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65B1 -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 Google Patents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65B1
KR101816465B1 KR1020167011888A KR20167011888A KR101816465B1 KR 101816465 B1 KR101816465 B1 KR 101816465B1 KR 1020167011888 A KR1020167011888 A KR 1020167011888A KR 20167011888 A KR20167011888 A KR 20167011888A KR 101816465 B1 KR101816465 B1 KR 101816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mber
clip
skin
attach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934A (ko
Inventor
신스케 사이가
데츠야 요시노
요시토모 이요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2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fixing, or finishing, in upholstery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0Finishing of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는, 표피재(910)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고, 좌우면(11, 12)을 갖는 테이프 부재(10)와, 상기 테이프 부재(10)의 상기 좌우면(11, 12)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테이프 부재(10)의 단부에 형성되고, 당해 테이프 부재(10)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걸림부(20)를 구비한다. 걸림부(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클립 장착용의 복수의 피장착부(30)가 좌우 양측에서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걸림부(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의 벽부(40)가 좌우 양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좌우 양측의 각 벽부(40)가 피장착부(30)에 대하여 인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피장착부(30)와 비교하여 테이프 부재(10) 내측의 위치에 있다.

Description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HANGING IMPLEMENT FOR ANCHORING COVERING MATERIAL}
본 개시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동 문헌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8)가 개시되어 있고, 당해 걸림 부재(8)가 긴 테이프부(6)와 블록부(7)를 갖고, 인접하는 블록부(7) 사이에 굴곡 가능한 조인트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요성을 갖는 조인트부(71)의 덕택으로 충분한 굴곡성이 확보되고, 또한 블록부(7)에 의해 원하는 강성을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동 문헌의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소자(1)가 플래그(9)의 개구(14)를 통과하여 인입 로드(8)를 끼워 넣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당해 로크 소자(1)에는 보유 지지 소자(6)용의 수용 공간(4)도 형성되어 있다. 동 문헌의 도 1 및 도 2의 참조로부터 플래그(9)에 대한 로크 소자(1)의 장착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동 문헌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림 커버(2)에 재봉 부착된 걸림 코드(3)의 테두리에 있는 비드 테두리 조(3a)에 클립(6)의 척부(6a)를 장착하고, 클립(6)의 훅부(6b)에 인서트 와이어(4)를 통과시켜 트림 커버(2)와 쿠션 패드(1)에 고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클립의 형상은 동 문헌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국제 공개 제2013/069114호 팸플릿 미국 특허 제6,048,025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6-95093호 공보(일본 특허 제4734549호)
본원 발명자는, 고정 작업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를 제공한다는 새로운 과제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는, 표피재(910)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고, 좌우면(11, 12)을 갖는 테이프 부재(10)와, 당해 테이프 부재(10)의 상기 좌우면(11, 12)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당해 테이프 부재(10)의 단부에 형성되고, 당해 테이프 부재(10)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걸림부(20)를 구비하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이다. 상기 걸림부(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클립 장착용의 복수의 피장착부(30)가 좌우 양측에서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걸림부(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벽부(40)가 좌우 양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좌우 양측의 각 벽부(40)가 상기 피장착부(30)에 대하여 인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피장착부(30)와 비교하여 테이프 부재(10) 내측의 위치에 있다.
상기 테이프 부재(10) 내측에 있는 상기 벽부(40)의 면(411, 421)이 상기 테이프 부재(10)의 상기 좌우면(11, 12)으로부터 상승함에 따라서 상기 피장착부(30) 측에 근접하는 호 형상면 또는 경사면이면 된다.
클립이 장착 가능한 테이퍼부(34)가 상기 피장착부(30)에 형성되고, 상기 벽부(40)와 상기 테이퍼부(34) 사이에 가로 홈(5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34)의 좌우 폭이, 상기 벽부(40)로부터 이격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면 된다.
상기 테이퍼부(34)에는, 상기 가로 홈(50)에 연통하고, 상기 벽부(40)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홈(60)이 형성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유닛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와, 상기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의 각 피장착부(30)에 대하여 장착 가능한 복수의 클립(7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사시도이며, 이것에 아울러 테이프 부재가 존재하거나 또는 규정하는 평면 PL10을 이점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2의 (a)에 있어서 클립이 장착되어야 할 피장착부를 좌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2의 (b)에 있어서 클립이 장착되어야 할 피장착부를 우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좌측 정면도이며, 피장착부가 형성된 개소에 도시와 같이 설정된 일점파선 A-A와, 피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도시와 같이 설정된 일점파선 B-B도 아울러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의 일점파선 A-A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의 일점파선 B-B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를 표피재에 고정한 상태, 본 예에 있어서는 재봉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걸림부에는 클립이 아직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클립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여기에서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걸림부의 단면이 도 4에 도시한 단면에 상당하고, 또한 클립에 관해서는 도시의 편의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가 클립을 통해 쿠션재의 인서트 와이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및 클립의 단면은 도 3의 일점파선 A-A를 따르는 단면에 상당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가 클립을 통해 쿠션재의 인서트 와이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단면은 도 3의 일점파선 B-B를 따르는 단면에 상당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며, 여기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표피재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걸림부에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소리의 강도가 저감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며, 클립이 장착되어야 할 피장착부를 좌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 형태는 개개로 독립된 것은 아니고, 과잉 설명을 할 필요도 없이, 당업자라면,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조합에 의한 상승 효과도 파악 가능하다. 실시 형태간의 중복 설명은 원칙적으로 생략한다. 참조 도면은, 발명 설명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적절히 간략화되어 있다.
