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945B1 - 작업차의 페달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페달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7945B1 KR101087945B1 KR1020090021397A KR20090021397A KR101087945B1 KR 101087945 B1 KR101087945 B1 KR 101087945B1 KR 1020090021397 A KR1020090021397 A KR 1020090021397A KR 20090021397 A KR20090021397 A KR 20090021397A KR 101087945 B1 KR101087945 B1 KR 1010879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ression
- pedals
- state
- pedal
- bra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을, 그들 답입부(63)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의 페달 구조에 있어서, 답입부(63)의 각각을, 다른 쪽 답입부(63)에 인접하는 공답 부분(63A)이 다른 쪽의 답입부(63)로부터 이격되는 편답 부분(63B)보다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본래는 좌우 조작 페달의 조작 대상 기기가 아닌 다른 조작 대상 기기의 작동을,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접 배치한 좌우 조작 페달(37)에 답입 방향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 부재(85), 접촉 부재(85)를 좌우 조작 페달(37)과의 연동을 허용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88), 접촉 부재(85)가 적어도 좌우 어느 한쪽의 조작 페달(37)에 답입 방향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접촉 부재(85)를 이동 압박하는 압박 수단(87), 및 접촉 부재(85)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단일의 이동량 검출 수단(80)을 구비하여, 이동량 검출 수단(80)이 접촉 부재(85)의 이동량을 좌우 조작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이동량 검출 수단(80)의 출력에 따라서 좌우 조작 페달(37)의 조작 대상 기기(16) 이외의 다른 조작 대상 기기(A, 5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27)을 구비한다.
좌우 조작 페달, 조작 대상 기기, 접촉 부재, 압박 수단, 무단 변속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그들의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의 페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답입 조작의 해제에 수반하여 답입 해제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그것들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조작 대상 기기 중 대응하는 측에 연계 기구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계한 작업차의 조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차의 페달 구조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로서, 예를 들어 차체에 구비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중 대응하는 것에 연계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휠을 선회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선회 주행시에, 선회 내측의 사이드 브레이크에 대응하는 한쪽의 브레이크 페달을 한 발에 의해 단독으로 답입 조작함으로써, 그때의 선회 상태를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에 의한 통상 선회 상태로부터, 그 통상 선회 상태에 더하여 선회 내측의 후륜을 제동하는 제동 선회 상태로 절환할 수 있 어, 차체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양쪽의 브레이크 페달을 한 발에 의해 동시에 답입 조작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를 감속 정지용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한 발에 의한 한쪽 답입 조작과 양쪽 답입 조작이 행해지는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에 있어서는, 각 조작 페달의 답입부를 좌우 한쪽의 조작 페달을 단독으로 답입 조작할 때에 답입하는 편답 부분과, 좌우 양방의 조작 페달을 동시에 답입 조작할 때에 답입하는 공답 부분에 관계없이, 좌우 대칭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6-122330호 공보(도 1 내지 도 4)
[특허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321594호 공보(도 2, 도 3, 도 16)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차의 조작 구조에 있어서는, 단일의 상시 폐쇄 스위치와 한 쌍의 절곡 링크로부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를 구성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정속 레버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변속 상태로 변속 조작한 정속 전진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센서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을 검지한 경우에,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를 정속 레버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정속 전진용 변속 상태로부터 중립 상태로 변속 조작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37400호 공보(단락 번호 0118 내지 0123, 도 10 및 도 11)
상기한 구성에서는, 단독 조작용 편답 부분과 동시 조작용 공답 부분 사이에, 형상 등에 의한 특징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단독 조작용 편답 부분과 동시 조작용 공답 부분을 발바닥의 감각으로 판별하여 구분하여 답입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좌우 한쪽의 조작 페달을 답입 조작할 때에, 약간이라도 다른 쪽 조작 페달에 발이 걸려 버리거나, 혹은 좌우 조작 페달을 동시에 답입 조작할 때에, 그것들을 좌우 균등하게 답입할 수 없는 등의 조작 페달의 오답입을 초래하기 쉽게 되어 있었다.
또한, 그들의 오답입을 회피하기 위해, 페달 조작시에 조작 페달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視認)하도록 해도, 좌우 조작 페달에 있어서는 단독 조작용 편답 부분과 동시 조작용 공답 부분 사이에, 형상 등에 의한 특징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조작 페달의 답입 위치를 순식간에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즉,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브레이크 센서에 의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는 있지만,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을 검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좌우 사 이드 브레이크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라서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 이외의 예를 들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본래는 좌우 조작 페달의 조작 대상 기기가 아니었던 다른 조작 대상 기기의 작동을,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그들의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페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답입부의 각각을, 다른 쪽 답입부에 인접하는 공답 부분이 다른 쪽 답입부로부터 이격되는 편답 부분보다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각 조작 페달의 답입부에 있어서는, 좌우 조작 페달을 단독 조작할 때의 답입 부분인 편답 부분과, 좌우 조작 페달을 동시 조작할 때의 답입 부분인 공답 부분 사이에,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의 차이에 의한 특징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좌측 답입부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과, 좌우 답입부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과, 우측 답입부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을, 발바닥의 감각에 의해 구분하여 답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페달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좌우 한쪽의 조작 페달을 답입 조작할 때에는, 다른 쪽 조작 페달에 발이 걸려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좌우 조작 페달을 동시에 답입 조작할 때에는 그들 답입부를 좌우 균등하게 답입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페달의 오답입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하기 위해 조작 페달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좌우 조작 페달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과 공답 부분 사이에 전술한 특징적인 차이가 있음으로써, 그때의 답입 위치를 순식간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조작 페달을 동시 조작할 때에, 양쪽 답입함으로써 발의 걸림 폭이 좁아지는 공답 부분을, 편답 부분보다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공답 부분의 답입 면적으로서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좌우 조작 페달을 한 발로 양쪽 답입하는 동시 조작에 있어서도, 좌우 조작 페달을 안정성 좋게 답입할 수 있다.
따라서,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단독 조작하는 경우와 동시 조작하는 경우에 관계없이, 그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답입부의 각각을, 상기 공답 부분의 답입면의 높이 위치와 상기 편답 부분의 답입면의 높이 위치가 다르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각 조작 페달의 답입부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과 공 답 부분 사이에,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답입면의 높이 위치의 차이에 의한, 보다 특징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좌측 답입부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과, 좌우 답입부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과, 우측 답입부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을, 발바닥의 감각에 의해 더욱 간단하게 판별하여 더욱 확실하게 구분하여 답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페달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좌우 한쪽의 조작 페달을 답입 조작할 때에는, 다른 쪽 조작 페달에 발이 걸려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좌우 조작 페달을 동시에 답입 조작할 때에는, 그들 답입부를 더욱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좌우 균등하게 답입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페달의 오답입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하기 위해 조작 페달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좌우 조작 페달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과 공답 부분 사이에, 전술한 보다 특징적인 차이가 있음으로써, 그때의 답입 위치를 더욱 확실하게 순식간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단독 조작하는 경우와 동시 조작하는 경우에 관계없이, 그들 조작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답입부의 각각을, 상기 공답 부분의 요철 패턴과 상기 편답 부분의 요철 패턴이 다르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각 조작 페달의 답입부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과 공답 부분 사이에, 적어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요철 패턴의 차이에 의한 보다 특징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좌측 답입부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과, 좌우 답입부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과, 우측 답입부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을, 발바닥의 감각에 의해 더욱 간단하게 판별하여 더욱 확실하게 구분하여 답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페달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좌우 한쪽의 조작 페달을 답입 조작할 때에는, 다른 쪽 조작 페달에 발이 걸려 버리는 것을 더욱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좌우 조작 페달을 동시에 답입 조작할 때는, 그들 답입부를 더욱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좌우 균등하게 답입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페달의 오답입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하기 위해 조작 페달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좌우 조작 페달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과 공답 부분 사이에, 전술하는 보다 특징적인 차이가 있음으로써, 그때의 답입 위치를 더욱 확실하게 순식간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단독 조작하는 경우와 동시 조작하는 경우에 관계없이 그들 조작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답입부의 각각을, 상기 편답 부분보다도 길어지는 상기 공답 부분의 연 장 돌출 부위에 있어서의 차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구배가, 상기 공답 부분의 비연장 돌출 부위에 있어서의 차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구배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공답 부분에 있어서, 연장 돌출 부위를 비연장 돌출 부위로부터 차체 후방측을 향해 연장 돌출하는 경우에는, 연장 돌출 부위의 답입면이 비연장 돌출 부위의 답입면에 대해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되고, 반대로 연장 돌출 부위를 비연장 돌출 부위로부터 차체 전방측을 향해 연장 돌출하는 경우에는, 연장 돌출 부위의 답입면이 비연장 돌출 부위의 답입면에 대해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즉, 연장 돌출 부위를 비연장 돌출 부위로부터 차체 후방측을 향해 연장 돌출하는 경우에는, 공답 부분을 편답 부분보다도 차체 후방측으로 길어지도록 형성하면서도, 공답 부분의 차체 후방측으로의 연장 돌출량을 짧게 할 수 있어, 발끝측을 공답 부분의 연장 돌출 부위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연장 돌출 부위를 비연장 돌출 부위로부터 차체 전방측을 향해 연장 돌출하는 경우에는, 공답 부분을 편답 부분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길어지도록 형성하면서도, 공답 부분을 답입할 때에 조작 페달에 대해 발이 지나치게 돌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동시 조작하는 경우의 조작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답입 조작의 해제에 수반하여 답입 해제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그것들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조작 대상 기기 중 대응하는 측에 연계 기구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계한 작업차의 조작 구조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에 답입 방향 상부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 부재와,
상기 접촉 부재를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과의 연동을 허용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접촉 부재가 적어도 좌우 어느 한쪽의 상기 조작 페달에 답입 방향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접촉 부재를 이동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상기 접촉 부재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단일의 이동량 검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이, 상기 접촉 부재의 이동량을,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한 경우의 답입 조작량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좌우 상기 조작 대상 기기 이외의 다른 조작 대상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좌우 양방의 조작 페달을 답입 조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답입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좌우 조작 페달이 접촉 부재를 받음으로써, 접촉 부재가 조작 페달의 답입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동량 검출 수단은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0이며, 좌우 조작 페달이 양쪽 답입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또한, 좌우 한쪽의 조작 페달을 답입 조작한 경우에는, 답입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다른 쪽 조작 페달이 접촉 부재를 받음으로써, 접촉 부재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동량 검출 수단은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0이고, 좌우 조작 페달이 양쪽 답입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좌우 양방의 조작 페달을 답입 조작한 경우에는, 접촉 부재가 압박 수단의 작용에 의해 답입 조작되는 좌우 조작 페달에 접촉 추종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동량 검출 수단은 좌우 조작 페달에 접촉 추종하는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을 좌우 조작 페달의 답입 해제 위치로부터의 양쪽 답입 조작량으로서 검출한다.
