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997B1 -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997B1
KR101728997B1 KR1020150140799A KR20150140799A KR101728997B1 KR 101728997 B1 KR101728997 B1 KR 101728997B1 KR 1020150140799 A KR1020150140799 A KR 1020150140799A KR 20150140799 A KR20150140799 A KR 20150140799A KR 101728997 B1 KR101728997 B1 KR 10172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exhaust pipe
hole portion
exhaust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401A (ko
Inventor
이수봉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997B1/ko
Priority to US15/243,796 priority patent/US9810395B2/en
Priority to JP2016166258A priority patent/JP6306653B2/ja
Priority to DE202016105206.8U priority patent/DE202016105206U1/de
Priority to CN201621090867.1U priority patent/CN206207257U/zh
Publication of KR2017004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2Forced cooling
    • F21S45/43Forced cooling using gas
    • F21S48/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F21S48/00
    • F21S48/33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21W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는: 램프하우징과, 램프하우징에 설치되고, 투광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램프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고, 투광부에서 발산된 빛이 투과되는 투광렌즈와, 램프하우징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램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기홀부와, 램프하우징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램프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기홀부와, 일측부가 램프하우징에 결합되고, 배기홀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측부가 엔진의 흡기부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흡기홀부는, 램프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측면부측에 배치되고, 램프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배기홀부는, 램프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중간부측에 배치되고, 램프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VENTILATION OF LAMP MODU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램프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어두운 곳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명하기 위한 전조등(headlamp)과 미등(taillamp), 주변의 차량 운전자에게 차선변경 및 주행방향을 알려 주거나 긴급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방향지시등 등의 다양한 램프모듈이 설치된다.
이러한 램프모듈의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빛이 투과하게 되는 투광렌즈에 습기가 맺혀 광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투광렌즈에 친수코팅을 하는 경우, 투광렌즈에 맺히는 습기의 양을 보다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투광렌즈를 타고 흘러내리는 물 흐름으로 인한 자국으로 인해 차량의 외부로 배광되는 광패턴이 설정된 패턴으로 배광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27891호(2004.04.08.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4등식 헤드램프의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모듈의 투광렌즈에 습기가 맺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는: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에 설치되고, 투광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램프; 상기 램프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고, 상기 투광부에서 발산된 빛이 투과되는 투광렌즈; 상기 램프하우징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램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기홀부; 상기 램프하우징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램프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기홀부; 및 일측부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배기홀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측부가 엔진의 흡기부와 연결되는 배기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램프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측면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램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차량의 중간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는, 상향등; 및 상기 상향등보다 차량의 측면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하향등;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하향등보다 상기 차량의 측면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상향등보다 상기 차량의 중간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하향등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상향등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램프하우징은, 상기 램프가 장착되는 램프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이 연결되는 배기관연결부가 상기 배기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투광부가 통과할 수 있는 투광홀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본체에 상기 램프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투광렌즈와 마주하는 베이스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관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본체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이 끼워지는 배기관끼움부; 및 상기 배기관끼움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관을 상기 배기관끼움부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밀착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연결부가 이루는 공기배출경로 상에 배치되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관연결부는, 상기 필터부에 걸러진 수분이 배출되는 유로를 이루는 수분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배기관연결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연결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배기관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차량의 프론트엔드모듈 캐리어에 구비된 조립부에 끼워지는 장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제1흡기홀부; 및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상기 제1흡기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흡기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제1배기홀부; 및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상기 제1배기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배기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제1흡기홀부와 상기 제2흡기홀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흡기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제1배기홀부와 상기 제2배기홀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배기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상기 하우징본체에서 상기 엔진의 흡기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관은, 상기 하우징본체에서 상기 엔진의 흡기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관부; 상기 연장관부의 단부에 상기 연장관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보강관부; 및 상기 보강관부의 내경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연결부가 끼워지는 조립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프하우징과 상기 투광렌즈 사이의 공간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프하우징과 상기 투광렌즈 사이의 공간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플렉시블(flexible) 호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에 의하면, 램프하우징과 투광렌즈 사이의 다습한 공기가 배기홀부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흡기홀부를 통해 대기 중의 건조한 공기가 새롭게 유입되면서 램프하우징과 투광렌즈 사이의 공간부를 환기, 건조시키게 되므로, 투광렌즈에 습기가 맺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홀부에 의해 램프하우징과 투광렌즈 사이의 공간부가 대기압을 유지하게 되므로, 배기홀부를 통해 램프하우징과 투광렌즈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더라도 배기관에 진공압이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배기관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하더라도 배기관이 접혀지거나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배기관을 구성함으로써 배기관을 엔진룸 내부의 여유공간부를 활용하여 엔진의 흡기부까지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관을 이용해 배출홀부를 엔진의 흡기부와 연결함으로써, 펌프와 같은 별도의 흡기장치를 구비하여 엔진룸 내부의 한정된 공간상에 추가로 설치함에 따른 번거로움 없이 엔진의 흡기력을 작동력으로 하여 에너지효율적, 공간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하우징본체에 배기관을 결합시키는 조립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하우징본체와 배기관간의 결합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습도센서, 온도센서, 제어부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하우징본체에 배기관을 결합시키는 조립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하우징본체와 배기관간의 결합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의 습도센서, 온도센서, 제어부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1)는 램프하우징(10), 램프(20), 투광렌즈(30), 흡기홀부(40), 배기홀부(50), 배기관(60)을 포함한다.
