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430B1 -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430B1
KR101796430B1 KR1020177019055A KR20177019055A KR101796430B1 KR 101796430 B1 KR101796430 B1 KR 101796430B1 KR 1020177019055 A KR1020177019055 A KR 1020177019055A KR 20177019055 A KR20177019055 A KR 20177019055A KR 101796430 B1 KR101796430 B1 KR 101796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unit
circumferential direction
loop
s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666A (ko
Inventor
에이이치 나카노
후미아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Abstract

직경 축소성 및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지 않고 그물눈을 미세하게 할 수 있고, 관상 기관에 유치 후, 종양 조직이 내강에 침입하여 재협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텐트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직 구조체(10)와,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가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에 대응하고,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직 구조체(20)에 의해 구성되고,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는,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로 짜여져 있고, 제2 직 구조체(20)가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끼리에 있어서, 한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다른 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STENT AND STENT GRAFT}
본 발명은, 소화관 등의 체내의 관상 기관에 유치함으로써, 관상 기관의 협착이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에 유치되는 스텐트(소화관 스텐트)는,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강을 밀어 열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소화관 스텐트에는, 협착부를 충분히 벌리기 위하여 높은 직경 확장력을 가질 것, 딜리버리 시스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직경 축소성이 양호할 것, 소화관의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소화관 스텐트의 유치 후에 있어서, 종양의 성장에 따라서 종양 조직이 스텐트의 그물눈으로부터 소화관 스텐트의 내강에 침입하여, 소화관을 재협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소화관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텐트의 그물눈을, 가능한 한 미세하게(그물눈을 형성하는 선재의 간격을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텐트의 그물눈을 미세하게 형성하면,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그물눈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수반하여 선재의 연결부(예를 들어, 선재의 굴곡부끼리의 연결부인 걸침부)의 수가 증가한다.
여기에, 동일 축방향 위치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연결부(걸침부)가 증가함으로써, 스텐트의 직경 축소성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연결부(걸침부)가 증가함으로써, 관상 기관의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선재(제1 부재)에 의해 제1 통형 격자 구조를 형성한 후, 선재(제2 부재)에 의해, 제1 통형 격자 구조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게 하여, 동일 형상의 제2 격자 구조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스텐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텐트에 의하면, 한쪽 통형 격자 구조에 의한 그물눈의 면적을, 다른 쪽 통형 격자 구조를 구성하는 선재에 의해 4 분할할 수 있고, 스텐트의 그물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특허문헌 1의 도 13 참조).
일본 특허 공표 제2009-501049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텐트에 있어서는, 제1 통형 격자 구조만을 포함하는 스텐트와 비교하여, 몇몇 동일 원주 방향 위치(예를 들어, 동 문헌의 도 13의 y1, y3, y7, y9 및 y13)에 있어서 축방향을 따라서 배열하는 걸침부의 수가 2배가 되고, 몇몇 동일 축방향 위치(예를 들어, 동 문헌의 도 13의 x1 및 x9)에 있어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걸침부의 수가 2배가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텐트는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떨어지는 것이고, 직경 축소성도 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트에 요구되는 직경 축소성 및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일 없이 그물눈을 미세하게 할 수 있고, 관상 기관에 유치한 후에, 종양 조직이 내강에 침입하여 재협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본 발명의 스텐트는 1개 이상의 선재를 짜서, 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선재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1 루프와, 이 제1 루프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상기 제1 루프에 연속하여 상기 선재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2 루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 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제1 직(織) 구조체와,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와 같은 피치 길이로, 또한,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상기 선재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1 루프와, 이 제1 루프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상기 제1 루프에 연속하여 상기 선재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2 루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 방향 단위가,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응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제2 직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끼리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한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다른 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는, 대응하는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대응하는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로 짜여져 있고,
상기 제2 직 구조체가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끼리에 있어서, 한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다른 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텐트에 의하면,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가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음으로써, 제1 직 구조체에 있어서의 그물눈의 면적을 제2 직 구조체를 구성하는 선재에 의해 4 분할할 수 있으므로, 당해 스텐트의 그물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가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음으로써,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있어서 축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배열하는 연결부의 수가 2배로 증가하여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일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진폭이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진폭보다 작음으로써,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있어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동일 축방향 위치에 배열하는 연결부의 수가 2배에 증가하여 직경 축소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 구조체가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끼리에 있어서, 한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다른 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나 직경 축소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직 구조체는, 원주 방향 단위를 형성하는 루프의 단부를 굴곡시키지 않고 그대로 직진시켜서, 이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다음 원주 방향 단위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원주 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직 구조체는, 원주 방향 단위를 형성하는 루프의 단부를 굴곡시키지 않고 그대로 직진시켜서, 이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상기 제1 직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 사이의 어긋남량과 같은 만큼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다음 원주 방향 단위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원주 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모두가,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와 대응하게 된다.
