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243B1 - 표피재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표피재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5243B1 KR101835243B1 KR1020167012363A KR20167012363A KR101835243B1 KR 101835243 B1 KR101835243 B1 KR 101835243B1 KR 1020167012363 A KR1020167012363 A KR 1020167012363A KR 20167012363 A KR20167012363 A KR 20167012363A KR 101835243 B1 KR101835243 B1 KR 101835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wire
- portions
- claw
- hook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2—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fixing, or finishing, in upholstery wor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표피재(32)의 단부 모서리에 설치된 로킹용 단부 부재(42)에 로킹하는 로킹부(11)와, 쿠션재(30)의 홈(34) 내에 설치된 와이어(36)에 로킹되는 훅(18)을 갖는다. 훅(18)에는 로킹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8a)와 갈고리 형상부(18c)를 구비하고, 로킹부(11)에는 가이드편(26)을 구비한다. 가이드편(26)은, 훅의 연장부(18a)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도중의 절곡부(26b)에서 굴곡되어, 갈고리 형상부의 선단부(18e)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편의 선단부(26d)는, 갈고리 형상부의 선단부(18e)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와이어(36)가 삽입 관통되는 소정 간격의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편(26)과 갈고리 형상부(18c)의,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향하는 부분은, 각각 가이드면(22, 23)을 형성하고,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향해 한 쌍의 가이드면(22, 23)의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나 좌석 등의 표면을 덮는 표피재의 고정에 사용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에 관련된다.
종래, 실내에서 이용되는 의자나 차량의 좌석 등에서는, 시트면이나 등받이 등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에 쿠션재나 유연한 패드를 설치하고, 그 표면을 표피재로 피복한 것이 다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피재의 고정에는 다양한 구조가 채용되어 있고, 표피재를 고정하면서 외관적으로 은폐할 수 있는 구조로서, 쿠션재의 홈 내에 와이어를 배치하고, 표피재의 단부 모서리에 클립을 배열하고, 이들 클립을 와이어에 결합시켜 표피재를 고정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은, 표피재에 장착된 로킹용 단부에 걸림 장착시키는 척부와, 쿠션재의 홈 내에 설치된 와이어에 걸려 로킹되는 훅부를 갖고 있다. 상기 훅부는, 서로 횡 배열 형상으로 대향 배치된 가이드편과 훅을 갖고, 이들 사이에 와이어가 삽입됨으로써, 가이드편이 훅과의 사이의 간극을 넓히도록 외측으로 휘고, 더 삽입하면, 동 간극 내에 삽입된 와이어에 훅이 걸려 로킹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편을 갖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일례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1)은, 표피재에 장착된 로킹용 단부에 걸림 장착시키는 한 쌍의 로킹 갈고리로 이루어지는 로킹부(2)와, 쿠션재의 홈 내에 설치된 와이어(6)에 걸려 로킹되는 훅(3)과, 훅(3)의 횡 배열 형상으로 대향 배치된 가이드편(4)을 갖고 있다. 훅(3)은, 도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a)와, 연장부(3a)의 선단부로부터 도면 좌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약간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갈고리 형상부(3c)와, 갈고리 형상부(3c)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도 10의 우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3b)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3b)는, 그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플랜지부(3b)의 선단부에는 훅(3)을 와이어(6)로부터 빼기 위한 지그를 로킹하는 지그 수용부(5)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편(4)은, 만곡되어 도면 하방으로 연장되고 훅(3)의 갈고리 형상부(3c)의 측방을 통과하여 플랜지부(3b)의 하단부와 거의 동일한 위치의 측방에 도달하고 있다. 표피재 고정용 클립(1)은, 가이드편(4)과 훅(3)의 사이에 와이어(6)가 삽입됨으로써, 가이드편(4)이 훅(3)과의 사이의 간극을 넓히도록 외측으로 휘고, 더 삽입하면, 간극 내에 삽입된 와이어(6)에 훅(3)이 걸려 로킹되는 것이다.
그 밖에, 와이어에 훅이 걸려 로킹하는 구성으로서, 특허문헌 3에 개시하는 것이 있고, 이것은, 훅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 형상의 폐쇄편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배경 기술의 도 10에 도시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1)은, 로킹하기 위해 와이어(6)에 접근할 때에 기울어 있으면, 가이드편(4)이 훅(3)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6)가 가이드편(4)의 외측으로 나와, 훅(3)에 걸리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훅(3)의 자세를 수정하여 다시 삽입할 필요가 있어, 훅(3)의 로킹 작업이 번거로운 것이었다. 또한, 훅(3)에 와이어(6)를 넣는 범위가 좁아, 정확하게 넣기 위해 주위의 쿠션재 등을 펴서 넓혀 변형시켜, 와이어(6)가 보이도록 할 필요가 있어, 강한 힘으로 작업을 행해야 해,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표피재 고정용 클립(1)을 손가락으로 눌러 와이어(6)에 걸려고 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편(4)이 하방으로 낮아지도록 기울기 쉽고, 와이어(6)가 가이드편(4)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이 많아져, 와이어(6)가 훅(3)에 결합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표피재 고정용 클립도 마찬가지로, 가이드편이 길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와이어에 걸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훅 부재는, 훅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의 로킹과 해제를 행하기 위해 훅을 와이어의 하방까지 밀어 내려야 해, 힘이 필요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개구부는 폐쇄편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를 뺄 때에는 폐쇄편을 개방한 상태로 보유 지지하면서 조작하므로, 작업하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한 조작으로 쿠션재 내 등에 있는 와이어에 로킹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양호한 표피재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피재의 단부 모서리에 설치된 로킹용 단부 부재에 로킹하는 로킹부와, 쿠션재의 홈 내에 설치된 와이어에 로킹되는 훅이 설치되고, 상기 표피재와 상기 쿠션재를 연결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이며, 상기 훅은 상기 로킹부의 하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훅에는, 상기 로킹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이 연장부의 선단부로부터 측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로킹부를 향해 경사지는 갈고리 형상부가 설치되고, 상기 로킹부에 가이드편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로킹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도중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훅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의 선단부를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선단부는, 상기 갈고리 형상부의 상기 선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는 소정 간격의 와이어 삽입 관통구를 개방하여 도달하고, 상기 가이드편과 상기 갈고리 형상부의, 상기 와이어 삽입 관통구를 향하는 부분은 각각 가이드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이다.
