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62B1 -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 Google Patents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62B1
KR101816462B1 KR1020167008580A KR20167008580A KR101816462B1 KR 101816462 B1 KR101816462 B1 KR 101816462B1 KR 1020167008580 A KR1020167008580 A KR 1020167008580A KR 20167008580 A KR20167008580 A KR 20167008580A KR 101816462 B1 KR101816462 B1 KR 10181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groove
vertical
foreign matter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983A (ko
Inventor
아츠시 다다
미노루 구로이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4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using T-, V-, dovetail-section or lik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75Wipers for clearing foreign matter from slideways or slidabl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 B23Q11/124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for lubricating linear guid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the machine
    • B23Q2701/0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for milling machines, their drive, control or gui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976Milling with means to control temperature or lubric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4088Milling with means to remove chip

Abstract

쐐기 부재(6)의 미끄럼 이동면에 설치되어 윤활액이 수납되는 윤활액용 홈(7)과, 윤활액용 홈(7)에 설치되고 윤활액용 홈(7)에 들어간 이물을 포착하는 이물 포착부(8)를 구비한다.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와 타단부(7B)를, 쐐기 부재(6)와 테이블 베드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한다.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간 이물을 윤활액용 홈(7)과 이물 포착부(8)를 사용해서 확실하게 포착함으로써, 미끄럼 이동면에 이물이 개재되는 것의 문제를 간단하게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INDUSTRIAL MACHINE PROVIDED WITH FOREIGN MATTER EXPULSION MECHANISM}
본 발명은,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산업 기계로서, 테이블이나 공구가 복수의 축방향을 따라서 진퇴되고, 테이블에 설치된 피가공물을 공구로 절삭 등의 가공을 하는 공작 기계가 알려져 있다.
피가공물을 공구로 가공하면, 절분이 발생한다. 이 절분이 공작 기계의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부재의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가면, 다양한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피가공물을 설치하는 테이블은 테이블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블 베이스는, 수평축(X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테이블 베드의 기준면을 미끄럼 이동하면서 상대 이동한다. 테이블 베드의 기준면 중 상면에는 피가공물을 가공할 때에 생기는 절분이 쌓이기 쉽다. 또한, 절분은, 중력에 의해, 기준면 중 수직면을 낙하한다. 낙하한 절분은 베드측 주물 켄칭면과 베이스측 수지계 미끄럼 이동재 사이에서 랩 현상을 일으켜, 미끄럼 이동면의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로 인해, 공작 기계에는, 상대적으로 진퇴되는 2개의 부재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에 절분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절분 대책이 채택되고 있다.
절분 대책의 하나의 예로서, 베이스 프레임체에 컬럼을 고정하고, 테이블을 베드의 Y축을 따라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하고, 테이블의 Y축 이동을 이용해서 테이블 배면의 절분을 칩 컨베이어에 송입하고, 칩 컨베이어에서 절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절분 배제 장치가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종래예에서는, 테이블은 베드에 새들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새들은 베드에 Y축을 따라서 진퇴된다. 베드의 상면에는 Y축을 따라서 홈통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새들에는 함몰부를 따르는 와이퍼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퍼는 테이블의 Y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베드의 함몰부에 낙하한 절분을 스크류 컨베이어의 U자 홈에 배출한다. 와이퍼에 의해, 절분이 새들과 베드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 컬럼에는, 주축 헤드나 공구 교환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절분 대책의 다른 예로서, 하측 새들의 X축 미끄럼 이동면의 전방과 양쪽을 칸막이 커버로 둘러싸고, 이 칸막이 커버 내에 절삭액 노즐을 설치한 미끄럼 이동면 보호 장치가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의 종래예에서는, 절삭액 노즐에 의해 절삭액이 미끄럼 이동면에 공급되면, 미끄럼 이동면 상의 미소 절분이 흘려보내진다.
절분 대책은 아니지만, 엘리베이터에서는 미끄럼 이동면에 발생한 마모분이나 조각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가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3의 종래예에서는, 비상 정지시키는 제동자의 미끄럼 이동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으로부터 마모분 등을 외부로 배출하고, 부품의 이상 마모를 방지한다. 이 홈은 제동자의 가이드 레일과 대향하는 제동면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홈의 양단부측은, 각각 개구되어 있다.
또한, 공작 기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진퇴되는 2개의 부재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윤활유가 오일 홈을 따라서 유통되어 있다(특허문헌 4 내지 6).
특허문헌 4의 종래예에서는, T 슬롯 형상의 레일 상의 미끄럼 이동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의 종래예에서는, 슬라이드 베이스의 안내면을 따라서 새들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새들의 슬라이드 베이스와 대향하는 면에 오일 홈을 형성한다. 특허문헌 6의 종래예에서는, 중간 테이블의 새들과 대향하는 미끄럼 이동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오일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57739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평5-74031호(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7-40049호 공보)의 CD-ROM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97108호 공보 일본 특허 제35767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465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1577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종래예에서는, 절분 대책으로서 와이퍼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와이퍼 선단과 베드의 함몰부 사이에 간극이 있으면, 이 간극으로부터 절분이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가게 된다. 특히, 미끄럼 이동면의 코너부에는, 통상,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으므로, 모따기된 부분에는 간극이 생기게 되고, 이 간극으로부터 절분이 내부에 들어가게 된다.
