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331B1 - 조종부 구조 - Google Patents

조종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331B1
KR102124331B1 KR1020180045413A KR20180045413A KR102124331B1 KR 102124331 B1 KR102124331 B1 KR 102124331B1 KR 1020180045413 A KR1020180045413 A KR 1020180045413A KR 20180045413 A KR20180045413 A KR 20180045413A KR 102124331 B1 KR102124331 B1 KR 102124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rame
lever
pedal
rear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088A (ko
Inventor
카즈미 고토
히로시 이와모토
카즈야 오쿠무라
아츠시 센바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86826A external-priority patent/JP64400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70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36259B1/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10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과제] 조종부의 플로어의 하측 및 상측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용의 페달의 지지 구조를 가진 조종부 구조를 실현하는 것.
[해결수단] 조종석(12)의 전방에 세워 설치된 좌우의 프레임(21, 22)에 주차 브레이크에 연계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동축(60)을 지지하고, 페달(51)을 구비한 제 1 암(50)의 상부를 상기 회동축(60)에 장착하고, 페달(51)과 제 1 암(50)을 플로어(13)의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하고, 주행 장치(2)의 구동 속도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레버(14A)를 설치하고, 이 변속 레버(14A)의 변속 조작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변속 레버(14A)가 중립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페달(51)의 밟음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부재(70)를 설치하고, 이 견제 부재(70)의 전방부에 회동축(60)을 여유있게 끼우는 전후 방향의 제 1 장구멍(71)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조종부 구조{STEERING S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조종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종부 구조로서, 주행 장치를 구동하는 트랜스미션의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을 조종부의 플로어의 좌측부에 설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조종부의 전방부에 조향 레버 등을 배치한 프론트 패널을 설치하고, 프론트 패널과 조종석 사이의 하부에 조종자가 타고내리는 플로어를 설치하고, 조종석의 좌측에 변속 레버 등을 배치한 사이드 패널을 설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06-11573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0-26385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하부를 플로어의 바닥판의 하측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으므로, 플로어의 바닥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 유압기기의 배치 방법이 제약될 우려가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페달이 플로어의 바닥판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플로어의 바닥면이 좁아지는 결점이 있다.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조종부의 골조를 형성하는 조종부 프레임의 프론트 패널과 사이드 패널을 지지하는 상측 프레임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측 프레임의 전방부의 우단부를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후상측으로 만곡하면서 연장하는 세로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고, 상측 프레임의 전방부 좌단부의 뒤측을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똑바르게 연장하는 세로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고, 상측 프레임의 후단부를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우상측으로 만곡하면서 연장하는 세로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고 있으므로 강성이 낮고, 조향 레버 등에 큰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상측 프레임이나 세로 프레임이 변형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조종부의 플로어의 하측 및 상측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지지 구조를 갖는 조종부 구조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음의 과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조종부 구조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즉,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조종석(12)의 앞측 하부에 조종자가 타고내리는 플로어(13)를 배치한 조종부 구조로서, 상기 조종석(12)의 앞쪽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21, 22)을 세워 설치하고, 이 프레임(21, 22)에 주차 브레이크에 연계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동축(60)을 지지하고, 페달(51)을 구비한 제 1 암(50)의 상부를 상기 회동축(60)에 장착하고, 상기 페달(51)과 제 1 암(50)을 상기 플로어(13)의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하고, 주행 장치(2)의 구동 속도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레버(14A)를 