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488B1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488B1
KR102152488B1 KR1020167017287A KR20167017287A KR102152488B1 KR 102152488 B1 KR102152488 B1 KR 102152488B1 KR 1020167017287 A KR1020167017287 A KR 1020167017287A KR 20167017287 A KR20167017287 A KR 20167017287A KR 102152488 B1 KR102152488 B1 KR 102152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vehicle
amount
reference plan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011A (ko
Inventor
뎁페이 데즈카
요우조 야노
가즈히로 오무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램프실(110) 내에는, 제1 기준면(P1)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2 기준면(P2)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램프실부(110A)와, 제1 기준면(P1)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제2 기준면(P2)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램프실부(110B)가 포함되어 있다. 헤드 램프(101)는, 제1 램프실부(110A)에 면하는 하우징(102)에 형성된 제1 개구부(102A)에 장착된 제1 통기 부재(105)와, 제2 램프실부(110B)에 면하는 하우징(102)에 형성된 제2 개구부(102B)에 장착된 제2 통기 부재(106)를 구비한다. 양쪽 통기 부재(105, 106)는 방수 통기체를 구비한다. 제1 통기 부재(105)의 통기량은, 제2 통기 부재(106)의 통기량보다 크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 {VEHICLE LIGHT}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헤드 램프로 대표되는 차량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의 신속한 해소에 적합한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등기구는,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를 조사하는 조명 장치로서, 혹은 외부에 각종 신호를 발신하는 표시 장치로서 사용된다. 조명 장치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등기구로서는, 전조등용 광원을 구비한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를 예시할 수 있다. 차량용 등기구의 하우징에는, 램프실의 내외의 압력차를 해소하기 위한 통기로를 확보하는 통기 부재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통기 부재는, 압력차를 해소하는 한편, 램프실 내에의 먼지 등의 이물질 및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기 부재로서는, 일반적으로 방수 통기막을 구비하는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도 8에 도시하는 헤드 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헤드 램프(401)에서는, 하우징(402)의 전방면에 투광성 부재(403)가 장착되고, 하우징(402) 및 투광성 부재(403)에 의해 둘러싸인 램프실(406) 내에 전조등용 광원(404)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402)에는 개구부(402A, 402B)가 형성되고, 개구부(402B)에는, 공기를 투과 가능한 미다공질의 부재가 통기 부재(405B)로서 개구부(402B)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402A)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부재(405A)는, 수증기 투과 가능이고 또한 공기 투과 불능인 응축 저감용 수단이다.
투광성 부재(403)는, 외기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되기 쉽고, 그 내측면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투광성 부재(403)의 내측면에 결로가 발생한 상태에서 광원(404)이 점등되면, 투광성 부재(403)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램프실(406) 내의 공기가 팽창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한 램프실(406) 내외의 압력차는, 통기성을 갖는 통기 부재(405B)에 의해 해소된다. 또한, 결로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는, 통기 부재(405B)뿐만 아니라 응축 저감용 수단인 부재(405A)로부터도 방출된다. 부재(405A)는, 공기 투과 불능이기 때문에 「통기 부재」에는 상당하지 않고, 압력차의 해소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결로의 해소를 촉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24260호 공보
최근, 차량의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헤드 램프의 투광성 부재가 전조등용 광원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일도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검토에 따르면, 이러한 헤드 램프에서는, 투광성 부재의 내측면에 발생한 결로가 해소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투광성 부재의 내면에 결로가 장시간 남아 있으면, 전조등용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거의 투과하지 않는 부위에 결로가 위치하고 있었다고 해도, 결로의 발생에 의한 헤드 램프의 계속적인 외관 저하가 헤드 램프의 성능 저하라는 인상을 사용자에게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조등용 광원보다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공간에 포지션 램프용 광원 등이 설치되어 있는 헤드 램프에서는, 이들 광원으로부터의 신호의 시인성이 결로에 의해 저하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전조등용 광원과, 전조등용 광원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투광성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투광성 부재의 내측면에 발생한 결로를 단시간에 해소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단부의 측단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등기구이며,
하우징과,
내부에 램프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투광성 부재와,
상기 램프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성 부재를 통하여 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측으로 출사하는 전조등용 광원과,