특허문헌 2의 종래예에서는, 절삭액 노즐에 의해 절삭액을 미끄럼 이동면에 분사하고 있으므로, 장치가 대규모가 된다. 게다가, 절삭액을 분사하는 것만으로는, 절분이 깨끗하게 세척된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미끄럼 이동면에 절분이 달라붙어 있는 경우에는, 절삭액을 분사해도, 미끄럼 이동면에 절분이 남게 된다.
특허문헌 3의 종래예에서는, 엘리베이터 특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된 것이며, 공작 기계의 절분 대책에 관한 과제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엘리베이터의 제동 중에 발생하는 마모분을 제동자의 홈에 도입하는 구성이지만, 홈에 도입한 마모분이 홈의 양단부 개구로부터 누출되면, 가이드 레일과 제동자 사이에 들어갈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4 내지 6의 종래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진퇴되는 2개의 부재의 미끄럼 이동면에 윤활유를 유통하기 위한 오일 홈이 개시되는 데 지나지 않고, 2개의 부재의 미끄럼 이동면끼리의 사이에 절분이 들어간 경우에는, 랩 현상이 오일 홈을 통해서 미끄럼 이동면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상의 종래예의 과제는, 절분 이외의 이물, 예를 들어, 먼지, 모래 등으로도 생기는 것이며, 더욱이, 공작 기계에 한정되지 않고, 미끄럼 이동면을 갖는 산업 기계에도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간 이물을 간이한 구조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는,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갖고, 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각각 미끄럼 이동면이 된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이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미끄럼 이동면에 설치되어 윤활액이 수납되는 윤활액용 홈과, 상기 윤활액용 홈에 설치되고 상기 윤활액용 홈에 들어간 이물을 포착하는 이물 포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윤활액용 홈의 일단부와 상기 윤활액용 홈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가공에 수반하여,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들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에 형성되는 윤활액용 홈에는 윤활액이 수납되므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상대적인 이동은 원활한 것이 된다.
피가공물을 가공했을 때에 생기는 이물, 예를 들어, 절분, 먼지, 모래, 자갈, 티끌 등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가면, 이 이물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상대적인 이동에 수반하여 윤활액용 홈의 내부에 들어간다. 한층 더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이물은 윤활액용 홈의 내부를 이동하고, 윤활액용 홈에 설치된 이물 포착부에 포착된다. 이물 포착부에 포착된 이물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어도, 이물 포착부에 머무르게 된다. 이물 포착부에 저류된 이물은, 적절히 외부로 배출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가공에 의해 생긴 이물을,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간 이물을 윤활액용 홈과 이물 포착부를 사용해서 확실하게 포착함으로써, 미끄럼 이동면에 이물이 개재되는 것의 문제를 간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은 수평 방향이며, 상기 미끄럼 이동면은 연직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물 포착부는 상기 윤활액용 홈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수직면에 형성된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간 이물은, 낙하하려고 하지만, 윤활액용 홈의 하부에 설치된 이물 포착부에 확실하게 포착된다.
여기서, 하부란, 소정의 형상으로 된 윤활액용 홈 중 가장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최하방 위치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는 돌출 단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최하방 위치나 돌출 단부 위치뿐만 아니라, 당해 위치보다 약간 상방의 위치, 예를 들어, 윤활액용 홈의 상하 방향 치수의 절반보다 하방 위치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윤활액용 홈에 상기 윤활액을 강제적으로 유통시키는 윤활액 유통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윤활액 유통 기구에 의해, 윤활액이 윤활액용 홈에 강제적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윤활이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윤활액용 홈에 들어간 이물을 확실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윤활액용 홈의 일단부가 산업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윤활액용 홈의 타단부가 산업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물 포착부는 상기 윤활액용 홈의 산업 기계 외주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이물 포착부가 산업 기계 외주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물 포착부로부터 이물을 배출할 때에, 작업이 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윤활액용 홈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와, 이들 연직부 중 인접하는 연직부이며 산업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의 하단부와 산업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의 상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윤활액용 홈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윤활액용 홈의 타단부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윤활액용 홈에 들어간 이물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상대적인 이동에 수반하여, 경사부를 올리고, 연직부에서 내린다.
예를 들어, 연직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이물은, 연직부를 위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보다, 경사부를 비스듬히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경사부를 이동해서 연직부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이물은, 그 무게에 따라, 연직부를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은 이물의 움직임이 반복됨으로써, 이물이 윤활액용 홈을 지그재그로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산업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이물 포착부에 이물이 보내진다.
그로 인해, 연직부와 경사부를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이물을 이물 포착부까지 확실하게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인접하는 연직부의 한쪽의 하부와 다른 쪽의 상부를 직선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경사부가 직선상이므로, 윤활액용 홈의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윤활액용 홈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와, 이들 연직부 중 인접하는 연직부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수평부와, 상기 인접하는 연직부 중 하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부 수평부를 갖고, 상기 상부 수평부와 상기 하부 수평부가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윤활액용 홈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윤활액용 홈의 타단부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윤활액용 홈을, 말하자면, 직사각형 물결 형상으로 함으로써, 윤활액용 홈의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윤활액용 홈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와, 이들 연직부의 상부가 각각 접속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선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윤활액용 홈을, 말하자면, 낙숫물 형상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연직부 중 적절한 연직부에 이물 포착부를 설치함으로써, 이물을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부재는, 피가공물을 설치하는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테이블을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테이블 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은, 테이블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 베이스에 설치된 조정 부재를 갖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테이블 베이스의 진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테이블 베드의 수직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윤활액용 홈 및 상기 이물 포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윤활이 필요하게 됨과 함께, 피가공물의 가공에 수반하여 이물이 들어가기 쉬운 부분에 윤활액용 홈 및 이물 포착부를 설치했으므로, 이물의 배출을 합리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산업 기계의 사시도.
