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726B1 - 제습 장치 및 램프 - Google Patents

제습 장치 및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726B1
KR102452726B1 KR1020177013086A KR20177013086A KR102452726B1 KR 102452726 B1 KR102452726 B1 KR 102452726B1 KR 1020177013086 A KR1020177013086 A KR 1020177013086A KR 20177013086 A KR20177013086 A KR 20177013086A KR 102452726 B1 KR102452726 B1 KR 10245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ehicle lamp
unit
ventilation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844A (ko
Inventor
코지 후루우치
료이치 마츠시마
히데키 하야마
아키코 미모토
히로유키 니시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20Promoting gas flow in lighting devices, e.g. directing flow toward the cover glass for demi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rying Of Gas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차량용 램프(1)는 폐쇄된 케이스(2)의 제1 개구(2a)에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의 케이스(2) 내의 내부 공간 S로의 침입을 저지함과 아울러 내부 공간 S와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사이에 기체를 유통시키는 통기 유닛(10)과, 케이스(2)의 제1 개구(2a)와는 위치가 다른 제2 개구(2b)에 설치되고, 전기분해에 의해 내부 공간 S의 수증기를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하는 전기분해 제습 소자를 가지는 제습 유닛(20)을 구비함으로써, 케이스 내로 침입한 수증기를 케이스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이 가능한 제습 장치 및 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습 장치 및 램프{DEHUMIDIFYING DEVICE AND LAMP}
본 발명은 제습 장치 및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램프 등의 램프나 감시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 있어서, 광원 등의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 내에서의 수분의 결로 및 이에 수반하는 렌즈의 흐려짐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차량용 램프의 케이스 내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 케이스에 복수의 통기구를 설치하고 케이스 내에 생기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케이스 내를 환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고 2011-519136호 공보
본 발명은, 케이스 내로 침입한 수증기를 케이스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이 가능한 제습 장치 및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본 발명은, 폐쇄된 케이스(2, 3)의 제1 위치(2a)에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의 당해 케이스의 내측 S로의 침입을 저지함과 아울러 당해 케이스의 내측과 외측의 사이에 기체를 유통시키는 통기 부재(11)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의 위치와는 위치가 다른 제2 위치(2b)에 설치되고, 전기분해에 의해 당해 케이스의 내측의 수증기를 당해 케이스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를 구비하는 제습 장치(1)이다.
여기서, 상기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는 상기 통기 부재(11)로부터 상기 케이스(2, 3)의 내측 S로 침입한 기체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통기 부재(11)를 통해 상기 케이스(2, 3)의 내측 S로 유입한 기체를 상기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로 유도하는 유도 수단(9)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는 상기 케이스(2, 3)에 있어서의 연직 하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다른 관점으로부터 파악하면, 본 발명은, 광원(4)과,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케이스(2)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출사하는 렌즈(3)와, 폐쇄된 상기 케이스의 제1 위치(2a)에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의 당해 케이스의 내측 S로의 침입을 저지함과 아울러 당해 케이스의 내측과 외측의 사이에 기체를 유통시키는 통기 부재(11)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의 위치와는 위치가 다른 제2 위치(2b)에 설치되고, 전기분해에 의해 당해 케이스의 내측의 수증기를 당해 케이스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를 구비하는 램프(1)이다.
여기서, 상기 통기 부재(11)는 당해 통기 부재로부터 유입한 기체의 대부분이 상기 렌즈(3)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에 도달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는 상기 광원(4)보다 연직 하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본 란에 있어서의 상기 부호는 본 발명의 설명에 즈음하여 예시적으로 붙인 것으로, 이 부호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내로 침입한 수증기를 케이스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이 가능한 제습 장치 및 램프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차량용 램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a)~도 2(b)는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통기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제습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제습 동작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a)~도 5(b)는 통기 유닛 및 제습 유닛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램프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차량용 램프(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차량용 램프(1)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으로 대표되는 각종 차량의 헤드(head) 램프, 리어(rear) 램프, 브레이크 램프, 안개(fog) 램프, 방향 지시 램프, 주행 램프, 주차 램프 등으로서 이용된다. 도 1에서는 이들 램프류의 일례로서 헤드 램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은 차량용 램프(1)를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이 차량의 전방에 대응하고 우측이 차량의 후방에 대응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1)는 후술하는 LED(4) 등의 부품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2)와, 케이스(2)에 장착되고 LED(4)로부터의 광을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조사시키는 커버 렌즈(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용 램프(1)에는 케이스(2)와 커버 렌즈(3)에 의해 외부로부터 폐쇄된 내부 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2) 내에 수용되는 각 부품에 대한 방수성이나 방진성을 높이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케이스(2)와 커버 렌즈(3)에 의해 차량용 램프(1)의 케이스가 구성되어 있다.