제1 통기 부재 및 제2 통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조등용 광원의 광축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전조등용 광원의 상기 전방측의 단부를 통과하는 평면을 제1 기준면, 상기 광축을 포함하고, 또한 연직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평면을 제2 기준면이라고 정의했을 때,
상기 램프실은, 상기 제1 기준면보다 상기 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기준면보다 상기 차량의 차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램프실부와, 상기 제1 기준면보다 상기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기준면보다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램프실부를 갖고,
상기 투광성 부재는, 상기 제1 기준면보다 상기 전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램프실부에 면하는 전방부로부터, 상기 제1 기준면보다 상기 후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램프실부에 면하는 후방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통기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제1 램프실부에 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통기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제2 램프실부에 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통기 부재 및 상기 제2 통기 부재는, 각각 방수 통기체를 구비하고,
일본 공업 규격(JIS) L1096에 규정되어 있는 통기성 측정법의 A법(프라지르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상기 방수 통기체의 단위 면적당 통기량에, 당해 방수 통기체에서의 통기 면적을 곱하여 통기량을 정했을 때,
상기 제1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이 상기 제2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보다 큰,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조등용 광원보다 후방으로 연장된 투광성 부재의 내측면에 발생한 결로를 전조등용 광원을 점등하고 나서 단시간에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가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하는 차량용 등기구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하는 차량용 등기구에 온습도계를 배치했을 때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차량용 등기구가 설치된 차량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하는 차량용 등기구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4b는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비교예 2에서의 온도와 수증기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통기 부재의 일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통기 부재의 일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차량용 등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의 대상으로 한정하는 취지로 기술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용차인 차량(100)의 전방 단부에는, 통상, 차량용 등기구로서 헤드 램프(101)가 설치된다. 헤드 램프(101)는, 차량(100)의 전방 단부의 양측 단부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헤드 램프(101)는, 하이 빔(주행용 전조등)용 광원, 로우 빔(차량끼리 스쳐 지나갈 때의 전조등)용 광원, 포지션 램프(차폭등)용 광원 등의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도시 및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이하에서는 기본적으로 로우 빔용 광원만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램프(101)는, 하우징(102)과, 내부에 램프실(110)을 형성하도록 하우징(102)에 장착된 투광성 부재(103)와, 램프실(110) 내에 배치되고, 투광성 부재(103)를 통하여 광을 차량(100)의 전방측으로 출사하는 전조등용 광원(104)을 구비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실(110) 내의 공간을 구분하여 기술하기 위해, 전조등용 광원(104)의 광축(L)과 직교하고, 또한 전조등용 광원(104)의 선단(T)을 통과하는 평면을 제1 기준면(P1)이라고 정의하고, 광축(L)을 포함하고, 또한 연직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평면을 제2 기준면(P2)이라고 정의한다. 이 정의에 기초하여 기술하면, 램프실(110) 내에는, 적어도 제1 기준면(P1)보다 차량(100)의 전방측(도 4a에서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제2 기준면(P2)보다 차량(100)의 차폭 방향의 내측(도 4a에서의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램프실부(110A)와, 제1 기준면(P1)보다 차량(100)의 후방측(도 4a에서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제2 기준면(P2)보다 차폭 방향의 외측(도 4a에서의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램프실부(110B)가 포함되어 있다.
투광성 부재(103)는, 제1 기준면(P1)보다 차량(100)의 전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1 램프실부(110A)에 면하는 전방부(103A)로부터, 제1 기준면(P1) 및 제2 기준면(P2)과 교차하여, 제1 기준면(P1)보다 차량(100)의 후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2 램프실부(110B)에 면하는 후방부(103B)로까지 넓혀져 있다.
헤드 램프(101)는, 제1 램프실부(110A)에 면하는 하우징(102)에 형성된 제1 개구부(102A)에 장착된 제1 통기 부재(105)와, 제2 램프실부(110B)에 면하는 하우징(102)에 형성된 제2 개구부(102B)에 장착된 제2 통기 부재(10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통기 부재(105) 및 제2 통기 부재(106)는, 모두 방수 통기체를 구비하고 있다. 방수 통기체는 전형적으로는 방수 통기막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수 통기 기능을 갖는 한, 수지의 다공질 성형체 등의 다공질의 구조체여도 된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제1 통기 부재(105)는, 제1 램프실부(110A)와 램프실의 외부(전형적으로는 엔진 룸)를 당해 부재(105)의 방수 통기막을 통하여 연통시키고, 제2 통기 부재(106)는, 제2 램프실부(110B)와 램프실의 외부를 당해 부재(106)의 방수 통기막을 통하여 연통시키고 있다.
