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313B1 - 다층 제직 - Google Patents

다층 제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313B1
KR101932313B1 KR1020147023384A KR20147023384A KR101932313B1 KR 101932313 B1 KR101932313 B1 KR 101932313B1 KR 1020147023384 A KR1020147023384 A KR 1020147023384A KR 20147023384 A KR20147023384 A KR 20147023384A KR 101932313 B1 KR101932313 B1 KR 10193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woven
warp
warp threads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061A (ko
Inventor
부페시 듀아
토리 엠 크로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4011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0Electrically-operated jacquar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40Yarns in which fibres are united by adhesives; Impregnated yarns or threads
    • D02G3/404Yarns or threads coated with polymeric solutions
    • D02G3/406Yarns or threads coated with polymeric solutions where the polymeric solution is removable at a later stage, e.g. by wash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6Fabrics of varying wid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8Arched, corrugated, or lik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16Double-plush looms, i.e. for weaving two pile fabrics face-to-fac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54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976Including strand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직된 직물에 비교할 때 상이한 기능적 및 미관적 특성을 갖는 제직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이한 제직 재료,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이한 제직 재료는 간헐적 스플라이서에 의해 제조된 반응성 재료 또는 조합된 재료들을 포함한다. 상이한 장치들은 유기적으로 성형된 측방향 에지 및 내부 개구를 도입하기 위한 마감 장치와, 제품이 제직될 때에 제품 내에 3차원 외관을 도입하기 위한 3차원 이펙터를 포함한다. 제직 방법은 미세 데니어 패널 및 성긴 데니어 패널을 동시에 제직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 제직{MULTIPLE LAYER WEAVING}
본 발명은 직물(textile), 의상(apparel), 액세서리(accessories) 및 신발을 제직(weaving)하기 위한 다기능 제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직된 제품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이한 유형의 제직 재료, 제직 프로세스 및 제직 패턴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후에 상이한 유형의 의상, 액세서리 및 신발을 제직하는 데 사용되는 상이한 재료들을 동적으로 종결하고(terminate) 조합하는 간헐적 제직 스플라이서(intermittent weaving splic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재료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직 재료에 다양한 레벨의 장력을 인가하는 동적 텐셔너(tensioner)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제품이 제직될 때에 제품의 측방향 부분 및 내부 부분을 마감(finish)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개략 설명은 상세할 설명 부분에서 이하에 더 설명되는 개념의 선택을 개략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이 개략 설명은 청구 대상의 주요 특징 또는 본질적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고, 또한 청구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높은 수준에서, 본 발명의 양태는 더 적은 수의 경사 스레드(warp thread)를 갖는 제2 패널에 제직되는 더 많은 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제직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 많은 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패널은 그래픽 패널 또는 안락성 패널(comfort panel)일 수도 있고, 반면에 더 적은 경사 스레드를 갖는 패널은 안정성 또는 내구성 패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또한 제직된 제품의 부분에서 소정의 특성을 달성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는 반응성 제직 재료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직된 제품에 선택된 변형성을 생성하기 위해 위사(weft)를 도입하기 직전에 경사 빔(warp beam)을 따른 선택 위치에서 경사 스레드에 대한 장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는 조합된 재료의 길이를 따라 상이한 기능적 또는 미관적 특성을 갖는 조합된 재료를 생성하기 위해 재료[예를 들어, 얀(yarn), 스레드(thread), 섬유(fiber)]를 동적으로 종결하고 상이한 재료들을 조합하는 간헐적 스플라이서에 관한 것이다. 조합된 재료는 이후에 천(fabric), 직물, 복합 기재(base material), 의상, 신발 및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체의 제직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양태들은 2차원 및/또는 3차원 물품들의 제조에 구현될 수도 있다. 조합된 재료의 다양한 특성은 이어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제직된 제품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직되는 동안 조합된 재료에 가변량의 장력을 인가하는 동적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인가된 장력의 양은 조합된 재료 및/또는 원하는 최종 제품의 특징 또는 특성에 의존한다. 동적 텐셔너는 제직된 제품 내의 조합된 재료의 정확한 배치를 보조하기 위해 간헐적 스플라이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는 제직된 제품의 제2 측면에 독립적으로 제직된 제품의 일 측면을 동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직된 물품의 우측면과 좌측면은 서로 독립적으로 마감될 수도 있다. 측면들은 유기적 기하학적 형상과 같은 비선형 방식으로 마감될 수도 있는데, 이는 적어도 몇몇 후처리 패턴 절단을 위한 요구를 제거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는 제품이 제직될 때에 제직된 제품의 내부 부분에 동적으로(예를 들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마감 장치는 일단 위치되면, 제직된 제품 내에 개구, 포켓 및/또는 터널을 생성하고 이들 생성물들의 에지를 마감할 수도 있다. 내부 마감은 경사(warp)의 방향에서 그리고 위사의 방향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 중 하나 이상은 원하는 특성을 갖는 원하는 제직된 물품을 얻도록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개수의 경사를 갖는 제1 빔 및 제2 개수의 경사를 갖는 제2 빔을 포함하는 제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사의 제1 개수는 경사의 제2 개수보다 크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수 패널 제직용 제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직 장치는 제1 개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제1 빔 및 제2 개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제2 빔을 포함하며, 경사 스레드의 제1 개수는 경사 스레드의 제2 개수보다 크다. 더욱이, 제1 개수의 경사 스레드의 각각의 경사 스레드는 제2 개수의 경사 스레드의 각각의 경사 스레드보다 작은 데니어를 갖는다. 제직 장치는 적어도 제1 개수의 경사 스레드 및 제2 개수의 경사 스레드에 맞춰진 비터, 논리 유닛 및 제1 개수의 경사 스레드와 함께 제1 위사 재료를 그리고 제2 개수의 위사 스레드와 함께 제2 위사 재료를 로딩하도록 기능하는 위사 로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 중 하나 이상은 원하는 특성을 갖는 원하는 제직된 물품을 얻기 위해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서 측방향 마감 장치를 갖는 직기(loom)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복수의 내부 마감 장치를 갖는 직기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서 측방향 마감된 에지 및 마감된 에지를 갖는 내부 개구를 구비하는 예시적인 제직된 제품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측방향 마감 장치를 갖는 직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로 형성된 내부 개구로 구성된 제직된 물품의 예시적인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더 적은 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제2 경사에 비교할 때 더 많은 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제1 경사를 갖는 다중 패널 제직 능력을 갖는 직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양태에서 다층 제직된 물품과 함께 사용된 예시적인 직기 비터(loom beater)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반응성 재료를 사용하는 제직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제직 시에 패널에 3차원 효과를 도입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양태에서 예시적인 제직 시스템 내의 예시적인 간헐적 제직 스플라이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양태에서 이송 부품과 연계하여 예시적인 간헐적 제직 스플라이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양태에서 제직된 제품의 예시적인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제직된 제품의 예시적인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양태에서 제직된 제품의 예시적인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양태에서 논리 유닛에 의해 사용된 예시적인 패턴 프로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제1 재료 입력 및 제2 재료 입력으로부터 조합된 재료를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법정 요건에 부합하도록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본 특허의 범주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자들은 다른 현재의 또는 미래의 기술들과 함께, 본 문서에 설명된 것들과는 상이한 단계들 또는 유사한 단계들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청구 대상이 또한 다른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것으로 고려하고 있다. 더욱이, 용어 "단계" 및/또는 "블록"은 채용된 방법들의 상이한 요소들을 내포하도록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들 용어들은 개별 단계들의 순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그리고 이와 같이 명시적으로 언급될 때를 제외하고는 개시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단계들 중에 또는 사이에 임의의 특정 순서를 암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높은 수준에서, 본 발명은 더 적은 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제2 패널에 제직되는 더 많은 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제직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 많은 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패널은 그래픽 패널 또는 안락성 패널일 수도 있고, 반면에 더 적은 경사 스레드를 갖는 패널은 안정성 또는 내구성 패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직된 제품의 부분에서 소정의 특성을 달성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는 반응성 제직 재료의 사용에 관한 양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직된 제품에 선택된 변형성을 생성하기 위해 위사를 도입하기 직전에 경사 빔을 따른 선택 위치에서 경사 스레드에 대한 장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는 조합된 재료의 길이를 따라 상이한 기능적 또는 미관적 특성을 갖는 조합된 재료를 생성하기 위해 재료[예를 들어, 얀, 스레드, 섬유]를 동적으로 종결하고 상이한 재료들을 조합하는 간헐적 스플라이서에 관한 것이다. 조합된 재료는 이후에 천, 직물, 복합 기재, 의상, 신발 및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체의 제직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양태들은 2차원 및/또는 3차원 물품들의 제조에 구현될 수도 있다. 조합된 재료의 다양한 특성은 이어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제직된 제품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직되는 동안 조합된 재료에 가변량의 장력을 인가하는 동적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인가된 장력의 양은 조합된 재료 및/또는 원하는 최종 제품의 특징 또는 특성에 의존한다. 동적 텐셔너는 제직된 제품 내의 조합된 재료의 정확한 배치를 보조하기 위해 간헐적 스플라이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는 제직된 제품의 제2 측면과는 독립적으로 제직된 제품의 일 측면을 동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직된 물품의 우측면과 좌측면은 서로 독립적으로 마감될 수도 있다. 측면들은 유기적 기하학적 형상과 같은 비선형 방식으로 마감될 수도 있는데, 이는 적어도 몇몇 후처리 패턴 절단을 위한 요구를 제거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는 제직됨에 따라 제직된 제품의 내부 부분에 동적으로(예를 들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마감 장치는 일단 위치되면, 제직된 제품 내에 개구, 포켓 및/또는 터널을 생성하고 이들 생성물들의 에지를 마감할 수도 있다. 내부 마감은 경사의 방향에서 그리고 위사의 방향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 중 하나 이상은 원하는 특성을 갖는 원하는 제직된 물품을 얻도록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가변 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물품, 반응성 제직 재료 및 제직 방법
도 1 내지 도 11은 마감 장치 부분과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2개의 빔을 갖는 직기(1200)의 측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직기(1200)는 임의의 유형의 제직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기(1200)는 자카드 직기(Jacquard loom), 도비 직기(Dobby loom) 및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직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지 2개의 빔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직기(1200)는 하나 이상의 경사 스레드의 세트를 각각 유지하는 다수의 빔을 가질 수도 있다. 용어 "스레드"는 편의상 사용된 것이지만, 용어 "스레드"는 천 재료, 플라스틱 재료, 합성 재료, 금속 재료, 압출된 재료, 유기 재료, 가공된 재료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는 임의의 유형의 재료[예를 들어, 스레드, 얀, 웨빙(webbing), 브레이드(braid), 필라먼트(filament),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직기(1200)는 "업(up)" 위치에 제1 세트의 경사 스레드(1214)를, "다운(down)" 위치에 제2 세트의 경사 스레드(1216)를 갖는 제1 빔(1210)을 포함한다. 제2 빔(1212)은 "업" 위치에 제1 세트의 경사 스레드(1215)를, 다운 위치에 제2 세트의 경사 스레드(1217)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예에서, 제1 빔(1210)은 제2 빔(1212)보다 높은 데니어(denier) 스레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1 빔(1210) 및 제2 빔(1212)이 유사한 빔 길이(예를 들어, 60 인치)를 가지면, 제2 빔(1212)은 더 큰 엔드수(end count)(즉, 빔 길이를 따른 경사 스레드의 수)를 가질 수도 있다. 달리 언급하면, 제1 빔(1210) 상의 스레드는 더 크기 때문에, 제1 빔(1210)의 빔 길이를 따라 끼워질 수도 있는 경사 스레드의 수는 제2 빔(1212)보다 적다.
상이한 경사 데니어를 갖는 다수의 층의 합체는 상이한 표면에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일체로 제직된 물품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더 성긴(coarser)(예를 들어, 더 큰 데니어) 경사 스레드로부터 발생하는 층 또는 표면은 물품의 외부면에 더 양호하게 적합될 수도 있는 더 큰 내마모성 및 인장 강도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더 미세한 스레드(즉, 더 작은 데니어)로 구성된 상보형 층 또는 표면은 더 양호한 피부 접촉면을 허용하고 따라서 내부 물품면에 적합할 수도 있다. 또한, 더 미세한 스레드는 또한 더 높은 분해능이 더 미세한 스레드로 성취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제직된 그래픽 표면을 형성하는 데 더 기여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더 미세한 스레드층은 그래픽이 합체되도록 의도된 위치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이들 특성들은 상이한 특성들(예를 들어, 더 미세한 스레드 내부면, 구조체를 위한 더 성긴 스레드 내부층, 및 그래픽 일체화를 위한 더 미세한 스레드 외부)을 제공하는 다수의 층 조합을 야기할 수도 있다.