상기 가이드편과 상기 갈고리 형상부의, 각각 가이드면의 간격은, 상기 와이어 삽입 관통구를 향해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의 선단부는, 상기 갈고리 형상부의 상기 선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갈고리 형상부의 상기 선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상기 훅의 상기 연장부 측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훅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는, 직선형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편을 향하는 연장선보다 상방에,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은, 삼각형의 사변 형상의 도입 통로가 하방을 향해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로킹부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훅의 상기 갈고리의 형상부의 선단부를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훅은, 상기 연장부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이 플랜지부에는, 그 선단부가 상기 로킹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부에 상기 훅을 상기 와이어로부터 빼기 위한 지그를 로킹하는 지그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킹부, 상기 훅, 상기 지그 수용부 및 상기 가이드편은, 합성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쿠션재 내 등에 있는 와이어에 훅을 용이하게 로킹할 수 있어, 용이하고 확실하게 표피재를 쿠션재에 장착할 수 있다. 로킹 작업 시에, 표피재 고정용 클립을 손가락으로 상방으로부터 압입하여 표피재 고정용 클립이 기울어져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확실하게 와이어를 훅에 걸 수 있고,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로킹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양호하다. 또한, 와이어 삽입 관통구를 향해 한 쌍의 가이드면이 삼각형의 사변 형상으로 도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와이어의 위치 결정이 불필요하고, 넓은 범위에서 와이어를 가이드할 수 있어, 확실하게 와이어 삽입 관통구로 와이어가 유도되어 로킹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편의 선단부가, 갈고리 형상부의 선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와이어 삽입 관통구까지의 가이드면을 길게 할 수 있어, 와이어를 삽입할 때의 안내가 행해지기 쉽다. 또한, 가이드편의 선단부는, 갈고리 형상부의 선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훅의 연장부 측에 위치함으로써, 와이어를 갈고리 형상부에서 로킹하는 위치까지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고, 로킹 상태에서, 와이어의 이동 범위를 적게 할 수 있어, 로킹이 유지되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종단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그 밖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종단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그 밖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와이어에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서로 직교하는 XYZ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X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쿠션재(30)의 홈(34)의 심부에 있는 와이어(36)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거나, 혹은 표피재(32)의 단부 모서리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후술하는 로킹용 단부 부재(42)의 단부 모서리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로킹용 단부 부재(42)를 쿠션재(30)의 홈(34)에 삽입하여, 와이어(36)에 로킹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은, X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이며, 쿠션재(30)의 깊이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쿠션재(30) 상에 덮인 후술하는 표피재(32)의 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전후 방향인 X축 방향, 및 상하 방향인 Z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좌우 방향이라고 칭한다. 이 좌우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측방이라고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은,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것이며,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를 갖고, 로킹 갈고리(12)는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아암부(12d)를 갖고, 아암부(12d)의 기단부(로킹 갈고리(12)의 기단부이기도 함)는,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상면(14a)(로킹 갈고리 기부(14)의 일면이라고도 함)의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로킹 갈고리(12)는 상면(14a)으로부터 도 1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방으로 감에 따라 서로의 좌우 방향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로킹 갈고리(12)와 로킹 갈고리 기부(14)로 로킹부(11)가 형성된다. 로킹 갈고리(12)의 선단부(12a)는 각각 내측, 즉, 서로 대향하여 근접하는 방향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선단부(12a)는, 각각 로킹 갈고리 기부(14)와 대향하고, 또한 로킹용 단부 부재(42)에 로킹하는 로킹면(12b)을 갖고, 로킹면(12b)은,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상면(14a)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와 로킹 갈고리 기부(14)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로킹용 단부 부재(42)가 수용되어 로킹된다.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의 아암부(12d)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12c)에는, 스토퍼(16)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16)는, 로킹 갈고리(12)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X축 방향인 두께 방향의 중간의 위치에 설치된 돌조이며, 로킹 갈고리(12)의 로킹면(12b)으로부터 시작하여, 내측면(12c)을 따라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상면(14a)에 도달하고, 내측면(12c) 및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상면(14a)과 마찬가지로 대략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16)의 두께 방향의 폭은, 로킹면(12b)에 가까운 부분이 가장 좁고, 그 아래에 연속되는 내측면(12c)과 상면(14a)의 경계 부분이 가장 넓고, 상면(14a)의 중심 부분이 그 중간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상면(14a)과 반대측의 하면(14b)(로킹 갈고리 기부(14)의 타면이라고도 함)에는, 훅(18)이 설치되어 있다. 훅(18)은, 하면(14b)의,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가 대향하는 방향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고, 하면(14b)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8a)와, 연장부(18a)의 선단부로부터 도 3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로킹부(11)를 향해 경사지는 갈고리 형상부(18c)를 갖는다. 갈고리 형상부(18c)는, 로킹 갈고리 기부(14)를 향해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갈고리 형상부(18c)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부(18c)의 하면인 경사면(18f)에 대해 거의 직각인 평면(18d)에서 절단한 것과 같은 형상이며, 평면(18d)의 상단부 모서리부는 갈고리 형상부(18c)의 선단부(18e)가 되고, 갈고리 형상부(18c)보다 로킹 갈고리 기부(14)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돌출되고, 선단부가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18a)와 갈고리 형상부(18c) 및 그 선단부(18e)로 둘러싸인 U자 형상의 홈부는, 후술하는 와이어(36)가 삽입 관통되는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Y-Z 평면에서 보면, 경사면(18f)은 직선형에 한정되지 않고,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 또는 상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곡면 형상이어도 된다.