또, 차량용 램프(1)는 내부 공간 S와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사이에 통기를 행하는 통기 유닛(10)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1)는 내부 공간 S의 수증기 등을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 공간 S를 제습하는 제습 유닛(20)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2)에는 내부 공간 S로부터 차량용 램프(1)의 외부를 향해 열린 제1 개구(2a) 및 제2 개구(2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개구(2a)와 제2 개구(2b)는 케이스(2)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개구(2a)는 케이스(2)의 연직 하방부 한편 차량의 후방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개구(2b)는 케이스(2)의 연직 하방부에 있어서, 제1 개구(2a)와 비교하여 차량의 전방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개구(2a)가 형성되는 위치가 제1 위치에 대응하고 제2 개구(2b)가 형성되는 위치가 제2 위치에 대응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케이스(2)의 제1 개구(2a)에 통기 유닛(10)이 장착되어 있다. 또, 케이스(2)의 제2 개구(2b)에 제습 유닛(20)이 장착되어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통기 유닛(10)과 제습 유닛(20)이 케이스(2)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1)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의 일례로서의 LED(Light Emitting Diode)(4)와, LED(4)를 지지함과 아울러 LED(4)에서 발생한 열을 방산하는 지지 부재(5)를 가지고 있다. 또, 차량용 램프(1)는 LED(4)로부터 출사된 광을 전방으로 투영하는 투영 렌즈(6)와, LED(4)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영 렌즈(6)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경(7)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차량용 램프(1)에서는 LED(4), 지지 부재(5), 투영 렌즈(6) 및 반사경(7)은 내부 공간 S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차량용 램프(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지지 부재(5)와 케이스(2)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1)에서는 LED(4)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광을 출사한다. 그리고, LED(4)로부터 출사된 광은, 투영 렌즈(6)를 통과한 후, 커버 렌즈(3)를 통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출사된다.
또한 더 나아가, 차량용 램프(1)는 통기 유닛(10)을 통해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기체를 유도하는 유도 수단의 일례로서의 유도판(9)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유도판(9)은 평판 형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내부 공간 S에 있어서 지지 부재(5)로부터 커버 렌즈(3)를 향해 뻗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듯이, 유도판(9)의 일방의 면은 케이스(2)에 장착된 제습 유닛(2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유도판(9)에 의한 기체의 유도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는 제어부(60)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LED(4)의 점등이나 소등이나 제습 유닛(20)에 의한 제습 동작 등을 행한다.
〔통기 유닛의 구성〕
이어서, 본 실시의 형태의 통기 유닛(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도 2(b)는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통기 유닛(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a)는 통기 유닛(10)을 후술하는 통기로(121)에 있어서의 통기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2(b)에 있어서의 IIA-IIA 단면도에 대응한다. 또, 도 2(b)는 도 2(a)를 IIB 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2(a) 및 상술한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의 형태의 통기 유닛(10)은 내부 공간 S와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사이에 통기를 행하는 막형상의 통기막(11)을 구비하고 있다. 또, 통기 유닛(10)은 통기막(11)을 보유함과 아울러 케이스(2)의 제1 개구(2a)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통기 부착부(12)와, 통기막(11) 및 통기 부착부(12)를 덮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커버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통기막(11)은 내부 공간 S로의 물 등의 액체나 먼지 등의 고체의 침입을 저지함과 아울러, 공기나 수증기 등의 기체는 유통 가능한 막이다. 통기막(11)은 연신법이나 추출법 등에 의해 제작된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다공질막 등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통기막(11)에 이용하는 다공질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다공질막을 들 수 있다. PTFE 다공질막은, 소면적이라도 통기성이 유지 가능하고, 물이나 먼지 등의 통과를 저지하는 능력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통기막(11)으로서 다공질막을 이용하는 경우, 다공질막에 형성된 구멍의 평균 구멍 직경은, 통상, 0.01㎛ 이상 100㎛ 이하의 범위이며, 0.1㎛ 이상 5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 1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기막(11)으로서 이용하는 다공질막의 평균 구멍 직경이 0.01㎛ 미만인 경우, 통기막(11)을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예를 들면 LED(4)의 발열 등에 의해 내부 공간 S가 고온이 되어 내부 공간 S의 공기가 팽창한 경우에, 케이스(2)나 커버 렌즈(3) 등이 파손되기 쉬워진다. 한편, 통기막(11)으로서 이용하는 다공질막의 평균 구멍 직경이 100㎛를 넘는 경우, 통기막(11)을 통과하여 내부 공간 S로 먼지 등이 침입하기 쉬워진다.
통기막(11)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로 할 수가 있다.
통기막(11)의 두께가 과도하게 얇은 경우, 통기막(11)의 강도가 저하하기 쉽다. 또, 통기막(11)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 통기 유닛(10)이 대형화하기 쉽다.
또, 통기막(11)의 표면(특히, 통기 유닛(10)을 케이스(2)의 제1 개구(2a)에 장착한 경우에 차량용 램프(1)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발수 처리나 발유 처리 등의 발액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막(11)에 발액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통기막(11)에 대한 오물 등의 부착이 억제된다. 이 결과, 통기막(11)의 막힘이 억제되어 통기 유닛(10)에 의한 통기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 통기막(11)의 발액 처리는, 예를 들면 불소로 포화한 탄화수소기(퍼플루오로알킬(perfluoroalkyl)기)를 측쇄에 포함하고, 주쇄가 아크릴계, 메타크릴계, 실리콘계 등인 화합물을 성분으로 하는 발수제를 통기막(11)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행할 수가 있다. 통기막(11)의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라비아(gravure) 도장 공법, 스프레이(spray) 도장 공법, 키스 코팅(kiss coating), 침지 등을 채용할 수가 있다.