본원에 있어서는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좌우 방향은 테이프 부재의 두께 방향에 일치한다. 전후 방향은, 테이프 부재의 단부에 형성되어 당해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임의의 형상의 걸림부의 연장 방향 또는 길이 방향에 합치하고, 여기서, 전후 방향이 좌우 방향에 직교한다. 상하 방향은,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직교한다. 또한, 상하 방향은, 표피재의 걸림 방향 또는 인입 방향, 또는 테이프 부재의 현수 방향에 합치한다라고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의 정의가 편의적인 것인 것을 이해하고, 본원의 개시에 기초하여 다른 방법에 의한 정의 부여도 파악 가능하다. 본원 전체의 정합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의 재정의도 가능한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사시도이며, 이것에 아울러 테이프 부재가 존재하거나 또는 규정하는 평면 PL10을 이점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2의 (a)에 있어서 클립이 장착되어야 할 피장착부를 좌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2의 (b)에 있어서 클립이 장착되어야 할 피장착부를 우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3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좌측 정면도이며, 피장착부가 형성된 개소에 도시와 같이 설정된 일점파선 A-A와, 피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도시와 같이 설정된 일점파선 B-B도 아울러 도시한다. 도 4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의 일점파선 A-A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의 일점파선 B-B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를 표피재에 고정한 상태, 본 예에 있어서는 재봉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걸림부에는 클립이 아직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클립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여기에서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걸림부의 단면이 도 4에 도시한 단면에 상당하고, 또한 클립에 관해서는 도시의 편의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8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에 장착되어야 할 클립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13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가 클립을 통해 쿠션재의 인서트 와이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및 클립의 단면은 도 3의 일점파선 A-A를 따르는 단면에 상당한다. 도 14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가 클립을 통해 쿠션재의 인서트 와이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단면은 도 3의 일점파선 B-B를 따르는 단면에 상당한다. 도 15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며, 여기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표피재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걸림부에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소리의 강도가 저감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는, 표피재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고, 좌측면(11)과 우측면(12)을 갖는 테이프 부재(10)와, 상기 테이프 부재(10)에 대하여 그 좌우면(11, 12)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테이프 부재(10)의 단부에 형성되고, 테이프 부재(10)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걸림부(20)를 갖는다. 테이프 부재(10)는 전후로 길고 얇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외형을 갖는 평탄한 평면 형상의 부재이다. 걸림부(20)는 전후로 긴 대략 원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걸림부(20)는 당해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 또는 테이프 부재(10)의 외형의 한 변을 이루도록 테이프 부재(1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6, 도 13, 도 14의 추가적 참조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는, 표피재(910)와 쿠션재측 사이의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부재이다.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는, 전형적으로는, 표피재(910)에 의해 표면이 덮어져야 할 쿠션재(950)에 형성된 홈(951) 내에 배치된다.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의 테이프 부재(10)가 표피재(910)에 재봉 부착 등에 의해 고정되고,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의 걸림부(20)에 장착된 상태의 클립(70)이 쿠션재측의 인서트 와이어(952)를 포획하고, 이에 의해, 쿠션재(950)에 대한 표피재(910)의 인입 고정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피재(910)에의 테이프 부재(10)의 고정 방법은 임의이며, 재봉 부착에 한하지 않고, 접착 등의 다른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는, 트림 코드, 테이프, 천부 등이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고, 어느 하나로 대체하여 읽어서 이해해도 상관없다. 또한, 테이프 부재를 간단히 코드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본 예에 따른 테이프 부재(10)는 가요성을 갖는 유연 소재이며, 적합하게는 직물, 편물, 부직포, 천연 피혁, 인공 피혁 등의 천이며, 이에 의해 원하는 강도와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10)는 전후로 긴 직사각 형상이지만, 반드시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테이프 부재(10)의 경량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보면, 섬유로부터 구축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이프 부재(10)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보면, 테이프 부재(10)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능성이나 미관의 관점에서 테이프 부재(10)에 구멍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테이프 부재(10)가 갖는 가요성의 정도는 임의이다. 단층의 천에 한하지 않고, 1 이상의 천이 몇 층이나 겹쳐진 적층의 천을 활용해도 상관없다. 천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합성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합성 섬유의 대표예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이 알려져 있다.
걸림부(2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개략적으로는 막대 형상 또는 원기둥형의 형상을 갖는다. 적합하게는, 걸림부(20)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지만, 다소의 가요성이나 탄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의 경량성을 고려하여, 걸림부(20)를 수지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부(20)의 단면 형상은 원 형상, 보다 정확하게는 타원 형상이지만, 이것은 단순한 일례이며, 다른 형상의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육각형 이상의 각수를 갖는 다각형, 별형 등의 임의의 단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물론, 조립 시의 사람과의 접촉의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리 발생의 저감 등의 관점에서 타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원 형상」이란, 「정원 형상」이나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광의로 이해된다.
걸림부(20)는, 본 예에 있어서는 그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수지부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그 길이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 물결 형상, 호 형상 등의 임의의 형태에 있어서 연장되어도 상관없다. 즉, 걸림부(20)는 임의의 형상이나 임의의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연장되는 부재이며, 본 예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걸림부(20)는 반드시 그 전체 길이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10)에 일체화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테이프 부재(10)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걸림부(20)에 대하여 다른 구조를 부가해도 상관없다.