훅(18)의, 연장부(18a)의 선단부에는, 갈고리 형상부(18c)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도 3의 우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18b)를 갖는다. 플랜지부(18b)는, 갈고리 형상부(18c)와 반대측의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설치되고,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지그를 수용하는 지그 수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지그 수용부(20)는, 플랜지부(18b)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부(18a)에 대해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로킹 갈고리(12) 측으로 연장되어, 선단부(20a)가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상면(14a)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도달하여,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그 수용부(20)의 좌우 방향의 두께는, 플랜지부(18b)에 가까운 쪽이 얇고, 로킹 갈고리 기부(14)에 근접함에 따라 두꺼워지고, 선단부(20a)에는, 로킹 갈고리(12)의 아암부(12d)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으로 확대되는 경사진 면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 수용부(20)의 선단부(20a)와 로킹 갈고리 기부(14) 사이의 간극은, 지그가 삽입되는 지그 삽입구(21)로 되고, 그 지그 삽입구(21)로부터 연속되어, 연장부(18a)와 플랜지부(18b)와, 지그 수용부(20)로 둘러싸여 지그가 삽입 관통되는 U자형의 홈부(19)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9)의 저부(훅(18)의 상면)는, 지그를 로킹하는 지그 보유 지지 공간(25)이다. 지그 수용부(20)의 훅(18)의 연장부(18a)에 대향하는 내측면(지그가 삽입 관통되는 홈부(19)에 대향하는 면)에는, 플랜지부(18b)의 근방에 결합 돌기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지그 보유 지지 공간(25)은, 홈부(19)와 후술하는 결합 돌기부(24)로 구획되고, 지그의 로킹부가 로킹된다. 결합 돌기부(24)는, 연장부(18a)를 향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돌조이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연장부(18a)에 근접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즉, 결합 돌기부(24)는, 플랜지부(18b)에 가까운 면은, 지그 수용부(20)의 돌출 방향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위치하고, 플랜지부(18b)와 반대측의 면은 지그 수용부(2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지그가 홈부(19)에 삽입되었을 때, 지그의 일부가 둔각으로 교차하는 면을 타고 넘음으로써 결합 돌기부(24)에 결합된다.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 중, 지그 수용부(20)가 형성되는 측의 로킹 갈고리(12)와 반대측의 1개에는, 그 로킹 갈고리(12)와 일체로 가이드편(26)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편(26)은, 로킹 갈고리(12)의 돌출 방향의 중간 부근에 설치되고, 로킹 갈고리(1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하면(14b)의 측방 부근에서 제1 절곡부(26a)가 설치되고, 제1 절곡부(26a)에서 절곡되어 훅(18)의 연장부(18a)에 대해 평행하게 수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훅(18)의 갈고리 형상부(18c)의 연장 방향의 연장선 상에 제2 절곡부(26b)가 형성되고, 제2 절곡부(26b)에서 절곡되어, 연장부(18a)와 하면(14b)의 경계 부근을 향해, 제1 절곡부(26a)의 연장 방향에 대해 90°보다 약간 큰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된 가이드편(26)의 선단부(26d)는 갈고리 형상부(18c)의 선단부(18e)의 연장선 상을 넘어 연장부(18a)에 가까운 위치에 도달해 있다. 가이드편(26)의 제2 절곡부(26b)와 선단부(26d)의 사이에는, 갈고리 형상부(18c)의 선단부(18e)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3 절곡부(26c)가 형성되고, 제3 절곡부(26c)는 로킹 갈고리 기부(14)에 근접하는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절곡되고, 선단부(26d)는 약간 로킹 갈고리 기부(14)로부터 이격되는 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편(26)의 제3 절곡부(26c)와 훅(18)의 갈고리 형상부(18c) 선단부(18e) 사이의 간극은, 와이어(36)가 삽입 관통되는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로 된다.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는, 와이어(36)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편(26)의, 제2 절곡부(26b)와 제3 절곡부(26c) 사이의 하측면은,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향해 경사지는 가이드면(22)으로 된다. 갈고리 형상부(18c)의 선단부 측의 평면(18d)도,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향해 경사지는 가이드면(23)으로 된다. 가이드면(22, 23)은,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향해 그 간격은 서서히 좁아져, 삼각형의 사변 형상의 도입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편(26)의 선단부(26d)는 훅부(18)의 선단부(18e)를 넘어 연장부(18a) 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가이드편(26)의 선단부(26d)는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36)를 삽입하였을 때, 와이어(36)를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로킹 상태에 있는 와이어(36)가 용이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정된 로킹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편(26)의 선단부(26d)와 훅부(18)의 연장부(18a)의 간격을, 와이어(36)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더 로킹 상태에 있는 와이어(36)의 이동을 억제할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의 사용 방법에 대해 도 2∼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은,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좌석의 쿠션재(30)의 표면의 소정 위치에 표피재(32)를 덮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쿠션재(30)와 표피재(32)에 대해 설명한다. 쿠션재(30)는, 좌석의 형상으로 성형된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 폼재이다. 쿠션재(30)에는 표피재 고정용 홈(34)이 형성되고, 홈(34) 내에는, 와이어(36)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36)는 금속제의 선재이며, 쿠션재(30)의 성형 시에 인서트 성형으로 내장할 수 있다.
