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280A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280A
KR20230127280A KR1020237025634A KR20237025634A KR20230127280A KR 20230127280 A KR20230127280 A KR 20230127280A KR 1020237025634 A KR1020237025634 A KR 1020237025634A KR 20237025634 A KR20237025634 A KR 20237025634A KR 20230127280 A KR20230127280 A KR 20230127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unit
stent
mesh structu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이치 나카노
마사무네 사카이
후미아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A61F2/88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comprising a coil including a plurality of spiral or helical sections with alternate directions around a centr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4Oesophagi or esophagi or gul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Abstract

소화관 등의 관상기관의 내벽에 밀착하여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히는 것이 가능한 높은 확장력과, 굴곡되어 있는 관상기관에 유치해도 그 양단부가 맞닿는 부위에 궤양이나 천공을 일으키지 않는 양호한 유연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겸비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하나 이상의 선재를 짜 넣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텐트이며, 라디알 포스(RF)가 0.02∼0.04 N/㎜이고, 액시얼 포스(AF)에 대한 라디알 포스(RF)의 비(RF/AF)가 0.14 ㎜-1 이상이다. 본 발명의 스텐트 쇼트닝은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스텐트
본 발명은 소화관(digestive tract) 등의 체내의 관상기관에 유치함으로써, 관상기관의 협착이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한 스텐트(stent)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에 유치되는 스텐트(소화관 스텐트)는,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강(내강(內腔))을 밀어서 여는데 사용된다.
소화관 스텐트는, 하나 이상의 선재를 짜넣음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망목(mesh)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복수 접속되어서 이루어진 망목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표 공보2009-501049호
소화관 스텐트에는, 소화관의 내벽에 밀착하여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있도록, 높은 확장력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소화관 스텐트에는, 굴곡되어 있는 소화관에 유치했을 때에, 그의 양단부가 소화관의 내벽을 눌러 궤양이나 천공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유연성도 요구된다.
게다가, 소화관 스텐트에는, 소위 쇼트닝(확장 시에 따른 길이의 감소율)이 작을 것도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공지의 소화관 스텐트는, 상기의 요구 모두를 만족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높은 확장력을 갖는 스텐트는 유연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유연성이 양호한 스텐트는 충분한 확장력을 갖지 않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상기관의 내벽에 밀착하여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있는 높은 확장력과, 굴곡된 관상기관에 유치해도 그의 양단부가 맞닿는 부위에 궤양이나 천공을 일으키지 않는 양호한 유연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겸비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가로 쇼트닝이 작은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스텐트는, 하나 이상의 선재를 짜 넣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텐트로서, 라디알 포스(radial force)(RF)가 0.02∼0.04 N/㎜이고,
액시얼 포스(axial force)(AF)에 대한 라디알 포스(RF)의 비(RF/AF)가 0.14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의 스텐트 쇼트닝은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공지의 스텐트는 상기의 조건을 구비하는 것은 아니며, 당해 조건을 구비하는 것은 본 발명의 스텐트만이다.