(3) 본 발명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진폭은,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진폭의 25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는, 전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거의 1/2 피치(진폭의 1/2) 어긋나는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1/4 피치 어긋나 있고,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끼리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한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다른 쪽 원주 방향 단위의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4)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2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대응하는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연결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6) 본 발명의 스텐트 그래프트는, 본 발명의 스텐트와, 이 스텐트의 내주 및/또는 외주를 덮는 그래프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에 의하면, 요구되는 직경 축소성 및 관상 기관의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일 없이 그물눈을 미세하게 할 수 있고, 관상 기관에 유치한 후에 종양 조직이 내강에 침입하여 재협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텐트의 구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c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d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e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f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g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h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i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j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k는,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l은,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m은, 도 2에 도시한 스텐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에 대해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와의 상위점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기본 구조>
이하, 본 발명의 스텐트 기본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텐트를 구성하는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1)와,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2)가 엮어져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단위(1) 및 원주 방향 단위(2)는 각각의 피치 길이(원주 방향의 피치 길이 P1 및 P2)가 동일하지만, 위상이 1/4 피치 어긋나 있고, 서로의 진폭(A1 및 A2)도 상이하다.
여기에, 원주 방향 단위(1) 및 원주 방향 단위(2)의 피치 길이(P1 및 P2)로서는, 예를 들어 12 내지 48mm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6mm로 된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1)의 진폭(A1)으로서는, 예를 들어 8 내지 24mm로 여겨지고,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mm로 여겨진다.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1)는 선재 W1에 의해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고, 선재 W1로 둘러싸인 공간인 복수(5개)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에 따라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이 원주 방향 단위(1)는, 선재 W1을 일정한 진폭 A1로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제1 루프(1a)와, 제1 루프(1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당해 제1 루프(1a)에 연속하여 선재 W1을 진폭 A1로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제2 루프(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1b)는, 제1 루프(1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제1 루프(1a)의 상하를 교대로 통과하도록(즉, 제1 루프(1a)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2)는, 선재 W2에 의해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고, 선재 W2로 둘러싸인 공간인 복수(5개)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이 원주 방향 단위(2)는, 선재 W2를 일정한 진폭 A2(단, A2<A1임)로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제1 루프(2a)와, 제1 루프(2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당해 제1 루프(2a)에 연속하여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제2 루프(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를 구성하는 선재(선재 W1, W2)의 구성 재료로서는 금속이 바람직하고, 특히, 열처리에 의한 형상 기억 효과 및 초탄성이 부여되는 형상 기억 합금이 바람직하다. 단, 용도에 따라서는 스테인리스, Ta, Ti, Pt, Au, W 등을 사용해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단위(1)의 피치 길이 P1과 원주 방향 단위(2)의 피치 길이 P2가 동일하고, 원주 방향 단위(1)와 원주 방향 단위(2)의 위상이 1/4 피치 어긋나 있음으로써, 제1 직 구조체(원주 방향 단위(1))의 그물눈의 면적을, 제2 직 구조체(원주 방향 단위(2))를 구성하는 선재 W2에 의해 4 분할할 수 있으므로, 제1 직 구조체만을 포함하는 스텐트와 비교하여 그물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2)가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원주 방향 단위(1)의 굴곡부와 원주 방향 단위(2)의 굴곡부가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없고, 원주 방향 단위(1)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원주 방향 단위(2)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배열되는(밀집하는) 일이 없으므로, 관상 기관의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2)의 진폭(A2)이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1)의 진폭(A1)보다 작음으로써, 원주 방향 단위(1)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원주 방향 단위(2)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배열되는(밀집하는) 일이 없으므로, 스텐트의 직경 축소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에, 원주 방향 단위(1)의 진폭 A1에 대한 원주 방향 단위(2)의 진폭 A2의 비(A2/A1)로서는 25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75%이다.