진흙의 부착 그 밖의 요인에 의해 통기 부재의 통기성이 손상될 가능성을 고려하면, 복수의 통기 부재를 하우징에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형화된 헤드 램프에서는, 램프실 내외의 압력차를 신속히 해소하기 위해서도, 복수의 통기 부재의 설치가 요망된다. 그러나, 통기 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하우징(102)의 스페이스에는 한계가 있는 데다가, 하우징(102)의 중앙부에는 전조등용 광원(104)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통기 부재를 배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02)의 제1 램프실부(110A) 및 제2 램프실부(110B)에 면하는 부분에 각각 통기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통기 부재(105)의 통기량은, 제2 통기 부재(106)의 통기량보다 크다. 여기서, 통기 부재의 통기량은, JIS L1096에 규정되어 있는 통기성 측정법의 A법(프라지르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방수 통기막의 단위 면적당 통기량에, 당해 방수 통기막의 통기 면적을 곱하여 산출한다. 통기 면적은, 방수 통기막에 있어서 그 단면 방향으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영역의 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통기량이 정의 값을 취하지 않는 부재, 즉 프라지르법에서 사용되는 기체인 공기를 투과할 수 없는 부재는, 본 명세서에서는 「통기 부재」로서 취급하지 않는다. 제1 통기 부재(105) 및 제2 통기 부재(106)는 모두 「통기 부재」이며, 통기량은 정의 값으로 된다.
램프실(110) 내에 습윤한 공기가 유지된 상태에서 투광성 부재(103)가 외기에 의해 차가워지면, 투광성 부재(103)의 내측면에는 결로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전조등용 광원(104)이 점등되면, 투광성 부재(103)의 온도가 상승을 시작한다. 이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결로는 수증기로서 증발하고, 점점 해소되게 된다. 이때, 전조등용 광원(104)으로부터의 광은, 투광성 부재(103)의 후방부(103B)보다 전방부(103A)를 선행하여 데우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램프실부(110B)보다 먼저 제1 램프실부(110A)에 있어서, 결로로부터 생긴 수증기가 발생한다. 제1 램프실부(110A) 내에 발생한 수증기는, 온도 상승에 수반하는 램프실(110) 내의 압력의 상승에 의해 발생한 기류를 타고, 외부로의 통기로, 구체적으로는 제1 통기 부재(105) 또는 제2 통기 부재(106)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제1 램프실부(110A)에서 발생한 수증기 중, 제2 통기 부재(106)로 향하는 기류에 실린 수증기는, 제2 램프실부(110B)로 유입된다. 이때, 제2 램프실부(110B)에 면하는 투광성 부재(103)의 후방부(103B)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지 않았으면, 유입된 수증기의 일부가 후방부(103B)에 있어서 다시 응결하여, 후방부(103B)에서의 결로의 일부로 된다. 후방부(103B)에 있어서 해소해야 할 결로의 양이 증가하면, 투광성 부재(103)의 내측면 전체로부터 결로가 해소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따르면, 제1 통기 부재(105)의 통기량을 제2 통기 부재(106)의 통기량보다 크게 설정하고, 제1 통기 부재(105)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투광성 부재(103)의 내측면으로부터 결로가 해소될 때까지의 시간의 장기화를 피할 수 있다.
램프실(110)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제1 통기 부재(105)로부터 방출하기 위해서는, 제2 통기 부재(106)의 통기량에 대한 제1 통기 부재(105)의 통기량의 비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는,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이고,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80배 이상이다. 단, 실제로는, 제1 통기 부재(105)를 설치할 수 있는 하우징(102)의 스페이스에는 한계가 있고, 바람직한 통기량의 총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총량을 제2 통기 부재(106)에도 분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고려하면, 상기 비는, 예를 들어 10000배 이하, 나아가 5000배 이하, 경우에 따라서는 3000배 이하여도 된다.
의외의 결과이기는 하지만, 통기량의 총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통기 부재(105)와 제2 통기 부재(106)의 조합이라도, 상기 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통기량의 총량이 상대적으로 큰 제1 통기 부재(105)와 제2 통기 부재(106)의 조합보다 신속히 결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구부(102A, 102B)는, 도 4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우징(102)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의 개구부이지만, 개구부(102A, 102B)의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 구멍은, 예를 들어 광축(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0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조등용 광원(104)은 로우 빔용 광원이며, 예를 들어 프로젝터식의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벌브이다. 전조등용 광원(104)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102)의 전방면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다. 전조등용 광원(104)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축(L)은, 차량(100)의 차축 방향에 평행하게 설정된다. 전조등용 광원(104)의 선단(T)은, 밸브 유닛에 있어서 가장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또한, 전조등용 광원(104)은, HID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백열 전구, 할로겐 밸브, LED(Light Emitting Diode) 밸브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전조등용 광원(104)은, 프로젝터식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리플렉터식 밸브여도 된다. 밸브의 종류 및 방식에 따르지 않고, 밸브의 선단(T)은 밸브 유닛에 있어서 가장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로서 정의된다.