미세한 경사 스레드(1215, 1217)는 성긴 경사 스레드(1214, 1216)와는 상이한 기능적 및/또는 미관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세한 경사 스레드(1215, 1217)는 그래픽을 제직하기 위해 또는 사용자의 피부 옆에 연성층을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작은 직경 및 미세한 밀도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성긴 경사 스레드(1214, 1216)는 내구성, 신장, 안정성, 방수성, 내열성 등을 위해 설계된 더 큰 직경 및 더 성긴 밀도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미세 경사 스레드(1215, 1217)는 성긴 경사 스레드(1214, 1216)보다 수가 더 많을 수도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미세한 경사 스레드(1215, 1217)는 4000개의 경사 스레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성긴 경사 스레드(1214, 1216)는 400개의 경사 스레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자카드 직기는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하나 이상의 타이 얀(tie yarn)의 선택적 일체화를 허용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제2 빔(1212)의 경사 스레드와 교직된(interwoven) 제2 위사 스레드에 비교할 때 더 큰 데니어를 갖는 제1 위사 스레드가 제1 빔(1210)으로부터의 경사 스레드와 교직되는 것이 고려된다. 특정 빔의 경사 스레드와 등위(coordinate)하도록[또는 다르게는 그로부터 편위(deviation)하도록] 위사 스레드를 조정하는 것은 특정 기능성의 합체를 허용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미세한 경사 스레드가 그래픽 용도의 고분해능을 성취하는 데 사용될 때, 미세한 위사 스레드(가변 마감부들의)가 이어서 또한 더 높은 그래픽 분해능을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유사하게, 더 큰 데니어 경사 스레드가 구조적 특성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면, 유사하게 강인한 위사 스레드가 이들 구조적 특성이 달성되는 것을 또한 보장하기 위해 교직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자카드형 직기의 사용은 각각의 층(예를 들어, 성긴 경사층 및 미세한 경사층)의 상당한 부분이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제직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렬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층들 사이에 바인딩(binding)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층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경사 스레드는 대안 층으로부터 경사 스레드와 주로 교직되는 위사 스레드와 교직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1 경사 빔으로부터의 경사 스레드로 주로 구성된 제1 층을 제직할 때, 자카드 직기는 위사 스레드가 삽입되는 쉐드(shed) 내로 제2 경사 빔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경사를 상승(또는 하강)시키도록 명령될 수도 있다. 이는 본질적으로 2개의 층 사이로 연장하는 타이형 얀을 사용하여 제1 층과 제2 층을 바인딩한다. 타이 얀은 제직된 물품의 주계(perimeter)를 따라 위치될 수도 있는 것(층들 사이에 포켓형 체적이 형성되게 함)이 고려된다. 타이형 연결부들은 실질적으로 랜덤 위치에 삽입될 수도 있어 층들 사이에 균일한 접합부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또한, 타이형 구조체는 층들 사이에 삽입된 물질[예를 들어, 충전재(fill), 깃털(down), 공기]을 가질 수도 있는 최종 제직된 물품에 대한 3차원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규정된 위치들에 삽입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타이형 구조체의 다른 위치는 경사 빔의 주계를 따른 임의의 위치, 제직된 물품 및 내부 위치의 임의의 위치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다층 제직된 물품과 관련하여 사용된 예시적인 직기 비터(1300)를 도시하고 있는 도 13을 참조한다. 직기 비터(1300)는 직기 비터(1300)의 길이로 연장하는 복수의 리드(reed)(1302)로 구성된다. 각각의 리드 사이에 형성된 슬롯은 본 명세서에서 덴트(dent)(1304)라 칭한다. 통상적으로, 경사 스레드는 덴트(1304)를 통해 연장하여 리드(1302)가 제직된 물품 내에 위사를 패킹할 수 있게 된다. 이 예시된 예에서, 덴트(1304)의 크기는 비터(1300)의 길이를 따라 일관적이지 않다.
통상의 비터는 경사 스레드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균일한 덴트를 갖는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고려되는 양태에서, 2개 이상의 경사 스레드는 상이한 경사 스레드를 갖는 다중-빔 구현의 결과로서 동시에 패킹될 수도 있다. 예시된 예에서, 각각의 더 대형의 덴트(1306) 사이에 4개의 더 소형의 덴트(1308)가 존재하는데, 이는 동시에 패킹되는 더 작은 데니어 경사 스레드 대 더 큰 데니어 경사 스레드의 4:1의 비를 야기한다. 이 비는 비터에 의해 동시에 패킹되는 다양한 경사 빔의 스레드 수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더 미세한 경사 스레드는 더 성긴 경사 스레드에 비해 4배의 스레드 수를 가질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경사 재료가 이용될 때 위사를 효과적으로 패킹하기 위해 덴트의 임의의 비 및 임의의 정렬(슬롯의 크기)이 고려된다. 비터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또한 반응성 재료를 사용하는 제직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반응성 재료를 사용하는 제직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1400)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용어 "반응성 재료"는 광범위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직 재료는 수용성, 에칭성, 열반응성, 성형성, 용융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직 재료는 코어 및 관련 외피를 제조하기 위해 상이한 유형의 재료로 코팅될 수도 있다. 코어 및/또는 외피는 상이한 반응성 및/또는 미관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외피는 수용성일 수도 있고, 코어는 방수성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외피는 방수성일 수도 있고(잠재적으로 수투과성임), 코어는 수용성일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예에서, 외피는 하나의 컬러일 수도 있고, 코어는 제2 컬러일 수도 있다. 이들 반응성 재료로 제직된 제품은 특정 미관적 특성 및/또는 특정 기능적 특성을 생성하기 위해 처리될 수도 있다. 처리는 제품이 제직되는 동안 발생할 수도 있고, 또는 제직 후 처리 단계로서 발생할 수도 있다.
블록 1410에서, 제품은 하나의 재료로 제직된다. 재료는 상기에 개략 설명된 바와 같은 반응성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재료는 반응성 특성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간헐적 스플라이서는 제직된 물품 내의 규정된 위치에서 특정 반응성 재료를 삽입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반응성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 제품의 제직은 반응에 앞서 낮은 신장 계수를 갖는 재료(예를 들어, 폴리머-코팅된 탄성 재료, 여기서 폴리머 코팅은 코어의 탄성 특성이 경험되는 것을 방지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재료의 반응 후에, 기초 특성이 경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더 낮은 탄성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제직 기술 및 장비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최종적인 제직된 제품은 구속성 외피를 제거함으로써 탄성 특성(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을 나타낼 수도 있다.
블록 1412에서, 제직된 제품의 선택 부분들이 처리되거나 활성화된다. 일 양태에서, 활성화 또는 처리는 제품이 제직되고 있을 때에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워터젯, 열 기기, 소결 레이저, 초음파, 화학물과 같은 상이한 활성화 기기가 직기 상에 여전히 있는 동안 제품의 선택 부분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활성화 메커니즘은 제직이 완료되고 제품이 직기로부터 제거된 후에 제품의 선택 부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품의 선택 부분은 예를 들어, 마스크로 처리된다. 마스크는 제직 상태(as-woven)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 규정된 위치에서 반응성 재료의 활성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마스킹된 부분은 반응성 재료가 활성화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제직 재료의 특성에 따라, 제품의 선택 부분의 활성화는 상이한 기능적 또는 미관적 특성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활성화는 제품의 선택 부분이 용해되거나 제거되게 하여, 따라서 제품 내에 개구 또는 개방 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활성화는 제품의 선택 부분이 약간 용융되게 하고 이어서 재성형되어 제품 내에 중실부를 생성하게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활성화는 제품의 선택 부분이 컬러를 변경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활성화는 제품의 선택 부분이 특정 형상으로 성형되게 할 수도 있다. 다수의 다른 예가 존재하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블록 1414에서, 제품의 추가의 처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1412에서 마스크로의 제품의 선택 부분의 처리와 관련하여, 마스크는 반응성일 수도 있고, 추가의 처리는 마스킹된 영역을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마스크는 불활성일 수도 있고, 활성화로부터 반응성 재료의 선택 부분을 차폐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마스크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제품의 나머지는 전술된 활성화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활성화될 수도 있다.
도 15는 제품이 제직되고 있을 때에 제품 내에 3차원(3-D) 효과를 도입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직기(1500), 경사 스레드의 세트(1510), 위사 삽입 지점(1512), 제1 3-D 이펙터(1514), 및 제2 3-D 이펙터(1516)를 포함한다. 직기(1500)는 임의의 유형의 제직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기(1500)는 단일의 또는 다수의 빔 직기, 자카트 직기, 도비 직기, 및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직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3-D 이펙터(1514, 1516)는 3-D 이펙터(1514, 1516)를 패널의 폭을 가로질러 전후방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수직으로 이동시켜 장력의 변화 및 과량의 재료를 도입하도록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아암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3-D 이펙터(1514, 1516)는 또한 지지 빔에 부착되고, 예를 들어 스크류 드라이브 또는 롤러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3-D 이펙터(1514, 1516)는 요구되지 않을 때 피벗되어 치워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3 3-D 이펙터(1514, 1516)의 접촉 헤드는 실린더, 타원 등과 같은 임의의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재료 접촉면의 형상은 제직된 제품을 야기하는 최종 3-D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지 2개의 3-D 이펙터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이펙터가 패널의 폭을 가로질러 경사 방향에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제1 3-D 이펙터(1514)는 위사 삽입 지점(1512)에서 위사 스레드를 도입하기 직전에 패널의 폭을 따른 선택 장소에서의 경사 스레드(1510)의 세트 상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위사 스레드는 이후에 위사 삽입 지점(1512)에서 도입된다. 부가의 위사 스레드가 삽입되고 위사가 패킹될 때에 경사 스레드(1510)에 대한 장력은 제2 3-D 이펙터(1516)에 의해 유지된다. 위사 스레드의 삽입 및 패킹 중에 경사 스레드(1510)의 세트 상에 증가된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3-D 이펙터에 의해 생성된 변형부는 적소에 "고정(locking)"될 것이다.
또한, 위사 삽입 지점(1512) 다음에, 그러나 위사를 패킹하는 직기 비터에 앞서 하나 이상의 3-D 이펙터가 직기 상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위사는 통상적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선형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지만, 직포가 패킹되어 적소에 "고정"되기 전에, 3-D 이펙터는 하나 이상의 경사[및 삽입된 위사(들)]에 대한 장력을 증가시킨다. 이 증가된 장력은 3-D 이펙터의 위치에서 재료에 있어서의 과잉을 생성할 수도 있고, 이 재료에 있어서의 과잉은 일단 비터가 위사를 패킹하면 유지된다. 이 프로세스는 다른 평면형 제직된 물품에 변형을 도입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3-D 이펙터의 측방향 위치 및 수직 위치는 제직 프로세스 중에 동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고, 이는 유기적 3차원 형태가 제직된 물품 내에 도입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3-D 이펙터는 통상의 하향 배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3-D 이펙터는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압력을 인가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3-D 이펙터의 임의의 수 및 임의의 위치가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간헐적 제직 스플라이서 및 동적 텐셔너
도 16은 간헐적 제직 스플라이서(1614), 동적 텐셔너(1620), 이송 부품(1618), 직기(1622), 및 논리 유닛(1624)을 포함하는 시스템(1600)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부가의 구성 요소들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과 함께(또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도 16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고, 설명되어 있고, 또는 암시되어 있는 임의의 수의 이들 구성 요소들도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하나 이상의 입력 포트를 통해 재료 A(1610) 및 재료 B(1612)와 같은 2개 이상의 재료를 수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에 의해 수용된 재료는 예를 들어 얀, 스레드, 웨빙, 스트랜드, 브레이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유기 물질(예를 들어, 면, 고무), 폴리머계 물질(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터, 합성 고무), 금속계 물질(예를 들어, 구리, 은, 금, 알루미늄), 및 다른 가공된 재료(예를 들어, 아라미드 합성 섬유, 탄소-섬유, 섬유 글래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재료는 다양한 직경, 탄성, 내마모성, 화학 반응성 특색, 인장 계수, 인장 강도, 수분 흡수성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재료 A(1610) 및 재료 B(1612)는 상이한 유형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료(1610, 1612)는 직경, 밀도, 컬러, 기능적 특성, 미관적 특성, 제조 모드(압출, 스펀, 성형 등), 재료(1610, 1612)에 적용된 처리 등이 상이할 수도 있다. 기능적 특성은 탄성, 강성, 수용성, 열반응성, 화학 반응성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재료(1610, 1612)에 적용된 처리는 방수, 왁스 코팅, 및/또는 재료(1610, 1612)에 광택성, 윤이 있는, 반사성 또는 반짝이는 마감부를 부여하는 코팅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는 또한 물, 열, 화학물 등과 반응할 수도 있는 반응성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다물질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고려된다. 다물질 재료는 내부 코어와는 상이한 물질의 외부 외피를 갖는 재료일 수도 있다. 본 예에서, 외부 외피는 내부 코어와는 상이한 소정의 특징을 다물질 재료에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코어는 고탄성을 가질 수도 있고, 외부 코어는 다물질 재료의 신장을 방지하는 반응성 코팅일 수도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외부 코어의 부분은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어(예를 들어, 화학 수단 또는 광에 의해 반응적으로 제거됨) 내부 코어의 특성이 외부 코어가 제거되어 있는 이들 부분에 나타나게 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다물질 재료의 대안적인 구성이 고려된다(예를 들어, 반응성 코어, 비반응성 섬유와 교직된 반응성 섬유).
