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448B1 -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448B1
KR102392448B1 KR1020200101082A KR20200101082A KR102392448B1 KR 102392448 B1 KR102392448 B1 KR 102392448B1 KR 1020200101082 A KR1020200101082 A KR 1020200101082A KR 20200101082 A KR20200101082 A KR 20200101082A KR 102392448 B1 KR102392448 B1 KR 10239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ver
cushion
fastening
fasten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589A (ko
Inventor
서관수
박상근
김상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동산업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동산업, 주식회사 용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동산업
Priority to KR102020010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4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58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7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adhesion, e.g. glu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원재료의 비용 및 제작비용이 감소되고 쿠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위치의 와이어에 체결되도록 가공이 용이한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에 결합되어 쿠션에 형성된 와이어에 체결되는 커버체결클립으로서, 각각의 일단은 상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전후방으로 분리되면서 각각의 끝단이 서로를 향하도록 절곡 및 연장되며 밀착되는 제1 및 제2 굴곡부들을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COVER FASTENING CLI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커버체결클립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사용되는 커버를 쿠션에 체결시키는 커버체결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충격에 완충기능을 가지는 쿠션의 외부에 쿠션을 보호하는 시트커버를 결합시켜 제작되고, 쿠션 및 시트커버 사이의 체결력 개선을 위해 쿠션에 내장된 와이어와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시트커버에 연결시켜 쿠션 및 시트커버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기존의 클립형태의 체결부재는 형태가 복잡하고 제작단계가 압출, 사출 및 조립 등의 복잡한 단계를 거쳐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높고 제작 소요 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3637호는 커버재 체결 클립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9045호는 차량 시트 커버 체결 클립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제작이 용이하고 다양한 종류의 쿠션에 편리하게 체결되도록 가공이 용이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원재료의 비용 및 제작비용이 감소되고 쿠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위치의 와이어에 체결되도록 가공이 용이한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에 결합되어 쿠션에 형성된 와이어에 체결되는 커버체결클립으로서, 각각의 일단은 상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전후방으로 분리되면서 각각의 끝단이 서로를 향하도록 절곡 및 연장되며 밀착되는 제1 및 제2 굴곡부들을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굴곡부는 일단은 하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은 후크 형태로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끝단이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굴곡부는 일단은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은 후크 형태로 후방을 향해 절곡되며 연장되어 타단 저면은 상기 제1 굴곡부의 끝단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체결클립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커버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와 동일한 형태로 압출 방식을 통해 길게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된 몰딩에서 상기 와이어의 위치의 직상방에 해당되는 상기 몰딩의 일부분을 남기고 재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커버클립의 제조방법은 탄성클립 형태로 형성된 몰딩을 일 방향으로 압출하는 몰딩압출단계, 상기 몰딩에 접착소재를 부착하는 접착제부착단계, 천 형태의 결합부를 상기 접착소재에 부착하는 결합부접착단계, 상기 몰딩 및 결합부를 압착하는 압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의 일부를 상기 압출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커팅시켜 상기 결합부와 분리시키면, 체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형 형태의 부직포로 제작되어 상기 몰딩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체결클립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압출되어 제작되는 몰딩을 부직포 형태의 결합부와 접착시킨 후 몰딩의 일부분을 재단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쿠션에 체결되도록 맞춤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체결클립은 구조가 심플하고, 재단에 의한 길이조절에 따라 쿠션에 형성된 와이어와의 체결력 조절이 가능하며, 재단 가공 전단계까지 자동으로 제작되므로 제작원가 및 제작소요시간이 감축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결클립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커버체결클립의 제조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들.
도 4는 도 1의 커버체결클립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충격에 완충기능을 가지는 쿠션의 외부에 쿠션을 보호하는 시트커버를 결합시켜 제작되고, 쿠션 및 시트커버 사이의 체결력 개선을 위해 쿠션에 내장된 와이어와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시트커버에 연결시켜 쿠션 및 시트커버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기존의 클립형태의 체결부재는 형태가 복잡하고 제작단계가 압출, 사출 및 조립 등의 복잡한 단계를 거쳐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높고 제작 소요 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커버체결클립(1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압출되어 제작되는 몰딩을 부직포 형태의 결합부와 접착시킨 후 몰딩의 일부분을 재단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쿠션에 체결되도록 맞춤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체결클립(100)은 구조가 심플하고, 재단에 의한 길이조절에 따라 쿠션에 형성된 와이어와의 체결력 조절이 가능하며, 재단 가공 전단계까지 자동으로 제작되므로 제작원가 및 제작소요시간이 감축되는 장점이 있다.
커버체결클립(100)은 체결부(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커버체결클립(100)의 상부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사각천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30)와 결합되고, 하부는 단일 또는 복수의 클립 형태의 체결부(200)들이 상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체결부(200)는 연결부(210), 제1 굴곡부(220) 및 제2 굴곡부(240)를 포함한다.
