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198B1 -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198B1
KR101608198B1 KR1020140078321A KR20140078321A KR101608198B1 KR 101608198 B1 KR101608198 B1 KR 101608198B1 KR 1020140078321 A KR1020140078321 A KR 1020140078321A KR 20140078321 A KR20140078321 A KR 20140078321A KR 101608198 B1 KR101608198 B1 KR 10160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astening
carpet
upper member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729A (ko
Inventor
정상진
Original Assignee
두올산업(주)
(주)협진피엘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올산업(주), (주)협진피엘,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두올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07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1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페트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면 중심에는 보조매트가 끼워져 고정되는 매트고정후크를 돌출 형성하고, 저면 일측에는 체결후크를 하향으로 연장형성한 판 상의 상부부재와, 상기 카페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상기 상부부재의 타측 저면에서 연장형성한 연결리브와 연결된 판 상의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하부부재가 연결리브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체결될 시, 상기 상부부재의 체결후크와 상응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가 서로 체결토록 하는 체결홈 및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가 서로 체결될 시,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카페트를 저면을 침투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복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여,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가 장착되는 카페트의 두께에 제약을 받지않아 모든 차량에 적용 가능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지고,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가 카페트에 친밀하게 결합 고정되며, 카페트에 대해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고정력을 배가 시키는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Car Mats fixtures}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카페트에 설치되어 차량용 보조매트가 유동하지 못하게 고정하는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실내 활동의 청결을 위하여 플로어 카페트가 깔려있고, 이 플로어 카페트 상에 보조매트가 얹어지게 된다.
일반 승용차의 실내용 보조매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각 전방 보조매트가 장착되고, 뒷좌석에는 양측과 중앙에 보조매트가 얹어지게 된다.
보통 뒷좌석에는 그 간격이 좁아서 보조매트가 유동될 여유가 없고, 또한 탑승자의 활동이 별로 없는 편이나, 앞좌석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은 그 유동의 여지가 많고, 탑승자가 운전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활동이 많은 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보조매트는 단순히 플로어 매트에 얹어져 장착되므로, 운전자나 그 옆의 탑승자의 활동에 의하여 보조매트가 유동하거나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특히 운전자에게는 이로 인하여 페달의 오작동이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03-0039409호(2003.05.22)에서는 차량의 플로어 매트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상기 플로어 매트의 양쪽면을 잡아주는 집게부가 설치되며, 이 집게부의 상측면에 걸이부가 부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걸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보조매트에 링이 삽입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매트 장착구조를 제공하였고,
공개특허 제10-2003-0008922호(2003.01.29)에서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간의 사이에 카펫을 개재하여 지지하는 상,하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일측 상면에 " ㄷ"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카 매트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구멍이 끼워 삽입되며, 양측 내면에 힌지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의 힌지홈의 하부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단부가 카 매트의 일측면에 걸림되는 훅크;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카 매트 고정구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카페트에 대한 고정력이 불안정하여, 카페트 상에서 클립의 위치가 유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트의 위치 또한 조금씩 유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페트의 두께는 사용되는 제품의 종류, 적용되는 차종 등에 따라 상이한데, 종래에는 카페트의 두께마다 그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고정구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고정구의 규격이 많아지고 제품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삽입홀 내부에는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 내부로 진입한 체결후크를 배후에서 점진적으로 걸림편 측으로 가압하는 압박편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체결후크가 상기 삽입홀 내에 형성된 걸림편과의 체결력이 강화되면서 카페트에 대해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고정력을 배가 시켜, 카페트에 대한 고정력이 안정적이고 다양한 두께의 카페트들에 대해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는 상부부재의 타측 저면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리브와 연결된 판 상의 하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하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부재가 연결리브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부재에 체결될 시, 상부부재의 체결후크와 상응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블럭이 포함되며, 상기 체결블럭은 그 상부에 상기 체결후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연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가 서로 체결될 시,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카페트를 저면을 침투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복수의 스파이크가 포함되는데, 상기 한 쌍의 연결편은 한 쌍의 연결편 중 일측방의 연결편 상면은 타측방의 연결편 하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것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체결후크가 상기 삽입홀 내에 형성된 걸림편과의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삽입홀 내부에서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 내부로 진입한 체결후크를 배후에서 점진적으로 상기 걸림편 측으로 가압하는 압박편이 포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한 쌍의 연결편 중 일측방의 연결편의 상면은 타측방의 하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치하여, 체결블럭을 형성할 시 종래보다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걸림편의 유동을 방지해 체결후크와의 체결력을 높혀 과도한 물리적 힘에도 체결후크가 체결홀에서 이탈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삽입홀 내부에는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 내부로 진입한 체결후크를 배후에서 점진적으로 걸림편 측으로 가압하는 압박편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체결후크가 상기 삽입홀 내에 형성된 걸림편과의 체결력이 강화되면서 카페트에 대해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고정력을 배가 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를 카페트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를 카페트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일 요부인 체결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체결부를 금형으로 형성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체결부를 금형으로 형성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를 카페트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를 카페트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의 일 요부인 체결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카페트에 설치되어 차량용 보조매트가 유동하지 못하게 고정하는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로 구성한다.
