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481B1 - 차량용 매트 후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매트 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481B1
KR102105481B1 KR1020180082395A KR20180082395A KR102105481B1 KR 102105481 B1 KR102105481 B1 KR 102105481B1 KR 1020180082395 A KR1020180082395 A KR 1020180082395A KR 20180082395 A KR20180082395 A KR 20180082395A KR 102105481 B1 KR102105481 B1 KR 102105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astening
hook
pressing
hoo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354A (ko
Inventor
정용교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8008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4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매트와 탈착 또는 부착이 용이하고 탈착 또는 외압에 의해 변형이 방지되는 매트 후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 후크는 매트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본체, 일단은 상기 후크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는 가압부, 상기 후크본체의 타단 저면에 돌출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후크본체의 일단 저면에 돌출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일단의 탄성 절곡을 통해 상기 가압부의 타단이 상기 제1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부에 걸리며 결합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에 걸리며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매트 후크{HOOK FOR VEHICLE SUB-MA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매트 후크에 관한 것으로, 매트에 부착되어 추가로 부착되는 보조매트를 고정시키는 매트 후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바닥에는 매트가 구비되고, 매트의 상부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보조매트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매트의 오염 또는 손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매트의 후크는 한번 매트와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분리가 힘들고, 억지로 분리하는 경우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2887호는 자동차 보조매트용 후크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4765호는 자동차 보조매트용 후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들은 분리가 용이하고 분리 또는 외압에 의해 변형이 최소화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매트와 탈착 또는 부착이 용이하고 탈착 또는 외압에 의해 변형이 방지되는 매트 후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매트 후크는 매트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본체, 일단은 상기 후크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는 가압부, 상기 후크본체의 타단 저면에 돌출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후크본체의 일단 저면에 돌출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일단의 탄성 절곡을 통해 상기 가압부의 타단이 상기 제1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부에 걸리며 결합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에 걸리며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제1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타단이 관통하는 상기 제1 체결부의 중공의 하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상기 가압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압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 및 상기 가압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상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또한, 매트 후크의 일단은 상기 가압부의 일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후크본체의 하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타단은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들 각각과 맞물리는 돌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 후크는 체결부들과 결합되며 매트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교차하는 형태로 체결부들과 걸림턱 결합되어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매트 후크는 걸림턱 분리를 통해 용이하게 가압부를 체결부들과 분리시킬 수 있어 재사용 및 위치 변경이 용이하고, 분리에 따른 가압부 또는 체결부들의 변형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트 후크는 외압이 작용할 경우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들을 통해 가압부 및 체결부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탄성 이동하며 가압부 및 체결부들 사이의 텐션을 감소시켜 매트 후크의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후크의 측면도.
도 2 및 3들은 도 1의 매트 후크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매트 후크의 체결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5는 도 4의 매트 후크의 체결 구동을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1의 매트 후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 후크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후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매트 후크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후크(100)는 후크 본체(200), 가압부(400), 제1 체결부(500), 고정부(600, 620) 및 제2 체결부(700)를 포함한다.
후크본체(200)는 돌출부(220, 240, 250, 255)들을 포함한다.
후크본체(200)는 양단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차량의 매트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 상부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된 후 일부분이 일 방향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220, 240, 250, 255)들 각각은 후크본체(200)의 저면에 형성되고, 후크본체(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돌출부(220, 240)들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220, 240)들 각각은 후크본체(200)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삼각형 형태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돌출부(255, 250)들 각각은 돌출부(220, 240)들을 사이에 두고 후크본체(2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저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가압부(400)는 돌출턱(410), 돌기부(420), 절곡부(430) 및 관통공(440)을 포함한다.
가압부(400)의 일단은 후크본체(200)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매트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비해 타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가압부(400)의 일단은 탄성 절곡이 용이하다.
돌기부(420)는 후크본체(200)의 타단쪽을 향하는 가압부(4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가압부(400)의 일측면에서 복수의 돌기들이 가압부(4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돌기들은 가압부(400)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부(255, 220)들의 사이 및 돌출부(240, 250)들 사이에 각각 대응되는 바 형태의 돌기들과 돌출부(220, 240)들 각각의 상기 홈에 대응되는 사각뿔 형태의 돌기들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부(400)의 일단이 절곡되어 가압부(400)의 타단이 제1 체결부(500) 및 제2 체결부(700)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들 각각은 돌출부(255, 220)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 돌출부(240, 250)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 및 돌출부(220, 240)들의 상기 홈들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압부(400)가 제1 체결부(500) 및 제2 체결부(7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는 돌출부(220, 240, 250, 255)들 및 돌기부(420)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돌출턱(410)은 가압부(400)의 타단 일부분이 제1 체결부(500)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돌출턱(410)이 제1 체결부(500)의 중공(510)을 관통한 후 상기 매트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면 제1 체결부(500)와 걸림턱 결합된다.