표피재(32)는, 쿠션재(30)의 표면을 덮는 합성 수지 시트 등이며, 쿠션재(30)의 홈(34)에 대응하는 부위에 봉합부(38)를 갖는다. 봉합부(38)는, 한 쌍의 표피재(32) 단부 모서리를 거죽이 안으로 가도록 맞대고, 로킹용 테이프(40)를 겹쳐 봉합한 것이다. 로킹용 테이프(40)의, 봉합부(38)와 반대측의 변 모서리에는, 로킹용 단부 부재(4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로킹용 단부 부재(42)는,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고, 단면 형상이 대략 V자 형상으로 로킹용 테이프(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로킹용 단부 부재(42)는, 로킹용 테이프(40)의 한쪽의 변 모서리를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로킹용 테이프(40)에 장착된다. 로킹용 단부 부재(42)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의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의 내측에 끼워 맞추어지는 크기이며, 로킹용 테이프(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로킹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 홈(44)은,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의 스토퍼(16)가 삽입되는 폭과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쿠션재(30)에 표피재(32)를 덮을 때에는, 먼저, 표피재(32)에 부착된 로킹용 테이프(40)의 로킹용 단부 부재(42)의 임의의 위치에,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장착한다.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은, 로킹용 단부 부재(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장착되고,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의 사이에 로킹용 단부 부재(42)를 압입하면,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가 탄성 변형되어 확대되어, 로킹용 단부 부재(42)가 통과한다. 통과하면 로킹 갈고리(12)의 탄성 변형이 복원되어,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의 선단부(12a)가 로킹용 단부 부재(42)의 봉합부(38) 측의 단부를 덮고, 로킹용 단부 부재(42)가 한 쌍의 로킹 갈고리(12) 사이에 끼워 맞추어져, 빠지는 일이 없다. 이때, 로킹용 단부 부재(42)의 로킹 홈(44)에는, 로킹 갈고리(12)의 스토퍼(16)가 삽입되어,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은 로킹용 단부 부재(4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소정의 위치에서 멈춘다.
그리고,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장착한 표피재(32)의 봉합부(38)를, 목적의 쿠션재(30)의 홈(34)에 일치시키고,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의 훅(18)을 와이어(36)에 대고 손가락 등으로 누른다. 이때, 와이어(36)가 와이어 삽입 관통구(27)와 일치하도록,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더 압입하면, 와이어(36)는 갈고리 형상부(18c)의 경사면(18f)을 따라 가이드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 측의 가이드면(22, 23)으로 유도된다. 더욱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눌러 쿠션재(30)의 홈(34)에 삽입하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향하는 가이드면(22, 23)의 도입 통로에 와이어(36)가 위치하여,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로 유도된다.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는 와이어(36)의 직경보다 작아, 그 상태로는 와이어(36)가 통과할 수 없지만, 또한 이 상태에서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면, 가이드편(26)이 탄성 변형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가 와이어(36)의 직경보다 넓어져,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통과하여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으로 들어간다. 와이어(36)가 통과한 후, 가이드편(26)의 탄성 변형이 복원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가 좁은 상태로 되돌아가, 와이어(36)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이 와이어(36)에 로킹되고,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에 부착된 표피재(32)는, 단부 모서리부가 홈(34)의 아래로 들어간 상태에서, 쿠션재(30)의 표면에 부착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손끝에 보유 지지하여 장착할 때, 와이어(36)가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보다 도면상의 우측에 있고,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이 기울어져 있어, 와이어(36)가 훅(18)의 플랜지부(18b)에 닿을 때라도,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36)는, 가이드면(22, 23)에 가이드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로 유도되어,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와이어(36)의 위치로 온다. 이 상태에서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편(26)이 제2 절곡부(26b)로부터 로킹 갈고리 기부(14)에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가 확대되어, 와이어(36)가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으로 들어가 로킹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36)가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보다 도면상의 좌측에 있을 때에는, 와이어(36)는 가이드편(26)의 제2 절곡부(26b) 부근에 닿아,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 삽입 관통구(27) 부근에 일치시키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와이어(36)를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에 넣어 로킹할 수 있다.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와이어(36)로부터 뺄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긴 봉 형상의 지그를 사용한다. 지그는, 지그 수용부(20)의 홈부(19)보다 길게 형성되고, 지그의 선단부에는 로킹부가 설치되고, 로킹부는 지그 수용부(20)에 설치된 결합 돌기부(24)의 정상부와 연장부(18a)의 간격보다 굵게 설치되어 있다. 지그를, 쿠션재(30)의 홈(34)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의 지그 수용부(20) 측에 삽입하고, 로킹 갈고리(12)와 지그 수용부(20)의 사이에 끼워 넣어 압박한다. 그러면, 지그의 선단부의 로킹부가 지그 수용부(20)의 결합 돌기부(24)에 접촉하고, 더 압박하면 지그 수용부(20)가 탄성 변형되어 확대되고, 로킹부가 통과하면 지그 수용부(20)의 형상은 복원되고, 로킹부는 결합 돌기부(24)의 하방 지그 보유 지지 공간(25)으로 들어가 나오는 일이 없다.