도 2는 테이블의 테이블 베드에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조정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는 조정 부재의 저면도.
도 5b는 조정 부재의 좌측면도.
도 5c는 조정 부재의 우측면도.
도 6a는 조정 부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b는 윤활액용 홈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조정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4에 상당하는 정면도.
도 8은 조정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4에 상당하는 정면도.
도 9는 조정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4에 상당하는 정면도.
[산업 기계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산업 기계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산업 기계는, 수평 보링 머신이다.
밀링 머신은, 컬럼 베드(1)와, 테이블 베드(2)와, 컬럼 베드(1)의 Z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컬럼(3)과, 테이블 베드(2)의 X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4)과, 컬럼(3)의 Y축 방향을 따라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주축 헤드(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X축과 Z축과는 서로 직교함과 함께 수평면 내에 위치하는 축이며, Y축은 상하로 연장되는 축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평 보링 머신과 특허문헌 1의 가공 기계란, 다른 기종이므로, X축, Y축 및 Z축을 나타내는 방향이 다르다.
컬럼 베드(1)에는, 컬럼(3)을 Z축 방향을 따라서 진퇴시키는 컬럼 구동 기구(1A)가 설치되어 있다. 컬럼 구동 기구(1A)는 모터(1B) 및 볼 나사축(1C)을 갖는다. 볼 나사축(1C)에는, 컬럼(3)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너트 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컬럼(3)은, 컬럼 베이스(3A) 상에 컬럼 본체(3B)가 세워 설치되는 구성이며, 컬럼 본체(3B)에는 주축 헤드(5)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축 헤드(5)는, 컬럼 본체(3B)에 안내되는 하우징(5A)과, 하우징(5A)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에 도시하지 않은 공구가 장착되는 주축(5B)과, 주축(5B)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5C)를 갖는다. 주축(5B)은 Z축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테이블 베드(2)에는, 테이블(4)을 X축 방향을 따라서 진퇴시키는 테이블 구동 기구(40A)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 구동 기구(40A)는, 모터(40B) 및 볼 나사축(40C)을 갖는다. 볼 나사축(40C)에는, 테이블(4)에 고정된 너트 부재(40D)(도 2 참조)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테이블(4)은, 도시하지 않은 피가공물을 설치하는 테이블 본체(4A)와, 테이블 본체(4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테이블 베이스(4B)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 베이스(4B)에는 테이블 본체(4A)를 회동시키는 모터(4C)가 연결되어 있다.
테이블(4)의 테이블 베드(2)에의 지지 구조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테이블(4)의 테이블 베드(2)에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테이블 베드(2)는, 볼 나사축(40C)을 사이에 두고 Z축 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레일부(2R, 2L)를 갖는다. 도 2에서 우측에 배치된 레일부(2R)에는 상면과, 이 상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2R)의 상면으로부터 수평 기준면(2R1)이 구성되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 중 우측의 측면으로부터 수직 기준면(2R2)이 구성된다. 수직 기준면(2R2)이 형성되는 측면의 하단부측에는, 볼 나사축(40C)측을 향하여 하면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 베이스(4B)의 레일부(2R)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목부(4BR)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BR) 중 수평 기준면(2R1)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수평 미끄럼 이동재(41)가 부착되고, 수직 기준면(2R2)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수직 미끄럼 이동재(42)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블 베이스(4B)의 레일부(2R)의 좌측의 측면[수평 기준면(2R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에는, 조정 부재로서의 쐐기 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 베이스(4B)에는 레일부(2R)의 하면에 접촉하는 덧판(43)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쐐기 부재(6)는 X축을 따라서 변위시킴으로써, 레일부(2R)에 대한 테이블 베이스(4B)의 Z축의 여유를 조정하는 것이며, 그 정면측의 연직면(6A)에 수평 미끄럼 이동재(41)나 수직 미끄럼 이동재(42)와 마찬가지의 미끄럼 이동재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연직면(6A)은 레일부(2R)의 좌측의 측면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4) 및 쐐기 부재(6)가 제1 부재를 구성하고, 테이블 베드(2)가 제2 부재를 구성한다. 쐐기 부재(6)의 정면측의 연직면(6A)과, 레일부(2R)의 측면과는 각각 미끄럼 이동면을 구성한다.
도 3에 있어서, 쐐기 부재(6)는 테이블 베이스(4B)의 중심선 C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또한, X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중심선 C는 테이블 베이스(4B)의 X축에 따른 길이의 중심 위치이며, Z축과 평행한 선분이다.
쐐기 부재(6)는 긴 판 형상의 본체(60)와, 본체(60)의 공작 기계 외주측의 일단부에 일체 형성된 설치부(61)를 갖는다. 본체(60)의 설치부(6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단부는, 중심선 C를 향한 방향, 즉, 공작 기계 중심부측을 향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테이블 베이스(4B)의 좌측에 배치된 레일부(2L)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목부(4BL)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BL) 중 레일부(2L)의 상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수평 미끄럼 이동재(4)가 부착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쐐기 부재(6)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쐐기 부재(6)의 정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쐐기 부재(6)의 저면이 도시되고, 도 5b에는 쐐기 부재(6)의 좌측면이 도시되고, 도 5c에는 쐐기 부재(6)의 우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도면 중 좌측이 공작 기계 중심부측이며, 도면 중 우측이 공작 기계 외주부측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설치부(61)는 쐐기 부재(6)를 테이블 베이스(4B)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60)의 정면(60A)과는 반대측의 면이 배면(60B)으로 되어 있다. 본체(60)는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정면(60A)과 배면(60B) 사이의 치수가 공작 기계 중심부를 향함에 따라서 짧아진다.