(3) 본 발명의 스텐트의 액시얼 포스(AF)는 0.3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로서, 복수의 망목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4)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상기 선재의 직경이 0.1∼0.5 ㎜이며, 당해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와의 연결점의 단위면적당의 수가 2∼8 개/㎠이고,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점의 축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수가 2 개/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0.1∼0.5 ㎜의 선재에 의해 구조체를 형성하고, 당해 구조체에 서의 상기 연결점의 단위면적당의 수를 2∼8 개/㎠로 함으로써, 라디알 포스(RF)를 0.02∼0.04 N/㎜로 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면적당의 상기 연결점의 수를 상술한 범위 내로 한 후에,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당해 연결점의 축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수를 2 개/cm 이상으로 함으로써, 액시얼 포스(AF)를 0.3 N 이하로 하고, 비(RF/AF)를 0.14 ㎜-1 이상으로 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스텐트는 제1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로서, 복수의 망목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망목 구조체와,
제2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로서, 복수의 망목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망목 구조체에 대해 짜 넣어져 있는 제2 망목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망목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망목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는, 다른 쪽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7) 상기 (6)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재의 직경이 0.1∼0.5 ㎜이고, 상기 제1 망목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와의 연결점의 단위면적당의 수가 2∼8 개/㎠이며,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점의 축방향의 단위길이당의 수가 2 개/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0.1∼0.5 ㎜의 제1 선재에 의해 제1 망목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 제1 망목 구조체에서의 상기 연결점의 단위 면적당의 수를 2∼8 개/㎠로 함으로써, 제2 망목 구조체를 포함하는 스텐트의 라디알 포스(RF)를 0.02∼0.04 N/㎜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망목 구조체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의 상기 연결점의 수를 상술한 범위 내로 한 후에,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당해 연결점의 축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수를 2 개/cm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텐트의 액시얼 포스(AF)를 0.3 N 이하로 하고, 비(RF/AF)를 0.14 ㎜-1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관상기관의 내벽에 밀착하여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히는 것이 가능한 높은 확장력과, 굴곡된 관상기관에 유치해도 궤양이나 천공을 일으키지 않는 양호한 유연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겸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스텐트의 요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스텐트의 제1 망목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스텐트의 요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스텐트의 제1 망목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액시얼 포스(AF)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100)는, 제1 단목(段目)의 원주방향 단위(11)와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2)와 제3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3)가,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끼리 겹치는 부분을 가지면서,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망목 구조체(10)와,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21)와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22)와 제3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23)가,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끼리 겹치는 경우 없이,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2 망목 구조체(20)에 의해 구성되고, 스텐트(100)의 라디알 포스(RF)가 0.02∼0.04 N/㎜, 액시얼 포스(AF)가 0.3 N 이하, 액시얼 포스에 대한 라디알 포스의 비(RF/AF)가 0.14 ㎜-1 이상이고, 쇼트닝이 35% 이하이다.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1)는, 제1 선재(W1)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11a)와, 이 제1 루프(11a)에 연속하고, 제1 루프(11a)에 대해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제1 선재(W1)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1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11b)는 제1 루프(11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十字)로 교차하여, 제1 루프(11a)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2)는, 이에 인접한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1)에 대해 축방향으로 1/2 피치(원주방향 단위(11)의 축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진폭의 1/2) 어긋나는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다.
이 원주방향 단위(12)는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1)의 제2 루프(11b)에 연속하고, 제1 선재(W1)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12a)와, 이 제1 루프(12a)에 연속하고, 제1 루프(12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제1 선재(W1)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1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12b)는 제1 루프(12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여, 제1 루프(12a)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1)에 대해 축방향으로 1/2 피치 어긋나 있는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2)는, 원주방향 단위(11)와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1)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원주방향 단위(12)의 굴곡부는 원주방향 단위(11)의 선재 교차부와 연결되어 있고, 원주방향 단위(12)의 선재 교차부는 원주방향 단위(11)의 굴곡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3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3)는, 이에 인접한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2 피치 어긋나는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다.
이 원주방향 단위(13)는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2)의 제2 루프(12b)에 연속하고, 제1 선재(W1)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13a)와, 이 제1 루프(13a)에 연속하고, 제1 루프(13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제1 선재(W1)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1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13b)는 제1 루프(13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여, 제1 루프(13a)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2 피치 어긋나 있는 제3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3)는, 원주방향 단위(12)와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원주방향 단위(13)의 굴곡부는 원주방향 단위(12)의 선재 교차부와 연결되어 있고, 원주방향 단위(13)의 선재 교차부는 원주방향 단위(12)의 굴곡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원주방향 단위로서 3단의 원주방향 단위(원주방향 단위(11), 원주방향 단위(12) 및 원주방향 단위(13))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100)의 제1 망목 구조체(10)에는, 통상 제4 단목 이후의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9단의 원주방향 단위(원주방향 단위11∼19)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망목 구조체(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끼리 (선재)가 겹치는 부분도 하나의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n 단목 (n≥4)의 원주방향 단위는, 이에 인접한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2 피치 어긋나는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다.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제2 루프에 연속하고, 제1 선재(W1)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와, 이 제1 루프에 연속하고, 제1 루프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제1 선재(W1)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는, 제1 루프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여, 제1 루프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2 피치 어긋나 있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와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선재 교차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선재 교차부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망목 구조체(10)를 형성하는 제1 선재(W1)의 직경은 0.1∼0.5 ㎜이며, 바람직하게는 0.15∼0.25 ㎜이다.