램프하우징(10)은 램프(20) 및 그 관련 부품을 정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골조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램프(20)는 LED 등의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램프하우징(10)에 설치된다. 램프(20)의 조명장치에서 생성된 빛은 이를 커버하는 투명한 재질의 투광부(24)를 통해 램프(20)의 외부로 발산된다.
램프(20)는 램프하우징(10)의 개방부를 통해 램프하우징(10)의 내부에 인입, 수용된 상태로 램프하우징(10)에 고정설치된다. 투광렌즈(3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램프하우징(10)의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투광부(24)를 통해 램프(20)에서 발산된 빛은 투광렌즈(30)를 투과하면서 그 투과 방향과 범위가 최종적으로 결정되어 램프모듈의 외부로 조사된다.
흡기홀부(40)는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이다. 흡기홀부(40)는 램프하우징(10)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램프(20)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측면부와 근접한 일측에 배치된다. 흡기홀부(40)를 통해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램프하우징(10) 외부가 연통되어,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상시 대기압을 유지하게 된다.
배기홀부(50)는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램프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이다. 배기홀부(50)는 램프하우징(10)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램프(20)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중앙부와 근접한 타측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0)가 전방을 향해 빛을 비추도록 설치된 전조등에 적용한 일례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위치되는 우측 전조등에 적용한 일례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우측 전조등을 전방에서 도시한 것으로, 도 2상의 좌측은 실제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해당된다.
배기홀부(50)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기가 환기되고, 램프하우징(10)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던 수분이 자연히 램프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건조된다.
이때 수분이 주요하게 맺히게 되는 투광렌즈(30)의 내면부 전반을 훑어내는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투광렌즈(30)에 맺힌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 제거할 수 있다.
배기관(60)은 램프하우징(10)의 외부에서 공기의 배출 경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램프하우징(10)에서 엔진(3)의 흡기부(4)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엔진(3)의 흡기부(4)는 엔진(3)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나, 엔진(3)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장치 등을 포괄한다. 배기관(60)의 일단부는 램프하우징(10)에 마련된 배기관연결부(13)에 결합되고, 배기홀부(50)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배기관(60)의 타단부는 흡기부(4)와 연결된다.
필터부(80)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부재(82)를 구비하여, 배기관(60)과 배기관연결부(13)가 이루는 공기배출경로 상에 배치된다. 램프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이 배기관(60)과 엔진(3)으로 유입되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이물질과 수분으로 인한 배기관(60)의 폐색이나 엔진(3)의 손상,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80)는 배기관연결부(13)와 배기관(60)의 경계부에 설치된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8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80)는 배기관연결부(13)과 배기관(60) 중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개소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20)는 상향등(21), 하향등(22), 방향지시등(23)을 포함한다. 상향등(21)은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하기 유리하도록 보다 원거리로 빛을 비추는 것으로, 하향등(22)에 비해 상향된 각도를 가진다. 하향등(22)은 전방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및 대항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상향등(21)에 비해 하향된 각도를 가진다. 방향지시등(23)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차량 진행을 주변의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방향지시등(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차량의 내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하향등(22)을 이용한 시야 확보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향등(22)은 상향등(21)보다 차량(1)의 측면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즉 하향등(22)은, 우측 전조등의 경우 상향등(21)보다 우측에 배치되고, 좌측 전조등의 경우 상향등(21)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즉, 하향등(22)은 상향등보다 차량의 외측에 위치된다.