이어서, 지그를 인상하면,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에는 와이어(36)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멘트가 작용한다. 와이어(36)는, 훅(18)의 갈고리 형상부(18c) 선단부(18e)와, 가이드편(26)의 선단부(26d)에 가이드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또한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인상하면, 와이어(36)가 가이드편(26)의 제3 절곡부(26c) 부근에 닿아, 선단부(26d)가 약간 로킹 갈고리 기부(1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가이드편(26)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편(26)의, 제2 절곡부(26b)로부터 선단부(26d) 측의 부분이, 로킹 갈고리 기부(14)에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가 확대되고, 이윽고 와이어(36)가 확대된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은 와이어(36)로부터 빠지고, 표피재(32)가 쿠션재(30)로부터 빠진다.
이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쿠션재(30)의 와이어(36)에 로킹할 수 있어, 용이하고 확실하게 표피재(32)를 쿠션재(30)에 장착할 수 있다. 특히,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손가락으로 보유 지지하여, 지그 수용부(20) 측을 눌러 쿠션재(30)의 홈(34)에 삽입하면, 표피재(32)에 인장되는 힘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므로 표피재 고정용 클립(10) 전체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와이어 삽입 관통구(27)가 하방을 향하고,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를 향하는 가이드면(22)과 가이드면(23)의 삼각형의 사변 형상의 도입 통로가 하방을 향해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대략 와이어 삽입 관통구(27) 부근에서 와이어(36)에 압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와이어(36)에 로킹할 수 있다. 와이어(36)가 와이어 삽입 관통구(27)로부터 벗어나 있어도,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넓은 범위에 압박하여,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것만으로, 와이어(36)는 가이드면(22, 23)으로 유도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27)에 일치하므로, 로킹 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쿠션재(30)의 홈(34) 내에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쿠션재(30)를 압박하여 변형시켜 와이어(36)가 보이도록 할 필요가 없어, 약한 힘으로 효율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숙련이 불필요하여, 누구나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지그에 의해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와이어(36)로부터 뺄 수 있어, 제거 시의 작업 효율도 좋다.
로킹 갈고리(12)에는 스토퍼(16)가 설치되고, 스토퍼(16)가 로킹용 단부 부재(42)의 로킹 홈(44)에 삽입됨으로써,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은 소정의 위치에 로킹되어, 로킹용 테이프(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표피재(32)가 쿠션재(30)에 대해 어긋나는 일이 없어, 표피재(32)에 주름이나 늘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깔끔하게 장착할 수 있어 외관이 양호해진다. 로킹용 단부 부재(42)에는 로킹 홈(4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연성이 높아져,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가이드편(26)은 도중에 제1 절곡부(26a), 제2 절곡부(26b), 제3 절곡부(26)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가이드편(26)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 탄성 변형에 의한 휨 용이성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편(26)은 로킹 갈고리(1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로킹 갈고리 기부(14)에 접속되는 경우보다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단면 형상이라도 가이드편(26)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여, 와이어(36)의 통과가 용이해진다. 가이드편(26)의 선단부(26d)는,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의 저부에 대해, 제3 절곡부(26c)에서 절곡되어 평행에 가까운 각도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을 와이어(36)로부터 뺄 때에는, 선단부(26d)의 연장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촉하여, 용이하게 가이드편(26)을 탄성 변형시켜 뺄 수 있다.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에 와이어(36)가 삽입 관통되어 있을 때에는, 선단부(26d)가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의 저부에 대해 평행에 가까운 각도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므로, 와이어(36)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10)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부(18c)가 상이한 형상이며 가이드편(26)이 짧은 것이어도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은, 상면(14a)과 반대측의 하면(14b)(로킹 갈고리 기부(14)의 타면이라고도 함)에는, 훅(48)이 설치되어 있다. 훅(48)은, 하면(14b)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8a)와, 연장부(48a)의 선단부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로킹 갈고리 기부(14)를 향해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갈고리 형상부(48c)를 갖는다. 갈고리 형상부(48c)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부(48c)의 하면인 경사면(48f)에 대해 대략 수직인 수직면(48d)에서 절단한 것과 같은 형상이며, 수직면(48d)의 상단부 모서리부가 선단부(48e)가 된다. 선단부(48e)는, 갈고리 형상부(48c)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갈고리 형상부(48c)의 측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로킹 갈고리(12)에는, 일체로 가이드편(50)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편(50)은, 로킹 갈고리(12)의 돌출 방향의 중간 부근에 설치되고, 로킹 갈고리(1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킹 갈고리 기부(14)의 하면(14b)의 측방 부근에서 제1 절곡부(50a)가 형성되고, 제1 절곡부(50a)에서 절곡되어 훅(48)의 연장부(48a)에 대해 평행하게 수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훅(48)의 갈고리 형상부(48c)의 연장 방향의 연장선 상에 제2 절곡부(50b)가 형성되고, 제2 절곡부(50b)에서 절곡되어, 연장부(48a)와 하면(14b)의 경계 부근을 향해, 제1 절곡부(50a)의 연장 방향에 대해 90°보다 약간 큰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된 가이드편(50)의 선단부(50d)는 갈고리 형상부(48c)의 선단부(48e)의 근방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위치에 도달하고 있다. 가이드편(50)의 제2 절곡부(50b)와 선단부(50d)의 사이에는, 제3 절곡부(50c)가 형성되고, 제3 절곡부(50c)는 갈고리 형상부(48c)의 선단부(48e)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약간 절곡되어 있다. 가이드편(50)의 선단부(50d)와 갈고리 형상부(48c)의 선단부(48e) 사이의 간극은, 와이어(36)가 삽입 관통되는 와이어 삽입 관통구(52)로 된다.