도 4에 있어서, 본체(60)의 정면(60A)에는, 윤활액이 수납되는 윤활액용 홈(7)과, 윤활액용 홈(7)에 설치된 이물 포착부(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와 타단부(7B)는, X축(도 4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는, 공작 기계 외주부측(도 4의 우측)에 위치하고, 타단부(7B)는, 공작 기계 중심부측(도 4의 좌측)에 위치한다.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는 윤활액 도입 구멍(7C)을 통하여 윤활액 유통 기구(9)와 접속되어 있다.
윤활액 유통 기구(9)는 윤활액용 홈(7)에 윤활액을 강제적으로 유통시키는 것이며, 윤활액용 홈(7)에 연통되는 연통관(9A)과, 연통관(9A)에 윤활액을 공급하는 펌프(9B)를 갖는다. 펌프(9B)는, 상시 혹은 적당한 간격으로 윤활액을 윤활액용 홈(7)에 공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액 유통 기구(9)를 생략해도 되고, 윤활액 유통 기구(9)를 설치하는 경우라도, 윤활액을 유통시키는 방향을 도 4의 예와는 반대, 즉, 윤활액용 홈(7)의 타단부(7B)로부터 일단부(7A)를 향하는 것이어도 된다.
윤활액용 홈(7)의 타단부(7B)는, 윤활액 배출 구멍부(7D)와 에어 배출부(7E)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윤활액 배출 구멍부(7D)는, 도시하지 않은 윤활액 회수부와 접속되는 것이며, 본체(6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에어 배출부(7E)는, 본체(60)의 상부 테두리에 개구되어 있다.
윤활액용 홈(7)의 평면 형상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71)와, 인접하는 연직부(71) 중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하단부와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상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부(72)를 갖는다. 윤활액용 홈(7)은, 그 일단부(7A)로부터 타단부(7B)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된 지그재그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복수의 연직부(71)는, 각각 상단부 위치가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된다. 이들 연직부(71)는, 가장 공작 기계 외주부측(도 4중 우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를 제외하고, 하단부 위치가 각각 동일하다. 가장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는 윤활액 도입 구멍(7C)과 접속하기 위해, 다른 연직부(71)보다 하단부 위치가 높다.
연직부(71) 중 가장 공작 기계 중심부측(도 4중 좌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상단부는, 윤활액 배출 구멍부(7D)의 단부와 에어 배출부(7E)와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부(72)는, 도 4에서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도 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경사부(72)를, 경사 방향을 따른 복수의 직선부(72A)와, 이 직선부(72A)의 단부를 접속하고 본체(60)의 긴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72B)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도 4의 상상선 참조).
이물 포착부(8)는 윤활액용 홈(7)에 들어간 이물 P를 포착하는 것이다. 즉, 쐐기 부재(6)의 정면(60A)과 레일부(2R)의 측면 사이에는 간극 S가 있고(도 6a 참조), 이 간극 S로부터 윤활액용 홈(7)에 들어간 이물 P를 포착한다. 여기서, 이물 P는, 예를 들어, 절분, 먼지, 모래, 자갈, 티끌 등이다.
도 4에서는, 이물 포착부(8)는, 복수의 연직부(71) 중 가장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 이외의 연직부(71)의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물 포착부(8)의 배치 위치는 도 4에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에 1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가장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길이를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이 연장된 부분에 이물 포착부(8)를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물 포착부(8)는 윤활액용 홈(7)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연직부(71)의 하단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물 포착부(8)는, 연직부(71)의 하단부로부터 연직부(71)의 길이 절반까지의 위치에 있으면 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윤활액용 홈(7)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물 포착부(8)는 연직부(71)의 홈 깊이보다 깊은 오목부(8A)를 갖는다. 오목부(8A)의 평면 형상은, 연직부(71)의 폭 치수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이며(도 4 참조), 그 주위면에는, 이물 포착부(8)에 저류된 이물 P를 배출하기 위한 이물 배출로(8B)가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배출로(8B)는, 본체(60)의 하단부 테두리에 개구되어 있다. 이물 배출로(8B)에는 플러그(8C)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8C)는 이물 포착부(8)에 축적된 이물 P를 외부로 배출할 때에, 이물 배출로(8B)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플러그(8C)는 이물 배출로(8B)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성이면, 도 6a에서 도시되는 나사 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윤활액용 홈(7)의 단면 형상은 정면(60A)과 평행한 저면(7F)과, 저면(7F)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경사면(7G)으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윤활액용 홈(7)의 형상은, 도 6b에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 단부가 레일부(2R)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반원호 형상 등이어도 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도 4와는 다른 평면 형상의 윤활액용 홈(7)의 정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윤활액용 홈(7)은, 복수의 연직부(71)와, 이들 연직부(71) 중 인접하는 연직부(71)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수평부(73A)와, 인접하는 연직부(71) 중 하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부 수평부(73B)를 갖는다. 상부 수평부(73A)와 하부 수평부(73B)는 본체(6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로부터 타단부(7B)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된 직사각형 물결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윤활액용 홈(7)의 하부에는 이물 포착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물 포착부(8)는, 연직부(71) 중 가장 공작 기계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하단부와, 연직부(71)의 하단부와 하부 수평부(73B)의 공작 기계 외주부측의 단부와의 접속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직부(71) 중 가장 공작 기계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하단부가 윤활액용 홈(7)의 타단부(7B)가 된다. 또한, 이물 포착부(8)의 배치 위치는 도 7에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에 1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물 포착부(8)의 설치 위치는, 연직부(71)의 하단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직부(71)의 중심 위치보다 하방이면 된다.
