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223B1 -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223B1
KR101503223B1 KR1020140148106A KR20140148106A KR101503223B1 KR 101503223 B1 KR101503223 B1 KR 101503223B1 KR 1020140148106 A KR1020140148106 A KR 1020140148106A KR 20140148106 A KR20140148106 A KR 20140148106A KR 101503223 B1 KR101503223 B1 KR 10150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nsmission
clutch member
interlock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939A (ko
Inventor
도모아키 후쿠나가
겐이치 아오야마
이사오 시바하라
신지 야마모토
가즈야 다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70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15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70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60087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705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19367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13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6Auxiliary drives from the transmission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6Intermediate shaft supports, e.g. by using a partition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04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omprising a power take off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7Gearboxes for accommodating differential gearing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축의 센터링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면서, 원웨이 클러치의 원활한 단속 작동을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레버와 입력부를 연계하는 연계 기구를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한다. 제1 연동축(202)은 제1 베어링(211)을 통하여 제1 축 지지부(212)에 지지되는 제1 축 지지부측 단부(202a)와, 그 제1 축 지지부측 단부(202a)와는 반대측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를 갖고, 제2 연동축(203)은 제2 베어링(213)을 통하여 제2 축 지지부(214)에 지지되는 제2 축 지지부측 단부(203a)와, 그 제2 축 지지부측 단부(203a)와는 반대측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를 갖고,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와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는 막대 형상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를 통 형상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의 내부에 삽입시켜 직경 방향으로 그 사이에 제3 베어링(215)을 개재시키고, 서로 지지하는 상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동력 취출용의 PTO축에 전동하는 PTO 전동계(5)에 구비한 원웨이 클러치(108)를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와,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를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에 대한 맞물림 해제 위치로부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는 가압 수단(113)으로 구성하고,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ON 위치와, 그 맞물림을 저지하는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전동축(107)에 통축(106)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고,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전동축(107)에 배치하고,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를 통축(106)에 배치하여, 원웨이 클러치(108)를 단일의 전동축 위에 구성하였다. 또한, 연계 기구(46)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에 연결되어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계 로드(49)와, 제1 연계 로드(49)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프레임(13)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계 로드(50)가 구비되고, 제1 연계 로드(49)는 지지 부재(38)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연계 로드(50)는 센터 스텝부(43)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측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SSION DEVICE OF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연동 연결용의 제1 연동부를 갖는 제1 연동축과, 연동 연결용의 제2 연동부를 갖는 제2 연동축을 구비한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 취출용의 PTO축에 전동하는 PTO 전동계에, 종동측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PTO 전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프레임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되어, 조작 레버를 상방측으로 돌출시켜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조작 레버에 의한 조작력을, 하우징 프레임의 후방부측에 배치된 입력부에 입력하도록, 조작 레버와 입력부를 연계하는 연계 기구가 구비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력 전달 장치는, 예를 들어, 동력 취출용의 PTO축에 전동하는 PTO 전동계에 구비되어 있고, 제1 연동축과 제2 연동축을 통하여, 엔진의 동력을 PTO축에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력 전달 장치에서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입력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제1 연동축으로서의 전동축과 배치되고, 그 전동축의 후단부에 커플링 등에 의해 PTO축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동축으로서의 전동축의 전단부 및 중간부의 각각이 베어링을 통하여 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력 전달 장치에서는, 전동축의 후단부에 중계 전동축을 연동 연결하고, 그 중계 전동축을 베어링을 통하여 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 중계 전동축의 후단부에 커플링 등에 의해 PTO축을 연결하는 점도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동력 전달 장치에서는, 제1 연동축으로서의 PTO 변속축과 제2 연동축으로서의 출력 전동축이 구비되고, PTO 변속축과 출력 전동축이, 그 회전 중심을 일치시켜, 축심 방향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PTO 변속축은 엔진에 직결된 주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제1 연동부에서 받아 회전 구동하고, 출력 전달축은 PTO 변속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제2 연동부에서 받아 회전 구동하고, 최종적으로, 그 회전 구동력을 PTO축에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PTO 변속축의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베어링을 통하여 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출력 전동축의 축심 방향의 양단부도 베어링을 통하여 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PTO 변속축과 출력 전동축 사이에는, PTO 유압 클러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이 PTO 유압 클러치 장치에 의해, PTO 변속축의 동력이 출력 전동축에 전달되어 PTO축이 회전 구동되는 ON 상태와, PTO 변속축의 동력의 출력 전동축에의 전달이 차단되는 OFF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차의 PTO 전동 구조로서는, 구동축과 종동축을, 그들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전후로 근접 배치하고, 구동축의 후단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춘 한쪽의 갈고리체와, 종동축의 전단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춘 다른 쪽의 갈고리체와, 한쪽의 갈고리체를 다른 쪽의 갈고리체에 맞물림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함과 함께, 다른 쪽의 갈고리체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한 조작 레버를 연계함으로써, 구동축에 대한 종동축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예를 들어, 주행하면서 PTO축으로부터 취출한 동력에 의해 작업 장치를 구동하는 작업 주행 중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의한 감속 조작 등을 행한 경우에, 그 감속 조작 등에 관계없이, 작업 장치의 관성에 의해, PTO축과 연동하는 종동축과 함께 구동축이 역 구동 상태로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여 차속이 저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회피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원웨이 클러치를 PTO 클러치에 겸용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참조).
상기와 같은 작업차의 일례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작업차에서는, 하우징 프레임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되어, 조작 레버(특허문헌 4에서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방측으로 돌출시켜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차에는, 조작 레버에 의한 조작력을, 하우징 프레임 후방부측에 배치된 입력부에 입력하도록, 조작 레버와 입력부를 연계하는 연계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있어서의 연계 기구에는,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하방 연장부(특허문헌 4에서는 「요동 지지축」)와, 하방 연장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프레임 후방부의 측면에 설치된 전환 조작용 링크 부재에 연계되는 다른 연장부가 구비되어 있다. 다른 연장부는, 하방 연장부의 하단부를 L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지지 부재의 측면을 삽입 관통시켜 지지 부재의 외부로 연장시키고, 지지 부재 및 하우징 프레임의 횡측을 통과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입력부에 연계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2645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1-2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979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31646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력 전달 장치에서는, 제1 연동축이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베어링을 통하여 축 지지부에서 지지된 양팔보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동력 전달 장치에서는, 제1 연동축도 제2 연동축도, 그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베어링을 통하여 축 지지부에서 지지된 양팔보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로서는,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군데에서 베어링을 통하여 축 지지부에서 지지하는 양팔보 상태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연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군데에 추가하여, 제2 연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군데의 합계 4군데에서, 베어링 및 축 지지부 등의 지지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어, 지지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그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것만의 스페이스도 필요해진다. 따라서,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의 복잡화 및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전후로 근접 배치한 구동축과 종동축에 걸쳐, 구동축에 대한 종동축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성하므로, 원웨이 클러치의 단속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구동축의 회전 중심과 종동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키는 센터링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구동축에 있어서는, 갈고리체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스프링의 끼워 맞춤 장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동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로부터 종동축을 향해 연장되는 후단부의 연장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종동축에 있어서는, 갈고리체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종동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로부터 구동축을 향해 연장되는 전단부의 연장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구동축의 후단부와 종동축의 전단부에 걸쳐 장비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장기에 걸쳐 안정성 좋게 지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어, PTO 클러치에 겸용함으로써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원웨이 클러치의 원활한 단속 작동을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어지도록 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축의 센터링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면서, 원웨이 클러치의 원활한 단속 작동을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어지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차에서는, 지지 부재나 하우징 프레임의 외측에, 예를 들어, 스텝, 클러치 하우징의 보스, 클러치 페달 등의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연계 기구에 있어서, 지지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부분이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후방측으로 연장시킨 부분이, 상술한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연계 기구를 배치할 때에,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있는 등, 연계 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레버와 입력부를 연계하는 연계 기구를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의 특징 구성은, 연동 연결용의 제1 연동부를 갖는 제1 연동축과, 연동 연결용의 제2 연동부를 갖는 제2 연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동축과 상기 제2 연동축은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연동축은, 제1 베어링을 통하여 제1 축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1 축 지지부측 단부와, 그 제1 축 지지부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갖고,
상기 제2 연동축은, 제2 베어링을 통하여 제2 축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2 축 지지부측 단부와, 그 제2 축 지지부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와 상기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는, 막대 형상의 상기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통 형상의 상기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의 내부에 삽입시켜 직경 방향으로 그 사이에 제3 베어링을 개재시키고, 서로 지지하는 상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1 연동축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와 제2 연동축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때에,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의 내부에 삽입시켜, 직경 방향으로 그 사이에 제3 베어링을 개재시키는 것만이어도 좋다. 제1 연동축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는, 제3 베어링을 통하여 제2 연동축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고, 제2 연동축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는, 제3 베어링을 통하여 제1 연동축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와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서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제1 연동축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와 제2 연동축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겸용화하면서,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어,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의 가일층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연동축 및 상기 제2 연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연동축이 구비되고, 그 제3 연동축의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제4 베어링을 통하여 제3 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3 연동축에는, 상기 제1 연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연동부로서의 제1 연동 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제3 연동 기어와, 상기 제2 연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연동부로서의 제2 연동 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제4 연동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3 연동축은, 그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제4 베어링을 통하여 제3 축심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3 연동축을 양팔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연동축의 제2 연동 기어는 양팔보 상태의 제3 연동축의 제3 연동 기어와 맞물려 있으므로, 그 맞물림에 의해 제2 연동축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입하도록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직경 방향으로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입할 수 있고,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와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3 연동축의 제3 연동 기어는, 제1 연동축의 제1 연동 기어와 맞물려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제1 연동축, 제3 연동축, 제2 연동축의 순서대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의 가일층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연동축 및 상기 제2 연동축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동력 취출용의 PTO축에 전동하는 PTO 전동계에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PTO 전동계에,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PTO 전동계의 구조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의 가일층의 특징 구성은, 미션 케이스의 내부에, 변속 장치를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과 전후진 전환 장치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공간을 전후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연동축 및 상기 제2 연동축이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후진용의 전동축을 구비함으로써 변속 장치보다도 축수가 많아지는 전후진 전환 장치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공간에,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수용 공간에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수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의 소형화 및 PTO 전동계의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동력 취출용의 PTO축에 전동하는 PTO 전동계에, 종동측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그들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한 맞물림 해제 위치로부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을, 다른 쪽의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ON 위치와, 상기 다른 쪽의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맞물림을 저지하는 OFF 위치로,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전동축에 통축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을 상기 전동축에 배치하고, 다른 쪽을 상기 통축에 배치하여,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단일의 상기 전동축 위에 구성하였다.