통기 부착부(12)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통기막(11)을 통과한 기체 또는 내부 공간 S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통과하는 원주 형상의 통기로(12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통기로(121)는 통기 유닛(10)이 차량용 램프(1)(도 1 참조)의 케이스(2)(도 1 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 S를 향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기로(121) 중 내부 공간 S측의 단부는, 차량용 램프(1)의 케이스(2)에 장착된 제습 유닛(20)측을 향하고 있다.
또, 통기 부착부(12)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돌기부(122)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돌기부(122)는 인접하는 돌기부(122)와의 사이에 간극(123)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착부(12)에는 통기로(121) 중 차량용 램프(1)의 외부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단부를 막도록 통기막(11)이 장착되어 있다. 통기 부착부(12)에 대한 통기막(11)의 설치 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열융착, 초음파용착, 접착제, 점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커버부(13)는 내부에 원기둥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술한 것처럼,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부(13)는 원형상의 저면(131)과, 저면(131)의 외연으로부터 뻗는 원통 형상의 측면(132)을 가지고 있다.
커버부(13)는 통기 부착부(12)에 장착된 통기막(11)을 덮도록 통기 부착부(12)의 외주에 장착된다. 그리고, 커버부(13)에 의해, 통기막(11)의 표면에 오물 등이 부착되는 것이 억제됨과 아울러 통기막(11)의 파손이 억제된다.
통기 유닛(10)에서는 커버부(13)의 측면(132)이 통기 부착부(12)의 돌기부(122)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유닛(10)에서는 통기 부착부(12)에 대해서 커버부(13)가 위치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통기 유닛(10)에서는 통기막(11)과 커버부(13)의 저면(131)과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부착부(12) 및 커버부(13)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나 열가소성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 통기 부착부(12) 및 커버부(13)는 서로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통기 유닛(10)은 통기 부착부(12)가 케이스(2)(도 1 참조)의 제1 개구(2a)(도 1 참조)에 장착됨으로써, 차량용 램프(1)(도 1 참조)에 장착된다. 또, 케이스(2)의 제1 개구(2a)에 대한 통기 부착부(12)의 설치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개구(2a) 및 통기 부착부(12)에 나사 자름을 행하고, 제1 개구(2a)에 통기 부착부(12)를 나사 넣음으로써 부착하는 방법이나, 제1 개구(2a)에 대해서 통기 부착부(12)를 압입하는 방법 등을 적당하게 채용할 수가 있다.
이어서, 통기 유닛(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용 램프(1)의 외부와 차량용 램프(1)의 내부 공간 S의 사이에 압력차가 생긴 경우 등에,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 S를 향해, 또는 내부 공간 S로부터 차량용 램프(1)의 외부를 향해, 통기 유닛(10)을 기체가 흐르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 S를 향해 기체가 흐르는 경우, 도 2(a)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기체는 통기 부착부(12)와 커버부(13)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23)으로부터 통기 유닛(10) 내로 침입한다. 그리고, 통기 유닛(10)에 침입한 기체는 통기막(11)을 도 중의 우로부터 좌를 향해 통과하고, 통기 부착부(12)에 형성된 통기로(121)를 통과하여 내부 공간 S로 침입한다.
한편, 내부 공간 S로부터 차량용 램프(1)의 외부를 향해 기체가 흐르는 경우, 도 2(a)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기체는 통기 부착부(12)에 형성된 통기로(121)를 이동한 후, 통기막(11)을 도 중의 좌로부터 우를 향해 통과한다. 그리고, 통기막(11)을 통과한 기체는 통기 부착부(12)와 커버부(13)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23)을 통과하여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와 내부 공간 S의 사이에 생긴 압력차가 해소되어 차량용 램프(1)의 케이스(2)나 커버 렌즈(3)의 파손이 억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통기 유닛(10)은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 S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내압 조정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제습 유닛의 구성〕
이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습 유닛(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제습 유닛(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제습 유닛(20)을 후술하는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 도 3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제습 유닛(20)을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킨 상태의 제습 유닛(20)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습 유닛(20)은 내부 공간 S의 수증기 등을 전기분해 함으로써 내부 공간 S를 제습하는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습 유닛(20)은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를 보유함과 아울러 케이스(2)의 제2 개구(2b)에 장착되는 제습 부착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제습 부착부(21)는 내부에, 내부 공간 S로부터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뻗는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211) 내에서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를 보유하고 있다. 또, 제습 부착부(21)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열가소성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제습 유닛(20)은 제습 부착부(21)가 케이스(2)(도 1 참조)의 제2 개구(2b)(도 1 참조)에 장착됨으로써, 차량용 램프(1)(도 1 참조)에 장착된다. 또, 케이스(2)의 제2 개구(2b)에 대한 제습 부착부(21)의 설치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2 개구(2b) 및 제습 부착부(21)에 나사 자름을 행하고, 제2 개구(2b)에 제습 부착부(21)를 나사 넣음으로써 부착하는 방법이나, 제2 개구(2b)에 대해서 제습 부착부(21)를 압입하는 방법 등을 적당하게 채용할 수가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제습 유닛(20)은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의 후술하는 제1 전극층(32)에 접속되는 제1 도선(25)과, 제2 전극층(33)에 접속되는 제2 도선(2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도선(25) 및 제2 도선(26)은 제습 유닛(20)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전원(5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제습 유닛(20)은 제어부(60)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차량용 램프(1)의 내부 공간 S의 제습을 행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는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층(31)과, 전해질층(31)의 일방의 면(제습 유닛(20)을 케이스(2)의 제2 개구(2b)에 장착한 경우에 내부 공간 S측을 향한 면)에 적층되는 제1 전극층(32)과, 전해질층(31)의 타방의 면(일방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는 제2 전극층(33)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해질층(31)은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33)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는 내부 공간 S측으로부터, 제1 전극층(32), 전해질층(31) 및 제2 전극층(33)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해질층(31)은 막형상 또는 판형상의 형상을 가진다.