통상적으로 야간 주행 시 하향등(22)만을 점등시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상향등(21)은 인적이 드문 오지를 주행하는 경우 등과 같이 주변에 차량이 없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향등(22)의 발열량이 상향등(21)에 비해 더 높고, 하향등(22) 주변의 공기가 상향등(21) 주변의 공기에 비해 대기와의 온도차 또한 더 현저하여 투광렌즈(30) 중 하향등(22)과 마주하는 부분에 주로 습기가 맺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기홀부(40)는 하향등(22)보다 차량(1)의 측면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하향등(22)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배기홀부(50)는 상향등(21)보다 차량(1)의 중간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상향등(2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즉, 우측 전조등에 적용됨에 있어서, 흡기홀부(40)는 하향등(22)의 우측 상부에 위치되고, 배기홀부(50)는 상향측(21)의 좌측 하부에 위치된다.
흡기홀부(40)가 하향등(22)측에 설치됨에 따라 흡기홀부(40)를 통해 램프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 건조한 공기가 하향등(22)을 우선적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하향등(22)과 대기의 온도차로 인해 투광렌즈(30)에 맺힌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습기가 많이 포함될수록 공기는 수분의 중량에 의해 상대적으로 습기가 적은 공기보다 하측에 가라앉게 되는데, 배기홀부(50)가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램프하우징(10)의 하부에 분포되는 저온다습한 공기가 배기홀부(50)를 통해 용이하게 램프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하우징(10)은 하우징본체(11)와 베이스패널(18)을 포함한다.
하우징본체(11)는 램프(20)를 후방에서 커버함과 동시에 램프(20)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면을 제공하는 부재로, 램프(2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내면부를 가지고,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투광렌즈(30)는 하우징본체(11)의 전방에서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11)는 램프장착부(12), 배기관연결부(13), 장착가이드(17)를 포함한다.
램프장착부(12)는 하우징본체(11) 중 램프(2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램프(20)가 관통할 수 있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거나, 램프(20)를 결합, 지지가능한 기판, 단자와 같은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램프(20)는 램프장착부(12) 상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배기관연결부(13)는 하우징본체(11) 중 배기관(6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하우징본체(11)의 외면부 하부에 배기홀부(50)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연결부(13)는 배기관끼움부(14), 밀착가압부(15), 수분배출부(16)를 포함한다.
배기관끼움부(14)는 배기관(60)이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으로, 하우징본체(11) 상에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배기관끼움부(14)의 내부에는 배기홀부(50)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배기관(60)은 배기관끼움부(14)의 둘레에 끼워져 배기홀부(50)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밀착가압부(15)는 배기관(60)을 배기관끼움부(14)측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시키는 부분으로, 배기관끼움부(14)의 둘레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밀착가압부(15)는 배기관끼움부(14)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rib) 형상을 가지고, 배기관끼움부(14)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밀착가압부(15)는 배기관끼움부(14)와의 사이에 배기관(60)을 끼울 수 있도록 배기관끼움부(14)와 설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밀착가압부(15)는 합성수지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면, 배기관(60)을 배기관끼움부(14)와 밀착가압부(15)의 사이에 억지끼움한 상태에서, 밀착가압부(15)가 배기관(60)을 배기관끼움부(14)측으로 탄성가압하게 된다. 밀착가압부(15)를 이용해 배기관(60)을 배기관끼움부(14)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배기관끼움부(14)측의 공기가 누실 없이 배기관(60)으로 안정되게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배기관끼움부(14)와 배기관(60)의 사이에 필터부(80)가 설치된다. 수분배출부(16)는 이러한 필터부(80)에 의해 걸러져 배기관(60)측으로의 유동이 구속된 수분이 배출되는 유로를 이룬다. 수분배출부(16)는 배기관끼움부(14)의 하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배출부(16)는 용기부(161), 안내경사부(162), 유출방지턱부(163), 하향배출부(164)를 포함한다.
