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884B1 - 공기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884B1
KR101862884B1 KR1020130007276A KR20130007276A KR101862884B1 KR 101862884 B1 KR101862884 B1 KR 101862884B1 KR 1020130007276 A KR1020130007276 A KR 1020130007276A KR 20130007276 A KR20130007276 A KR 20130007276A KR 101862884 B1 KR101862884 B1 KR 10186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enter
shoulder
land por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556A (ko
Inventor
도모유키 구지메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2Tread patterns directional pattern, i.e. with main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11/03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by the void or net-to-gross ratios of th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8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4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3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7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characterised by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72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with particular inclination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60C2011/0383Blind or isolated grooves at the centre of th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88Continuous ribs provided at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93Narrow ribs, i.e. having a rib width of less than 8 mm
    • B60C2011/0395Narrow ribs, i.e. having a rib width of less than 8 mm for linking shoul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배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된 공기 타이어(1)로서, 트레드부(2)에, 내측 센터 주홈(3A), 외측 센터 주홈(3B), 내측 숄더 주홈(3C) 및 외측 숄더 주홈(3D)을 구비함으로써, 센터 랜드부(4A), 내측 미들 랜드부(4B), 외측 미들 랜드부(4C), 내측 숄더 랜드부(4D) 및 외측 숄더 랜드부(4E)로 구분된다. 각 주홈(3A, 3B, 3C, 3D)의 홈폭이 소정의 범위로 한정되고, 외측 숄더 횡홈(6E), 외측 미들 횡홈(6C), 내측 미들 사이프(5B) 및 내측 숄더 횡홈(6D)의 종단 위치가 소정의 범위로 한정된다.

Description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배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홈을 트레드부에 구비한 공기 타이어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주홈은 트레드부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그 홈폭이 커질수록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주홈의 홈폭이 과도하게 커지면, 주행시에 기주공명이 생기기 쉽고, 내노이즈 성능이 악화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트레드부의 랜드비가 작아지면, 트레드부의 강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조종 안정 성능도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주홈의 홈폭의 합계를 소정의 범위로 한정하고, 상기 주홈의 양측에 사이프나 슬롯 등의 절입부가 없는 한 쌍의 리브를 구비한 공기 타이어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공기 타이어는, 트레드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주홈을 사이에 둔 강성이 높은 리브에 의해, 상기 주홈을 통과하는 공기에의 진동 부여를 방지하여 조종 안정성 및 내노이즈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5610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 타이어에서는, 조종 안정성 및 내노이즈 성능을 일부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더 많은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 타이어에서는, 주홈의 양측에 절입부가 없는 한 쌍의 리브가 배치되기 때문에, 배수 성능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 센터 주홈, 외측 센터 주홈 및 내측 숄더 주홈의 홈폭을 소정의 범위로 한정하고, 외측 숄더 횡홈, 외측 미들 횡홈, 내측 미들 사이프 및 내측 숄더 횡홈의 종단 위치를 소정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배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된 공기 타이어로서, 타이어 적도보다 차량 내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센터 주홈, 타이어 적도보다 차량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센터 주홈, 상기 내측 센터 주홈의 차량 내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숄더 주홈 및 상기 외측 센터 주홈의 차량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숄더 주홈을 트레드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내측 센터 주홈과 상기 외측 센터 주홈 사이의 센터 랜드부, 내측 센터 주홈과 상기 내측 숄더 주홈 사이의 내측 미들 랜드부, 상기 외측 센터 주홈과 상기 외측 숄더 주홈 사이의 외측 미들 랜드부, 상기 내측 숄더 주홈과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접지단 사이의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외측 숄더 주홈과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접지단 사이의 외측 숄더 랜드부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 센터 주홈, 상기 외측 센터 주홈 및 상기 내측 숄더 주홈의 홈폭은 10 ㎜ 내지 20 ㎜이고, 상기 외측 숄더 주홈의 홈폭은 2 ㎜ 내지 5 ㎜이며,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는, 상기 외측 접지단보다 차량 외측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외측 숄더 주홈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외측 숄더 횡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미들 랜드부는, 상기 외측 숄더 주홈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외측 미들 랜드부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며, 게다가 상기 외측 센터 주홈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외측 미들 횡홈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 미들 횡홈은 상기 외측 숄더 주홈을 향해 점점 증가하는 깊이를 가지고,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는, 상기 내측 숄더 주홈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고, 게다가 상기 내측 센터 주홈에 도달하지 않으며 종단되는 내측 미들 사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는, 상기 내측 센터 주홈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지 않고 종단되는 내측 미들 횡홈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는, 상기 내측 접지단과 상기 숄더 주홈 사이에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숄더 횡홈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미들 횡홈의 최대 깊이는 상기 외측 미들 횡홈의 최대 깊이 및 상기 내측 숄더 횡홈의 최대 깊이보다 작고, 상기 외측 숄더 횡홈의 최대 깊이는 상기 외측 미들 횡홈의 최대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트레드부의 랜드비는 69% 내지 73%인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내측 미들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한 각도는 120도 내지 155도인 것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내측 미들 횡홈과 상기 내측 미들 사이프는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마련되는 것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센터 랜드부에는, 상기 내측 센터 주홈 및 상기 외측 센터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타이어 적도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센터 사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센터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방향의 피치 길이는 상기 내측 미들 횡홈의 타이어 둘레방향의 피치 길이보다 큰 것인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타이어의 각 부분의 치수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정규 림에 조립되며 정규 내압이 충전된 정규 상태에 있어서 특정되는 값으로 한다.