제1 선재(W1)의 직경이 과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스텐트의 라디알 포스(RF)를 0.02 N/㎜ 이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선재(W1)의 직경이 과대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스텐트의 라디알 포스(RF)를 0.04 N/㎜ 이하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제1 망목 구조체(10)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이들의 연결점을 「○」으로 둘러싸서 나타내고 있다.
제1 망목 구조체(10)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의 당해 연결점의 수는 2∼8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개/㎠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 단위(12)의 선재 교차부는 원주방향 단위(11)의 굴곡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원주방향 단위(13)의 굴곡부와도 연결되어 있지만, 이 경우의 연결점의 수는 하나로 세는 것으로 한다.
단위면적당의 연결점의 수를 2 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텐트(100)의 라디알 포스(RF)를 0.02 N/㎜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위면적당의 연결점의 수를 8 개/㎠ 이하로 함으로써, 스텐트(100)의 라디알 포스(RF)를 0.04 N/㎜ 이하로 할 수 있다.
제1 망목 구조체(10)에 있어서,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점의 축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수는 2 개/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2∼3 개/cm이다.
축방향의 단위길이당의 연결점의 수를 2 개/cm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텐트(100)가 휘어지기 쉬워져, 그 액시얼 포스(AF)를 0.3 N 이하로 하고, 비(RF/AF)를 0.14 ㎜-1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망목 구조체(10)의 축방향으로의 신장값을 작게 하고, 스텐트(100)의 쇼트닝을 35% 이하로 하는 관점에서, 축방향의 단위길이당의 연결점의 수를 5 개/c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망목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21)는, 이와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1)와 동일한 피치 길이, 대응하는 원주방향 단위(11)보다도 작은 진폭, 대응하는 원주방향 단위(11)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제2 선재(W2)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21a)와, 이 제1 루프(21a)에 연속하고, 제1 루프(21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제2 선재(W2)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2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21b)는 제1 루프(21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여, 제1 루프(21a)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이 원주방향 단위(21)는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1)에 편조되어 있다. 또한, 이 원주방향 단위(21)의 굴곡부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2)의 굴곡부와 연결되어(맞물려) 있다.
제2 망목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22)는, 이와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2)와 동일한 피치 길이, 대응하는 원주방향 단위(12)보다도 작은 진폭, 대응하는 원주방향 단위(12)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제2 선재(W2)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22a)와, 이 제1 루프(22a)에 연속하고, 제1 루프(22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제2 선재(W2)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2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22b)는 제1 루프(22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여, 제1 루프(22a)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이 원주방향 단위(22)는,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2)에 편조되어 있다. 또한, 이 원주방향 단위(22)의 굴곡부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1)의 굴곡부와 연결되어(맞물려) 있는 동시에,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3)의 굴곡부와도 연결되어(맞물려) 있다.
또한, 원주방향 단위(22)와 원주방향 단위(21)는 겹치는 부분이 없고, 원주방향 단위(22)의 굴곡부는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21)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망목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3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23)는, 이와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3)와 동일한 피치 길이, 대응하는 원주방향 단위(13)보다도 작은 진폭, 대응하는 원주방향 단위(13)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제2 선재(W2)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23a)와, 이 제1 루프(23a)에 연속하고, 제1 루프(23a)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제2 선재(W2)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2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23b)는 제1 루프(23a)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여, 제1 루프(23a)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이 원주방향 단위(23)는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3)에 편조되어 있다. 또한, 이 원주방향 단위(23)의 굴곡부는,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12)의 굴곡부와 연결되어(맞물려) 있다.
또한, 원주방향 단위(23)와 원주방향 단위(22)는 겹치는 부분이 없고, 원주방향 단위(23)의 굴곡부는,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22)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1에서는, 제2 망목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원주방향 단위로서 3단의 원주방향 단위(원주방향 단위(21), 원주방향 단위(22) 및 원주방향 단위(23))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100)의 제2 망목 구조체(20)에는, 통상 제4 단목 이후의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2 망목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n 단목 (n≥4)의 원주방향 단위는, 이와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와 동일한 피치 길이,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보다도 작은 진폭,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제2 선재(W2)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1 루프와, 이 제1 루프에 연속하고, 제1 루프에 대하여 위상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제2 선재(W2)를 좌우로 되접어 꺾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시켜서 형성한 제2 루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루프는 제1 루프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여, 제1 루프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제2 망목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는,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에 편조되어 있다. 또한, 제2 망목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제1 망목 구조체(10)를 구성하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연결되어(맞물려) 있다.