이 수단에 의하면, 원웨이 클러치를, PTO 클러치에 겸용하면서, 단일의 전동축 위에 안정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PTO 전동계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후로 근접 배치한 전후의 전동축에 걸쳐 원웨이 클러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전후의 전동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키는 센터링 작업 등을 불필요하게 하면서, PTO 클러치에 겸용함으로써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원웨이 클러치의 단속 조작을, 장기에 걸쳐 안정된 상태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원웨이 클러치를 PTO 클러치에 겸용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구성의 간소화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도모하면서, 원웨이 클러치를, 그 단속 조작을 장기에 걸쳐 안정된 상태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통축에, 작업 동력 취출용의 전동 기어를 상기 통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구비하였다.
이 수단에 의하면, 전동축을, PTO축과 동축심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PTO축에 연동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전동축을 PTO축에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전동축에 작업 동력 취출용의 전동 기어를 전동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구비한 경우, 전동축에 외부 끼움하는 통축으로부터 PTO축에의 전동을, 그들에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구비한 중계 기어 등을 통하여 행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발생하지만, 상기의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중계 기어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PTO 전동계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구성의 간소화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전동축에,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전동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는 동시에, 상기 통축을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외부 끼움하고,
상기 통축에,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통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는 동시에, 상기 전동 기어를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외부 끼움하고,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 압축 스프링을 채용하는 동시에, 상기 압축 스프링을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전동 기어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통축에 외부 끼움하여,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ON 위치와 상기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 수단에 의하면, 통축에 전동 기어와 압축 스프링과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외부 끼움함으로써, 그들을 PTO 전동계의 구동측 전동부로서 유닛화한 상태로 전동축에 외부 끼움할 수 있다.
따라서, PTO 전동계의 조립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수단에서는,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압축 스프링에 의해, 통축(구동측)에 대한 전동축(종동측)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성하고,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에 의해, 통축(구동측)으로부터 전동축(종동측)으로의 전동을 단속하는 PTO 클러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전동축에,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전동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는 동시에, 상기 통축을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고,
상기 통축에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전동 기어를 일체 형성하고,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 압축 스프링을 채용하는 동시에, 상기 압축 스프링을 상기 전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통축을 사이에 둔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반대측의 위치에 외부 끼움하여,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ON 위치와 상기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의 상기 맞물림 위치와 상기 맞물림 해제 위치에 걸치는 미끄럼 이동에 관계없이, 상기 전동 기어가 전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수단에 의하면, 통축에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전동 기어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PTO 전동계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을 더 도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구성의 간소화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의 맞물림 해제 위치에의 미끄럼 이동에 수반하여, 전동 기어가 구동측의 전동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동 기어가 구동측의 전동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에 기인하여,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의 맞물림 해제 위치로부터 맞물림 위치에의 미끄럼 이동이 행해지기 어렵게 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수단에서는, 통축과 전동 기어와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압축 스프링에 의해, 통축(구동측)에 대한 전동축(종동측)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성하고,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에 의해, 통축(구동측)으로부터 전동축(종동측)으로의 전동을 단속하는 PTO 클러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전동축에,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전동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외부 끼움하는 동시에, 상기 통축을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고,
상기 통축에,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통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는 동시에, 상기 전동 기어를 일체 형성하고,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 압축 스프링을 채용하는 동시에, 상기 압축 스프링을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전동 기어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통축에 외부 끼움하여,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상기 ON 위치와 상기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의 상기 ON 위치와 상기 OFF 위치에 걸치는 미끄럼 이동에 관계없이, 상기 전동 기어가 전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수단에 의하면, 통축에 전동 기어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PTO 전동계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을 더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그 통축에 압축 스프링과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를 외부 끼움함으로써, 그들을 PTO 전동계의 구동측 전동부로서 유닛화한 상태로 전동축에 외부 끼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의 OFF 위치에의 미끄럼 이동에 수반하여, 전동 기어가 구동측의 전동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동 기어가 구동측의 전동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에 기인하여,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의 OFF 위치로부터 ON 위치에의 미끄럼 이동이 행해지기 어렵게 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PTO 전동계에 있어서의 부품 개수의 삭감이나 유닛화에 의한 구성의 간소화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수단에서는,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압축 스프링에 의해, 통축(구동측)에 대한 전동축(종동측)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성하고, 통축과 전동 기어와 압축 스프링과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에 의해, 통축(구동측)으로부터 전동축(종동측)으로의 전동을 단속하는 PTO 클러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내부에, 변속 장치를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과 전후진 전환 장치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공간을 전후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수용하였다.
이 수단에 의하면, 후진용의 전동축을 구비함으로써 변속 장치보다도 축수가 많은 전후진 전환 장치를 수용하는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에 원웨이 클러치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미션 케이스의 소형화 및 PTO 전동계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는,
하우징 프레임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되어, 조작 레버를 상방측으로 돌출시켜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지지 부재의 후방에 배치된 입력부에 입력하도록,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입력부를 연계하는 연계 기구와,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 및 양측부를 덮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연계 기구에는,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하방 연장부와, 그 하방 연장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방 연장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후방 연장부는, 상기 커버에 의해 덮여지도록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 또는 측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에 의한 조작력이 하우징 프레임의 후방부측에 배치된 입력부에 입력되도록 조작 레버와 입력부가 연계 기구에 의해 연계된다. 연계 기구 중 하방 연장부는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지지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연계 기구 중 후방 연장부는 하방 연장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프레임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고, 커버에 의해 덮여지고,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 또는 측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계 기구의 주위가 지지 부재 및 커버에 의해 덮여지므로, 하우징 프레임이나 지지 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연계 기구를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연계 기구의 주위를 덮음으로써, 연계 기구 자체의 보호도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그 후방측을 개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연장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연계 기구의 후방 연장부가, 지지 부재의 후방측의 개방부를 통하여 지지 부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지지 부재의 후방측의 개방부를 이용할 수 있어, 지지 부재에 연계 기구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가공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지지 부재의 측면을 삽입 관통하는 경우에 비해, 연계 기구의 후방 연장부의 배치에 필요한 가로 폭 스페이스가 작아져, 연계 기구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후방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 또는 측부에 구비된 하우징 프레임용 부재를 우회하여,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 또는 측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연계 기구의 후방 연장부가 하우징 프레임용 부재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 또는 측부를 따르게 할 수 있어, 하우징 프레임의 외측에 연계 기구가 크게 돌출되는 일 없이, 연계 기구를 보다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후방 연장부와는 별도로,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별도 연장 설치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별도 연장 설치 부재는, 상기 커버에 의해 덮여지도록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 또는 측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연계 기구의 후방 연장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연계 기구 이외의 별도 연장 설치 부재도 배치할 수 있어, 하우징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후방 연장부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위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후방 연장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측 부위보다도 후방측의 후방측 부위에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상기 입력부를 향해 연장되는 경사 부위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연계 기구는, 하우징 프레임의 상부를 따르게 하여 후방 연장부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위가 배치되고, 전방측 부위보다도 후방측의 후방측 부위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입력부를 향해 연장되는 경사 부위를 갖는다. 이에 의해, 연계 기구에 있어서 경사 부위를 설치하지 않고, 연계 기구에 있어서의 각 부분을, 대략 직교하도록 연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연계 기구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연계 기구의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4는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5는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미션 케이스 내의 전반측에서의 전동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6b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내의 전반측에서의 전동 구성 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7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내의 후반측에서의 전동 구성 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a에 있어서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 등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9은 원웨이 클러치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10는 다른 실시 형태 〔4〕에 기재된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 〔5〕에 기재된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12은 다른 실시 형태 〔6〕에 기재된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트랙터의 전동 기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를,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트랙터는, 차체 프레임(11)의 전반부에 수냉식의 엔진(14) 등을 배치하고, 차체 프레임(11)의 후반부에 탑승 운전부(29)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14)의 좌우로 구동 가능한 조타륜으로서의 전륜(27)을 배치하고, 탑승 운전부(29)의 좌우로 제동 가능한 구동륜으로서의 후륜(24)을 배치하여, 4륜 구동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차체 프레임(11)은 엔진(14)의 하부에, 그 하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전방 프레임 부재(26)를 연결하고, 엔진(14)의 후방 하부에, 엔진(14)의 후방 하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을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전방 프레임 부재(26)에는, 좌우의 전륜(27)을 전방 차축(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구동 가능하게 또한 조타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28)를 롤링 가능하게 장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29)는 판금제의 탑승 스텝(23), 위치 조절 가능한 운전 좌석(30), 전륜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32) 및 엔진 회전수 조절용의 액셀러레이터 페달(64) 등을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스티어링 휠(32)은 스티어링 축(36) 및 파워 스티어링 기구 등을 통하여 좌우의 전륜(27)에 연계되어 있다. 즉, 스티어링 휠(32), 스티어링 축(36) 및 파워 스티어링 기구 등에 의해, 전륜 조타용의 조작 수단(33)을 구성하고 있다. 스티어링 축(36)은 탑승 운전부(29)의 전단부 개소에 후방 경사 자세로 구비한 스티어링 포스트(31)에 삽입 관통하고 있다. 스티어링 포스트(31)는 차체 프레임(1)에 후방 경사 자세로 세워 설치한 전후 방향에서 볼 때, 대략 문형의 지지 부재(38)의 상단부에 세워 설치하고 있다.