상기 "정규 림"이란, 타이어가 따르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서,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는 림으로서, 예컨대 JATMA라면 "표준 림", TRA라면 "Design Rim", 혹은 ETRTO라면 "Measuring Rim"을 의미한다.
상기 "정규 내압"이란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공기압으로서, JATMA라면 최고 공기압,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INFLATION PRESSURE"로 하는데, 타이어가 승용차용인 경우에는 일률적으로 180 ㎪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되고, 그 트레드부에는, 타이어 적도보다 차량 내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센터 주홈, 타이어 적도보다 차량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센터 주홈, 내측 센터 주홈의 차량 내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숄더 주홈, 및 외측 센터 주홈의 차량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숄더 주홈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트레드부는, 내측 센터 주홈과 외측 센터 주홈 사이의 센터 랜드부, 내측 센터 주홈과 내측 숄더 주홈 사이의 내측 미들 랜드부, 외측 센터 주홈과 외측 숄더 주홈 사이의 외측 미들 랜드부, 내측 숄더 주홈과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접지단 사이의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외측 숄더 주홈과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접지단 사이의 외측 숄더 랜드부로 구분된다.
상기 내측 센터 주홈, 외측 센터 주홈 및 내측 숄더 주홈의 홈폭은 10 ㎜ 내지 20 ㎜로 설정된다. 이러한 내측 센터 주홈, 외측 센터 주홈 및 내측 숄더 주홈은 그들의 홈폭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트레드부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숄더 주홈의 홈폭은 2 ㎜ 내지 5 ㎜로 설정된다. 이러한 외측 숄더 주홈은, 홈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통과 소음에 크게 영향을 주는 차량 외측에 있어서 기주공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숄더 주홈은, 선회시에 큰 횡력이 생기는 차량 외측의 트레드부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숄더 랜드부는 외측 접지단보다 차량 외측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외측 숄더 주홈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외측 숄더 횡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외측 숄더 횡홈은, 외측 숄더 랜드부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미들 랜드부는, 외측 숄더 주홈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외측 미들 랜드부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고, 게다가 외측 센터 주홈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외측 미들 횡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외측 미들 횡홈은, 외측 미들 랜드부를 타이어 축방향으로 크게 가로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홈폭이 작은 외측 숄더 주홈에 의해 저하되기 쉬운 차량 외측의 배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미들 횡홈은, 외측 미들 랜드부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미들 랜드부는, 내측 숄더 주홈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며, 게다가 내측 센터 주홈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내측 미들 사이프를 구비한다. 이러한 내측 미들 사이프는 내측 미들 랜드부의 강성을 완화시키고, 접지성을 높이면서 에지 성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내측 미들 사이프는, 홈 용적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선회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통과 소음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숄더 랜드부는, 내측 접지단과 숄더 주홈 사이에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숄더 횡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내측 숄더 랜드부는, 내측 숄더 랜드부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타이어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를 도시한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트레드부의 차량 내측의 확대도이다.
도 4는 트레드부의 차량 외측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비교예 2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이하, 간단히 "타이어"라고 할 수 있음)(1)는,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된 좌우 비대칭의 트레드 패턴이 형성된 승용차용 타이어로서 구성된다. 또한,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은, 타이어(1)의 사이드월부 등에 문자(예를 들면 "INSIDE" 및/또는 "OUTSIDE") 등에 의해 명시된다(도시 생략).