설치하고, 이 변속 레버(14A)의 변속 조작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변속 레버(14A)가 중립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페달(51)의 밟음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부재(70)를 설치하고, 이 견제 부재(70)의 전방부에 상기 회동축(60)을 여유있게 끼우는 전후 방향의 제 1 장구멍(7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부 구조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회동축(60)에 제 2 암(55)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를 장착하고, 이 제 2 암(55)의 전후 방향의 일단부에는 주차 브레이크에 이르는 연계 수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 2 암(55)의 전후 방향의 타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맞물림부(56)를 설치하고, 상기 견제 부재(70)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상기 맞물림부(56)를 여유있게 끼우는 전후 방향의 제 2 장구멍(72)을 형성하고, 상기 견제 부재(70)에 있어서의 제 2 장구멍(72)의 상하 일측의 부위에는 상기 맞물림부(56)를 제 2 장구멍(72) 내에 침입시키는 안내 홈(73)을 형성한 청구항 1 기재의 조종부 구조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안내 홈(73)의 앞측 가장자리부를 후방 아래로 경사지게 하고, 상기 안내 홈(73)의 뒤측 가장자리부를 전방 아래로 경사지게 하고, 상기 견제 부재(70)와 변속 레버(14A)에 있어서의 지지축(88)보다 하측의 부위를 탄성 부재(84)를 개재해서 접속시킨 청구항 2 기재의 조종부 구조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회동축(60)의 좌우 일단부에 제 3 암(63)의 상하 방향의 일단부를 장착하고, 상기 프레임(21)의 하부에 조작 레버(66)의 하부를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조작 레버(66)와 상기 제 3 암(63)의 상하 방향의 타단부를 연동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조종부 구조이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 1 암(50)을 측면에서 볼 때에 좌굴시켜서 형성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조종부 구조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플로어(13)의 하측에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로어(13)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없어져서 플로어(13)의 상측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조종자의 발밑에 여유가 생겨 조종부의 거주성이 향상된다.
또한, 변속 레버(14A)가 중립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에 연계된 회동축(60)에 의해 지지되는 견제 부재(70)에 의해서 페달(51)의 밟음 조작이 견제되므로, 주행 장치(2)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페달(51)의 밟음 조작을 행할 수 없어 조종자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변속 레버(14A)를 중립 위치로 되돌려 페달(51)을 밟고, 주행 장치(2)를 정지 상태로 유지한 후에 변속 레버(14A)를 변속 조작해서, 예를 들면 콤바인에서는 예취 장치를 구동하여 두렁에서의 예취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변속 레버(14A)가 완전히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아도 페달(5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맞물림부(56)를 안내 홈(73) 내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조종석(12)으로부터 하차한 조종자가 조작 레버(66)를 조작하여 회동축(60)을 회동시켜서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조종자가 페달(51)의 밟음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조종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기체 프레임과 플로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기체 프레임과 플로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기체 프레임과 플로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페달 지지 암(제 1 암)과 견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페달 지지 암(제 1 암)과 견제 부재를 설명하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작업 해제시의 회동 암(제 2 암)과 견제 부재를 설명하는 단면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작동시의 회동 암(제 2 암)과 견제 부재를 설명하는 단면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회동 암(제 2 암)과 견제 부재를 설명하는 단면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레버 암을 설명하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14는 레버 암을 설명하는 단면 좌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조종자로부터 볼 때에 전방을 앞측, 후방을 뒤측, 오른쪽을 우측, 왼쪽을 좌측으로 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어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종부 구조를 갖는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의 하측에 토양면을 주행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로 이루어지는 주행 장치(2)가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1)의 앞측에 포장의 곡간(穀稈)을 수확하는 예취 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취 장치(3)의 후방 좌측부에 예취 장치(3)에서 수확된 곡간을 탈곡·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4)가 설치되고, 예취 장치(3)의 후방 우측부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5)가 설치되어 있다.