걸림부(20)는 어느 정도의 크기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부(20)의 표면(201)을 부분적으로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클립 장착용의 피장착부(30)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테이프 부재(10)가 존재하거나 또는 규정하는 평면 PL10에 의해 걸림부(20)를 분할하면, 걸림부(20)가 테이프 부재(10)의 좌측면측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 좌측 절반(21)과, 테이프 부재(10)의 우측면측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 우측 절반(22)으로 구성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걸림부 좌측 절반(21)은 반원기둥 부분이며, 마찬가지로 걸림부 우측 절반(22)도 반원기둥 형상 부분이며, 각각에는 피장착부(30)를 따라서 들어간 개소가 형성된다. 걸림부 좌측 절반(21)이 걸림부 우측 절반(22)에 거울상 대칭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각 부분이 다른 형상을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테이프 부재(10)에 대한 걸림부(20)의 고정 방법은 임의이지만, 양자간의 충분한 결합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인서트 성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20)를 적당히 분할, 예를 들어 좌우 절반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편을 테이프 부재(10)에 임의의 방법으로 고정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한 고착, 좌우로 분할한 분할편끼리의 기계적 결합에 의한 테이프 부재(10)의 끼워 넣기 등의 방법을 활용해도 상관없다.
걸림부(20)는 테이프 부재(10)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의 사이의 전체 범위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된다. 또한, 걸림부(20)는 테이프 부재(10)의 하단부 또는 테이프 부재(10)의 외형의 한 변이 매립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테이프 부재(10)와 걸림부(20)의 일체성이 확보되고, 또한 걸림부(20)에의 클립(70)의 장착이 테이프 부재(10)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테이프 부재(10)의 하단부가 걸림부(20)에 매립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원하는 강도가 확보되는 정도나 범위에서 걸림부(20)에 매립되어 있지 않어도 된다. 테이프 부재(10)의 하단부가 걸림부(20)를 관통한 위치에 있어도 상관없다.
걸림부(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좌우 양측으로부터 규칙적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좌우 양측에서 걸림부(20)의 표면(201)으로부터 들어간 형태로 형성된 클립 장착용의 피장착부(30)가 형성된다. 걸림부(2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피장착부(30) 사이에 걸림 막대부(25)를 갖는다. 이 인접하는 2개의 피장착부(30)에 의해 걸림 막대부(25)의 전후 범위가 정해진다. 걸림 막대부(25)의 전후 치수는, 피장착부(30)의 전후 치수보다도 길다.
도 2의 참조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피장착부(30)는, 걸림부 좌측 절반(21)의 표면(201)이 움푹 들어가 형성된 좌측 오목부(31)와, 걸림부 우측 절반(22)의 표면(201)이 움푹 들어가 형성된 우측 오목부(32)를 갖고, 이들에 의해 좌우에 있어서 걸림 막대부(25)의 표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구성된다. 피장착부(30)가 형성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걸림부(20)의 대략 원 형상, 보다 단적으로는 타원 형상의 단면 형상이 유지되어 충분한 강성이 확보된다. 단면 타원형의 걸림부(20)에 이격적으로 피장착부(30)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오목부의 피장착부(30)의 형성에 관계없이 어느 정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걸림부(20)에는 또한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의 벽부(40)가 좌우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벽부(40)는 테이프 부재(10)의 좌우면(11, 12)으로부터 좌우 양측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벽부(40)가 피장착부(3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피장착부(30) 위, 바꾸어 말하면 피장착부(30)와 비교하여 테이프 부재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테이프 부재 내측이란, 테이프 부재(10)의 측부 또는 단부로부터 테이프 부재(10)의 외주에 의해 둘러싸이는 테이프 부재(1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걸림부(20)가 형성된 테이프 부재(10)의 단부를 가로질러 테이프 부재(10) 위에 이르는 방향에 일치하고, 단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화살표 D10이 나타내는 방향에 일치한다. 화살표 D10은, 평탄 상태의 테이프 부재(10)가 존재하거나 또는 규정하는 평면 PL10에서 걸림부(20)를 가로질러 테이프 부재(10) 위에 이르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피장착부(30)는 벽부(40)와 비교하여 테이프 부재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더 설명을 하면, 테이프 부재 외측이란, 테이프 부재 위에서 표피재와 중첩되지 않는 임의의 장소에서, 표피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 및 그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내측이란, 테이프 부재 외측과 반대 방향이며, 테이프 부재 위에서 표피재와 중첩되지 않는 임의의 장소에서, 표피재에 가까워지는 방향 및 그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테이프 부재 내측과 테이프 부재 외측은 상하 방향에 합치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걸림부(20)에의 클립(70)의 장착이 간편해진다. 왜냐하면, 걸림부(20)에는 클립(70)의 장착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돌기 형상의 벽부(40)가 클립(70)의 장착 위치의 안표로 된다. 피장착부(30) 또는 벽부(40)의 위치를 인식한 후에 피장착부(30)에 클립(70)을 장착함으로써 표피재(910)의 고정 작업의 효율이 촉진 가능하다.