먼저 상부부재(110)는 판 상으로, 상기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100)를 카페트(A)에 장착되면, 상기 카페트(A)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부재(110)의 상면 중심에는 매트고정후크(11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매트고정후크(111)를 통해 보조매트(B)의 일측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110)의 저면 일측에는 체결후크(112)를 하향으로 연장하되, 끝단이 상향으로 향한 고리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110)의 체결후크(112)는 상기 상부부재(110)의 저면 일측에서 하향으로 연장형성되므로 자체 탄성을 가지고, 상향으로 연장된 끝단 역시 자체 탄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후크(112)의 다른 예로, 상기 카페트(A)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하부부재(120)의 삽입홀(131)에 삽입되는 깊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다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110)의 저면 중심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요철을 형성한 요철면(113)을 형성하여, 상기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100)가 상기 카페트(A)에 장착된 후, 상기 요철면(113)이 카페트(A)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부재(110)가 상기 카페트(A) 상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110)의 저면 타측에는 상기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100)가 상기 카페트(A)에 장착될 시, 상기 카페트(A)에 형성된 장착홀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보강리브(114)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리브(114)에는 연결리브(115)를 연장 형성한다.
상기 연결리브(115)에는 지지편(116)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100)가 상기 카페트(A)에 장착되면 상기 카페트(A)의 타측 저면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리브(115)에는 하부부재(120)의 타측이 연결되는데, 상기 하부부재(120) 역시 판 상으로, 상기 카페트(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20)는 상기 연결리브(115)를 축으로 회동하며, 상기 연결리브(115)를 통해 회동된 상기 하부부재(120)는 상기 상부부재(11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위치된 상기 상부부재(110)와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로 이루어진 상기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100)가 상기 카페트(A)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부재(120)의 일측에는 체결홈(130)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부재(110)의 체결후크(112)와 서로 상응하여 체결토록 한다.
상기 상부부재(110)의 체결후크(113)와 체결되는 상기 하부부재(120)의 체결홈(130)은 상기 상부부재(110)의 상기 체결후크(113)가 삽입되도록 진입하는 삽입홀(13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체결홈(130)에 형성되는 삽입홀(131)은 상기 체결홈의 상부에 서로 간격두고 배치된 한 쌍의 연결편(131a,131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편(131a,131b)을 형성할 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편(131a,131b)을 형성하는 제1,제2금형의 각각 끝단이 서로 맞닿게 일 직선상으로 이동하여 대칭으로 위치한 후, 삽입홀(131)을 형성하는 제3금형을 상기 제1,제2금형이 서로 맞닿은 곳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1,제2금형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용융된 성형물(수지)를 주입하여, 일측방의 연결편(131a)과 타측방의 연결편(131b)이 서로 같은 위치 선상에 형성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한 쌍의 연결편(131a,131b) 사이에 삽입홀(131)을 형성하기 위해 반듯이 제3금형을 포함하여야 하기에 금형이 복잡함은 물론, 제3금형에 따른 제조공정이 추가되어,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편(131a,131b)을 형성하는 제1금형과 제2금형을 측면이 면접하게 서로 수평으로 엇갈리게 지정위치에 이동시켜, 엇갈리게 측면이 면접하는 제1금형과 제2금형에 의해 일측방의 연결편(131a)이 타측방의 연결편(131b)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131)을 형성하는 제3금형 없이 한 쌍의 연결편(131a,131b) 사이에 삽입홀(13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홀의 주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편 중 일측방의 연결편의 상면은 타측방의 하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31)의 상측 주연에는 걸림편(132)을 상기 삽입홀(131) 내측으로 연장형성하여, 상기 삽입홀(131)을 통해 진입한 체결후크(113)와 상응하여, 상기 삽입홀(131)에 진입한 상기 체결후크(113)가 상기 삽입홀(131) 내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132)에서 상기 삽입홀(131) 외측으로 손잡이편(133)을 연장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편(133)으로 상기 걸림편(132)을 조작할 수도 있고, 상기 카페트(A)의 일측 저면을 지지한다.