와이어 삽입 관통구(52)는, 와이어(36)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편(50)의, 제3 절곡부(50c)로부터 선단부(50d) 사이의 하측면은, 삽입 관통구(52)를 향해 경사지는 가이드면(22)으로 된다. 갈고리 형상부(48c)의 선단부 측의 수직면(48d)도, 와이어 삽입 관통구(52)를 수직으로 향하는 가이드면(23)이 된다. 와이어 삽입 관통구(52)를 향해 가이드면(22, 23)의 간격은 서서히 좁아져, 삼각형의 사변 형상의 도입로가 형성된다. 훅(48)의, 연장부(48a)의 선단부에는, 갈고리 형상부(48c)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플랜지부(48b)를 갖고, 플랜지부(48b)의 선단부에는, 지그 수용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쿠션재(30)에 표피재(32)를 덮을 때, 표피재(32)에 부착된 로킹용 테이프(40)의 로킹용 단부 부재(42)의 임의의 위치에,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을 장착한다. 그리고,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의 훅(48)을 와이어(36)에 대고 손가락 등으로 눌러, 와이어(36)가 와이어 삽입 관통구(52)에 일치하도록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을 좌우로 움직이게 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36)가 와이어 삽입 관통구(52)보다 도면 상의 우측에 있을 때에는, 와이어(36)는 훅(48)의 플랜지부(48b)의 경사면(48f)에 닿아,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 삽입 관통구(52) 부근에 일치시키고, 가이드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52)로 유도되어,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와이어(36)의 위치에 온다. 이 상태에서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면, 가이드편(50)이 제2 절곡부(50b)로부터 로킹 갈고리 기부(14)에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52)가 확대되고, 와이어(36)가 와이어 보유 지지 공간(17)으로 들어가 로킹된다.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을 와이어(36)로부터 뺄 때,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의 지그 수용부(54)에 지그를 장착하여, 인상한다. 그러면,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에는 와이어(36)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모멘트가 작용하고, 와이어(36)는, 훅(48)의 갈고리 형상부(48c) 선단부(48e)와, 가이드편(50)의 선단부(50d)에 가이드되어 와이어 삽입 관통구(52)에 위치한다.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을 더 인상하면, 와이어(36)가 가이드편(50)과 훅(48)을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와이어 삽입 관통구(52)가 확대되어, 와이어(36)가 와이어 삽입 관통구(52)를 통과하고,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은 와이어(36)로부터 빠진다.
이 실시 형태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에 의하면, 표피재 고정용 클립(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가이드편(50)의 제2 절곡부(50b)로부터 선단부(50d)까지의 가이드면(22)이 짧으므로, 표피재 고정용 클립(46)을 와이어(36)로부터 빼는 작업을 하기 쉬운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표피재 고정용 클립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부 형상이나 치수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표피재 고정용 클립의 재질이나 표면의 마무리, 색채 등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표피재 고정용 클립은, 한 쌍의 로킹 갈고리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교차하는 두께 방향의 폭은, 로킹 갈고리와 로킹 갈고리 기부를 비교적 넓게 하고, 훅과 지그 수용부, 가이드편은 비교적 좁게 하였지만, 이들은 동일한 폭이어도 되고, 혹은 반대여도 된다. 단, 가이드편이나 지그 수용부는, 변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폭을 좁게 하는 쪽이 적합하다. 로킹 갈고리의 선단부를 모따기한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직사각 형상이어도 된다. 단, 모따기한 형상에 의해 로킹용 단부 부재와의 걸림을 경감시킬 수 있다.