헤드 램프에는 복수의 전조등용 광원이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전조등용 광원을 구비하는 헤드 램프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 및 통기성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통기 부재 및 제2 통기 부재를 갖는 전조등용 광원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그 전조등용 광원이 점등했을 때, 결로가 해소될 때까지의 시간의 장기화를 피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모든 전조등용 광원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 및 통기성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통기 부재 및 제2 통기 부재가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어느 전조등용 광원을 점등했을 때에도, 결로가 해소될 때까지의 시간의 장기화를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4b에 도시하는 헤드 램프(201)는, 로우 빔용의 전조등용 광원(104A)(제1 전조등용 광원)과, 하이 빔용의 전조등용 광원(104B)(제2 전조등용 광원)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전조등용 광원(104B)의 선단(TB)은, 제1 전조등용 광원(104A)의 선단(TA)보다 전방(도 4b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2 전조등용 광원(104B)의 광축(LB)은, 제1 전조등용 광원(104A)의 광축(LA)보다 차량(100)의 차폭 방향의 내측(도 4b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광원(LA) 및 광원(LB)은 서로 평행하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통기 부재(105) 및 제2 통기 부재(106)는, 이들 전조등용 광원(104A, 104B)의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해도, 상기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램프실(110) 내에 있어서 제1 통기 부재(105)가 연통되어 있는 제1 램프실부(110A)는, 제1 전조등용 광원(104A)에 대한 제1 기준면(P1A)보다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2 전조등용 광원(104B)에 대한 제1 기준면(P1B), 즉 가장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1 기준면보다 더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1 전조등용 광원(104A)에 대한 제2 기준면(P2A)보다 차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전조등용 광원(104B)에 대한 제2 기준면(P2B), 즉 가장 차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기준면보다 더 차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램프실(110) 내에 있어서 제2 통기 부재(106)가 연통되어 있는 제2 램프실부(110B)는, 제2 전조등용 광원(104B)에 대한 제1 기준면(P1B)보다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1 전조등용 광원(104A)에 대한 제1 기준면(P1A), 즉 가장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1 기준면보다 더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고, 제2 전조등용 광원(104B)에 대한 제2 기준면(P2B)보다 차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전조등용 광원(104A)에 대한 제2 기준면(P2A), 즉 가장 차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기준면보다 더 차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헤드 램프(201)에 있어서도, 제1 통기 부재(105)의 통기량은 제2 통기 부재(106)의 통기량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헤드 램프에는, 전조등용 광원(104) 이외의 광원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포지션 램프용 광원이 더 배치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전조등용 광원 이외의 광원은, 방출되는 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결로 해소의 작용이 떨어진다.
하우징(102)은, 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2)은, 통상, 불투명한 재료에 의해 형성하면 충분하다. 투광성 부재(103)는, 하우징(102)의 전방면을 덮는 커버 부재이다. 투광성 부재(103)는, PC(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투광성을 갖는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102)과 투광성 부재(103)에 의해 둘러싸이는 램프실(110) 내에는, 램프실 내를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익스텐션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익스텐션은, 제1 램프실부(110A)와 제2 램프실부(110B)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제1 통기 부재(105) 및 제2 통기 부재(106)는, 각각 방수 통기막을 구비하고 있다. 방수 통기막은, 통기 부재를 통과하는 기체가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방수 통기막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물의 투과를 저지하는 막이면, 그 구조나 재료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수지 다공질막이 적합하다.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에는, 공지된 연신법,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질체나 폴리올레핀 다공질체를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이들 단량체를 단체로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은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또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락트산 등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 다공질막으로서는, 작은 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이 높은 PTFE 연신 다공질막이 바람직하다.