도 1, 도 6a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프레임(13)은 전방 케이스부(15)와 중간 케이스부(16)와 후방 케이스부(17)로 분할 가능한 3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중의 중간 케이스부(16)와 후방 케이스부(17)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이하, 미션 케이스라고 칭함)(12)를 구성하고 있다. 후방 케이스부(17)에는, 트랙터의 후방부에 연결하는 로터리 경운 장치나 플라우 등의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2), 좌우의 리프트 아암(2)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하는 유압식의 리프트 실린더(3) 및 트랙터의 후방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구동형의 작업 장치를 연결한 경우에 작업 장치에의 작업용 동력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25) 등을 장비하고 있다.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은 건식의 클러치로 이루어지는 주 클러치(18)를 경유한 후, 주행 전동계(4)와 PTO 전동계(5)로 분배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 전동계(4)를 경유하는 주행용의 동력을 좌우의 전륜(27) 및 좌우의 후륜(24)에 전달하고 있다. 또한, PTO 전동계(5)를 경유하는 작업용의 동력을 PTO축(25)에 전달하고 있다.
주행 전동계(4)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 전동계(4)에는,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4단으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한 슬라이딩 메쉬식의 주 변속 장치(19), 주 변속 장치(19)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전진용과 후진용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싱크로 메쉬식의 전후진 전환 장치(20), 전후진 전환 장치(20)에 의한 전후진 전환 후의 동력을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한 슬라이딩 메쉬식의 부 변속 장치(21), 좌우의 후륜(24)의 차동을 허용하면서 부 변속 장치(21)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좌우의 후륜(24)에 전달하는 후륜용 차동 장치(6), 부 변속 장치(21)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으로부터 전륜 구동용의 동력을 취출하는 기어 유닛(7) 및 좌우의 전륜(27)의 차동을 허용하면서 기어 유닛(7)으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전륜(27)에 전달하는 전륜용 차동 장치(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주 클러치(18)는 탑승 운전부(29)의 좌측 발밑 개소에 배치한 클러치 페달(45)(도 2 내지 도 5 참조)의 답입 조작 및 답입 해제 조작에 연동하여, 주행 전동계(4) 및 PTO 전동계(5)에 동력 전달하는 ON 상태와, 주행 전동계(4) 및 PTO 전동계(5)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전동계(4)에 있어서의 제1 전동축(70)과 PTO 전동계(5)에 있어서의 제1 전동 통축(201)이 제1 전동축(70)을 내측에 위치시켜, 제1 전동 통축(201)을 외측에 위치시킨 이중축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45)을 설정량까지 답입함으로써, 주행 전동계(4)의 전동을 차단하고, 클러치 페달(45)을 설정량 이상 답입함으로써, PTO 전동계(5)의 전동을 차단하는 더블 클러치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즉, 주 클러치(18)는 클러치 페달(45)을 설정량까지 답입 조작함으로써,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전동계(4)에 있어서의 제1 전동축(70)에 전달하는 ON 상태로부터, 그 전달을 차단하는 OFF 상태로 전환되고, 클러치 페달(45)을 설정량 이상 답입 조작함으로써,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PTO 전동계(5)에 있어서의 제1 전동 통축(201)에 전달하는 ON 상태로부터, 그 전달을 차단하는 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페달(45)의 답입량을 설정량까지 복귀시킴으로써, PTO 전동계(5)에 있어서의 제1 전동 통축(201)에의 동력 전달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고, 클러치 페달(45)의 답입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주행 전동계(4)에 있어서의 제1 전동축(70)에의 동력 전달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변속 장치(19)는 그 입력축을 겸하는 제1 전동축(70), 제1 전동축(70)의 후단부에 일체 형성한 제1 구동 기어(71), 제1 전동축(70)에 있어서의 제1 구동 기어(71)의 전방 개소에 일체 형성한 제2 구동 기어(72), 제1 전동축(70)에 있어서의 제2 구동 기어(72)의 전방 개소에 스플라인 끼워 맞춘 제3 구동 기어(73), 제1 전동축(70)에 있어서의 제3 구동 기어(73)의 전방 개소에 스플라인 끼워 맞춘 제4 구동 기어(74), 제1 전동축(70)의 상방에 제1 전동축(70)과 평행하게 배치한 제2 전동축(75), 제2 전동축(75)에 스플라인 끼워 맞춘 직경 확장용의 통축(76), 제1 구동 기어(71)와 맞물리는 상태로 제2 전동축(75)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한 제1 종동 기어(77), 통축(76)의 후반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춘 제2 종동 기어(78), 통축(76)의 전반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춘 제3 종동 기어(79) 및 제4 구동 기어(74)와 맞물리는 상태로 제2 전동축(75)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한 제4 종동 기어(8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종동 기어(78)는 제1 종동 기어(77)에 스플라인 끼워 맞추는 1속 위치와 제2 구동 기어(72)에 맞물리는 2속 위치에 걸쳐 미끄럼 이동한다. 제3 종동 기어(79)는 제3 구동 기어(73)에 맞물리는 3속 위치와 제4 종동 기어(80)에 스플라인 끼워 맞추는 4속 위치에 걸쳐 미끄럼 이동한다. 제2 종동 기어(78) 및 제3 종동 기어(79)는 탑승 운전부(29)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포스트(31)의 후방 개소에 배치한 주 변속 레버(41)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2 종동 기어(78)가 주 변속 레버(41)에 연계하는 제1 연계 상태와, 제3 종동 기어(79)가 주 변속 레버(41)에 연계하는 제2 연계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제1 연계 상태에서는, 주 변속 레버(41)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2 종동 기어(78)가 1속 위치와 2속 위치에 걸쳐 미끄럼 이동한다. 제2 연계 상태에서는, 주 변속 레버(41)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3 종동 기어(79)가 3속 위치와 4속 위치에 걸쳐 미끄럼 이동한다.
