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95B1 -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 Google Patents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95B1
KR101778195B1 KR1020150102588A KR20150102588A KR101778195B1 KR 101778195 B1 KR101778195 B1 KR 101778195B1 KR 1020150102588 A KR1020150102588 A KR 1020150102588A KR 20150102588 A KR20150102588 A KR 20150102588A KR 101778195 B1 KR101778195 B1 KR 10177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wheel
bike
landing
wheel arm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198A (ko
Inventor
여태순
Original Assignee
여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태순 filed Critical 여태순
Priority to JP201851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JP6991963B2/ja
Priority to US15/575,378 priority patent/US10913503B2/en
Priority to RU2017144622A priority patent/RU2666063C1/ru
Priority to AU2016264161A priority patent/AU2016264161B2/en
Priority to SG11201709528VA priority patent/SG11201709528VA/en
Priority to CN201680029021.3A priority patent/CN107646009B/zh
Priority to EP16796668.8A priority patent/EP3299196B1/en
Priority to CA2986571A priority patent/CA2986571C/en
Priority to PCT/KR2016/004533 priority patent/WO2016186341A1/ko
Publication of KR2016013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95B1/ko
Priority to PH12017502102A priority patent/PH1201750210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4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runners for riding on ice or sn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62J17/04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62J17/086Frame mounted hood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62J45/412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15Cleaning devices
    • B62J50/16Cleaning devices for cleaning parts of the cycle, e.g. windscreen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in the fai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J2099/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6Luggage carriers forming part of frame
    • B62K220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4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foot leve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는 바이크의 좌측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좌측 랜딩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측 랜딩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측 랜딩휠 암과, 바이크의 우측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우측 랜딩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우측 랜딩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우측 랜딩휠 암과,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랜딩휠을 승강시키기 위한 좌측 구동부와,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측 랜딩휠을 승강시키기 위한 우측 구동부와, 바이크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및 상기 속도 감지부와 상기 좌측 구동부 및 상기 우측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설정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좌측 랜딩휠과 상기 우측 랜딩휠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상승시키고 상기 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가 되면 상기 좌측 랜딩휠과 상기 우측 랜딩휠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BIKE WITH AUTOMATIC CONTROL DEVICE OF LANDING WHEEL}
본 발명은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노피와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되어 기동성과 유연성을 충족하면서도 안정성을 향상하여 남녀노소 편리하게 탑승할 수 있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30005호에 개시된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보조바퀴, 이륜차의 차체와 보조바퀴를 연결하며 보조바퀴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핑부 및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댐핑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주행 조건에 따라 외부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댐핑부의 작동 여부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정지 시 바이크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대비하여 크게 향상된 기술적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제한적인 기술로서, 무게 중심을 벗어나서 중심을 잡는데 문제가 있으며, 이 기술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변화무상한 지면과 바이크의 좌우 강력한 힘의 쏠림 현상으로 인하여 수직을 유지할 수 없거나 바이크 라이더들이 더 불편할 수밖에 없어서 장착의 편의성을 훨씬 넘어서는 불편함으로 인하여 사용을 꺼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조바퀴에 예기치 못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비교적 큰 장애물이 충돌할 경우에는 보조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이륜차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34988호에 개시된 2륜차의 안전 주행 보조용의 보조 바퀴를 구비한 자동 모터 구동 스탠드 장치는 2륜차가 차체의 중심 유지가 어려운 상태의 저속 주행에 돌입 시 보조 바퀴가 펼쳐져 차체가 기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돕는 보조 바퀴를 가진 자동 모터 구동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고,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길을 주행 시 차체의 중심 유지의 안정성을 높인 보조 바퀴를 가진 자동 모터 구동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륜차의 바퀴 양측의 2개 지점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 지점을 지지하는 수단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우 보조 바퀴이며, 상기 좌우 보조 바퀴는 설정 차속 이하에서는 자동으로 지면에 접하여 차체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도록 작동되며, 설정 차속 이상에서는 자동으로 수평 위치로 접혀지도록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변화무상한 지면과 바이크의 좌우 강력한 불균형의 힘의 쏠림 현상으로 인하여 수직을 유지할 수 없거나 바이크 라이더들이 더 불편할 수밖에 없어 사용을 꺼리게 된다. 특히 좌우측 보조바퀴에 예기치 못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비교적 큰 장애물이 충돌할 경우에는 보조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이륜차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좌우측 지면의 불균형에 대응하여 편차 높이만큼을 개별적으로 양쪽 보조 바퀴가 지면에 대응해주어야 하는데 와이어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양쪽 보조바퀴를 같은 높이로 정역으로 동시에 구동하면서 스프링에만 의존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운행 중에 보조바퀴를 작동하더라도 좌우 지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바이크의 좌우 중심 유지가 크게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다. 즉, 이 기술은 좌우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스프링 장력이 컨트롤 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나 스프링 장력 변화를 주는 설계는 기구상 대응하기 복잡해지며, 해당 기술문헌에는 단지 기울기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보조 바퀴를 상승시킨다고만 되어 있는데 이렇게 상승만 시키게 되면 오토바이가 즉시 전복된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127718호에 개시된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바퀴부, 보조바퀴부를 통해 이륜차의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 및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부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완충부가 수용 가능한 충격보다 더 큰 충격이 보조바퀴부에 가해지면, 스토퍼부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며 보조바퀴부가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회전한다.
그러나 이 기술에 사용된 것은 기구적으로 소형 컨베이어 벨트의 제품의 월장이나 카운터 센스나 제품 높이 감지를 위한 높낮이 체크에나 쓰는 간단한 소형 간이 기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바이크의 중심을 잡기 위한 큰 변화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운행 중 지면으로부터의 큰 충격과 요철 부위를 통과하고 다시 복귀하는 차량용으로는 적용하는 데 있어 많은 개선점이 필요하며, 기본적인 설계의 틀이 좌우 중심 이동이 변화무상하며 과도한 중량을 가지고 좌우 쏠림이 강력한 바이크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라이더들의 개방된 운행 조작 자율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지면의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도록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륜 바이크가 사륜 자동차에 비해 운행의 개방적 자율성과 기동성을 충족하여 라이더들에게 많은 위험성에 노출됨에도 불구하고 애호가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는데, 바이크의 특성상 많은 기동성과 유연성을 충족하면서도 무엇보다 안전성을 확보하여 보조 바퀴의 장착의 고유 목적을 달성하는 많은 기술을 요구하고 있는데 반하여 상기 기존의 개발된 보조바퀴장치들은 바이크 운전자의 자율성을 많이 제약하거나 정지된 상태에서 넘어짐을 방지하는 기존의 스탠드 보조 지지 역할에서 크게 발전된 제안이 없으며, 일부 개량 기술로도 좌우 독립된 각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기술이 부족하여 현재 바이크 라이더들이 상기 기술들을 적용하여 쓰지 않음으로써 활성화에 많은 장애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바이크 특유의 기동성과 유연성을 충족하면서도 운행 중 또는 정지된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바이크의 수직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4륜 차량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빙판길이나 눈길에서도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직진성을 향상시키며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효과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여 승차감 및 안정감을 높이고, 4륜차와 같은 실내를 제공하여 헬멧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없애고 충돌 사고 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는 바이크의 좌측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좌측 랜딩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측 랜딩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측 랜딩휠 암과, 바이크의 우측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우측 랜딩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우측 랜딩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우측 랜딩휠 암과,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랜딩휠을 승강시키기 위한 좌측 구동부와,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측 랜딩휠을 승강시키기 위한 우측 구동부와, 바이크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및 상기 속도 감지부와 상기 좌측 구동부 및 상기 우측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설정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좌측 랜딩휠과 상기 우측 랜딩휠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상승시키고 상기 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가 되면 상기 좌측 랜딩휠과 상기 우측 랜딩휠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은 상단부가 바이크의 좌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은 상단부가 바이크의 우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측 구동부는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우측 구동부는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크는 내부에 