도 1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양태에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제1 입력 포트(도시 생략)를 통해 재료 A(1610)를, 제2 입력 포트(도시 생략)를 통해 재료 B(1612)를 수용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재료 A(1610) 및 재료 B(1612)는 단일의 입력 포트를 통해 수용될 수도 있다. 단지 2개의 재료만이 도 16에 도시되어 있지만,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임의의 수의 재료를 수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재료는 효과적인 수용을 위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 내로 이송을 위해 스풀형 구조체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고려된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재료 A(1610) 및 재료 B(1612)를 수용한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에 의해 수용된 후에, 재료들은 재료(1610, 1612)의 사전 결정된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 부품(도시 생략)을 통해 이송될 수도 있다. 측정 부품은 토글 휠(toggle wheel), 재료(1610, 1612)가 수용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타이밍 시스템, 캘리퍼 시스템, 및/또는 재료의 사전 결정된 거리/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시각 또는 광학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전 결정된 거리가 재료 A(1610) 및/또는 재료 B(1612)에 대해 측정된 후에,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사전 규정된 거리에서 재료 A(1610) 및/또는 재료 B(1612)를 종결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재료(1610 및/또는 1612)를 종결(예를 들어, 절단)하기 위한 나이프와 같은 기계적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또는 대안에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규정된 길이에서 재료(1610 및/또는 1612)를 종결하기 위해 레이저, 공기, 초음파, 물, 열, 화학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연장부(run)의 중간점에서 재료의 연속적인 연장부를 종결하도록 기능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재료는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를 통해 이송되도록 준비된 수백 피트의 연속적인 재료를 갖는 스풀 상에 유지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수백 피트의 연속적인 재료를 따라 임의의 지점에서 재료를 종결할 수도 있다(임의의 횟수). 그 결과, 임의의 원하는 길이의 재료가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로부터 발생하는 최종적인 조합된 재료의 임의의 부분에 사용될 수도 있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논리 유닛(1624)에 의해 제어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인간 조작자로부터의 개입 없이, 전기-기계적 메커니즘(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공압 장치, 유압 장치, 모터) 등을 사용하여 재료를 종결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논리 유닛(1624)에 의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의 종결부를 제어함으로써, 일단 시동되면, 통상의 위사 패스(pass)(또는 경사) 내에 전략적으로 위치된 다양한 재료를 갖는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인간에 의한 개입을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일단 종결되면, 재료(1610, 1612)는 조합된 재료(1616)를 생성하기 위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재료(1610, 1612)의 단부들을 프레잉(fraying)하는 것 및 프레잉된 단부들을 결합하는 것과 같은 재료(1610, 1612)를 함께 결합하는 전통적인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합될 재료는 각각의 단부에서 분리될 때(예를 들어, 프레잉됨) 함께 맞물려서 제1 재료의 제1 단부와 제2 재료의 제1 단부 사이에 효과적인 접합을 형성할 수도 있는 복수의 섬유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초음파 융합, 레이저 인가, 용접, 접착제, 열, 랩핑(wrapping), 타잉(tying), 절첩(folding) 및/또는 꼬임(twisting)과 같은 재료(1610, 1612)를 결합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 결과,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종결 위치에 대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재료의 길이를 따른 위치에서 제1 재료를 종결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1 단부는 본 예에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의 출력 영역에 근접하고, 제2 단부는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의 입력 영역에 근접한다. 제1 단부는 본 예에서, 제2 재료의 이전의 제2 단부와[예를 들어, 또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의 입력부에 근접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재료의 제2 단부는 이어서 제2 재료의 새롭게 형성된 제1 단부와[예를 들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의 출력부에 근접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수의 재료가 임의의 순서로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또한 하나 이상의 유지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유지기는 종결 프로세스 중에 그리고/또는 결합 프로세스 중에 원하는 위치에 재료(1610 및/또는 1612)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메커니즘이 제1 재료를 종결하는 동안 제1 재료를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유지기는 제2 재료의 제2 단부와 함께 융합되는 동안, 심지어 순간적으로 조합된 재료(예를 들어, 제1 재료의 제1 단부)를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종결 및/또는 결합 프로세스는 즉시 [예를 들어, 재료가 종결 스플라이서(1614)를 통해 계속 통과할 때에] 행해질 수도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출력부에서 배출 부품(도시 생략)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일단 재료(1610, 1612)가 조합된 재료(1616)를 생성하도록 조합되어 있으면, 배출 부품은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로부터 조합된 재료(1616)를 배출한다. 배출 부품은 롤러, 컨베이어, 풀리 및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조합된 재료(1616)를 기계적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배출 부품은 또한/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로부터 조합된 재료(1616)를 배출하기 위해 공기 및/또는 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조합된 재료는 추가된 재료부에 의해 인가된 압박력 및/또는 중력에 의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로부터 배출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6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합된 재료(1616)는 재료 A(1610) 및 재료 B(1612)로 구성된 가변 길이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합된 재료(1616)는 재료 A(1610)로 구성된 가변 길이 세그먼트(1616A), 재료 B(1612)로 구성된 가변 길이 세그먼트(1616B), 및 재료 A(1610)로 재차 구성된 가변 길이 세그먼트(1616C)를 포함할 수도 있다. B-A-B 구성, A-B-A-B 구성, B-A-B-A 구성 등과 같은 다른 구성들이 고려된다. 2개 초과의 재료가 사용될 때, 조합된 세그먼트(1616)의 조성은 이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재료 A, B 및 C가 사용되면, 하나의 가능한 조성은 A-C-B-A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의 무한수의 가능성이 사용된 재료의 수, 가능한 재료의 구성, 및 사용된 재료의 각각의 부분의 길이에 기초하여 존재한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직기와 같은 임의의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다른 메커니즘과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또한 제조 프로세스의 임의의 부분(예를 들어, 경사를 형성하는 것, 위사를 통과시키는 것) 중에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조합된 재료(1616)는 일단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로부터 배출되면, 예를 들어 입력 포트를 거쳐 이송 부품(1618)에 의해 수용된다. 이송 부품(1618)은 배출 부품으로부터 조합된 재료(1616)를 수동으로 수용할 수도 있다. 이송 부품(1618)은 또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로부터 조합된 재료(1616)를 능동적으로 회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송 부품(1618)은 조합된 재료(1616)를 이송 부품(1618) 내로 끌어당기는 진공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송 부품(1618)은 또한 이후에 조합된 재료(1616)를 직기(1622)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조합된 재료(1616)는 위사로서 직기(1622)에 이송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조합된 재료는 경사 빔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조합된 재료(1616)가 위사로서 이송되면, 이송 부품(1618)은 셔틀, 하나 이상의 래피어(rapier), 에어젯, 워터젯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송 부품(1618)은 동적 텐셔너(1620)와 연계될 수도 있다. 동적 텐셔너(1620)는, 조합된 재료가 이송 부품(1618)에 의해 직기(1622) 내로 이송될 때에 조합된 재료(1616)에 가변량의 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인가된 장력의 양은 조합된 재료가 동적 텐셔너(1620)를 통과하고 있을 때의 조합된 재료(1616)의 특성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합된 재료(1616)의 저탄성 세그먼트에 인가된 장력의 양에 비교할 때 더 작은 정도의 장력이 조합된 재료(1616)의 고탄성 세그먼트에 인가될 수도 있다. 조합된 재료(1616)의 특성에 따라 가변량의 장력을 인가하는 것은 조합된 재료(1616)가 직기(1622) 내로 원활하게 이송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동적 텐셔너(16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특정 위사 패스에 대해 동적 텐셔너(1620)를 통해 미리 통과되어 있는 조합된 재료(1616)의 특성에 기초하여 장력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재료의 비탄성 부분이 초기에 동적 텐셔너(1620)를 통해 통과하면, 탄성 부분 또는 심지어 후속의 비탄성 부분이 공통 위사 패스 상에서 동적 텐셔너(1620)를 통해 통과할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장력이 인가될 수도 있다.
동적 텐셔너(1620)는 예를 들어, 이송 부품(1618)의 입력 포트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장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이송 부품(1618)이 에어젯인 경우에, 장력은 조합된 재료(1616)를 직기(1622) 내로 추진하는 데 사용된 공기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송 부품(1618)이 워터젯이면, 장력은 조합된 재료를 직기(1622) 내로 추진하는 데 사용된 물의 힘을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동적 텐셔너(1620)는 조합된 재료 상에 다양한 레벨의 압축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면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예를 들어, 점증적 광택면을 통해 통과하는 다수의 재료에 원하는 레벨의 압축력을 부여하기 위해 분리되거나 접근될 수도 있는 점증적 광택면을 갖는 풀리형 배향의 회전(또는 비회전) 광택 디스크].
동적 텐셔너(1620)는 언제 장력이 조정되어야 하는지 및 얼마나 많은 장력이 조정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캘리퍼-기반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캘리퍼 시스템은 조합된 재료(1616)의 더 두꺼운 세그먼트를 검출하고, 조합된 재료(1616)에 인가된 장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동적 텐셔너(1620)는 또한 조합된 재료(1616)의 하나의 세그먼트로부터 조합된 재료(1616)의 인접 세그먼트로의 전이를 시각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시각/광학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각/광학 시스템은 또한 얼마나 많은 장력이 인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세그먼트의 특성을 검출할 수도 있는데, 장력은 이어서 이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각/광학 시스템은 조합된 재료(1616)의 일 세그먼트로부터 다음의 세그먼트로 컬러 또는 조직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변화에 기초하여, 동적 텐셔너(1620)는 조합된 재료(1616) 상의 장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동적 텐셔너(1620)는 또한 언제 장력이 조정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타이밍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합된 재료(1616)는 일정한 속도로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로부터 배출될 수도 있다. 동적 텐셔너(1620)는 배출의 속도에 따라 장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동적 텐셔너(1620)는 또한 예를 들어 논리 유닛(1624)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장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그 결과,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위치에서 최종 제품에 하나 이상의 원하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동적 텐셔너(1620)를 조정하도록 독립적으로 또는 조화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 양태에서, 동적 텐셔너(1620)는 품질 제어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적 텐셔너(1620)는 쉐드를 통해 위사로서 이송된 후에 조합된 재료(1616)를 조정하기 위해 조합된 재료(1616)에 부가의 양의 장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이는 제직되는 패턴과 관련하여 위사의 정렬시에 작은 편위를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합된 재료가 특정 위치(예를 들어, 경사를 따른 측방향에서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특정 부분을 가지면, 동적 텐셔너(1620)는 상승된 레벨의 장력을 부여하여 조합된 재료가 경사의 부분과 교차하는 길이로 약간 연장하게 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동적 텐셔너(1620)는 감소된 레벨의 장력을 부여하여 부분이 특정 경사와 교차함에 따라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길이를 약간 감소시키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송 부품(1618)에 의한 측방향 정렬을 허용하기 위해 위사 패스의 일(또는 양) 단부에 과잉의 부분을 합체하는 것과 같은, 조합된 재료의 신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는 조합된 재료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부가의 메커니즘이 고려된다.
동적 텐셔너(1620)는 이송 부품(1618)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으로서 도 16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동적 텐셔너(1620)는 이송 부품(1618)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동적 텐셔너(1620)는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와 이송 부품(1618)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동적 텐셔너(1620)는 이송 부품(1618)과 직기(1622)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략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송 부품(1618)은 조합된 재료(1616)를 경사 또는 위사로서 직기(1622) 내로 이송한다. 직기(1622)는 임의의 유형의 제직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기(1622)는 단일의 또는 다중-빔 직기, 자카드 직기, 도비 직기, 및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직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논리 유닛(1624)은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 이송 부품(1618), 동적 텐셔너(1620) 및/또는 직기(1622)에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프로그램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논리 유닛(1624)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구체화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기 위해 논리 유닛(1624)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논리 유닛(1624)은 예를 들어 패턴에 합치하는 제직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패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이들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 명령할 수도 있다.