즉, 주 변속 장치(19)는 주 변속 레버(41)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1 전동축(70)에 전달된 동력을, 제1 구동 기어(71)와 제1 종동 기어(77)와 제2 종동 기어(78)와 통축(76)을 통하여 제2 전동축(75)에 전달하는 제1 변속 상태, 제2 구동 기어(72)와 제2 종동 기어(78)와 통축(76)을 통하여 제2 전동축(75)에 전달하는 제2 변속 상태, 제3 구동 기어(73)와 제3 종동 기어(79)와 통축(76)을 통하여 제2 전동축(75)에 전달하는 제3 변속 상태, 또는, 제4 구동 기어(74)와 제4 종동 기어(80)와 제3 종동 기어(79)와 통축(76)을 통하여 제2 전동축(75)에 전달하는 제4 변속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전환 장치(20)는 전후진 전환 장치(20)의 입력축을 겸하는 제3 전동축(81), 제3 전동축(81)의 전방부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한 후진용 구동 기어(82), 제3 전동축(81)의 후방부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한 전진용 구동 기어(83), 제3 전동축(81)에 있어서의 후진용 구동 기어(82)와 전진용 구동 기어(83) 사이에 개재 장착한 싱크로 메쉬식의 시프트 기구(84), 제3 전동축(81)의 상방에 제3 전동축(81)과 평행하게 배치한 제4 전동축(85), 후진용 구동 기어(82)와 인접하도록 제4 전동축(85)의 전방부측에 일체 형성한 후진용 종동 기어(86), 전진용 구동 기어(83)와 맞물리도록 제4 전동축(85)의 후방부측에 일체 형성한 전진용 종동 기어(87), 제3 전동축(81)의 하방에 제3 전동축(81)과 평행하게 배치한 후진용 중계축(88) 및 후진용 구동 기어(82)와 후진용 종동 기어(86)에 맞물리도록 후진용 중계축(88)에 일체 형성한 후진 기어(8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전동축(81)은 주 변속 장치(19)의 출력축을 겸하는 제2 전동축(75)에 한 쌍의 중계 기어(90, 91)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시프트 기구(84)는 탑승 운전부(29)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포스트(31)의 좌측 개소에 배치한 전후진 전환 레버(39)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3 전동축(81)을 후진용 구동 기어(82)에 연동 연결하는 상태와 전진용 구동 기어(83)에 연동 연결하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전후진 전환 장치(20)는 전후진 전환 레버(39)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3 전동축(81)에 전달된 동력을, 후진용 구동 기어(82)와 후진 기어(89)와 후진용 종동 기어(86)를 통하여 제4 전동축(85)에 전달하는 후진 전동 상태, 또는, 전진용 구동 기어(83)와 전진용 종동 기어(87)를 통하여 제4 전동축(85)에 전달하는 전진 전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변속 장치(21)는 부 변속 장치(21)의 입력축을 겸하는 제5 전동축(92), 제5 전동축(92)의 전방부측에 일체 형성한 저속 구동 기어(93), 제5 전동축(92)의 후방부측에 일체 형성한 고속 구동 기어(94), 제5 전동축(92)의 하방에 제5 전동축(92)과 평행하게 배치한 제6 전동축(95), 제6 전동축(95)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한 시프트 부재(96), 저속 구동 기어(93)와 맞물림 가능하게 시프트 부재(96)의 전단부에 일체 형성한 저속 종동 기어(97) 및 고속 구동 기어(94)와 맞물림 가능하게 시프트 부재(96)의 후단부에 일체 형성한 고속 종동 기어(9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5 전동축(92)은 전후진 전환 장치(20)의 출력축을 겸하는 제4 전동축(85)에 커플링(99)을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시프트 부재(96)는 탑승 운전부(29)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30)의 좌측 개소에 배치한 부 변속 레버(104)(도 3 참조)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저속 구동 기어(93)에 저속 종동 기어(97)를 맞물리는 상태와 고속 구동 기어(94)에 고속 종동 기어(98)를 맞물리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부 변속 장치(21)는 부 변속 레버(104)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5 전동축(92)에 전달된 동력을, 저속 구동 기어(93)와 저속 종동 기어(97)를 통하여 제6 전동축(95)에 전달하는 저속 전동 상태, 또는, 고속 구동 기어(94)와 고속 종동 기어(98)를 통하여 제6 전동축(95)에 전달하는 고속 전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프레임(13)은 그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케이스부(15)와 중간 케이스부(16)의 전단부 부분에 걸치는 전단부 개소에, 주 클러치(18)를 수용하는 주 클러치 수용 공간(6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그 내부에 있어서의 주 클러치 수용 공간(65)의 후방 개소가 되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전반 부분에, 주 변속 장치(19)를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으로서의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을 형성하고, 또한, 그 내부에 있어서의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의 후방 개소가 되는 중간 케이스부(16)의 후반 부분에, 전후진 전환 장치(20)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공간으로서의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67)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 있어서의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67)의 후방 개소가 되는 후방 케이스부(17)의 전반 부분에, 부 변속 장치(21)를 수용하는 부 변속 장치 수용 공간(68)을 형성하고, 또한, 그 내부에 있어서의 부 변속 장치 수용 공간(68)의 후방 개소가 되는 후방 케이스부(17)의 후반 부분에, 후륜용 차동 장치(6)를 수용하는 후륜용 차동 장치 수용 공간(69)을 형성하고 있다.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부에는,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덮개 부재(9)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덮개 부재(9)의 좌측 전단부의 좌우 중앙 개소에는, 주 변속 레버(4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42)를 상향으로 팽출 형성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스텝(23)은 미션 케이스(12)의 중간 케이스부(16)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겸하는 판금제의 센터 스텝부(43)와, 이 센터 스텝부(43)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판금제의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로 구성하고 있다. 센터 스텝부(43)는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레버 지지부(42)보다도 후방측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전후 길이를 갖는 상태에서, 그 좌우 폭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우 폭보다도 폭 넓게 되도록 역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좌측 하단부 부분의 내면에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전후 한 쌍의 스페이서(57)를 용접하고 있다. 또한, 그 우측면에는, 횡방향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판금제의 레버 가이드(61)를 용접하고 있다.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전후의 스페이서(57)를 이용하여 센터 스텝부(43)와 함께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벽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사이드 스텝부(44)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센터 스텝부(43)와 함께 중간 케이스부(16)의 우측벽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케이스부(16)에 센터 스텝부(43) 및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를 볼트 연결한 상태에서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 및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각각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가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센터 스텝부(43)에 있어서의 천장판 부분의 우측 후단부 개소에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우측 후단부 상부에 구비한 오일 게이지(도시하지 않음)의 삽발을 허용하는 절결부(58)를 형성하고 있다.
스티어링 휠(32) 등을 지지하는, 대략 문형의 지지 부재(38)는, 그 후방측을 개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덮개 부재(9)보다도 전방측의 전단부 부분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38)는 하우징 프레임(13)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32) 외에, 전후진 전환 레버(39)를 상방측으로 돌출시켜 지지하고 있다.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좌측벽부(38A)의 내면측에는, 통 형상의 축 지지부(48)를, 대략 지지 부재(38)를 따른 후방 경사 자세로 좌측벽부(38A)와 파워 스티어링 기구의 컨트롤 유닛(37)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장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벽부(38A)의 상단부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39)의 레버 가이드를 겸하는 축 지지 부재(47)를 볼트 연결되어 있다.
전후진 전환 레버(39)는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좌측벽의 후방측 부위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전후진 전환 장치(20)의 조작축(35)에,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를 통하여 연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축(35)은 지지 부재(38)보다도 후방측의 하우징 프레임(13)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연계 기구(46)는 지지 부재(38)에 지지된 전후진 전환 레버(39)에 의한 조작력을, 지지 부재(38)의 후방에 배치된 조작축(35)에 입력하도록, 전후진 전환 레버(39)와 조작축(35)을 연계하고 있다. 연계 기구(46)는 L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제1 연계 로드(49), 길이 조절 가능한 턴 버클식에 의해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제2 연계 로드(50) 및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작축(35)의 돌출 단부에 고정 장비한 조작 아암(5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계 로드(49)는 그 종축부(56)의 하부측을 지지 부재(38)의 축 지지부(48)에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핀 고정하고 있다. 또한, 종축부(56)의 상부측을, 지지 부재(38) 및 축 지지 부재(47)에 형성한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고, 또한, 축 지지 부재(47)에 베어링 부재(62)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종축부(56)의 상단부 부분에, 그 상단부 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전후진 전환 레버(39)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종축부(56)의 하단부 부분으로부터 지지 부재(38)의 우측벽부(38C)를 향해 연장되는 아암부(51)의 연장 단부에, 제2 연계 로드(50)의 전단부를 피봇 연결하고 있다. 즉, 제1 연계 로드(49)에는, 지지 부재(38)의 내부에 있어서, 전후진 전환 레버(39)에 연결되어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있어서 제2 연계 로드(50)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계 로드(50)는 제1 연계 로드(49)와 직교하는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제1 연계 로드(49)의 아암부(51)와 조작 아암(55)에 걸쳐 가설하고 있다. 그리고, 그 가설 상태에서는, 그 전후 방향의 전방측 부분(52)이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벽부(38A, 38C)의 사이의 후방측의 공간부(38B)로부터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방에 있어서의 레버 지지부(42)의 우측방을 통하고, 경사 방향의 중간 부분(54)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를 통하고, 전후 방향의 후방측 부분(53)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를 통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계 로드(50)는 센터 스텝부(43)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 및 측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연계 로드(50)는 지지 부재(38)에 구멍부 등의 가공을 하지 않고, 지지 부재(38)의 후방측의 공간부(38B)를 통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고, 제1 연계 로드(49)와 제2 연계 로드(50)의 연결부가, 하우징 프레임(13)에 있어서의 상부 우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하우징 프레임(13)에 있어서의 상부 좌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 지지부(42)를 우회하여 제2 연계 로드(50)를 배치하기 쉽다. 또한, 제2 연계 로드(50)는 전후 방향의 전방측 부분(52)과,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방향의 중간 부분(54)과, 전후 방향의 후방측 부분(5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순한 형상의 전후 방향의 부분을 많이 가지면서, 제1 연계 로드(49)로부터 조작축(35)에 이르는 연계 로드의 배색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는, 대략 문형의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벽부(38A, 38C)의 사이에 확보한 공간 및 중간 케이스부(16)와 센터 스텝부(43) 사이에 확보한 공간을 이용하여, 전후진 전환 레버(39)와 전후진 전환 장치(20)의 조작축(35)에 걸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후진 전환 레버(39)에는, 축 지지 부재(47)에 제1 연계 로드(49)의 종축부(56)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가이드 구멍(47A)에 계입(係入)하는 가이드 레버(40)를 구비하고 있다. 축 지지 부재(47)에는, 가이드 레버(40)와의 걸림 결합에 의한 전후진 전환 레버(39)의 중립 위치에서의 걸림 보유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47B)를, 가이드 구멍의 전후 중간 개소에 연통시킨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에는, 가이드 레버(40)를 오목부(47B)에 걸림 결합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6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전후진 전환 레버(39)를 비틀림 스프링(63)의 작용에 의해 오목부(47B)에 걸어 결합함으로써, 전후진 전환 레버(39)를 중립 위치에 걸림 결합 보유 지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후진 전환 장치(20)를 중립 상태로 유지하여, 주 변속 장치(19)로부터 좌우의 전륜(27) 및 좌우의 후륜(24)에의 전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전후진 전환 레버(39)를 비틀림 스프링(63)의 작용에 대항하는 방향(상방)으로 요동 조작하여, 가이드 레버(40)의 오목부(47B)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전후진 전환 레버(39)의 전후진 전환 방향(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후진 전환 레버(39)를 전후진 전환 방향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전후진 전환 장치(20)를 전진 전동 상태와 후진 전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 주행 상태를 전진 상태와 후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전후진 전환 레버(39) 및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에 의해, 탑승 운전부(29)로부터의 전후진 전환 장치(20)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전후진 전환용의 조작 수단(34)을 구성하고 있다.