운전자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캐노피가 구비되고, 상기 캐노피 후방부의 양 사이드부에는 자동 랜딩휠 장치의 수납 공간을 위한 사이드트렁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노피의 전면부에는 바깥면이 구형체 일부의 바깥면과 같은 윈드 쉴드가 구비되고, 상기 윈드 쉴드의 바깥면과 밀착하도록 원주 형태로 구부러져 있는 좌우 한 쌍의 윈드 쉴드 와이퍼와, 상기 윈드 쉴드 와이퍼를 상하 왕복하도록 구동하는 윈드 쉴드 와이퍼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랜딩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우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랜딩휠 암을 밀면 상기 랜딩휠 암이 하강하도록 하는 캠과, 상기 캠의 회전 중심과 상기 캠과 상기 랜딩휠 암의 접촉 부위 사이의 최단 거리가 줄어들면 상기 랜딩휠 암을 잡아당겨서 상기 랜딩휠 암이 상승하도록 하는 당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전기 신호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로드가 하강하여 상기 랜딩휠 암을 밀면 상기 랜딩휠 암이 하강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 장치와,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면 상기 랜딩휠 암을 잡아당겨서 상기 랜딩휠 암이 상승하도록 하는 당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휠 암은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가 구부러져서 "L"자 또는 "C"자 형태의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의 안쪽 부분에 완충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완충수단이 상기 캠과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휠 암은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가 구부러져서 "L"자 또는 "C"자 형태의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의 안쪽 부분에 완충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완충수단이 상기 피스톤로드와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한쪽 말단은 상기 랜딩휠 암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자유단인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다수 개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단부는 상기 랜딩휠 암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랜딩휠 암의 굴곡을 따라 구부러진 형태를 가진 판스프링과, 상단은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부와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랜딩휠 암과 결합되어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랜딩휠 암 사이에 탄설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이크가 수직하게 선 상태로부터 얼마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졌는지를 측정하는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와 상기 제어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바이크가 좌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좌측 랜딩휠만 하강시키고, 바이크가 우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우측 랜딩휠만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바이크가 좌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좌측 랜딩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더 좌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우측 랜딩휠을 상승시키고, 바이크가 우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우측 랜딩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더 우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좌측 랜딩휠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과 결합되고 자중에 의해 바이크가 기울더라도 그대로 연직선 상에 위치하는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와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와 함께 움직이는 전극봉과, 바이크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극봉과 접촉하도록 바이크에 고정 설치되는 중앙전극판 및 상기 중앙전극판의 좌측 및 우측에 연달아 배치되어, 바이크가 일정 각도 이상 좌측 및 우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전극봉과 접촉하도록 바이크에 고정 설치되는 전극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이크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일정 범위의 기울기 내에서는 상기 중앙전극판과 접촉하고, 상기 전극기판은 여러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봉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접촉되는 상기 전극기판이 달라져서 바이크의 기울기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 랜딩휠 암, 상기 좌측 랜딩휠 및 상기 좌측 구동부를 포함하는 좌측 랜딩휠 장치는 좌측 사이드트렁크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진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우측 랜딩휠 암, 상기 우측 랜딩휠 및 상기 우측 구동부를 포함하는 우측 랜딩휠 장치는 우측 사이드트렁크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진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 랜딩휠 장치의 우측에 좌측 래크가 결합되고 상기 우측 랜딩휠 장치의 좌측에 우측 래크가 결합되며, 상기 좌측 래크 및 상기 우측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이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좌측 랜딩휠 장치 및 상기 우측 랜딩휠 장치를 동시에 가깝게 하거나 멀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에 의하면 캐노피가 설치되어 비, 눈, 추위, 더위 등으로부터 운전자를 신체를 보호하고, 운행 시 운전자가 운전자의 몸으로 2륜 차량의 수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노동을 하지 않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2륜 차량이 수직을 유지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캐노피의 트렁크 안에 자동 랜딩휠을 설치하여 가장 저렴한 방식으로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유선형으로 공기저항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정상 도로 주행 조건에서는 좌우측 랜딩휠이 같은 힘으로 지지하다가 일정속도 이상의 속도에서는 랜딩휠이 상승하여 고속 주행 시 효율성을 갖게 하며, 바이크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랜딩휠암이 유연하게 작동되게 하여 서행 시 랜딩휠이 랜딩되면 요철부 구동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게 하여 유연한 운행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심한 노면의 불균형과 미끄러운 노면 가혹한 주행 조건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외부 요철 지면에 대응하여 자동 기구적 C형 혹은 L형의 암에 설치된 간단한 다중 판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기구 동작을 보완하는 컨트롤 시스템 작동으로 유연한 워킹 암의 지면 적응 조작을 통해 지면의 요철 부위의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는 한편, 바이크의 운행 중 수직 유지 기능에 제한이 되지 않고 유연하면서도 강력한 스탠스 기능이 될 수 있게 하여 무거운 바이크를 노약자와 여성도 쉽게 운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주행 조건에 따라 랜딩휠 암의 작동 여부를 자동 혹은 수동으로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주행 조건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면서 다이나믹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랜딩휠 암에 부착하는 탈부착식 확장형 스키 장치에 의해 미끄러짐 방지 및 수평 유지 기능과 자동 수직 유지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도 뒷바퀴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여 직진성을 좋게 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륜 바이크가 운전자들에게 전해주는 주행 시의 개방적 자율성과 다이나믹한 기동성, 라이더들에게 주는 속도감과 좁은 길에서의 탁월한 주행성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4륜 차에 비해 안전성이 취약하고 많은 중상의 위험성에 노출됨에도 불구하고 도리어 바이크 애호가 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바이크 특유의 기동성과 유연성을 충족하면서도 무엇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절실한데,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이용하면 바이크 특유의 기동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4륜차량 수준 혹은 이를 능가하는 안전성을 확보해주고, 캐노피에 감싸진 실내 공간을 제공해줌으로써 혹한기와 몹시 더운 날씨에 4륜 차량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헬멧 착용의 불편을 제거하며 사고 시 신체가 직접적인 충격을 받지 않게 하고, 여성이나 노약자도 중형 바이크를 쉽게 운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c 내지 도 1e, 도 1g 및 도 1i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f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를 나타낸 배면도.
도 1h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를 나타낸 저면도.
도 2a, 도 2b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자동 랜딩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자동 랜딩휠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e 및 도 2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자동 랜딩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바이크 스키와 확장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조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페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윈도 브러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자동 랜딩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에너지 회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의 작동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1i는 바이크 전체를 감싸는 캐노피가 장착된 바이크로서, 바이크 전체에 캐노피를 장착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지면에 발이 닿지 못하므로 라이더의 다리로 바이크의 수직을 유지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좌우 한 쌍의 자동 랜딩휠(25)이 지면에 착지하여 정지 또는 운행할 때 수직을 유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라이더의 다리로 바이크의 수직을 지지하던 것을 도 8a 및 8b의 전자동 자동수직유지 회로의 제어에 의해 랜딩휠(25)이 지면에 착지한 상태에서 정지되거나 운행할 수 있게 구성되며, 랜딩휠(25)이 자동 모드에 있는 경우 탑승자는 4륜 자동차와 같이 운행할 수 있으므로 바이크를 수직으로 세우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2륜차가 차체의 중심 유지가 어려운 상태의 저속 주행에 돌입 시 자동 랜딩휠(25)이 하강함으로써 차체가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좌우 독립 구동되는 좌우측 랜딩휠(25)을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길을 주행할 때 차체 중심 유지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를 구비한다.
좌우측 랜딩휠(25)은 설정 차속 이하에서 자동으로 지면에 접하여 차체를 수직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설정 차속 이상에서는 자동으로 안전 위치까지 상승하며, 자동적으로 지면의 요철과 반응할 수 있도록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2륜차는 고속 주행 시 4륜 차량보다 에너지 소비가 적어서 효율이 우수하고, 2륜차만의 전형적인 속도감을 만끽할 수 있으며, 속도가 15km/h 이하로 감속되면 랜딩휠(25)이 세미 랜딩되어 구심력과 원심력의 유연성을 갖춘 운전자의 자율적인 운행에 불편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비상 시 기본적인 전복 방지 각도인 안전 랜딩각을 이루도록 세미 랜딩되므로 넘어지지 않으면서도 운전자의 운전에 유연성을 준다. 세미 랜딩은 바이크가 수직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자동 랜딩휠(25)이 지면에 닿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약간 위로 떠있는 상태를 말한다.
랜딩 여부와 랜딩의 유지 시기는 도 8b의 속도감지회로에서 정하게 된다. 도 2d에서 캠이 a위치에 있을 때는 세미 랜딩 상태에 있으며, 안전 랜딩각 이상으로 바이크가 기울더라도 스프링 텐션에 의해 유연하게 받쳐짐으로써 넘어지지 않게 되며,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중력을 이용하는 지면 반응형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가 안전 랜딩각을 자동 유지한다.
바이크가 0 ~ 5 km/h로 거의 정차하거나 완전 정차하면 랜딩휠(25)이 지면에 완전 랜딩되도록 제어된다.
지면으로부터 아주 약간 떨어져있는 세미 랜딩 상태에 있다가 속도가 15km/h 이상이 되면 랜딩휠(25)의 하단이 도 2c에서의 h선에 위치하도록 랜딩휠(25)이 상승하여 예비 상승 상태를 유지한다. 예비 상승 상태에서는 랜딩모터(31)가 온(ON) 상태에 있으나 속도가 60km/h 이상이 되면 랜딩휠(25)은 완전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는 랜딩모터(31)가 오프(OFF)된 상태에 있게 된다.
사용자가 도 5a에 도시된 강제 랜딩 스위치(59)를 하강으로 스위칭하면 60km/h 이하에서만 세미 랜딩 또는 예비 상승 상태를 유지하며 그 이상의 속도에서는 완전 상승 상태가 되어 고속 주행 안정성을 높인다.