걸림부(20)에 강성이 요구되는 관점에서 보면, 걸림부(20)에 오목 형상의 피장착부(30)를 형성하여 걸림부(20)의 강성이 저하된다고 해도, 피장착부(30)가 형성된 걸림부(20)의 개소에 있어서의 강성 저하를 벽부(40)에 의해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피장착부(30)와 비교하여 벽부(40)가 테이프 부재 내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피장착부(30)에의 클립(70)의 장착도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피장착부(30)에 클립(7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가령 어떠한 외력이 상방으로부터 클립(70)측에 부여되었다고 해도, 그 외력이 클립(70)이 아니라 벽부(40)에 부여되어, 피장착부(30)로부터의 클립(70)의 이탈이 억제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경우, 클립을 플래그의 일정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클립의 장착 위치에 혼란이 발생하기 어렵지만, 클립의 장착에 관하여 필요적으로 플래그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어, 그 강도 저하를 초래해 버릴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열등하며, 또한 이러한 플래그의 제조에 시간이 걸린다. 특허문헌 2의 경우, 클립 장착 후의 클립의 변위가 충분히 규제되고 있지 않아, 클립의 흔들림이 발생하기 쉬워, 고정 공정에 무시할 수 없는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 비추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장착부(30)에 대하여 클립(7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클립(70)의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가, 피장착부(30)의 전후에 있는 걸림 막대부(25)에 의해 적절하게 규제되어, 피장착부(30)에의 클립(70)의 장착 후의 위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피장착부(30)에 대하여 클립(7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클립(70)의 테이프 부재 내측으로의 변위가 벽부(40)에 의해 저지되어, 테이프 부재 내측으로의 클립(70)의 변위도 적절하게 규제된다. 따라서, 고정 공정을 보다 간이ㆍ적확하게 행하는 것이 촉진된다. 만일을 위해 부언하면, 동 장착 상태에 있어서, 클립(70)의 하방 변위는, 피장착부(30)의 테이퍼부(34)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도 2에 단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20)에 형성된 각 벽부(40)는 테이프 부재(10)에 의해 좌우로 분단되어 있고, 테이프 부재(10)의 좌측면(11)으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벽부 좌측 절반(41)과, 테이프 부재(10)의 우측면(12)으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벽부 우측 절반(42)을 포함한다. 각 벽부 좌측 절반(41)은 좌측 오목부(3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좌측 오목부(31)의 상측, 즉 좌측 오목부(31)와 비교하여 테이프 부재 내측의 위치에 있다. 각 벽부 우측 절반(42)은 우측 오목부(32)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우측 오목부(32)의 상측, 즉 우측 오목부(32)와 비교하여 테이프 부재 내측의 위치에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합하게는, 도 4 및 도 5로부터 보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벽부(40)의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 바꾸어 말하면 산형 또는 버섯 형상, 다시 바꾸어 말하면, 상측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피재(910)의 충돌에 의한 소리 발생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벽부(40)의 상면, 즉 테이프 부재 내측에 있는 면을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꾸어 말하면, 좌우 방향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10)의 좌우면(11, 12)으로부터 상승함에 따라서 하측의 피장착부(30)측에 근접하는 호 형상면 또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부 좌측 절반(41)의 상면(411)을 완만하게 만곡한 호 형상면으로 하고, 벽부 우측 절반(42)의 상면(421)도 마찬가지로 완만하게 만곡한 호 형상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효과적으로 상술한 소리 발생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벽부 좌측 절반(41)의 상면(411) 및 벽부 우측 절반(42)의 상면(421)은 호 형상면에 한하지 않고 직선 형상의 경사면이어도 된다. 또한, 벽부 좌측 절반(41)의 하면(412)은 좌측 가로 홈(51)의 전후로 연장되는 측면에 일치하고, 마찬가지로, 벽부 우측 절반(42)의 하면(422)은 우측 가로 홈(52)의 전후로 연장되는 측면에 일치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좌측 가로 홈(51)과 우측 가로 홈(52)을 포괄하여 간단히 가로 홈(50)이라 부른다.