10, 46 : 표피재 고정용 클립
12 : 로킹 갈고리
14 : 로킹 갈고리 기부
16 : 스토퍼
18, 48 : 훅
18a, 48a : 연장부
18b, 48b : 플랜지부
18c, 48c : 갈고리 형상부
18d : 평면
18e, 48e : 선단부
20, 54 : 지그 수용부
22, 23 : 가이드면
26, 50 : 가이드편
26a, 50a : 제1 절곡부
26b, 50b : 제2 절곡부
26c, 50c : 제3 절곡부
26d, 50d : 선단부
27, 52 : 와이어 삽입 관통구
30 : 쿠션재
32 : 표피재
34 : 홈
36 : 와이어
42 : 로킹용 단부 부재
44 : 로킹 홈
12 : 로킹 갈고리
14 : 로킹 갈고리 기부
16 : 스토퍼
18, 48 : 훅
18a, 48a : 연장부
18b, 48b : 플랜지부
18c, 48c : 갈고리 형상부
18d : 평면
18e, 48e : 선단부
20, 54 : 지그 수용부
22, 23 : 가이드면
26, 50 : 가이드편
26a, 50a : 제1 절곡부
26b, 50b : 제2 절곡부
26c, 50c : 제3 절곡부
26d, 50d : 선단부
27, 52 : 와이어 삽입 관통구
30 : 쿠션재
32 : 표피재
34 : 홈
36 : 와이어
42 : 로킹용 단부 부재
44 : 로킹 홈
Claims (10)
- 표피재(32)의 단부 모서리에 설치된 로킹용 단부 부재(42)에 로킹하는 로킹부(11)와, 쿠션재(30)의 홈(34) 내에 설치된 와이어(36)에 로킹되는 훅(18)이 설치되고, 상기 표피재(32)와 상기 쿠션재(30)를 연결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10, 46)에 있어서,
상기 훅(18, 48)은 상기 로킹부(11)의 하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훅(18, 48)에는, 상기 로킹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8a, 48a)와, 이 연장부(18a, 48a)의 선단부로부터 측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로킹부(11)를 향해 경사지는 갈고리 형상부(18c, 48c)가 설치되고,
상기 로킹부(11)에 가이드편(26, 5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편(26, 50)은, 상기 로킹부(11)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도중에 절곡부(26b, 50b)가 형성되어 상기 훅(18, 48)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선단부(18e, 48e)를 향해 굴곡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어 로킹 시에 상기 가이드편(26, 50)의 선단부(26d, 50d)는, 상기 로킹부(11)의 기부(14)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상기 선단부(18e, 48e)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와이어(36)가 삽입 관통되는 소정 간격의 와이어 삽입 관통구(27, 52)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편(26, 50)과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상기 와이어 삽입 관통구(27, 52)를 향하는 부분은 각각 가이드면(22, 23)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26, 50)과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각각 가이드면(22, 23)의 간격은, 상기 와이어 삽입 관통구(27, 52)를 향해 서서히 좁아지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26, 50)의 선단부(26d, 50d)는,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상기 선단부(18e, 48e)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26)의 상기 선단부(26d)는,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의 상기 선단부(18e)를 넘어 연장되어, 상기 훅(18)의 상기 연장부(18a) 측에 위치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18)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는 직선형의 경사면(18f)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18f)을 따라 상기 가이드편(26)을 향하는 연장선보다 상방에, 상기 절곡부(26b)가 형성되어 있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26)은, 상기 로킹부(11)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18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곡부(26b)가 형성되어 상기 훅(18)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선단부(18e, 48e)를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18)은, 상기 연장부(18a)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18b)를 갖고, 이 플랜지부(18b)에는, 그 선단부가 상기 로킹부(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8b)의 선단부에 상기 훅(18)을 상기 와이어(36)로부터 빼기 위한 지그를 로킹하는 지그 수용부(20)가 설치되어 있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1), 상기 훅(18), 상기 지그 수용부(20) 및 상기 가이드편(26)은, 합성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표피재(32)의 단부 모서리에 설치된 로킹용 단부 부재(42)에 로킹하는 로킹부(11)와, 쿠션재(30)의 홈(34) 내에 설치된 와이어(36)에 로킹되는 훅(18)이 설치되고, 상기 표피재(32)와 상기 쿠션재(30)를 연결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10, 46)이며,
상기 훅(18, 48)은 상기 로킹부(11)의 하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훅(18, 48)에는, 상기 로킹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8a, 48a)와, 이 연장부(18a, 48a)의 선단부로부터 측방으로 굴곡되는 갈고리 형상부(18c, 48c)가 설치되고,
상기 로킹부(11)에 가이드편(26, 5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편(26, 50)은, 상기 로킹부(11)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도중에 절곡부(26b, 50b)가 형성되어 상기 훅(18, 48)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선단부(18e, 48e)를 향해 굴곡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어 로킹 시에 상기 가이드편(26, 50)의 선단부(26d, 50d)는, 상기 로킹부(11)의 기부(14)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상기 선단부(18e, 48e)에 근접하는 위치에, 상기 와이어(36)가 삽입 관통되는 소정 간격의 와이어 삽입 관통구(27, 52)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편(26, 50)과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 48c)의, 상기 와이어 삽입 관통구(27, 52)를 향하는 부분은 각각 가이드면(22, 23)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26)의 상기 선단부(26d)는, 상기 갈고리 형상부(18c)의 상기 선단부(18e)를 넘어 연장되어, 상기 훅(18)의 상기 연장부(18a) 측에 위치하는, 표피재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3/079684 WO2015063944A1 (ja) | 2013-11-01 | 2013-11-01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8930A KR20160068930A (ko) | 2016-06-15 |
KR101835243B1 true KR101835243B1 (ko) | 2018-03-06 |
Family
ID=5300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2363A KR101835243B1 (ko) | 2013-11-01 | 2013-11-01 | 표피재 고정용 클립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827890B2 (ko) |
JP (1) | JP6362613B2 (ko) |
KR (1) | KR101835243B1 (ko) |
CN (1) | CN105705066B (ko) |
DE (1) | DE112013007557B4 (ko) |
WO (1) | WO201506394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33990B2 (ja) * | 2013-08-27 | 2017-05-24 | Ykk株式会社 |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とコードの組み合わせ品 |
US9776353B2 (en) * | 2013-10-02 | 2017-10-03 | Velcro BVBA | Longitudinal bead molding |