용기부(161)는 배기관끼움부(14)의 내면부 하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안내경사부(162)는 용기부(161) 중 필터부(80)와 근접한 일측부 상에 필터부(80)에서 용기부(16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유출방지턱부(163)는 용기부(161) 중 하우징본체(11)의 내면부를 향하는 타측부 상에 직각되게 형성되거나, 상측으로 갈수록 필터부(80)에 근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향배출부(164)는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이루어 용기부(161)의 하부에서 배기관끼움부(14)의 외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필터부(80)에 걸러진 수분은 필터부(80)를 타고 흘러내리면서 안내경사부(162)를 타고 용기부(161)에 담겨지게 되고, 하향배출부(164)를 통해 배기관끼움부(14)의 외부로 자연 배출된다. 이때, 안내경사부(162)에 담겨진 수분은 차량의 진동 시에도 유출방지턱부(163)에 의해 하우징본체(11)의 내면부측으로의 유동, 인입이 구속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엔진(3)측으로의 수분 유입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의 유입에 의한 엔진(3)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착가이드(17)는 프론트엔드모듈(FEM, Front End Module)의 캐리어(2)에 구비된 조립부(2a)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배기관연결부(13)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장착가이드(17)는 배기관연결부(13)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배기관연결부(1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되면서 배기관연결부(13)를 커버한다. 캐리어(2)의 조립부(2a)는 장착가이드(17)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가이드(17)에 대응되는 홈부 또는 홀부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에는 에 배기관(6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부(2b)가 형성된다.
프론트엔드모듈은 차량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구성품이 하나로 모듈화된 것을 지칭한다. 즉, 프론트엔드모듈은 라디에이터 및 에어컨덴서를 비롯한 쿨링모듈과,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충돌에너지를 좌우측 사이드멤버로 분산하는 범퍼빔과, 차량 전방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전조등이 캐리어(2)에 설치되어 하나로 모듈화된 것을 지칭한다.
장착가이드(17)를 캐리어(2)의 조립부(2b)에 끼운 상태에서 램프하우징(10)은 캐리어(2) 상의 정위치에 배치되고, 배기관연결부(13)는 관통홀부(2b)에 의해 캐리어(2)의 후방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장착가이드(17)를 캐리어(2)의 조립부(2b)에 끼운 상태에서 캐리어(2) 후방의 개폐밸브(65)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배기관(60)의 전방단부를 관통홀부(2b)를 통해 배기관연결부(13)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립에 의해 배기관(60)을 캐리어(2) 상의 정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18)은 차량의 깔끔한 미관과 원활한 빛 반사, 투사를 위해 램프(20) 중 투광부(24)를 제외한 부분과 하우징본체(11)에 설치된 다른 부품을 가리는 마감부재이다. 베이스패널(18)은 투광부(24)가 통과할 수 있는 투광홀부(19)를 구비하여 하우징본체(11)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베이스패널(18)은 반사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18)은 하우징본체(11)의 전면부에 결합됨으로써, 투광렌즈(30)와 마주하게 된다. 베이스패널(18)을 전면부를 투광렌즈(30)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투광렌즈(30)의 표면을 훑어내는 공기의 유동을 보다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18)은 하우징본체(11)의 전면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패널(18)은 하우징본체(11)의 일부를 커버하는 형상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기홀부(40)는 제1흡기홀부(41), 제2흡기홀부(42), 흡기패킹부(43)를 포함한다.
제1흡기홀부(41)는 하우징본체(11)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흡기홀부(42)는 베이스패널(18) 상에 제1흡기홀부(41)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램프하우징(10) 외부의 공기는 제1흡기홀부(41)와 제2흡기홀부(42)를 순차적으로 거쳐 베이스패널(18)과 투광렌즈(30)의 사이로 유입된다.
흡기패킹부(43)는 제1흡기홀부(41)와 제2흡기홀부(42)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부재이다. 흡기패킹부(43)는 고무재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링 또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제1흡기홀부(41)와 제2흡기홀부(42)의 사이에 배치된다. 흡기패킹부(43)로 제1흡기홀부(41)와 제2흡기홀부(42)의 사이를 기밀시킴으로써, 제1흡기홀부(41)로 유입된 공기가 누실 없이 베이스패널(18)의 전방으로 안정되게 유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홀부(50)는 제1배기홀부(51), 제2배기홀부(52), 배기패킹부(53)를 포함한다.