도 7의 예에 있어서도, 도 4의 예와 마찬가지로, 윤활액 유통 기구(9)를 설치해도, 생략해도 되고, 윤활액 유통 기구(9)를 설치하는 경우라도, 윤활액을 유통시키는 방향을 도 4의 예와는 반대, 즉, 윤활액용 홈(7)의 타단부(7B)로부터 일단부(7A)를 향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8에 있어서, 윤활액용 홈(7)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71)와, 이들 연직부(71)의 상부가 각각 접속되고 X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선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윤활액용 홈(7)의 하부에는 이물 포착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물 포착부(8)는, 복수의 연직부(71) 중 가장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 이외의 연직부(71)의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물 포착부(8)의 배치 위치는 도 8에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에 1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물 포착부(8)의 설치 위치는 연직부(71)의 하단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직부(71)의 중심 위치보다 하방이면 된다.
도 8의 예에 있어서도, 도 4의 예와 마찬가지로, 윤활액 유통 기구(9)를 설치해도, 생략해도 되고, 윤활액 유통 기구(9)를 설치하는 경우라도, 윤활액을 유통시키는 방향을 도 4의 예와는 반대, 즉, 윤활액용 홈(7)의 타단부(7B)로부터 일단부(7A)를 향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9에 있어서, 본체(60)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에는 윤활액 도입 구멍(7C)이 형성되어 있다.
윤활액용 홈(7)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71)와, 이 연직부(71) 중 한가운데에 배치된 연직부(71)로부터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배치된 경사부(72)와, 한가운데에 배치된 연직부(71)로부터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배치된 경사부(720)를 갖는다.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배치된 경사부(72)는, 도 4의 경사부(72)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연직부(71) 중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하단부와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상단부를 접속하는 것이다.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배치된 경사부(720)는, 도 4의 경사부(72)와는 반대로, 인접하는 연직부(71) 중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상단부와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하단부를 접속하는 것이다.
복수의 연직부(71) 중 가장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배치된 연직부(71)의 하단부와, 가장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배치된 연직부(71)의 하단부는, 각각 윤활액용 홈(7)의 타단부(7B)를 구성한다.
윤활액용 홈(7)의 하부에는 이물 포착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물 포착부(8)는, 복수의 연직부(71) 중,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연직부(71), 가장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 및 가장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3개의 연직부(71)를 제외한 연직부(71)의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물 포착부(8)의 배치 위치는 도 9에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공작 기계 외주부측과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에 각각 1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 9에서는, 윤활액 유통 기구(9)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윤활액 유통 기구(9)를 설치해도, 생략해도 되고, 윤활액 유통 기구(9)를 설치하는 경우라도, 윤활액을 유통시키는 방향을,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로부터 타단부(7B)를 향하는 것이어도, 혹은, 그 반대이어도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도, 도 9의 예와 마찬가지로, 윤활액용 홈(7)의 중앙부를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로 하고, 윤활액용 홈(7)의 공작 기계 중앙부측의 단부와 공작 기계 외주부측의 단부를 각각 윤활액용 홈(7)의 타단부(7B)로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물의 포착 동작]
이상의 구성의 공작 기계에서는, 테이블(4)에 설치된 피가공물을 주축 헤드(5)에 장착된 공구로 가공한다. 피가공물의 가공은 테이블(4)을 테이블 베드(2)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면서 행한다.
피가공물의 가공에 수반하여, 이물 P가 발생한다. 이물 P는 테이블(4)의 주위로 비산되고, 예를 들어, 테이블(4)의 하방에 위치하는 쐐기 부재(6)의 연직면(6A)과 테이블 베드(2)의 레일부(2R)의 측면 사이의 간극 S에 들어가게 된다.