상기 타이어(1)의 트레드부(2)에는, 타이어 적도(C)보다 차량 내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센터 주홈(3A), 타이어 적도(C)보다 차량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센터 주홈(3B), 내측 센터 주홈(3A)의 차량 내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숄더 주홈(3C) 및 외측 센터 주홈(3B)의 차량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숄더 주홈(3D)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트레드부(2)는, 내측 센터 주홈(3A)과 외측 센터 주홈(3B) 사이의 센터 랜드부(4A), 내측 센터 주홈(3A)과 내측 숄더 주홈(3C) 사이의 내측 미들 랜드부(4B), 외측 센터 주홈(3B)과 외측 숄더 주홈(3D) 사이의 외측 미들 랜드부(4C), 내측 숄더 주홈(3C)과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접지단(2i) 사이의 내측 숄더 랜드부(4D) 및 외측 숄더 주홈(3D)과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접지단(2o) 사이의 외측 숄더 랜드부(4E)로 구분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지단(2i)" 및 "외측 접지단(2o)"은, 외관상 명료한 에지에 의해 식별할 수 있을 때에는 상기 에지로 하는데,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정규 상태의 타이어(1)에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도로 트레드부(2)를 평면에 접지시켰을 때에 있어서, 가장 차량 내측에서 평면에 접지하는 접지단이 내측 접지단(2i)으로서 정해지고, 가장 차량 외측에서 평면에 접지하는 접지단이 외측 접지단(2o)으로서 정해진다.
상기 "정규 하중"이란, 타이어가 따르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하중으로서, JATMA라면 최대 부하 능력,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LOAD CAPACITY"로 한다.
또한, 트레드부(2)는, 접지면 내에 있어서의 센터 랜드부(4A), 내측 미들 랜드부(4B), 외측 미들 랜드부(4C), 내측 숄더 랜드부(4D) 및 외측 숄더 랜드부(4E)의 트레드면(2s)의 합계 면적(Sb)과, 트레드부(2)의 모든 홈을 메워 얻어지는 트레드 전체 표면적(Sa)의 비로 표시되는 랜드비(Sb/Sa)는 69% 내지 73%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타이어(1)는, 배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홈의 증가에 수반되는 기주공명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드비(Sb/Sa)가 69% 미만이면, 기주공명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랜드비(Sb/Sa)가 73%를 초과하면, 홈의 비율이 과도하게 작아져 배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내측 센터 주홈(3A), 외측 센터 주홈(3B), 내측 숄더 주홈(3C) 및 외측 숄더 주홈(3D)은, 타이어 둘레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트레이트 홈은, 직진시 및 선회시에 있어서 트레드부(2)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주홈(3A, 3B, 3C, 3D)의 각 홈깊이(D1a, D1b, D1c, D1d)는 바람직하게는 6 ㎜ 내지 10 ㎜ 정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센터 주홈(3A), 외측 센터 주홈(3B), 내측 숄더 주홈(3C)은 각 홈폭(W1a, W1b, W1c)이 10 ㎜ 내지 20 ㎜로 설정된다. 한편, 외측 숄더 주홈(3D)의 홈폭(W1d)은 2 ㎜ 내지 5 ㎜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내측 센터 주홈(3A), 외측 센터 주홈(3B), 내측 숄더 주홈(3C)은 각 홈폭(W1a, W1b, W1c)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배수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숄더 주홈(3D)은, 그 홈폭(W1d)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통과 소음에 크게 영향을 주는 차량 외측에 있어서 기주공명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숄더 주홈(3D)은, 선회시에 큰 횡력이 생기는 차량 외측의 트레드부(2)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센터 주홈(3A), 외측 센터 주홈(3B), 내측 숄더 주홈(3C)의 상기 각 홈폭(W1a, W1b, W1c)이 10 ㎜ 미만이면, 배수 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각 홈폭(W1a, W1b, W1c)이 20 ㎜를 초과하면, 내측 센터 주홈(3A), 외측 센터 주홈(3B), 내측 숄더 주홈(3C)의 홈용적이 과도하게 커져, 트레드부(2)의 강성의 저하나 기주공명의 발생을 초래하고, 조종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각 홈폭(W1a, W1b, W1c)은 더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이고,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18 ㎜ 이하이다.
또한, 외측 숄더 주홈(3D)의 상기 홈폭(W1d)이 5 ㎜를 초과하면, 기주공명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홈폭(W1d)이 2 ㎜ 미만이면, 외측 숄더 주홈(3D)의 홈용적이 과도하게 작아져, 배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홈폭(W1d)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또한, 각 주홈(3A 내지 3D)의 각 홈폭(W1a 내지 W1d) 중 외측 센터 주홈(3B)의 홈폭(W1b)이 가장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측 센터 주홈(3B)은, 폭이 좁은 외측 숄더 주홈(3D)에 의해 배수 성능이 저하되기 쉬운 차량 외측에 있어서, 트레드부(2)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 외측 센터 주홈(3B)의 홈폭(W1b)과 내측 센터 주홈(3A)의 홈폭(W1a)의 비(W1b/W1a)는 102% 내지 106%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랜드부(4A)는, 타이어 적도(C) 상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며, 내측 센터 주홈(3A)과 외측 센터 주홈(3B) 사이를 연통하는 횡홈 등이 마련되지 않는 스트레이트 리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센터 랜드부(4A)는, 타이어 둘레방향 강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면서 내측 센터 주홈(3A)과 외측 센터 주홈(3B) 사이에 기주공명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직진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센터 랜드부(4A)의 타이어 축방향의 최대폭(W2a)은, 내측 접지단(2i)과 외측 접지단(2o)의 타이어 축방향 거리인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8% 내지 1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터 랜드부(4A)에는, 내측 센터 주홈(3A) 및 외측 센터 주홈(3B)의 각각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타이어 적도(C)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한 쌍의 센터 사이프(5A, 5A)가 마련된다.