비(A2/A1)의 값이 과소한 경우에는, 한쪽 직 구조체에 있어서의 그물눈의 면적을 다른 쪽 직 구조체를 구성하는 선재에 의해 4 분할할 때에 비교적 작은 2개의 그물눈과 함께, 종양 조직을 통과시켜버릴 정도의 비교적 큰 2개의 그물눈이 형성되어버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비(A2/A1)의 값이 100%에 가까운 경우에는,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있어서의 굴곡부의 축방향 위치와,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있어서의 굴곡부의 축방향 위치와의 이격 거리가 짧아지고, 스텐트의 직경 축소성이 손상되는 일이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와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3)가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끼리 중첩되는 부분을 가지면서,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직 구조체(10)와,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2)와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3)가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끼리 중첩되는 일없이,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직 구조체(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직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는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11a)와, 이 제1 루프(11a)에 연속하고, 제1 루프(11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1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11b)는, 제1 루프(11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제1 루프(11a)의 상하를 교대로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제1 직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2 피치(원주 방향 단위(11)의 축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진폭의 1/2) 어긋나는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다.
이 원주 방향 단위(12)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의 제2 루프(11b)에 연속하여,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12a)와, 이 제1 루프(12a)에 연속하여, 제1 루프(12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1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12b)는 제1 루프(12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제1 루프(12a)의 상하를 교대로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2 피치 어긋나 있는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는, 원주 방향 단위(11)와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원주 방향 단위(12)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11)의 선재 교차부와 연결되어 있고, 원주 방향 단위(12)의 선재 교차부는 원주 방향 단위(11)의 굴곡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직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3)는,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2 피치 어긋나는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다.
이 원주 방향 단위(13)는,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의 제2 루프(12b)에 연속하여,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13a)와, 이 제1 루프(13a)에 연속하여, 제1 루프(13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1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13b)는, 제1 루프(13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제1 루프(13a)의 상하를 교대로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2 피치 어긋나 있는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3)는 원주 방향 단위(12)와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원주 방향 단위(13)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12)의 선재 교차부와 연결되어 있고, 원주 방향 단위(13)의 선재 교차부는 원주 방향 단위(12)의 굴곡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직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1)는,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와 같은 피치 길이, 대응하는 원주 방향 단위(11)보다도 작은 진폭, 대응하는 원주 방향 단위(1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21a)와, 이 제1 루프(21a)에 연속하고, 제1 루프(21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2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21b)는, 제1 루프(21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제1 루프(21a)의 상하를 교대로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이 원주 방향 단위(21)는,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로 짜여져 있다. 또한, 이 원주 방향 단위(21)의 굴곡부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2)의 굴곡부와 연결(걸침)하고 있다.