본 예에 있어서는 벽부 좌측 절반(41)과 벽부 우측 절반(42)은 테이프 부재(10)가 존재하거나 또는 규정하는 평면 PL10에 관하여 거울상 대칭으로 구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이프 부재(10)의 좌측면(11)으로부터의 벽부 좌측 절반(41)의 높이와 테이프 부재(10)의 우측면(12)으로부터의 벽부 우측 절반(42)의 높이는 동일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벽부 좌측 절반(41)의 전후 폭과 벽부 우측 절반(42)의 전후 폭은 동일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일례로서의 피장착부(30)의 구체적 형상에 관해서는,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장착부(30)는 벽부(40)에 직접적으로 결합한 협폭부(33)와, 적어도 협폭부(33)를 개재하여 벽부(40)에 결합하는 테이퍼부(34)를 포함한다. 협폭부(33)는 벽부 좌측 절반(41)의 바로 아래의 좌측 가로 홈(51)과 벽부 우측 절반(42)의 바로 아래의 우측 가로 홈(52)에 의해 좌우로부터 좌우 폭이 줄어들어 협폭으로 구성된다. 테이퍼부(34)는 협폭부(33) 또는 벽부(40)로부터 이격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벽부(40)와의 비교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역삼각 형상이다. 협폭부(33)와 테이퍼부(34)를 포함하여 피장착부(30)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클립(70)과의 끼워 맞춤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벽부(40)와 테이퍼부(34) 사이에 가로 홈(50)이 형성되고, 상세하게는, 벽부 좌측 절반(41)과 막대부 좌측 절반 사이에 좌측 가로 홈(51)이 형성되고, 벽부 우측 절반(42)과 막대부 우측 절반 사이에 우측 가로 홈(52)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34)는 피장착부(30)에의 클립(70)의 장착 시, 클립(70)의 좌측 아암(71)과 우측 아암(72) 사이를 확대하기 위해서 작용한다. 테이퍼부(34)는 아래로부터 위로 완만하게 좌우 폭이 확대되고, 이에 의해, 클립(70)의 좌측 아암(71)과 우측 아암(72)의 역방향 개방이 원활하게 확보된다. 테이퍼부(34)의 좌우 폭은 위로부터 아래로 서서히 좁아진다. 테이퍼부(34)의 좌측의 경사면 위를 좌측 아암(71)의 제1 갈고리부(715)가 미끄럼 이동하고, 테이퍼부(34)의 우측의 경사면 위를 우측 아암(72)의 제2 갈고리부(725)가 미끄럼 이동한다. 테이퍼부(34) 위의 협폭부(33)의 좌우에 있는 좌측 가로 홈(51)과 우측 가로 홈(52)이, 테이퍼부(34)를 통과한 좌측 아암(71)의 제1 갈고리부(715)와 우측 아암(72)의 제2 갈고리부(725)의 퇴피처로 되고, 이에 의해, 피장착부(30)에의 클립(70)의 장착이 완료된다. 좌측 가로 홈(51)과 우측 가로 홈(52)에 제1 갈고리부(715)와 제2 갈고리부(725)가 개별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피장착부(30)로부터의 클립(70)의 이탈이 피장착부(30)의 테이퍼부(34)에 의해 규제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합하게는, 걸림부(20)의 피장착부(30)에의 클립(70)의 장착 후, 클립(70)이 견고하게 걸림부(20)에 고정되어, 걸림부(20)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지는 않다.
반복 설명으로 되지만, 피장착부(30)에 대한 클립(7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클립(70)의 전후 변위가, 피장착부(30)의 전후에 있는 걸림 막대부(25)에 의해 적절하게 규제되어, 피장착부(30)에의 클립(70)의 장착 후의 위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피장착부(30)에 대하여 클립(7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클립(70)의 테이프 부재 내측으로의 변위가 벽부(40)에 의해 저지되어, 테이프 부재 내측으로의 클립(70)의 변위도 적절하게 규제된다.
협폭부(33)나 테이퍼부(34)의 구성을 테이프 부재(10)의 좌우를 기준으로 하여 분할하여 이해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협폭부(33)는 협폭부 좌측 절반과 협폭부 우측 절반을 포함하고, 이들은 테이프 부재(10)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테이퍼부(34)는 테이퍼부 좌측 절반과 테이퍼부 우측 절반을 포함하고, 이들은 부분적으로 테이프 부재(10)에 의해 분단되고, 잔여의 부분, 단적으로는 테이퍼부(34)의 하단부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10)에 의해 분단되지 않고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테이프 부재(10)와 걸림부(20)의 견고한 고착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만, 물론 이 이외의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좌우의 좌측 가로 홈(51) 및 우측 가로 홈(52)은 동일한 전후 길이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우의 좌측 가로 홈(51) 및 우측 가로 홈(52)의 깊이는 동일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 가로 홈(51)의 좌우 길이는, 제1 갈고리부(715)의 좌우 폭보다도 약간 크다. 우측 가로 홈(52)의 좌우 길이는, 제2 갈고리부(716)의 좌우 폭보다도 약간 크다.
도 4의 참조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34)의 좌우에는 좌측 세로 홈(61)과 우측 세로 홈(62)이 형성된다. 좌측 세로 홈(61) 및 우측 세로 홈(62)은 테이퍼부(34)의 전후 중앙에서 상하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세로 홈(61, 62)을 형성함으로써, 클립(70)의 아암부의 내벽에 갈고리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장착부(30)와 클립(70) 사이의 전후 변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세로 홈(61, 62)의 상단부는 각 가로 홈(51, 52)에 연통하고 있다. 각 세로 홈(61, 62)의 깊이는, 각 가로 홈(51, 52)의 깊이보다도 얕다. 본원에 있어서는, 좌측 세로 홈(61)과 우측 세로 홈(62)을 포괄하여 세로 홈(60)이라 부른다.
도 4 및 도 5의 참조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34)는 피장착부(30)의 오목부 내로부터 걸림 막대부(25)의 표면(201)을 넘어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견부(340)를 갖는다. 단적으로는, 테이퍼부(34)는 걸림 막대부(25)의 표면(201)보다도 좌측으로 돌출된 좌측 견부(341)와 걸림 막대부(25)의 표면(201)보다도 우측으로 돌출된 우측 견부(342)를 갖는다. 좌측 견부(341)와 우측 견부(342)를 총괄하는 용어로서 견부(340)를 사용한다.
걸림 막대부(25)의 표면(201)보다도 견부(340)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피장착부(30)와 클립(70) 사이의 충분한 결합을 확보할 수 있어, 피장착부(30)로부터의 클립(70)의 빠짐의 억제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34)는 걸림 막대부(25)의 표면(201)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된 다리부(345)를 갖는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클립(70)의 보유 지지부(74)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피장착부(30)가 보유 지지되는 것이 확보된다.