절곡부(430)는 일단이 후크본체(200)의 일단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대적으로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하강 연장되어, 돌출턱(410)이 제1 체결부(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U'자 형태로 탄성 절곡된다.
관통공(440)은 돌출턱(410) 및 절곡부(430) 사이에 해당하는 가압부(400)의 타단을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돌출턱(410)이 제1 체결부(500)의 중공(510)을 관통하여 제1 체결부(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체결부(700)는 관통공(440)을 관통하여 하부를 향해 돌출된다.
제1 체결부(500)의 일단은 후크본체(200)의 타단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중앙에는 가압부(400)가 위치한 공간과 후크본체(200)의 타단이 위치한 공간을 연결하는 중공(510)이 형성된다.
중공(510)의 높이는 돌출턱(4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중공(5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1 체결부(500)의 내측면은 제2 체결부(700)의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턱(720)의 상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제2 체결부(700)의 일단은 가압부(400) 및 제1 체결부(500)의 사이에서 후크본체(200)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후크본체(200)의 저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제1 체결부(500)의 타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걸림턱(720)은 중공(5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1 체결부(500)의 내측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1 체결부(5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턱(410)이 제1 체결부(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부(400)의 관통공(440)을 관통하여 가압부(400)와 밀착하며 걸림턱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부(400)가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과 결합되는 상태에서는 걸림턱(720)의 상부면은 돌출턱(410)이 제1 체결부(500)로 삽입되면서 이동하는 가압부(400)의 일측면과 밀착되며 가압부(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가압부(400)가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가압부(400)는 후크본체(200)와 평행을 이루고, 상기 매트의 저면은 가압부(400)로부터 균일하게 분포된 압력을 전달받아 견고하게 매트 후크(100)와 결합된다.
고정부(600)의 일단은 제1 체결부(500)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부(400)와 이격되는 방향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절곡되어 같은 방향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고정부(600)는 후크본체(2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절곡된 부분이 상기 매트의 저면과 밀착되어 매트 후크(100)가 상기 매트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620)의 일단은 가압부(400)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체결부(5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620) 및 후크본체(200)의 사이에는 상기 매트가 배치되고, 고정부(620)의 상부면은 상기 매트와 밀착되어 매트 후크(100)가 흔들리거나 상기 매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1의 매트 후크의 체결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매트 후크의 체결 구동을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는 후크본체(200)를 매트(10)의 상부면에 밀착시키고, 가압부(400), 제1 체결부(500) 및 제2 체결부(700)를 매트(10)를 관통하여 매트(10)의 하부에 배치시킨다.
돌출턱(410)을 중공(510)에 삽입시켜 고정부(600)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 체결부(500)와 걸림턱 결합시키면서, 걸림턱(720)을 관통공(440)에 삽입시켜 가압부(400)와 걸림턱 결합시키면, 가압부(400)는 후크본체(200)와 평행한 상태로 매트(10)의 저면과 밀착된다.
제1 체결부(500) 및 제2 체결부(700) 사이의 거리는 돌출턱(410) 및 관통공(440)의 상부에 해당하는 가압부(40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크도록 형성되어 가압부(400)와 결합된 제1 체결부(500) 및 제2 체결부(700)들 각각의 타단은 가압부(400)에 의해 서로를 향하도록 텐션이 가해진다.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 각각은 원위치로 이동하려는 복원력을 통해 상기 텐션에 탄성 저항하고, 돌출턱(410) 및 걸림턱(720)들은 상기 복원력에 의해 제1 체결부(500)와 분리되거나 가압부(40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상기 매트를 매트 후크(100)에 고정시킨다.
반대로, 해당 사용자는 가압부(400)가 후크본체(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턱(410)을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해 가압부(400)를 편리하게 제1 체결부(500)와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0) 및 제1 체결부(500)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걸림턱(720)은 가압부(400)의 일단과 자연스럽게 분리되므로 관통공(440)을 지나 가압부(400)와 분리되고, 매트 후크(100)는 파손 또는 손상없이 매트(10)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매트 후크(100)는 손상의 염려 없이 매트(10)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매트(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매트(10)를 균일하게 압박하여 매트(10)와의 결합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1의 매트 후크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00)가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방향(5)으로 후크본체(200)가 당겨지는 경우,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므로, 매트 후크(100) 및 매트(10)의 고정력은 오히려 강화된다.
또한,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 각각이 상부에 해당하는 제1 방향(5)을 향해 급격하고 강하게 이동하여 돌출턱(410) 및 가압부(400)의 일단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매트(10)의 신축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고, 가압부(400)의 타단 전반에 걸쳐 압력이 분산되므로 매트 후크(100)의 외부 압력에 대한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크본체(200)에 제1 방향(5)을 향해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여 고정부(620)가 매트(10)에 의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는 경우, 고정부(620)는 연결부(740) 및 제2 체결부(700)를 제1 체결부(500)를 향해 밀어내므로, 가압부(400)가 과도하게 제2 체결부(700)를 가압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후크본체(200)에 제1 방향(5)을 향해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여 고정부(600)가 매트(10)에 의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는 경우, 제1 체결부(500)는 돌출턱(410)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450)를 통해 가압부(400)를 제2 체결부(700)를 향해 밀어내어 가압부(400)가 과도하게 제2 체결부(700)를 가압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후크본체(200)에 제2 방향(8)을 향해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여 가압부(400)가 제2 체결부(700)의 타단을 압박하거나 제1 체결부(500)의 타단을 압박하는 경우에도, 넓은 플레이트 형태의 돌출턱(410)의 일부분이 제1 체결부(500)와 밀착되고 넓은 플레이트 형태의 제2 체결부(700)에 형성된 걸림턱(720)이 가압부(400)와 밀착된 상태이므로 가압부(400) 또는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의 변형이 최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가압부(400)는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에 각각 형성된 돌출턱(410) 및 걸림턱(720)을 통해 플레이트 형태의 가압부(400)가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과 교차하며 밀착되는 형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압력에도 변형이 방지되고, 탈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고정부(600)는 고정부(600)의 일단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610)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돌기(610)는 가압부(400)와 제1 및 제2 체결부(500, 7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매트(10)에 의해 돌출턱(410)과 밀착되어 차량의 진동에 의해 돌출턱(410)이 제1 체결부(5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매트 후크 200: 후크 본체
400: 가압부 500: 제1 체결부
600: 고정부 700: 제2 체결부