또, 전해질층(31)은 프로톤 전도성을 가지는 전해질로 구성된다. 전해질층(31)을 구성하는 전해질로서는,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알킬술폰산 수지 등의 불소계 프로톤 전도성 전해질이나,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등에 술폰산기나 인산기 등의 프로톤(proton) 전도성기를 도입한 고분자 전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해질층(31)은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수증기)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 전해질층(31)은 기체를 투과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해질층(31)의 표면(제1 전극층(32), 제2 전극층(33)에 대향하는 면)에는 전해질층(31)에서의 전기분해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층(311)이 형성되어 있다. 촉매층(311)으로서는, Pt, Ru, Rh, Ir, Os, Pd 등의 백금족 원소의 단체 금속이나 이들 백금족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촉매 활성이 높은 P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에서는 전해질층(31)의 표면에 촉매층(311)을 형성함으로써, 전해질층(31)에 있어서의 물의 전기분해가 보다 진행하기 쉬워져, 내부 공간 S의 제습이 보다 신속하게 행해지게 된다.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33)은 전해질층(31)에 대해서 미리 정한 전압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에서는 제1 전극층(32)은 전해질층(31)의 내부 공간 S측을 향한 일방의 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양극으로서 동작한다. 또, 제2 전극층(33)은 전해질층(31)의 타방의 면(제1 전극층(32)이 접속될 일방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극으로서 동작한다.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33)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33)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쉬 형상 또는 섬유 형상의 금속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제1 전극층(32)을 메쉬 형상 또는 섬유 형상의 금속재료로 함으로써, 내부 공간 S의 수분(수증기)이 제1 전극층(32)을 통과하여 전해질층(31)에 흡착되기 쉬워진다. 또, 제2 전극층(33)을 메쉬 형상 또는 섬유 형상의 금속재료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제2 전극층(33)에서의 환원 반응에 의해 생성한 수소나 수증기 등이, 제2 전극층(33)을 통과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33)을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된 금속판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금속판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의해,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33)의 통기성이 확보된다.
또한, 제1 전극층(32) 및 제2 전극층(33)을 도전성 및 통기성을 가지는 다공질 재료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다공질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입자를 담지한 다공질 카본 시트(carbon sheet)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습 유닛(20)에서는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는 제습 부착부(21)에 대해서 간극이 생기지 않게 장착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는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증기나 공기 등이 투과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의 제습 유닛(20)은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부 공간 S와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사이의 기밀성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제습 유닛(20)을 통해 내부 공간 S로 수증기나 공기 등의 기체가 침입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습 유닛(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습 유닛(20)에서는 제어부(60)(도 1 참조)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외부 전원(50)에 의해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에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전원(50)에 의해, 제1 도선(25) 및 제2 도선(26)을 통해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의 제1 전극층(32)과 제2 전극층(33)과의 사이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의해 양극으로서 동작하는 제1 전극층(32)에서는 내부 공간 S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하의 반응식(1)에서 나타내듯이 전기분해 된다. 즉, 제1 전극층(32)에서는 물(H2O)이 전기분해 되어, 프로톤(수소이온 H+)과 산소(O2)가 생성된다.
    H2O → 1/2O2 + 2H+ + 2e-  …(1)
제1 전극층(32)에서 생성된 산소는 제1 전극층(32)의 표면에서 내부 공간 S로 방출된다.
또, 제1 전극층(32)에서 생성된 프로톤(수소이온)은 전해질층(31) 내를 이동하고, 제2 전극층(33)에 도달한다.
음극으로서 동작하는 제2 전극층(33)에서는 제1 전극층(32)으로부터 전해질층(31)을 통해 공급된 프로톤(수소이온)이 이하의 반응식(2)에서 나타내듯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산소와 환원 반응하고, 물(수증기)이 생성된다.
    1/2O2 + 2H+ + 2e- → H2O  …(2)
또, 제2 전극층(33)에서는 제1 전극층(32)으로부터 전해질층(31)을 통해 공급된 프로톤(수소이온)이 이하의 반응식(3)에서 나타내듯이 직접 환원되어 수소가 생성되는 경우도 있다.