쐐기 부재(6)의 연직면(6A)과 레일부(2R)의 측면과의 간극에 들어간 이물 P는, 쐐기 부재(6)와 레일부(2R)와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쐐기 부재(6)의 정면에 설치된 윤활액용 홈(7)의 내부에 들어간다. 그리고, 이물 P는 윤활액용 홈(7)의 내부를 쐐기 부재(6)와 레일부(2R)와의 상대적인 이동에 수반하여 공작 기계 중앙부측으로부터 공작 기계 외주부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포착된 이물 P는, 플러그(8C)가 제외된 이물 배출로(8B)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되는 쐐기 부재(6)에서는, 경사부(72)에 이물 P가 들어가면, 쐐기 부재(6)와 레일부(2R)와의 상대 이동에 의해, 이물 P는, 그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이와 같은 이물 P의 이동은 윤활액용 홈(7)에 윤활액을 강제적으로 유통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 이물 P는, 쐐기 부재(6)와 레일부(2R)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어도, 이물 포착부(8)에 머무르게 된다. 이물 포착부(8)에 저류된 이물 P는, 적절히,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이물 포착부(8)가 가장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배치된 1개만의 경우에서는, 연직부(71) 하단부와 경사부(72)의 하단부가 접속된 부분에는, 이물 포착부(8)가 없다. 연직부(71)의 하단부와 경사부(72)의 하단부가 접속된 부분에 들어간 이물 P는, 쐐기 부재(6)와 레일부(2R)와의 상대 이동에 의해, 경사가 심한 연직부(71)가 아니라 경사가 완만한 경사부(72)를 오르게 된다. 경사부(72)를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오른 이물 P는, 연직부(71)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떨어진다. 이물 P는, 이와 같은 움직임을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쐐기 부재(6)에서는, 상부 수평부(73A)에 이물 P가 들어가면, 쐐기 부재(6)와 레일부(2R)와의 상대 이동에 의해, 이물 P는, 상부 수평부(73A)의 단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물 P는, 상부 수평부(73A)의 단부에 도달하면, 그 자중에 의해, 연직부(71)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낙하하고,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이물 P가 연직부(71)와 하부 수평부(73B)와의 접속부 h에 낙하한 경우에는, 이물 P는 하부 수평부(73B)를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이와 같은 이물 P의 이동은, 윤활액용 홈(7)에 윤활액을 강제적으로 유통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도 8에서 도시되는 쐐기 부재(6)에서는, 연직부(71)에 이물 P가 들어가면, 이물 P는, 그 자중에 의해, 하단부를 향하여 낙하하고,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또한, 이물 P가 직선부(74)에 들어가면, 직선부(74)에 들어간 이물 P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연직부(71)를 낙하하고, 최종적으로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도 9에서 도시되는 쐐기 부재(6)에서는, 경사부(72)나 경사부(720)에 이물 P가 들어가면, 이물 P는, 그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한가운데에 있는 연직부(71)에 이물 P가 들어가면, 이물 P는 연직부(71)의 하단부에 낙하하고, 쐐기 부재(6)와 레일부(2R)와의 상대 이동에 의해, 경사부(72)나 경사부(720)를 오르게 되고, 최종적으로, 한가운데에 있는 연직부(71)와 인접하는 연직부(71)를 낙하하고, 이물 포착부(8)에 포착된다.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쐐기 부재(6)의 미끄럼 이동면에 설치되어 윤활액이 수납되는 윤활액용 홈(7)과, 윤활액용 홈(7)에 설치되어 윤활액용 홈(7)에 들어간 이물 P를 포착하는 이물 포착부(8)를 구비하여 이물 배출 기구를 구성한다.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와 타단부(7B)를, 쐐기 부재(6)와 테이블 베드(2)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한다. 그로 인해,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간 이물 P를 윤활액용 홈(7)과 이물 포착부(8)를 사용해서 확실하게 포착함으로써, 미끄럼 이동면에 이물 P가 개재되는 것의 문제를 간단하게 회피할 수 있다.
쐐기 부재(6)와 테이블 베드(2)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이 수평 방향이며, 쐐기 부재(6)의 미끄럼 이동면이 연직면(6A)이며, 이물 포착부(8)가 윤활액용 홈(7)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미끄럼 이동면에 들어간 이물 P는, 윤활액용 홈(7)의 하부에 설치된 이물 포착부(8)에서 확실하게 포착되게 된다.
윤활액용 홈(7)의 일단부(7A)가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고, 타단부(7B)가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고, 이물 포착부(8)가 윤활액용 홈(7)의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 포착부(8)로부터 이물 P를 배출할 때에 작업이 하기 쉬워진다.
윤활액 유통 기구(9)에 의해, 윤활액용 홈(7)에 윤활액을 강제적으로 유통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쐐기 부재(6)와 테이블 베드(2)와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윤활액용 홈(7)에 들어간 이물 P를 확실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윤활액을 공작 기계 중심부측으로부터 공작 기계 외주부측을 향하여 공급함으로써, 이물 포착부(8)를 향하여 윤활액을 보냄으로써, 이물 P가 윤활액과 함께 이물 포착부(8)에 보내지게 되고, 이물 P의 포착을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윤활이 필요하게 됨과 함께, 피가공물의 가공에 수반하여 이물 P가 들어가기 쉬운 쐐기 부재(6)에 윤활액용 홈(7) 및 이물 포착부(8)를 설치했으므로, 이물의 배출을 합리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윤활액용 홈(7)을, 복수의 연직부(71)와, 이들 연직부(71) 중 공작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하단부와 공작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71)의 상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부(72)를 갖고, 일단부(7A)로부터 타단부(7B)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된 지그재그인 홈 형상으로 하면, 연직부(7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이물 P는, 경사부(72)를 기울기 상방으로 이동한 후, 그 자중에 의해 연직부(71)를 내려가게 되고, 이물 P를 이물 포착부(8)까지 확실하게 보낼 수 있다. 경사부(72)를 직선상으로 형성하면, 윤활액용 홈(7)의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윤활액용 홈(7)을, 복수의 연직부(71)와, 인접하는 연직부(71)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수평부(73A)와, 인접하는 연직부(71) 중 하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부 수평부(73B)를 갖고, 상부 수평부(73A)와 하부 수평부(73B)를 교대로 배치하고, 일단부(7A)로부터 타단부(7B)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된 직사각형 물결 형상의 홈으로 하면, 윤활액용 홈(7)의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윤활액용 홈(7)을, 복수의 연직부(71)와, 이들 연직부(71)의 상부가 각각 접속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선부(74)를 구비한 낙숫물 형상으로 하면, 복수의 연직부(71)에 이물 포착부(8)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이물 P를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액용 홈(7) 및 이물 포착부(8)가 설치되는 조정 부재를 쐐기 부재(6)로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부호 Q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 미끄럼 이동재(42)가 배치되는 부분에 배치된 조정 부재이어도 된다. 이 조정 부재는, 수직 미끄럼 이동재(42)를 겸하는 긴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며, 레일부(2R)의 측면에 대향하는 연직면에 윤활액용 홈(7) 및 이물 포착부(8)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윤활액용 홈(7) 및 이물 포착부(8)를 레일부(2R)의 측면에 직접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레일부(2R) 대신에, 레일부(2L)와 테이블 베이스(4B) 사이에 배치되는 조정 부재에 윤활액용 홈(7) 및 이물 포착부(8)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윤활액용 홈(7) 및 이물 포착부(8)가 형성된 쐐기 부재(6)를, 공작 기계의 다른 부위, 예를 들어, 컬럼 베드(1)와 컬럼(3) 사이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산업 기계로서는, 수평 보링 머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공에 의해, 이물 P가 발생하고, 수평 방향이나 연직 방향으로 서로 상대 이동하는 부재를 갖는 공작 기계나, 공작 기계 이외의 산업 기계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 보링 머신, 밀링 머신, 그 밖의 공작 기계나, 공작 기계 이외의 산업 기계에 이용할 수 있다.