도 2,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와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공간에는,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의 제2 연계 로드(50)와 함께, 트랙터에 구비한,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의 각종의 검출기(도시하지 않음), 탑승 운전부(29)에 구비한 표시 패널(10)이나 각종 설정기(도시하지 않음) 및 트랙터에 탑재한 제어 유닛(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신호선 등을 묶은 와이어 하니스(59)를 통하고 있다. 즉, 와이어 하니스(59)가 제2 연계 로드(50)와는 별도로, 하우징 프레임(13)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 하니스(59)는 센터 스텝부(43)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와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공간을,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나 와이어 하니스(59) 등을 배색하는 배색 공간에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좌측벽의 전후 중간 개소에는, 클러치 페달(45)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방향의 지지축(100)을 장비하고 있다. 클러치 페달(45)은 지지축(10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그 요동 시단부측이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하방을 통하여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되고, 그 자유 단부측이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전방으로부터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전단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되도록, 횡방향 V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요동 지지점부에 일체 장비한 연계 아암(101)을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좌측벽의 전단부 부위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주 클러치(18)의 조작축(102)에,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조작축(102)의 돌출 단부에 고정 장비한 조작 아암(도시하지 않음)과,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연계 아암(101)과 조작 아암에 걸쳐 가설한 연계 로드(103)를 통하여 연계되어 있다.
PTO 전동계(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전동계(5)는 그 전동 방향의 상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전동 통축(201), 제1 연동축(202), 제3 연동축(204), 제2 연동축(203), 전동축(107), 중계축(109) 등을 구비하고,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PTO축(25)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PTO 전동계(5)는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을 갖는 연동축 연결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동축(202), 제2 연동축(203), 전동축(107), 중계축(109)은 그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복수의 축(202, 203, 107, 109)의 상방측에서 평행하게 제1 전동 통축(201)이 배치되고, 이들의 복수의 축(202, 203, 107, 109)의 하방측에서 평행하게 제3 연동축(204)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전동 통축(201)은 제1 전동축(70)과 상대 회전 가능한 이중축 구조로 되어 있고,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입력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연동축(202)에는, 제1 입력 기어(206)(제1 연동부에 상당함)와 제1 출력 기어(207)(제1 연동부 및 제1 연동 기어에 상당함)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1 입력 기어(206)는 제1 전동 통축(201)의 출력 기어(205)와 맞물려 있고, 제1 연동축(202)이 제1 전동 통축(201)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제3 연동축(204)에는, 제3 연동 기어(208)와 제4 연동 기어(209)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동 기어(208)는 제1 연동축(202)의 제1 출력 기어(207)와 맞물림 가능하고, 제3 연동축(204)이 제1 연동축(202)에 연동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연동축(203)에는, 제2 입력 기어(210)(제2 연동부 및 제2 연동 기어에 상당함)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2 입력 기어(210)는 제3 연동축(204)의 제4 연동 기어(209)와 맞물려 있고, 제2 연동축(203)이 제3 연동축(204)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전동축(107)은 제2 연동축(203)에 스플라인 끼워 맞추어져 있고, 제2 연동축(203)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중계축(109)은 커플링(110)을 통하여 전동축(107)에 연동 연결되고, PTO축(25)은 커플링(110)을 통하여 중계축(109)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제1 연동축(202), 제2 연동축(203), 제3 연동축(204)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동축(202)은 제1 베어링(211)을 통하여 제1 축 지지부(212)에 지지되는 제1 축 지지부측 단부(202a)와, 그 제1 축 지지부측 단부(202a)와는 반대측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입력 기어(206)는 제1 연동축(202)의 축심 방향으로 제1 축 지지부측 단부(202a)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연동축(202)에 있어서 제1 입력 기어(206)로부터의 반력이 가해지는 부위에 근접한 위치를 제1 베어링(211)을 통하여 축 지지하고 있다. 제2 연동축(203)은 제2 베어링(213)을 통하여 제2 축 지지부(214)에 지지되는 제2 축 지지부측 단부(203a)와, 그 제2 축 지지부측 단부(203a)와는 반대측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와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는 막대 형상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를 통 형상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의 내부에 삽입시켜 직경 방향으로 그 사이에 제3 베어링(215)을 개재시키고, 서로 지지하는 상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즉, 제3 베어링(215)은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에 외부 끼움되어 있는 동시에,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에 내부 끼움되고,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를 지지하여, 서로 지지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제3 베어링(215)은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의 축심 방향에서의 베어링 폭 H3이 제1 베어링(211)의 베어링 폭 H1 및 제2 베어링(213)의 베어링 폭 H2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베어링(215)의 베어링 폭 H3을 보다 크게 하여,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와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의 서로의 지지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3 베어링(215)으로서, 외경이 큰 대직경 베어링(215a)과 그 대직경 베어링(215a)보다도 외경이 작은 소직경 베어링(215b)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연동축(203)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는 제1 연동축(202)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에 외부 끼움된 소직경 베어링(215b)이 끼워 맞추는 제1 끼워 맞춤부(216a)와, 제1 연동축(202)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에 외부 끼움된 대직경 베어링(215a)이 끼워 맞추는 제2 끼워 맞춤부(216b)와의 내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다. 대직경 베어링(215a)과 소직경 베어링(215b)은 대직경 베어링(215a)이 제1 연동축(202)에 접근하는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의 축심 방향에 인접하여 배열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2 연동축(203)의 제2 입력 기어(210)는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의 축심 방향으로 소직경 베어링(215b)과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연동축(203)을 그 축심 방향으로 짧게 하여 콤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소직경 베어링(215b)의 직경 방향 외측에 제2 입력 기어(210)를 구비함으로써, 제2 입력 기어(210)의 직경 방향에서의 두께를 충분히 취하면서, 제3 베어링(215)의 축심 방향에서의 베어링 폭 H3을 크게 할 수 있다.
제1 연동축(202)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에는, 대직경 베어링(215a)에 접촉함으로써, 대직경 베어링(215a) 및 소직경 베어링(215b)에 있어서의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의 축심 방향에서의 제1 연동축(202)에 접근하는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220)가 구비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소직경 베어링(215b)과 제1 끼워 맞춤부(216a)의 축심 방향에서의 벽부와의 접촉에 의해, 대직경 베어링(215a) 및 소직경 베어링(215b)에 있어서의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의 축심 방향에서의 제2 연동축(203)에 접근하는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2 연동축(203)에 있어서 제2 베어링(213)에 의해 제2 축 지지부측 단부(203a)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부터 제3 베어링(215)에 의해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까지의 길이는, 제1 연동축(202)에 있어서 제1 베어링(211)에 의해 제1 축 지지부측 단부(202a)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부터 제3 베어링(215)에 의해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까지의 길이 보다도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연동축(203)의 쪽이, 제1 연동축(202)보다도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연동축(204)은 그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제4 베어링(217)을 통하여 제3 축 지지부(2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3 연동축(204)을 지지하기 위해, 제3 축 지지부(218)를 갖고 제3 연동축(20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체(219)가 구비되고, 이 지지체(219)는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을 수용하는 중간 케이스부(16)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중간 케이스부(16)에 설치 및 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219)는 볼트(221)의 체결에 의해 중간 케이스부(16)에 설치 가능하고, 그 체결 방향이,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의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연동축(202)의 제1 출력 기어(207)와 제3 연동축(204)의 제3 연동 기어(208)와의 맞물림 및 제2 연동축(203)의 제2 입력 기어(210)와 제3 연동축(204)의 제4 연동 기어(209)와의 맞물림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지지체(219)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연동축(202)의 제1 출력 기어(207)는 제1 축 지지부측 단부(202a)와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 사이의 중간 부위에 있어서, 제3 연동 기어(208)와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도 8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제3 연동 기어(208)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도 8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제1 연동축(202)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출력 기어(207)는 PTO 레버(60)의 요동 조작에 의해,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29)에 있어서의 발밑 개소의 좌우 중앙측에는 PTO 레버(60)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PTO 레버(60)는 센터 스텝부(43)의 레버 가이드(61)와의 걸림 결합에 의한 ON 위치 및 OFF 위치에서의 위치 보유 지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PTO 동력 단속용의 연계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제1 연동축(202)의 제1 출력 기어(207)에 연계되어 있다. 제1 출력 기어(207)는 PTO 레버(60)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3 연동 기어(208)와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제3 연동 기어(208)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로 미끄럼 이동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PTO 동력 단속용의 연계 기구는 PTO 레버(60)의 요동 지지점부에 일체 장비한 연계 아암을, 제1 출력 기어(207)에 걸어 결합한 시프트 포크에,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우측벽의 하측 부위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시프트 포크의 조작축에 고정 장비한 조작 아암과, 연계 아암과 조작 아암에 걸쳐 가설한 연계 로드를 통하여 연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제1 출력 기어(207)는 PTO 레버(60)의 조작에 의한 맞물림 위치(도 8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도 8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의 위치 전환 보유 지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결과, 제1 출력 기어(207)를 PTO 레버(60)의 조작에 의해, 엔진(14)으로부터 PTO축(25)에 전동하는 전동 상태와 엔진(14)으로부터 PTO축(25)에의 전동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PTO 클러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제1 연동축(202)의 제1 축 지지부측 단부(202a)는 미션 케이스(12)에 있어서, 주 클러치 수용 공간(65)과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을 구획하는 제1 격벽으로서의 제1 축 지지부(212)에 제1 베어링(21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연동축(203)의 제2 축 지지부측 단부(203a)는 미션 케이스(12)에 있어서,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과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67)을 구획하는 제2 격벽으로서의 제2 축 지지부(214)에 제2 베어링(21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션 케이스(12)에는, 주 변속 장치(19)를 수용하는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제1 수용 공간에 상당함)과 전후진 전환 장치(20)를 수용하는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67)(제2 수용 공간에 상당함)을 전후로 형성하고 있고,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을 갖는 연동축 연결 장치(300)는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에 수용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동축(202)의 전체를 막대 형상으로 하고, 제2 연동축(203)의 전체를 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를 막대 형상으로 하고,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를 통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제1 연동축(202)에 있어서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202b)만을 막대 형상으로 하고, 제2 연동축(203)에 있어서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203b)만을 통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베어링(215)으로서, 대직경 베어링(215a)과 소직경 베어링(215b)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제3 베어링(215)으로서, 외경이 동일한 2개의 베어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베어링(215)으로서의 베어링의 수에 대해서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1개이어도, 3개 이상이어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에 추가하여, 제3 연동축(204)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제3 연동축(204)을 구비하지 않고 실시할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동축(202), 제3 연동축(204), 제2 연동축(203)의 순서대로 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반대로, 제2 연동축(203), 제3 연동축(204), 제1 연동축(202)의 순서대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3 연동축(204)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연동축(202)에 의한 동력 전달계와 제2 연동축(203)에 의한 동력 전달계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PTO 전동계(5)에 제1 연동축(202) 및 제2 연동축(203)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어, 주행 전동계(4)에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구비할 수도 있고,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어떠한 동력 전동계에 구비할지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6)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작업차는 트랙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승용 예초기, 승용 전식기, 휠 로더 등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PTO 전동 구조를,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트랙터는, 차체 프레임(11)의 전반부에 수냉식의 엔진(14) 등을 배치하고, 차체 프레임(11)의 후반부에 탑승 운전부(29)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14)의 좌우로 구동 가능한 조타륜으로서의 전륜(27)을 배치하고, 탑승 운전부(29)의 좌우로 제동 가능한 구동륜으로서의 후륜(24)을 배치하여, 4륜 구동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1, 도 6b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프레임(13)은 전방 케이스부(15)와 중간 케이스부(16)와 후방 케이스부(17)로 분할 가능한 3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중의 중간 케이스부(16)와 후방 케이스부(17)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이하, 미션 케이스라고 칭함)(12)를 구성하고 있다. 