즉, 좌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한 경우에만, 이동량 검출 수단에 의해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때의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제어 수단이, 본래는 좌우 조작 페달의 조작 대상 기기가 아니었던 다른 조작 대상 기기의 작동을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한다.
따라서,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을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을 기초로 하여 본래는 좌우 조작 페달의 조작 대상 기기가 아니었던 다른 조작 대상 기기의 작동을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우 상기 조작 대상 기기로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위치 유지 가능하게 구성한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주행용 무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조작 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변속 조작 기구를 상기 다른 조작 대상 기기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무단 변속 장치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로 변속 조작되도록, 상기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무단 변속 장치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변속 후의 출력 속도가 0이 되는 중립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에 따른 변속 상태로 변속 조작되도록, 상기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를 임의의 조작 위치로 조작하면, 그때의 조작 위치를 위치 검출 수단이 검출하고, 그 검출을 기초로 하여 제어 수단이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무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로 변속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때의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속도로 차체를 정속 주행시킬 수 있다.
이 정속 주행시에, 좌우 어느 한쪽의 조작 페달을 답입 조작하면, 그 조작 페달에 연계된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대응하는 좌우 어느 한쪽의 차륜을 제동한다. 이때, 이동량 검출 수단은, 이때의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은 0이므로, 좌우 조작 페달이 양쪽 답입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이때의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가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로 유지되도록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 결과, 차체의 주행 상태가 좌우 차륜을 등속 회전시키는 정속 주행 상태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의 차륜을 제동하는 제동 선회 상태로 절환된다.
그 후, 그 조작 페달의 답입 조작을 해제하면, 그 조작 페달에 연계된 사이드 브레이크가 대응하는 좌우 어느 한쪽의 차륜에 대한 제동을 해제한다. 이때, 이동량 검출 수단은 이때의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은 0이므로, 좌우 조작 페달이 양쪽 답입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이때의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가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로 유지되도록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 결과, 차체의 주행 상태가 제동 선회 상태로부터 정속 주행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정속 주행시에, 좌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하면, 그들 조작 페달에 연계된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좌우 차륜을 제동한다. 이때, 이동량 검출 수단은, 이때의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좌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라서 변화함으로써, 좌우 조작 페달이 양쪽 답입 조작되 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이때의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가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와 중립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변속 상태로 절환되도록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 결과, 차체의 주행 상태가 정속 주행 상태로부터 무단 변속 장치의 감속 조작을 행하면서 좌우 차륜을 제동하는 감속 제동 상태로 절환된다.
그리고, 좌우 조작 페달이 답입 한계 위치에 도달하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의 좌우 차륜에 대한 제동력이 최대가 된다. 또한, 이때의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최대가 됨으로써, 제어 수단은 이때의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가 중립 상태로 절환되도록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 결과, 차체의 주행 상태가 감속 제동 상태로부터,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변속 후의 출력을 0으로 하면서 좌우 차륜을 제동하는 0속 제동 상태로 절환된다.
그 후, 좌우 조작 페달을 답입 한계 위치로부터 해제하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의 좌우 차륜에 대한 제동력이 저하된다. 또한, 이때의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작아짐으로써, 제어 수단은 이때의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가 중립 상태와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변속 상태로 절환되도록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 결과, 차체의 주행 상태가 0(제로)속 제동 상태로부터 감속 제동 상태로 절환된다.
그리고, 좌우 조작 페달이 답입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가 좌우 차륜에 대한 제동을 해제한다. 이때, 이동량 검출 수단은, 이때의 접촉 부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은 0이 되므로, 좌우 조작 페달이 양쪽 답입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이때의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가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로 유지되도록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 결과, 차체의 주행 상태가 감속 제동 상태로부터 정속 주행 상태로 절환된다.
즉, 좌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하면, 그때의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제어 수단이 본래는 좌우 조작 페달의 조작 대상 기기가 아닌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여 무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함으로써, 좌우 차륜에 대한 제동과 함께,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속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좌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만 하는 간단한 조작이면서,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와 무단 변속 장치의 대립을 초래하지 않고, 차체의 주행 상태를 정속 주행 상태와 감속 제동 상태와 0(제로)속 제동 상태로 양호하고 또한 원활하게 절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력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과, 상기 PTO축에 대한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의 작동 상태의 절환을 지령하는 지령 수단과, 상기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절환하는 절환 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절환 기구를 상 기 다른 조작 대상 기기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의 조작 위치를 판별하고,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이 동력 전달 허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의 작동 상태가 상기 지령 수단의 출력에 따른 작동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절환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고,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이 차단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령 수단의 출력에 관계없이 상기 클러치의 작동 상태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절환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클러치의 작동 상태가 동력 전달 상태가 되도록 지령 수단에 의해 지령하고 있으면, 좌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한 경우에, 좌우 조작 페달이 동력 전달 허용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은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동력 전달 상태로 할 수 있고, 좌우 조작 페달이 차단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은, 지령 수단의 지령에 관계없이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차단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단 영역을 좌우 조작 페달의 답입 조작 영역에 있어서의 답입 한계측에 설정하면, 좌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하고 있지 않은 정속 주행시나, 좌우 조작 페달을 답입 한계 위치의 부근까지 양쪽 답입 조작하고 있지 않은 감속 제동시에는,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동력 전달 상태로 할 수 있어, PTO축을 구 동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조작 페달을 답입 한계 위치의 부근이나 답입 한계 위치까지 양쪽 답입 조작한 주행 정지시에는,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차단 상태로 할 수 있어, PTO 축을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하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이면서, 차체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PTO축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작업 장치의 작동 상태를 적절하게 절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본래는 좌우 조작 페달의 조작 대상 기기가 아니었던 다른 조작 대상 기기의 작동을 좌우 조작 페달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폐달 구조 및 조작 구조를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트랙터의 전체 우측면도, 도 2는 트랙터의 전체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트랙터는 그 전방부에 엔진(1)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1)에는, 프레임 겸용의 트랜스미션 케이스(이하, T/M 케이스라 약칭함)(2)를 엔진(1)의 후방부로부터 차체 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엔진(1) 의 좌우 양측방에는, 좌우 한 쌍의 전륜(3)을 조타 가능하고 또한 구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T/M 케이스(2)에 있어서의 후방부의 좌우 양측방에는, 좌우 한 쌍의 후륜(4)을 구동 가능하고 또한 제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T/M 케이스(2)의 상방에는, 전륜 조타용 스티어링 휠(5)이나 운전 좌석(6) 등을 배치하여 탑승 운전부(7)를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트랙터의 동력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으로부터의 동력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한 주행용 주 변속 장치(8)에 전달한다. 주 변속 장치(8)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은 기어식 변속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한 주행용 부 변속 장치(9)에 주행용 동력으로서 전달한다. 부 변속 장치(9)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은 전륜용 동력 전달 절환 장치(10)나 전륜용 차동 장치(11) 등을 통해 전륜 구동용 동력으로서 좌우 전륜(3)에 전달한다. 또한, 후륜용 차동 장치(12) 등을 통해 후륜 구동용 동력으로서 좌우 후륜(4)에 전달한다. 주 변속 장치(8)로부터의 비변속 동력은 다판형 유압 클러치를 이용하여 구성한 작업용 클러치(13)나, 기어식 변속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한 작업용 변속 장치(14) 등을 통해 동력 취출용 PTO축(15)에 작업용 동력으로서 전달한다. 그리고, T/M 케이스(2)에 있어서의 후방부의 좌우 양측부에, 대응하는 후륜(4)을 제동하는 다판형 사이드 브레이크(16)를 장비하고 있다.