제1배기홀부(51)는 하우징본체(11)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배기홀부(52)는 베이스패널(18) 상에 제1배기홀부(51)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베이스패널(18)과 투광렌즈(30)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2배기홀부(52)와 제1배기홀부(51)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기관연결부(13), 배기관(60)으로 배출된다.
배기패킹부(53)는 제1배기홀부(51)와 제2배기홀부(52)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부재이다. 배기패킹부(53)는 고무재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링 또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제1배기홀부(51)와 제2배기홀부(52)의 사이에 배치된다. 배기패킹부(53)로 제1배기홀부(51)와 제2배기홀부(52)의 사이를 기밀시킴으로써, 제2배기홀부(52)로 유입된 하우징본체(11) 내부의 공기가 누실 없이 배기관(60)측으로 안정되게 유동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관(60)은 연장관(61)과 개폐밸브(65)를 포함한다.
연장관(61)은 엔진룸(5)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우징본체(11)에서 엔진(3)의 흡기부(4)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관(61)은 연장관부(62), 보강관부(63), 조립턱부(64)를 포함한다.
연장관부(62)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연속된 유로를 구비하여 하우징본체(11)에서 개폐밸브(65)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보강관부(63)는 배기관연결부(13)와 결합되는 연장관부(62)의 전방단부에 연장관부(62)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보강관부(63)를 형성함으로써, 고무재, 플라스틱과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하게 변형가능한 소재로 배기관(60)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배기관(60)을 찢어짐 등의 손상 없이 견고하게 배기관연결부(13)에 결합시킬 수 있다.
조립턱부(64)는 배기관연결부(13)의 배기관끼움부(14)와 접하는 부분으로, 보강관부(63)의 내경부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조립턱부(64)를 형성함으로써 배기관끼움부(14)와의 조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턱부(64)와 배기관끼움부(14)의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부(80)의 이동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개폐밸브(65)는 연장관(61)의 개폐를 단속하는 밸브장치로, 연장관부(61) 상에 설치된다. 개폐밸브(65)는 운전자의 스위치조작 신호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된다. 필요 시 개폐밸브(65)를 개방조작함으로써 연장관(61)을 통해 하우징본체(11)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80)는 장착프레임(81)과 여과부재(82)를 포함한다.
장착프레임(81)은 배기관끼움부(14)와 조립턱부(64)에 의해 양방향 이동이 구속될 수 있도록 배기관끼움부(14) 및 조립턱부(64)에 대응되는 너비와 형상을 가진다. 필터부(80)는 장착프레임(81)을 이용해 조립턱부(64)와 배기관끼움부(14)의 사이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과부재(82)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을 여과하는 부분으로, 망, 스펀지 구조 등을 가지고 장착프레임(81)에 둘레가 결합된다. 배기홀부(50) 상의 공기는 여과부재(82)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이 걸러져 정화된 후 배기관(60)과 엔진(3)측으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본체(11) 내부의 먼지, 수분 등이 배기관(60)과 엔진(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91)와, 습도센서(91)에서 측정된 습도에 따라 개폐밸브(6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센서(91)는 램프하우징(10)에 설치되어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의 습도를 감지한다. 습도센서(91)에서 측정된 습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습도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3)는 개폐밸브(65)를 작동시켜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습도의 설정값은 투광렌즈(30)에 습기가 맺히기 시작하는 습도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 내의 습기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93)는 자동차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92)와, 온도센서(92)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개폐밸브(6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92)는 램프하우징(10)에 설치되어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센서(92)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온도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3)는 개폐밸브(65)를 작동시켜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온도의 설정값은 대기와의 온도차를 설정범위 이내로 유지할 수 있거나 램프(2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 내의 과열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고, 대기와의 온도차로 인한 습기 발생이나 램프(2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93)는 자동차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1)에 의하면,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다습한 공기가 배기홀부(50)를 통해 배출되고, 흡기홀부(40)를 통해 대기 중의 건조한 공기가 새롭게 유입되면서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를 환기, 건조시키게 되므로, 투광렌즈(30)에 습기가 맺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홀부(40)에 의해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간부가 대기압을 유지하게 되므로, 배기홀부(50)를 통해 램프하우징(10)과 투광렌즈(30)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더라도 배기관(60)에 진공압이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배기관(60)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하더라도 배기관(60)이 접혀지거나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배기관(60)을 구성함으로써 배기관(60)을 엔진룸(5) 내부의 여유공간부를 활용하여 엔진(3)의 흡기부(4)까지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관(60)을 이용해 배출홀부(50)를 엔진(3)의 흡기부(4)와 연결함으로써, 펌프와 같은 별도의 흡기장치를 구비하여 엔진룸(5) 내부의 한정된 공간상에 추가로 설치함에 따른 번거로움 없이 엔진(3)의 흡기력을 작동력으로 하여 에너지효율적, 공간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3 : 엔진