제2 직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2)는,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2)와 같은 피치 길이, 대응하는 원주 방향 단위(12)보다도 작은 진폭, 대응하는 원주 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22a)와, 이 제1 루프(22a)에 연속하여, 제1 루프(22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2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22b)는 제1 루프(22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제1 루프(22a)의 상하를 교대로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이 원주 방향 단위(22)는,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2)로 짜여져 있다. 또한, 이 원주 방향 단위(22)의 굴곡부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의 굴곡부와 연결(걸침)하고 있음과 함께,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3)의 굴곡부와도 연결(걸침)하고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22)와 원주 방향 단위(21)는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22)의 굴곡부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1)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직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3)는,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3)와 같은 피치 길이, 대응하는 원주 방향 단위(13)보다도 작은 진폭, 대응하는 원주 방향 단위(13)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23a)와, 이 제1 루프(23a)에 연속하여, 제1 루프(23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2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23b)는, 제1 루프(23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제1 루프(23a)의 상하를 교대로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이 원주 방향 단위(23)는,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3)로 짜여져 있다. 또한, 이 원주 방향 단위(23)의 굴곡부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2)의 굴곡부와 연결(걸침)하고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23)와 원주 방향 단위(22)는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23)의 굴곡부는,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2)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는, 선재 W1 및 선재 W2를,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수순으로 짜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편성 작업은, 통상, 맨드렐의 외주에 소정의 패턴으로 선재를 감음으로써 행한다.
(1) 선재 W1을, 일정한 진폭으로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킴으로써 제1 루프(11a)를 형성하고(도 3a 참조), 선재 W1을 일주시킨 후, 제1 루프(11a)에 대하여 위상을 1/2 피치 비켜놓아서 제1 루프(11a)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제1 루프(11a)에 연속하여 동일한 진폭으로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킴으로써 제2 루프(11b)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가 형성된다(도 3b 참조).
(2) 다음에, 원주 방향 단위(11)를 형성하는 제2 루프(11b)의 단부를 굴곡시키지 않고 축방향으로 1/2 피치(진폭의 1/2),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진행시킨 후,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킴으로써 제1 루프(12a)를 형성하고(도 3c 참조), 선재 W1을 일주시킨 후, 제1 루프(12a)에 대하여 위상을 1/2 피치 비켜놓아서 제1 루프(12a)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제1 루프(12a)에 연속하여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킴으로써 제2 루프(12b)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가 형성된다(도 3d 참조).
(3) 다음에, 원주 방향 단위(12)를 형성하는 제2 루프(12b)의 단부를 굴곡시키지 않고 축방향으로 1/2 피치,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진행시킨 후,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킴으로써 제1 루프(13a)를 형성하고(도 3e 참조), 선재 W1을 일주시킨 후, 제1 루프(13a)에 대하여 위상을 1/2 피치 비켜놓아서 제1 루프(13a)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제1 루프(13a)에 연속하여 선재 W1을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킴으로써 제2 루프(13b)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3)가 형성된다(도 3f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와,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3)가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끼리 중첩되는 부분을 가지면서,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직 구조체(10)가 형성된다(도 3g 참조).
(4) 다음에,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3)와 같은 피치 길이로, 또한, 원주 방향 단위(13)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 단위(13)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제2 루프(23b)를 형성하고(도 3h 참조), 선재 W2를 일주시킨 후, 제2 루프(23b)에 대하여 위상을 1/2 피치 어긋나게 하여, 제2 루프(23b)에 연속하여,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제2 루프(23b) 및 원주 방향 단위(13)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제1 루프(23a)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3)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당해 원주 방향 단위(13)로 짜여진(원주 방향 단위(13)에 대응하는)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3)가 형성된다(도 3i 참조).