Claims (6)

  1. 매트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본체;
    일단은 상기 후크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는 가압부;
    상기 후크본체의 타단 저면에 돌출되는 제1 체결부;
    상기 후크본체의 일단 저면에 돌출되는 제2 체결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체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본체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며 상부는 상기 매트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일단의 탄성 절곡을 통해 상기 가압부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부에 걸리며 결합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에 걸리며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 저면에서 상기 가압부의 타단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제1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타단이 관통하는 상기 제1 체결부의 중공의 하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상기 가압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후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압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 및 상기 가압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상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후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후크본체의 하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후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타단은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들 각각과 맞물리는 돌기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후크.

KR1020180082395A 2018-07-16 2018-07-16 차량용 매트 후크 KR102105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95A KR102105481B1 (ko) 2018-07-16 2018-07-16 차량용 매트 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95A KR102105481B1 (ko) 2018-07-16 2018-07-16 차량용 매트 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54A KR20200008354A (ko) 2020-01-28
KR102105481B1 true KR102105481B1 (ko) 2020-04-28

Family

ID=6937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395A KR102105481B1 (ko) 2018-07-16 2018-07-16 차량용 매트 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4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34B1 (ko) *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98B1 (ko) * 2014-06-25 2016-04-04 두올산업(주)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34B1 (ko) * 2013-11-14 2014-10-07 (주)대한솔루션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54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CN109072618B (zh) 封板固定装置
CA2242312C (en) Columnless loading spring clip
US8043038B2 (en) Anchor
US20120020726A1 (en) Retaining module and component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233415B1 (ko) 체결 방법 및 장치
KR20070091569A (ko) 고정구
US20070154258A1 (en) Fitting with an arresting device
KR102105481B1 (ko) 차량용 매트 후크
WO2017143698A1 (zh) 一种墨盒
US20050241255A1 (en) Sectional flooring
CN107430832A (zh) 用于支承尤其是带有射频应答机的标牌的标牌托架
KR101174826B1 (ko) 파티션 연결구
CN106476727A (zh) 汽车线束扎带组件
KR100609052B1 (ko) 와이퍼 조립체
JPH01199011A (ja) 容体の合着固定機構
JP6486790B2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による結合構造
RU2640951C2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двух элементов, содержащих взаимодополняющие защелкивающиеся детали
JP6284518B2 (ja) 雪止め金具
JPH0527780Y2 (ko)
CN220015724U (zh) 一种紧固组件
JP3687307B2 (ja) レール係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レール係合部材を用いた取付構造
JP4330246B2 (ja) クリップ
CN210388949U (zh) 一种保护夹具
JPH02167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