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317A -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 Google Patents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317A
KR20180130317A KR1020170066281A KR20170066281A KR20180130317A KR 20180130317 A KR20180130317 A KR 20180130317A KR 1020170066281 A KR1020170066281 A KR 1020170066281A KR 20170066281 A KR20170066281 A KR 20170066281A KR 20180130317 A KR20180130317 A KR 20180130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lip
seat pad
wir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서성재
Original Assignee
김재영
서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서성재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2017006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317A/ko
Publication of KR2018013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41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이 차량용 시트 패드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에 결합되고, 타측이 시트 패드에 씌워지는 시트 커버에 결합되어 시트 커버를 시트 패드에 부착시키는 조립체로서, 시트 커버의 이면에 형성된 연결천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디와, 보디의 양측면에 외표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걸림홈을 갖는 걸림구 및, 시트 패드의 외측에 마련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시트 패드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를 거는 후크부와, 지지부의 타측에서 상호 대면하게 돌출 형성되어 걸림홈에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 갈고리를 갖는 클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Seat Covering Assembly and method for Seat Cover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나 자동차의 시트 패드에 시트 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이용되는 의자나 자동차의 시트 등에서는 시트면이나 등받이 등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에 우레탄 폼 패드가 설치되고, 우레탄 폼 패드 표면에는 시트 커버가 씌워져 장착된다.
우레탄 폼 패드에 시트 커버를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호그링을 이용한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호그링 공법은 작업자가 무거운 호그링 기계를 이용하여 연속작업을 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고,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8956호(2014.01.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무거운 호그링 기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시트 패드에 시트 커버를 부착할 수 있어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의한 시트 커버링 조립체는 일측이 차량용 시트 패드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에 결합되고, 타측이 시트 패드에 씌워지는 시트 커버에 결합되어 시트커버를 상기 시트 패드에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시트 커버의 이면에 결합되는 연결천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디와, 보디의 양측면에 외표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걸림홈을 갖는 걸림구와, 시트 패드의 외측에 마련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시트 패드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를 거는 후크부와, 지지부의 타측에서 상호 대면하게 돌출 형성되어 걸림홈에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 갈고리를 갖는 클립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의 일측에는 후크부에 걸림된 와이어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후크부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후크부는 지지부의 일측에서 지지부의 중심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경사부의 단부에서 지지부와 평행하게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단부에서 지지부의 중심을 향해 상향 만곡지게 형성된 갈고리 형상부를 포함한다. 시트 커버링 조립체.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의 외측면에는 와이어의 축선방향을 따라 안착부에 안착되는 평면부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경사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강도 보강용 리브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클립은 인서트 방식에 의해 후크부가 와이어에 걸림된 상태로 시트 패드에 매립되어 시트 패드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걸림홈과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 갈고리의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걸림 갈고리의 각각의 타측 단부에는 누름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무거운 호그링 기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시트 패드에 시트 커버를 부착할 수 있어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조립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조립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100)는 일측이 차량용 시트 패드(10)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14)에 결합되고, 타측이 시트 패드(10)에 씌워지는 시트 커버(12)에 결합되어 시트 커버(12)가 시트 패드(10)에 부착되게 하는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100)는 걸림구(110), 클립(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림구(1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해 압출 성형된다. 이러한, 걸림구(110)는 시트 커버(12)의 이면에 형성된 연결천(118)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114)이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디(112)와, 보디(112)의 양측면에 외표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걸림홈(116)을 갖는다.
연결천(118)은 시트 커버(12)의 이면에 일측이 재봉결합되고, 타측은 걸림구(110)의 사출성형시 인서트되어 끼움홈(114)에 결합된다.
클립(120)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세탈(Polyacetal)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해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클립(120)은 시트 패드(10)의 외측에 마련된 지지부(122)와, 지지부(122)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시트 패드(10)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14)를 거는 후크부(124)와, 지지부(122)의 타측에서 상호 대면하게 돌출 형성되어 걸림홈(116)에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를 갖는다.
여기서, 클립(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방식에 의해 시트 패드(10)의 발포 성형시 후크부(124)가 와이어(14)에 걸림된 상태로 와이어(14)와 함께 시트 패드(10)에 매립되어 시트 패드(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가 형성된 지지부(122)의 타측면에는 슬라브 패드(S.B)가 부착되는데, 이는 시트 패드(10)의 발포 성형시 지지부(122)의 타측면과 성형금형(미도시) 사이로 발포 수지가 침투되어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가 발포 수지에 의해 함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4)만 시트 패드(10)에 매립되도록 시트 패드(10)를 발포 성형하고, 클립(120)을 별도로 와이어(14)에 걸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시트 패드(10)에는 클립(120)이 시트 패드(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와이어(14)와 걸림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깊이와 폭을 갖는 도랑 형상의 홈(10a)이 형성되어야 한다.