도 5a에 도시된 속도계(38)는 바이크의 속도가 예정된 값에 도달하면 속도감지회로에 신호를 전달한다. 도 8b에서 바이크의 속도가 60km/h 이상일 경우 램프코일(810)에 의해 출력전압이 예정된 값 이상이 되어 릴레이(90)가 NC 접촉부(92)를 완전 상승이 유지되도록 통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랜딩모터(31)는 오프(OFF) 상태가 되어 랜딩휠(25)이 하강되도록 작동되지 않는다.
바이크 속도가 감소하면 램프 코일(810)의 출력 전압도 감소하며, 출력 전압이 예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여 릴레이(90)를 해제하면, NC 접촉부(92)는 랜딩휠 암(7)을 구동시키는 랜딩모터(31)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8a의 회로도2는 랜딩휠(25)을 구동시키는 랜딩모터(31)의 제어 회로를 도시한다. 랜딩모터(31)의 한 리드(lead)는 릴레이(51)의 ON 접촉부(51a)를 통해 전지의 양 단자에 연결되며 전지의 음단자는 접촉부 바디 차체를 통해 접지된다. 랜딩모터(31)의 다른 리드는 릴레이(53)의 ON 접촉부(53a)를 통해 전지(52)의 양단자에 연결되고 릴레이(53)의 NC 접촉부(53b)를 통해 전지의 음단자에 연결된다.
릴레이(51)의 코일(51c)의 한 끝부분은 랜딩휠(25)을 랜딩 위치까지 피봇시키도록 랜딩휠 스위치(58)의 접촉부(55a)에 연결되며, 다른 끝부분은 스탠드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를 결정하는 리미트 스위치(57)에 연결된다. 이와 달리, 릴레이(53)의 코일(53c)의 한 단부는 스탠드를 상승 위치로 피봇시키도록 랜딩휠 스위치(58)의 전달 접촉부(55b)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스탠드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를 결정하는 리미트 스위치(57)를 통해 전지(52)의 음단자에 연결된다. 랜딩휠 스위치(58)의 전달 접촉부(55c)는 스로틀 스위치(58), 강제 랜딩 스위치(59) 및 퓨즈(60)를 통해 전지의 양 단자에 연결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휠 스위치(58)는 운전자의 용이한 접근을 위해 조향 핸들 스위치 뭉치부에 위치하며, 랜딩휠(25)의 동작을 조절한다. 도 2d에서의 캠(250)의 회전된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리미트 스위치(57) 또는 장착 가능한 근접 감지기를 이용한다.
리미트 스위치(57)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35b)는 도 1d의 캠 케이스(24) 내측에 구비된다. 리미트 스위치(57)는 도 2d의 c 부분과 닿아서 랜딩휠(25)이 지면에 완전 랜딩될 때 꺼지며, 도 2d의 d 부분과 닿아서 랜딩휠(25)이 완전 상승된 상태에서도 꺼지게 되어 있다.
도 1d의 12 위치에서 13 위치로 확장형 스키 장치를 좌우 확장시킬 때는 도 5a의 확장 스위치(56-1)를 사용하는데, 확장형 스키 장치는 랜딩휠(25)의 회전각이 나머지 영역인 도 2d에서의 a,b 위치에 있고 바이크의 속도가 60km/h 이하일 때 확장 가능하며, 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수축하게 된다.
확장 스위치(56-1)는 랜딩휠(25)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꺼지며, 수축 스위치(57-1)는 랜딩휠(25)이 수축되면 꺼지는데, 양 스위치는 모두 캠(250)과 리미트 스위치(57)의 접촉점이 도 2d의 a,b,c 위치에 있을 때 켜진다. 랜딩휠(25)은 하강 위치 및 상승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며 리미트 스위치(57)에 의해 조절되는 두 위치에서 정지한다.
도 8b의 회로도 3에서의 속도감지회로는 차량이 고속, 서행 또는 정지 여부를 결정한다. 속도계(38)의 전원 암페어를 측정하여 속도가 60km/h 이상일 경우 완전 상승, 15 ~ 60km/h에서는 예비 상승, 5 ~ 15km/h에서는 세미 랜딩, 0~5km/h에서는 완전 랜딩 상태가 된다.
속도가 올라서 속도계(38)의 암페어가 올라가고 랜딩휠 스위치(58)가 상승 위치로 회전하면 전류는 전지로부터 랜딩휠 스위치(58) 및 리미트 스위치(57)로 구성되는 폐쇄 회로를 통해 릴레이(51)의 코일(51c)로 흐른다. 그 결과, ON 접촉부(51a)가 폐쇄되어 랜딩모터(31) 및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킨다. 랜딩모터(31)의 회전력이 감속 기어부(35)를 거쳐서 웜(worm) 형태의 구동기어(35b)에 전달되고 구동기어(35b)와 맞물린 웜기어(worm gear) 형태의 종동기어(35a)가 종동기어(35a)와 맞물이고 캠축(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를 회전시켜서 캠축(6)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캠 케이스(24)의 외측에서 캠축(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캠(250)이 회전하며, 캠(250)의 회전과 당김스프링(251)의 작용에 의해 랜딩휠 암(7)이 피봇 운동을 함으로써 랜딩휠(25)이 피봇된다.
당김 스프링(251)은 도 2f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쪽 말단은 캠 케이스(24)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랜딩휠 암(7)의 하부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랜딩휠(25)을 위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한다. 그리하여 캠(250)의 회전에 따라 캠(250)이 랜딩휠 암(7)을 밀어내면 랜딩휠(25)이 하강되나 캠(250)이 반대쪽으로 회전하여 랜딩휠(25)을 미는 힘이 제거되면 캠(250)이 반대쪽으로 회전하는 것과 비례하여 당김 스프링(251)의 작용에 의해 랜딩휠(25)이 상승하게 된다.
랜딩모터(31)에 의해 구동되는 피봇 운동은 리미트 스위치(57)가 랜딩휠(25)의 완전한 상승을 감지하는 경우 멈추게 된다. 바이크가 멈춰있는 상태인 스탠드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39) 및 랜딩모터(31)가 꺼진 뒤에 풋 브레이크와 연결된 안전장치 클램프 와이어에 의해 스탠드 상태를 유지하다가 시동이 걸리고 전원이 공급되면 랜딩휠(25)이 구동 준비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랜딩휠(25)은 랜딩모터(31)에 의해 상승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데, 리미트 스위치(57)가 ON 상태일 때 랜딩휠 암(7)이 상승 위치로 회전한다. 릴레이(53)는 ON 접촉부(53a)를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그 결과, 전류는 반대 방향의 랜딩모터(31)로 흐르며 랜딩휠(25)이 상승 위치로 피봇된다.
회로도 1과 회로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크의 속도가 0 km/h 이고 바이크의 수직각이 0 ~ 2˚ 범위 내에 있으며 랜딩휠(25)이 완전 하강 상태에 위치한다면, 바이크 자체의 전원이 꺼질 수 있도록 준비되고, 리미트 스위치(57)는 랜딩모터(31)로의 전류 흐름이 중단되도록 한다. 전원공급 차단은 스로틀 스위치(58t)가 ON 위치이고 차량이 정지했을 때만 영향을 받는다.
바이크의 속도감지회로는 속도계(38) 및 랜딩휠 스위치(58) 사이에 위치한다. 속도감지회로는 바이크 속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치 이하로 감소될 때 작동되며, 속도감지회로가 작동되면 모터는 랜딩휠(25)을 피봇시킨다.
자동스위치 온(ON) 상태에서 바이크의 속도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높아지면 랜딩휠(25)이 상승하도록 구동되고, 바이크의 속도가 설정된 값 이하일 때는 랜딩휠(25)이 하강하도록 구동된다.
도 8b에서의 회로도에서는 AC 발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NC 릴레이를 사용하고 있으나 DC 릴레이 또한 적용할 수 있다. 바이크 속도가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질 때 랜딩휠(25)이 하강되도록 허용 전원이 인가된다. NC 접촉부(92)는 강제 랜딩 스위치(59) 및 퓨즈(60)를 통해 전지에 연결되며 전달 접촉부(55c)에 DC릴레이로 연결된다.