(5) 다음에, 원주 방향 단위(23)를 형성하는 제1 루프(23a)의 단부를 굴곡시키지 않고 축방향으로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의 1/2 피치 상당량(제1 직 구조체(10)에 있어서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 사이의 어긋남량과 동일),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진행시킨 후,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2)와 같은 피치 길이로, 또한, 원주 방향 단위(12)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 단위(12)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제2 루프(22b)를 형성하고(도 3j 참조), 선재 W2를 일주시킨 후, 제2 루프(22b)에 대하여 위상을 1/2 피치 어긋나게 하여, 제2 루프(22b)에 연속하여,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제2 루프(22b) 및 원주 방향 단위(12)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제1 루프(22a)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당해 원주 방향 단위(12)로 짜여진(원주 방향 단위(12)에 대응하는)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2)가 형성된다(도 3k 참조).
(6) 다음에, 원주 방향 단위(22)를 형성하는 제1 루프(22a)의 단부를 굴곡시키지 않고 축방향으로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로 1/2 피치 상당량(제1 직 구조체(10)에 있어서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 사이의 어긋남량과 동일),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진행시킨 후,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와 같은 피치 길이로, 또한, 원주 방향 단위(11)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 단위(11)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제2 루프(21b)를 형성하고(도 3l 참조), 선재 W2를 일주시킨 후, 제2 루프(21b)에 대하여 위상을 1/2 피치 어긋나게 하여, 제2 루프(21b)에 연속하여, 선재 W2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제2 루프(21b) 및 원주 방향 단위(11)와 짜임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제1 루프(21a)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당해 원주 방향 단위(11)로 짜여진(원주 방향 단위(11)에 대응하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1)가 형성된다(도 3m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2)와,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3)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직 구조체(20)가 형성되고,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가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에 의하면,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각각과,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각각이, 서로 동일한 피치 길이를 갖고, 위상이 1/4 피치 어긋나 있음으로써,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각각에 있어서의 그물눈의 면적을,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각각을 구성하는 선재 W2에 의해 4 분할할 수 있으므로, 제1 직 구조체(10)만으로 형성되는 스텐트와 비교하여 그물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각각이,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각각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굴곡부와,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굴곡부가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없고,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굴곡부와, 다른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와의 연결부)와,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굴곡부와, 다른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와의 연결부)가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관상 기관의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각각의 진폭이,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각각의 진폭보다 작음으로써,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굴곡부와,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굴곡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없고,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원주 방향 단위(11 내지 13)의 굴곡부와, 다른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와의 연결부)와,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원주 방향 단위(21 내지 23)의 굴곡부와, 다른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와의 연결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스텐트의 직경 축소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200)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와 동일하게,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2')와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13')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직 구조체(10')와,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2')와 제3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23')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직 구조체(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구조와 상이한 개소(제1 직 구조체를 구성하는 선재 W1과, 제2 직 구조체를 구성하는 선재 W2와의 교차 부분에 있어서, 선재 W1 및 선재 W2의 전후 관계가, 도 2에서 나타내는 구조와 반대인 개소)를 「○」로 둘러싸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200)를 구성하는 제1 직 구조체(10')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를 구성하는 제1 직 구조체(10)와 동일한 구조이다.
또한, 스텐트(200)를 구성하는 제2 직 구조체(20')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를 구성하는 제2 직 구조체(20)와 동일한 구조이지만, 제1 직 구조체(10')와의 짜는 방법이, 스텐트(100)의 제2 직 구조체(20)에 있어서의 제1 직 구조체(10)와의 짜는 방법과 상이하다.
도 4(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200)에 있어서,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1')의 굴곡부와,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2')의 굴곡부는 중첩되어 있지만, 걸쳐져 있지는 않다.
또한,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2')의 굴곡부와,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의 굴곡부는 중첩되어 있지만, 걸쳐져 있지는 않다.
또한,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2')의 굴곡부와,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3')의 굴곡부는 중첩되어 있지만, 걸쳐져 있지는 않다.
또한,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3')의 굴곡부와,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2')의 굴곡부는 중첩되어 있지만, 걸쳐져 있지는 않다.