후방 케이스부(17)에는, 트랙터의 후방부에 연결하는 로터리 경운 장치나 플라우 등의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2), 좌우의 리프트 아암(2)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하는 유압식의 리프트 실린더(3) 및 트랙터의 후방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구동형의 작업 장치를 연결한 경우에 작업 장치에의 작업용 동력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25) 등을 장비하고 있다.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은, 건식의 단판 클러치로 이루어지는 주 클러치(18)를 경유한 후, 주행 전동계(4)와 PTO 전동계(5)로 분배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 전동계(4)를 경유하는 주행용의 동력을 좌우의 전륜(27) 및 좌우의 후륜(24)에 전달하고 있다. 또한, PTO 전동계(5)를 경유하는 작업용의 동력을 PTO축(25)에 전달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클러치(18)는 탑승 운전부(29)의 좌측 발밑 개소에 배치한 클러치 페달(45)의 답입 조작에 연동하여,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제1 전동축(70)에 전달하는 ON 상태로부터, 그 전동을 차단하는 OFF 상태로 전환되고, 클러치 페달(45)의 답입 해제 조작에 연동하여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6b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프레임(13)은 그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케이스부(15)와 중간 케이스부(16)의 전단부 부분에 걸치는 전단부 개소에, 주 클러치(18)를 수용하는 주 클러치 수용 공간(6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그 내부에 있어서의 주 클러치 수용 공간(65)의 후방 개소가 되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전반 부분에, 주 변속 장치(19)를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으로서의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을 형성하고, 또한, 그 내부에 있어서의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의 후방 개소가 되는 중간 케이스부(16)의 후반 부분에, 전후진 전환 장치(20)를 수용하는 제2 수용 공간으로서의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67)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 있어서의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67)의 후방 개소가 되는 후방 케이스부(17)의 전반 부분에, 부 변속 장치(21)를 수용하는 부 변속 장치 수용 공간(68)을 형성하고, 또한, 그 내부에 있어서의 부 변속 장치 수용 공간(68)의 후방 개소가 되는 후방 케이스부(17)의 후반 부분에, 후륜용 차동 장치(6)를 수용하는 후륜용 차동 장치 수용 공간(69)을 형성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부에는,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덮개 부재(9)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덮개 부재(9)의 좌측 전단부의 좌우 중앙 개소에는, 주 변속 레버(4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42)를 상향으로 팽출 형성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스텝(23)은 미션 케이스(12)의 중간 케이스부(16)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겸하는 판금제의 센터 스텝부(43)와, 이 센터 스텝부(43)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판금제의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로 구성하고 있다. 센터 스텝부(43)는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레버 지지부(42)보다도 후방측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전후 길이를 갖는 상태에서, 그 좌우 폭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우 폭보다도 폭 넓게 되도록 역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좌측 하단부 부분의 내면에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전후 한 쌍의 스페이서(57)를 용접하고 있다. 또한, 그 우측면에는, 횡방향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판금제의 레버 가이드(61)를 용접하고 있다.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전후의 스페이서(57)를 이용하여 센터 스텝부(43)와 함께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벽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사이드 스텝부(44)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센터 스텝부(43)와 함께 중간 케이스부(16)의 우측벽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케이스부(16)에 센터 스텝부(43) 및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를 볼트 연결한 상태에서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 및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각각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가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센터 스텝부(43)에 있어서의 천장판 부분의 우측 후단부 개소에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우측 후단부 상부에 구비한 오일 게이지(도시하지 않음)의 삽발을 허용하는 절결부(58)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와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공간에는,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의 제2 연계 로드(50)와 함께, 트랙터에 구비한,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의 각종의 검출기(도시하지 않음), 탑승 운전부(29)에 구비한 표시 패널(10)이나 각종 설정기(도시하지 않음) 및 트랙터에 탑재한 제어 유닛(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신호선 등을 묶은 와이어 하니스(59)를 통하고 있다. 즉, 와이어 하니스(59)가 제2 연계 로드(50)와는 별도로, 하우징 프레임(13)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 하니스(59)는 센터 스텝부(43)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와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공간을,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나 와이어 하니스(59) 등을 배색하는 배색 공간에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좌측벽의 전후 중간 개소에는, 클러치 페달(45)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방향의 지지축(100)을 장비하고 있다. 클러치 페달(45)은 지지축(10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그 요동 시단부측이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하방을 통하여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되고, 그 자유 단부측이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전방으로부터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전단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되도록, 횡방향 V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요동 지지점부에 일체 장비한 연계 아암(101)을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좌측벽의 전단부 부위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주 클러치(18)의 조작축(102)에,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조작축(102)의 돌출 단부에 고정 장비한 조작 아암(도시하지 않음)과,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연계 아암(101)과 조작 아암에 걸쳐 가설한 연계 로드(103)를 통하여 연계되어 있다.
도 1 및 도 6b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전동계(5)는 제1 전동축(70)의 제1 구동 기어(71)에 맞물리는 작업 동력 취출용의 전동 기어(105), 전동 기어(105)에 스플라인 끼워 맞춘 통축(106), 통축(106)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또한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외부 끼움 장비한 전동축(107), 통축(106)에 대한 전동축(107)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통축(106)과 전동축(107)을 연동 연결하는 원웨이 클러치(108) 및 전동축(107)을 PTO축(25)에 연동 연결하는 중계축(109)과 한 쌍의 커플링(1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108)는 통축(10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춘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 전동축(10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춘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 및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를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로부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압축 스프링(113) 등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통축(106)에 전동 기어(105)와 압축 스프링(113)과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를 외부 끼움함으로써, 그들을 PTO 전동계(5)의 구동측 전동부로서 유닛화한 상태에서 전동축(107)에 외부 끼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PTO 전동계(5)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 및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는 작업 주행 중의 감속 조작 등에 기인하여 작업 장치의 관성에 의한 역 구동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의 각 맞물림 갈고리(114)에 형성한 올라타기 안내면(115)에,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의 각 맞물림 갈고리(116)에 형성한 올라타기면(117)이 올라탐으로써, 압축 스프링(113)의 작용에 대항하여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맞물림 위치로부터 맞물림 해제 위치로 미끄럼 이동 변위시키고,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에 대한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올라타기 캠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주행하면서 PTO축(25)으로부터 취출한 동력에 의해 작업 장치를 구동하는 작업 주행 중에, 액셀러레이터 페달(64)에 의한 감속 조작 등을 행한 경우에, 그 감속 조작 등에 관계없이, 작업 장치의 관성에 의해, PTO축(25) 및 전동축(107) 등과 함께 통축(106) 및 제1 전동축(70)이 역 구동 상태로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여 차속이 저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회피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29)에 있어서의 발밑 개소의 좌우 중앙측에는 PTO 레버(60)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PTO 레버(60)는 센터 스텝부(43)의 레버 가이드(61)와의 걸림 결합에 의한 ON 위치 및 OFF 위치에서의 위치 보유 지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PTO 동력 단속용의 연계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원웨이 클러치(108)의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에 연계되어 있다.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는 PTO 레버(60)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ON 위치와,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와의 맞물림을 저지하는 OFF 위치에 걸쳐 미끄럼 이동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PTO 동력 단속용의 연계 기구는, PTO 레버(60)의 요동 지지점부에 일체 장비한 연계 아암을,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에 걸어 결합한 시프트 포크에,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우측벽의 하측 부위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시프트 포크의 조작축에 고정 장비한 조작 아암과, 연계 아암과 조작 아암에 걸쳐 가설한 연계 로드를 통하여 연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원웨이 클러치의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는 PTO 레버(60)의 조작에 의한 ON 위치(도 9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OFF 위치(도 9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의 위치 전환 보유 지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결과, 원웨이 클러치를, PTO 레버(60)의 조작에 의해, 엔진(14)으로부터 PTO축(25)에 전동하는 전동 상태와 엔진(14)으로부터 PTO축(25)에의 전동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PTO 클러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용의 PTO 클러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PTO 전동계(5)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PTO 전동계(5)의 조립성의 향상 및 미션 케이스(12)의 소형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 전동계(5)의 전동축(107)은 미션 케이스(12)에 있어서, 주 클러치 수용 공간(65)과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을 구획하는 제1 격벽(118) 및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과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67)을 구획하는 제2 격벽(119)에, 베어링(12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전동축(107)에 있어서, 제1 격벽(118)과 제2 격벽(119) 사이에 위치하는 양팔보 지지부(121)에, 통축(106)과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외부 끼움하고, 통축(106)에 전동 기어(105)와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와 압축 스프링(113)을 외부 끼움함으로써, 전동축(107)에 있어서의 양팔보 지지부(121)의 축 위에 원웨이 클러치(108)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원웨이 클러치(108)는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66)에 있어서의 제2 구동 기어(72) 및 제3 구동 기어(73)의 하방의 영역에 배치하고 있다.