도 21은 어느 세그먼트 길이의 재료 A(1610) 및/또는 재료 B(1612)가 각각의 위사(및/또는 경사) 레벨에서 요구되는지를 계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캡처되고 논리 유닛(1624)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패턴 프로그램(2100)을 도시하고 있다. 패턴 프로그램(2100)은 라인 상에 중첩된 패턴을 갖는 위사에 대응하는 일련의 라인을 포함한다. 패턴 프로그램(2100)의 다양한 세그먼트의 길이가 논리 유닛(1624)에 의해 결정되고, 이후에 예를 들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에 통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논리 유닛(1624)은 세그먼트(2110)[재료 A(1610)에 대응함], 세그먼트(2112)[재료 B(1612)에 대응함], 및 세그먼트(2114)[재료 A(1610)에 대응함]의 길이/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들 세그먼트(2110, 2112, 2114)의 다양한 길이/거리는 논리 유닛(1624)에 의해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에 통신될 수도 있고,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는 이어서 이들 입력에 기초하여 재료들을 종결하고 조합한다.
또한, 논리 유닛(1624)은 또한 이들 구성 요소들과 연계된 다양한 시각/광학, 타이밍, 토글 휠, 및 캘리퍼-기반 시스템에 프로그램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논리 유닛(1624)은 일 양태에서, 다양한 시각/광학, 타이밍, 토글 휠, 및 캘리퍼-기반 시스템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이들 입력 및 프로그램된 패턴/구조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재료 A(1610) 또는 재료 B(1612)를 종결하도록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에 명령할 수도 있다. 또한, 논리 유닛(1624)은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조합된 재료(1616)에 사전 결정된 양의 장력을 인가하도록 동적 텐셔너(1620)에 명령할 수도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이러한 양태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이, 논리 유닛(1624)은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논리 유닛(1624)은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간헐적 스플라이서, 직기, 동적 텐셔너, 자카드 직기, 측정 부품, 품질 제어 부품)에 의해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의 세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 명령은, 쉐드를 통해 삽입될 때 경사 빔에 대한 규정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도록 재료의 자동 종결 및 스플라이싱을 조화하는 것이 가능한 로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로직은 물품 내에 일체화된 것으로서 다수의 재료 요소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적절한 정렬 및 위치설정을 보장할 수도 있다.
논리 유닛(1624)은 명령을 저장할 수도 있고, 또는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논리 유닛(1624)은 특정 물품을 완성하기 위해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특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할 때, 적절한 명령(또는 그 일부)이 물품의 제조를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논리 유닛(1624)에 통신된다. 이와 같이, 논리 유닛(1624)은 통상적으로 이종의 구성 요소가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의 조화를 통해 물품을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해 협력하여 작동할 수도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은 재료 소스(1710), 재료(1712), 재료(1714), 이송 부품(1718)에 일체로 연결된 간헐적 스플라이서(1716), 및 수용 부품(1720)을 포함하는 시스템(1700)을 도시하고 있다. 이송 부품(1718) 및 수용 부품(1720)은 제1 래피어 및 제2 래피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통적인 제직 기술은 쉐드를 가로질러 위사를 이송하기 위해 래피어를 채용한다. 위사를 이송하는 제1 래피어는 직포의 폭을 가로지르는 지점에서 제2 래피어에 조우된다. 제2 래피어는 위사를 취하고 직포의 폭(예를 들어, 경사 빔의 길이)을 가로질러 위사의 행정(journey)을 완료한다.
이송 부품(1718)은 직포의 중간 지점 대신에 직포의 폭을 따른 다양한 거리에서 수용 부품(1720)에 위사를 전달하도록 (예를 들어, 논리 유닛에 의해) 동적으로 프로그램된다. 또한, 간헐적 스플라이서(1716)는 재료(1712) 및/또는 재료(1714)를 종결하고 이송 부품(1718)이 수용 부품(1720)에 조우하고 조합된 재료를 전달하기 전에 조합된 재료를 생성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도 18은 시스템(1600)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제직된 제품(1800)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직된 제품(1800)은 일련의 경사 스레드(1810)를 포함한다. 용어 "스레드"는 편의상 사용되었지만, 용어 "스레드"는 천 재료, 플라스틱 재료, 합성 재료, 금속 재료 등을 포함하는 전술된 임의의 유형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제직된 제품(1800)은 일련의 위사 스레드(1812)를 또한 포함한다. 본 예에서, 위사 스레드(1812)의 부분은 예를 들어 도 16의 간헐적 스플라이서(1614)와 같은 간헐적 스플라이서에 의해 생성된 조합된 재료 위사 스레드를 포함한다. 스레드(1814)는 하나의 재료로 구성된 위사 스레드의 예를 제공하고, 반면 스레드(1816)는 2개 이상의 재료로 구성된 위사 스레드를 예시하고 있다.
위사 스레드(1812)는 영역(1818)을 생성하도록 제직된다. 영역(1818)은 제직된 제품(1800)의 나머지에 비교할 때 상이한 기능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역(1818)은 제직된 제품(1800)의 나머지에 비교할 때 더 큰 신장량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영역(1818)은 열반응성 및/또는 화학 반응성 재료(예를 들어, 수용성)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 재료는 영역(1818)을 제거하거나 또는 영역(1818)의 기능적 특성을 더 변화시키기 위해 적절한 제제(열, 물 및/또는 화학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영역(1818)은 제직된 제품(1800)의 나머지에 비교할 때 상이한 미관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역(1818)은 제직된 제품(1800)의 나머지와는 상이한 컬러일 수도 있고, 또는 광택 또는 빛나는 마감부를 갖는 위사 스레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영역(1818)은 로고, 그래픽 요소, 기하학적 형상 패턴 또는 유기적 형상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영역(1818)은 제직된 제품(1800)의 나머지에 비교할 때 상이한 직경을 갖는 위사 스레드로부터 제직될 수도 있다. 이는 영역(1818)에 3차원 외관을 부여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도 20은 시스템(1600)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는 제품(2000)의 다른 예시적인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의 초점은 위사 스레드(2010)를 구성하는 조합된 재료에 맞춰진다. 이 때문에, 경사 스레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위사 스레드(2010)를 구성하는 조합된 재료는 제1 재료(재료 A)의 제1 세그먼트(2012), 제2 재료(재료 B)의 제2 세그먼트(2014), 및 제1 재료(재료 A)의 제3 세그먼트(2016)를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2014)의 제2 재료는 주름진 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주름진 얀의 예들은 자켓 내의 절연 또는 베개속으로서 사용을 위한 폴리에스터 충전재를 포함한다. 이 유형의 얀은 일반적으로 로프트(loft) 및 체적을 제공하는 신장에 대해 저항성이 있다. 그러나, 주름진 얀은 통상적으로 열이 인가됨에 따라 신장하고, 열은 주름진 얀이 그 주름을 손실하게 한다. 주름진 얀의 이들 특성의 장점을 취하여, 열은 주름진 얀을 포함하는 제품(2000)의 부분[즉, 영역(2018)]에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도 있다. 열의 인가는 영역(2018)이 연신되거나 신장되게 할 수도 있고, 이는 제품(2000)에 3차원성을 추가한다. 이 유형의 프로세스가 유용한 일 예는 신발 갑피(upper)의 힐 부분(heel portion)의 제조이다.
도 19는 시스템(1700)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는 제직된 제품(1900)의 예시적인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제직된 제품은 경사 스레드(1910)의 세트 및 위사 스레드(1912)의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용어 "스레드"는 임의의 수의 재료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위사 스레드(1912)의 부분은 도 17의 간헐적 스플라이서(1716)와 같은 간헐적 스플라이서에 의해 생성된 조합된 재료의 위사 스레드를 포함한다. 위사 스레드(1914)는 조합된 재료의 위사 스레드의 예이다. 부가적으로, 위사 스레드(1912)의 부분은 일 유형의 재료[예를 들어, 위사 스레드(1916)]로 구성된 위사 스레드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1700)은 직포의 폭을 따라 상이한 거리로 위사 스레드를 전달하도록 동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는 이송 부품(본 경우에, 제1 래피어)을 포함한다. 대응 수용 부품(제2 래피어)이 또한 이송 부품으로부터 핸드오프의 지점에서 위사 스레드를 수용하도록 동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간헐적 스플라이서는 수용 부품이 이송 부품으로부터 위사 스레드를 수용하기 전에 조합된 재료의 위사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 결과는 상이한 기능적 및/또는 미관적 특성을 갖는 다양한 기하학적 또는 유기적 형상의 패턴을 생성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제직된 제품(1900)의 영역(1918)은 영역(1920)을 구성하는 위사 스레드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위사 스레드로 구성된다. 도 18 및 도 20과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같이, 영역(1918, 1920)의 위사 스레드는 상이한 기능적 특성 및/또는 상이한 미관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합된 재료의 임의의 조합은 위사의 기초 재료를 선택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부여된 유기적 형상의 특성부를 갖는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임의의 위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특성부는 지정된 위치에서 다양한 미관적 및/또는 기능적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위사 패스에서 간헐적으로 원하는 특성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능력은 (완전한 위사 패스를 따라 균일한 특성을 갖는 것에 대조적으로) 제직 프로세스의 증가된 제어를 제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간헐적 스플라이서를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200)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블록 2202에서, 제1 재료는 간헐적 스플라이서에서 수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재료는 얀, 스레드, 웨빙 등과 같은 임의의 재료일 수도 있다. 재료의 수용은 간헐적 스플라이서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진입하는 재료의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2204에서, 제2 재료는 간헐적 스플라이서에서 수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의 재료가 간헐적 스플라이서에서/간헐적 스플라이서에 의해 수용되고/이용될 수도 있다.
블록 2206에서, 제1 재료의 길이가 측정된다. 길이는 최종 조합된 재료 내의 특정 위치에서 제1 재료의 특정 길이를 생성하도록 측정될 수도 있다. 측정은 기계적 메커니즘, 타이밍 메커니즘, 광학 메커니즘 및 재료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블록 2208에서, 제1 재료를 종결하라는 결정이 행해진다. 결정은 간헐적 스플라이서의 종결기(terminator)를 제어하는 논리 유닛을 이용하여 성취될 수도 있다. 결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제1 재료의 측정된 길이 및 최종 조합된 재료에 사용될 원하는 길이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논리 유닛은 간헐적 스플라이서 및 간헐적 스플라이서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제조 기계[예를 들어, 직기, 편직기, 브레이더(braider)]를 조화하는 프로그램된 패턴에 의존할 수도 있다. 일단 종결의 결정이 블록 2208에서 행해지면, 블록 2210에서 제1 재료가 종결된다. 종결은 기계적 절단, 화학적 프로세스, 가열 프로세스, 초음파 프로세스 등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블록 2212에서, 제1 재료 및 제2 재료는 결합된다. 제1 및 제2 재료의 결합은 각각의 재료의 요소들(예를 들어, 섬유들) 사이의 기계적 연결에 의존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다른 접합 기술이 제1 재료와 제2 재료를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예를 들어, 용접, 접착제). 일단 제1 재료와 제2 재료가 결합되면, 최종 조합된 재료는 블록 2214에서 제품 내에 합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종 제품은 제직된 물품을 위한 직기, 편직된 물품을 위한 편직기, 브레이딩된 물품을 위한 브레이딩기 등과 같은 다수의 기계 및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마감 장치
높은 수준에서, 본 발명은 제직된 제품의 제2 측면과는 독립적으로 제직된 제품의 일 측면을 동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직된 물품의 우측면과 좌측면은 서로 독립적으로 마감될 수도 있다. 측면들은 유기적 기하학적 형상과 같은 비선형 방식으로 마감될 수도 있는데, 이는 적어도 몇몇 후처리 패턴 절단을 위한 요구를 제거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는 제품이 제직될 때에 제직된 제품의 내부 부분에 동적으로(예를 들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마감 장치는 일단 위치되면, 제직된 제품 내에 개구, 포켓 및/또는 터널을 생성하고 이들 생성물들의 에지를 마감할 수도 있다. 내부 마감은 경사의 방향에서 그리고 위사의 방향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직기(1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직기(100)는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고,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의 특정 양태를 예시하는 데 사용된다. 직기(100)는 임의의 유형의 제직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기(100)는 단일의 또는 다수의 직기, 자카드 직기(Jacquard loom), 도비 직기(Dobby lomm), 및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직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직기(100)는 경사 스레드(112)의 세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는 빔(110)을 포함한다. 용어 "스레드(thread)"가 편의상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사용되고 있지만, 용어 "스레드"는 천 재료, 플라스틱 재료, 합성 재료, 금속 재료, 가공된 재료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물질로부터 형성된 임의의 유형의 재료[예를 들어, 스레드, 얀(yarn), 스트링, 꼬인 재료(braided material), 압출된 재료, 견인된 재료, 스펀 재료 등]를 포함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직기는 제직된 패널(124)[위사 스레드와 교직된 경사 스레드를 포함하는 제직된 패널(124)]에 인접하여 직기(100)의 측방향 에지를 따라 위치된 제1 마감 장치(116) 및 제2 마감 장치(118)를 또한 포함한다. 단지 2개의 마감 장치만이 도 1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마감 장치의 임의의 수 및 조합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마감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마감하도록 다양한 위치에 배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턱커(tucker)가 우측 마감된 에지를 형성하도록 좌측으로 배향될 수도 있고, 또는 턱커는 좌측 마감된 에지를 형성하도록 우측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마감 메커니즘의 조합은 유형, 위치, 수 및 배향을 고려할 때 거의 무제한이다.