또한, 제2 망목 구조체(2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와,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는 겹치는 부분이 없고,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망목 구조체(20)를 형성하는 제2 선재(W2)의 직경은 0.1∼0.5 ㎜이며, 바람직하게는 0.15∼0.25 ㎜이다.
제2 망목 구조체(20)에 있어서는,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가, 다른 쪽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제1 망목 구조체(10)와 같은 연결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망목 구조체(20)의 형태는 스텐트(100)의 라디알 포스(RF), 액시얼 포스(AF) 및 쇼트닝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100)의 외경은, 예를 들어 10∼40 ㎜이며, 바람직하게는 15∼30 ㎜,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16∼25 ㎜이다.
또한, 스텐트(100)의 외경은 전장에 걸쳐 동일해도 좋고, 일 단부 및/또는 타단부가 확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스텐트(100)의 길이는, 예를 들어 40∼200 ㎜이며, 바람직하게는 50∼180 ㎜,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60∼150 ㎜이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100)의 라디알 포스(RF)는 0.02∼0.04 N/㎜이며, 바람직하게는 0.025∼0.037 N/㎜이다.
라디알 포스(RF)가 0.02∼0.04 N/㎜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벽에 손상을 주는 경우 없이, 스텐트(100)를 밀착시켜서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있다.
라디알 포스(RF)가 0.02 N/㎜ 미만이라면, 소화관의 내벽에 밀착시켜서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라디알 포스(RF)가 0.04 N/㎜를 초과하면, 소화관의 내벽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라디알 포스(RF)는, JIS T 0401(스텐트 그래프트(stent graft)의 기계적 시험 방법), 4.2 반경방향의 힘 측정 장치(도 2)와, JIS T 3269(담즙(췌장) 관용 스텐트 및 배출 카테터(drainage catheter)) 부속서A(역학적 특성의 확인 시험) A.4순서 a)시험법 1에 준거하여,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온도를 37±2℃로 하고, 스텐트의 축방향으로 수직으로 압축 하중을 걸어, 초기 직경의 50%까지 압축한 후, 일정 속도로 하중을 제거하여 스텐트 직경을 복원시키고, 스텐트 직경이 초기 직경의 70%가 되었을 때의 하중(F)을, 당해 하중을 걸고 있는 범위의 축방향의 길이(L)로 나눈 값(F/L[N/㎜])을 라디알 포스(RF)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100)의 액시얼 포스(AF)는 0.3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21 이하이며, 액시얼 포스에 대한 라디알 포스의 비(RF/AF)가 0.14 ㎜-1 이상, 바람직하게는 0.15 ㎜-1 이상이다.
액시얼 포스(AF)가 0.3 N 이하이며, 비(RF/AF)가 0.14 ㎜-1 이상임으로써, 스텐트(100)는 소화관의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있는 높은 확장력과, 굴곡된 소화관에 유치해도 그 양단부가 맞닿는 부위에 궤양이나 천공을 일으키지 않는 양호한 유연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겸비한 것으로 된다.
비(RF/AF)가 0.14 ㎜ 미만으로 되면, 스텐트의 양단부가 소화관의 내벽을 눌러 궤양이나 천공을 발생시키거나(AF가 과대인 경우), 소화관의 내벽에 밀착시켜서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없다(RF가 과소인 경우).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액시얼 포스(AF)는, Gastrointest Endosc. 2009 Jul; 70(1): 37-44. Measurement of radial and axial forces of biliary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s Hiroyuki Isayama et.al.에 준거하여,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온도를 37±2℃로 하고, 하단부가 고정된 직립 상태의 스텐트에, 그 축방향으로 수직으로 하중을 걸음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0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파이프(80)를 따라 60° 굴곡시키고, 굴곡 점(BP)으로부터 20 ㎜ 벗어난 위치에 있어서, 디지탈 포스 게이지(85)에 의해 측정되는 반력 [N]을 액시얼 포스(AF)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100)의 쇼트닝은 3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쇼트닝은 35% 이하임으로써, 스텐트(100)를 목적 부위로 정확하게 유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100)에 의하면, 소화관의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있는 동시에, 굴곡된 소화관에 유치해도 그 양단부가 맞닿는 부위에 궤양이나 천공을 일으킬 경우는 없다.