수지 다공질막은, 보강층과 적층한 적층체의 상태로 방수 통기막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보강층은, 수지 다공질막보다 통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층은,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폼, 다공체 등이다. 수지 다공질막과 보강층의 접합은, 접착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제1 통기 부재(105) 및 제2 통기 부재(106)는, 방수 통기막과 함께, 방수 통기막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고정 부재의 일례는 양면 테이프이다.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통기 부재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 원형인 방수 통기막과, 평면에서 보아 링형인 양면 테이프를 이들 외주가 일치하도록 서로 접합하여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고정 부재의 다른 예는, 방수 통기막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수지 부재이다. 수지 부재를 사용한 통기 부재(1)를 도 6 및 도 7에 예시한다. 통기 부재(1)는, 하우징(102)의 배면(102A)으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된 헤드부(102C)에 설치된다. 헤드부(102C)의 선단에는, 하우징(102A)의 개구부(102B)가 형성된다. 통기 부재(1)는, 내측 부재(2)와 외측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부재(2)는, 그 내주부가 헤드부(102C)의 외주부에 접하도록 헤드부(102C)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통형 부재이며, 그 내부에 하우징(102) 내외의 통기 경로의 일부로 되는 관통 구멍(2A)을 갖는다. 관통 구멍(2A)은, 헤드부(102)에 장착되는 제1 개구부(2C)와, 제1 개구부(2C)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2D)를 갖고 있다. 제2 개구부(2D)를 둘러싸는 내측 부재(2)의 단부의 단부면 상에는, 제2 개구부(2D)를 막도록 방수 통기막(10)이 지지되어 있다. 외측 부재(3)는, 내측 부재(2)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며, 내측 부재(2)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측 부재(2)의 외주부의 일부를 덮는 측벽부(3B)와 방수 통기막(10)을 덮는 저부(3C)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부재(3)는, 내측 부재(2)의 외주부 및 방수 통기막(10)의 사이에 연통 경로(8, 9)가 각각 형성되도록, 내측 부재(2)에 장착된다. 연통 경로(8, 9)는, 하우징의 외부로 연통되는 통기 경로(4)를 구성한다.
내측 부재(2)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된다. 내측 부재(2)는, 관통 구멍(2A)을 갖는 원통형의 통부 본체(2B)와, 통부 본체(2B)의 외주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4개의 돌출부(2E)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2E)를 형성한 부분의 외경은, 외측 부재(3)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외측 부재(3)를 내측 부재(2)의 외주면을 따라 압입하면, 돌출부(2E)가 탄성 변형되어, 연통 경로(9)가 확보된 상태에서 외측 부재(3)가 내측 부재(2)에 고정된다.
외측 부재(3)는, 예를 들어 수지, 보다 구체적으로는 PP(폴리프로필렌) 등의 엘라스토머가 아닌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외측 부재(3)의 저부(3C)의 내주측의 주연부에는 3개의 다이부(3D)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부(3D)는, 내측 부재(2)와 접촉함으로써, 저부(3C)와 방수 통기막(10)의 사이에 연통 경로(8)를 확보한다. 외측 부재(3)의 측벽부(3B)의 개구부(3A)의 내주측의 주연부에는, 3개의 걸림 결합편(3E)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편(3E)은, 내측 부재(2)의 단부에 걸림 결합하여 외측 부재(3)의 탈락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 면적은, 방수 통기체인 방수 통기막에 있어서 기체(공기)를 통과할 수 있는 영역(통기 영역)의 면적이다. 통기 부재(1)의 방수 통기막(10)의 통기 면적은, 내측 부재(2)의 제2 개구부(2D)의 면적(관통 구멍(2A)의 내경에 의해 규정되는 면적)이다. 바꾸어 말하면, 방수 통기막(10)의 통기 면적은, 방수 통기막(10)의 주면(기체 유입 또는 유출면)의 면적에서, 단면 방향(방수 통기막(10)의 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공기가 통과할 수 없는 내측 부재(2)에 접합된 영역의 면적을 차감하여 구해진다. 방수 통기막(10)은, 복수로 구획된 통기 영역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각 통기 영역의 면적의 합계를 통기 면적으로서 취급한다.
방수 통기막 등의 방수 통기체의 통기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프라지르법에 의한 측정값에 의해 표시하여 0.010 내지 500㎤/㎠/sec, 특히 0.030 내지 300㎤/㎠/sec가 바람직하다.
제1 통기 부재의 통기량은 0.5 내지 220㎤/sec, 특히 0.5 내지 133㎤/sec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통기 부재의 통기량은 0.004 내지 2.0㎤/sec, 특히 0.010 내지 2.0㎤/sec가 바람직하다. 제1 통기 부재의 통기량과 제2 통기 부재의 통기량의 합계는 0.5㎤/sec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220㎤/sec, 나아가 1.0 내지 150㎤/sec가 바람직하다. 특히 2.0 내지 120㎤/sec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의 통기량은, 프라지르법에 의한 측정값(㎤/㎠/sec)에 면적(㎠)을 곱하여 정한다.