마감 장치(116, 118)는 직기(도시 생략)의 지지 프레임에 수동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마감 장치(116, 118)는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메커니즘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위치설정 메커니즘은 임의의 방향 및/또는 회전으로 마감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설정 메커니즘은 수직, 수평 및/또는 피벗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능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위치설정 메커니즘은 직기(100) 상의 위치 내외로 마감 장치(116, 118)를 유도하고 마감 장치(116, 118)를 위사 스레드의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아암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회전 아암은 제직된 제품의 상이한 패널/층 상에서 작동하기 위해 마감 장치(116, 118)를 상승 및 하강할 수도 있다. 다른 고려되는 양태에서, 위치설정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스크류 드라이버, 컨베이어, 벨트, 래피어(rapier), 공압 장치, 유압 장치 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마감 장치를 위치설정하는 다른 방식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마감 장치(116, 118)는 에지 안정성을 생성하고 에지의 프레잉(fraying)을 방지하기 위해 제직된 패널(124)의 마감된 에지(들)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에지 마감은 제직 후 처리 단계들 중에 제품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마감 장치(116, 118)는 셀비지(selvedge) 또는 마감된 에지를 생성하기 위해 턱커 또는 레노 경사 트위스터(leno warp twist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마감된 에지를 생성하는 부가의 방식은 특히 열반응성 재료가 제직될 때 신징 장치(singeing device)로 에지를 신징하는 것과, 화학 반응성 재료가 제직될 때 소결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초음파, 바인딩, 서징(surging)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마감이 고려된다.
마감 장치(116, 118)는 제직된 패널(124)이 마감 장치(116, 118)를 통해 이송될 때에 제직된 패널(124)의 내외로 측방향으로(위사 스레드의 방향에서) 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마감 장치(116, 118)의 측방향 이동은 제직되어 있는 각각의 위사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이 동적 이동은 제직된 패널이 형성될 때에 제직된 패널(124)이 임의의 가능한 형상 - 정확히 선형 형상이 아님 - 으로 마감된 에지를 갖고 생성되게 한다. 시각 및/또는 광학 시스템이 제직된 패널(124)과 관련하여 마감 장치(116, 118)의 측방향 이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마감 장치(116, 118)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위사 상에서 작동하는 마감 장치는 하나 이상의 경사와 교직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경사가 연속성을 유지하게 하면서 하나 이상의 위사를 마감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달리 말하면, 유기적 측방향 에지가 빔 폭 내부의 위치에서 마감된 위사로 형성될 때, 경사 스레드는 마감된 에지로부터 빔의 측방향 에지를 향해 연장할 것이다. 이들 경사 스레드는 후처리까지 종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종결의 지연은 이후에 제직된 위사가 이들 위사를 이용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마감된 에지 외부의 경사 스레드는 제직 프로세스에서 임의의 시점에서 종결될 수도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마감 장치(116, 118)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에 의해 논리 유닛(114)에 프로그램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논리 유닛(114)은 패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패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마감 장치(116, 118)에 명령할 수도 있다. 또한, 논리 유닛(114)은 또한 마감 장치(116, 118)의 시각 및/또는 광학 시스템에 프로그램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논리 유닛(114)은 시각 및/또는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들 입력에 기초하여, 패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된 위치로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감 장치(116, 118)에 명령할 수도 있다. 패턴 프로그램에 따라 제직된 패널(124)을 제직 및 마감하는 것은 패널이 제직된 후에 패턴 형상을 수동을 생성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논리 유닛(114)은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그 위에 유지된 명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논리 유닛(114)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구체화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기능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가질 수도 있어, 이들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 직기, 시각 시스템 등이 마감된 에지를 갖는 제직된 물품을 형성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명령의 세트는 마감 장치가 제직된 물품을 마감하여 원하는 결과를 생성하는 위치를 식별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명령은 네트워크 접속(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하는 논리 유닛(114) 및/또는 원격 컴퓨팅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논리 유닛(114)에 추가하여, 마감 장치의 마감 메커니즘 및 위치설정 메커니즘은 그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메커니즘을 가질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위치설정 메커니즘은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위치설정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구동 시스템을 제어하는 연계된 마이크로제어기를 가질 수도 있다. 유사하게, 마감 메커니즘은 마감기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는 연계된 마이크로제어기를 또한 가질 수도 있다. 마감 메커니즘 마이크로제어기는 마감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가 결합된 것을 보장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논리 유닛, 마이크로제어기 및 다른 구성 요소의 조합이 직접적인 인간 개입 없이, 내부 에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에지를 마감하도록 협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마감 장치(116, 118)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그 결과는 제직된 패널(124)의 제2 에지(122)와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 제직된 패널(124)의 제1 에지(120)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마감 장치(116) 및 마감 장치(118)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위치설정 메커니즘을 각각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 결과, 각각의 마감 장치는 요구될 때, 다른 하나와 직접 상관하지 않는 측방향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제직된 패널(206)의 내부 부분에 위치된 복수의 마감 장치를 갖는 직기(2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직기(200)는 본질적으로 예시적이고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의 특정 양태를 예시하는 데 사용된다. 직기(200)는 임의의 유형의 제직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기(200)는 단일의 또는 다수의 빔 직기, 자카드 직기, 도비 직기 및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직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직기(200)는 경사 스레드(212)의 세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는 빔(210)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용어 "스레드"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고, 대신에 본 상세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다. 직기(200)는 직기(200)의 프레임에 장착된 지지 빔(214)을 또한 포함한다. 제1 세트의 마감 장치(216)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8)는 지지 빔(214)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는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스크류 드라이브 또는 롤러를 통해 지지 빔(214)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는 지지 빔(214)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어 마감 장치(216, 218)의 기능적 양태가 위사 스레드 또는 경사 스레드의 방향으로 교대로 정렬될 수도 있게 된다. 대안적으로, 제1 세트의 마감 장치(216)의 하나의 마감 장치는 위사 스레드의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배향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턱커), 제1 세트의 마감 장치(216)의 제2 마감 장치는 경사 스레드의 방향에서 작동하도록 배향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레노 트위스트), 동일한 것이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8)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제1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는 사용중이 아닐 때 피벗되어 치워지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예시적인 구성에서,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는 제1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거나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가동 아암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세트의 마감 장치(216)는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8)에 독립적으로 작동되고 이동될 수도 있다. 단지 2개의 세트의 마감 장치만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세트의 마감 장치가 제직된 제품을 생성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직기(200)가 제직된 패널(226)을 제직할 때에, 제1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는 경사 및/또는 위사 스레드를 절단하고 마감하여 제직된 패널(226) 내에 개구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직기(200)가 제직된 패널(226)을 제직할 때에, 마감 장치(216, 218)는 제직된 패널(226)의 위사를 따라 측방향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마감 장치(216, 218)는 직면하게 되는 위사 스레드 및 임의의 경사 스레드(212)를 절단하고 동시에 스레드들의 절단된 에지들을 마감한다. 절단된 재료는 도 1과 관련하여 상기에 개략 설명된 임의의 방법[턱킹(tucking), 레노 경사 꼬임, 신징, 소결 등]에 의해 마감될 수도 있다.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는 제직된 패널(226)과 관련하여 마감 장치(216, 218)의 측방향 이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연계된 시각적 및/또는 광학 시스템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위사 스레드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연속성의 목적으로 경사 스레드를 유지하면서 절단되고 마감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2는 제1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에 의해 동시에 생성되는 2개의 개구(220, 222)를 도시하고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220, 222)는 경사 스레드(212)의 방향에서 그리고 위사 스레드의 방향에서 마감된다. 도 2는 제직 프로세스에서 조기의 시점에 생성되었던 부가의 개구(224)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개구(224)는 일 세트의 마감 장치(216 또는 218)에 의해 생성되었고, 따라서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 마감 장치(들)와 연계된 또는 독립적인 절단 메커니즘은 (임의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내부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이들 스레드를 종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감 장치(216, 216)는 예를 들어 개구(220)의 내부 부분을 형성하는 위사 스레드 및 경사 스레드를 절단하고 마감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예에서, 마감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위사가, 종결될 수도 있는 경사를 가로질러 연장할 제직된 물품의 쉐드(shed) 내에 삽입 완료될 때까지 개구(220)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에 의해 논리 유닛(228)에 프로그램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논리 유닛(228)은 패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패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에 명령할 수도 있다. 또한, 논리 유닛(228)은 또한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의 시각 및/또는 광학 시스템에 프로그램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논리 유닛(228)은 시각 및/또는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들 입력에 기초하여, 패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된 거리로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에 명령할 수도 있다. 패턴 프로그램에 따라 제직된 패널(226)을 제직하고 마감하는 것은 패널이 제직된 후에 개구를 수동으로 생성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은 유기적으로 성형된 패턴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이한 패널의 제직 및 마감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된 마감 장치들[즉, 마감 장치(116, 118) 및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마감 장치(216, 218)]는 다수의 패널 제직 능력을 갖는 직기 상에 사용될 수도 있다. 다수의 패널을 동시에 제직하는 동안, 마감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패널의 내부 부분 내에 개구를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패널의 각각 상에 측방향 가장자리를 생성할 수도 있다. 개구의 에지들 및 측방향 가장자리들은 마감 장치에 의해 마감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개구의 에지들은 하나 이상의 채널 또는 포켓을 생성하기 위해 개구를 갖는 패널 위 또는 아래에 있는 대응 패널(들)에 제직될 수도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이러한 양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도 3은 전술된 마감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제직된 제품(300)의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직된 제품은 일련의 경사 스레드(312) 및 일련의 위사 스레드(314)를 포함한다. 도 1의 마감 장치(116, 118)와 같은 측방향 마감 장치가 제직된 제품(300)의 측방향 에지(316, 318)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측방향 에지(316, 318)는 유기적 성형되거나 기하학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측방향 마감 장치는 턱커, 레노 경사 트위스터, 신징 장치, 소결 레이저 등을 사용하여 측방향 에지(316, 318)를 마감할 수도 있다.
개구(320)는 도 2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하나의 내부 마감 장치 또는 다수 세트의 내부 마감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개구(320)는 코딩(cording) 또는 웨빙(webbing)이 통과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개구를 생성하도록 중간 크기로 설정된 메시형 패턴을 생성하도록 작을 수도 있고, 또는 이들 개구는 클 수 있어 패턴 부분이 분리되고 연결되게 한다. 개구(320)의 에지들은 마감될 수도 있다. 개구(320)의 에지들은 제직된 제품(300)의 위아래에 위치된 제직된 패널 내의 개구의 에지에 제직될 수도 있다. 상하로 적층된 다수의 개구를 함께 제직하는 것은 제직된 제품(300)을 통해 채널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제직된 제품(300)은 하나 이상의 세트의 마감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는 부가의 개구(322)를 또한 포함한다. 개구(322)의 에지는 제직된 제품(300) 내에 포켓을 생성하기 위해 개구(322) 위아래에서 패널에 제직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개구(322)의 에지의 부분은 접근 가능한 포켓을 생성하기 위해 개구(322) 아래에서 패널에 제직될 수도 있다.