    2H+ + 2e- → H2    …(3)
그리고, 제2 전극층(33)에서 생성된 물(수증기) 또는 수소는, 제2 전극층(33)의 표면으로부터, 제습 부착부(21)의 구멍(211)을 통과하여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통기 유닛(10) 및 제습 유닛(20)이 케이스(2)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차량용 램프(1)의 LED(4)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에 대해 보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광의 출사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통기 유닛(10), LED(4), 제습 유닛(20) 및 커버 렌즈(3)의 차례로 늘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1)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통기 유닛(10) 및 제습 유닛(20)은 케이스(2)의 연직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헤드 램프 등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내부 공간 S의 습도가 상승함으로써 발생하는 커버 렌즈(3)의 결로나 흐려짐(미세한 물방울이 부착함으로써 커버 렌즈(3)가 하얗게 탁해지는 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차량용 램프(1)의 내부 공간 S에 있어서의 습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차량용 램프(1)의 내부 공간 S를 케이스(2) 및 커버 렌즈(3)에 의해 밀폐하는 것이 가장 유효하다. 그렇지만, 케이스(2)나 커버 렌즈(3)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등은 흡습성을 가지기 때문에 내부 공간 S로의 수분의 침입을 완전하게 억제할 수 없다.
또,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케이스(2) 및 커버 렌즈(3)에 의해 내부 공간 S를 밀폐한 경우, 내부 공간 S의 공기가 팽창하여 내부 공간 S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내부 공간 S의 공기가 수축하여 내부 공간 S의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하거나 하면, 케이스(2)나 커버 렌즈(3)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통상, 차량용 램프(1)에서는 내부 공간 S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내부 공간 S와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사이의 통기를 행하는 통기 유닛(10) 등의 통기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1)에 설치되는 LED(4) 등의 광원은 점등시킨 경우에 발열하여 고온으로 된다. 이 때문에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LED(4)를 점등시킨 경우, 차량용 램프(1)의 내부 공간 S의 공기가 따뜻하게 된다.
그리고, 그 후, LED(4)가 소등되면, LED(4)의 발열이 정지하기 때문에 따뜻하게 된 내부 공간 S의 공기가 냉각되어 수축한다. 이에 수반하여 내부 공간 S의 압력이, 차량용 램프(1)의 외부와 비교하여 일시적으로 낮아진다. 이 결과, 통기 유닛(10)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1)에서는 차량용 램프(1)의 외부와 내부 공간 S의 압력차에 따라 통기 유닛(10)을 통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 S로 공기가 침입한다.
여기서,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습도가 높은 경우 등에서는 통기 유닛(10)을 통해 내부 공간 S에 수증기를 포함하는 습도가 높은 공기가 침입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 공간 S의 온도가 결로점 이하로 된 경우, 커버 렌즈(3)에 결로나 흐려짐이 생긴다.
특히, 예를 들면 우천시 등에 있어서 커버 렌즈(3)가 빗방울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냉각된 경우나, 차량용 램프(1)가 장기간 저온 조건하에 방치된 것 같은 경우에는,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수증기가 커버 렌즈(3)에 접촉함으로써 냉각되기 때문에 커버 렌즈(3)에 결로나 흐려짐이 보다 생기기 쉬워진다.
또, 광원으로서 LED(4)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 LED(4)로부터 출사되는 광에는 적외선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커버 렌즈(3)에 부착한 물방울 등이 가열되기 어렵기 때문에, 커버 렌즈(3)에 생긴 결로나 흐려짐이 해소되기 어렵다.
커버 렌즈(3)의 결로나 흐려짐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수증기를 신속하게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수증기를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내부 공간 S에 생기는 공기의 대류를 이용하여 통기 유닛(10)으로부터 수증기를 배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공기의 대류를 이용하여 통기 유닛(10)으로부터 수증기를 배출하는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내부 공간 S와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압력온도의 관계나,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수증기의 양 등에 따라서는, 수증기를 충분히 배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커버 렌즈(3)에 결로나 흐려짐이 생기기 쉽다.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의 제습 동작에 대해〕
이에 반해,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케이스(2)의 다른 위치에 장착된 통기 유닛(10)과 제습 유닛(20)에 의해,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수증기를 신속하게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하여 커버 렌즈(3)의 흐려짐이나 결로를 억제한다.
이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의 제습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제어부(60)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으로, 외부 전원(50)에 의해 제습 유닛(20)에 전통하고, 내부 공간 S의 제습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미리 정한 타이밍으로서 LED(4)를 소등한 타이밍에 제습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제습 동작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LED(4)가 소등된 타이밍에 맞추어, 제어부(60)(도 1 참조)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외부 전원(50)(도 3 참조)에 의해 제습 유닛(20)의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에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또,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LED(4)가 소등되면, 상술한 것처럼, 내부 공간 S의 온도가 저하하여 내부 공간 S의 공기가 수축하고, 내부 공간 S의 압력이 차량용 램프(1)의 외부와 비교하여 낮아진다. 그리고, 내부 공간 S와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듯이,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공기가 통기 유닛(10)의 상술한 통기막(11)(도 2 참조)을 통과하여 내부 공간 S로 침입한다.