제1 통기 부재 및 제2 통기 부재는, 각각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부재(통기 서브 부재)의 각각에 대하여 통기량을 산출하고, 그 통기량의 합계를 제1(제2) 통기 부재의 통기량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제1 통기 부재 및 제2 통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서브)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1 통기 부재를 구성하는 제1 통기 서브 부재의 통기량의 합계가, 제2 통기 부재를 구성하는 제2 통기 서브 부재의 통기량의 합계보다 커지도록 설정한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여, 하우징에 배치되는 통기 부재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02)에는, 제1 램프실부(110A) 또는 제2 램프실부(110B)에 면하는 부분에만 개구부가 형성되고(제1 램프실부(110A)에 면하는 부분과 제2 램프실부(110B)에 면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개구부가 없고), 이들 개구부에만 통기 부재(105, 106)가 각각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투광성 부재의 내측면에 발생한 결로가 해소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험에는, 도 1 및 도 2a에 도시한 형상을 갖는 헤드 램프(101)를 사용하였다. 헤드 램프(101)의 램프실(110) 내에는, 도 2b에 도시한 위치에, 제1 온습도계(A), 제2 온습도계(B) 및 제3 온습도계(C)를 설치하였다. 제1 온습도계(A) 및 제3 온습도계(C)는, 제1 통기 부재(105) 및 제2 통기 부재(106)가 장착되는 제1 개구부(102B) 및 제2 개구부(102C)의 근방의 투광성 부재(103)의 내측면 상, 구체적으로는 투광성 부재(103)의 전방 및 후방의 코너부 근방의 내측면 상에 배치하였다. 제2 온습도계(B)는, 제1 온습도계(A)와 제3 온습도계(C)의 사이, 즉 투광성 부재(103)의 중앙부의 내측면 상에 배치하였다.
헤드 램프(101)의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로부터, 전조등용 광원(밸브 유닛)(104) 및 이것에 접속된 램프 소켓을 떼어내고, 이 개구부에 있어서 램프실(110)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켰다.
계속해서, 항온 항습조(온도 40℃, 상대 습도 0%) 내에서 헤드 램프(101)를 유지한 상태에서 2시간 방치하고, 램프실(110)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항온 항습조에 헤드 램프(101)를 넣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항온 항습조의 온도를 40℃, 상대 습도를 95%로 조정하고, 2시간 방치하고, 램프실(110)에 습윤한 공기를 유입시켰다. 방치 후, 이 항온 항습조 내에서 헤드 램프(101)의 상기 개구부에 밸브 유닛과 램프 소켓을 설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막았다.
계속해서, 헤드 램프(101)를 항온 항습조로부터 취출하고, 주수(注水) 시험 장치에 세팅하고, 주수 시험 장치를 작동함으로써, 10℃의 순수를 헤드 램프(101) 전체에 30초간 살수하였다. 살수를 받고, 투광성 부재(103)의 내측면에는 결로가 발생하였다.
살수 정지 후, 로우 빔용 광원인 전조등용 광원(104)을 점등하였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온습도계(A), 제2 온습도계(B) 및 제3 온습도계(C)에 의해 램프실(110)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전조등용 광원(104)을 점등하고 나서 투광성 부재(103)의 내측면에 발생한 결로가 해소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였다. 결로가 해소되었는지의 판단은, 투광성 부재(103)의 외부로부터의 육안 관찰에 의해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된 온도 및 습도로부터 수증기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수 통기체로서 방수 통기막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 통기체는 수지의 다공질 성형체여도 된다. 수지의 다공질 성형체로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의 성형 다공체가 적합하다.