상술된 기술 구성으로 얻어지는 효과는 랜딩휠 암(7)과 랜딩모터(31)를 연결하여 자동 랜딩휠 장치의 작동을 바이크 속도계(38)의 속도 증감에 따르도록 하고, 상기 연결 동작의 제어를 제어 회로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제어 회로에 의해 직접 랜딩휠(25)과 랜딩모터(31)의 연결 및 단속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제어 회로의 자동 작동 상태에서 바이크의 속도 변화에 연동되기 때문에 만일 자동 작동 상태에서 제어 회로가 고장 등에 의해 작동되지 않을 경우라도 특별히 장치를 분해하지 않고 상승 또는 하강 스위치를 이용하여 랜딩휠(25)의 운동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 회로를 작동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운전자에게 조작 인식을 부여할 수 있고, 랜딩휠(25) 조작에 대한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에 있어서, 바이크의 좌우 수직 유지를 위하여 좌측 및 우측 랜딩휠(25) 사이 거리인 좌우 안전거리가 유지되도록 장착된 랜딩휠(25)의 구동에 있어서,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지면에 대응하기 위하여 판스프링(19)이 여러 장 겹쳐져서 완충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판스프링(19)이 겹쳐지는 개수는 바이크의 중량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판스프링(19)이 랜딩휠 암(7)에 설치되어 완충수단으로 기능하기 위해 랜딩휠 암(7)은 랜딩휠 암(7)의 회전축으로부터 완만하게 내려오다가 중간에서 급격히 후방으로 꺾어져서 전체적으로 L자형 또는 C자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판스프링(19)이 L자형 또는 C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는 랜딩휠 암(7)의 굴곡부에 삽입 장착된다. 판스프링(19)은 하단은 랜딩휠 암(7)의 굴곡부 아래쪽에 고정 결합되고 판스프링(19)의 상단은 랜딩휠 암(7)의 굴곡부 위쪽에 가깝게 위치하지만 랜딩휠 암(7)과 결합되지는 않는 자유단이며, 판스프링(19)은 굴곡부의 안쪽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판스프링(19)은 랜딩휠 암(7)이 수직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연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수단으로서, 완충수단으로서 판스프링(19) 대신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의 도면부호 19-1,19-2,19-3,19-4는 나란하게 설치되는 판스프링으로서, 랜딩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캠(250)이 회전되면서 캠(250)과 맞닿아있는 판스프링(19-1)을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되는데,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을 때는 가장 위에 있는 판스프링(19-1)만 눌려서 이 상태에서 하나의 판스프링(19-1)만 완충 역할을 하면서 수직 유지를 위한 지지 역할을 한다. 캠(250)의 회전에 의하여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면 첫번째 판스프링(19-1)과 두번째 판스프링(19-2)을 모두 눌리며, 가장 하중이 커지면 모든 판스프링(19-1,19-2,19-3,19-4)이 눌려져서 가장 강하게 지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한다.
도 2e 및 도 2f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의 경우, 바이크의 좌우 수직 유지를 랜딩휠(25)의 구동에 있어서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지면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한 판스프링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수단이 좌측 랜딩휠 장치와 우측 랜딩휠 장치 각각에 구비된다.
각각의 완충수단을 랜딩휠 암(7)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랜딩휠 암(7)에 완충수단을 장착할 수 있는 유격 형성이 필요하므로 랜딩휠 암(7)을 L자형 혹은 C자형으로 구부려서 굴곡부를 형성하고 굴곡부 안쪽에 완충수단을 장착한다.
완충수단은 좌우 랜딩휠 암(7)이 수직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구동을 할 수 있도록 랜딩휠 암(7)의 자유단인 하단부의 상면에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결합하고 랜딩휠 암(7)과 유사하게 L자형 혹은 C자형으로 구부러지고 랜딩휠 암(7)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랜딩휠 암(7)의 위에 있도록 판스프링을 설치하는데, 판스프링의 상단부는 랜딩휠 암(7)의 회전축과 인접한 곳에 힌지 결합되고, 판스프링의 자유단인 하단부의 하면은 코일스프링의 상단과 결합되어 코일스프링이 판스프링과 랜딩휠 암(7)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한다.
캠(25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판스프링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판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이 아래쪽으로 랜딩휠 암(7)을 눌러서 랜딩휠 암(7)이 하방으로 회전되고, 캠(25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당김 스프링(251)에 의해 랜딩휠 암(7)이 위쪽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상승하게 된다.
바이크가 수직을 유지하다가 지면의 요철이 심할 경우 좌우 랜딩휠(25)이 서로 다르게 하강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수단인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가 제공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무게추(47) 및 전극봉(43)은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게추(47)의 자중에 의해 바이크가 좌우로 기울더라도 무게추(47) 및 전극봉(43)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항상 수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기판(42)과 중앙전극기판(45)이 합쳐져서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되는데, 좌우 중심에 위치하면서 가장 아래쪽에는 부채꼴 형태의 중앙전극기판(45)이 배치되고, 중앙전극기판(45)의 좌우 양 옆 각각에는 전극기판(42)이 연달아 배치된다. 전극기판(42)과 중앙전극기판(45)은 모두 5개의 별개로 된 구리 동판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K 영역, L 영역, R 영역, L-R영역, R-L 영역의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전극봉(43)은 구리전극봉으로서, 전극봉(43)이 상기 5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의 전극기판의 전면과 맞붙어 있게 되며, 전극봉(43)과 맞붙어 있는 전극기판에 전기가 통함으로써 바이크가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전극봉(43)이 운전자를 기준으로 수직선으로부터 좌우 2˚ 이내의 각도로 중앙전극기판(45)내의 영역(K)에 들어오는 경우에는 좌우 랜딩모터(31)가 함께 구동되어 양측에 지면에 동시에 하강하여 0~2˚ 이내의 수직을 유지한다.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이크의 수직각이 2~5˚ 만큼 좌측으로 기울어져 전극봉(43)이 L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좌측의 랜딩모터(31)는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의 스위칭(s/w) ON 상태, 즉, 전원공급 상태가 되어 바이크 수직각이 0~1˚에 들어오도록 구동된다. 이에 반하여 우측의 랜딩모터(31)는 구동되지 않고 스위칭(s/w) OFF 상태, 즉, 전원중단 상태가 됨으로써 좌측의 랜딩휠(25)만 하강되어 기울기 각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수직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기울기 작동 각도는 사용자 기호에 따라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의 무게추(47)에 장착된 조절봉으로 민감도 조절이 가능하다.
바이크의 수직각이 5˚ 이상 좌로 기울어져 전극봉(43)이 L-R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좌측의 랜딩모터(31)는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 스위칭(s/w) 온 상태가 되어 수직각이 0~1˚가 되도록 구동된다. 이에 반하여 우측 랜딩모터(31)는 역회전(ccw)을 하여 좌우 지면에 대응하여 우측 랜딩휠(25)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우측 랜딩휠(25)은 판스프링(19)의 장력 내에 있음으로 부드럽게 유연성을 유지한다. 이때 우측 랜딩모터(31)는 스위칭(s/w) 온 상태이면서 역회전(ccw)되는 전원공급 상태가 됨으로써 기울기 각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다시 0~2˚인 중앙전극판(45)의 영역에 들어오면 정회전(cw)하도록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에서 스위칭되도록 하여 랜딩휠(25)이 지면에 밀착되고 바이크는 자동으로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즉, 도로의 움푹 패인 부분을 지나거나 해서 바이크의 수직각이 2˚ 이상 기울어질 때는 평지에서 한쪽 랜딩휠(25)을 지면에 닿도록 완전 랜딩시킬 때보다 더 하강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바이크의 수직각이 5˚ 이상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는 좌우 기울기가 상당히 큰 노면을 지날 때이므로 어느 한쪽의 랜딩휠(25)을 하강시켜서 지면과 닿게 하는 것뿐 아니라 하강시키는 랜딩휠(25)의 반대쪽 랜딩휠(25)은 상승시켜 줌으로써 바이크를 최대한 수직에 가깝게 유지시켜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바이크의 수직각이 2~5˚ 만큼 우측으로 기울어져 전극봉(43)이 R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우측의 랜딩모터(31)는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의 스위칭(s/w) ON 상태, 즉, 전원공급 상태가 되어 바이크 수직각이 0~1˚에 들어오도록 구동된다. 이에 반하여 좌측의 랜딩모터(31)는 구동되지 않고 스위칭(s/w) OFF 상태, 즉, 전원중단 상태가 됨으로써 우측의 랜딩휠(25)만 하강되어 기울기 각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수직을 유지한다.
바이크의 수직각이 5˚ 이상 우로 기울어져 전극봉(43)이 R-L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우측의 랜딩모터(31)는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 스위칭(s/w) 온 상태가 되어 수직각이 0~1˚가 되도록 구동된다. 이에 반하여 좌측 랜딩모터(31)는 역회전(ccw)을 하여 좌우 지면에 대응하여 좌측 랜딩휠(25)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좌측 랜딩휠(25)은 판스프링(19)의 장력 내에 있음으로 부드럽게 유연성을 유지한다. 이때 좌측 랜딩모터(31)는 스위칭(s/w) 온 상태이면서 역회전(ccw)되는 전원공급 상태가 됨으로써 기울기 각을 이동시킨다. 이로써 다시 0~2˚인 중앙전극판(45)의 영역에 들어오면 정회전(cw)하도록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에서 스위칭되도록 하여 랜딩휠(25)이 지면에 밀착되고 바이크는 자동으로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도 4b는 래크(11)와 피니언(10)에 의해 좌우 랜딩휠(25)의 위치를 도면부호 12에서 13으로 확장하거나 수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피니언(10)과 이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확장할 수도 있으나, 확장 스위치(56-1) 및 수축 스위치(57-1)를 OFF로 함으로써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래크(11)는 좌우 각각에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되며, 우측 래크(11)의 좌측 말단은 좌측 자동 랜딩휠 장치와 결합하고, 좌측 래크(11)의 우측 말단은 우측 자동 랜딩휠 장치와 결합하여 피니언(10)이 회전하면 좌측 및 우측 래크(11)가 동시에 좁혀지거나 동시에 벌어진다. 좌측 및 우측 래크(11)가 최대로 좁혀지면 좌측 및 우측 자동 랜딩휠 장치가 사이드트렁크(252) 내부에 수납된다.