도 4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벽부 좌측 절반(41)의 좌측의 선단 위치가 좌측 견부(341)의 선단 위치에 일치하고, 즉, 각 선단 위치가 동일 평면에 있고, 단적으로는, 도 4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동일한 평면 PL21에 있다. 또한, 평면 PL21은, 테이프 부재(10)의 좌측면(11)으로부터 평행하게 좌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한 기하 평면이며, 실제로 존재하는 부재나 부분의 면은 아니다. 벽부 좌측 절반(41) 및 좌측 견부(341)에 대하여 행한 설명은, 벽부 우측 절반(42) 및 우측 견부(34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평면 PL22가 평면 PL21에 상당한다.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피재(910)에 대하여 재봉 부착선(920)을 따라서 재봉 부착된다. 또한,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70)이 장착된다.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에 대하여 장착되어야 할 클립(70)의 구성은 임의이며, 본원에 예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클립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예시이지만 그러나 적절하게 이용 가능한 클립(70)은 피장착부(30)의 테이퍼부(34)를 보유 지지하기 위해 구성된 보유 지지부(74), 보유 지지부(74) 아래에 연결한 클립부(75), 훅부(75)의 우측에 형성된 지그 결합부(76) 및 훅부(75)의 좌측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77)를 갖는다. 훅부(75)는 좌측에서 개방되어 있고, 이것에 따라서 빠짐 방지부(77)가 훅부(75)의 좌측에 형성되고, 지그 결합부(76)기 이것과 반대인 훅부(75)의 우측에 형성된다.
보유 지지부(74)는 좌측 아암(71), 우측 아암(72) 및 각 아암(71, 72)의 기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저부(73)를 포함한다. 좌측 아암(71) 및 우측 아암(72)은 저부(73)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여 형성되고, 좌측 아암(71)과 우측 아암(72)이 대향하여 테이퍼부(34)의 보유 지지 공간(745)이 획정된다.
좌측 아암(71)의 선단부가 우측 아암(72)측으로 굴곡되어, 제1 갈고리부(715)가 형성된다. 제1 갈고리부(715)는 피장착부(30)의 좌측 가로 홈(51)에 삽입된다. 우측 아암(72)의 선단부가 좌측 아암(715)측으로 굴곡되어, 제2 갈고리부(725)가 형성된다. 제2 갈고리부(725)는 피장착부(30)의 우측 가로 홈(52)에 삽입된다. 도 9에 단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갈고리부(715)와 제2 갈고리부(725) 사이에 테이퍼부(34)가 삽입되어야 할 삽입구인 입구(744)가 개방된다. 입구(744)의 좌우 폭 W744는, 제1 갈고리부(715) 및 제2 갈고리부(725)의 각 돌출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아암(71) 및 우측 아암(72)에는, 각각, 각 아암(71, 72) 사이의 보유 지지 공간(745)으로 돌출되는 제3 갈고리부(716) 및 제4 갈고리부(726)가 형성된다. 제3 갈고리부(716) 및 제4 갈고리부(726)는 제1 갈고리부(715) 및 제2 갈고리부(725)와 비교하여, 입구(744)로부터 저부(73)를 향하는 보유 지지 공간(745)의 깊이 방향 및 입구(744)의 좌우 폭 W744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협폭이다. 보다 단적으로는, 제3 갈고리부(716) 및 제4 갈고리부(726)는 각각, 전후 방향의 두께가 얇은 판상 부분이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74)에의 테이퍼부(34)의 삽입이 극단적으로 저해되지 않는 형태로, 보유 지지부(74)와 테이퍼부(34)끼리의 결합을 증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부(74)의 내면에 적절히 패딩을 실시하고,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74) 내에서의 테이퍼부(34)의 덜걱거림을 억제하여, 보유 지지부(74)와 테이퍼부(34)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훅부(75)는 J자형의 형상을 포함하며, 쿠션재(950)측의 인서트 와이어(952)가 걸림 가능하다. 지그 결합부(76)는 훅부(75)에 대향하여 양자의 사이에 지그 삽입 관통 공간을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한다. 지그 결합부(76)의 벽부의 하단부가 훅부(75)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훅부(75)와 지그 결합부(76)의 연결에 의해 인서트 와이어(952)의 평탄한 안내면(782)이 형성된다. 빠짐 방지부(77)는 훅부(75) 내에 진입한 인서트 와이어가 훅부(75)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부분이며, 그 기단부가 좌측 아암(71)의 외면에 연결되고, 그 선단부가 훅부(75)에 포함되는 J자부의 선단부보다도 더 하방에 위치한다. 빠짐 방지부(77)의 선단부에 있는 훅부(75)에 대향하는 면에는 안내면(781)이 형성되고, 이것에 대향하는 안내면(782)과 함께 인서트 와이어의 안내가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의 걸림부(20)의 피장착부(30)에 클립(70)이 장착된 유닛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표피재(910)가 인서트 와이어(952)까지 인입된다.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에 장착된 상태의 클립(70)의 지그 결합부(76)와 훅부(75) 사이에 지그를 삽입하여 클립(70)을 순차적으로 압하하여 인서트 와이어(952)를 포착할 때, 중력이나 장력이나 작업 시에 부여되는 부정력의 영향을 받아,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피재(910)가 걸림부(20)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만곡한 상면의 벽부(40)가 형성되어 있고, 표피재(910)와의 접촉 시에, 그 만곡한 상면과 표피재(910)의 접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직각보다도 둔각으로 되기 때문에, 충돌 시의 소리 발생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6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의 A-A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른 형상의 벽부(40)를 채용하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벽부(40)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이다. 이와 같이 벽부(40)를 삼각형 이외의 이형 형상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부(40)의 벽부 좌측 절반(41)과 벽부 우측 절반(42)의 양쪽 모두 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이다. 벽부 좌측 절반(41)과 벽부 우측 절반(42)은 본 형태에 있어서도 평면 PL10에 대하여 거울상 대칭이지만, 반드시 이 형상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3 실시 형태>