조종부(5)의 하측에는 엔진(E)을 탑재하는 엔진 룸(6)이 설치되고, 조종부(5)의 뒤측에는 탈곡 장치(4)에서 탈곡·선별 처리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7)가 설치되고, 그레인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은 그레인 탱크(7)에 연결된 배출 오거(도시생략)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조종부(5)의 전방부에는 콤바인의 선회나 예취 장치(3)의 승강 등을 조작하는 조향 레버(11A) 등이 배치된 프론트 패널(11)이 설치되고, 후방부에는 조종자가 착석하는 조종석(12)이 설치되고, 프론트 패널(11)과 조종석(12) 사이의 하부에는 조종자가 타고내리는 플로어(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종석(12)의 좌측에는 콤바인의 주행 속도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14A)나 탈곡 클러치 등의 접속 상태를 조작하는 클러치 조작 레버(14B) 등이 배치된 사이드 패널(14)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5개의 기체 전후 프레임(15A~15E)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5개의 기체 좌우 프레임(16A~16E)을 용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의 우측에서부터 세어서 제1번째의 기체 전후 프레임(15A)과 제2번째의 기체 전후 프레임(15B)은 기체 프레임(1)의 앞측에서부터 세어서 제1번째의 기체 좌우 프레임(16A)보다 앞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종부(5)의 골조를 형성하는 조종부 프레임(20)은 앞측 우부에 배치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프레임(청구항에 있어서의 「프레임」)(21)과, 앞측 좌부에 배치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프레임(청구항에 있어서의 「프레임」)(22)과, 뒤측 우부에 배치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프레임(23)과, 뒤측 좌부에 배치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프레임(24)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21~24)은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21)은 후방 위로 경사시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세로 프레임(21)의 하부는 기체 전후 프레임(15A)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세로 프레임(23)의 하부는 기체 전후 프레임(15A)에 있어서의 기체 전후 프레임(15A)과 기체 좌우 프레임(16A)의 연결부에 근접한 부위에 고정되고, 세로 프레임(24)의 하부는 기체 전후 프레임(15B)에 있어서의 기체 전후 프레임(15B)과 기체 좌우 프레임(16A)의 연결부에 근접한 부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3)과 세로 프레임(24)의 상단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세로 프레임(21)의 상부와 세로 프레임(22)의 상부는 상측에 배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프레임(25)에 의해 연결되고, 세로 프레임(21)의 하부와 세로 프레임(22)의 하부는 하측에 배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프레임(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로 프레임(25, 26)은 좌우 방향으로 똑바르게 직선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 프레임(25)의 상측에는 지지 부재를 개재해서 프론트 패널(11)이 설치된다.
세로 프레임(23)의 상부와 세로 프레임(24)의 상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프레임(2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로 프레임(27)은 좌우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로 프레임(25)의 좌부와 가로 프레임(27)의 우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후 프레임(2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후 프레임(28)은 전후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프레임(28)의 상측에는 지지 부재를 개재해서 사이드 패널(14)이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조종부 프레임(20)의 강성이 높아져서 조종부 프레임(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 프레임(22) 등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종부 프레임(20)의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조종부 프레임(20)의 하부에는 조종자가 타고내리는 바닥판(34)을 위에 얹는 판금을 절곡하여 성형한 판 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다. 판 프레임(30)은 우측에 배치된 전후 판 프레임(31)과 좌측에 배치된 전후 판 프레임(32)과, 전후 판 프레임(31)의 전방부와 전후 판 프레임(32)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좌우 판 프레임(33)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판 프레임(31)과, 전후 판 프레임(32)과, 좌우 판 프레임(33)의 상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후 판 프레임(31)은 세로 프레임(21)의 하부와 세로 프레임(23)의 하부에 맞물리고, 전후 판 프레임(32)은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22)과 대향하는 가로 프레임(26)의 부위와 세로 프레임(24)의 하부에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특히 가로 프레임(26)의 강성이 보다 높아져서 가로 프레임(26)의 좌부에 연결되어 있는 세로 프레임(2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가로 프레임(27)의 좌부는 세로 프레임(24)을 넘어서 좌측으로 연장하여 좌측 연장부(27A)를 형성하고,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22)은 세로 프레임(24)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세로 프레임(22)의 우면과, 전후 프레임(28)의 우면과, 세로 프레임(24)의 앞면에는 플로어(13)와 외부를 구획하는 좌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13)의 좌판을 기체 내측(조종부(5)에서 보면 외측)으로 돌출시켜 조종자의 발밑에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24)은 엔진(E)의 크랭크 축(41)의 좌측에 설치된 엔진 플레이트(42)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 프레임(25)과 크랭크 축(41)의 회전을 탈곡 장치(4)에 전동하는 벨트(도시생략)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24)은 엔진(E)을 기체에 고정하는 앞측의 엔진 마운트(43)의 좌우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23)의 뒤측에는 엔진 룸(6)에 설치된 엔진(E)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45)가 배치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23)과 라디에이터(45)는 연결 부재(도시생략)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라디에이터(45)를 엔진 룸(6)의 우부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세로 프레임(23)의 앞면과, 가로 프레임(27)의 앞면과, 세로 프레임(24)의 앞면에는 플로어(13)와 엔진 룸(6)을 구획하는 후판이 설치되어 있다.