통상적으로는 자동 랜딩휠 장치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대부분의 통상적인 도로 지면을 대응하는 데 있어서 부족함이 없으나, 아주 특이한 지면, 즉, 진흙땅이나 산악길이나 기울기가 불안정한 곳에서 주행 또는 주차할 때에는 버튼 하나로 좌우 랜딩휠(25) 사이의 안전거리를 더욱 확장시켜서 기존의 안전각보다 더욱 확장된 안전각을 제공함으로써 랜딩모터(31)가 고장이 나더라도 바이크가 넘어지지 않을 안전각을 제공한다.
캐노피 몸체 중 양쪽 사이드부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사이드트렁크(252)는 내부에 자동랜딩휠 장치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은 LM가이드(LM)가 사이드트렁크(252)를 관통한다. LM가이드(LM)는 래크(11)의 이동에 따라 자동 랜딩휠 장치가 좌우로 이동할 때 좌우 방향으로 직진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실린더로 구동되는 랜딩휠 암 기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랜딩휠 암(7) 구동을 정역회전이 가능한 랜딩모터(31)에 의해서 수행하는 것이나, 제2 실시 예에서는 공기가 비축되어 있는 탱크에서 나오는 압축공기 또는 유압 유체를 이용하는 실린더(240)에 의해 구동한다.
실린더형 구동 방식은 압축 공기나 유압 유체를 실린더(240)로부터 공급받아 작동하는 원리이기 때문에 부가적인 시설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컴프레셔 및 에어탱크가 구비되어 압축된 공기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낭비되는 에너지를 비축하여 제반 목적에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구 장치가 간편해진다.
제3 실시 예에서, 바이크의 수직각이 2~5˚ 만큼 좌측으로 기울어져 전극봉(43)이 L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좌측 랜딩휠 암(7)을 구동하는 실린더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동되고 이때 스위칭(s/w) ON 상태, 즉, 전원공급 상태가 되어 바이크 수직각이 0~1˚에 들어오도록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좌측 랜딩휠암(7)을 구동하는 실린더(240)의 피스톤로드가 푸시되어 하강되면서 판스프링을 가압한다. 이에 반하여 우측 랜딩휠 암(7)을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작동되지 않고 스위칭(s/w) OFF 상태, 즉, 전원중단 상태가 됨으로써 좌측의 랜딩휠(25)만 하강되어 기울기 각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수직을 유지한다.
바이크의 수직각이 5˚ 이상 좌로 기울어져 전극봉(43)이 L-R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좌측의 랜딩휠 암(7)을 구동하는 실린더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위칭(s/w) 온 상태가 되어 수직각이 0~1˚가 되도록 구동된다. 이와 함께 우측 랜딩휠 암(7) 구동을 위한 실린더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도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근접센서(36)에 감지될 때까지 상승하고 당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우측 랜딩휠(25)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우측 랜딩휠(25)은 스프링의 장력 내에 있음으로 부드럽게 유연성을 유지한다.
이로써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의 전극봉(43)이 다시 0~2˚인 중앙전극판(45)의 영역에 들어오면 실린더에 모두 전진 압력을 주도록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에서 스위칭되도록 하여 랜딩휠(25)이 지면에 밀착되고 바이크는 자동으로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바이크의 수직각이 2~5˚ 만큼 우측으로 기울어져 전극봉(43)이 R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우측 랜딩휠 암(7)을 구동하는 실린더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동되고 이때 스위칭(s/w) ON 상태, 즉, 전원공급 상태가 되어 바이크 수직각이 0~1˚에 들어오도록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우측 랜딩휠암(7)을 구동하는 실린더(240)의 피스톤로드가 푸시되어 하강되면서 판스프링을 가압한다. 이에 반하여 좌측 랜딩휠 암(7)을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작동되지 않고 스위칭(s/w) OFF 상태, 즉, 전원중단 상태가 됨으로써 우측의 랜딩휠(25)만 하강되어 기울기 각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수직을 유지한다.
바이크의 수직각이 5˚ 이상 우로 기울어져 전극봉(43)이 R-L 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우측의 랜딩휠 암(7)을 구동하는 실린더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위칭(s/w) 온 상태가 되어 수직각이 0~1˚가 되도록 구동된다. 이와 함께 좌측 랜딩휠 암(7) 구동을 위한 실린더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도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근접센서(36)에 감지될 때까지 상승하고 당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좌측 랜딩휠(25)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좌측 랜딩휠(25)은 스프링의 장력 내에 있음으로 부드럽게 유연성을 유지한다.
이로써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의 전극봉(43)이 다시 0~2˚인 중앙전극판(45)의 영역에 들어오면 실린더에 모두 전진 압력을 주도록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에서 스위칭되도록 하여 랜딩휠(25)이 지면에 밀착되고 바이크는 자동으로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제3 실시 예의 경우, 자동 랜딩 휠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캠에 의한 구동이 아니라 실린더에 의한 구동이라는 점은 제2 실시 예와 상이하지만, 판스프링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제2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완충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산악이나 하강이 길어지는 도로를 주행 중 운전자는 브레이크 패드 버블로 인한 파열을 방지하려고 엔진브레이크를 주로 사용한다. 이는 감속되면서도 에너지를 소비함으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레이크를 밟아서 와이어(15)가 당겨지면 컴프레셔 지지부(181)가 힌지 운동을 하여 컴프레셔 지지부(181)를 관통하는 회전휠축에 결합된 회전휠(29)이 뒷바퀴 구동축 풀리(253)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구동휠(180)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회전됨으로써 회전휠축과 일체로 형성된 커넥팅 캠(179)도 회전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커넥팅 캠(179)과 결합되어 있고 컴프레셔의 전방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커넥팅로드(248)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커넥팅로드(248)의 후단과 결합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실린더 후단부에 구비된 흡기구(245)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실린더 내부에서 압축시켜서 실린더 후단부에 구비된 배기구(246)를 통해 내보낸다.
커넥팅 캠(179)은 양 측면에 하나씩 한 쌍의 축이 돌출 형성되는데 그 중 하나의 축은 회전휠축으로서 회전휠(29)과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축은 커넥팅로드(248) 말단의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기구(246)는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있어서 압축된 공기가 에어호스를 통해 에어탱크(175)에 저장된다. 에어탱크에 저장된 공기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실린더로 구동되는 랜딩휠 암 기구 장치 구동에 필요한 압축공기로 사용할 수 있고, 기타 바이크에 필요한 다른 장치의 구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회전휠(29)과 구동휠(180)을 맞닿게 하기 위해 와이어(15)를 당기는 조작은 도 5a에 도시된 핸드레버(13)를 손으로 작동시키거나 도 5b에 도시된 풋감속페달(eb)을 발로 밟는 것에 의한다.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에너지 회수와 함께 천천히 감속하고자 할 때는 풋감속페달(eb)을 조금만 밟아서 풋감속페달(eb) 아래 있는 브레이크(bk)는 내려가지 않게 하고, 급제동을 할 때는 풋감속페달(eb)을 많이 밟아서 풋감속페달(eb) 아래 있는 브레이크(bk)까지 작동되게 한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15)의 당김 작용으로 컴프레셔를 16 위치에서 17 위치로 이동시켜 회전휠(29)이 구동휠(180)가 닿게 되면 회전 구동력을 얻게 됨으로써 바이크가 감속되면서 얻어지는 동력으로 컴프레셔를 작동시켜 공기를 압축시키고 도 1a에서의 에어탱크(175)에 비축하여 필요한 곳에 사용한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넥팅로드(248)와 연결되어 커넥팅로드(248)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되는 커넥팅 캠(179)이 바깥쪽에 하나 더 설치되고 바깥쪽에 설치된 커넥팅 캠(179)의 중심축이 가장 바깥쪽에 설치되는 발전기로 동작할 수 있는 발전기겸용모터(14)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
발전기겸용모터(14)는 발전기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압력이 떨어지면 자동으로 회전하여 커넥팅로드(248)를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압축 공기를 발생하도록 하여 에어탱크(175) 내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눈길 주행이나 빙판길 주행을 할 때 도 1b에 도시된 바이크 스키(380)를 장착하고, 랜딩휠(25)을 좌우 방향으로 확장하여 주행하면 눈이나 빙판에서의 최대 취약점인 좌우 방향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중심을 잡기 어렵다는 약점을 해소하고 바이크로서는 치명적인 전복의 위험을 제거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이크 스키(380)는 랜딩휠 암(7)에 장착되어 좌우 랜딩휠(25) 사이 공간에서 랜딩휠(25)과 인접하여 설치된다. 눈길과 빙판길에서 60km/h까지는 바이크 스키(380)를 랜딩하여 달릴 수 있도록 도 5a에 도시된 스키 랜딩 스위치(68)를 이용하여 랜딩을 시켜서 좌우로 넘어지지 않고 달릴 수 있다.