4 : 흡기부 10 : 램프하우징
11 : 하우징본체 12 : 램프장착부
13 : 배기관연결부 14 : 배기관끼움부
15 : 밀착가압부 16 : 수분배출부
17 : 장착가이드 18 : 베이스패널
19 : 투광홀부 20 : 램프
21 : 상향등 22 : 하향등
23 : 방향지시등 24 : 투광부
30 : 투광렌즈 40 : 흡기홀부
41 : 제1흡기홀부 42 : 제2흡기홀부
43 : 흡기패킹부 50 : 배기홀부
51 : 제1배기홀부 52 : 제2배기홀부
53 : 배기패킹부 60 : 배기관
61 : 연장관 62 : 연장관부
63 : 보강관부 64 : 조립턱부
65 : 개폐밸브 80 : 필터부

Claims (15)

  1.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에 설치되고, 투광부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램프;
    상기 램프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고, 상기 투광부에서 발산된 빛이 투과되는 투광렌즈;
    상기 램프하우징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램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기홀부;
    상기 램프하우징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램프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기홀부; 및
    일측부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배기홀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측부가 엔진의 흡기부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램프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측면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램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차량의 중간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램프하우징은,
    상기 램프가 장착되는 램프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이 연결되는 배기관연결부가 상기 배기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투광부가 통과할 수 있는 투광홀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본체에 상기 램프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투광렌즈와 마주하는 베이스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향등; 및
    상기 상향등보다 차량의 측면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하향등;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하향등보다 상기 차량의 측면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상향등보다 상기 차량의 중간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하향등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상향등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본체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이 끼워지는 배기관끼움부; 및
    상기 배기관끼움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관을 상기 배기관끼움부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밀착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연결부가 이루는 공기배출경로 상에 배치되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연결부는,
    상기 필터부에 걸러진 수분이 배출되는 유로를 이루는 수분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배기관연결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연결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배기관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차량의 프론트앤드모듈에 구비된 조립부에 끼워지는 장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제1흡기홀부; 및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상기 제1흡기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흡기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제1배기홀부; 및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상기 제1배기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배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홀부는,
    상기 제1흡기홀부와 상기 제2흡기홀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흡기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제1배기홀부와 상기 제2배기홀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배기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하우징본체에서 상기 엔진의 흡기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상기 하우징본체에서 상기 엔진의 흡기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관부;
    상기 연장관부의 단부에 상기 연장관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보강관부; 및
    상기 보강관부의 내경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연결부가 끼워지는 조립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과 상기 투광렌즈 사이의 공간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과 상기 투광렌즈 사이의 공간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플렉시블(flexible)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KR1020150140799A 2015-10-07 2015-10-07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KR10172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799A KR101728997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US15/243,796 US9810395B2 (en) 2015-10-07 2016-08-22 Ventilation apparatus of lamp module for vehicles
JP2016166258A JP6306653B2 (ja) 2015-10-07 2016-08-26 車両用ランプモジュールの換気装置
DE202016105206.8U DE202016105206U1 (de) 2015-10-07 2016-09-19 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Leuchtenmodul in einem Fahrzeug