도 17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며, 클립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좌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장착부(30)의 테이퍼부(34)의 좌우 양측에는 테이프 부재(10)의 좌측면(11) 또는 우측면(12)에 도달하는 깊이의 구멍(349)이 형성되고, 구멍(349)을 통해 테이프 부재(10)의 좌측면(11) 또는 우측면(12)이 시인 가능하다. 게이트로부터 금형 캐비티 내에 도입되는 용융 수지의 공급압 등에 따라서 인서트 성형 시에 테이프 부재(10)의 위치가 변동되어 버리면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의 수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10)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을 채용하고, 금형 내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10)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수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클립(70)에 의해 피복되는 피장착부(30)에 구멍(349)을 형성함으로써 클립(70)의 장착 후에는 구멍(349)이 외관에 드러나지 않아,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의 미관을 높일 수도 있다. 구멍(349)에 따라서 수지 재료의 양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피장착부(30) 이외의 걸림부(20)에 구멍(349)을 형성해도 된다. 좌측에만 또는 우측에만 구멍(349)을 형성해도 되고, 좌측과 우측의 양쪽에 구멍(349)을 형성해도 된다. 구멍(349)의 개수는 임의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에 한하지 않고, 1개로 해도 상관없다.
상술한 교시를 근거로 하면, 당업자라면,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청구 범위에 포함된 부호는, 참고를 위해서이며, 청구 범위를 한정 해석할 목적으로 참조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구비하다」, 「포함하다」, 「갖다」 등은 반대의 것이 나타내어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비폐쇄적인 용어이며, 열거된 구성 요소 이외의 불열거의 구성 요소의 추가도 포함한다. 특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용어는, 그와 같은 특정 형상을 의미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그 특정 형상의 임의의 정도의 변형도 함의한다.
100 :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10 : 테이프 부재
11 : 좌측면
12 : 우측면
20 : 걸림부
201 : 표면
30 : 피장착부
33 : 협폭부
34 : 테이퍼부
40 : 벽부

Claims (6)

  1. 표피재(910)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고, 좌우면(11, 12)을 갖는 테이프 부재(10)와, 당해 테이프 부재(10)의 상기 좌우면(11, 12)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당해 테이프 부재(10)의 단부에 형성되고, 당해 테이프 부재(10)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걸림부(20)를 구비하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이며,
    상기 걸림부(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클립 장착용의 복수의 피장착부(30)가 좌우 양측에서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걸림부(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벽부(40)가 좌우 양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각 벽부(40)가 상기 피장착부(30)에 대하여 인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피장착부(30)와 비교하여 테이프 부재(10) 내측의 위치에 있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10) 내측에 있는 상기 벽부(40)의 면(411, 421)이 상기 테이프 부재(10)의 상기 좌우면(11, 12)으로부터 상승함에 따라서 상기 피장착부(30) 측에 근접하는 호 형상면 또는 경사면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클립이 장착 가능한 테이퍼부(34)가 상기 피장착부(30)에 형성되고, 상기 벽부(40)와 상기 테이퍼부(34) 사이에 가로 홈(50)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34)의 좌우 폭이, 상기 벽부(4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34)에는, 상기 가로 홈(50)에 연통하고, 상기 벽부(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홈(60)이 형성되는,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와,
    상기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100)의 각 피장착부(30)에 대하여 장착 가능한 복수의 클립(70)을 구비하는,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의 단면 형상은 원기둥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인,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KR1020167011888A 2013-11-11 2013-11-11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KR101816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0482 WO2015068311A1 (ja) 2013-11-11 2013-11-11 表皮材止着用吊込み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934A KR20160067934A (ko) 2016-06-14
KR101816465B1 true KR101816465B1 (ko) 2018-01-08

Family

ID=5304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888A KR101816465B1 (ko) 2013-11-11 2013-11-11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43777B2 (ko)
JP (1) JP6059362B2 (ko)
KR (1) KR101816465B1 (ko)
CN (1) CN105764837B (ko)
DE (1) DE112013007582B4 (ko)
WO (1) WO20150683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79Y1 (ko) * 2019-08-27 2020-06-02 채상봉 소파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1916A (zh) * 2013-08-27 2016-04-13 Ykk株式会社 夹具和固定用线
US9776353B2 (en) * 2013-10-02 2017-10-03 Velcro BVBA Longitudinal bead molding
JP6507233B2 (ja) * 2015-05-01 2019-04-24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US10820719B2 (en) * 2016-03-23 2020-11-03 Ykk Corporation Skin-material fixing tool
WO2017163329A1 (ja) 2016-03-23 2017-09-28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端部材
JP7048644B2 (ja) 2017-02-07 2022-04-05 ホープ グローバル ディヴィジョン オブ エヌエフエイ コーポレイション 装飾材リスティングのための止めクリップアセンブリ
US10625645B2 (en) * 2017-02-13 2020-04-21 Lear Corporation Trim clip