바이크 스키(380)의 장착 부위는 좌측 및 우측 랜딩휠 암(7) 중 바깥에서 볼 때 바이크 뒷바퀴에 가려서 안보이는 쪽에 구비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사각 관 형태의 스키 장착 소켓(381)이다. 스키 장착 소켓(381)의 전면 및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조절구멍들이 형성된다.
바이크 스키(38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은 일반적인 쇼트 스키와 유사한 형태의 평평한 판형 부재이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위쪽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바이크 스키(380)의 상면 중 앞쪽 부분에는 스키 다리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바이크 스키(380)와 스키 다리는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스키 다리의 상단부는 바깥쪽으로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서 스키 다리와 나란하게 뻗어 있는 부분인 삽입부재를 형성하고, 삽입부재의 상면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면 구멍과 통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삽입부재의 전면과 후면에는 삽입부재의 내부 공간과 통하도록 조절구멍(385)들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된다.
삽입부재의 상면 구멍에는 상단부가 벌어진 탄성이 있는 집게 형태로 이루져서 앞뒤 양쪽에서 누르면 앞뒤로 좁혀지고 누르지 않으면 벌어지는 탈부착 레버(382)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탈부착 레버(382)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는 한 쌍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삽입부재를 스키 장착 소켓(38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탈부착 레버(382)가 벌어지면 돌출부가 스키 장착 소켓(381)의 조절구멍 및 삽입부재의 조절구멍 모두에 삽입되어 삽입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탈부착 레버(382)를 다물어서 돌출부가 조절구멍(385)에서 빠지면 삽입부재를 스키 장착 소켓(381)에서 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탈부착 레버(382)를 누른 상태에서 삽입부재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바이크 스키(380)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통상적인 환경에서는 바이크 스키(380)는 랜딩 휠보다 2~3mm 정도 아래에 설치하여 먼저 땅에 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순하고 내구성이 높은 설계에 의해 경제적이면서 간단하게 탈착이 가능한 탈부착 레버(382)를 이용하여 쉽게 바이크 스키(380)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적설량에 따라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바이크 스키(380)는 랜딩휠(25)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랜딩휠(25)과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하므로, 지역적으로 간헐적으로 동결된 노면을 다닐 때 손쉽게 바이크 스키(380)를 자유자재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어서 운행 중 뒷바퀴의 좌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미끄럽지 않은 지면에서는 순간적으로 상승시켜 정상 속도로 달리기에 적합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캐노피를 설치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따라 오는 눈이나 비가 올 때 전면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바이크용 윈도 브러쉬가 필요하며, 바이크에 맞게 윈도 브러쉬를 특별히 폭이 좁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은 샤프트(361)가 브러쉬 모터(370)에 의해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샤프트(361)의 양 말단 각각이 좌우 윈도 브러쉬(350,351) 각각과 연결되어 2개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1개의 브러쉬 모터(370)와 감속기(360)만 사용하여 양쪽에서 위도 브러쉬(350,351)가 동시에 작동하며 구면 형태의 유리창을 바깥에서 닦을 수 있게 경제적으로 구성되며, 이로써 우천 시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6: 캠축 7: 랜딩휠 암
8: 구동축 10: 피니언
11: 래크 LM: LM가이드
14: 발전기겸용모터 HL: 핸드레버
15: 와이어 19: 판스프링
24: 캠 케이스 25: 랜딩휠
29: 회전휠 31: 랜딩모터
35: 감속 기어부 35a: 종동기어
35b: 구동기어 38: 속도계
39: 솔레노이드 42: 전극기판
43: 전극봉 45: 중앙전극판
47: 무게추 51: 릴레이
51a: ON 접촉부 51c: 코일
55: 랜딩휠 스위치 55c: 전달 접촉부
56-1: 확장 스위치 57-1: 수축 스위치
57: 리미트 스위치 58t: 스로틀 스위치
59: 강제 랜딩 스위치 60: 퓨즈
68: 스키 랜딩 스위치 92: NC접촉부
101: 앞바퀴 전후 구동 엑셀레이터
175: 에어탱크 179; 커넥팅 캠
180: 구동휠 181: 컴프레셔 지지부
240: 실린더 245: 흡기구
246: 배기구 248: 커넥팅로드
250: 캠 251: 당김 스프링
252: 사이드트렁크 253: 뒷바퀴 구동축 풀리
350, 351: 윈도 브러쉬 360: 감속기
361: 샤프트 370: 브러쉬 모터
380: 바이크 스키 381: 스키 장착 소켓
382: 탈부착 레버 eb: 풋감속페달
bk: 브레이크

Claims (16)

  1. 바이크의 좌측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좌측 랜딩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측 랜딩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측 랜딩휠 암;
    바이크의 우측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우측 랜딩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우측 랜딩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우측 랜딩휠 암;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랜딩휠을 승강시키기 위한 좌측 구동부;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측 랜딩휠을 승강시키기 위한 우측 구동부;
    바이크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및
    상기 속도 감지부와 상기 좌측 구동부 및 상기 우측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설정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좌측 랜딩휠과 상기 우측 랜딩휠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상승시키고, 상기 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가 되면 상기 좌측 랜딩휠과 상기 우측 랜딩휠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은 상단부가 바이크의 좌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은 상단부가 바이크의 우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측 구동부는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우측 구동부는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랜딩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우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랜딩휠 암을 밀면 상기 랜딩휠 암이 하강하도록 하는 캠과,
    상기 캠의 회전 중심과 상기 캠과 상기 랜딩휠 암의 접촉 부위 사이의 최단 거리가 줄어들면 상기 랜딩휠 암을 잡아당겨서 상기 랜딩휠 암이 상승하도록 하는 당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2. 바이크의 좌측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좌측 랜딩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측 랜딩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측 랜딩휠 암;
    바이크의 우측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 우측 랜딩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우측 랜딩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우측 랜딩휠 암;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랜딩휠을 승강시키기 위한 좌측 구동부;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측 랜딩휠을 승강시키기 위한 우측 구동부;
    바이크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및
    상기 속도 감지부와 상기 좌측 구동부 및 상기 우측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설정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좌측 랜딩휠과 상기 우측 랜딩휠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상승시키고, 상기 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가 되면 상기 좌측 랜딩휠과 상기 우측 랜딩휠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은 상단부가 바이크의 좌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은 상단부가 바이크의 우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측 구동부는 상기 좌측 랜딩휠 암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우측 구동부는 상기 우측 랜딩휠 암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전기 신호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상승 도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로드가 하강하여 상기 랜딩휠 암을 밀면 상기 랜딩휠 암이 하강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 장치와,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면 상기 랜딩휠 암을 잡아당겨서 상기 랜딩휠 암이 상승하도록 하는 당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크는 내부에 운전자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캐노피가 구비되고,
    상기 캐노피 후방부의 양 사이드부에는 자동 랜딩휠 장치의 수납 공간을 위한 사이드트렁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전면부에는 바깥면이 구형체 일부의 바깥면과 같은 윈드 쉴드가 구비되고,
    상기 윈드 쉴드의 바깥면과 밀착하도록 원주 형태로 구부러져 있는 좌우 한 쌍의 윈드 쉴드 와이퍼와, 상기 윈드 쉴드 와이퍼를 상하 왕복하도록 구동하는 윈드 쉴드 와이퍼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휠 암은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가 구부러져서 "L"자 또는 "C"자 형태의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의 안쪽 부분에 완충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완충수단이 상기 캠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휠 암은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가 구부러져서 "L"자 또는 "C"자 형태의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의 안쪽 부분에 완충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완충수단이 상기 피스톤로드와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한쪽 말단은 상기 랜딩휠 암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자유단인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다수 개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단부는 상기 랜딩휠 암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랜딩휠 암의 굴곡을 따라 구부러진 형태를 가진 판스프링과,
    상단은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부와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랜딩휠 암과 결합되어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랜딩휠 암 사이에 탄설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이크가 수직하게 선 상태로부터 얼마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졌는지를 측정하는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와 상기 제어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바이크가 좌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좌측 랜딩휠만 하강시키고, 바이크가 우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우측 랜딩휠만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바이크가 좌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좌측 랜딩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더 좌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우측 랜딩휠을 상승시키고,