1 : 컬럼 베드
2 : 테이블 베드(제2 부재)
2R, 2L : 레일부
3 : 컬럼
4 : 테이블(제1 부재)
4A : 테이블 본체
4B : 테이블 베이스
5 : 주축 헤드
6 : 쐐기 부재(조정 부재:제2 부재)
6A : 연직면
7 : 윤활액용 홈
7A : 일단부
7B : 타단부
8 : 이물 포착부
9 : 윤활액 유통 기구
71 : 연직부
72, 720 : 경사부
73A : 상부 수평부
73B : 하부 수평부
74 : 직선부
P : 이물

Claims (9)

  1.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갖고, 이들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각각 미끄럼 이동면이 된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이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미끄럼 이동면에 설치되어 윤활액이 수납되는 윤활액용 홈과, 상기 윤활액용 홈에 설치되고 상기 윤활액용 홈에 들어간 이물을 포착하는 이물 포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윤활액용 홈의 일단부와 상기 윤활액용 홈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은 수평 방향이며, 상기 미끄럼 이동면은 연직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물 포착부는 상기 윤활액용 홈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액용 홈에 상기 윤활액을 강제적으로 유통시키는 윤활액 유통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액용 홈의 일단부가 산업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윤활액용 홈의 타단부가 산업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물 포착부는 상기 윤활액용 홈의 산업 기계 외주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액용 홈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와, 이들 연직부 중 인접하는 연직부이며 산업 기계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의 하단부와 산업 기계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연직부의 상단부를 접속하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윤활액용 홈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윤활액용 홈의 타단부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인접하는 연직부의 한쪽의 하부와 다른 쪽의 상부를 직선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액용 홈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와, 이들 연직부 중 인접하는 연직부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수평부와, 상기 인접하는 연직부 중 하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부 수평부를 갖고, 상기 상부 수평부와 상기 하부 수평부가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윤활액용 홈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윤활액용 홈의 타단부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8.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액용 홈은,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부와, 이들 연직부의 상부가 각각 접속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9.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피가공물을 설치하는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테이블을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테이블 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은, 테이블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 베이스에 설치된 조정 부재를 갖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테이블 베이스의 진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테이블 베드의 수직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윤활액용 홈 및 상기 이물 포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KR1020167008580A 2014-07-11 2015-06-16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KR101816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3431 2014-07-11
JP2014143431 2014-07-11
PCT/JP2015/067228 WO2016006394A1 (ja) 2014-07-11 2015-06-16 異物排出機構を備えた産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983A KR20160048983A (ko) 2016-05-04
KR101816462B1 true KR101816462B1 (ko) 2018-01-08

Family

ID=5506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580A KR101816462B1 (ko) 2014-07-11 2015-06-16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22831B2 (ko)
JP (1) JP6588015B2 (ko)
KR (1) KR101816462B1 (ko)
CN (1) CN105517756B (ko)
WO (1) WO2016006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9262A (zh) * 2016-01-21 2016-04-13 宁夏新瑞长城机床有限公司 机床滑动导轨的开放式润滑油槽
JP6360122B2 (ja) * 2016-10-19 2018-07-1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排液機構、及び排液機構を備えた工作機械
CN108941783A (zh) * 2018-09-03 2018-12-07 江苏亚太轻合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倒角装置
RU193306U1 (ru) * 2019-02-11 2019-10-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ьянс+" Станок
CN110842246B (zh) * 2019-11-21 2021-04-30 肇庆康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免装卸钻头的多工位机加工用台钻设备
CN117300654B (zh) * 2023-12-01 2024-02-23 广东普拉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床机械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6437B2 (ja) 2011-10-27 2013-10-02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移動体の案内装置
