구멍에는, 상기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전기자.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전기자,
    상기 전기자의 직경방향 외측에 상기 전기자와 간극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자석을 갖고, 상기 전기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로터,
    상기 전기자가 고정되며, 상기 로터가 베어링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로터에 대하여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 전기.
  11. 제 10 항에 기재된 회전 전기인 모터, 및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있는 시브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회전 전기의 전기자를 제조하는 전기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를 상기 전기자 철심과 일체로 몰드 성형하는
    전기자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회전 전기의 전기자를 제조하는 전기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상기 분할 철심은 축선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코어편을 갖고,
    상기 복수의 코어편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용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어편끼리를 고정하는 용접부를 형성하는
    전기자의 제조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회전 전기의 전기자를 제조하는 전기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상기 분할 철심은 축선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코어편을 갖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분할 철심의 각각의 상기 백 요크부 중, 한쪽의 상기 백 요크부의 상기 코어편의 연결용 단부와, 다른쪽의 상기 백 요크부의 상기 코어편의 연결용 단부가 축선방향으로 교대로 중첩되며, 또한 서로 중첩되는 상기 연결용 단부끼리가 연결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어편을 형성했을 때에 마련되는 돌기 및 움푹부를 서로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연결축으로 하여 상기 연결용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기자의 방법.
KR1020197013070A 2016-11-14 2017-11-09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 KR102213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1372 2016-11-14
JP2016221372 2016-11-14
PCT/JP2017/040463 WO2018088489A1 (ja) 2016-11-14 2017-11-09 回転電機の電機子、回転電機、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電機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827A KR20190060827A (ko) 2019-06-03
KR102213322B1 true KR102213322B1 (ko) 2021-02-05

Family

ID=6210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070A KR102213322B1 (ko) 2016-11-14 2017-11-09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49411B2 (ko)
KR (1) KR102213322B1 (ko)
CN (1) CN109906539B (ko)
DE (1) DE112017005717T5 (ko)
WO (1) WO2018088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1330A1 (ja) * 2019-06-24 2020-12-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412A (ja) * 2013-04-24 2013-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用固定子の製造方法
JP2015159648A (ja) * 2014-02-21 2015-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2016182015A (ja) * 2015-03-25 2016-10-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埋込磁石型電動機、及びこの埋込磁石型電動機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このエレベータ用巻上機を用いたエレベータ、及びこの埋込磁石型電動機を用いたインホイールモ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944A (ja) * 1997-05-19 1998-12-04 Minebea Co Ltd モータ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68844A (ja) * 1997-12-03 1999-06-22 Toshiba Corp 電動機鉄心および電動機鉄心の製造方法
JP3623702B2 (ja) * 1999-09-28 2005-02-23 山洋電気株式会社 回転電機用ステータ
JP4552267B2 (ja) * 2000-04-14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タ
JP3704029B2 (ja) * 2000-07-24 2005-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用電動機の固定子
JP3839269B2 (ja) * 2001-03-27 2006-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ア装置
JP2003052138A (ja) * 2001-08-06 2003-02-21 Mitsui High Tec Inc 積層ヨーク鉄心の製造方法
JP2003299271A (ja) * 2002-04-01 2003-10-17 Nissan Motor Co Ltd 回転電機のステータピース支持構造
JP4071048B2 (ja) * 2002-06-17 2008-04-02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4477892B2 (ja) * 2004-02-12 2010-06-09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固定子コア及び固定子
JP4286829B2 (ja) 2005-03-24 2009-07-01 株式会社一宮電機 回転機の製造方法
US7595578B2 (en) * 2005-05-06 2009-09-29 Mistuba Corporation Motor, rotary electric machine and its st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ator
KR20120134505A (ko) * 2011-06-02 2012-12-12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WO2014024988A1 (ja) * 2012-08-08 2014-02-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テータコア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ウターロータ型回転電機
JP5889157B2 (ja) * 2012-10-04 201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5988915B2 (ja) * 2013-05-21 2016-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積層鉄心および回転電機の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
US9960644B2 (en) * 2013-05-28 2018-05-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r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CZ2017121A3 (cs) * 2014-10-22 2018-05-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ompresor a způsob výroby kompresoru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412A (ja) * 2013-04-24 2013-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用固定子の製造方法
JP2015159648A (ja) * 2014-02-21 2015-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2016182015A (ja) * 2015-03-25 2016-10-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埋込磁石型電動機、及びこの埋込磁石型電動機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このエレベータ用巻上機を用いたエレベータ、及びこの埋込磁石型電動機を用いたインホイールモ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06539A (zh) 2019-06-18
CN109906539B (zh) 2021-08-27
JPWO2018088489A1 (ja) 2019-03-14
DE112017005717T5 (de) 2019-08-29
JP6749411B2 (ja) 2020-09-02
WO2018088489A1 (ja) 2018-05-17
KR20190060827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1545B2 (ja) モータ
US10050480B2 (en) Axial flux machine having a lightweight design
WO2018092628A1 (ja) 回転電機の回転子および回転電機の回転子の製造方法
JP6428696B2 (ja) ハイブリッドパワーユニット用モータの回転センサ取付構造
JP6877242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13322B1 (ko) 회전 전기의 전기자, 회전 전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전기자의 제조 방법
JP6207929B2 (ja) 永久磁石回転電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03134768A (ja) 偏平モ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CN110798008A (zh) 马达
WO2019008930A1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6293382B1 (ja) 固定子コア片及び回転電機
US11223246B2 (en) Stator
JP2010284036A (ja) 永久磁石回転電機
CN110537313B (zh) 具有铸造定子的外转子电动机
JP5805330B2 (ja)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3893B1 (ko) 발전기의 회전자
JP5621608B2 (ja) アウターロータ型のモータ
JP6428684B2 (ja) 回転電機
JP7217205B2 (ja) 外転型表面磁石回転電機
JP2015220950A (ja) 回転電機
JP6569439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2014190531A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9426A (ja) モータのステ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88790A (ja) 回転電機
JP6946119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