체결부(200)의 일단은 상부에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후방으로 분리되면서 각각의 끝단이 서로를 향하도록 절곡되며 밀착되는 후크 형태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10)는 일측에 해당하는 제1 방향(1) 또는 타측에 해당하는 제2 방향(2)으로 연장되는 사각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부(210)의 배면은 접착소재를 통해 결합부(300)와 면결합된다.
제1 굴곡부(220)는 수직부재(221) 및 지지부재(222)를 포함한다.
제1 굴곡부(22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사각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2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끝단이 상부를 향하는 후크 형태로 절곡 및 연장되어 제1 공간(10)을 둘러싼다.
수직부재(221)는 넓은 표면들이 전후방에 배치되고 양측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사각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며, 배면이 연결부(210)의 배면과 연결되어 평면을 형성하도록 연결부(2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지지부재(222)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부재(221)의 하부 전면에서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 전방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사각 수직판 형태로 형성된다.
제2 굴곡부(240)의 일단은 연결부(210)의 하부 전방 및 제1 굴곡부(2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전방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 및 후방을 향해 절곡되며 연장되어 제1 굴곡부(220)의 타단 상부에 밀착되는 후크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부재(241)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사각스틱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 및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탄성부재(242)와 연결된다.
탄성부재(242)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경사부재(241)의 타단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경사부재(241)와 이격된 상태로 후방 및 상부를 향해 사각판 형태로 연장되어 저면 일부분은 지지부재(222)의 타단 상부에 밀착되고 일부는 지지부재(222)의 후방 상부로 연장된다.
탄성부재(242) 및 경사부재(241)의 사이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2 공간(12)이 형성되고, 제2 공간(12)은 탄성부재(242)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 공간(10)과 연결된다.
탄성부재(242)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탄성 이동되고, 커버체결클립(100)이 쿠션(20)의 삽입홈(23)에 삽입되면, 와이어(22)는 탄성부재(242)를 상부로 밀어내면서 지지부재(222)의 타단을 지나 제1 또는 제2 공간(10, 12)으로 삽입된다.
결합부(300)는 넓은 표면이 전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사각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며, 부직포 소재로 제작되어 체결부(200)의 일단에 부착되며, 부직포 대신에 플렉서블한 형태의 고분자나 천연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결합부(300)의 하부 일부분은 체결부(200)의 연결부(210) 안쪽에 삽입되어 체결부(200)와 결합될 수 있고, 연결부(210)의 배면에 접착소재를 통해 접착 및 압착되어 체결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00)의 상부에는 쿠션(20)의 외부를 커버하는 커버(30)가 결합되고, 체결부(200)들 각각이 쿠션(20)에 형성된 삽입홈(23)들 각각에 삽입되어 와이어(22)들 각각과 결합되면 커버(30)는 쿠션(20)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쿠션(20)을 커버한다.
체결부(200)는 결합부(300)와 동일한 길이만큼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몰딩 형태로 제작된 후 외부에 노출되는 와이어(22)의 위치에 삽입되는 부분만 제외하고 커팅되어 완성되고, 연결부(21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접착소재를 통해 결합부(300)와 자동으로 부착된다.
작업자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길게 연장된 몰딩 형태의 체결부(200)의 일부분들을 커팅시켜 삽입홈(23)들 각각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의 체결부(200)들 각각을 위치시킬 수 있다.
쿠션(20)에 형성되는 삽입홈(23)들 및 삽입홈(23)들 각각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22)의 위치는 쿠션(20) 또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변경되므로, 작업자는 몰딩 형태로 압출되어 제작되는 체결부(200)의 일부분들을 커팅시켜 삽입홈(23)들의 배열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복수의 체결부(200)들이 위치되도록 체결부(200)의 수작업 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커버체결클립(100)은 체결부(200)의 가공을 통해 쿠션(20)의 삽입홈(23)에 체결부(200)가 결합부(300) 및 커버(30)의 구김없이 삽입되도록 복수의 체결부(200)들의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체결부(200)로 가공되는 몰딩(400)은 몰딩압출장치를 통해 제1 방향(1)으로 압출되면서 제작되고, 체결부(200)와 측면 길이는 다르지만 단면 구조는 동일한 제1 및 제2 굴곡부(220, 240)가 형성된다.
즉 몰딩(40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는 도 1의 체결부(200)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쪽 측면 구조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몰딩(400)이 제1 방향(1)으로 압출 및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접착소재 공급장치를 통해 몰딩(400)의 상부에 접착소재(410)가 자동으로 공급되고, 접착소재(410)가 부착되는 동시에 접착소재(4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결합부공급장치는 결합부(300)를 접착소재(410)의 상부에 공급시킨다.
서로 밀착되는 결합부(300), 접착소재(410) 및 몰딩(400)은 압착롤러(420) 및 지지대(430)의 사이를 지나면서 압착되어 서로 결합되고, 몰딩(400)의 일부분을 커팅시켜 쿠션(20)의 삽입홈(23)들 각각의 배열 위치에 맞도록 단일 또는 복수의 체결부(200)가 제작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커버체결클립(100)의 제조방법에서 몰딩압출단계(S101)는 상기 몰딩압출장치를 통해 압출방향(제1 방향(1))으로 쿠션(20)의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는 몰딩(400)을 압출한다.