여기서, 차량용 램프(1)에서는 LED(4)가 소등될 때까지 동안, 내부 공간 S의 공기는 LED(4)의 발열에 의해 가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LED(4)를 소등한 타이밍에서는, 내부 공간 S의 공기의 온도는,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공기와 비교하여 높아져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통기 유닛(10)은 LED(4)와 비교하여 내부 공간 S의 연직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저온의 공기는, 내부 공간 S에 존재하는 공기와의 밀도의 차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듯이, 내부 공간 S의 연직 하방을 차량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이동한다. 여기서,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지지 부재(5)와 케이스(2)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는, 지지 부재(5)와 케이스(2)의 사이를 차량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이동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내부 공간 S의 연직 하방부에 있어서 지지 부재(5)와 케이스(2)와의 사이에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케이스(2)의 연직 하방부에 있어서 통기 유닛(10)이 장착되어 있는 제1 개구(2a)보다 차량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 개구(2b)에 제습 유닛(20)이 장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차량용 램프(1)에서는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의 유로 상에, 제습 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는, 내부 공간 S의 연직 하방부를 이동하고, 제습 유닛(20)과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제습 유닛(20)의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도 3 참조)에 흡착된다.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3)(도 3 참조)에 직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흡착한 수증기의 분해 반응을 한다. 이에 의해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제습 유닛(20)을 통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제습 유닛(20)은 커버 렌즈(3)와 비교하여 차량의 후방측에 있어서 통기 유닛(10)에 가까운 측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의 대부분이, 커버 렌즈(3)에 도달하기 전에 제습 유닛(20)에 도달한다. 이 결과,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커버 렌즈(3)에 부착하여 물방울로 되는 것이 억제되어 커버 렌즈(3)의 결로나 흐려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는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를 제습 유닛(20)을 향해 안내하는 유도판(9)을 가지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는, 유도판(9)에 부딪침으로써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제습 유닛(20)측으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제습 유닛(20)의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에 의해 흡착되기 쉬워져, 제습 유닛(20)에 의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보다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가 유도판(9)에 의해 제습 유닛(20)측으로 유도됨으로써,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커버 렌즈(3)를 향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커버 렌즈(3)의 결로나 흐려짐의 발생이 보다 억제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지지 부재(5)나 케이스(2)와는 별체의 유도판(9)을 설치했지만, 예를 들면 지지 부재(5)나 케이스(2)의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기체를 제습 유닛(20)으로 유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유도판(9)을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1)의 부품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차량용 램프(1)의 제조가 간단하고 쉽게 된다.
〔통기 유닛과 제습 유닛과의 배치의 다른 예에 대해〕
차량용 램프(1)의 케이스(2)에 있어서의 통기 유닛(10) 및 제습 유닛(20)의 배치는, 도 1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도 5(b)는 통기 유닛(10) 및 제습 유닛(20)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1)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1)에서는 케이스(2)의 연직 상방에 통기 유닛(10)을 설치함과 아울러, 케이스(2)에 대해 통기 유닛(10)의 연직 하방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습 유닛(20)을 설치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부터 통기 유닛(10)을 통해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저온의 공기는 연직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습 유닛(20)을 향한다. 즉, 도 5(a)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제습 유닛(20)은 통기 유닛(10)을 통해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에 나타내듯이 통기 유닛(10) 및 제습 유닛(20)을 배치함으로써,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제습 유닛(20)에 의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커버 렌즈(3)의 흐려짐이나 결로가 억제된다.
또, 도 5(b)에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1)에서는 통기 유닛(10) 및 제습 유닛(20)이 함께 케이스(2)의 연직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5(b)에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1)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예와는 달라, 통기 유닛(10)이 제습 유닛(20)과 비교하여 차량의 전방측(즉, 커버 렌즈(3)에 가까운 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1)에서는 통기 유닛(10)과 커버 렌즈(3)의 사이를 차단하도록 차량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뻗은 유도판(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듯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부터 통기 유닛(10)을 통해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는, 유도판(9)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바뀌어져 제습 유닛(20)을 향해 이동한다. 즉, 도 5(b)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제습 유닛(20)은 통기 유닛(10)을 통해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듯이 통기 유닛(10) 및 제습 유닛(20)을 배치함으로써, 통기 유닛(10)으로부터 침입한 공기가 커버 렌즈(3)에 도달하기 전에 제습 유닛(20)에 도달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통기 유닛(10)으로부터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제습 유닛(20)에 의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커버 렌즈(3)의 흐려짐이나 결로가 억제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통기 유닛(10)은 상술한 것처럼,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 S의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내부 공간 S로 침입한 수증기를 제습 유닛(20)에 의해 차량용 램프(1)의 외부로 배출하고 있어 통기 유닛(10)에 의해 수증기를 배출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통기 유닛(10)은 적어도 내부 공간 S와 차량용 램프(1)의 외부와에 압력차가 생긴 경우에 압력차를 해소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정도의 크기이면 좋다. 이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용 램프(1)에서는 통기 유닛(10)에 의해 수증기를 배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통기 유닛(10)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통기 유닛(10)에서는 통기 부착부(12)를 통해 통기막(11)을 차량용 램프(1)의 케이스(2)에 장착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그러나, 통기 유닛(10)의 구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통기막(11)을 직접, 케이스(2)의 제1 개구(2a)에 장착하여 통기 유닛(10)을 구성해도 좋고, 통기막(11)에 대신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통기 부재를 케이스(2)의 제1 개구(2a)에 장착함으로써 통기 유닛(10)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제습 유닛(20)의 구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를 직접 케이스(2)의 제2 개구(2b)에 장착하여 제습 유닛(20)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더 나아가, 제습 유닛(20)에 대해, 전기분해 제습 소자(30)의 표면에, 전기분해 제습 소자(3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등을 더 설치해도 좋다.