또한,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과, 제2 망목 구조체(2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이, 서로 동일한 피치 길이를 갖고, 위상이 1/4 피치 어긋나 있음으로써,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에 있어서의 망목의 면적을, 제2 망목 구조체(2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2 선재(W2)에 의해 4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망목 구조체(10)만으로 형성되는 스텐트와 비교해서 망목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망목 구조체(2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이,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어서,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제2 망목 구조체(2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가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없고,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제2 망목 구조체(2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관상기관의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망목 구조체(2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의 진폭이,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의 진폭보다 작기 때문에,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제2 망목 구조체(2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없고, 제1 망목 구조체(1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제2 망목 구조체(2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스텐트의 축경성(diameter reduction)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3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300)는,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61)와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62)가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제1 망목 구조체(60)와,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71)와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72)가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제2 망목 구조체(70)에 의해 구성되고, 스텐트(100)의 라디알 포스(RF)가 0.02∼0.04 N/㎜, 액시얼 포스(AF)가 0.3 N 이하, 액시얼 포스에 대한 라디알 포스의 비(RF/AF)가 0.14 ㎜-1 이상이며, 쇼트닝이 35% 이하이다.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원주방향 단위(61, 62)),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원주방향 단위(71, 72))는 모두 2개의 루프로 구성되고, 당해 2개의 루프는 각각의 직선부에 있어서 십자로 교차하고, 한쪽의 루프는 다른 쪽의 루프의 상하를 번갈아 통과하도록 진행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61)와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62)는 축방향으로 1 피치(진폭) 어긋나 있어서, 원주방향 단위(61)의 굴곡부와 원주방향 단위(62)의 굴곡부는 연결되어(맞물려)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원주방향 단위로서 2단의 원주방향 단위(원주방향 단위(61) 및 원주방향 단위(62))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300)의 제1 망목 구조체(60)에는, 통상 제3 단목 이후의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5단의 원주방향 단위(원주방향 단위(61∼65))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망목 구조체(60)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와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는 축방향으로 1 피치(진폭) 어긋나 있어서,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연결되어(맞물려) 있다.
제1 망목 구조체(60)를 형성하는 제1 선재(W1)의 직경은 0.1∼0.5 ㎜이며, 바람직하게는 0.15∼0.25 ㎜이다.
제1 선재(W1)의 직경이 과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스텐트의 라디알 포스(RF)를 0.02 N/㎜ 이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선재(W1)의 직경이 과대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스텐트의 라디알 포스(RF)를 0.04 N/㎜ 이하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제1 망목 구조체(60)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이들의 연결점을 「○」으로 둘러싸서 나타내고 있다.
제1 망목 구조체(60)에 있어서, 단위면적당의 당해 연결점의 수는 2∼8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3∼5 개/㎠이다.
단위면적당의 연결점의 수를 2 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텐트(100)의 라디알 포스(RF)를 0.02 N/㎜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위면적당의 연결점의 수를 8 개/㎠ 이하로 함으로써, 스텐트(100)의 라디알 포스(RF)를 0.04 N/㎜ 이하로 할 수 있다.
제1 망목 구조체(60)에 있어서,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점의 축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수는 2 개/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2∼3 개/cm이다.
축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연결점의 수를 2 개/cm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텐트(100)가 휘기 쉬워져, 그 액시얼 포스(AF)를 0.3 N 이하로 하고, 비(RF/AF)를 0.14 ㎜-1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망목 구조체(60)의 축방향으로의 신장값을 작게 하여, 스텐트(100)의 쇼트닝을 35% 이하로 하는 관점에서, 축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연결점의 수를 5 개/c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71)는, 이와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61)와 동일한 피치 길이, 이 원주방향 단위(61)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 단위(61)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이 원주방향 단위(61)에 편조되어 있다.
또한, 원주방향 단위(71)는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62)와 겹치는 부분이 없고, 원주방향 단위(71)의 굴곡부는 원주방향 단위(62)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2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72)는, 이와 대응하는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62)와 동일한 피치 길이, 이 원주방향 단위(62)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원주방향 단위(71)의 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원주방향 단위(62)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이 원주방향 단위(62)에 편조되어 있다.