전후 프레임(28)의 후부에는 가로 프레임(27)을 넘어서 뒤측으로 연장하여 뒤측 연장부(28A)를 형성하고 있다. 뒤측 연장부(28A)에는 클러치 조작 레버(14B)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35)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축(35)을 지지하는 다른 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페달 지지 암>
이하에, 트랜스미션에 설치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서 주행 장치(2)를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페달 지지 암(청구항의 「제 1 암」)(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달 지지 암(50)의 상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된 회동축(60)의 좌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13)에 있어서의 바닥판(34)보다 하측에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회동축(60)의 축심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 페달 지지 암(50)은 대략 く의 글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페달 지지 암(50)의 하부에는 조종자가 페달 지지 암(50)을 발로 밟아서 조작하는 페달(51)이 설치되어 있다. 페달(51)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측면시에 있어서 대략 へ의 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페달 지지 암(50) 및 이 페달 지지 암(50)의 하부에 구비한 페달(51)은 플로어(13)의 바닥판(34)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조종자가 페달(51)의 밟음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페달 지지 암(50)에 있어서의 페달(51)의 상측의 부위에는 전후 판 프레임(32)의 전방부에 설치된 록 부재(36)에 맞물리는 후크 부재(52)의 상부를 좌우 방향의 지지축(5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후크 부재(52)와 지지축(53) 사이에는 토크·스프링(도시생략)이 개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페달(51)을 밟아서 페달 지지 암(50)을 하방 회동시켜서 후크 부재(52)를 록 부재(36)에 용이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페달(51)을 다시 밟아서 후크 부재(52)와 록 부재(36)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회동축(60)에 있어서의 페달 지지 암(50)의 좌측의 부위에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へ의 글자 형상으로 형성된 회동 암(청구항의 「제 2 암」)(55)이 설치되어 있다. 회동 암(55)의 전후 방향의 중심부는 회동축(60)에 고정되고, 회동 암(55)의 후방부에는 좌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맞물림부(56)가 가로로 설치되고, 회동 암(55)의 전방부에는 우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접속부(57)가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57)에는 트랜스미션 내의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와이어(도시생략, 청구항에 있어서의 「연계 수단」)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페달(51)의 밟음 조작에 연동하여 회동축(60)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축(60)과 회동 암(55)을 둘레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트랜스미션 내의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회동축(60)의 양 측부에는 세로 프레임(21)의 앞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된 스테이에 고정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61)와 세로 프레임(22)의 앞면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된 스테이에 고정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견제 부재>
이어서, 회동축(60)과 변속 레버(14A)의 하측에 설치된 레버 암(80)에 연결되는 견제 부재(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견제 부재(70)의 전방부에는 회동축(60)의 좌부를 여유있게 삽입하는 전후 방향으로 장지름을 갖는 제 1 장구멍(71)이 형성되고, 견제 부재(70)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맞물림부(56)의 좌부를 여유있게 삽입하는 전후 방향으로 장지름을 갖는 제 2 장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견제 부재(70)에 있어서의 제 2 장구멍(72)의 상측의 부위에는 제 2 장구멍(72)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연통하는 안내 홈(73)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73)의 전방부는 견제 부재(70)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에, 하측의 제 2 장구멍(72)을 향해서 똑바르게 형성되고, 안내 홈(73)의 후방부에는 견제 부재(70)의 상단부로부터 전방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에, 하측의 제 2 장구멍(72)을 향해서 똑바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동 암(55)의 맞물림부(56)와 견제 부재(70)의 제 2 장구멍(72)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져서 회동 암(55)이나 견제 부재(70)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변속 레버(14A)가 완전히 중립 위치로 되돌아 오지 않아도 페달(5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맞물림부(56)를 안내 홈(73) 내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속 레버(14A)를 사이드 패널(14)에 대하여 대략 수직 자세로 기립시킨 중립 위치에서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85)의 출력 회전이 정지되어 주행 장치(2)와 예취 장치(3)와 탈곡 장치(4)의 구동이 정지된다. 또한, 유압식 무단 변속기(85)는 엔진(E)의 출력 회전을 정전 또는 역전 방향으로의 스위칭과 엔진(E)의 출력 회전수의 증감속을 행하여, 주행 장치(2) 구동용의 트랜스미션과 예취 장치(3)를 구동하는 기기이다.