〔제습 동작을 행하는 타이밍에 대해〕
이어서,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제습 동작을 행하는 타이밍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LED(4)가 소등되었을 때에, 제어부(60)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제습 유닛(20)(전기분해 제습 소자(30))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제습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제습 동작을 행하는 타이밍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제습 유닛(20)에 대해서 항상 통전을 행함으로써,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 항상적으로 제습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차량용 램프(1)가 놓여지는 환경이나 차량 상태 등에 관련되지 않고, 항상 내부 공간 S가 제습되게 되어, 커버 렌즈(3)에 있어서의 결로나 흐려짐이 억제된다.
또, 차량용 램프(1)에서는 타이머 등에 의해 측정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조조 등의 미리 정한 시각에 제습 유닛(20)에 통전을 하고 내부 공간 S의 제습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차량용 램프(1)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장착되는 차량에 있어서, 문이 열리는 동작 등의 미리 정한 동작을 했을 때에, 제습 유닛(20)에 통전을 하고 제습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더 나아가, 차량용 램프(1)에서는 차량용 램프(1)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 S의 습도나, 차량용 램프(1)의 외부의 습도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를 설치하고, 검지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습도가 미리 정한 값을 넘는 경우에, 제습 유닛(20)에 통전을 하고 제습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차량용 램프(1)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장착되는 차량에 빗방울 센서를 설치하고, 강우를 검지한 경우에, 제습 유닛(20)에 통전을 하고 제습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기 유닛(10) 및 제습 유닛(20)에 의해 내부 공간 S 내를 제습하는 제습 장치로서 차량용 램프(1)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상은 차량용 램프(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1)의 외에 렌즈의 결로나 흐려짐이 문제가 되기 쉬운 감시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1…차량용 램프 2…케이스(case)
3…커버 렌즈 4…LED
9…유도판
10…통기 유닛 11…통기막
12…통기 부착부 20…제습 유닛
21…제습 부착부
30…전기분해 제습 소자 31…전해질층
32…제1 전극층 33…제2 전극층
50…외부 전원 60…제어부

Claims (7)

  1.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출사하는 렌즈와,
    폐쇄된 상기 케이스의 벽면의 제1 위치에 설치되고, 액체 및 고체의 당해 케이스의 내측으로의 침입을 저지함과 아울러 당해 케이스의 내측과 외측의 사이에 기체를 유통시키는 통기막을 구비하는 통기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위치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벽면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른 제2 위치에 설치되고, 전기분해에 의해 당해 케이스의 내측의 수증기를 당해 케이스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전기분해 제습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제1 위치는, 당해 통기 부재로부터 유입한 기체가 상기 렌즈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전기분해 제습 소자에 도달하는 위치로서, 당해 렌즈보다 상기 광원에 의한 광의 출사 방향의 상류측의 벽면 및/또는 당해 광원보다 연직 하방의 벽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 제습 소자는, 상기 광원보다 연직 하방으로서, 상기 통기 부재보다 연직 하방 또한 당해 통기 부재보다 상기 출사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7013086A 2014-11-19 2015-11-19 제습 장치 및 램프 KR102452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4874A JP6803130B2 (ja) 2014-11-19 2014-11-19 ランプ
JPJP-P-2014-234874 2014-11-19
PCT/JP2015/082566 WO2016080492A1 (ja) 2014-11-19 2015-11-19 除湿装置および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844A KR20170089844A (ko) 2017-08-04
KR102452726B1 true KR102452726B1 (ko) 2022-10-06

Family

ID=5601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086A KR102452726B1 (ko) 2014-11-19 2015-11-19 제습 장치 및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86059B2 (ko)
EP (1) EP3222339B1 (ko)
JP (1) JP6803130B2 (ko)
KR (1) KR102452726B1 (ko)
CN (1) CN107106974B (ko)
WO (1) WO2016080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8886B2 (ja) * 2012-03-30 2017-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
JP6859020B2 (ja) * 2015-07-29 2021-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除湿機器
CN109154428A (zh) * 2016-05-16 2019-01-04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载用灯具
US10760766B2 (en) 2016-06-30 2020-09-01 Ushio Denki Kabushiki Kaisha Floodlight device with two optical systems that condense and collimate laser light
JP2018006136A (ja) * 2016-06-30 2018-01-1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投光装置
KR101856353B1 (ko) * 2016-09-09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 습기분해 장치
KR101878074B1 (ko) * 2016-11-09 2018-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 습기분해 장치
KR102651939B1 (ko) * 2016-12-14 2024-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램프 습기분해 장치