즉, 이 트랙터는 구동륜인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과, PTO축(15)으로의 동력 전달을 동시에 단속하는 주 클러치를 구비하지 않는 클러치리스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M 케이스(2)의 후방부에는, 이 트랙터의 후방부에 연결하는 로터리 경운 장치나 플라우 등의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17)이나, 대응하는 리프트 아암(17)을 요동 구동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실린더(18) 등을 배치하고 있다. 우측 리프트 아암(17)은 작업 장치 연결용으로서 T/M 케이스(2)의 후방 우측 하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우측 하부 링크(19)에 롤링 실린더(2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좌측 리프트 아암(17)은 작업 장치 연결용으로서 T/M 케이스(2)의 후방 좌측 하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측 하부 링크(19)에 연계 로드(2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좌우 리프트 실린더(18)에는 단동형(單動型)의 유압 실린더를 채용하고, 롤링 실린더(20)에는 복동형(複動型)의 유압 실린더를 채용하고 있다.
즉, 이 트랙터는 좌우 리프트 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작업 장치를 승강시킬 수 있고, 롤링 실린더(20)의 작동에 의해 작업 장치를 롤링시킬 수 있다. 또한, 그 후방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구동형 작업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그 작업 장치를 PTO축(15)으로부터 취출한 작업용 동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도 4는 주 변속 장치(8)의 변속 조작 구조 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변속 장치(8)는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이 변경됨으로써 엔진(1)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한다.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은 T/M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한 변속 실린더(23)의 작동에 의해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변속 실린더(23)에는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을 0으로 하는 중립 위치에 변속 실린더(23)를 압박하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24)을 구비한 복동형의 유압 실린더를 채용하고 있다. 변속 실린더(23)의 작동은 변속 실린더(23)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을 절환함으로써 제어한다. 변속 실린더(23)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은 전자기 비례 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진용 변속 밸브(25) 및 후진용 변속 밸브(26)의 작동에 의해 절환한다. 그들 변속 밸브(25, 26)의 작동은 제어 장치(제어 수단의 일례)(27)에 구비한 주행용 제어 수단(27A)의 제어 작동에 의해 제어한다. 주행용 제어 수단(27A)은, 기본적으로는 주 변속 레버(변속 조작구의 일례)(28)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레버 센서(위치 검출 수단의 일례)(29)의 출력과,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을 검출하는 경사판각 센서(30)의 출력과, 그들 출력을 대응시킨 주 변속용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이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도록 전진용 변속 밸브(25) 및 후진용 변속 밸브(26)의 작동을 제어한다. 주 변속용 상관 관계 데이터는 제어 장치(27)에 구비한 불휘발성의 기억 수단(27B)에 기억되어 있다.
즉, 전술한 변속 실린더(23), 전진용 변속 밸브(25) 및 후진용 변속 밸브(26) 등에 의해 주 변속 장치(8)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조작 기구(A)를 구성하고, 변속 조작 기구(A), 제어 장치(27), 레버 센서(29) 및 경사판각 센서(30) 등에 의해,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그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주 변속 장치(8)를 변속 조작하는 서보 기구(3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27)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 변속 레버(28)는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6)의 좌측방 위치에 위치 유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레버 센서(29) 및 경사판각 센서(30)는 회전식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주 변속용 상관 관계 데이터에는 맵 데이터나 상관 관계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6)의 좌측 위치에는 부 변속 레버(32)를 배치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부 변속 장치(9)는 부 변속 레버(32)의 조작 위치에 따라서 그 변속 상태가 작업용 저속 상태와 작업용 고속 상태와 이동용 최고속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절환되도록, 부 변속용 연계 기구를 통해 부 변속 레버(32)에 연계되어 있다.
도 5는 동력 전달 절환 장치(10) 및 사이드 브레이크(16)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절환 장치(10)는 다판형 유압 클러치(33)의 작동에 의해, 주행용 부 변속 장치(9)로부터 좌우 전륜(3)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좌우 전륜(3)을 종동(從動)시키는 동력 전달 정지 상태와, 좌우 전륜(3)의 주속(周速)이 좌우 후륜(4)의 주속과 동조하도록 주행용 부 변속 장치(9)로부터의 동력을 좌우 전륜(3)에 전달하는 등속 동력 전달 상태와, 좌우 전륜(3)의 주속이 좌우 후륜(4)의 주속에 대해 약 2배가 되도록 주행용 부 변속 장치(9)로부터의 동력을 좌우 전륜(3)에 전달하는 증속 동력 전달 상태로 절환된다.
유압 클러치(33)의 작동은 유압 클러치(33)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을 절환함으로써 제어한다. 유압 클러치(33)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은, 전자기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동력 전달 절환 밸브(34)의 작동에 의해 절환한다. 동력 전달 절 환 밸브(34)의 작동은 주행용 제어 수단(27A)의 제어 작동에 의해 제어한다. 주행용 제어 수단(27A)은 실행 중인 주행 모드와, 전륜(3)의 타각(舵角)을 검출하는 타각 센서(35)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동력 전달 절환 밸브(34)의 작동을 제어한다. 타각 센서(35)는 회전식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행 모드에는 2륜 구동 모드, 4륜 구동 모드, 증속 선회 모드 및 증속 제동 선회 모드가 있다.
주행용 제어 수단(27A)은 주행 모드 선택용 선택 스위치(36)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실행하는 주행 모드를 절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택 스위치(36)의 압박 조작에 의해 선택 스위치(36)로부터 온(ON) 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2륜 구동 모드, 4륜 구동 모드, 증속 선회 모드, 증속 제동 선회 모드의 순서로 실행하는 주행 모드를 절환한다. 그리고, 2륜 구동 모드에서는, 타각 센서(35)의 출력에 관계없이, 동력 전달 절환 장치(10)가 동력 전달 정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동력 전달 절환 밸브(34)의 작동을 제어한다. 4륜 구동 모드에서는, 타각 센서(35)의 출력에 관계없이, 동력 전달 절환 장치(10)가 등속 동력 전달 상태로 유지되도록 동력 전달 절환 밸브(34)의 작동을 제어한다. 증속 선회 모드 및 증속 제동 선회 모드에서는, 타각 센서(35)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전륜(3)의 타각이 설정 각도(예를 들어 35도) 미만에서 소선회용 타각 영역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력 전달 절환 장치(10)가 등속 동력 전달 상태가 되도록, 또한 전륜(3)의 타각이 설정 각도(예를 들어 35도) 이상에서 소선회용 타각 영역에 도달해 있는 경우에는, 동력 전달ㆍ절환 장치(10)가 증속 동력 전달 상태가 되도록 동력 전달 절환 밸브(34)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동력 전달 절환 장치(10)는 타각 센서(35) 및 선택 스위치(36)의 출력을 기초로 하는 주행용 제어 수단(27A)의 제어 작동에 의해, 좌우 전륜(3)에 대한 동력 전달 상태가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36)는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휠(5)의 좌측 하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7)의 오른발 근처 부위에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페달(조작 페달의 일례)(37)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은 대응하는 비틀림 스프링(38)의 작용에 의해 답입 해제 위치를 향해 복귀 요동한다. 그리고,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은 좌측 사이드 브레이크(조작 대상 기기의 일례)(16)에, 우측 브레이크 페달(37)은 우측 사이드 브레이크(조작 대상 기기의 일례)(16)에, 각각 브레이크 실린더(39)를 구비한 제동용 연계 기구(40)를 통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가 대응하는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조작량에 따른 제동력으로 대응하는 후륜(4)을 제동하도록 연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을 단독으로 답입 조작함으로써, 좌측 사이드 브레이크(16)에 의해 좌측 후륜(4)을 제동할 수 있다. 반대로, 우측 브레이크 페달(37)을 단독으로 답입 조작함으로써, 우측 사이드 브레이크(16)에 의해 우측 후륜(4)을 제동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동시에 같은 조작량으로 답입 조작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에 의해 좌우 후륜(4)을 동시에 같은 제동력으로 제동할 수 있다.