    바이크가 우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우측 랜딩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더 우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좌측 랜딩휠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직콘트롤유지계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과 결합되고 자중에 의해 바이크가 기울더라도 그대로 연직선 상에 위치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와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와 함께 움직이는 전극봉;
    바이크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극봉과 접촉하도록 바이크에 고정 설치되는 중앙전극판; 및
    상기 중앙전극판의 좌측 및 우측에 연달아 배치되어, 바이크가 일정 각도 이상 좌측 및 우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전극봉과 접촉하도록 바이크에 고정 설치되는 전극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이크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일정 범위의 기울기 내에서는 상기 중앙전극판과 접촉하고,
    상기 전극기판은 여러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봉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접촉되는 상기 전극기판이 달라져서 바이크의 기울기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랜딩휠 암, 상기 좌측 랜딩휠 및 상기 좌측 구동부를 포함하는 좌측 랜딩휠 장치는 좌측 사이드트렁크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진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우측 랜딩휠 암, 상기 우측 랜딩휠 및 상기 우측 구동부를 포함하는 우측 랜딩휠 장치는 우측 사이드트렁크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진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랜딩휠 장치의 우측에 좌측 래크가 결합되고 상기 우측 랜딩휠 장치의 좌측에 우측 래크가 결합되며,
    상기 좌측 래크 및 상기 우측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이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좌측 랜딩휠 장치 및 상기 우측 랜딩휠 장치를 동시에 가깝게 하거나 멀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KR1020150102588A 2015-05-19 2015-07-20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KR10177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75,378 US10913503B2 (en) 2015-05-19 2016-04-29 Bike having automatic landing wheel apparatus
RU2017144622A RU2666063C1 (ru) 2015-05-19 2016-04-29 Мотоцикл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опорным колес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AU2016264161A AU2016264161B2 (en) 2015-05-19 2016-04-29 Bike having automatic landing wheel apparatus
SG11201709528VA SG11201709528VA (en) 2015-05-19 2016-04-29 Bike having automatic landing wheel apparatus
JP2018513245A JP6991963B2 (ja) 2015-05-19 2016-04-29 自動ランディングホイール装置が備えられたバイク
CN201680029021.3A CN107646009B (zh) 2015-05-19 2016-04-29 具备自动起落轮架装置的电动车
EP16796668.8A EP3299196B1 (en) 2015-05-19 2016-04-29 Bike having automatic landing wheel apparatus
CA2986571A CA2986571C (en) 2015-05-19 2016-04-29 Bike having automatic landing wheel apparatus
PCT/KR2016/004533 WO2016186341A1 (ko) 2015-05-19 2016-04-29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PH12017502102A PH12017502102A1 (en) 2015-05-19 2017-11-20 Bike having automatic landing whee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588 2015-05-19
KR20150069588 2015-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98A KR20160136198A (ko) 2016-11-29
KR101778195B1 true KR101778195B1 (ko) 2017-09-14

Family

ID=5770640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88A KR101778195B1 (ko) 2015-05-19 2015-07-20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KR1020150102589A KR101730879B1 (ko) 2015-05-19 2015-07-20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KR1020150102590A KR101778197B1 (ko) 2015-05-19 2015-07-20 확장형 나이프 스키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89A KR101730879B1 (ko) 2015-05-19 2015-07-20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KR1020150102590A KR101778197B1 (ko) 2015-05-19 2015-07-20 확장형 나이프 스키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399623B2 (ko)
EP (2) EP3299197A4 (ko)
JP (3) JP2018519210A (ko)
KR (3) KR101778195B1 (ko)
CN (3) CN107646008A (ko)
AU (1) AU2016264161B2 (ko)
CA (2) CA2986560C (ko)
PH (1) PH12017502102A1 (ko)
RU (2) RU2666062C1 (ko)
SG (1) SG11201709528V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195B1 (ko) * 2015-05-19 2017-09-14 여태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US10745071B2 (en) * 2018-03-20 2020-08-18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Non-backdrivable passive balancing systems for single-axle dynamically-balanced robotic devices
CN108482564B (zh) * 2018-03-30 2020-09-04 安徽工程大学 一种助力自行车刹车余能再利用的方法
CN108382521B (zh) * 2018-03-30 2020-09-04 安徽工程大学 一种利用刹车余能的气动助力自行车
JP7063987B2 (ja) 2018-05-23 202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N109018158A (zh) * 2018-08-13 2018-12-18 武汉理工大学 自行车可控刹车发电健身装置
CN111483536B (zh) * 2019-01-29 2022-05-24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挡风镜构造
ES2953590T3 (es) * 2019-03-05 2023-11-14 Qooder S A Un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a posición de un vehículo, y un vehículo equipado con dicho sistema
CN110155189A (zh) * 2019-05-05 2019-08-23 康趣智能家居江苏有限公司 一种全封闭电动车
KR102182836B1 (ko) * 2019-06-04 2020-11-27 여태순 바이크용 랜딩 휠
CN110758540A (zh) * 2019-12-10 2020-02-07 苗春霖 人力双驱动冰路两用车
KR102353516B1 (ko) * 2019-12-21 2022-01-20 윤인호 이륜 전동기의 안정적인 제동 및 주차를 위한 랜딩 휠 장치
CN111332392B (zh) * 2020-03-06 2021-12-10 徐州路帮德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非牛顿流体原理的共享单车防倒装置
US11718363B2 (en) * 2020-04-29 2023-08-08 Vince Costa Air suspension system
US10800270B1 (en) * 2020-05-11 2020-10-13 Ming Chuan Kuo Enclosed electric motorcycle
CN111547170B (zh) * 2020-05-18 2022-02-11 河北恒驰自行车零件集团有限公司 一种儿童自行车用滑动式辅助轮结构
CN111891235A (zh) * 2020-07-21 2020-11-06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齿轮传动结构式自动升降汽车尾翼
CN112075744A (zh) * 2020-09-25 2020-12-15 湖南省亚玛图工贸有限公司 一种省力手拉行李箱
CN112124471B (zh) * 2020-10-12 2022-06-24 重庆炙焱动力制造有限公司 一种摩托车挡泥板的自清洁装置
CN112455572B (zh) * 2020-11-30 2021-12-28 江西欧亚非车业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辅助用支撑刹车装置
CN112810579B (zh) * 2020-12-31 2023-05-16 航宇救生装备有限公司 一种空投战车着陆防侧翻装置及使用方法
CN112722124B (zh) * 2021-02-22 2022-12-27 浙江泰业汽摩部件有限公司 一种智能封闭式平衡摩托车
CN113291401B (zh) * 2021-07-07 2023-01-20 天津内燃机研究所(天津摩托车技术中心) 一种摇摆车后平叉组件及其摇摆车
CN113715784B (zh) * 2021-11-01 2022-04-29 杭州巍枫减速机械有限公司 一种防纯电动汽车侧翻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6808A (en) * 1944-10-09 1950-07-25 Gen Motors Corp Windshield wiper
FR952929A (fr) * 1947-08-06 1949-11-28 Dispositif auxiliaire de démarrag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et autres usages
FR952919A (fr) * 1947-09-12 1949-11-28 Stabilisateur à skis pour motocyclette sur mauvaise route
GB765143A (en) * 1955-02-10 1957-01-02 E Fleron Ab A stabilizing mechanism for motor cycles
US3336994A (en) * 1964-12-03 1967-08-22 Walter H Pederson Endless crawler attachment for cycles
FR2299212A1 (fr) 1975-01-28 1976-08-27 Messier Hispano Sa Dispositif a ski pour montage sur un train d'atterrissage a roues disposees en tandem
JPS5442745A (en) * 1977-07-25 1979-04-04 Honda Motor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fall down in autocycle
GB2104464A (en) * 1981-07-28 1983-03-09 John Anthony Sullivan Stabilising two-wheeled vehicles
JPS5920778A (ja) * 1982-07-27 1984-02-02 水田 連蔵 実用機動車の多用途安定機構ユニツト・サブ・サスペシヨン装備具
JPS5941716U (ja) * 1982-09-10 1984-03-17 有限会社生友正治木工所 水平器
JPS61161080A (ja) 1985-01-09 1986-07-21 Sony Corp デイジタル・ビデオ信号のクランプ装置
US4691798A (en) * 1985-10-10 1987-09-08 Engelbach Thomas S System for automatically preventing turnover of two wheeled vehicles
US4961477A (en) * 1988-06-08 1990-10-09 Sweeney John F Wheel chair transporter
US5029894A (en) * 1990-03-30 1991-07-09 Willman David M Retractable motorcycle stop-support wheels
US5048864A (en) * 1990-04-23 1991-09-17 Geiger Ervin D Cycle type vehicles
US5904218A (en) * 1990-11-28 1999-05-18 Watkins; Jonathan Single-track vehicle with independently actuable and limited-pivot-angle caster side wheels
CN2151066Y (zh) * 1993-02-19 1993-12-29 巩晶晶 自行车雪地防滑装置
US5427390A (en) * 1993-10-18 1995-06-27 Stroll-Ski, Inc. Ski attachment for a wheeled vehicle
US5904392A (en) * 1998-02-20 1999-05-18 Mainwal; Leo Motorcycle canopy
US6213237B1 (en) * 1998-10-23 2001-04-10 David Willman Motorcycle stop support wheels
FR2802502B1 (fr) * 1999-12-20 2002-02-15 Globe Moteurs Dispositif stabilisateur pour vehicule a deux roues
US6637763B2 (en) * 2001-12-05 2003-10-28 Ming C. Kuo Enclosed motorcycle
US20050034910A1 (en) * 2003-08-15 2005-02-17 Hinton Golden S. Vehicle of nove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US6942053B2 (en) * 2003-08-15 2005-09-13 Golden S. Hinton Vehicle of nove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JP4647916B2 (ja) * 2004-01-14 2011-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補助輪付き二輪車
JP2005212681A (ja) * 2004-01-30 2005-08-11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US20060175110A1 (en) * 2005-02-07 2006-08-10 Min-Jan Lin Mini two-wheel automobile
RU2323845C1 (ru) * 2006-10-04 2008-05-10 Завалишин Олег Иванович Универс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MX2009007588A (es) 2007-01-17 2009-08-12 New World Generation Inc Turbina eolica con generadores multiples y metodo de operacion.