또한, 경사 스레드 분리기는 마감 장치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경사 스레드 분리기는 내부 개구의 측방향 에지를 결국에는 형성하게 될 2개의 경사 스레드 사이에 삽입된 웨지형 구조체일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위사 스레드의 마감 전에(또는 동시에) 2개의 전통적으로 평행한 경사 스레드를 강제로 분리함으로써, 제직된 물품의 경사 길이 전체에 걸쳐 경사 스레드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분리된 경사 스레드 주위에 위사 스레드를 마감하는 것은 비평행한 배향에 있을 수도 있는 원하는 위치에 분리된 경사 스레드를 유지하는 것이 고려된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일련의 마감 장치가 원하는 개구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레노 경사 트위스터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꼬인 경사에서의 복수의 경사 스레드를 마감할 수도 있다. 일단 레노 경사 트위스터가 경사를 꼬이게 하면,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꼬인 경사 사이의 위사를 절단하고 적절한 꼬인 경사에 대해 각각의 새로운 위사를 턱킹하도록 진행하는 다른 마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경사 분리기는 위사의 턱킹이 발생함에 따라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꼬인 경사 그룹을 분리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무허브 레노 경사 트위스터가 하나 이상의 내부(최측방향 경사 스레드의 중앙) 경사 스레드 상에 위치된 것으로서 고려된다. 본 예에서, 개구가 제직된 물품의 내부 위치에서 요구될 때, 무허브 레노 경사 트위스터는 개구의 측방향에 위치된 대응 경사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마감 장치는 꼬인 경사 그룹들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기능하는 턱커 및 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복수의 마감 장치 및 자카드 장치를 갖는 직기(40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직기(400)는 복수의 경사 스레드[예를 들어, 경사 스레드(410, 412)]를 갖고 구성된 경사 빔으로 구성된다. 경사 스레드는 자카드 니들(424)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위 또는 하위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본 예시에서, 단지 이들 자카드 니들만이 상위 위치에 경사를 유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심지어 하위 위치에서 이들 경사들도 또한 자카드 니들과 연계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직기(400)는 제1 마감 장치(416) 및 제2 마감 장치(418)를 구비한다. 마감 장치들은 위치설정 메커니즘(414)을 사용하여 동적으로 위치설정 가능하다. 이 예시적인 양태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설정 메커니즘은 스크류 드라이브일 수도 있는 2개의 로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마감 메커니즘(416)은 2개의 로드 중 제1 로드와 능동적으로 결합되고 제2 로드와 수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유사하게, 제2 마감 메커니즘(418)은 2개의 로드 중 제2 로드와 능동적으로 결합되고, 제1 로드와 수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로드와 능동적으로 결합될 때, 로드는 마감 장치를 측방향으로(또는 피벗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기능한다. 수동적으로 결합될 때, 마감 메커니즘은 로드에 의해 지지되지 않지만 그 로드에 의해 능동적으로 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직된 물품(426)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위사 스레드와 교직하지 않는 경사 스레드는 위사 로더(loader)(422)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은 위사 스레드가 경사 스레드 내에 삽입될 때 하강 위치(또는 임의의 위치)에 잔류될 수도 있다. 또한, 위사 스레드와 교직되지 않는 경사 스레드[예를 들어, 경사 스레드(420)]는 일관적인 장력 및 다른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직 프로세스의 길이에 대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위사 스레드와 교직되지 않는 경사 스레드는 후처리 절차에 제직된 물품(426)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교직되지 않은 경사 스레드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직된 물품(426)을 형성할 때 제거될 수도 있다.
도 4의 도시되어 있는 양태에서, 마감 장치(416, 418)는 위사 삽입 장소에 근접하여 위치되지만, 마감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은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경사 마감 장치는 위사 스레드의 삽입에 앞서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위사 마감 장치는 위사 삽입 및 위사 패킹 후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는 제직된 물품의 형성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능한 내부 개구가 하나 이상의 마감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제직된 물품의 내부 부분 내에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기술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내부 개구(502)로 구성된 제직된 물품(500)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개구(502)는 본 예에서, 개구(502) 주계(perimeter)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위사(즉, 충전재) 스레드를 마감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예시에서, 경사 스레드(504) 및 경사 스레드(506)와 같은 일련의 경사 스레드가 제직된 물품(500)을 통해 연장한다. 경사 스레드는 일련의 위사 스레드와 교직된다. 위사 스레드(510)와 같은 위사 스레드의 부분은 제직된 물품의 내부 부분에서 마감된다. 위사 스레드(508)와 같은 다른 위사 스레드가 본 예에서 경사 빔의 길이로 연장한다.
개구(502)는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내부 개구와 교차하게 될 위사 스레드를 마감(예를 들어, 턱킹)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위사(510)는 턱(512)에서 경사(504) 주위로 턱킹된다. 마감은 제직 프로세스 중에(예를 들어, 코움에 의한 패킹에 앞서, 코움에 의한 패킹 후에) 발생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마감은 후처리 절차로서 발생할 수도 있다. 개구(502)는 실질적으로 선형 주계 에지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개구[예를 들어, 도 6의 개구(602)]는 주계 상에 구배 에지를 가질 수도 있다. 임의의 형태의 마감이 경사 및/또는 위사(및 임의의 조합) 상에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스레드는 절첩 및 용접 프로세스, 턱킹 프로세스, 신징 프로세스, 활성화 프로세스(예를 들어, 열 활성화)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마감 기술로 마감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내부 개구(602)로 구성된 제직된 물품(600)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물품(600)은 경사(604, 606)와 같은 복수의 경사로 형성된다. 물품(600)은 또한 위사(608, 610)와 같은 복수의 위사로 형성된다. 개구(602)는 구배 주계(예를 들어, 반원형 외관)를 갖고 형성된다. 이 구배 주계는 위사가 그 위로 연장하는 복수의 위사들 중 어느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성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사(608)는 위사(610)보다 멀리 연장하여, 개구(602)의 점증적 주계를 형성한다. 본 예에서, 경사는 개구(602)를 통해 계속 연장하지만, 개구(602) 내로 연장하는 경사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마감 기술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경사 제거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후속의 위사가 마감될 경사와 교직된 후의 임의의 시점에 발생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내부 개구(702)로 구성된 제직된 물품(700)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내부 개구(702)는 본 예에서 그렇지 않으면 개구의 측면으로 개구를 횡단하게 될 경사 스레드의 견인을 통해 형성된다. 경사 스레드의 견인은 측방향 이동 헤들(heddle), 경사 분리기(전술되어 있음), 및/또는 위사 인장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성취될 수도 있다. 위사 인장 프로세스는 형성될 개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경사를 끌어당기거나 견인하는 측방향 힘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이 힘은 위사가 과잉의 재료 축적을 방지하도록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인가될 수도 있다. 또한, 위사는 마감 프로세스가 적용된 후에(그리고 잠재적으로 코움에 의한 패킹에 앞서) 측방향 에지로부터 견인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가 고려된다.
경사(704, 706)와 같은 복수의 경사를 갖는 가동 경사 개념이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경사들은 위사(708, 710)와 같은 복수의 위사와 교직된다. 위사(708)는 개구(702)의 좌측면에서 마감되고, 위사(710)는 경사(704)에 근접한 개구(702)의 우측면에서 마감된다. 위사들은 그렇지 않으면 오프셋 위치에서 개구(702)를 횡단하게 될 경사들을 유지하여, 경사의 최소 마감부를 갖는 개구(702)의 형성을 허용한다. 본 예에서, 경사들은 마감 프로세스가 완료된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제직된 물품(700)의 길이를 통해 경사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내부 개구(802)로 구성된 제직된 물품(800)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개구(802)는 본 예에서, 그렇지 않으면 개구(802)를 횡단하게 될 경사 중 하나 이상에 일련의 레노 꼬임형 작업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경사(804) 및 경사(806)는 초기에 개구(802)의 대향 측면들로 분기하기 전에 위치(812)에서 꼬여진다. 경사(804, 806)는 이어서 개구(802)의 이격 단부에서 위치(814)서 재차 꼬인다. 꼬인 경사들은 위사(808, 81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마감된 위사와 함께 분리된 위치에 유지된다. 임의의 수의 꼬임이 개구(802) 전에 또는 후에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내부 개구(902)로 구성된 제직된 물품(900)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내부 개구(902)는 본 예에서, 개구(902)의 측방향 주계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꼬인 경사의 쌍을 갖고 형성된다. 예를 들어, 레노 경사 꼬임 프로세스가 경사(904)와 경사(906)에 적용되는 것이 고려된다. 꼬임은 개구(902)의 주계를 따라 연속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양태들은 개구(902)를 형성하도록 마감된 하나 이상의 위사와 함께 꼬임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꼬임 프로세스는 제직 프로세스 중에 임의의 지점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직된 물품의 길이를 따라 계속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 고려된다. 달리 말하면, 2개 이상의 경사의 꼬임은 임의의 위사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임의의 위사에서 종료할 수도 있다. 개구의 제1 측면은 위사(908)의 종료부로 형성되고, 개구의 제2 측면은 위사(910)의 종료부로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내부 개구(1002)로 구성된 제직된 물품(1000)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개구(1002)는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개구(1002)는 분리된 2개 이상의 꼬인 경사를 갖고 형성되고, 이들 경사는 위사(1008)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위사와 함께 분리된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메커니즘이 이들의 정렬된 위치로부터 오프셋 위치로 경사 스레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경사 분리기, 측방향 가동 헤들 및/또는 위사 장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개구(1002)를 생성하는 오프셋 위치로 하나 이상의 경사를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개구는 임의의 형상의 주계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방향에서 다양한 반경을 갖는 다수의 곡선(예를 들어, 상이한 치수의 오목 및 볼록 배향 곡선)이 주계의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양태에서, 레노 경사 꼬임이 주계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대안적인 기술이 주계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2개의 층(1102, 1104)으로 구성된 제직된 물품(1100)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층(1102)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방식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반면 제2 층(1104)은 제1 층(1102)으로부터 편위하여 채널 또는 포켓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1108)는 제1 층(1102)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제2 경사(1106)가 하향 견인되어 제2 층(1104)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 2층 접근법은 재료(예를 들어, 웨빙, 스레드, 얀, 클립 등)가 통과할 수도 있는 채널을 허용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위사는 채널의 일 단부에서 제1 층으로부터 제2 층으로 연장할 수도 있어 포켓형 봉입체를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포켓형 봉입체의 개방 단부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기술로 마감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사(1112)가 하나 이상의 경사와 교직되어 제1 층(1102)을 형성한다. 위사(1110)는 하나 이상의 경사와 교직되어 제2 층(1104)을 형성한다. 위사(1112)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직될 수도 있지만, 경사(1110)는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서 마감되어 포켓 또는 채널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자카드형 기계는 제1 및 제2 층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경사를 상승하고 하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기술들이 다층 제직된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고려된다.
본 발명의 모든 관점에서 한정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특정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대안 실시예들이 그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특정 특징 및 서브조합이 실용성을 갖고, 다른 특징 및 서브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채용될 수도 있고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고려된다.