변속 레버(14A)를 앞측 경사로 조작하면 유압식 무단 변속기(85)의 출력 회전이 정회전 방향으로 증속하여 주행 장치(2)가 전진 구동함과 아울러 예취 장치(3)가 구동하고, 변속 레버(14A)를 뒤측 경사 자세로 조작하면 유압식 무단 변속기(85)의 출력 회전이 역전 방향으로 증속하여 주행 장치(2)가 후진 구동하고, 예취 장치(3)는 구동되지 않는다.
변속 레버(14A)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페달(51)을 밟음 조작하면 페달 지지 암(50)과 함께 회동하는 회동 암(55)의 맞물림부(56)가 안내 홈(73)으로부터 침입해서 견제 부재(70)의 제 2 장구멍(72)에 삽입되고, 이 회동 암(55)의 회동이 허용된다. 이것에 의해서, 회동 암(55)의 접속부(57)로부터의 와이어 연계에 의해서 트랜스미션 내의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주행 장치(2)의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변속 레버(14A)가 앞측 경사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견제 부재(70)가 뒤측으로 이동하고, 페달 지지 암(50)과 함께 회동하는 회동 암(55)의 맞물림부(56)가 견제 부재(70)의 안내 홈(73)보다 앞측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페달 지지 암(50)의 하부에 구비된 페달(51)의 밟음 조작이 견제된다. 마찬가지로, 변속 레버(14A)가 뒤측 경사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견제 부재(70)가 앞측으로 이동하고, 페달 지지 암(50)과 함께 회동하는 회동 암(55)의 맞물림부(56)가 견제 부재(70)의 안내 홈(73)보다 뒤측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페달 지지 암(50)의 밟음 조작이 견제된다.
이것에 의해, 변속 레버(14A)가 앞측 경사 또는 뒤측 경사에 있어서 주행 장치(2)가 전진 구동 또는 후진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페달(51)의 밟음 조작을 행할 수 없어 조종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변속 레버(14A)의 하부는 연결 부재(86)를 개재해서 레버 암(8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레버 암(80)의 후방부에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85)의 조작 축을 회동하는 조작 로드(82)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 암(80)의 중심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8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버 암(80)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봉(83)이 설치되고, 연결봉(83)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84)가 바깥으로 끼워져 있다. 또한, 견제 부재(70)의 후방부는 연결봉(83)의 전방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변속 레버(14A)가 중립 위치 부근에 있는 상태에서 페달(51)을 밟으면, 회동 암(55)의 맞물림부(56)가 안내 홈(73)의 경사 가장자리에 안내되면서 견제 부재(70)의 제 2 장구멍(72)에 삽입된다. 이 때, 맞물림부(56)에 의해서 안내 홈(73)의 경사 가장자리를 누름으로써 견제 부재(70)를 강제적으로 전후 동작시키고, 탄성 부재(84)를 개재해서 변속 레버(14A)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것에 의해, 주행 장치(2)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에, 이 변속 레버(14A)를 앞측 경사로 조작하여 예취 장치(3)를 구동할 수 있어 두렁의 곡간의 예취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조작 레버>
이어서, 회동축(60)을 회동시키는 조작 레버(6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60)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61)보다 우측으로 연장한 우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암(청구항의 「제 3 암」)(63)의 상부가 고정되어 있다. 암(63)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64)이 고정되고, 핀(64)의 우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롤러(65)가 지지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21)의 하부의 앞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보스(68)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보스(68)의 축심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 조작 레버(66)는 대략 へ의 글자 형상으로 절곡되어서 형성되고, 조작 레버(66)의 하단부는 지지 보스(6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보스(68)의 축심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 조작 레버(66)의 하부의 앞면에는 앞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대략 M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67)가 설치되고, 조작 레버(66)와 가이드(67) 사이의 공간에 롤러(65)가 안으로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하차한 조종자가 조작 레버(66)를 회동 조작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회동축(60)과 회동 암(55)이 회동하여 트랜스미션 내의 주차 브레이크가 조작된다.