즉, 스티어링 휠(5)을 선회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선회 주행시에, 선회 내 측 후륜(4)에 대응하는 좌우 어느 한쪽의 브레이크 페달(37)을 단독으로 답입 조작함으로써, 그때의 선회 상태를 스티어링 휠(5)의 회전 조작에 의한 통상 선회 상태로부터, 이 통상 선회 상태에 더하여 선회 내측 후륜(4)을 제동하는 제동 선회 상태로 절환할 수 있어, 차체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동시에 답입 조작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를 감속 정지용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좌우 브레이크 실린더(39)에는, 신장 압박용 압축 스프링(41)을 구비한 단동형 유압 실린더를 채용하고 있다. 좌우 브레이크 실린더(39)는 그들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을 절환함으로써 신축 작동한다.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는 대응하는 브레이크 실린더(39)의 수축 작동에 의해 비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상태로 절환되고, 대응하는 브레이크 실린더(39)의 신장 작동에 의해 제동 상태로부터 비제동 상태로 절환된다.
즉,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좌우 브레이크 실린더(39)를 신축 작동시킴으로써,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킬 수 있고, 좌우 후륜(4)을 제동할 수 있다.
좌우 브레이크 실린더(39)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은 전자기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제동 밸브(42)의 작동에 의해 절환한다. 제동 밸브(42)의 작동은 주행용 제어 수단(27A)의 제어 작동에 의해 제어한다. 주행용 제어 수단(27A)은 실행 중인 주행 모드와 타각 센서(35)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제동 밸브(42)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용 제어 수단(27A)은 2륜 구동 모드, 4륜 구동 모드, 또는 증속 선회 모드의 실행 중은, 타각 센서(35)의 출력에 관계없이 좌우 브레이크 실린더(39)가 최장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동 밸브(42)의 작동을 제어한다. 증속 제동 선회 모드의 실행 중에는 타각 센서(35)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전륜(3)의 타각이 설정 각도(예를 들어 35도) 미만에서 소선회용 타각 영역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동안은, 좌우 브레이크 실린더(39)가 최장 상태가 되도록, 또한 전륜(3)의 타각이 설정 각도(예를 들어 35도) 이상에서 소선회용 타각 영역에 도달해 있는 동안은 선회 내측 후륜(4)을 제동하는 사이드 브레이크(16)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실린더(39)가 최단 상태가 되도록, 제동 밸브(42)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선택 스위치(36)에 의해 2륜 구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전륜(3)의 타각에 관계없이 좌우 후륜(4)만을 구동하는 2륜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36)에 의해 4륜 구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전륜(3)의 타각에 관계없이, 좌우 전륜(3)과 좌우 후륜(4)을 등속 구동하는 4륜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36)에 의해 증속 선회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전륜(3)의 타각이 소선회용 타각 영역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동안은 4륜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륜(3)의 타각이 소선회용 타각 영역에 도달해 있는 동안은 좌우 전륜(3)을 증속하는 전륜 증속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4륜 구동 상태보다도 작은 선회 반경으로 차체를 선회시킬 수 있다. 선택 스위치(36)에 의해 증속 제동 선회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전륜(3)의 타각이 소선회용 타각 영역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동안은 4륜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륜(3)의 타각 이 소선회용 타각 영역에 도달해 있는 동안은 좌우 전륜(3)을 증속하고, 또한 선회 내측의 후륜(4)을 제동하는 증속 제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륜 증속 상태보다도 작은 선회 반경으로 차체를 선회시킬 수 있다.
도 6은 작업 장치의 승강 제어 구조, 작업 장치의 롤링 제어 구조, 및 작업용 클러치(13)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장치는 좌우 리프트 실린더(18)가 신축 작동함으로써 승강한다. 좌우 리프트 실린더(18)는 그들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이 절환됨으로써 신축 작동한다. 좌우 리프트 실린더(18)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은 전자기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승강 밸브(43)의 작동에 의해 절환한다. 승강 밸브(43)의 작동은 제어 장치(27)에 구비한 작업용 제어 수단(27C)의 제어 작동에 의해 제어한다. 작업용 제어 수단(27C)은 작업 장치 승강용 제1 승강 레버(44)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레버 센서(45)의 출력과,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을 검출하는 아암 센서(46)의 출력과, 그들 출력을 대응시킨 승강용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이 제1 승강 레버(44)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도록 승강 밸브(43)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1 승강 레버(44)를 조작함으로써, 이 트랙터의 후방부에 연결한 작업 장치를 제1 승강 레버(44)의 조작 위치에 따른 높이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승강 레버(44)는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6)의 우측방 위치에 위치 유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제1 레버 센서(45) 및 아암 센서(46)는 회전식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승강용 상관 관 계 데이터는 기억 수단(27B)에 기억되어 있다. 승강용 상관 관계 데이터에는 맵 데이터나 상관 관계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작업용 제어 수단(27C)은 작업 장치 승강용 제2 승강 레버(47)의 조작을 검출하는 제2 레버 센서(48)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제2 승강 레버(47)의 상방으로의 조작을 검지한 경우에는, 작업 장치의 상승 한계 위치를 설정하는 상한 설정기(49)의 출력과, 아암 센서(46)의 출력과, 그들 출력을 대응시킨 한계 상승용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이 작업 장치의 설정 상한 위치에 대응하도록 승강 밸브(43)의 작동을 제어한다.
반대로, 제2 승강 레버(47)의 하방으로의 조작을 검지한 경우에는, 제1 레버 센서(45)의 출력과, 아암 센서(46)의 출력과, 승강용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이 제1 승강 레버(44)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도록 승강 밸브(43)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2 승강 레버(47)를 조작함으로써, 이 트랙터의 후방부에 연결한 작업 장치의 높이 위치를, 상한 설정기(49)에 의해 설정한 작업 장치의 상승 한계 위치와, 제1 승강 레버(44)에 의해 설정한 작업 장치의 높이 위치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승강 레버(47)는 중립 복귀형으로,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휠(5)의 우측 하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제2 레버 센서(48)는 제2 승강 레버(47)의 상방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폐쇄 조작되는 상시 개방형의 제1 접점과, 제2 승강 레버(47)의 하방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폐쇄 조작되는 상시 개방형의 제2 접점을 구비한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 다. 상한 설정기(49)는 회전식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6)의 우측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한계 상승용 상관 관계 데이터는 기억 수단(27B)에 기억되어 있다. 한계 상승용 상관 관계 데이터에는 맵 데이터나 상관 관계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작업용 제어 수단(27C)은, 작업 장치의 하강시에 작업 장치의 작업 깊이를 검출하도록 작업 장치에 구비된 작업 깊이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작업 장치의 접지를 검지한 경우에는, 그 작업 깊이 센서의 출력과, 작업 장치의 작업 깊이를 설정하는 작업 깊이 설정기(50)의 출력과, 그들 출력을 대응시킨 정심(定深) 제어용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작업 장치의 작업 깊이가 설정 작업 깊이에 대응하도록 승강 밸브(43)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이 트랙터의 후방부에 작업 깊이 센서를 구비한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접지 작업식 작업 장치를 연결하고 있는 경우에는, 작업 장치의 작업 깊이를 작업 깊이 설정기(50)에 의해 설정한 작업 깊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깊이 설정기(50)는 회전식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작업 깊이 센서는 회전식 포텐시오미터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작업 깊이 설정기(50)는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6)의 우측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정심 제어용 상관 관계 데이터는 기억 수단(27B)에 기억되어 있다. 정심 제어용 상관 관계 데이터에는, 맵 데이터나 상관 관계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작업 장치는 롤링 실린더(20)가 신축 작동함으로써 트랙터에 대해 롤링한다. 롤링 실린더(20)는 그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이 절환됨으로써 신축 작동한다. 롤링 실린더(20)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은 전자기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롤링 밸브(51)의 작동에 의해 절환한다. 롤링 밸브(51)의 작동은 작업용 제어 수단(27C)의 제어 작동에 의해 제어한다. 작업용 제어 수단(27C)은 트랙터의 롤링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52)의 출력과, 트랙터의 롤링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53)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트랙터의 실제 롤링 각도를 산출한다. 그 산출값과, 작업 장치의 롤링 목표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 설정기(54)의 출력과, 트랙터에 대한 작업 장치의 롤링 각도와 롤링 실린더(20)의 길이를 대응시킨 롤링용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롤링 실린더(20)의 목표 길이를 설정한다. 그 설정값과, 롤링 실린더(20)의 길이를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55)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스트로크 센서(55)의 출력이 설정값에 대응하도록 롤링 밸브(51)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작업 장치를 각도 설정기(54)로 설정한 목표 롤링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센서(52)에는 중수식 각도 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각속도 센서(53)에는 진동식 자이로 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각도 설정기(54)는 회전식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6)의 우측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스트로크 센서(55)에는 미끄럼 이동식 포텐시오미터를 채용하고 있다. 롤링용 상관 관계 데이터는 기억 수단(27B)에 기억되어 있다. 롤링용 상관 관계 데이터에는 맵 데이터나 상관 관계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작업용 클러치(13)는 그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이 절환됨으로써, 주 변속 장 치(8)로부터의 비변속 동력을 작업용 변속 장치(14)에 동력 전달하는 동력 전달 상태와, 그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절환된다. 작업용 클러치(13)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은 전자기 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클러치 밸브(절환 기구의 일례)(56)의 작동에 의해 절환한다. 클러치 밸브(56)의 작동은 작업용 제어 수단(27C)의 제어 작동에 의해 제어한다. 작업용 제어 수단(27C)은, 기본적으로는 작업 동력 전달 절환용 절환 스위치(57)의 출력과, 아암 센서(46)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클러치 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용 제어 수단(27C)은 절환 스위치(57)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절환 스위치(57)의 조작 위치를 판별한다. 그리고, 절환 스위치(57)의 조작 위치가 오프(OFF) 위치인 경우에는, 아암 센서(46)의 출력에 관계없이 작업용 클러치(13)가 차단 상태로 유지되도록 클러치 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한다. 절환 스위치(57)의 조작 위치가 온 위치인 경우에는, 아암 센서(46)의 출력에 관계없이 작업용 클러치(13)가 동력 전달 상태로 유지되도록 클러치 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한다. 절환 스위치(57)의 조작 위치가 자동 위치인 경우에는, 아암 센서(46)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이 설정 각도 이상의 부상측 각도 영역에 도달해 있는 동안은, 작업용 클러치(13)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또한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이 설정 각도 미만의 접지측 각도 영역에 도달해 있는 동안은, 작업용 클러치(13)가 동력 전달 상태가 되도록 클러치 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절환 스위치(57) 및 아암 센서(46)가 작업용 클러치(13)의 작동 상태의 절환을 지령하는 지령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작업 장치로서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구동형으로 접지 작업식 작업 장치를 연결하고 있는 경우에는, 절환 스위치(57)를 자동 위치로 조작해 둠으로써,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이 설정 각도 미만이 되는 작업 장치의 하강 조작에 연동하여 작업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이 설정 각도 이상이 되는 작업 장치의 상승 조작에 연동하여 작업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환 스위치(57)는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6)의 우측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6)의 우측방 위치에는 작업용 변속 레버(58)를 배치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작업용 변속 장치(14)는 작업용 변속 레버(58)의 조작 위치에 따라서, 그 변속 상태가 제1 내지 제4 각 변속 상태와 역회전 상태 중 어느 한쪽으로 절환되도록, 작업 변속용 연계 기구를 통해 작업용 변속 레버(58)에 연계되어 있다.