Claims (10)

  1. 제1 개수의 경사 스레드(warp thread)를 갖는 제1 빔; 및
    제2 개수의 경사 스레드를 갖는 제2 빔
    을 포함하고,
    경사 스레드의 제1 개수는 경사 스레드의 제2 개수보다 크고, 제1 개수의 경사 스레드의 각 경사 스레드는 제2 개수의 경사 스레드의 각 경사 스레드보다 작은 데니어를 갖는 것인 제직(weaving) 장치로서,
    경사 스레드의 제1 개수 및 경사 스레드의 제2 개수에 맞춰진 비터(beater)를 포함하고, 비터는 소형의 덴트(dent)들과 대형의 덴트들로 이루어지고, 대형의 덴트들 각각 사이에 소형의 덴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위치설정 가능한 헤들(heddle)을 더 포함하는 제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위치설정 가능한 헤들은 자카드(Jacquard) 장치인 것인 제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논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제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빔은, 제2 빔 상에 유지되는 경사 스레드보다 작은 데니어를 갖는 경사 스레드로 이루어지는 것인 제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위사 로더(weft loader)를 더 포함하고, 위사 로더는 제1 개수의 경사 스레드와 함께 제1 위사 재료를 그리고 제2 개수의 경사 스레드와 함께 제2 위사 재료를 로딩하도록 기능하는 것인 제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1 빔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경사 스레드는, 타이형 연결부들을 생성하는 제2 빔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경사 스레드와도 또한 교직(interweave)되는 위사 스레드와 교직되는 것인 제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 장치는 개별적으로 위치설정 가능한 헤들 및 논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별적으로 위치설정 가능한 헤들은 자카드 장치이고,
    상기 논리 유닛은 상기 자카드 장치에게 최종 물품의 규정된 위치에서 타이형 연결부를 삽입할 것을 명령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제직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47023384A 2012-01-24 2013-01-24 다층 제직 KR101932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0183P 2012-01-24 2012-01-24
US61/590,183 2012-01-24
PCT/US2013/022936 WO2013112712A1 (en) 2012-01-24 2013-01-24 Multiple layer wea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061A KR20140114061A (ko) 2014-09-25
KR101932313B1 true KR101932313B1 (ko) 2018-12-24

Family

ID=4879625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514A KR20140112571A (ko) 2012-01-24 2013-01-24 반응성 재료를 사용하는 제직
KR1020147023517A KR101954481B1 (ko) 2012-01-24 2013-01-24 3차원 제직 시스템
KR1020147023384A KR101932313B1 (ko) 2012-01-24 2013-01-24 다층 제직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514A KR20140112571A (ko) 2012-01-24 2013-01-24 반응성 재료를 사용하는 제직
KR1020147023517A KR101954481B1 (ko) 2012-01-24 2013-01-24 3차원 제직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130189890A1 (ko)
EP (3) EP2807300A4 (ko)
KR (3) KR20140112571A (ko)
CN (3) CN104126038A (ko)
WO (3) WO2013112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235B2 (en) 2000-03-10 2006-09-12 Lyden Robert M Method of conducting business including making and selling a custom article of footwear
WO2013112684A1 (en) * 2012-01-24 2013-08-01 Nike International Ltd. Intermittent weaving splicer
DE102013108372B4 (de) * 2013-08-02 2020-03-12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Geweb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9328435B2 (en) * 2013-11-08 2016-05-03 Deertex, Inc. Functional weaving vamp fabric
LU92850B1 (en) * 2014-02-18 2016-02-15 Kordsa Global Endustriyel Iplik Ve Kord Bezi Sanay Re-weaving machine and re-woven tire cord fabric
US10182619B2 (en) 2014-02-21 2019-01-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woven or non-woven textile with durable water repellant properties
US10143260B2 (en) * 2014-02-21 2018-12-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durable water repellant properties
JP6562952B2 (ja) 2014-05-09 2019-08-21 ザ ノース フェイス アパレル コーポレイションThe North Face Apparel Corp. 複数のゾーンの単一の織られた生地構築体
DE102014112476A1 (de) * 2014-08-29 2016-03-03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Textilstruktu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extilstruktur
TWM493278U (zh) * 2014-10-21 2015-01-11 Deertex Inc 具有透氣耐磨梭織鞋面之鞋類組件
DE102014222654B4 (de) * 2014-11-06 2022-08-25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Sicherheitsgurteinrichtung
KR102006494B1 (ko) * 2015-02-20 2019-08-01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초임계 유체 롤형 또는 스풀 재료의 마감 처리
US10392731B2 (en) 2015-03-29 2019-08-27 unspu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woven textile products
EP4365340A2 (en) * 2015-03-31 2024-05-08 adidas AG Sole for sports shoes
US10182656B2 (en) 2015-04-13 2019-01-22 Steelcase Inc. Seating components with laminated bonding material
KR101557130B1 (ko) * 2015-04-24 2015-10-02 송수복 이종 조직 직물 직조용 직기,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신발갑피 및 신발
JP2017518443A (ja) 2015-04-30 2017-07-06 ザ ノース フェイス アパレル コーポレイションThe North Face Apparel Corp. 断熱充填材料のためのバッフル構築体
US9756901B2 (en) 2015-07-07 2017-09-12 Adidas Ag Articles of footwear comprising a leno woven upp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6678750B2 (ja) * 2016-01-12 2020-04-08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多層織物要素
KR102505812B1 (ko) * 2016-05-16 2023-03-06 조지아 테크 리서치 코오포레이션 직물 복합 재료의 연속 제조 시스템 및 방법
USD841340S1 (en) * 2016-06-13 2019-02-26 Herman Miller, Inc. Suspension textile sheet
USD832017S1 (en) 2016-06-13 2018-10-30 Herman Miller, Inc. Chair component
US10349702B2 (en) 2016-09-09 2019-07-16 Nike, Inc. Knitting of multiple uppers on a machine
US20180135213A1 (en) * 2016-11-11 2018-05-17 Nike, Inc. Woven footwear upper
CN107164872B (zh) * 2017-07-25 2018-09-21 范兴全 一种短丝无限编织机
US10499707B2 (en) 2017-10-18 2019-12-10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eno woven upper with a bladder component
US10743608B2 (en) 2017-12-28 2020-08-18 Under Armour, Inc. Fiber reinforced plate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US10609986B2 (en) 2018-03-23 2020-04-07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eno woven upper with stretch zones
USD888479S1 (en) 2018-06-04 2020-06-30 Steelcase Inc. Chair arm
USD891842S1 (en) 2018-06-04 2020-08-04 Steelcase Inc. Chair arm
US11913143B2 (en) * 2019-03-08 2024-02-27 Apple Inc. Fabric with electrical components
FR3100253B1 (fr) * 2019-08-26 2021-07-30 Safran Aircraft Engines Installation de tissage permettant la determination du nombre de filaments dans un toron
CN111177810B (zh) * 2019-12-31 2021-11-09 南京玻璃纤维研究设计院有限公司 预制体的纹织图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39853B1 (ko) * 2020-09-23 2021-04-13 진성언 마스크 제조장치용 랍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3149A (en) 1961-09-25 1964-08-04 Deering Milliken Res Corp Oscillatable reed structure
US20010013377A1 (en) * 2000-02-02 2001-08-16 Adnan Wahhoud Method and weaving loom for producing a leno ground fabric
JP2003073954A (ja) * 2001-08-30 2003-03-12 Enoichi Kk ジャカード織物及びジャカード織方法
US20110132488A1 (en) 2009-12-04 2011-06-09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Weaving machines and 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Family Cites Families (1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3042A (ko)
GB190917435A (en) 1909-07-27 1910-05-19 Edgar Rhodes An Improved Pneumatic Picking-mechanism for Actuating and Checking the Shuttles of Weaving Looms.
US1227716A (en) 1912-08-10 1917-05-29 Max Wenzel Process of piecing warp-threads.
US2294368A (en) * 1940-09-25 1942-09-01 American Steel & Wire Co Reed for looms
GB548423A (en) 1941-04-07 1942-10-09 Cook & Co Manchester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for joining pieces of yarn
US2673577A (en) 1953-01-12 1954-03-30 Bates Mfg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pertured fabric
US2835277A (en) * 1953-06-04 1958-05-20 Bigelow Sanford Carpet Co Method and apparatus for weaving loop pile fabrics
BE530685A (ko) * 1953-07-27
US3161941A (en) 1960-11-28 1964-12-22 Benninger Ag Maschf Method of uniting warps
FR1376400A (fr) 1963-12-05 1964-10-23 Dispositif automatique de commande d'effacement des pointes chauffantes montées sur métiers à tisser et destinées à déjumeler les tissus thermo-fusibles
GB1030484A (en) 1966-05-12 1966-05-25 Francis Edwin Fis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edge-sealing of thermoplastic woven fabrics
CH486583A (de) 1969-01-23 1970-02-28 Fischer Ag Georg Vorrichtung zur Bildung einer Gewebekante mit eingelegten Schussfadenenden an einer Webmaschine
FR2044917A5 (ko) 1969-02-28 1971-02-26 Pretnar Jozef
CH499644A (de) 1969-11-21 1970-11-30 Fischer Ag Brugg Georg Schussgarnschneidvorrichtung an einer Webmaschine
GB1401051A (en) 1971-06-21 1975-07-16 Somet Soc Mec Tessile Cutting device for looms
US3751981A (en) 1971-11-15 1973-08-14 Celanese Corp Yarn measuring and yarn feeding therefor
US3779289A (en) 1972-02-08 1973-12-18 Lupton Brothers Ltd Loom temple weft cutter
US3796032A (en) 1972-12-08 1974-03-12 Celanese Corp Automatic yarn feed apparatus
US3879824A (en) 1973-01-24 1975-04-29 Kazuo Mizuno Warp tying machine
IT1010264B (it) 1974-04-30 1977-01-10 Nuovo Pignone Spa Dispositivo perfezionato di taglio della trama in un telaio senza na vetta ad alimentazione continua
US3916956A (en) 1974-12-10 1975-11-04 Joan Fabrics Corp Needle loom for weaving plush fabric
JPS5310966U (ko) 1976-06-25 1978-01-30
US4046172A (en) 1977-01-03 1977-09-06 Russell Carolyn G Weaving device
NL7811819A (nl) * 1978-12-04 1980-06-06 Hollandse Signaalapparaten Bv Werkwijze voor het verdichten van weefsels en het vol- gens die werkwijze verkregen weefsel.
US4352380A (en) 1980-07-22 1982-10-05 Fieldcrest Mills, Inc. Decorative sheeting fabric
CH669801A5 (ko) 1986-02-28 1989-04-14 Starlinger Huemer F X
FR2497240A1 (fr) 1980-12-30 1982-07-02 Saurer Diederichs Sa Dispositif a buse mobile pour insertion pneumatique de la trame sur une machine a tisser sans navette
JPS58104247A (ja) 1981-12-11 1983-06-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不良緯糸処理方法
JPS5933785U (ja) 1982-08-24 1984-03-02 敷島紡績株式会社 布耳端切れ防止カツタ−ガイド
IT1153886B (it) 1982-12-23 1987-01-21 Nuovo Pignone Spa Procedimento e relativo dispositivo per la formazione di una comossa rientrata, particolarmente adatto ai telai per spugna
JPS6088145A (ja) 1983-10-19 1985-05-17 村田機械株式会社 糸の処理システム
DE3438265C2 (de) 1983-10-19 1986-11-06 Murata Kikai K.K., Kyoto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Effektfadens
US4693771A (en) 1983-11-28 1987-09-15 Springs Industries, Inc. Woven textile fabric having an ultrasonically cut and sealed edge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4534819A (en) 1983-11-28 1985-08-13 Springs Industries, Inc. Woven textile fabric having an ultrasonically cut and sealed edge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S60171975A (ja) 1984-02-16 1985-09-05 Murata Mach Ltd 流体式糸継装置
US4546802A (en) 1984-06-04 1985-10-15 Burlington Industries, Inc. Automatic failure sensor for hot wire cutters
US4589361A (en) 1984-09-28 1986-05-20 Cannon Mill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uiding, trimming, splitting and side hemming continuous textile material
US4688606A (en) 1985-02-07 1987-08-25 Tsudakoma Corporation Improper weft removing device for shuttleless looms
CH668277A5 (de) 1985-06-26 1988-12-15 Zellweger Uster Ag Ueberwachungsvorrichtung fuer doppelfaeden an webkettenknuepfmaschinen.
US4781221A (en) 1985-06-29 1988-11-01 Nissan Motor Co., Ltd. Mispicked weft yarn remov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FR2592402B1 (fr) 1985-12-31 1988-03-18 Alsacienne Constr Mat Tex Procede et dispositif pour l'insertion des fils de trame (duites) dans la foule d'un metier a tisser.
DE3607206C2 (de) 1986-03-05 1996-10-31 Schlafhorst & Co W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pleißverbindung
EP0255737B1 (en) 1986-07-08 1990-08-08 Picanol N.V. Method and device to facilitate the repair of warp thread in weaving looms with droppers
DE3629735A1 (de) 1986-09-01 1988-03-03 Gregor Gebald Verfahren zum anschliessen des fadenanfangs einer vorratsspule an das ende eines laufenden fadens
DE3703638C1 (de) 1987-02-06 1988-05-19 Dornier Gmbh Lindauer Schussfadenabschneidevorrichtung
BE1000369A4 (nl) 1987-03-09 1988-11-08 Picanol Nv Werkwijze voor het bevelen van een snijinrichting voor inslagdraden bij weefmachines en snijinrichting hiertoe aangewend.
BE1000599A4 (nl) 1987-05-20 1989-02-14 Picanol Nv Werkwijze om te weven en weefmachine die deze werkwijze toepast.
JPH0523591Y2 (ko) 1987-05-29 1993-06-16
JPS646142A (en) * 1987-06-22 1989-01-10 Fuji Kinuorimono Kk Kasuri textile
BE1000903A4 (nl) 1987-09-02 1989-05-09 Picanol Nv Kanteninlagapparaat voor weefmachines.
US4957144A (en) 1987-12-28 1990-09-18 Nissan Motor Co., Ltd. Tack-in system of shuttleless loom
BE1001819A3 (nl) 1988-06-17 1990-03-13 Picanol N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de toevoer van inslagdraden bij weefmachines.
US5079908A (en) 1988-08-27 1992-01-14 Hans Stahlecker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a yarn piecing operation at a spinning point of a spinning machine
DE3915085C2 (de) * 1989-05-09 1998-05-07 Buesgen Wilhelm Alexander Dr I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dreidimensionalen Gewebes
DE3925893A1 (de) * 1989-08-04 1991-02-07 Kufner Textilwerke Gmbh Vollsynthetische heisssiegelfaehige hemdeinlage
DE3926525A1 (de) 1989-08-10 1991-02-14 Dornier Gmbh Lindauer Luftwebmaschine mit einem webblatt und im webblatt angeordnetem schusseintragskanal
EP0421511A1 (en) 1989-10-04 1991-04-10 Picanol N.V.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weft threads to the shed in airjet weaving machines
JP2762132B2 (ja) 1989-10-04 1998-06-04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レピア織機用のよこ入れ装置
DE59007503D1 (de) 1989-11-10 1994-11-24 Rueti Ag Maschf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inziehen eines Kettfadens in eine Webmaschine, insbesondere in ein Webblatt.
DE4000856A1 (de) 1990-01-13 1991-07-18 Dornier Gmbh Lindauer Schussseitig angeordnete fadenschneidevorrichtung einer luftwebmaschine
BE1003689A3 (nl) 1990-02-22 1992-05-19 Picanol Nv Apparaat voor het verbinden van draden en inrichting voor het toevoeren van inslagdraden bij weefmachines die dit apparaat toepast.