(실시예 1 내지 2, 비교예 1 내지 3)
제1 통기 부재(105) 및 제2 통기 부재(106)로서, 통기량이 표 1에 나타내는 값인 캡 시일(닛토 덴코 가부시끼가이샤제)을 사용하였다. 캡 시일의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들 통기 부재에는, 방수 통기막으로서 모두 PTFE 연신 다공질막이 사용되고 있다. 결로가 해소될 때까지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Figure 112016062268713-pct00001
도 5에, 비교예 2에 대하여 측정한 온도와 수증기량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2에서는, 제3 온습도계(C)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 시간과 함께 수증기량이 상승하고, 도 5에 도시하는 △ 표시가 포화 수증기 곡선을 상회하는 위치에 장시간 머물렀다. 한편, 제1 온습도계(A)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는, 시간과 함께 온도가 상승하였다. 수증기는, 투광성 부재(103)의 전방부(103A)로부터 공급되고, 이것이 후방으로 흘러, 후방부(103B) 근방에 있어서 포화 수증기량을 크게 상회하는 수증기가 출현되었다고 생각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비교예 1, 3에 있어서도, 제3 온습도계(C)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 시간과 함께 수증기량이 상승하고, 포화 수증기량을 상회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에서는, 제1 내지 제3 온습도계(A 내지 C)가 설치된 모든 위치에 있어서, 수증기량이 일시적으로 포화 수증기량을 상회하였다. 단, 비교예 3에서는, 제3 온습도계(C)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수증기량은, 비교예 1, 2와 비교하여 크게 상승하지 않고, 포화 수증기량으로부터의 수증기량의 초과는 약간이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2에서는, 제3 온습도계(C)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 수증기량이 포화 수증기량을 상회하는 일은 없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헤드 램프, 포그 램프로 대표되는 차량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등기구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차량의 전방 단부의 측단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등기구이며,
    하우징과,
    내부에 램프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투광성 부재와,
    상기 램프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성 부재를 통하여 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측으로 출사하는 전조등용 광원과,
    제1 통기 부재 및 제2 통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조등용 광원의 광축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전조등용 광원의 상기 전방측의 단부를 통과하는 평면을 제1 기준면, 상기 광축을 포함하고, 또한 연직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평면을 제2 기준면이라고 정의했을 때,
    상기 램프실은, 상기 제1 기준면보다 상기 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기준면보다 상기 차량의 차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램프실부와, 상기 제1 기준면보다 상기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기준면보다 상기 차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램프실부를 갖고,
    상기 투광성 부재는, 상기 제1 기준면보다 상기 전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램프실부에 면하는 전방부로부터, 상기 제1 기준면보다 상기 후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램프실부에 면하는 후방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통기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제1 램프실부에 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통기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제2 램프실부에 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통기 부재 및 상기 제2 통기 부재는, 각각 방수 통기체를 구비하고,
    JIS L1096에 규정되어 있는 통기성 측정법의 A법(프라지르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상기 방수 통기체의 단위 면적당 통기량에, 당해 방수 통기체에서의 통기 면적을 곱하여 통기량을 정했을 때,
    상기 제1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이 상기 제2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보다 큰,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은, 상기 제2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의 2배 이상인, 차량용 등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은, 상기 제2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의 10배 이상인, 차량용 등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과 상기 제2 통기 부재의 상기 통기량의 합계가 0.5㎤/sec 이상인, 차량용 등기구.
KR1020167017287A 2013-12-04 2014-11-12 차량용 등기구 KR102152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1543A JP6173195B2 (ja) 2013-12-04 2013-12-04 車両用灯具
JPJP-P-2013-251543 2013-12-04
PCT/JP2014/005691 WO2015083324A1 (ja) 2013-12-04 2014-11-12 車両用灯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011A KR20160095011A (ko) 2016-08-10
KR102152488B1 true KR102152488B1 (ko) 2020-09-04

Family

ID=5327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287A KR102152488B1 (ko) 2013-12-04 2014-11-12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80230B2 (ko)
EP (1) EP3078900B1 (ko)
JP (1) JP6173195B2 (ko)
KR (1) KR102152488B1 (ko)
CN (1) CN105814359B (ko)
WO (1) WO2015083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89B1 (ko) * 2015-10-07 2017-05-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KR101728997B1 (ko) * 2015-10-07 2017-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JP6721978B2 (ja) 2015-12-15 2020-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ランプ
JP6823371B2 (ja) * 2015-12-17 2021-02-03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調湿ユニットおよび機器
KR101794997B1 (ko) 2016-07-26 2017-11-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 및 그를 포함하는 전력 소자 구동 시스템
CN106764987A (zh) * 2016-12-01 2017-05-31 天津得丰光合科技有限公司 一种车灯通气口连接结构
US11376554B2 (en) 2016-12-19 2022-07-05 Nitto Denko Corporation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and waterproof air-permeable membrane and waterproof air-permeable member including the same