JP7041491B2 (ja) 2017-10-31 2022-03-24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バイオアッセイのための検出剤及びそれを用いたシグナルの増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5526A (en) * 1943-11-20 1947-08-12 Friedman Samuel Oil remover or wiper
BE478501A (ko) * 1943-12-16
JPS5124631Y2 (ko) * 1971-09-23 1976-06-23
US3754799A (en) * 1971-11-18 1973-08-28 Lidkoepings Mekaniska Verkstad Movable machine element supported with the aid of a gas or fluid bearing
US3903993A (en) * 1973-03-26 1975-09-09 Minster Machine Co Hydrostatic bearing arrangement for press slide
JPS62141998U (ko) * 1986-03-03 1987-09-08
DE4001420A1 (de) 1990-01-19 1991-07-25 Hoechst Ag Alkenylaminomethylenphosphonsaeuren und deren copolymere mit ungesaettigten carbonsaeuren
DE4141038A1 (de) * 1991-12-12 1993-06-17 Schaeffler Waelzlager Kg Abstreifereinheit fuer ein lagerelement
JP2970171B2 (ja) 1992-01-24 1999-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すべり軸受
JPH06246584A (ja) 1992-12-28 1994-09-06 Nippei Toyama Corp 送り機構における摺動面の潤滑油漏れ防止装置
JP3227933B2 (ja) * 1993-09-30 2001-11-12 日本精工株式会社 潤滑剤含有ポリマ潤滑のミニアチュアリニアガイド装置
DE4435759C2 (de) * 1993-10-07 1998-04-16 Nsk Ltd Linear-Wälzführung mit umlaufenden Wälzkörpern
JP2572402Y2 (ja) 1993-12-25 1998-05-25 オークマ株式会社 摺動面保護装置
JPH0857739A (ja) 1994-08-22 1996-03-05 Enshu Ltd 工作機械の切粉排出装置
JP3522978B2 (ja) * 1996-07-04 2004-04-26 オークマ株式会社 工作機械の摺動面保護装置
JP3576751B2 (ja) 1997-06-04 2004-10-13 オークマ株式会社 摺動面の潤滑油供給構造
JP4049878B2 (ja) * 1998-02-25 2008-02-20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H11280995A (ja) 1998-03-26 1999-10-15 Fuji Heavy Ind Ltd 摺動機構
JP2002061635A (ja) * 2000-08-21 2002-02-28 Nippon Densan Corp 動圧軸受およびこれを用いたモータ
JP4190738B2 (ja) * 2001-02-07 2008-12-0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工作機械における半浮上式スライド案内機構
JP4228819B2 (ja) * 2003-07-17 2009-02-2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案内装置
JP4492200B2 (ja) * 2004-04-28 2010-06-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案内装置
DE102004036529A1 (de) * 2004-07-28 2006-03-23 Bosch Rexroth Mechatronics Gmbh Linearvorrichtung
TWI285244B (en) * 2005-12-20 2007-08-11 Chieftech Prec Co Ltd Linear guide
JP4561778B2 (ja) 2007-06-04 2010-10-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
JP5578308B2 (ja) * 2009-07-29 2014-08-27 大豊工業株式会社 すべり軸受
JP5455491B2 (ja) * 2009-07-29 2014-03-26 大豊工業株式会社 軸受装置
JP2011094746A (ja) * 2009-10-30 2011-05-12 Taiho Kogyo Co Ltd すべり軸受
JP5038445B2 (ja) * 2010-01-05 2012-10-03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すべり軸受
TW201321119A (zh) * 2011-11-24 2013-06-01 Alex Tech Machinery Ind Co Ltd 工具機的迴轉工作台
JP5731991B2 (ja) * 2012-01-20 2015-06-10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CN203239758U (zh) * 2013-02-04 2013-10-16 臧金荣 一种新型粉末冶金机械导轨侧衬板
CN203297348U (zh) * 2013-05-23 2013-11-20 衢州兰玲机电科技有限公司 自洁型滑杆
JP6559937B2 (ja) * 2014-10-28 2019-08-14 東芝機械株式会社 油静圧案内機構および工作機械
CN105537970B (zh) * 2014-10-28 2018-07-27 东芝机械株式会社 机床的引导机构以及机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6437B2 (ja) 2011-10-27 2013-10-02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移動体の案内装置
JP7041491B2 (ja) 2017-10-31 2022-03-24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バイオアッセイのための検出剤及びそれを用いたシグナルの増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006394A1 (ja) 2017-04-27
JP6588015B2 (ja) 2019-10-09
US10022831B2 (en) 2018-07-17
US20160229018A1 (en) 2016-08-11
KR20160048983A (ko) 2016-05-04
WO2016006394A1 (ja) 2016-01-14
CN105517756B (zh) 2017-06-13
CN105517756A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462B1 (ko) 이물 배출 기구를 구비한 산업 기계
JP5868518B2 (ja) 工作機械
JP3739300B2 (ja) 工作機械
JP4210307B2 (ja) 切粉排出構造を有する工作機械
JP2005103694A (ja) 工作機械
JP5667225B2 (ja) 可動カバーに堆積した切粉を除去するワイパーをテーブルに備えた工作機械
JP5602899B2 (ja) 切粉を排出するのに適したカバー構造を備えた工作機械
US9457445B2 (en) Machine tool with cover adapted for discharge of chips
JP2011045947A (ja) 横型マシニングセンタ
JP6584519B2 (ja) スクリューコンベア
JP2014161966A (ja) 可動カバーを備えた工作機械
KR20210014785A (ko) 공작기계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06714B1 (ko) 수평형 머시닝 센터의 칩 비산방지 장치
KR101111591B1 (ko) 선반
JP5845315B2 (ja) チップコンベアを備えた工作機械
JP5746249B2 (ja) 可動カバーを有する工作機械
JP5504471B2 (ja) ワイヤソーの異物除去装置
WO2023162180A1 (ja) 工作機械
JP2005047005A (ja) 立形マシニングセンタ
JP7230763B2 (ja) 工作機械
JP2010169212A (ja) 工作機械の案内装置における潤滑機構
JP2009092131A (ja) 送り案内装置
JP6590674B2 (ja) 工作機械の切粉処理装置
JP3139928U (ja) サドルの案内溝を塞ぐことなくコンテナ内に切れ端を落下させる設計を備えた旋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