이러한 센터 사이프(5A)는, 센터 랜드부(4A)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완화시켜 접지성을 높이면서 에지 성분을 형성할 수 있고, 초기 응답 성능 및 직진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센터 사이프(5A)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3a)는, 센터 랜드부(4A)의 최대폭(W2a)의 15% 내지 25% 정도이고, 깊이(도시 생략)가 3 ㎜ 내지 6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터 사이프(5A)는,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50도 내지 70도의 각도(α3a)로 경사져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센터 사이프(5A)는 센터 랜드부(4A)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고, 접지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센터 사이프(5A)는, 그 타이어 둘레방향의 피치 길이(P1)가 후술하는 내측 미들 횡홈(6B)의 타이어 둘레방향의 피치 길이(P2)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러한 센터 사이프(5A)는, 센터 랜드부(4A)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선 변경시의 과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 센터 사이프(5A)의 피치 길이(P1)는 내측 미들 횡홈(6B)의 피치 길이(P2)의 150% 내지 250%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치 길이의 비(P1/P2)가 150% 미만이면, 상기 작용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비(P1/P2)가 250%를 초과하면, 센터 랜드부(4A)를 충분히 완화시킬 수 없어, 초기 응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비(P1/P2)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이하이다.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4B)는, 상기 센터 랜드부(4A)와 동일하게 스트레이트 리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측 미들 랜드부(4B)는, 선회시의 횡방향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고, 내측 센터 주홈(3A)과 내측 숄더 주홈(3C)의 사이에서 기주공명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타이어 축방향의 최대폭(W2b)은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8% 내지 1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4B)에는, 내측 숄더 주홈(3C)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미들 사이프(5B)와, 내측 센터 주홈(3A)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내측 미들 횡홈(6B)이 마련된다. 이러한 내측 미들 사이프(5B)와 내측 미들 횡홈(6B)은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내측 미들 사이프(5B)는, 내측 숄더 주홈(3C)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고, 게다가 내측 센터 주홈(3A)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된다.
이러한 내측 미들 사이프(5B)는,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강성을 완화시켜 접지성을 높이면서 에지 성분을 형성할 수 있고,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미들 사이프(5B)는,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3b)가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최대폭(W2b)의 60% 내지 70% 정도이고, 깊이(도시 생략)가 센터 사이프(5A)와 동일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내측 미들 사이프(5B)는, 내측 숄더 주홈(3C)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갈수록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한 각도(α3b)가 매끄럽게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측 미들 사이프(5B)는,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접지성 및 에지 성분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미들 사이프(5B)는, 내측 숄더 주홈(3C)의 공기의 배출을 분산시킬 수 있고, 기주공명을 여기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 상기 각도(α3b)는 120도 내지 15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α3b)가 120도 미만이면, 상기 작용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각도(α3b)가 155도를 초과하면,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되어, 조종 안정 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각도(α3b)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도 이상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도 이하이다.
상기 내측 미들 횡홈(6B)은, 내측 센터 주홈(3A)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지 않고 종단된다. 이러한 내측 미들 횡홈(6B)은,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4B)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미들 횡홈(6B)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4b)는, 내측 미들 랜드부(4B)의 최대폭(W2b)의 15% 내지 25% 정도이고, 홈폭(W4b)이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1% 내지 3% 정도이며, 홈깊이(D4b)(도 2에 도시함)가 3 ㎜ 내지 6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미들 횡홈(6B)은,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50도 내지 70도의 각도(α4b)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측 미들 횡홈(6B)은, 내측 미들 랜드부(4B)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보다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미들 랜드부(4C)는, 내측 미들 랜드부(4B)(도 3에 도시함)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이트 리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측 미들 랜드부(4C)도, 선회시의 횡방향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고, 외측 센터 주홈(3B)과 외측 숄더 주홈(3D)의 사이에서 기주공명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 미들 랜드부(4C)의 타이어 축방향의 최대폭(W2c)은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10% 내지 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미들 랜드부(4C)에는, 외측 숄더 주홈(3D)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외측 미들 랜드부(4C)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며, 게다가 상기 외측 센터 주홈(3B)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외측 미들 횡홈(6C)이 마련된다.