도 7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 도 8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배면도, 도 9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우측면도, 도 10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좌측면도, 도 11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 12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저면도이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각 브레이 크 페달(37)은 조종 패널(59)의 내부에 좌우 방향에 배치한 지지축 겸용의 연계축(60)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는 현수식으로, 그 연계축(60)에 외부 끼움하는 보스(61)에, 이 보스(61)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도록 아암부(62)를 용접하고, 이 아암부(62)의 하단부에 답입부(63)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답입부(63)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좌우로 인접 배치되어 있다.
좌우 답입부(63)는 그들 아암부(62)의 하단부에 용접한 판금제의 코어 바아(64)에 고무제의 답입 커버(65)를 외부 끼움하여 구성하고 있다. 좌우 코어 바아(64) 및 좌우 답입 커버(65)는 각각 다른 쪽 코어 바아(64) 및 답입 커버(65)에 인접하는 인접부(64A, 65A)가, 다른 쪽 코어 바아(64) 및 답입 커버(65)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부(64B, 65B)보다도 차체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 돌출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각 답입부(63)를, 다른 쪽 답입부(63)에 인접하는 공답 부분(63A)이 다른 쪽 답입부(63)로부터 이격되는 편답 부분(63B)보다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좌우 각 답입 커버(65)는 인접부(65A)의 표면의 높이 위치가 이격부(65B)의 표면의 높이 위치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접부(65A)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용의 좌우 방향의 복수의 홈(65a)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되어 있다. 이격부(65B)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사각뿔대 형상의 복수의 돌기(65b)를 종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되어 있 다. 각 돌기(65b)의 돌출량은 인접부(65A)의 표면과 이격부(65B)의 표면의 고저차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각 답입부(63)를, 공답 부분(63A)의 답입면(63a)의 높이 위치가 편답 부분(63B)의 답입면(63b)의 높이 위치보다도 높아지도록, 또한 공답 부분(63A)의 요철 패턴과 편답 부분(63B)의 요철 패턴이 다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구성함으로써, 각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부(63)에 있어서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동시 조작할 때의 답입 부분인 공답 부분(63A)과,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단독 조작할 때의 답입 부분인 편답 부분(63B) 사이에,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답입면(63a, 63b)의 높이 위치의 차이와, 답입면(63a, 63b)에서의 요철 패턴의 차이에 의한 특징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좌측 답입부(63)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63B)과, 좌우 답입부(63)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63A)과, 우측 답입부(63)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63B)을, 발바닥의 감각에 의해 간단하게 판별하여 확실하게 구분하여 답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페달 조작시에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좌우 한쪽의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조작할 때에는, 다른 쪽 브레이크 페달(37)에 발이 걸려 버리는 것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동시에 답입 조작할 때는, 그들 답입부(63)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좌우 균등하게 답입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37)의 오답입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그때의 답입 위치를 순식간에 확실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동시 조작할 때에, 양쪽 답입함으로써 발의 걸림 폭이 좁아지는 공답 부분(63A)을, 편답 부분(63B)보다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공답 부분(63A)의 답입 면적으로서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한 발로 양쪽 답입하는 동시 조작에 있어서도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안정성 좋게 답입할 수 있다.
도 14는 브레이크 페달(37)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63A)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각 답입 커버(65)는 그 이격부(65B)보다도 길어지는 인접부(65A)의 연장 돌출 부위(65c)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탑승 운전부(7)의 플로어면(66)에 대한 구배 θa가, 인접부(65A)의 비연장 돌출 부위(65d)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탑승 운전부(7)의 플로어면(66)에 대한 구배 θb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각 답입부(63)를 그 편답 부분(63B)보다도 길어지는 공답 부분(63A)의 연장 돌출 부위(63c)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탑승 운전부(7)의 플로어면(66)에 대한 구배 θa가, 공답 부분(63A)의 비연장 돌출 부위(63d)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탑승 운전부(7)의 플로어면(66)에 대한 구배 θb보다도 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각 답입부(63)를 구성함으로써, 그 연장 돌출 부위(63c)의 답입면(63ca)이 비연장 돌출 부위(63d)의 답입면(63da)에 대해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그로 인해, 각 답입부(63)의 공답 부분(63A)을 편답 부분(63B)보다도 차체 후방측으로 길어지도록 형성하면서도, 공답 부분(63A)의 차체 후방측으로의 연장 돌출량을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발끝측을 공답 부분(63A)의 연장 돌출 부위(63c)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각 답입 커버(65)는 다른 쪽 답입 커버(65)로부터 이격되는 좌우 일측단부에, 각 돌기(65b)의 돌출량보다도 큰 돌출량으로 이격부(65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모서리(65e)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각 답입부(63)를 다른 쪽 답입부(63)로부터 이격되는 좌우 일측단부에, 답입부(63)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63B)의 답입면(63b)보다도 상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조 부분(63C)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각 답입부(63)를 구성함으로써, 각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부(63)에 있어서는, 그 편답 부분(63B)과, 편답 부분(63B) 측에 위치하는 좌우 일측단부 사이에 높이의 차이와 형상의 차이에 의한 특징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좌우 어느 한쪽의 편답 부분(63B)을 답입할 때에는, 발바닥의 감각에 의해 편답 부분(63B)의 위치를 더욱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어, 편답 부분(63B)을 더욱 확실하게 답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페달 조작시에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좌우 한쪽의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조작할 때에, 그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부(63)를 오답입시킬 우려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은 연계축(60)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보스(61)를 연계축(60)에 핀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연계축(60)의 좌측 단부에 제동용 연계 기구(40)를 통해 좌측 사이드 브레이크(16)에 연계하는 연계 아암(67)을 일체 장비하고 있다. 우측 브레이크 페달(37)은 그 보스(61)를 연계축(6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연계축(60)에 상대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 보스(61)에 제동용 연계 기구(40)를 통해 우측 사이드 브레이크(16)에 연계하는 연계 아암(67)을 일체 장비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축(60)은 엔진(1)의 차체 후방측에 기립 설치한 격벽(68)에 좌우 한 쌍의 브래킷(69)을 통해 지지시키고 있다. 좌우 브래킷(69)에는 지지축(70)을 좌우 방향으로 가설하고 있다. 지지축(70)은, 비틀림 스프링(38)의 작용에 의해 답입 해제 위치를 향해 복귀 요동하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해제 위치에서 받는 수용 부재로 겸용하고 있다.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에는 그들 단독 조작을 저지하는 연결 상태와, 그들 단독 조작을 허용하는 연결 해제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한 연결 기구(71)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기구(71)는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의 아암부(62)에 장비한 연결 아암(72)과, 우측 브레이크 페달(37)의 아암부(62)에 장비한 피연결구(73)를 구 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연결 아암(72)은, 피연결구(73)에 결합하여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연결하는 연결 위치와, 피연결구(73)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연결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에 걸친 요동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의 아암부(62)에 장비되어 있다. 피연결구(73)는 연결 아암(72)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73a)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 아암(72)을 조작하여 연결 기구(71)를 연결 상태와 해제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를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단독 조작에 의한 제동 선회가 불가능해지는 상태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단독 조작에 의한 제동 선회가 가능해지는 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도 15는 주차 브레이크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의 아암부(62)에는 그 요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부(74a)를 정렬 형성한 결합 부재(74)를 장비하고 있다. 지지축(70)에는 결합 부재(74)의 결합부(74a)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75a)를 구비한 요동 아암(75)을 상대 요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고 있다. 요동 아암(75)은 그 결합부(75a)를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의 결합부(74a)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작용 위치와 불가능한 퇴피 위치에 걸쳐서 요동 조작할 수 있고, 인장 스프링(76)의 작용에 의해 퇴피 위치를 향해 복귀 요동한다. 그리고,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조작한 상태에서, 요동 아암(75)을 퇴피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요동 조작하고, 그 후,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비틀림 스프링(38)의 작용에 의해, 좌측 브레이크 페달(37)의 결합부(74a)와 요동 아암(75)의 결합부(75a)를 결합할 수 있고, 또한 그 결합 상태를 비틀림 스프링(38)의 작용과 요동 아암(75)의 버팀 작용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요동 아암(75)은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휠(5)의 우측 하방에 배치한 조작구(77)에 연계 로드(78)를 통해 연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연결 기구(71)에 의해 연결한 상태에서,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해제 위치로부터 답입 조작하고, 다음에 조작구(77)의 조작에 의해 요동 아암(75)을 퇴피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를 향해 요동 조작하고, 그 후,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그때의 답입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를 그때의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조작량에 따른 제동력으로 좌우 후륜(4)을 제동하는 제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결합 부재(74), 요동 아암(75), 조작구(77) 및 연계 로드(78)에 의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를 주차 브레이크로서 기능시키는 주차 브레이크용 조작 기구(79)를 구성하고 있다.