또한, 원주방향 단위(72)는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61)와 겹치는 부분이 없고, 원주방향 단위(72)의 굴곡부는 원주방향 단위(61)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원주방향 단위(72)는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71)와 겹치는 부분이 없고, 원주방향 단위(72)의 굴곡부는 원주방향 단위(71)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3에서는,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원주방향 단위로서 2단의 원주방향 단위(원주방향 단위(71) 및 원주방향 단위(72))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300)의 제2 망목 구조체(70)에는, 통상 제3 단목 이후의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는,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와 동일한 피치 길이,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보다도 작은 진폭으로,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에 편조되어 있다.
또한,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는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와 겹치는 부분이 없고,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제1 망목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는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와 겹치는 부분이 없고,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n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는 제2 망목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n-1) 단목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망목 구조체(70)를 형성하는 제2 선재(W2)의 직경은 0.1∼0.5 ㎜이며, 바람직하게는 0.15∼0.25 ㎜이다.
제2 망목 구조체(70)에 있어서는,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가, 다른 쪽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기(제1 망목 구조체(60)와 같은 연결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망목 구조체(70)의 형태는 스텐트(300)의 라디알 포스(RF), 액시얼 포스(AF) 및 쇼트닝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300)의 외경은, 예를 들어 10∼40 ㎜이며, 바람직하게는 15∼30 ㎜,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16∼25 ㎜이다.
또한, 스텐트(300)의 외경은 전장에 걸쳐 동일할 수도 있고, 일 단부 및/또는 타단부가 확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스텐트(300)의 길이는, 예를 들어 40∼200 ㎜이며, 바람직하게는 50∼180 ㎜,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60∼150 ㎜이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300)의 라디알 포스(RF)는 0.02∼0.04 N/㎜이며, 바람직하게는 0.025∼0.037 N/㎜이다.
라디알 포스(RF)가 0.02∼0.04 N/㎜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벽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없고, 스텐트(300)를 밀착시켜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300)의 액시얼 포스(AF)는 0.3 N 이하, 바람직하게는 0.21 이하이며, 액시얼 포스에 대한 라디알 포스의 비(RF/AF)가 0.14 ㎜-1 이상, 바람직하게는 0.15 ㎜-1 이상이다.
액시얼 포스(AF)가 0.3 N 이하이며, 비(RF/AF)가 0.14 ㎜-1 이상임으로써, 스텐트(300)는 소화관의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있는 높은 확장력과, 굴곡된 소화관에 유치해도 그 양단부가 맞닿는 부위에 궤양이나 천공을 일으키지 않는 양호한 유연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겸한 것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300)의 쇼트닝은 3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쇼트닝은 35% 이하임으로써, 스텐트(300)를 목적 부위에 정확하게 유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텐트(300)에 의하면, 소화관의 협착부를 충분히 펴서 넓힐 수 있는 동시에, 굴곡된 소화관에 유치해도 그의 양단부가 맞닿는 부위에 궤양이나 천공을 일으킬 경우는 없다.