이러한 외측 미들 횡홈(6C)은, 외측 미들 랜드부(4C)를 타이어 축방향으로 크게 가로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폭이 좁은 외측 숄더 주홈(3D)에 의해 저하되기 쉬운 차량 외측의 배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미들 횡홈(6C)은, 외측 미들 랜드부(4C)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 미들 횡홈(6C)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4c)는 외측 미들 랜드부(4C)의 최대폭(W2c)의 55% 내지 65% 정도이고, 홈폭(W4c)이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1% 내지 3% 정도이며, 홈깊이(D4c)(도 2에 도시함)가 2 ㎜ 내지 7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외측 미들 횡홈(6C)은,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50도 내지 70도의 각도(α4c)로 경사져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외측 미들 횡홈(6C)은, 외측 미들 랜드부(4C)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보다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4D)에는, 내측 접지단(2i)과 내측 숄더 주홈(3C)의 사이에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숄더 횡홈(6D)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내측 숄더 랜드부(4D)는, 내측 숄더 횡홈(6D)으로 구분된 복수 개의 내측 숄더 블록(7D)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 숄더 횡홈(6D)은, 내측 접지단(2i)으로부터 내측 숄더 주홈(3C)에 걸쳐,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한 각도(α4d)를 매끄럽게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 숄더 횡홈(6D)은, 내측 숄더 랜드부(4D)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숄더 횡홈(6D)은 상기 각도(α4d)가 50도 내지 90도 정도이고, 그 홈폭(W4d)이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1.5% 내지 3% 정도이며, 홈깊이(D4d)(도 2에 도시함)가 2 ㎜ 내지 7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내측 숄더 횡홈(6D)은, 내측 접지단(2i)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연장되는 광폭부(6Da)와, 이 광폭부(6Da)로부터 내측 숄더 주홈(3C)에 연통되면서 상기 광폭부(6Da)보다 홈폭이 작은 협폭부(6D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협폭부(6Db)에는 홈 바닥을 융기시킨 타이 바(11)(도 2에 도시함)가 마련된다. 이러한 협폭부(6Db) 및 타이 바(11)는, 내측 숄더 블록(7D)의 강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 숄더 블록(7D)은, 타이어 축방향의 폭(W5d)과 둘레방향 길이(L5d)가 대략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숄더 블록(7D)은, 타이어 축방향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숄더 블록(7D)의 상기 폭(W5d) 및 둘레방향 길이(L5d)는,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15% 내지 20% 정도이다.
또한, 내측 숄더 블록(7D)에는, 내측 숄더 주홈(3C)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내측 접지단(2i)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내측 숄더 사이프(5D)가 마련된다. 이 내측 숄더 사이프(5D)는, 내측 숄더 주홈(3C)으로부터 차량 내측에 걸쳐 70도 내지 80도의 각도(α3d)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내측 숄더 사이프(5D)는, 내측 숄더 블록(7D)의 강성을 완화하여 접지성을 높이면서 에지 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숄더 사이프(5D)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3d)는, 내측 숄더 블록(7D)의 상기 폭(W5d)의 75% 내지 85% 정도이고, 깊이(도시 생략)가 센터 사이프(5A)와 동일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4E)는, 외측 미들 랜드부(4C)와 동일한 스트레이트 리브로 이루어져, 조종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 숄더 랜드부(4E)의 타이어 축방향의 최대폭(W2e)은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18% 내지 24%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숄더 랜드부(4E)에는, 외측 접지단(2o)보다 차량 외측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외측 숄더 주홈(3D)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외측 숄더 횡홈(6E)과,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외측 숄더 횡홈(6E)의 차량 내측의 내측 단부(6Ei) 사이를 연결하면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숄더 부홈(8E)이 마련된다.