도 16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조작량 검출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은 격벽(68)에 지지시킨 페달 센서(80)의 센서 아암(80A)에 링크 기구(81)를 통해 연계되어 있다. 페달 센서(80)에는 회전식 포텐시오미터를 채용하고 있다. 링크 기구(81)는 좌우 방향의 고정 핀(82)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는 요동 아암(83)과, 이 요동 아암(83)을 페달 센서(80)의 센서 아암(80A)에 연계하는 링크(84)를 구비하고, 또한 요동 아암(83)에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아암부(62)에 대해 그들 답입 방향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좌우 방향의 접촉 부재(85)를 일체 장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고정 핀(82)은 지지축(7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지축(70)에 지지구(86)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접촉 부재(85)는 격벽(68)과 요동 아암(83)에 걸쳐서 가설한 인장 스프링(압박 수단의 일례)(87)의 작용에 의해, 적어도 좌우 어느 한쪽의 브레이크 페달(37)의 아암부(62)에 그들 답입 방향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조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답입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접촉 부재(85)를 받음으로써, 접촉 부재(85)가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페달 센서(80)는 접촉 부재(85)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0이며,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이 답입 조작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또한, 좌우 어느 한쪽의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조작한 경우에는, 답입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다른 쪽 브레이크 페달(37)이 접촉 부재(85)를 받음으로써, 접촉 부재(85)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페달 센서(80)는 접촉 부재(85)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0이며,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이 답입 조작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조작한 경우에는, 접촉 부재(85)가 인장 스프링(87)의 작용에 의해 답입 조작되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에 접촉 추종하게 된다. 이에 의해, 페달 센서(80)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에 접촉추종하는 접촉 부재(85)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을,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해제 위치로부터의 양쪽 답입 조작량으로서 검출한다.
즉, 고정 핀(82) 및 요동 아암(83)에 의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과의 연동을 허용하도록 접촉 부재(8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88)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페달 센서(80), 링크 기구(81), 고정 핀(82) 및 인장 스프링(87) 등에 의해,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을 답입 조작하는 양쪽 답입 조작을 행한 경우의 답입 조작량(이하, 양쪽 답입 조작량이라 함)을 검출하는 양쪽 답입량 검출 기구(89)를 구성하고 있다.
도 17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조작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 센서(80)는 검출한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을 제어 장치(27)에 출력한다. 제어 장치(27)에 있어서는, 주행용 제어 수단(27A)이 레버 센서(29)의 출력과, 경사판각 센서(30)의 출력과, 페달 센서(80)의 출력과, 그들 출력을 대응시킨 제동 변속용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대응하도록 전진용 변속 밸브(25) 및 후진용 변속 밸브(26)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작업용 제어 수단(27C)이 절환 스위치(57)의 출력과, 아암 센서(46)의 출력과, 페달 센서(80)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클러치 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용 제어 수단(27A)은 페달 센서(80)의 출력을 기초로 하 여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조작 위치를 판별한다. 그리고,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이 제동 해제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은,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이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따른 각도로 유지되도록, 전진용 변속 밸브(25) 및 후진용 변속 밸브(26)의 작동을 제어한다.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이 변속 제동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은,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이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따른 각도보다도 작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조작 위치에 따른 각도로 변경되도록, 전진용 변속 밸브(25) 및 후진용 변속 밸브(26)의 작동을 제어한다.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이 정지 제동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은,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관계없이,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이 0으로 유지되도록, 전진용 변속 밸브(25) 및 후진용 변속 밸브(26)의 작동을 제어한다.
작업용 제어 수단(27C)은 페달 센서(80)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조작 위치를 판별한다. 그리고,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이 동력 전달 허용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은, 절환 스위치(57)의 출력과 아암 센서(46)의 출력에 따른 작업용 클러치(13)의 동력 전달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클러치 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한다. 좌우 양쪽 브레이크 페달(37)이 차단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은, 절환 스위치(57)의 출력 및 아암 센서(46)의 출력에 관계없이, 작업용 클러치(13)의 차단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클러치 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동력 전달 허용 영역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해제 위치로부터 정지 제동 영역 내에 설정한 차단 영역의 경계에 걸치도록, 또한 차단 영역은 동력 전달 허용 영역과의 경계로부터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답입 한계 위치에 걸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7 참조).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트랙터의 후방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를 연결한 경운 작업시에 있어서, 논둑 근처로부터 경운 작업을 개시할 때는, 우선 부상시킨 로터리 경운 장치가 논둑 근처에 위치하도록 밭에 대한 차체 위치를 설정하고, 그 후, 답입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차단 영역까지 양쪽 답입 조작한다.
그러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가 비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상태로 절환되어 좌우 후륜(4)을 제동한다. 또한, 주 변속 장치(8)가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로부터 그 가변 용량 펌프(22)의 경사판각이 0이 되는 중립 상태로 절환되어,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차체를 제동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에,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차단 영역에 유지한 상태에서, 주 변속 레버(28)를 원하는 전진용 조작 위치로 조작하고, 부 변속 레버(32)를 작업용 저속 상태 또는 작업용 고속 상태로 조작하고, 절환 스위치(57)를 온 위치 또는 자동 위치로 조작하고, 작업용 변속 레버(58)를 원하는 변속 위치로 조작하고, 작업 깊이 설정기(50)를 원하는 작업 깊이(경운 깊이)로 설정한다.
이때,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차단 영역에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를 유지하고,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에 관계없이 주 변속 장치(8)가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절환 스위치(57)의 조작에 관계없이 작 업용 클러치(13)가 차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좌우 전륜(3), 좌우 후륜(4) 및 PTO축(15)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차체를 제동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로터리 경운 장치를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을 서서히 해제하여,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정지 제동 영역 내에 있어서 차단 영역으로부터 동력 전달 허용 영역을 향해 이동시키면서 로터리 경운 장치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절환 스위치(57)의 조작 위치가 온 위치인 경우에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정지 제동 영역 내의 동력 전달 허용 영역에 도달하는 데 수반하여, 작업용 클러치(13)가 차단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상태로 서서히 절환되고, PTO 축(15)으로의 동력 전달이 개시되어 로터리 경운 장치가 작동을 개시한다. 또한, 절환 스위치(57)의 조작 위치가 자동 위치인 경우에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정지 제동 영역 내의 동력 전달 허용 영역에 도달하고, 또한 리프트 아암(17)의 요동각이 설정 각도 미만의 접지측 각도 영역에 도달하는 데 수반하여, 작업용 클러치(13)가 차단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상태로 서서히 절환되어, PTO 축(15)으로의 동력 전달이 개시되어 로터리 경운 장치가 작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그 하강에 의해 로터리 경운 장치가 접지해도, 로터리 경운 장치의 작업 깊이가 설정 작업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정지 제동 영역 내의 동력 전달 허용 영역에 유지한다.