이 실시 형태의 스텐트(200)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직 구조체(20')의 원주 방향 단위(21', 22', 23')의 굴곡부와, 당해 원주 방향 단위(21', 22', 23')가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10')의 원주 방향 단위(11', 12', 13')에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12', 11' 및 13', 12')의 굴곡부가 걸쳐져 있지 않음으로써, 제1 직 구조체(10'), 나아가서는 스텐트(200)를 충분히 늘리는(직경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러한 걸침부를 갖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00)와 비교하여, 직경 축소성의 더 이상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6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300)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6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62)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제1 직 구조체(60)와,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7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72)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제2 직 구조체(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원주 방향 단위(61, 62, 71, 72)는 2개의 루프로 구성되고, 당해 2개의 루프는, 각각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한쪽 루프는, 다른 쪽 루프 상하를 교대로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직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6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62)는 축방향으로 1 피치(진폭) 어긋나 있고, 원주 방향 단위(61)의 굴곡부와 원주 방향 단위(62)의 굴곡부는 연결(걸침)되어 있다.
제2 직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71)는,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와 같은 피치 길이, 이 원주 방향 단위(61)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 단위(6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이 원주 방향 단위(61)로 짜여져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1)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2)와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71)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62)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직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72)는,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2)와 같은 피치 길이, 이 원주 방향 단위(62)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원주 방향 단위(71)의 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원주 방향 단위(62)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이 원주 방향 단위(62)로 짜여져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2)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와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72)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61)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2)는, 제2 직 구조체(70)의 원주 방향 단위(71)와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72)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71)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실시 형태의 스텐트(300)에 의하면,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각각과, 제2 직 구조체(70)의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의 각각이, 서로 동일한 피치 길이를 갖고, 위상이 1/4 피치 어긋나 있음으로써,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각각에 있어서의 그물눈의 면적을, 제2 직 구조체(70)의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의 각각을 구성하는 선재 W2에 의해 4 분할할 수 있으므로, 제1 직 구조체(60)만으로 형성되는 스텐트와 비교하여 그물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의 각각이,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각각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굴곡부와,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의 굴곡부가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없고,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원주 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관상 기관의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의 각각 진폭이,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각각 진폭보다 작음으로써,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굴곡부와,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의 굴곡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없고,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스텐트의 직경 축소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7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400)는, 제1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61')와 제2단째의 원주 방향 단위(62')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제1 직 구조체(60')와, 원주 방향 단위(71')와 원주 방향 단위(73')와 원주 방향 단위(72')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제2 직 구조체(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스텐트(400)는, 제2 직 구조체(70')에 있어서,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 및 62')의 어느 것에도 대응하고 있지 않은 원주 방향 단위(원주 방향 단위(73'))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400)를 구성하는 제1 직 구조체(60')는,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300)를 구성하는 제1 직 구조체(60)와 동일한 구조이다.
제2 직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원주 방향 단위(71')는,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와 같은 피치 길이, 이 원주 방향 단위(61')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 단위(6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이 원주 방향 단위(61')로 짜여져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1')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2')와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71')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62')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직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원주 방향 단위(72')는, 이것과 대응하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2')와 같은 피치 길이, 이 원주 방향 단위(62')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 단위(62')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이 원주 방향 단위(62')로 짜여져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2')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와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72')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61')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직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원주 방향 단위(73')는, 원주 방향 단위(71' 및 72')와 같은 피치 길이, 동일한 진폭(원주 방향 단위(61' 및 62')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원주 방향 단위(71')와 원주 방향 단위(72')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 단위(61') 및 원주 방향 단위(62')에 짜여져 있다.