EP1983388B1 (fr) 2007-04-18 2010-01-20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Echappement à impulsions directes pour pièce d'horlogerie
KR100928646B1 (ko) 2007-11-23 2009-12-07 제이케이머신 주식회사 필터 절단간격 조절장치가 구비된 복합담배필터 제조장치
KR100918074B1 (ko) * 2007-12-11 2009-09-28 정대호 바이크 안전운행 시스템
ITMO20080018A1 (it) * 2008-01-22 2009-07-23 Carlo Urbini Veicolo a due ruote dotato di carrozzeria di tipo chiuso
US7914033B2 (en) * 2008-04-04 2011-03-29 Carl Rae Nethery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motorcycle
WO2010026585A1 (en) * 2008-09-08 2010-03-11 Elad Oved An injury protection accessory
JP2010215211A (ja) * 2009-03-17 2010-09-30 Hoshi Giken Kk 2輪車両転倒防止用可動脚
JP5641730B2 (ja) * 2009-04-02 2014-12-17 株式会社東芝 回生ブレーキ装置および回生ブレーキ装置を備える車両
CN201457454U (zh) * 2009-04-03 2010-05-12 河南北方永盛摩托车有限责任公司 三轮摩托车雪地行走装置
US8235419B1 (en) * 2009-04-10 2012-08-07 Peter Anthony Giarrusso Lateral stability system for a vehicle
KR20100134988A (ko) * 2009-06-16 2010-12-24 김중원 2륜차의 안전 주행 보조용의 보조 바퀴를 구비한 자동 모터 구동 스탠드 장치
KR101108556B1 (ko) * 2009-08-14 2012-01-31 윤지영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DE202010000584U1 (de) * 2010-01-02 2010-04-15 Rausch, Alois Motorradschräglagentrainer
US8418792B2 (en) * 2010-04-20 2013-04-16 Gregory A. Rivard Quick-release ATV skis
KR20120010509A (ko) * 2010-07-26 2012-02-03 박도형 유동추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용 방향지시장치
TW201210874A (en) * 2010-09-06 2012-03-16 San-Lang Lian Motorcycle with auto up and down auxiliary wheel stand
CN102442367A (zh) * 2010-10-09 2012-05-09 连三郎 具有自动升降辅助轮架的摩托车
CH703972A1 (de) 2010-10-29 2012-04-30 Obrist Engineering Gmbh Verbrennungskraftmaschine.
CN201825186U (zh) * 2010-11-01 2011-05-11 陈惠强 一种适用于雪地和普通场地的两用自行车
CN202098498U (zh) 2011-05-11 2012-01-04 童夏飞 一种电动车顶篷
KR20130039527A (ko) 2011-10-12 2013-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업소버를 이용한 에너지 회생 장치
US20130193661A1 (en) * 2012-01-31 2013-08-01 Jianhua Fan Crosswise adjustable wheel
US8960379B2 (en) * 2012-05-07 2015-02-24 Roger Walter Coombes Supplemental mechanism for actuating the brake of a bicycle and methods of use
KR101378482B1 (ko) 2012-05-15 2014-03-31 황성윤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US8915501B2 (en) * 2012-06-27 2014-12-23 Scierie Bois St—Francois Inc. Wheel-ski system for a vehicle
US20140042800A1 (en) * 2012-08-10 2014-02-13 Samsung Techwin Co., Ltd. Brak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30005A (ko) 2012-08-28 2014-03-11 황성윤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KR20140035679A (ko) * 2012-09-14 2014-03-24 주식회사 성원테크 자동공구교환장치
US8480111B1 (en) * 2012-11-02 2013-07-09 Ming C. Kuo Enclosed motorcycle
KR101429731B1 (ko) 2012-12-10 2014-08-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발광 시스템이 구비된 자전거
CN203142912U (zh) * 2013-01-22 2013-08-21 王宝华 一种冰雪地自行车、电动车
CN203294234U (zh) * 2013-05-23 2013-11-20 黄佳艺 一种两轮机动车的支撑平衡装置
KR101527420B1 (ko) * 2013-09-27 2015-06-10 입체코퍼레이션(주) 수명 향상을 위한 원형톱날류의 경면처리 머신과 그 방법
EP3128127A4 (en) * 2014-04-04 2017-10-04 Z Mechanism Technology Institute Co. Ltd. Expander and air-freezing apparatus equipped with same
CN203924234U (zh) * 2014-06-26 2014-11-05 重庆龙隐电子有限公司 水塔上水系统
KR101778195B1 (ko) * 2015-05-19 2017-09-14 여태순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US20170126087A1 (en) * 2015-10-30 2017-05-04 Rod F. Soderberg Device including material originating from magnetic particles providing structural and magnetic capabilities
EP3419869A4 (en) * 2016-02-22 2019-11-06 Athalye, Ravi G. RECOVERY BRAKE SYSTEM BASED ON A SPRING
TWI611966B (zh) * 2017-01-20 2018-01-21 機械式交通工具輔助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9197A4 (en) 2019-02-13
AU2016264161A1 (en) 2017-12-14
US10583881B2 (en) 2020-03-10
CN107646009A (zh) 2018-01-30
CN107624095A (zh) 2018-01-23
EP3299196B1 (en) 2020-12-09
SG11201709528VA (en) 2017-12-28
JP6991963B2 (ja) 2022-01-13
RU2666063C1 (ru) 2018-09-05
CA2986571A1 (en) 2016-11-24
CN107646008A (zh) 2018-01-30
CN107624095B (zh) 2020-09-04
EP3299196A4 (en) 2019-05-01
CA2986560A1 (en) 2016-11-24
EP3299196A1 (en) 2018-03-28
KR20160136198A (ko) 2016-11-29
KR101778197B1 (ko) 2017-09-26
US10399623B2 (en) 2019-09-03
US20180154965A1 (en) 2018-06-07
US20180162471A1 (en) 2018-06-14
AU2016264161B2 (en) 2019-07-04
KR20160136199A (ko) 2016-11-29
US20180154966A1 (en) 2018-06-07
JP2018515391A (ja) 2018-06-14
KR101730879B1 (ko) 2017-04-28
US10913503B2 (en) 2021-02-09
CN107646009B (zh) 2020-06-05
EP3299197A1 (en) 2018-03-28
PH12017502102A1 (en) 2018-05-07
CA2986560C (en) 2020-10-13
KR20160136200A (ko) 2016-11-29
CA2986571C (en) 2020-03-10
RU2666062C1 (ru) 2018-09-05
JP2018519210A (ja) 2018-07-19
JP2018519209A (ja)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195B1 (ko)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US8818700B2 (en) Motorised vehicle with controlled inclination
EP2062808B1 (en) Vehicle with two parallel wheels
KR100964348B1 (ko) 3륜 전동스쿠터
KR20170048247A (ko) 주행기구 및 그 주행기구가 장착되는 전기차와 장난감
KR100918074B1 (ko) 바이크 안전운행 시스템
CN2905599Y (zh) 两轮摩托车防滑支撑装置
JP3116721U (ja) 車椅子用電動牽引装置
WO2016186341A1 (ko) 자동 랜딩휠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UA126426C2 (uk) Електричний транспортний засіб, який балансується (варіанти)
CN213705606U (zh) 一种履带式自平衡车
CN215794252U (zh) 一种具有防水防尘功能的平衡车
KR200292955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KR101895466B1 (ko) 보호자가 탑승할 수 있는 전동 탑승 장치
WO2016186342A1 (ko) 확장형 나이프 스키 장치가 구비된 바이크
CN112109815A (zh) 一种履带式自平衡车
JP2023544926A (ja) 2つの独立した駆動輪を備える自転車
JPH09290786A (ja) 電動三輪車
KR101183357B1 (ko) 쌍바퀴 보조 오토바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