상기 외측 숄더 횡홈(6E)은, 외측 접지단(2o)으로부터 차량 내측에 걸쳐, 타이어 둘레방향의 각도(α4e)를 매끄럽게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숄더 횡홈(6E)은, 외측 숄더 랜드부(4E)와 노면 사이의 수막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외측 숄더 횡홈(6E)은, 외측 숄더 랜드부(4E)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 외측 숄더 횡홈(6E)은,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4e)가 외측 숄더 랜드부(4E)의 최대폭(W2e)의 65% 내지 75% 정도이고, 홈폭(W4e)이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1.5% 내지 3% 정도이며, 홈깊이(D4e)가 2 ㎜ 내지 7 ㎜ 정도이고, 상기 각도(α4e)가 70도 내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숄더 부홈(8E)은, 타이어 둘레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측 숄더 부홈(8E)은, 폭이 좁은 외측 숄더 주홈(3D)에 의해 저하되기 쉬운 차량 외측에서의 배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숄더 부홈(8E)의 홈폭(W6e)은 트레드 접지폭(TW)(도 1에 도시함)의 0.3% 내지 1% 정도로, 홈깊이(D6e)(도 2에 도시함)는 1 ㎜ 내지 3 ㎜ 정도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측 숄더 부홈(8E)은, 기주공명의 형성이나 외측 숄더 랜드부(4E)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내노이즈 성능 및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에 도시한 기본 구조를 이루며, 표 1에 나타낸 주홈, 랜드부 및 횡홈을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고 그 성능을 각각 평가하였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숄더 주홈의 홈폭을 내측 숄더 주홈의 홈폭과 동일하게 한 타이어(비교예 1)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숄더 횡홈, 외측 미들 횡홈, 내측 미들 사이프 및 내측 숄더 횡홈이 주홈에 연통되는 타이어(비교예 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한편, 공통 사양은 이하와 같다.
타이어 사이즈:225/45 R17
림 사이즈:17×7.0 JJ
트레드 접지폭(TW):198 ㎜
각 주홈의 홈깊이(D1a, D1b, D1c, D1d):8.2 ㎜
센터 랜드부:
최대폭(W2a):20.47 ㎜, 비(W2a/TW):10.3%
내측 미들 랜드부:
최대폭(W2b):21.46 ㎜, 비(W2b/TW):10.8%
외측 미들 랜드부:
최대폭(W2c):26.65 ㎜, 비(W2c/TW):13.5%
외측 숄더 랜드부:
최대폭(W2e):42.33 ㎜, 비(W2e/TW):21.4%
내측 숄더 블록:
폭(W5d):36.15 ㎜, 비(W5d/TW):18.3%
둘레방향 길이(L5d):54.8 ㎜, 비(L5d/TW):27.7%
센터 사이프:
길이(L3a):3.4 ㎜, 비(L3a/W2a):1.7%
깊이:4.4 ㎜, 각도(α3a):60도
내측 미들 사이프:
길이(L3b):12.5 ㎜, 비(L3b/W2b):6.3%
깊이:4.6 ㎜
내측 미들 횡홈:
길이(L4b):5.5 ㎜, 비(L4b/W2b):2.8%
홈폭(W4b):2.4 ㎜ 내지 3.0 ㎜, 비(W4b/TW):1.2% 내지 1.5%
홈깊이(D4b):3.0 ㎜ 내지 5.4 ㎜, 각도(α4b):60도
외측 미들 횡홈:
길이(L4c):15.2 ㎜, 비(L4c/W2c):7.7%
홈폭(W4b):2.4 ㎜ 내지 3.0 ㎜, 비(W4b/TW):1.2% 내지 1.5%
홈깊이(D4c):3.0 ㎜ 내지 6.6 ㎜, 각도(α4c):60도
내측 숄더 횡홈:
홈폭(W4d):2.4 ㎜ 내지 3.3 ㎜, 비(W4b/TW):1.2% 내지 1.6%
홈깊이(D4d):3.0 ㎜ 내지 6.0 ㎜, 각도(α4d):80도 내지 85도
내측 숄더 사이프:
길이(L3d):28.9 ㎜, 비(L3d/W5b):14.6%
깊이:2.0 ㎜ 내지 5.9 ㎜, 각도(α3d):80도
외측 숄더 횡홈:
길이(L4e):30.55 ㎜, 비(L4e/W2e):15.4%
홈폭(W4e):3.3 ㎜, 비(W4e/TW):1.6%
홈깊이(D4e):6.0 ㎜, 각도(α4e):80도 내지 85도
외측 숄더 부홈:
홈폭(W6e):3.0 ㎜, 비(W6e/TW):1.5%
홈깊이(D6e):2.0 ㎜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내노이즈 성능>
각 공시(供試) 타이어를 상기 림에 상기 조건으로 림 조립하고, 내압 220 ㎪ 충전하여, 일본산 FF차(배기량 2400cc)의 전륜(全輪)에 장착하고, 엔진 오프 상태에서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측방으로 7.5 m 떨어진 위치에 마이크 세팅하여 JASO 규격 C-606에 준하여 노이즈를 측정했다. 평가는, 노이즈의 크기의 역수에 관해,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했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배수 성능>
각 공시 타이어를 상기 림에 상기 조건으로 림 조립하고, 상기 차량의 전륜에 장착하여, 수심 5 ㎜의 아스팔트 노면에 있어서 속도 60 km부터 ABS를 온으로 한 조건으로 풀 브레이킹을 수행하여, 제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제동 거리의 역수에 관해,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했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조종 안정 성능>