원주 방향 단위(73')의 굴곡부는,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의 굴곡부와 연결(걸침)하고 있음과 함께,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2')의 굴곡부와도 연결(걸침)하고 있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3')는, 원주 방향 단위(71')와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73')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71')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원주 방향 단위(73')는, 원주 방향 단위(72')와 중첩되는 부분이 없고, 원주 방향 단위(73')의 굴곡부는, 원주 방향 단위(72')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실시 형태의 스텐트(400)에 의하면,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30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게다가, 제1 직 구조체(60')의 원주 방향 단위(61')와 원주 방향 단위(62')에 의해 둘러싸인 그물눈의 면적을, 제2 직 구조체(70')의 원주 방향 단위(73')를 구성하는 선재 W2에 의해 분할할 수 있으므로, 원주 방향 단위(73')를 갖지 않는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300)와 비교하여 그물눈을 더욱 미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직 구조체에 있어서,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원주 방향 단위의 수는, 3개(도 2 및 도 3)나 2개(도 6 및 도 7)가 아닌, 2 내지 20개 정도로 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그 내주 및/또는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그래프트로 피복함으로써, 스텐트 그래프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그래프트로서는, 종래 공지된 스텐트 그래프트를 구성하는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 성형, 블로우 성형 등의 성형 방법으로 가공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것,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의 편직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열가소성 수지의 부직포,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가요성 수지의 시트나 다공질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편직물로서는, 평직, 능직 등의 공지된 편물이나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림프 가공 등의 주름을 가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100, 200, 300, 400: 스텐트
10, 10': 제1 직 구조체
11, 11': 원주 방향 단위(제1단째)
11a: 제1 루프
11b: 제2 루프
12, 12': 원주 방향 단위(제2단째)
12a: 제1 루프
12b: 제2 루프
13, 13': 원주 방향 단위(제3단째)
13a: 제1 루프
13b: 제2 루프
20, 20': 제2 직 구조체
21, 21': 원주 방향 단위(제1단째)
21a: 제1 루프
21b: 제2 루프
22, 22': 원주 방향 단위(제2단째)
22a: 제1 루프
22b: 제2 루프
23, 23': 원주 방향 단위(제3단째)
23a: 제1 루프
23b: 제2 루프
60, 60': 제1 직 구조체
61, 61': 원주 방향 단위
62, 62': 원주 방향 단위
70, 70': 제2 직 구조체
71, 71': 원주 방향 단위
72, 72': 원주 방향 단위
73': 원주 방향 단위
W1, W2: 선재
P1, P2: 피치 길이
A1, A2: 진폭

Claims (6)

1개 이상의 선재를 짜서, 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선재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1 루프와, 이 제1 루프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상기 제1 루프에 연속하여 상기 선재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2 루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 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제1 직 구조체와,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와 같은 피치 길이로, 또한,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상기 선재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1 루프와, 이 제1 루프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상기 제1 루프에 연속하여 상기 선재를 좌우로 절첩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된 굴곡부와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2 루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그물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 방향 단위가,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응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제2 직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끼리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한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다른 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는, 대응하는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고, 대응하는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로 짜여져 있고,
상기 제2 직 구조체가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끼리에 있어서, 한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다른 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직 구조체는, 원주 방향 단위를 형성하는 루프의 단부를 굴곡시키지 않고 그대로 직진시켜서, 이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다음 원주 방향 단위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원주 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직 구조체는, 원주 방향 단위를 형성하는 루프의 단부를 굴곡시키지 않고 그대로 직진시켜서, 이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상기 제1 직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하는 원주 방향 단위 사이의 어긋남량과 같은 만큼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다음 원주 방향 단위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원주 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진폭은,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진폭의 2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는, 전의 원주 방향 단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거의 1/2 피치 어긋나는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1/4 피치 어긋나 있고,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끼리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한쪽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다른 쪽 원주 방향 단위의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대응하는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직 구조체의 원주 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연결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1항에 기재된 스텐트와, 이 스텐트의 내주, 또는 외주, 또는 내주와 외주를 덮는 그래프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KR1020177019055A 2015-01-13 2015-12-08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KR101796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4541 2015-01-13