접착제부착단계(S102)에서는 상기 압출방향으로 압출 및 연장되는 몰딩(400)이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압출방향으로 이동하고, 체결부(200)의 배면에 해당되는 접착소재(410)가 몰딩(400)의 상부면에 자동으로 공급되어 몰딩(400)의 상부면과 결합한다.
결합부접착단계(S103)에서는 접착소재(410)가 부착된 몰딩(400)의 상부에서 결합부(300)를 접착소재(410)의 상부에 공급 및 부착하여 결합부(300)를 접착소재(410)의 상부에 부착한다.
압착단계(S104)에서는 접착소재(4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결합부(300) 및 몰딩(400)의 일부분이 지지대(430) 및 압착롤러(420)의 사이를 지나고, 지지대(430) 및 압착롤러(420)가 결합부(300), 접착소재(410) 및 몰딩(400)을 압착하여 결합부(300), 접착소재(410) 및 몰딩(400)의 결합력을 개선한다.
커팅단계(S105)에서는 몰딩(400)의 일부분을 커팅하여 쿠션(20)의 단일 또는 복수의 삽입홈(23)들 각각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단일 또는 복수의 체결부(200)들을 가공한다.
따라서, 커버체결클립(100)은 몰딩압출을 통해 제작되는 몰딩(400)에 결합부(300)를 자동으로 부착시켜 제작공정이 최소화되고, 다양한 종류의 쿠션(20)에 각기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홈(23)에 삽입되도록 몰딩(400)을 가공하여 삽입홈(23)의 위치에 해당하는 체결부(200)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공정이 신속하고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커버체결클립 200: 체결부
300: 결합부 400: 몰딩
410: 접착소재 420: 압착롤러
430: 지지대

Claims (5)

  1. 탄성클립 형태로 형성된 몰딩을 일 방향으로 압출하는 몰딩압출단계;
    상기 몰딩에 접착소재를 부착하는 접착제부착단계;
    천 형태의 결합부를 상기 접착소재에 부착하는 결합부접착단계;
    상기 몰딩 및 결합부를 압착하는 압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의 일부를 상기 압출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커팅시켜 상기 결합부와 분리시키면,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결클립의 제조방법.
  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형 형태의 부직포로 제작되어 상기 몰딩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결클립의 제조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의한 커버체결클립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결클립.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1082A 2020-08-12 2020-08-12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2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82A KR102392448B1 (ko) 2020-08-12 2020-08-12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82A KR102392448B1 (ko) 2020-08-12 2020-08-12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89A KR20220020589A (ko) 2022-02-21
KR102392448B1 true KR102392448B1 (ko) 2022-04-29

Family

ID=8047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082A KR102392448B1 (ko) 2020-08-12 2020-08-12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4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74719A1 (en) * 2013-08-27 2016-06-23 Ykk Corporation Crip and Cord
WO2015063944A1 (ja) * 2013-11-01 2015-05-07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6633670B2 (ja) * 2017-04-24 2020-01-22 Ykk株式会社 車両シートカバー固定クリップ
KR20180130317A (ko) * 2017-05-29 2018-12-07 김재영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89A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2170B (zh) 雨刮片
CN110996724B (zh) 座椅装置和构造方法
KR102392448B1 (ko)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04932A (zh) 缓冲垫及其制造方法
CN102741087A (zh) 具有塑料构成或涂塑的功能元件的塑料构成的椅背
CN104010550B (zh) 用于车辆座椅弹簧垫上的缆线固定元件,弹簧垫和车辆座椅
CN103338682B (zh) 椅子用张紧铺设件的张紧铺设构造
CN106926762A (zh) 一种用于生产汽车地毯的成型平板压机装置
CN1162319C (zh) 制造座位的方法
CN201201538Y (zh) 复合型汽车地板
CN214028333U (zh) 汽车座椅皮革面套
KR200237489Y1 (ko) 시트커버와 쿠션재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가진 차량의 시트
CN220824098U (zh) 一种新型椅座
JP6719690B1 (ja) 天然木複合素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型品
CN105533985A (zh) 免弹簧的新型塑料夹结构
CN202112442U (zh) 一种塑料搭扣
CN110577080A (zh) 一种方条料送料机构
CN201457162U (zh) 一种汽车地毯周边固定装置
CN205947908U (zh) 一种卷式夹板
CN212970043U (zh) 头带支架、头带结构和头戴式耳机
CN101648534B (zh) 一种用于固定汽车地毯边缘的固定装置
CN205612005U (zh) 免弹簧的新型塑料夹结构
CN219706757U (zh) 一种便于拆卸的汽车坐垫
CN104013291B (zh) 一种地垫及其制作方法
CN214902965U (zh) 一种感应式自动加热宠物睡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