각 공시 타이어를 상기 림에 상기 조건으로 림 조립하고, 상기 차량의 전륜에 장착하여, 드라이 아스팔트 노면의 테스트 코스를 각각 주행시켰다. 그리고, 프로 드라이버에 의한 관능 평가에 의해, 선회시의 안정성, 차선 변경시의 과도 특성 및 초기 응답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평점으로 표시했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06469294-pat00001
Figure 112013006469294-pat00002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타이어는, 배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 성능 및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 공기 타이어 2 : 트레드부
3A : 내측 센터 주홈 3B : 외측 센터 주홈
3C : 내측 숄더 주홈 3D : 외측 숄더 주홈
4A : 센터 랜드부 4B : 내측 미들 랜드부
4C : 외측 미들 랜드부 4D : 내측 숄더 랜드부
4E : 외측 숄더 랜드부 5B : 내측 미들 사이프
6C : 외측 미들 횡홈 6D : 내측 숄더 횡홈
6E : 외측 숄더 횡홈

Claims (5)

  1.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된 공기 타이어로서,
    타이어 적도보다 차량 내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센터 주홈,
    타이어 적도보다 차량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센터 주홈,
    상기 내측 센터 주홈의 차량 내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숄더 주홈, 및
    상기 외측 센터 주홈의 차량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숄더 주홈을, 트레드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내측 센터 주홈과 상기 외측 센터 주홈 사이의 센터 랜드부, 내측 센터 주홈과 상기 내측 숄더 주홈 사이의 내측 미들 랜드부, 상기 외측 센터 주홈과 상기 외측 숄더 주홈 사이의 외측 미들 랜드부, 상기 내측 숄더 주홈과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접지단의 사이의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외측 숄더 주홈과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접지단 사이의 외측 숄더 랜드부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 센터 주홈, 상기 외측 센터 주홈 및 상기 내측 숄더 주홈의 홈폭은 10 ㎜ 내지 20 ㎜이고,
    상기 외측 숄더 주홈의 홈폭은 2 ㎜ 내지 5 ㎜이며,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는, 상기 외측 접지단보다 차량 외측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외측 숄더 주홈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외측 숄더 횡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미들 랜드부는, 상기 외측 숄더 주홈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외측 미들 랜드부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며, 게다가 상기 외측 센터 주홈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외측 미들 횡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미들 횡홈은 상기 외측 숄더 주홈을 향해 점점 증가하는 깊이를 가지고,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는, 상기 내측 숄더 주홈으로부터 차량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며, 게다가 상기 내측 센터 주홈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내측 미들 사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는, 상기 내측 센터 주홈으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내측 미들 랜드부의 폭방향의 중심을 넘어가지 않고 종단되는 내측 미들 횡홈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는, 상기 내측 접지단과 상기 숄더 주홈 사이에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숄더 횡홈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미들 횡홈의 최대 깊이는 상기 외측 미들 횡홈의 최대 깊이 및 상기 내측 숄더 횡홈의 최대 깊이보다 작고,
    상기 외측 숄더 횡홈의 최대 깊이는 상기 외측 미들 횡홈의 최대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의 랜드비는 69% 내지 73%인 것인 공기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미들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한 각도는 120도 내지 155도인 것인 공기 타이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미들 횡홈과 상기 내측 미들 사이프는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마련되는 것인 공기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랜드부에는, 상기 내측 센터 주홈 및 상기 외측 센터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타이어 적도에 도달하지 않고 종단되는 센터 사이프가 마련되며,
    상기 센터 사이프의 타이어 둘레방향의 피치 길이는 상기 내측 미들 횡홈의 타이어 둘레방향의 피치 길이보다 큰 것인 공기 타이어.