이때,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정지 제동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주 변속 장치(8)가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이때의 경운 반력에 의한 차체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상시킨 로터리 경운 장치를 논둑 근처에 위치시켜 차체를 주행 정지시킨 경운 정지 상태로부터, 차체를 주행 정지시킨 상태에서 로터리 경운 장치에 의해 논둑 근처의 밭 부분을 설정 경운 깊이로 경운하는 정지 경운 상태로 간단하게 이행할 수 있어, 논둑 근처의 밭 부분을 설정 경운 깊이로 경운할 수 있다.
이 정지 경운 상태에 있어서, 로터리 경운 장치의 작업 깊이가 설정 작업 깊이에 도달하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정지 제동 영역으로부터 제동 해제 영역을 향하도록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을 서서히 해제한다.
이 해제 조작에 의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변속 제동 영역에 도달하면, 작업용 클러치(13)가 동력 전달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이 해제되어 감에 따라서,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로부터 비제동 상태로 서서히 절환됨으로써,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의 제동력이 서서히 저하되고, 또한 주 변속 장치(8)가 중립 상태로부터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따른 전진 속도를 얻을 수 있는 변속 상태를 향해 서서히 증속 작동함으로써,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이 개시되어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의 구동 속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제동 해제 영역에 도달하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가 비제동 상태를 유지하고, 주 변속 장치(8)가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따른 전진 속도를 얻을 수 있는 변속 상태를 유지하고, 작업용 클러치(13)가 동력 전달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좌우 전륜(3), 좌우 후륜(4) 및 PTO축(15)으로의 동력 전달이 계속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정지 경운 상태로부터 원하는 작업 속도로 차체를 전진 주행시키면서 로터리 경운 장치에 의해 밭을 설정 경운 깊이로 경운하는 전진 경운 상태로 간단하게 이행할 수 있어, 밭을 설정 경운 깊이로 경운할 수 있다.
이 전진 경운 상태에 있어서,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양쪽 답입 조작하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제동 해제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은 전진 경운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양쪽 답입 조작에 의해,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변속 제동 영역에 도달하면, 작업용 클러치(13)가 동력 전달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이 커짐에 따라서,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가 비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상태로 절환됨으로써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의 제동력이 상승하고, 또한 주 변속 장치(8)가 주 변속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따른 전진 속도를 얻을 수 있는 변속 상태로부터 중립 상태를 향해 감속 작동함으로써,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의 구동 속도가 저하되고, 주 변속 장치(8)의 변속 상태가 중립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정지 제동 영역에 도달하면, 좌우 사이드 브레이크(16)가 제동 상태를 유지하고, 주 변속 장치(8)가 중립 상태를 유지함으로 써,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 상태에서 좌우 후륜(4)을 제동하는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이 차단 영역에 도달하면, 작업용 클러치(13)가 동력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절환되어 차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진 경운 상태로부터, 차체를 제동 정지시키는 동시에 로터리 경운 장치를 정지시킨 경운 정지 상태로 간단하게 이행할 수 있다.
즉,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을 양쪽 답입 조작함으로써, 주 변속 장치(8) 및 작업용 클러치(13)를 좌우 전륜(3), 좌우 후륜(4) 및 PTO축(15)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주 클러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주 클러치를 구비하지 않는 클러치리스 사양으로 구성하면서도, 경운 정지 상태로부터 정지 경운 상태로의 이행, 정지 경운 상태로부터 전진 경운 상태로의 이행, 및 전진 경운 상태로부터 경운 정지 상태로의 이행 등을 간단하고 또한 빠르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페달 센서(80)가 접촉 부재(85)의 이동량을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양 답입 조작량으로서 출력하는 이동량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변속 조작 기구(A) 및 클러치 밸브(56)가 페달 센서(80)의 출력에 따라서 제어 장치(27)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다른 조작 대상 기기가 된다.
도 5 및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7)에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연결을 검출하는 연결 센서(90)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연결을 검지한 경우에, 페달 연결 통지용 램프(91)를 점등시켜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연결을 통지하는 페달 연결 통지 수단(27D)을 구비하고 있 다. 이에 의해, 운전자에게 좌우 브레이크 페달(37)의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센서(90)에는 근접 스위치를 채용하고 있다. 연결 통지용 램프(91)는 탑승 운전부(7)의 표시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장비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작업차로서는,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을 구비하는 것이면 승용 전식기나 승용 예초기 등이라도 좋다.
[2] 작업차로서는,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과 PTO축(15)으로의 동력 전달을 동시에 단속하는 주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3] 작업차로서는, 주 변속 장치(8)를 유성 기어식 무단 변속 장치, 유압-기계식 무단 변속 장치(HMT),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CVT), 또는 기어식 변속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4] 좌우 조작 페달(37)로서는, 좌우의 대응하는 측의 사이드 브레이크(16)에만 연계한 것이라도 좋다.
[5] 좌우 조작 페달(37)로서는, 대응하는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도록 작업차에 구비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클러치 중 대응하는 측에 연계하는 클러치 페달이라도 좋다.
[6] 좌우 조작 페달(37)로서는, 대응하는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고, 또한 대응하는 후륜(4)을 제동하도록 작업차에 구비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클러치 브레이크 중 대응하는 측에 연계하는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이라도 좋다.
[7]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로서는, 플로어면(66)보다도 하방에 배치한 좌우 방향의 지지축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는 직립식으로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8]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로서는, 그들 각 답입부(63)를 그 공답 부분(63A)이 편답 부분(63B)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길어지는 L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답입부(63)의 공답 부분(63A)이 편답 부분(63B)보다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9]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로서는, 그들 각 답입부(63)를 그 공답 부분(63A)이 편답 부분(63B)보다도 차체 전방측과 차체 후방측의 양쪽으로 길어지는 T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답입부(63)의 공답 부분(63A)이 편답 부분(63B)보다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10]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을 그들 답입부(63)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63A)의 답입면(63a)의 높이 위치가 편답 부분(63B)의 답입면(63b)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11]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을 그들 답입부(63)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63A)의 표면에 사각뿔대 형상의 복수의 돌기를 종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하고, 또한 그들 답입부(63)에 있어서의 편답 부분(63B)의 표면에 좌우 방향의 복수의 홈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함으로써, 공답 부분(63A)의 요철 패턴과 편답 부분(63B)의 요철 패턴이 다르도록 구성해도 좋다.
[12]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63A)의 요철 패턴 및 편답 부분(63B)의 요철 패턴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답 부분(63A)의 표면에, 일본어 "ヘ"자 형상의 복수의 홈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하고, 또한 편답 부분(63B)의 표면에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돌기를 종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13]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의 답입부(63)를 아암부(62)의 하단부에 용접한 판금재만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14] 작업차로서는, 답입 조작의 해제에 수반하여 답입 해제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37)을, 그것들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하는 것이면 승용 전식기나 승용 예초기 등이라도 좋다.
[15] 작업차로서는,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과 PTO축(15)으로의 동력 전달을 동시에 단속하는 주 클러치와, 주 클러치를 단속 조작하는 클러치 페달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16] 접촉 부재(85)로서는, 좌우 조작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 등이라도 좋다.
[17] 지지 부재(88)로서는, 접촉 부재(85)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 등이라도 좋다.
[18] 압박 수단(87)으로서는, 비틀림 스프링이나 압축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19] 이동량 검출 수단(80)으로서는, 미끄럼 이동식 포텐시오미터 등을 이용 하여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20] 주행용 무단 변속 장치(8)로서, 유성 기어식 무단 변속 장치, 유압-기계식 무단 변속 장치(HMT), 또는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CVT) 등을 채용해도 좋다.