CN201621090867.1U CN206207257U (zh) 2015-10-07 2016-09-28 车辆的灯模块的通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799A KR101728997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401A KR20170041401A (ko) 2017-04-17
KR101728997B1 true KR101728997B1 (ko) 2017-04-21

Family

ID=5717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799A KR101728997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10395B2 (ko)
JP (1) JP6306653B2 (ko)
KR (1) KR101728997B1 (ko)
CN (1) CN206207257U (ko)
DE (1) DE202016105206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4516B2 (ja) * 2018-03-26 2021-1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灯具
CN111824016A (zh) * 2020-06-24 2020-10-27 江永县元杰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灯光报警装置
CN114688498A (zh) * 2022-03-29 2022-07-0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灯除雾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9200A (ja) 2005-08-24 2007-03-08 Sumitomo Wiring Syst Ltd 通気部材の取付け構造
JP2007220518A (ja) 2006-02-17 2007-08-30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JP2013218853A (ja) * 2012-04-06 2013-10-24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のヘッドランプ
JP2014182996A (ja) 2013-03-21 2014-09-29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灯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9603U (ko) * 1986-11-29 1988-06-10
US4862337A (en) * 1987-02-10 1989-08-29 Koito Seisakusho Co., Ltd. Automotive lamp assembly
US4849865A (en) * 1988-04-18 1989-07-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lamp ventilation system
JP2526292Y2 (ja) * 1989-08-31 1997-0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
JPH0945110A (ja) * 1995-08-02 1997-02-14 Mitsubishi Motors Corp ランプの防曇構造
JPH09245506A (ja) 1996-03-05 1997-09-19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100427891B1 (ko) 2001-12-17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4등식 헤드램프의 구조
US7780324B2 (en) * 2006-12-13 2010-08-24 Chun-Hen Lin Water-cooled vehicle LED heat dissipating device
DE102009017728A1 (de) * 2009-04-11 2010-10-1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TWI385337B (zh) * 2009-12-24 2013-02-11 Kaiming Yang 發光二極體頭燈散熱系統及其發光二極體頭燈散熱管
US20110310631A1 (en) * 2010-06-22 2011-12-22 Bayer Materialscience Llc Led headlamp cooling system
KR101936861B1 (ko) 2012-10-23 2019-01-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모듈의 환기장치
FR3004580B1 (fr) 2013-04-10 2016-11-04 Thales Sa Ensemble electrode-electrolyte gel comprenant un materiau carbone poreux et obtenu par voie radicalaire
JP5852614B2 (ja) * 2013-08-02 2016-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ンプ用呼吸穴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車用ランプ構造
JP6173195B2 (ja) * 2013-12-04 2017-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車両用灯具
US9618177B2 (en) * 2014-10-21 2017-04-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ntilation structure of light fixtur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9200A (ja) 2005-08-24 2007-03-08 Sumitomo Wiring Syst Ltd 通気部材の取付け構造
JP2007220518A (ja) 2006-02-17 2007-08-30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JP2013218853A (ja) * 2012-04-06 2013-10-24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のヘッドランプ
JP2014182996A (ja) 2013-03-21 2014-09-29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灯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207257U (zh) 2017-05-31
JP6306653B2 (ja) 2018-04-04
JP2017073380A (ja) 2017-04-13
US20170102119A1 (en) 2017-04-13
US9810395B2 (en) 2017-11-07
KR20170041401A (ko) 2017-04-17
DE202016105206U1 (de)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089B1 (ko)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KR101728997B1 (ko)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JP6173195B2 (ja) 車両用灯具
US20050157514A1 (en) Light structure
CN111810911B (zh) 一种汽车灯具可更换自动吸湿装置
KR20160050278A (ko) 차량용 램프 장치
CN115003593A (zh) 车辆用灯具
CN108980772A (zh) 灯具单元及车辆
KR20180098980A (ko) 차량용 램프
NO334778B1 (no) Lampehus med trykkutlikningsanordning
CN212719572U (zh) 车灯组件及具有其的车辆
KR20160049793A (ko) 차량용 램프 장치
CN111795353B (zh) 一种自动除雾的汽车智能前大灯
KR20100055987A (ko) 차량용 램프
KR10034558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637913B1 (ko) 차량용 램프
JP5824026B2 (ja) 車両の後部用灯体装置
JPH0425770Y2 (ko)
JPH0722404U (ja) 車両用装置の排水兼呼吸構造
JP2005071638A (ja) 車両用灯具の防曇構造
JPH0655580B2 (ja) 車両用ランプ装置
JP2011253794A (ja) 車両用灯火器
JPH0590706U (ja) 車両用前照灯の呼吸構造
KR20090058816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JPH0722402U (ja) 車両用装置の排水兼呼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