DE102017003420A1 (de) 2017-04-07 2018-10-11 Ykk Corporation Verbindungsvorrichtung, clippatrize für eine solche verbindungs- vorrichtung, sitzbezug mit einer clippatrize einer solchen verbindungsvorrichtung und sitz mit einer solchen verbindungsvorrichtung
JP6633670B2 (ja) * 2017-04-24 2020-01-22 Ykk株式会社 車両シートカバー固定クリップ
KR102065456B1 (ko) * 2018-05-29 2020-01-13 서성재 시트 커버링 조립체
WO2020137624A1 (ja) * 2018-12-26 2020-07-02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および表皮材止着構造
JP2021180778A (ja) * 2020-05-20 2021-11-25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部材の製造方法と表皮材止着部材製造装置
WO2023120262A1 (ja) * 2021-12-21 2023-06-29 Ykk株式会社 表皮材取付具のクリップ係合部材および表皮材取付具
DE102022126504A1 (de) 2022-10-12 2024-04-18 Adient Us Llc Einzugstab zur halterung eines bezugs, bezugbefestigungssystem sowie fahrzeugsitz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511B2 (ja) * 1995-06-12 2001-07-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浄ノズル装置
JP2006095093A (ja) * 2004-09-29 2006-04-13 T S Tec Kk トリムカバーの吊込み止着用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4603U1 (de) 1998-03-14 1999-07-15 Tillner Verriegelungsglied für einen Einzugstab zur profilformenden Verbindung von Polsterbezugmaterial bei Polstermöbeln u.dgl. Polsterteilen
DE10392299T5 (de) * 2002-02-22 2005-02-10 Woodbridge Foam Corp., Mississauga Anschlussvorrichtung
US6899399B2 (en) * 2003-07-08 2005-05-31 Lear Corporation Attachment assembly for securing trim material to the padding of a vehicle seat
US7487575B2 (en) * 2005-07-13 2009-02-10 Lyle J Smith System for attaching trim covers to a flexible substrate
WO2008050393A1 (fr) * 2006-10-24 2008-05-02 Ykk Corporation Structure pour connecter un corps de coussinet et un corps de couvercle
US20090033131A1 (en) * 2007-08-01 2009-02-05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trim attachment
US8099837B2 (en) * 2007-09-07 2012-01-24 Hope Global, Division Of Nfa Corporation Low-profile upholstery clip for attaching a bead to a foam substrate
JP5163998B2 (ja) * 2007-10-23 2013-03-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トリムカバーの吊込み止着用クリップ並びに自動車用シート
US8197010B2 (en) * 2008-11-12 2012-06-12 Lear Corporation Seat trim assembly
JP5388775B2 (ja) * 2009-08-24 2014-01-15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及びシートカバー被覆構造
JP5375439B2 (ja) * 2009-08-26 2013-12-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クリップ
EP2599405B1 (en) * 2010-07-28 2015-09-23 YKK Corporation Seat and a cover fixing method of the seat
JP3163446U (ja) * 2010-08-04 2010-10-14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2012235911A (ja) * 2011-05-12 2012-12-06 Toyota Boshoku Corp 止着用クリップ
US9517926B2 (en) * 2011-11-09 2016-12-13 Ykk Corporation Cover-material fastening cord
JP3186511U (ja) * 2013-07-30 2013-10-10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511B2 (ja) * 1995-06-12 2001-07-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浄ノズル装置
JP2006095093A (ja) * 2004-09-29 2006-04-13 T S Tec Kk トリムカバーの吊込み止着用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79Y1 (ko) * 2019-08-27 2020-06-02 채상봉 소파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934A (ko) 2016-06-14
DE112013007582T5 (de) 2016-07-21
US20160249746A1 (en) 2016-09-01
US9743777B2 (en) 2017-08-29
WO2015068311A1 (ja) 2015-05-14
JP6059362B2 (ja) 2017-01-11
DE112013007582B4 (de) 2021-06-10
CN105764837B (zh) 2019-03-22
CN105764837A (zh) 2016-07-13
JPWO2015068311A1 (ja)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465B1 (ko)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US10448743B2 (en) Crip and cord
JP6399917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KR101550548B1 (ko) 표피재 지착용 클립
JP7048644B2 (ja) 装飾材リスティングのための止めクリップアセンブリ
KR101835243B1 (ko) 표피재 고정용 클립
JP2012235911A (ja) 止着用クリップ
JP6507233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6539167B2 (ja) シートの吊り込み構造
JP2011229651A (ja) 締め紐取付具およびマスク
JP2007275557A (ja) クリップ部材及びクッション部材の表皮材吊込構造
JP2007260340A (ja) クリップ部材及びクッション部材の表皮材吊込構造
JP6612974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2015048050A (ja) 車両用シート
JP5592949B2 (ja) ベルト装着部
JP6339802B2 (ja) 表皮吊込構造
JP3205190U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6569043B2 (ja) 固定システム
JP6808836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2008194957A (ja) シート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17709A (ja) カーテン用アジャスターフックおよびカーテン用アジャスターフックを備えたカーテンセット
JP2011055943A (ja) 発泡成形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5591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2017124791A (ja) 乗物用シート
JP5499697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