DE4008640A1 (de) 1990-03-17 1991-09-19 Stahlecker Gmbh Wilhelm Spleiss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faeden
IT1242989B (it) 1990-08-29 1994-05-23 Vamatex Spa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la formazione della cimossa in telai senza navette
BE1004960A3 (nl) * 1991-06-26 1993-03-02 Picanol Nv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een gaap bij weefmachines.
IT1251849B (it) 1991-09-23 1995-05-26 Somet Soc Mec Tessile Metodo per la formazione della cimossa rientrata in telai senza navetta ed in particolare in telai ad aria e dispositivo per realizzare tale metodo
DE4209686C2 (de) 1992-03-25 1995-02-02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insbesondere knotenfreien Gewebe auf Luftdüsenwebmaschinen
BE1008211A5 (nl) 1993-07-29 1996-02-13 Wiele Michel Van De Nv Inrichting voor het positioneren van een inslagschaar op een weefmachine.
US5375627A (en) * 1993-09-08 1994-12-27 Howa Machinery, Ltd. Method and weaving machine for producing multi-axial fabric
CN1087146A (zh) 1993-10-14 1994-05-25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编织三维整体结构物的方法和装置
IT1269801B (it) 1994-05-20 1997-04-15 Nuovo Pignone Spa Tagliatrama perfezionato per telaio ad aria
JP3366490B2 (ja) * 1994-07-05 2003-01-1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DE4443899C1 (de) 1994-12-09 1995-11-23 Dornier Gmbh Lindauer Webmaschine mit einer Kombination aus Schneidvorrichtung und Einleger
IT1275947B1 (it) 1995-03-21 1997-10-24 Mesdan Spa Apparecchio per la giunzione pneumatica di fili o filati da installare su macchine tessili in particolare su roccatrici
DE59607707D1 (de) 1995-06-28 2001-10-25 Dornier Gmbh Lindauer Kombinierte Schussfadenklemm- und -schneideinrichtung für Luftdüsenwebmaschinen
DE19545839C1 (de) 1995-12-08 1996-08-29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und Webmaschine zur Handhabung eines Schußfadens
EP1520918B1 (en) * 1996-05-14 2006-12-06 Toray Industries, Inc. Spontaneously degradable fibers
US6155306A (en) * 1996-09-25 2000-12-05 Shozo Katsukura Bulletproof woven fabri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weaving same
DE19640184B4 (de) 1996-09-30 2005-10-13 Saurer Gmbh & Co. Kg Verfahren zum Ausreinigen von Garnfehlern an einer Spulstelle einer Spulmaschine
DE19705986A1 (de) * 1997-02-17 1998-08-20 Eibofner Sabine Dipl Ing Fh Webteppich und/od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ebteppichs
DE19712037C2 (de) * 1997-03-21 2000-11-02 Inst Textil & Faser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llen Einrichten oder Umrüsten einer Webmaschine
US6223779B1 (en) 1997-04-09 2001-05-01 Textilma Ag Auxiliary selvage forming and weft thread cutting device
AU7296398A (en) 1997-05-11 1998-12-08 B.F. Goodrich Company, The Seatbelt system having seamless inflatable member
DE19720634C1 (de) 1997-05-16 1998-10-01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zum Bilden einer Gewebe- und Fangleiste bei der Herstellung eines Gewebes auf Webmaschin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1125454A (ja) 1997-06-30 1999-01-29 Hoya Corp 情報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EP0898001A3 (en) 1997-08-04 1999-12-08 GIVIDI-Italia S.p.A. Method of cutting the selvedge
ATE217915T1 (de) 1997-09-11 2002-06-15 Dornier Gmbh Lindauer Steuerbare schussfadenzubringer- und - klemmvorrichtung und vorrichtungsanordnung zum minimieren des schussfadenabfalles bei der gewebeherstellung auf webmaschinen, insbesondere auf greiferwebmaschinen
US6039086A (en) 1997-10-02 2000-03-21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Separating weft thread waste of a single uncontaminated material from untwisted leno binding threads in trimmed catch selvages
IT1295281B1 (it) 1997-10-06 1999-05-04 Somet Soc Mec Tessile Dispositivo di taglio del filo di trama in telai di tessitura ad aria
JP3919327B2 (ja) * 1998-03-12 2007-05-23 有限会社ナオキ 立体模様織物の製織方法及び織物機械
GB2355729A (en) * 1998-03-24 2001-05-02 Nano Tex Llc Modified textile and other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ITMI981316A1 (it) 1998-06-10 1999-12-10 Mesdan Spa Apparecchio per la giunzine pneumatica di fili e filiati da installare su macchine tessili in particoalre su roccatrici automatiche
US6467314B1 (en) 1999-02-09 2002-10-22 Memminger-Iro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threads in textile machine
US6321796B1 (en) 1999-09-08 2001-11-27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Tuck-in apparatus for shuttleless loom
DE19955674A1 (de) 1999-11-19 2001-05-23 Schlafhorst & Co W Anspinnvorrichtung mit einer Auswerteeinrichtung zur Ermittlung von Parametern eines automatischen Anspinnvorgangs
US6548429B2 (en) * 2000-03-01 2003-04-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icomponent effect yarns and fabrics thereof
US20040016093A1 (en) 2000-03-02 2004-01-29 Christoph Lueneburger Package of stran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061052A (ja) 2000-08-10 2002-02-28 Tsudakoma Corp タックイン装置
DE10040652A1 (de) 2000-08-19 2002-02-28 Bernd Lagemann Vorrichtung zum Schneiden einer textilen Bahn
US6742547B2 (en) 2000-09-20 2004-06-01 Bally Ribbon Mills Three-dimensional woven forms with integral bias fibers and bias weaving loom
BE1013733A3 (nl) 2000-10-03 2002-07-02 T Sas Fran Ois Inrichting voor het automatisch wisselen van draadvormige materialen in een draadverwerkende machine.
US6418974B1 (en) * 2001-01-12 2002-07-16 Si Corporation Woven fabric using three dimensional and flat weave in combination, related methods and filter element
DE10115891A1 (de) 2001-03-30 2003-05-22 Berger Seiba Technotex Verwaltungs Gmbh & Co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weben
US7285240B2 (en) 2001-10-01 2007-10-23 Polymer Group, Inc. Method of forming three-dimensional woven textile fabrics with contrasting aesthetic presentation
TW200300185A (en) * 2001-11-07 2003-05-16 Procter & Gamble Textured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extured materials
US6835679B2 (en) 2001-12-27 2004-12-28 Continuum Dynamics, Inc. Lossy fiber UV curing method and apparatus
DE10202781A1 (de) 2002-01-25 2003-07-31 Schlafhorst & Co W Vorrichtung zum pneumatischen Verbinden von Garnen
ITMI20021500A1 (it) 2002-07-09 2004-01-09 Mesdan Spa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giunzione pneumatica di fili o filati contenenti un elastomero o ad elevata torsione
JP2004068164A (ja) * 2002-08-01 2004-03-04 Tsudakoma Corp 製織用筬
JP2004149968A (ja) 2002-10-31 2004-05-27 Toyota Industries Corp 三次元繊維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積層繊維群の周方向繊維束配列装置
JP2004197281A (ja) 2002-12-20 2004-07-15 Tsudakoma Corp 織機の糸端吸引装置
DE10334359B3 (de) 2003-02-21 2005-02-03 Lindauer Dornier Gmbh Webmaschine zum Herstellen eines Gewebes in Leinwand- und Dreherbindung
US7059357B2 (en) * 2003-03-19 2006-06-13 Weavexx Corporation Warp-stitched multilayer papermaker's fabrics
ITMI20031284A1 (it) 2003-06-24 2004-12-25 Cesare Pederzini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tessuti a telaio decorati mediante l'esecuzione di ricami o mediante l'applicazione di elementi decorativi del tipo paillettes, perline, cordonetti, fettucce o simili.
CN1544737A (zh) 2003-11-17 2004-11-10 ���µ���֯��й������޹�˾ 一种弹性织带及其编织方法
BE1015877A3 (nl) 2004-01-30 2005-10-04 Wiele Michel Van De Nv Inrichting voor het doorsnijden van verloren poollusinslagdraden in een weefsel en weefmachine voorzien van dergelijke inrichting.
US20050208857A1 (en) * 2004-03-19 2005-09-22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BE1016008A4 (nl) * 2004-05-07 2006-01-10 Wiele Michel Van De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weven van dubbelzijdig bruikbare weefsels.
WO2006025357A1 (ja) * 2004-09-03 2006-03-0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複合弾性糸、手袋、及びすかし模様を有する伸縮性布帛
WO2006075961A1 (en) * 2005-01-17 2006-07-20 Tape Weaving Swede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weaving tape-like warp and weft and material thereof
CN101120128B (zh) * 2005-01-17 2011-12-14 泰普纺织瑞典有限公司 包括带状经纱和带状纬纱的织物材料
KR200389660Y1 (ko) * 2005-04-29 2005-07-18 한상성 의류용 직물
PT2004892E (pt) * 2005-10-17 2013-06-20 Welspun Uk Ltd Materiais ''hygro'' para utilização no fabrico de fios e de tecidos
JP2008057099A (ja) 2006-08-29 2008-03-13 Mmi-Ipco Llc 感温性スマートテキスタイル
US8389100B2 (en) * 2006-08-29 2013-03-05 Mmi-Ipco, Ll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JP2008112720A (ja) * 2006-10-04 2008-05-15 Shinano Kenshi Co Ltd 導電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113692A1 (de) 2007-03-19 2008-09-25 Amsler Tex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bilderten gewebes
CN201080529Y (zh) * 2007-07-27 2008-07-02 潘中明 纱罗牛仔面料
US7897018B2 (en) * 2007-09-05 2011-03-01 Albany International Corp. Process for producing papermaker's and industrial fabrics
JP5095316B2 (ja) 2007-09-05 2012-12-12 東芝機械株式会社 織機及び織機の駆動装置。
WO2009047044A1 (en) 2007-10-11 2009-04-16 Voith Patent Gmbh Structured papermaking fabric and papermaking machine
JP2009155742A (ja) * 2007-12-25 2009-07-16 Kuwano Shinken Sangyo Kk 縮織物
AU2008351908A1 (en) * 2008-02-28 2009-09-03 Mmt Textiles Limited A material
US8347438B2 (en) 2008-09-29 2013-01-08 Nike, Inc. Footwear uppers and other textile components including reinforced and abutting edge joint seams
EP2175057B1 (en) * 2008-10-09 2011-06-15 SCHÖNHERR Textilmaschinenbau GmbH Auxiliary weft yarns drawing-off device and process, weaving loom equipped with such a device
DE102010034969B3 (de) * 2010-08-20 2011-11-03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ebblatt und Webmaschine zur Webmusterbildung bei Geweben mit Zusatzmustereffekten
US8182550B1 (en) * 2011-05-13 2012-05-22 Al Sorayai Trading & Industrial Group Method of dyeing a woven carpet with yarns of different dye affin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3149A (en) 1961-09-25 1964-08-04 Deering Milliken Res Corp Oscillatable reed structure
US20010013377A1 (en) * 2000-02-02 2001-08-16 Adnan Wahhoud Method and weaving loom for producing a leno ground fabric
JP2003073954A (ja) * 2001-08-30 2003-03-12 Enoichi Kk ジャカード織物及びジャカード織方法
US20110132488A1 (en) 2009-12-04 2011-06-09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Weaving machines and 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7298A1 (en) 2014-12-03
EP2807300A1 (en) 2014-12-03
EP2807297A1 (en) 2014-12-03
US20130190917A1 (en) 2013-07-25
US9416467B2 (en) 2016-08-16
CN104126041B (zh) 2017-10-10
EP2807298A4 (en) 2015-12-02
WO2013112712A1 (en) 2013-08-01
KR20140112571A (ko) 2014-09-23
EP2807298B1 (en) 2019-12-04
EP2807300A4 (en) 2015-12-02
WO2013112714A1 (en) 2013-08-01
CN104126041A (zh) 2014-10-29
CN104169480A (zh) 2014-11-26
US8839824B2 (en) 2014-09-23
KR20140114061A (ko) 2014-09-25
US20130186506A1 (en) 2013-07-25
KR101954481B1 (ko) 2019-03-05
KR20140112572A (ko) 2014-09-23
CN104126038A (zh) 2014-10-29
US20130189890A1 (en) 2013-07-25
EP2807297A4 (en) 2015-12-09
CN104169480B (zh) 2017-09-19
WO2013112717A1 (en)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313B1 (ko) 다층 제직
KR102094952B1 (ko) 다층 직조 요소
US10626526B2 (en) Intermittent weaving splicer
KR101974682B1 (ko) 제직 마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