지지부(122)의 일측에는 후크부(124)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단부가 지지부(122)를 향해 탄성 이동되는 가압부(126)가 형성되는데, 가압부(126)는 후크부(124)에 걸림된 와이어(14)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후크부(124)가 와이어(14)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가압부(126)의 단부에는 가압돌부(126a)가 형성된다.
후크부(124)는 지지부(122)의 일측에서 지지부(122)의 중심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24a)와, 경사부(124a)의 단부에서 지지부(122)와 평행하게 돌출형성되는 안착부(124b)와, 안착부(124b)의 단부에서 지지부(122)의 중심을 향해 상향 만곡지게 형성된 갈고리 형상부(12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갈고리 형상부(124c)는 안착부(124b)의 단부에 안착부(124b)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안착부(124b)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부분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사부(124a)와 지지부(122) 사이에는 강도 보강용 리브(125)가 형성되는데, 강도 보강용 리브(125)는 와이어(14)의 축선방향 또는 와이어(14)의 축선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외력이 후크부(124)에 가해졌을 때 후크부(124)가 파손되지 않게 한다.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의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부(128a)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걸림부(128a)는 전술한 걸림구(110)의 보디(112)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16)에 걸림되어 걸림구(110)가 클립(120)에 결합되게 한다. 걸림부(128a)의 상면은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 사이에 끼워지는 걸림구(110)의 축선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걸림구(110)가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 사이로 끼워질 때 손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또한,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의 각각의 타측 단부에는 누름부(128b)가 형성되는데, 이 누름부(128b)는 시트 커버(12)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0)의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누름부(128b)를 눌러 걸림부(128a)가 걸림홈(116)으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걸림구(110)가 클립(1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와이어(14)의 외측면에는 와이어(14)의 축선방향을 따라 전술한 클립(120)의 안착부(124b)에 안착되는 평면부(14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와이어(14)의 평면부(14a)와 안착부(124b)가 면접촉되게 하여 클립(120)의 후크부(124)가 와이어(14)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부(124)가 와이어(14)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지 않게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의 조립을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구(110)는 끼움홈(114)에 끼움결합된 연결천(118)을 통해 시트 커버(12)의 이면에 결합된 상태이다.
클립(120)은 도 3에 바와 같이 시트 패드(10)의 발포 성형시 그 내부에 매립되어 시트 패드(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패드(10)와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클립(120)이 시트 패드(10)와 일체로 구성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연결천(118)을 통해 시트 커버(12)에 결합된 걸림구(110)를 클립(120)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 사이로 밀어 넣으며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의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면서 걸림구(110)가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 사이로 삽입됨과 동시에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의 각각의 일측 단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걸림부(128a)가 걸림홈(116)에 걸림됨으로써 걸림구(110)와 클립(120)의 체결되어 시트 패드(10)에 시트 커버(12)를 부착시키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달리 클립(120)이 시트 패드(10)와 분리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클립(120)의 후크부(124)를 시트 패드(10)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14)에 걸리도록 시트 패드(10)에 일정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된 도랑 형상의 홈(10a)에 삽입시켜 후크부(124)를 와이어(14)에 걸림 결합시킨 후, 연결천(118)을 통해 시트 커버(12)에 결합된 걸림구(110)와 클립(120)을 체결시킴으로써 시트 패드(10)에 시트 커버(12)를 부착시키는 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링 조립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은 연결천(118)이 결합된 걸림구(110) 및 클립(120)을 준비하는 (A) 단계와, 시트 커버(12)의 이면에 연결천(118)을 결합하는 (B) 단계와, 클립(120)의 후크부(124)를 시트 패드(10)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14)에 결합시키는 (C) 단계와, 걸림구(110)의 걸림홈(116)이 클립(120)의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에 걸림 결합되게 하여 걸림구(110)와 클립(120)을 결합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단계에서 걸림구(1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해 압출 성형되고, 연결천(118)은 걸림구(110)의 압출 성형시 인서트되어 끼움홈(114)에 결합된다. 클립(120)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세탈(Polyacetal)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해 사출 성형된다.
(B) 단계에서 연결천(118)의 일측은 시트 커버(12)의 이면에 재봉결합되고, 타측은 걸림구(110)의 사출성형시 인서트되어 끼움홈(114)에 결합된다.