<레버 암>
이어서, 변속 레버(14A)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식 무단 변속기(85)를 조작하는 레버 암(8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암(80)의 우측에는 레버 암(80)의 슬립부(80A)가 슬라이딩하는 마찰판(81)이 병설되어 있다. 슬립부(80A)는 레버 암(80)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찰판(81)을 향해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레버 암(80)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레버 암(80)을 수지로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 암(80)을 수지로 일체 성형한 경우에는 슬립부(80A)가 슬라이딩하는 마찰판(81)이 불필요해져서 제거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이상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변속 레버(14A)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 부재(86)가 연결되는 레버 암(80)의 상부의 연결부(80B)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슬립부(80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 암(80)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87)이 설치된 부위의 상부에 좌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레버 암(80)의 후방부에 지지축(86)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지지축(86)과 조작 로드(82) 사이에 분진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2 : 주행 장치 12 : 조종석
13 : 플로어 14A : 변속 레버
21 : 세로 프레임(프레임) 22 : 세로 프레임(프레임)
50 : 페달 지지 암(제 1 암) 51 : 페달
55 : 회동 암(제 2 암) 56 : 맞물림부
60 : 회동축 63 : 암(제 3 암)
66 : 조작 레버 70 : 견제 부재
71 : 제 1 장구멍 72 : 제 2 장구멍
73 : 안내 홈 84 : 탄성 부재
88 : 지지축

Claims (5)

  1. 조종석(12)의 앞측 하부에 조종자가 타고내리는 플로어(13)를 배치한 조종부 구조로서,
    상기 조종석(12)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프레임(21, 22)을 세워 설치하고, 이 프레임(21, 22)에 주차 브레이크에 연계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동축(6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페달(51)을 구비한 제 1 암(50)의 상부를 상기 회동축(60)에 장착하고, 상기 페달(51)과 제 1 암(50)을 상기 플로어(13)의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하고,
    주행 장치(2)의 구동 속도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레버(14A)를 설치하고,
    일측이 회동축(60)에 연결되고, 타측이 변속 레버(14A)의 하측에 설치된 레버 암(80)에 연결되며, 이 변속 레버(14A)의 변속 조작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변속 레버(14A)가 중립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페달(51)의 밟음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부재(70)를 설치하고,
    이 견제 부재(70)의 전방부에 상기 회동축(60)을 여유있게 끼우는 전후 방향의 제 1 장구멍(7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종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60)에 제 2 암(55)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를 장착하고, 이 제 2 암(55)의 전후 방향의 일단부에는 주차 브레이크에 이르는 연계 수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 2 암(55)의 전후 방향의 타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맞물림부(56)를 설치하고, 상기 견제 부재(70)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상기 맞물림부(56)를 여유있게 끼우는 전후 방향의 제 2 장구멍(72)을 형성하고, 상기 견제 부재(70)에 있어서의 제 2 장구멍(72)의 상하 일측의 부위에는 상기 맞물림부(56)를 제 2 장구멍(72) 내에 침입시키는 안내 홈(73)을 형성한 조종부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73)의 앞측 가장자리부를 후방 아래로 경사지게 하고, 상기 안내 홈(73)의 뒤측 가장자리부를 전방 아래로 경사지게 하고, 상기 견제 부재(70)와 변속 레버(14A)에 있어서의 지지축(88)보다 하측의 부위를 탄성 부재(84)를 개재해서 접속시킨 조종부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60)의 좌우 일단부에 제 3 암(63)의 상하 방향의 일단부를 장착하고, 상기 프레임(21)의 하부에 조작 레버(66)의 하부를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조작 레버(66)와 상기 제 3 암(63)의 상하 방향의 타단부를 연동한 조종부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50)을 측면에서 볼 때에 굴곡시켜서 형성한 조종부 구조.