즉, 단일의 전동축(107)에 있어서의, 이 전동축(107)을 지지하는 제1 격벽(118)과 제2 격벽(119) 사이에 위치하는 양팔보 지지부(121)의 축 위에 원웨이 클러치(108)를 장비한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전후로 근접 배치한 전후의 전동축에 걸치도록 원웨이 클러치(108)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전후의 전동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키는 센터링 작업 등을 불필요하게 하면서, 원웨이 클러치(108)의 단속 조작을 장기에 걸쳐 안정된 상태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주 변속 장치(19)보다도 축수가 많은 전후진 전환 장치(20)를 수용하는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67)에 원웨이 클러치(108)를 배치하는 경우 및 제2 구동 기어(72) 및 제3 구동 기어(73)보다도 대직경의 제4 구동 기어(74)의 하방의 위치에 원웨이 클러치(108)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미션 케이스(12)의 소형화 및 PTO 전동계(5)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7〕작업차로서는, 승용 예초기, 승용 전식기, 휠 로더 등이어도 좋다.
〔8〕PTO 전동계(5)로서는, PTO축(25)이 차속(변속 장치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과 연동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엔진 회전수에 연동하는 PTO축(25)과 차속에 연동하는 PTO축(25)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9〕원웨이 클러치(108)로서는, PTO 클러치로서의 작동 상태의 전환을 유압 또는 전동으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10〕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108)로서는, 전동축(107)에,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추는 동시에, 통축(106)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한다. 또한, 통축(106)에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와 전동 기어(105)를 일체 형성하고, 압축 스프링(113)을 전동축(107)에 있어서의 통축(106)의 후방측[통축(106)을 끼운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와의 반대측]의 위치에 외부 끼움한다. 그리고,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PTO 레버(60)에 연계함으로써,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를 압축 스프링(113)에 의해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PTO 레버(60)의 조작에 의한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의 ON 위치와 OFF 위치와의 위치 전환 보유 지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의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에 걸치는 미끄럼 이동 변위에 관계없이, 전동 기어(105)가 전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동 기어(105)를 폭 넓게 형성하고 있다.
〔11〕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108)로서는, 전동축(107)에,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추는 동시에, 통축(106)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한다. 또한, 통축(106)에,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를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추는 동시에, 전동 기어(105)를 일체 형성하고, 압축 스프링(113)을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와 전동 기어(105)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통축(106)에 외부 끼움한다. 그리고, 통축(106)을 PTO 레버(60)에 연계함으로써,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를 압축 스프링(113)에 의해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PTO 레버(60)의 조작에 의한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의 ON 위치와 OFF 위치와의 위치 전환 보유 지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의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에 걸치는 미끄럼 이동 변위에 관계없이, 전동 기어(105)가 전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동 기어(105)를 폭 넓게 형성하고 있다.
〔12〕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108)로서는, 전동축(107)에, 전동 기어(105) 및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111)를 일체 형성한 제1 통축[통축(106)]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외부 끼움하는 동시에, 제2 통축(122)을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춘다. 또한, 제2 통축(122)에,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 맞추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113)을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와 제2 통축(122)의 전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외부 끼움한다. 그리고, 제2 통축(122)을 PTO 레버(60)에 연계함으로써,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를 압축 스프링(113)에 의해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PTO 레버(60)의 조작에 의한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112)의 ON 위치와 OFF 위치와의 위치 전환 보유 지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13〕원웨이 클러치를, 부 변속 장치 수용 공간(68)에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트랙터(「작업차」의 일례)는 차체 프레임(11)의 전반부에 수냉식의 엔진(14) 등을 배치하고, 차체 프레임(11)의 후반부에 탑승 운전부(29)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14)의 좌우로 구동 가능한 조타륜으로서의 전륜(27)을 배치하고, 탑승 운전부(29)의 좌우로 제동 가능한 구동륜으로서의 후륜(24)을 배치하여, 4륜 구동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은, 건식의 단판 클러치로 이루어지는 주 클러치(18)를 경유한 후, 주행 전동계(4)와 PTO 전동계(5)로 분배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 전동계(4)를 경유하는 주행용의 동력을 좌우의 전륜(27) 및 좌우의 후륜(24)에 전달하고 있다. 또한, PTO 전동계(5)를 경유하는 작업용의 동력을 PTO축(25)에 전달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전동계(4)에는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4단으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한 슬라이딩 메쉬식의 주 변속 장치(19), 주 변속 장치(19)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전진용과 후진용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싱크로 메쉬식의 전후진 전환 장치(20), 전후진 전환 장치(20)에 의한 전후진 전환 후의 동력을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한 슬라이딩 메쉬식의 부 변속 장치(21), 좌우의 후륜(24)의 차동을 허용하면서 부 변속 장치(21)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좌우의 후륜(24)에 전달하는 후륜용 차동 장치(6), 부 변속 장치(21)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으로부터 전륜 구동용의 동력을 취출하는 기어 유닛(7) 및 좌우의 전륜(27)의 차동을 허용하면서 기어 유닛(7)으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전륜(27)에 전달하는 전륜용 차동 장치(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클러치(18)는 탑승 운전부(29)의 좌측 발밑 개소에 배치한 클러치 페달(45)의 답입 조작에 연동하여,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전동계(4)에 전달하는 ON 상태로부터, 그 전동을 차단하는 OFF 상태로 전환되고, 클러치 페달(45)의 답입 해제 조작에 연동하여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 프레임(13)은 그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케이스부(15)에 주 클러치(18)를 수용하고 있고, 중간 케이스부(16)에, 전방측으로부터, 주 변속 장치(19), 전후진 전환 장치(20)의 순서대로 배열되도록 수용하고 있고, 후방 케이스부(17)에, 전방측으로부터, 부 변속 장치(21), 후륜용 차동 장치(6)의 순서대로 배열되도록 수용하고 있다. 부 변속 장치(21)는 도 3,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30)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 변속 레버(104)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저속 전동 상태 또는 고속 전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부에는, 그 상부를 개방 가능하게 하는 덮개 부재(9)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덮개 부재(9)의 좌측 전단부의 좌우 중앙 개소에는, 주 변속 장치(19)를 조작하기 위한 주 변속 레버(4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42)(「하우징 프레임용 부재」의 일례)를 상향으로 팽출 형성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스텝(23)은 미션 케이스(12)의 중간 케이스부(16)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겸하는 판금제의 센터 스텝부(43)(「커버」에 상당)와, 이 센터 스텝부(43)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판금제의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로 구성하고 있다. 센터 스텝부(43)는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레버 지지부(42)보다도 후방측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전후 길이를 갖는 상태에서, 그 좌우 폭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우 폭보다도 폭 넓게 되도록 역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센터 스텝부(43)는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 및 양측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좌측 하단부 부분의 내면에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전후 한 쌍의 스페이서(57)를 용접하고 있다. 또한, 그 우측면에는, 횡방향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판금제의 레버 가이드(61)를 용접하고 있다. 좌측의 사이드 스텝부(44)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전후의 스페이서(57)를 이용하여 센터 스텝부(43)와 함께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벽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사이드 스텝부(44)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센터 스텝부(43)와 함께 중간 케이스부(16)의 우측벽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케이스부(16)에 센터 스텝부(43) 및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를 볼트 연결한 상태에서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 및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각각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좌우의 사이드 스텝부(44)가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센터 스텝부(43)에 있어서의 천장판 부분의 우측 후단부 개소에는, 중간 케이스부(16)의 우측 후단부 상부에 구비한 오일 게이지(도시하지 않음)의 삽발을 허용하는 절결부(58)를 형성하고 있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32) 등을 지지하는, 대략 문형의 지지 부재(38)는 그 후방측을 개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덮개 부재(9)보다도 전방측의 전단부 부분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38)는 하우징 프레임(13)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32) 외에, 전후진 전환 레버(39)(「조작 레버」의 일례)를 상방측으로 돌출시켜 지지하고 있다.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좌측벽부(38A)의 내면측에는, 통 형상의 축 지지부(48)를, 대략 지지 부재(38)를 따른 후방 경사 자세로 좌측벽부(38A)와 파워 스티어링 기구의 컨트롤 유닛(37)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장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벽부(38A)의 상단부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39)의 레버 가이드를 겸하는 축 지지 부재(47)를 볼트 연결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전환 레버(39)는 중간 케이스부(16)에 있어서의 좌측벽의 후방측 부위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전후진 전환 장치(20)의 조작축(35)(「입력부」에 상당)에,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를 통하여 연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축(35)은 지지 부재(38)보다도 후방측의 하우징 프레임(13)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고, 연계 기구(46)는 지지 부재(38)에 지지된 전후진 전환 레버(39)에 의한 조작력을, 지지 부재(38)의 후방에 배치된 조작축(35)에 입력하도록, 전후진 전환 레버(39)와 조작축(35)을 연계하고 있다. 