(C) 단계는 클립(120)의 후크부(124)를 시트 패드(10)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14)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클립(120)을 와이어(14)에 걸림 결합시킨 상태로 인서트 방식에 의해 시트 패드(10)의 발포 성형시 시트 패드(10)에 매립되어 시트 패드(10)와 일체화하거나, 와이어(14)만 시트 패드(10)와 일체화되도록 시트 패드(10)를 발포 성형한 후 클립(120)을 별도로 와이어(14)에 결합할 수 있다.
(D) 단계는 걸림구(110)의 걸림홈(116)이 클립(120)의 한 쌍의 걸림 갈고리(128)에 걸림 결합되게 하여 걸림구(110)와 클립(12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걸림구
112; 보디
114; 끼움홈
116; 걸림홈
118; 연결천
120; 클립
122; 지지부
124; 후크부
124a; 경사부
124b; 안착부
124c; 갈고리 형상부
125; 강도 보강용 리브
126; 가압부
126a; 가압돌부
128; 걸림 갈고리
128a; 걸림부
128b; 누름부
S.P;슬라브패드

Claims (10)

  1. 일측이 차량용 시트 패드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시트 패드에 씌워지는 시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커버를 상기 시트 패드에 부착시키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시트 커버의 이면에 결합되는 연결천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디와, 상기 보디의 양측면에 외표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걸림홈을 갖는 걸림구; 및,
    상기 시트 패드의 외측에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시트 패드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를 거는 후크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서 상호 대면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 갈고리를 갖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부에 걸림된 와이어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상기 후크부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향해 상향 만곡지게 형성된 갈고리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강도 보강용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인서트 방식에 의해 상기 후크부가 상기 와이어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시트 패드에 매립되어 상기 시트 패드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과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걸림 갈고리의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 갈고리의 각각의 타측 단부에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
  9. 청구항 1의 시트 커버링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트 패드에 시트 커버를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연결천이 결합된 걸림구 및 상기 클립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시트 커버의 이면에 상기 연결천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클립의 후크부를 상기 시트 패드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걸림구의 결합홈이 상기 클립의 한 쌍의 걸림 갈고리에 걸림 결합되게 하여 상기 걸림구와 상기 클립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클립은 상기 후크부가 상기 와이어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인서트 방식에 의해 상기 시트 패드에 매립되어 상기 시트 패드와 일체화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링 조립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KR1020170066281A 2017-05-29 2017-05-29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KR20180130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281A KR20180130317A (ko) 2017-05-29 2017-05-29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281A KR20180130317A (ko) 2017-05-29 2017-05-29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317A true KR20180130317A (ko) 2018-12-07

Family

ID=6466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281A KR20180130317A (ko) 2017-05-29 2017-05-29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3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89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한동산업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14413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20230014411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20230014412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20230014410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89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한동산업 커버체결클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14413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20230014411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20230014412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20230014410A (ko) * 2021-07-21 2023-01-3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0317A (ko)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US9127740B2 (en) Anti-vibration clamp
JP2020507514A (ja) 装飾材リスティングのための止めクリップアセンブリ
US20110260025A1 (en) Carpet clamp
KR20130062976A (ko) 표피재 고정 부착용 클립
KR20150014862A (ko) 표피재 지착용 클립
CA2935060C (en) Self aligning clip trench for a foam pad
US9440569B2 (en)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36139B1 (ko) 시트 커버링 조립체
JP2007275557A (ja) クリップ部材及びクッション部材の表皮材吊込構造
KR101608198B1 (ko)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US4797983A (en) Connectors for insert moulding in panels
WO2008050393A1 (fr) Structure pour connecter un corps de coussinet et un corps de couvercle
KR102416403B1 (ko) 폼 쿠션에의 자동차 시트 커버 고정
JP5199159B2 (ja) ベルト用プロファイル及びプロファイル付きベルト
JP6376596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組付け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JP2015123329A (ja) 表皮吊込構造
KR102010340B1 (ko) 지퍼 헤드 구조 및 지퍼 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101680984B1 (ko) 자동차 시트커버 취부용 클립 체결부재
KR101524087B1 (ko) 시트 커버링 서스펜더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조립기구
JP7372645B2 (ja) シート
KR101477924B1 (ko) 자동차용 보조매트의 고정장치
JP7060456B2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WO2020021834A1 (ja) 乗物用シート
KR20190135758A (ko) 시트 커버링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