KR102651962B1 (ko) * 2016-12-14 2024-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 습기분해 장치
CN108916821A (zh) * 2017-03-21 2018-11-30 嘉兴海拉灯具有限公司 一种灯体、具有该灯体的车辆及车灯除雾方法
CN108916817A (zh) * 2017-03-21 2018-11-30 嘉兴海拉灯具有限公司 一种灯体
EP3403934B1 (en) * 2017-05-19 2021-01-27 Goodrich Lighting Systems GmbH Drain valve, exterior aircraft light unit and power supply box
EP3795432B1 (en) * 2018-05-18 2023-03-15 Koito Manufacturing Co., Ltd. Imaging device and lamp device
EP3581848B1 (en) * 2018-06-13 2022-05-11 Valeo Iluminacion Automotive lighting device
EP3626629B1 (en) * 2018-09-21 2021-07-21 Goodrich Lighting Systems GmbH Exterior aircraft light and aircraft comprising the same
CN109210496A (zh) * 2018-10-16 2019-01-15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具有特殊防雾结构的灯具和具有其的车辆
FR3090819B1 (fr) * 2018-12-19 2021-05-07 Valeo Vision Dispositf lumineux avec dispositif de deshumidification
CN110052054B (zh) * 2019-04-04 2023-07-04 深圳英飞拓仁用信息有限公司 除湿装置和精密仪器设备
CN110242926B (zh) * 2019-07-18 2024-01-30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自循环除雾的汽车灯具
CN110671685B (zh) * 2019-10-28 2020-12-18 嘉兴觅特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管廊的具有降温功能的照明设备
CN111664419A (zh) * 2019-12-13 2020-09-15 摩登汽车有限公司 汽车灯具和汽车
US11137130B1 (en) * 2020-09-01 2021-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condens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23177597A (ja) * 2022-06-02 2023-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ランプユニット及びランプの本体筐体の換気方法
CN117319532A (zh) * 2022-06-24 2023-12-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230A (ja) * 2000-03-23 2001-10-02 Daiken Trade & Ind Co Ltd 除湿収納庫
JP2014127381A (ja) * 2012-12-27 2014-07-07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JP2014206490A (ja) 2013-04-15 2014-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素子劣化検出装置および除湿素子劣化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941A (ja) * 1991-10-17 1993-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物品貯蔵保管装置、電子メータ、積算電力量計及び閉鎖盤
JP3245099B2 (ja) * 1997-09-04 2002-01-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06216157A (ja) 2005-02-03 2006-08-17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磁気ディスク装置
JP5122347B2 (ja) 2008-04-04 2013-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US20090268475A1 (en) 2008-04-24 2009-10-29 Earl Ball Ventilation system for lamp enclosures
DE112012006405B4 (de) 2012-05-24 2016-08-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euchtigkeitsbeseitigungsvorrichtung, Beleuchtungsvorrichtung zur Montage an einem Fahrzeug, und Lichtquellen-Beleuchtungsvorrichtung
JP5853970B2 (ja) * 2013-02-22 2016-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機器用除湿装置及び車載用ヘッドラ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230A (ja) * 2000-03-23 2001-10-02 Daiken Trade & Ind Co Ltd 除湿収納庫
JP2014127381A (ja) * 2012-12-27 2014-07-07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JP2014206490A (ja) 2013-04-15 2014-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素子劣化検出装置および除湿素子劣化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6974A (zh) 2017-08-29
JP2016097339A (ja) 2016-05-30
EP3222339A1 (en) 2017-09-27
US20170363278A1 (en) 2017-12-21
CN107106974B (zh) 2020-07-31
US10386059B2 (en) 2019-08-20
EP3222339B1 (en) 2019-08-07
JP6803130B2 (ja) 2020-12-23
KR20170089844A (ko) 2017-08-04
EP3222339A4 (en) 2018-06-27
WO2016080492A1 (ja)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726B1 (ko) 제습 장치 및 램프
US10458640B2 (en) Ventilation and humidity-conditioning unit and apparatus
JP4652121B2 (ja) 通気部材と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5853970B2 (ja) 機器用除湿装置及び車載用ヘッドランプ
JP5705377B2 (ja) 除湿装置、車載用灯具および光源点灯装置
EP3078900B1 (en) Vehicle lamp
WO2017199692A1 (ja) 車載用灯具
US10816503B2 (en) Electrochemical gas sensor for detecting hydrogen cyanide gas
EP2785160A2 (en) Ventilation member
JP6678466B2 (ja) 車両用灯具
JP2017029891A (ja) 除湿機器および機器
CN108375049B (zh) 用于前大灯的除湿装置
JP6859020B2 (ja) 除湿機器
JP2007200673A (ja) 通気構造および通気部材
CN108613133B (zh) 前照灯的水分电解装置
KR102634104B1 (ko) 통기 부품
JP2011029209A (ja) 通気部材と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CN108613096B (zh) 用于灯的水分电解装置
JP2021087929A (ja) 除湿装置、車載用機器、車載用センサ及び車載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