KR1020180045413A 2017-04-26 2018-04-19 조종부 구조 KR102124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6826A JP6440041B2 (ja) 2017-04-26 2017-04-26 コンバイン
JPJP-P-2017-086826 2017-04-26
JPJP-P-2018-070295 2018-03-30
JP2018070295A JP6436259B1 (ja) 2018-03-30 2018-03-30 操縦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88A KR20180120088A (ko) 2018-11-05
KR102124331B1 true KR102124331B1 (ko) 2020-06-19

Family

ID=6409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413A KR102124331B1 (ko) 2017-04-26 2018-04-19 조종부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4331B1 (ko)
CN (1) CN108781768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4352A (ja) 2008-03-26 2009-10-15 Kubota Corp 駐車ブレーキ操作装置
JP2010111353A (ja) 2008-11-10 2010-05-20 Kubota Corp 作業車の操作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163A (ja) * 1994-04-12 1995-10-2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ブレーキペダル
JP3085191B2 (ja) * 1996-04-25 2000-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子式アクセルペダル構造
JP2005306099A (ja) * 2004-04-19 2005-11-04 Kubota Corp 作業車
JP4245544B2 (ja) 2004-10-20 2009-03-2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2756511Y (zh) * 2004-12-17 2006-02-08 赵贺夫 一种机动车的刹车及离合器联动操纵装置
JP4901438B2 (ja) * 2006-11-30 2012-03-21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pto構造
CN200990787Y (zh) * 2006-12-08 2007-12-19 李少军 一种自走式玉米收获机
KR101087945B1 (ko) * 2008-11-10 2011-11-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페달 구조
CN201325445Y (zh) * 2008-12-09 2009-10-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手制动操纵机构
JP5313765B2 (ja) 2009-05-15 2013-10-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5781757B2 (ja) * 2010-12-20 2015-09-2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4352A (ja) 2008-03-26 2009-10-15 Kubota Corp 駐車ブレーキ操作装置
JP2010111353A (ja) 2008-11-10 2010-05-20 Kubota Corp 作業車の操作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81768A (zh) 2018-11-13
CN108781768B (zh) 2021-05-25
KR20180120088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4822B2 (ja) トラクタ
KR20100125250A (ko) 주행식 농작업기
JP5434666B2 (ja) 作業車両
US8505646B2 (en) Cab and motor grader
KR102124331B1 (ko) 조종부 구조
JP6562140B1 (ja) 操縦部構造
JP6436259B1 (ja) 操縦部構造
JP6927262B2 (ja) コンバイン
JP6607415B2 (ja) コンバイン
JP6440041B2 (ja) コンバイン
JP2019076052A (ja) コンバイン
JP2013067231A (ja) トラクタの操作装置
JP4237310B2 (ja) コンバインの駐車ブレーキ機構
JP4733508B2 (ja) 作業車両
JP6679841B2 (ja) 作業車両
JP6743943B2 (ja) 作業車両
JP7429132B2 (ja) 作業車両の駐車ブレーキペダルロック構造
JP2008037317A (ja) 走行車両
WO2007136058A1 (ja) 作業車両
JPS6227462Y2 (ko)
JP2567356Y2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2015123760A (ja) 作業車
JP2007137323A (ja) 作業車両
JP4797382B2 (ja) 作業車両の変速調節装置
JP5341853B2 (ja) 農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