[21] 좌우 조작 페달(37)로서는, 대응하는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고, 또한 대응하는 후륜(4)을 제동하도록, 작업차에 구비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클러치 브레이크 중 대응하는 측에 클러치 브레이크용 연계 기구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계하는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좌우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HST로 이루어지는 주 변속 장치(8)가 좌우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변속 상태로 변속 조작되도록, 제어 수단(27)이 이동량 검출 수단(80)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변속 조작 기구(A)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좌우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HST로 이루어지는 주 변속 장치(8)가 좌우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변속 상태로 변속 조작되고, 또한 작업용 클러치(13)가 좌우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작동 상태가 되도록, 제어 수단(27)이 이동량 검출 수단(80)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변속 조작 기구(A) 및 절환 기구(5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22] 좌우 조작 페달(37)로서는, 대응하는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도록 작업차에 구비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클러치 중 대응하는 측에 클러치용 연계 기구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계하는 클러치 페달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주행용 클러치, 좌우 후륜(4)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주행용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절환하는 주행 클러치용 절환 기구, 및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절환하는 브레이크용 절환 기구를 구비하고, 좌우 클러치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주행용 클러치가 좌우 클러치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작동 상태가 되고, 또한 브레이크가 좌우 클러치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작동 상태에서 좌우 후륜(4)을 제동하도록, 제어 수단(27)이 이동량 검출 수단(80)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주행 클러치용 절환 기구 및 브레이크용 절환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좌우 클러치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주행용 클러치가 좌우 클러치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작동 상태가 되고, 또한 브레이크가 좌우 클러치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작동 상태에서 좌우 후륜(4)을 제동하고, 또한 작업용 클러치(13)가 좌우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작동 상태가 되도록 제어 수단(27)이 이동량 검출 수단(80)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주행 클러치용 절환 기구, 브레이크용 절환 기구 및 작업 클러치용 절환 기구(5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기어식 변속 장치를 이용하여 주 변속 장치(8)를 구성하고, 이 기어식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는 기어식 변속 장치용 변속 조작 기구, 좌우 후륜(4)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절 환하는 브레이크용 절환 기구를 구비하고, 좌우 클러치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기어식 변속 장치가 좌우 전륜(3) 및 좌우 후륜(4)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중립 상태가 되고, 또한 브레이크가 좌우 클러치 페달(37)의 양쪽 답입 조작량에 따른 작동 상태에서 좌우 후륜(4)을 제동하도록, 제어 수단(27)이 이동량 검출 수단(80)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기어식 변속 장치용 절환 기구 및 브레이크용 절환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23] 제동용 연계 기구(40)로서는, 브레이크 실린더(39)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답입 조작의 해제에 수반하여 답입 해제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그것들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조작 대상 기기 중 대응하는 측에 연계 기구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계한 작업차의 조작 구조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에 답입 방향 상부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 부재와,
상기 접촉 부재를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과의 연동을 허용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접촉 부재가 적어도 좌우 어느 한쪽의 상기 조작 페달에 답입 방향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접촉 부재를 이동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상기 접촉 부재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단일의 이동량 검출 수단을 구비함으로 써,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이, 상기 접촉 부재의 이동량을,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을 양쪽 답입 조작한 경우의 답입 조작량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좌우 상기 조작 대상 기기 이외의 다른 조작 대상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우 상기 조작 대상 기기로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위치 유지 가능하게 구성한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주행용 무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조작 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변속 조작 기구를 상기 다른 조작 대상 기기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무단 변속 장치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로 변속 조작되도록, 상기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무단 변속 장치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른 변속 상태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변속 후의 출력 속도가 0이 되는 중립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에 따른 변속 상태로 변속 조작되도록, 상기 변속 조작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력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과, 상기 PTO축에 대한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의 작동 상태의 절환을 지령하는 지령 수단과, 상기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절환하는 절환 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절환 기구를 상기 다른 조작 대상 기기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이동량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의 조작 위치를 판별하고,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이 동력 전달 허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의 작동 상태가 상기 지령 수단의 출력에 따른 작동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절환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고,
좌우의 상기 조작 페달이 차단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령 수단의 출력에 관계없이 상기 클러치의 작동 상태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절환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트랙터의 전체 우측면도.
도 2는 트랙터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트랙터의 동력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는 주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 구조 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력 전달 절환 장치 및 사이드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작업 장치의 승강 제어 구조나 작업용 클러치의 조작 구조 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
도 8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배면도.
도 9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우측면도.
도 10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좌측면도.
도 11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 12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저면도.
도 14는 브레이크 페달에 있어서의 공답 부분의 종단 우측면도.
도 15는 주차 브레이크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
도 16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조작량 검출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
도 17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 조작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무단 변속 장치
13 : 클러치
15 : PTO축
16 : 사이드 브레이크(조작 대상 기기)
27 : 제어 수단
28 : 변속 조작구
29 : 위치 검출 수단
37 : 조작 페달
40 : 연계 기구
46 : 지령 수단
56 : 절환 기구(다른 조작 대상 기기)
57 : 지령 수단
63 : 답입부
63A : 공답 부분
63B : 편답 부분
63a : 답입면(공답 부분)
63b : 답입면(편답 부분)
80 : 이동량 검출 수단
85 : 접촉 부재
87 : 압박 수단
88 : 지지 부재
A : 변속 조작 기구(다른 조작 대상 기기)
θa : 구배(공답 부분의 연장 돌출 부위)
θb : 구배(공답 부분의 비연장 돌출 부위)
Claims (4)
- 좌우 한 쌍의 조작 페달을, 그들 답입부의 한 발에 의한 양쪽 답입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인접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의 페달 구조이며,상기 답입부의 각각을, 다른 쪽 답입부에 인접하는 공답 부분이 다른 쪽 답입부로부터 이격되는 편답 부분보다도, 차체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상기 공답 부분은 동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페달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입부의 각각을, 상기 공답 부분의 답입면의 높이 위치와 상기 편답 부분의 답입면의 높이 위치가 다르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페달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답입부의 각각을, 상기 공답 부분의 요철 패턴과 상기 편답 부분의 요철 패턴이 다르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페달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답입부의 각각을, 상기 편답 부분보다도 길어지는 상기 공답 부분의 연장 돌출 부위에 있어서의 차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구배가, 상기 공답 부분의 비연장 돌출 부위에 있어서의 차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구배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페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287859 | 2008-11-10 | ||
JPJP-P-2008-287860 | 2008-11-10 | ||
JP2008287859A JP5113725B2 (ja) | 2008-11-10 | 2008-11-10 | 作業車のペダル構造 |
JP2008287860A JP5285395B2 (ja) | 2008-11-10 | 2008-11-10 | 作業車の操作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2377A KR20100052377A (ko) | 2010-05-19 |
KR101087945B1 true KR101087945B1 (ko) | 2011-11-28 |
Family
ID=4227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1397A KR101087945B1 (ko) | 2008-11-10 | 2009-03-13 | 작업차의 페달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79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81768A (zh) * | 2017-04-26 | 2018-11-13 | 井关农机株式会社 | 操纵部构造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4265U (ko) | 1981-04-30 | 1982-11-02 | ||
JPS57194127U (ko) * | 1981-06-04 | 1982-12-09 | ||
JPS5914753U (ja) * | 1982-07-21 | 1984-01-28 |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 動力運搬車におけるブレーキペダルの踏板構造 |
JPH10129432A (ja) | 1996-10-25 | 1998-05-19 | Honda Motor Co Ltd | 作業車両におけるブレーキペダル装置 |
-
2009
- 2009-03-13 KR KR1020090021397A patent/KR1010879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4265U (ko) | 1981-04-30 | 1982-11-02 | ||
JPS57194127U (ko) * | 1981-06-04 | 1982-12-09 | ||
JPS5914753U (ja) * | 1982-07-21 | 1984-01-28 |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 動力運搬車におけるブレーキペダルの踏板構造 |
JPH10129432A (ja) | 1996-10-25 | 1998-05-19 | Honda Motor Co Ltd | 作業車両におけるブレーキペダル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81768A (zh) * | 2017-04-26 | 2018-11-13 | 井关农机株式会社 | 操纵部构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2377A (ko) | 2010-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2826B1 (ko) | 작업차의 전동 장치 | |
CN103527774B (zh) | 作业车辆的行走控制装置 | |
JP4325408B2 (ja) | 苗移植機 | |
US6325166B1 (en) | Hydraulic travelling agricultural machine | |
JP4756582B2 (ja) | 作業車両 | |
JP5285395B2 (ja) | 作業車の操作構造 | |
KR101087945B1 (ko) | 작업차의 페달 구조 | |
JP4655468B2 (ja) | 農業用トラクタ | |
JP7139274B2 (ja) | トラクタ | |
JP5113725B2 (ja) | 作業車のペダル構造 | |
JP4656249B2 (ja) | 農業用トラクタ | |
WO1997009870A1 (fr) | Dispositif d'actionnement pour vehicule utilitaire | |
JP2007263259A (ja) | 作業車の連係構造 | |
JP4656205B2 (ja) | 農業用トラクタ | |
JP2011110984A (ja) | 作業車両 | |
JP7411428B2 (ja) | 作業車両 | |
JP2001122148A (ja) | 管理作業車 | |
JP6258784B2 (ja) | トラクタ | |
JP3717435B2 (ja) | 作業車の旋回制御装置 | |
JP2006082707A (ja) | セミクローラ型作業車両 | |
JP4656173B2 (ja) | 農業用トラクタ | |
JP2013124527A (ja) | 作業車両 | |
JP7453006B2 (ja) | 作業車両 | |
JP3753642B2 (ja) | 作業車の旋回制御装置 | |
JP4352420B2 (ja) | 田植機の植付部位置制御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