JP2015004541A JP6177259B2 (ja) 2015-01-13 2015-01-13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グラフト
PCT/JP2015/084453 WO2016114039A1 (ja) 2015-01-13 2015-12-08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グラフ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666A KR20170086666A (ko) 2017-07-26
KR101796430B1 true KR101796430B1 (ko) 2017-11-09

Family

ID=5640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055A KR101796430B1 (ko) 2015-01-13 2015-12-08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45984B1 (ko)
JP (1) JP6177259B2 (ko)
KR (1) KR101796430B1 (ko)
CN (1) CN107106311B (ko)
WO (1) WO2016114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0242B2 (ja) * 2017-10-31 2021-03-3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WO2020054027A1 (ja) * 2018-09-13 2020-03-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テント
JP2020044335A (ja) * 2018-09-20 2020-03-26 デピュイ・シンセ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成形されたワイヤを有するステント
EP3949914A4 (en) * 2019-03-28 2023-01-04 JMS Co., Ltd. SYNTHETIC RESIN STENT AND STENT DELIVERY SYSTEM
CN116236330A (zh) * 2021-12-07 2023-06-09 微创优通医疗科技(嘉兴)有限公司 支架及其编织方法
CN116370008B (zh) * 2023-04-24 2024-01-30 上海励楷科技有限公司 多节距编织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107A (ja) 2002-04-25 2005-08-04 ボストン・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リミテッド Ptfe製冷間延伸ヤーンを有した埋設可能な織布プロテーゼ
JP2006026329A (ja) 2004-07-21 2006-02-02 Piolax Medical Device:Kk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2010524568A (ja) 2007-04-18 2010-07-22 デイビッド・エルマレー ネットシステムを有する脈管内器具
JP2014217487A (ja) 2013-05-02 2014-11-2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8159A (en) * 1996-04-30 1998-02-17 Schneider (Usa)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braided covered stent
US8348991B2 (en) * 2006-03-29 2013-01-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overlap and high expansion
KR101330825B1 (ko) * 2011-01-14 2013-11-15 신경민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CN102973341B (zh) * 2012-11-08 2015-06-17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编织的自膨式管腔支架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107A (ja) 2002-04-25 2005-08-04 ボストン・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リミテッド Ptfe製冷間延伸ヤーンを有した埋設可能な織布プロテーゼ
JP2006026329A (ja) 2004-07-21 2006-02-02 Piolax Medical Device:Kk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2010524568A (ja) 2007-04-18 2010-07-22 デイビッド・エルマレー ネットシステムを有する脈管内器具
JP2014217487A (ja) 2013-05-02 2014-11-2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77259B2 (ja) 2017-08-09
EP3245984B1 (en) 2018-11-07
CN107106311A (zh) 2017-08-29
KR20170086666A (ko) 2017-07-26
JP2016129575A (ja) 2016-07-21
EP3245984A1 (en) 2017-11-22
CN107106311B (zh) 2018-03-06
EP3245984A4 (en) 2018-03-21
WO2016114039A1 (ja)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430B1 (ko)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KR20170139086A (ko) 스텐트 및 의료 기기
EP1813224B1 (en) Self-expandable shape memory alloy st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5777012B2 (ja) 屈曲特性の良好な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JP2006506201A (ja) メッシュ状構造を有した医療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インプラント
WO2017163457A1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WO2023140214A1 (ja) ステント
KR101735702B1 (ko) 셀 확장이 용이한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KR20110064090A (ko) 스텐트
KR20090038209A (ko) 스텐트
JP2007244749A (ja) 脈管用ステント
JP2023148363A (ja) ステント、ステントグラフト
JP4327548B2 (ja) ステント
JP4429833B2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US20210259861A1 (en) Stent
TWI767128B (zh) 支架和支架移植物
WO2019087433A1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CN113347948A (zh) 支架及其制作方法
JP4159962B2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6985526B2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KR20230127280A (ko) 스텐트
JP2023081529A (ja) 編み込みステント、編み込みステント製造用治具および編み込みステントの製造方法
JP2011160915A (ja)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