상기 걸림편(132)이 손잡이편(133)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체결부(130)에 체결된 체결후크(113)의 단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20)의 체결홈(130) 내측면에는 압박편(134)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홀(131)을 통해 내부로 진입한 체결후크(113)를 상기 걸림편(132)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체결후크(113)와 걸림편(132)의 체결력을 강화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20)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스파이크(121)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부재(110)와 상기 하부부재(120)가 서로 체결될 시, 상기 상부부재(110)와 상기 하부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카페트(A)를 저면을 침투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킨다.
이때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121)는 상기 상부부재(11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면(113)의 요철과 엇갈리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카페트 B: 보조매트
100: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110: 상부부재 111: 매트고정후크
112: 체결후크 113: 요철면
114: 보강리브 115: 연결리브
116: 지지편 120: 하부부재
121: 스파이크 130: 체결홈부
131: 삽입홀 132: 걸림편
133: 손잡이편 134: 압박편

Claims (5)

  1. 상부부재의 타측 저면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리브와 연결된 판 상의 하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하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부재가 연결리브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부재에 체결될 시, 상부부재의 체결후크와 상응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블럭이 포함되며, 상기 체결블럭은 그 상부에 상기 체결후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연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가 서로 체결될 시,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카페트를 저면을 침투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복수의 스파이크가 포함되는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편은 한 쌍의 연결편 중 일측방의 연결편 상면은 타측방의 연결편 하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것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체결후크가 상기 삽입홀 내에 형성된 걸림편과의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삽입홀 내부에서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 내부로 진입한 체결후크를 배후에서 점진적으로 상기 걸림편 측으로 가압하는 압박편이 포함되는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78321A 2014-06-25 2014-06-25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KR10160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21A KR101608198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21A KR101608198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29A KR20160001729A (ko) 2016-01-07
KR101608198B1 true KR101608198B1 (ko) 2016-04-04

Family

ID=5516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321A KR101608198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92A (ko) * 2016-10-18 2018-04-26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매트 후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324B1 (ko) * 2017-05-30 2018-07-2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KR101894360B1 (ko) * 2017-07-26 2018-09-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KR102105481B1 (ko) * 2018-07-16 2020-04-2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매트 후크
KR102181984B1 (ko) * 2019-07-26 2020-11-24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매트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92A (ko) * 2016-10-18 2018-04-26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매트 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29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198B1 (ko)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KR102082603B1 (ko)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US10391720B2 (en) Method for making a slip resistant mat
MX2015002102A (es) Montaje de posapies de plastico para el conductor.
CN110816153B (zh) 在机动车轮辋处的带有锁定滑块的装饰件
JP2011010727A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980613B2 (en) Rear garnish clip
JP5878321B2 (ja) レッグカバー及び該レッグカバー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2000016136A (ja) 自動車用フットレストの取付け構造
CN201619528U (zh) 一种汽车内饰件
KR101592715B1 (ko) 차량용 매트 고정구
JP5232604B2 (ja) 荷掛けフックの取付構造
JP4534202B2 (ja) サイドシルスカッフ構造
EP2967275B1 (en) Slip resistant mat with moisture channels
KR20180042692A (ko) 차량용 매트 후크
KR101637761B1 (ko)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조
KR101557241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의 패드 설치구조
JPH0732968Y2 (ja) 部品取付構造
CN211335763U (zh) 车辆登车踏板骨架、车辆登车踏板装置及车辆
CN107323356A (zh) 一种车辆迎宾踏板和具有其的车辆
CN107283807B (zh) 汽车地毯成型模具
CN207059846U (zh) 汽车中央扶手
KR20050038810A (ko) 자동차용 카 매트와 카 매트 고정구
KR101946553B1 (ko) 차량용 디플렉터의 고정구조
JP2021020623A (ja) レールエンド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