CN110242926B (zh) * 2019-07-18 2024-01-30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自循环除雾的汽车灯具
EP4092297A4 (en) * 2020-01-14 2024-01-10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COMPON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58Y1 (ko) 2000-05-24 2001-03-15 이동걸 헤드라이트 습기배출구 캡
JP4126599B2 (ja) 2002-09-26 2008-07-30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ランプ
KR101074913B1 (ko) 2008-11-24 2011-10-18 한국지엠 주식회사 헤드램프의 습기제거장치
JP2013218853A (ja) 2012-04-06 2013-10-24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のヘッド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8788A1 (de) * 1983-08-10 1985-02-28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uer kraftfahrzeuge
FR2616206B1 (fr) * 1987-06-05 1990-12-14 Cibie Projecteurs Bloc op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dont la glace comprend une zone non traversee par les rayons lumineux et doublee d'une plaque decorative ou analogue
US4937710A (en) 1988-04-18 1990-06-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headlamp
US5010453A (en) 1990-08-28 1991-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lamp ventilation system
US5003446A (en) * 1990-08-31 1991-03-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osite headlamp vent device
JP2549588Y2 (ja) * 1991-12-10 1997-09-3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3257166B2 (ja) * 1993-08-06 2002-0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ランプ構造
KR970057679U (ko) * 1996-04-19 1997-11-10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습기 유출장치
US6210014B1 (en) 1997-01-21 2001-04-0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ystem for reducing condensation in enclosed lamp housings
DE19726328A1 (de) * 1997-06-20 1998-12-24 Bosch Gmbh Robert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US6071000A (en) * 1998-09-25 2000-06-06 Valeo Sylvania, L.L.C. Vehicle lamp with ram air vent
JP3878059B2 (ja) * 2002-05-24 2007-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ランプの曇り止め構造
DE102004022836A1 (de) * 2004-05-08 2005-12-01 Audi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Lage jeweils wenigstens einer Lufteinlass- und einer Luftauslassöffnung eines motorraumnah in ein Kraftfahrzeug einzubauenden Kraftfahrzeugscheinwerfers sowie Kraftfahrzeugscheinwerfer
CN2702168Y (zh) * 2004-05-09 2005-05-25 真丰企业有限公司 车灯结构
CN100587332C (zh) * 2005-08-24 2010-02-03 日东电工株式会社 透气构件
JP5030285B2 (ja) * 2007-09-27 2012-09-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997091B2 (ja) * 2007-12-26 2012-08-0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換気穴付き車両用灯具
US20090268475A1 (en) * 2008-04-24 2009-10-29 Earl Ball Ventilation system for lamp enclosures
CN102844615A (zh) * 2010-04-09 2012-12-26 日东电工株式会社 透气构件
JP5787276B2 (ja) 2011-09-07 2015-09-30 株式会社リコー 水分センサ、水分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58Y1 (ko) 2000-05-24 2001-03-15 이동걸 헤드라이트 습기배출구 캡
JP4126599B2 (ja) 2002-09-26 2008-07-30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ランプ
KR101074913B1 (ko) 2008-11-24 2011-10-18 한국지엠 주식회사 헤드램프의 습기제거장치
JP2013218853A (ja) 2012-04-06 2013-10-24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のヘッド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14359B (zh) 2018-10-30
EP3078900B1 (en) 2020-12-16
US20160369971A1 (en) 2016-12-22
EP3078900A4 (en) 2018-01-03
US10180230B2 (en) 2019-01-15
CN105814359A (zh) 2016-07-27
KR20160095011A (ko) 2016-08-10
WO2015083324A1 (ja) 2015-06-11
JP6173195B2 (ja) 2017-08-02
EP3078900A1 (en) 2016-10-12
JP2015109206A (ja)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488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2452726B1 (ko) 제습 장치 및 램프
JP4652121B2 (ja) 通気部材と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4276246B2 (ja) 閉鎖されたランプハウジング内の通気装置
JP6823371B2 (ja) 通気調湿ユニットおよび機器
JP2006334537A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部材キット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通気筐体および通気タンク
KR101382455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US10627073B2 (en) Vehicle headlamp de-condensation
JP2009021245A (ja) 自動車用前照灯システムの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前照灯システム
JP2007201110A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KR101741089B1 (ko)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JP2014127381A (ja) 車輌用灯具
JP4597067B2 (ja) 車輌用灯具
JP3154876U (ja) 発光ダイオード灯具
KR101728997B1 (ko)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US10036524B2 (en) Vehicle lamp
KR200464369Y1 (ko) 자동차 조명등의 제습 구조
GB2516551A (en) Condensation reduction in vehicle light assembly
JP4607025B2 (ja) 通気構造
KR20160050278A (ko) 차량용 램프 장치
JP4120005B2 (ja) ランプの防曇構造
JP4913239B2 (ja) 通気部材と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2023177597A (ja) ランプユニット及びランプの本体筐体の換気方法
TWM481848U (zh) 汽車用燈具
KR20140035026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