KR102044721B1 (ko) * | 2015-05-01 | 2019-11-15 |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 표피-재료 고정 클립 |
JP6774487B2 (ja) * | 2016-03-23 | 2020-10-21 | Ykk株式会社 | 表皮材止着用端部材 |
JPWO2017163328A1 (ja) * | 2016-03-23 | 2018-10-04 | Ykk株式会社 | 表皮材止着具 |
KR102113637B1 (ko) | 2016-04-27 | 2020-05-21 |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 커버재 체결 클립 |
US10625645B2 (en) * | 2017-02-13 | 2020-04-21 | Lear Corporation | Trim clip |
KR20190085022A (ko) * | 2017-02-24 | 2019-07-17 |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 표피재 고착구 |
JP6633670B2 (ja) | 2017-04-24 | 2020-01-22 | Ykk株式会社 | 車両シートカバー固定クリップ |
JP6808836B2 (ja) * | 2017-07-25 | 2021-01-06 | Ykk株式会社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WO2019150482A1 (ja) * | 2018-01-31 | 2019-08-08 | Ykk株式会社 | 表皮材固定部材 |
JP7093265B2 (ja) * | 2018-08-10 | 2022-06-29 | Ykk株式会社 | クリップ |
WO2020137624A1 (ja) * | 2018-12-26 | 2020-07-02 | Ykk株式会社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および表皮材止着構造 |
WO2020245670A1 (en) * | 2019-06-06 | 2020-12-10 | Ykk Corporation | Clip for upholstery cover |
KR102392448B1 (ko) * | 2020-08-12 | 2022-04-29 | 주식회사 한동산업 |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
GB2602955B (en) * | 2020-09-22 | 2023-01-11 | Keymed Medical & Industrial Equipment Ltd | Multifunctional equipment holder |
AU2021106430A4 (en) * | 2021-02-18 | 2021-11-04 | Dino Group Pty Ltd | Cable management devic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6511B2 (ja) * | 1995-06-12 | 2001-07-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洗浄ノズル装置 |
US20120284974A1 (en) * | 2011-05-12 | 2012-11-15 |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 Engaging clip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359Y2 (ko) | 1985-09-30 | 1991-02-12 | ||
FR2636320B1 (fr) * | 1988-09-14 | 1993-12-10 | Nobel Plastiques | Dispositif d'accrochage permettant la realisation de rappels de tissus de recouvrement de sieges |
DE19544850A1 (de) * | 1995-12-01 | 1997-06-05 | Hoelzer & Wulf Kunststoff | Befestigungsvorrichtung |
DE29804603U1 (de) | 1998-03-14 | 1999-07-15 | Tillner, Thomas, 49205 Hasbergen | Verriegelungsglied für einen Einzugstab zur profilformenden Verbindung von Polsterbezugmaterial bei Polstermöbeln u.dgl. Polsterteilen |
GB2337291B (en) | 1998-05-14 | 2002-03-20 | Ts Tech Co Ltd | Tensioning clip for seat covering |
JP4210963B2 (ja) * | 1998-05-14 | 2009-01-21 |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 線状部材間の掛止めクリップ |
JP4734549B2 (ja) * | 2004-09-29 | 2011-07-27 |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 トリムカバーの吊込み止着用クリップ |
JP2006122594A (ja) | 2004-11-01 | 2006-05-18 | T S Tec Kk | トリムカバーの吊込み止着用クリップ |
JP5163998B2 (ja) * | 2007-10-23 | 2013-03-13 |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 トリムカバーの吊込み止着用クリップ並びに自動車用シート |
EP2422638A4 (en) * | 2009-03-27 | 2015-05-27 | Kuraray Fastening Co Ltd | CONNECTING ELEMENT FROM A COVER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VERED PEPPER SHAPED BODY |
JP3163446U (ja) | 2010-08-04 | 2010-10-14 | Ykk株式会社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JP5609752B2 (ja) * | 2011-04-13 | 2014-10-22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止着用クリップ |
JP5838855B2 (ja) * | 2012-02-28 | 2016-01-06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表皮材の止着用クリップへの取付構造 |
JP3186511U (ja) * | 2013-07-30 | 2013-10-10 | Ykk株式会社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
2013
- 2013-11-01 WO PCT/JP2013/079684 patent/WO201506394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1-01 CN CN201380080553.6A patent/CN105705066B/zh active Active
- 2013-11-01 US US15/030,769 patent/US9827890B2/en active Active
- 2013-11-01 KR KR1020167012363A patent/KR1018352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1-01 JP JP2015544738A patent/JP6362613B2/ja active Active
- 2013-11-01 DE DE112013007557.1T patent/DE112013007557B4/de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6511B2 (ja) * | 1995-06-12 | 2001-07-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洗浄ノズル装置 |
US20120284974A1 (en) * | 2011-05-12 | 2012-11-15 |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 Engaging cli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827890B2 (en) | 2017-11-28 |
CN105705066B (zh) | 2017-11-28 |
WO2015063944A1 (ja) | 2015-05-07 |
KR20160068930A (ko) | 2016-06-15 |
DE112013007557T5 (de) | 2016-07-14 |
JPWO2015063944A1 (ja) | 2017-03-09 |
CN105705066A (zh) | 2016-06-22 |
US20160264030A1 (en) | 2016-09-15 |
DE112013007557B4 (de) | 2024-08-08 |
JP6362613B2 (ja) | 2018-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5243B1 (ko) | 표피재 고정용 클립 | |
JP6399917B2 (ja)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
KR101550548B1 (ko) | 표피재 지착용 클립 | |
JP3163446U (ja)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
JP6507233B2 (ja)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
US20120284974A1 (en) | Engaging clip | |
EP1832791A1 (en) | A fixture | |
KR102138612B1 (ko) | 표피재 고정 도구 | |
TWI603688B (zh) | buckle | |
US8850671B2 (en) | Clip and attaching structure | |
KR102113637B1 (ko) | 커버재 체결 클립 | |
JP3205190U (ja)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
CN109555763B (zh) | 夹具安装座 | |
JP5560311B2 (ja)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
WO2019021367A1 (ja) |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 |
WO2019150482A1 (ja) | 表皮材固定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