KR1020130007276A 2012-01-25 2013-01-23 공기 타이어 KR101862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3353 2012-01-25
JP2012013353A JP5462898B2 (ja) 2012-01-25 2012-01-25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556A KR20130086556A (ko) 2013-08-02
KR101862884B1 true KR101862884B1 (ko) 2018-05-30

Family

ID=4756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276A KR101862884B1 (ko) 2012-01-25 2013-01-23 공기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0071B2 (ko)
EP (1) EP2620298B1 (ko)
JP (1) JP5462898B2 (ko)
KR (1) KR101862884B1 (ko)
CN (1) CN103223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8579B2 (ja) * 2013-02-06 2015-10-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5890853B2 (ja) 2014-02-14 2016-03-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228034B2 (ja) * 2014-02-26 2017-11-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6031055B2 (ja) * 2014-03-11 2016-11-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97238B2 (ja) * 2014-03-11 2017-03-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3095622B1 (en) 2014-03-11 2017-11-0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Pneumatic tire
JP5796655B1 (ja) * 2014-03-28 2015-10-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1519230S (ko) * 2014-08-07 2015-03-16
JP6591149B2 (ja) 2014-08-29 2019-10-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6084195B2 (ja) * 2014-11-27 2017-02-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450221B2 (ja) * 2015-03-05 2019-01-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697859B2 (ja) * 2015-03-26 2020-05-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D783506S1 (en) * 2015-05-29 2017-04-11 Black Donuts Engineering Oy Tire tread
JP2017024657A (ja) * 2015-07-27 2017-02-0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594695B2 (ja) * 2015-07-29 2019-10-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D798224S1 (en) * 2015-08-08 2017-09-26 Shandong Hongsheng Rubber Co., Ltd. Tire
USD796423S1 (en) 2015-08-18 2017-09-05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tread
WO2017141913A1 (ja) * 2016-02-15 2017-08-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D795149S1 (en) * 2016-04-20 2017-08-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USD795163S1 (en) * 2016-04-25 2017-08-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JP6828387B2 (ja) * 2016-11-14 2021-02-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374996B2 (ja) * 2017-01-24 2018-08-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891559B2 (ja) * 2017-03-15 2021-06-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825434B2 (ja) * 2017-03-16 2021-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USD857622S1 (en) * 2017-05-12 2019-08-27 Pirelli Tyre S.P.A. Car tire
JP6674414B2 (ja) * 2017-07-04 2020-04-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11135877B2 (en) * 2017-09-19 2021-10-05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ire
JP6973042B2 (ja) * 2017-12-25 2021-11-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992573B2 (ja) * 2018-02-14 2022-01-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24537B2 (ja) * 2018-08-07 2022-08-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36658B2 (ja) * 2018-10-22 2022-09-13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87255B2 (ja) * 2018-10-22 2022-12-12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98080B2 (ja) * 2018-12-27 2022-12-28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1672841S (ko) * 2020-03-18 2020-11-16
JP2022095399A (ja) * 2020-12-16 2022-06-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8781A (ja) * 2008-08-05 2010-03-1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8668A (en) * 1951-04-26 1953-08-11 Allied Chem & Dye Corp Process for recovering nicotinic acid from solutions thereof in sulfuric acid
US5435364A (en) * 1990-12-28 1995-07-25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matic radial tire with four main grooves
FR2720979A1 (fr) * 1994-06-14 1995-12-15 Michelin & Cie Bande de roulement pour pneumatique.
JPH111105A (ja) * 1997-06-13 1999-01-0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4410453B2 (ja) 2002-03-28 2010-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3682269B2 (ja) * 2002-05-09 2005-08-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4090729A (ja) * 2002-08-30 2004-03-2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DE10311430A1 (de) * 2003-03-13 2004-09-23 Manfred Schildhauer Luftreifen für Kraftfahrzeuge
JP4392339B2 (ja) * 2004-12-24 2009-12-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TE506202T1 (de) * 2005-02-25 2011-05-1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Fahrzeugreifen mit einem laufstreifenprofil
JP4214159B2 (ja) * 2006-06-29 2009-01-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713515B2 (ja) * 2007-02-16 2011-06-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163244B1 (ja) * 2007-08-08 2008-10-0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BRPI0823362B1 (pt) * 2008-12-10 2020-09-01 Pirelli Tyre S.P.A. Pneu para veículo a motor
JP5346689B2 (ja) * 2009-05-25 2013-11-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5714832B2 (ja) * 2010-03-29 2015-05-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5438609B2 (ja) 2010-07-07 2014-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108924B2 (ja) * 2010-10-07 2012-12-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U337703S (en) * 2011-02-14 2011-07-18 Sumitomo Rubber Ind Tyre for an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8781A (ja) * 2008-08-05 2010-03-1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40071B2 (en) 2016-05-17
CN103223825B (zh) 2016-09-21
KR20130086556A (ko) 2013-08-02
CN103223825A (zh) 2013-07-31
EP2620298A1 (en) 2013-07-31
US20130186532A1 (en) 2013-07-25
EP2620298B1 (en) 2015-09-09
JP5462898B2 (ja) 2014-04-02
JP2013151236A (ja)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884B1 (ko) 공기 타이어
JP6582726B2 (ja) タイヤ
JP599340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89079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695476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132766B1 (ko) 공기 타이어
JP525001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9994077B2 (en) Pneumatic tire
KR101788883B1 (ko) 공기 타이어
JP5981952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565115B1 (ko) 공기 타이어
JP582764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48092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241703B1 (ko) 공기 타이어
JP514014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12514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55829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30058613A (ko) 공기 타이어
JP538603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819110B2 (ja) タイヤ
CN108621710B (zh) 充气轮胎
JP6988349B2 (ja) タイヤ
JP2018176881A (ja) タイヤ
JP52824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476497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