또한,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과,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이, 서로 동일한 피치 길이를 갖고, 위상이 1/4피치 어긋나 있음으로써,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에 있어서의 망목의 면적을,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2 선재(W2)에 의해 4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망목 구조체(60)만으로 형성되는 스텐트와 비교해서 망목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이,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1/4 피치 어긋나 있어서,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가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없고,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관상기관의 만곡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의 진폭이,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의 각각의 진폭보다 작음으로써,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와,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없고, 제1 망목 구조체(6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와, 제2 망목 구조체(70)의 원주방향 단위의 굴곡부에 의한 연결부가 동일 축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스텐트의 축경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100: 스텐트
10: 제1 망목 구조체
11: 원주방향 단위(제1 단목)
11a: 제1 루프
11b: 제2 루프
12: 원주방향 단위(제2 단목)
12a: 제1 루프
12b: 제2 루프
13: 원주방향 단위(제3 단목)
13a: 제1 루프
13b: 제2 루프
14∼19: 원주방향 단위(제4 단목∼제9단목)
20: 제2 망목 구조체
21: 원주방향 단위(제1 단목)
21a: 제1 루프
21b: 제2 루프
22: 원주방향 단위(제2 단목)
22a: 제1 루프
22b: 제2 루프
23: 원주방향 단위(제3 단목)
23a: 제1 루프
23b: 제2 루프
W1, W2: 선재
300: 스텐트
60: 제1 망목 구조체
61: 원주방향 단위(제1 단목)
62: 원주방향 단위(제2 단목)
64∼65: 원주방향 단위(제4 단목∼제5단목)
70: 제2 망목 구조체
71: 원주방향 단위(제1 단목)
72: 원주방향 단위(제2 단목)
80: 파이프
85: 디지탈 포스 게이지

Claims (7)

  1. 하나 이상의 선재를 짜 넣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텐트에 있어서,
    라디알 포스(RF)가 0.02∼0.04 N/㎜이고,
    액시얼 포스(AF)에 대한 라디알 포스(RF)의 비(RF/AF)가 0.14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쇼트닝이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시얼 포스(AF)가 0.3 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로서, 복수의 망목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상기 선재의 직경이 0.1∼0.5 ㎜이고,
    상기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와의 연결점의 단위면적당의 수가 2∼8 개/㎠이며,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점의 축방향의 단위길이당의 수가 2 개/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로서, 복수의 망목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1 망목 구조체와,
    제2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로서, 복수의 망목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원주방향 단위가 축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망목 구조체에 대해 짜 넣어져 있는 제2 망목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망목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망목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는 다른 쪽의 굴곡부 및 선재 교차부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재의 직경이 0.1∼0.5 ㎜이며,
    상기 제1 망목 구조체에 있어서, 인접한 원주방향 단위의 한쪽의 굴곡부와 다른 쪽의 굴곡부 또는 선재 교차부와의 연결점의 단위 면적당의 수가 2∼8 개/㎠이며,
    동일 원주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연결점의 축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수가 2 개/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KR1020237025634A 2021-03-23 2021-03-23 스텐트 KR202301272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11857 WO2022201284A1 (ja) 2021-03-23 2021-03-23 ステン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280A true KR20230127280A (ko) 2023-08-31

Family

ID=8339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634A KR20230127280A (ko) 2021-03-23 2021-03-23 스텐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72130A1 (ko)
JP (1) JPWO2022201284A1 (ko)
KR (1) KR20230127280A (ko)
DE (1) DE112021007342T5 (ko)
WO (1) WO20222012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9941A1 (en) * 2009-07-08 2011-01-13 Concentric Medical, Inc. Vascular and bodily duct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EP3861961A1 (en) * 2016-05-16 2021-08-11 Elixir Medical Corporation Uncaging stent
JP6850242B2 (ja) * 2017-10-31 2021-03-3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01284A1 (ko) 2022-09-29
DE112021007342T5 (de) 2023-12-28
US20230372130A1 (en) 2023-11-23
WO2022201284A1 (ja)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0026C (zh) 具有可变特性的以优化支撑的移植片固定模及其制造方法
EP1073386B1 (en) A stent device
US5092877A (en) Radially expandable endoprosthesis
JP5016708B2 (ja) 拡張可能な管腔内部人工器官
JP3886951B2 (ja) 拡張性血管内ステント
US5019090A (en) Radially expandable endoprosthesis and the like
US5226913A (en) Method of making a radially expandable prosthesis
US8801775B2 (en) Helical stent with opposing and/or alternating pitch angles
US5833699A (en) Extending ribbon stent
KR20170084214A (ko) 스텐트 보철
CA3081285A1 (en) Uniformly expandable stent
US20150080999A1 (en) Self-expanding stent
JP2000202032A (ja) 拡張可能な腔内エンドプロテ―ゼ
KR101796430B1 (ko)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WO2018161045A1 (en) Fracture resistant stent
KR20230127280A (ko) 스텐트
KR101602400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US20110004294A1 (en) Fatigue-resistant stent
EP2881089A1 (en) Stent for implantation into blood vessels
CA2695507C (en) Radially expansible stent
WO2022181661A1 (ja) ステント
WO2023203596A1 (ja) ステ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ント
CN117442402A (zh) 编织型网管支架
JP2023143792A (ja) ステント
CN116350411A (zh) 一种支架编织方法及使用该方法编织的支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