연계 기구(46)는 L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제1 연계 로드(49)(「하방 연장부」에 상당), 길이 조절 가능한 턴 버클식에 의해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제2 연계 로드(50)(「후방 연장부」에 상당) 및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작축(35)의 돌출 단부에 고정 장비한 조작 아암(55)(「후방 연장부」에 상당)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계 로드(49)는 그 종축부(56)의 하부측을 지지 부재(38)의 축 지지부(48)에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핀 고정하고 있다. 또한, 종축부(56)의 상부측을, 지지 부재(38) 및 축 지지 부재(47)에 형성한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고, 또한, 축 지지 부재(47)에 베어링 부재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종축부(56)의 상단부 부분에, 그 상단부 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전후진 전환 레버(39)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종축부(56)의 하단부 부분으로부터 지지 부재(38)의 우측벽부(38C)를 향해 연장되는 아암부(51)의 연장 단부에, 제2 연계 로드(50)의 전단부를 피봇 연결하고 있다. 즉, 제1 연계 로드(49)는 지지 부재(38)의 내부에 있어서,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있어서 제2 연계 로드(50)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계 로드(50)는 제1 연계 로드(49)와 직교하는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제1 연계 로드(49)의 아암부(51)와 조작 아암(55)에 걸쳐 가설하고 있다. 그리고, 그 가설 상태에서는, 그 전후 방향의 전방측 부분(52)(「전방측 부위」에 상당)이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벽부(38A, 38C)의 사이의 후방측의 공간부(38B)(「개방부」에 상당)로부터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방에 있어서의 레버 지지부(42)의 우측방을 통하고, 경사 방향의 중간 부분(54)(「경사 부위」, 「후방측 부위」에 상당)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상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를 통하고, 전후 방향의 후방측 부분(53)(「후방측 부위」에 상당)이 중간 케이스부(16)의 좌측면과 센터 스텝부(43) 사이를 통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계 로드(50)는 센터 스텝부(43)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 및 측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연계 로드(50)는 지지 부재(38)에 구멍부 등의 가공을 하지 않고, 지지 부재(38)의 후방측의 공간부(38B)를 통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고, 제1 연계 로드(49)와 제2 연계 로드(50)의 연결부가, 하우징 프레임(13)에 있어서의 상부 우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하우징 프레임(13)에 있어서의 상부 좌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 지지부(42)를 우회하여 제2 연계 로드(50)를 배치하기 쉽다. 또한, 제2 연계 로드(50)는 전후 방향의 전방측 부분(52)과,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방향의 중간 부분(54)과, 전후 방향의 후방측 부분(5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순한 형상의 전후 방향의 부분을 많이 가지면서, 제1 연계 로드(49)로부터 조작축(35)에 이르는 연계 로드의 배색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는, 대략 문형의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벽부(38A, 38C)의 사이에 확보한 공간 및 중간 케이스부(16)와 센터 스텝부(43) 사이에 확보한 공간을 이용하여, 전후진 전환 레버(39)와 전후진 전환 장치(20)의 조작축(35)에 걸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와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공간에는,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의 제2 연계 로드(50)와 함께, 트랙터에 구비한,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의 각종의 검출기(도시하지 않음), 탑승 운전부(29)에 구비한 표시 패널이나 각종 설정기(도시하지 않음) 및 트랙터에 탑재한 제어 유닛(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신호선 등을 묶은 와이어 하니스(59)(「별도 연장 설치 부재」의 일례)를 통과시키고 있다. 즉, 와이어 하니스(59)가 제2 연계 로드(50)와는 별도로, 하우징 프레임(13)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 하니스(59)는 센터 스텝부(43)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케이스부(16)와 센터 스텝부(43) 사이의 공간을, 전후진 전환용의 연계 기구(46)나 와이어 하니스(59) 등을 배색하는 배색 공간에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다.
또한, 탑승 운전부(29)에 있어서의 발밑 개소의 좌우 중앙측에는 PTO 레버(60)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PTO 레버(60)는 PTO 전동계(5)에 있어서의 PTO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센터 스텝부(43)의 레버 가이드(61)와의 걸림 결합에 의한 ON 위치 및 OFF 위치에서의 위치 보유 지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의 일례로서 전후진 전환 레버(39)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주 변속 레버나 다른 부 변속 레버 등의 다른 조작 레버이어도 좋다.
(1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센터 스텝부(43)가 하측 개방된 정면 단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센터 스텝부(43)의 상면의 전체가 연계 기구(46)의 제1 연계 로드(49)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계 기구의 가동 범위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만을 상방으로 팽출시킨 형상으로 형성한 커버이어도 좋다.
(1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 프레임용 부재가,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 프레임용 부재가, 하우징 프레임(13)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하우징 프레임용 부재의 일례로서 주 변속 레버(41)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42)를 일례에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재,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재 등의 다른 하우징 프레임용 부재이어도 좋다.
(1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별도 연장 설치 부재로서 와이어 하니스(59)가 센터 스텝부(43)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의 상부를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일례를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별도 연장 설치 부재의 일례인 와이어 하니스(59)가 센터 스텝부(43)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우징 프레임(13)의 좌우 횡일측의 측부의 측면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별도 연장 설치 부재의 일례로서 와이어 하니스(59)를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 로드, 호스 등의 다른 연장 설치 부재이어도 좋다.
(1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차의 일례로서 트랙터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승용 예초기, 승용 전식기, 휠 로더 등의 다른 작업차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연동 연결용의 제1 연동부를 갖는 제1 연동축과, 연동 연결용의 제2 연동부를 갖는 제2 연동축이 구비되고, 제1 연동축과 상기 제2 연동축은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제1 연동축 및 제2 연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각종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에 적응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PTO 전동 구조는, 동력 취출용의 PTO축에 전동하는 PTO 전동계에, 종동측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 것이면, 트랙터, 승용 예초기, 승용 전식기, 휠 로더 등에 적용할 수 있다.
5 : PTO 전동계
12 : 미션 케이스
13 : 하우징 프레임
14 : 엔진
19 : 변속 장치
20 : 전후진 전환 장치
25 : PTO축
35 : 조작축(「입력부」)
38 : 지지 부재
38B : 공간부(「개방부」)
39 : 전후진 전환 레버(「조작 레버」)
42 : 레버 지지부(「하우징 프레임용 부재」)
43 : 센터 스텝부(「커버」)
46 : 연계 기구
49 : 제1 연계 로드(「하방 연장부」)
50 : 제2 연계 로드(「후방 연장부」)
52 : 전방측 부분(「전방측 부위」)
53 : 후방측 부분(「후방측 부위」)
54 : 중간 부분(「경사 부위」, 「후방측 부위」)
55 : 조작 아암(「후방 연장부」)
59 : 와이어 하니스(「별도 연장 설치 부재」)
65 : 주 클러치 수용 공간
66 : 주 변속 장치 수용 공간(제1 수용 공간)
67 : 전후진 전환 장치 수용 공간(제2 수용 공간)
105 : 전동 기어
106 : 통축
107 : 전동축
108 : 원웨이 클러치
111 :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
112 :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113 : 가압 수단(압축 스프링)
202 : 제1 연동축
202a : 제1 축 지지부측 단부
202b :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
203 : 제2 연동축
203a : 제2 축 지지부측 단부
203b :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
204 : 제3 연동축
206 : 제1 입력 기어(제1 연동부)
207 : 제1 출력 기어(제1 연동부, 제1 연동 기어)
208 : 제3 연동 기어
209 : 제4 연동 기어
210 : 제2 입력 기어(제2 연동부)
211 : 제1 베어링
212 : 제1 축 지지부
213 : 제2 베어링
214 : 제2 축 지지부
215 : 제3 베어링
215a : 대직경 베어링
215b : 소직경 베어링
217 : 제4 베어링
218 : 제3 축 지지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계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진용의 동력과 후진용의 동력으로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 장치와,
    작업용의 동력을 취출하는 PTO축과,
    상기 PTO축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용 전동계와,
    엔진으로부터 PTO축으로의 동력의 전달을 온오프하는 클러치부와,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상기 변속 장치가 수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전후진 전환 장치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클러치부가, 종동측의 부재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겸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가,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그들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한 맞물림 해제 위치로부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을, 다른 쪽의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ON 위치와, 상기 다른 쪽의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맞물림을 저지하는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전동축에 통축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이 상기 전동축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통축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단일의 상기 전동축 상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축에, 작업 동력 취출용의 전동 기어가 상기 통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전동축에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전동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는 동시에, 상기 전동축에 상기 통축이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고,
    상기 통축에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통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는 동시에, 상기 통축에 상기 전동 기어가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압축 스프링이며, 상기 압축 스프링이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전동 기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통축에 외부 끼움 되어,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ON 위치와 상기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5.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계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진용의 동력과 후진용의 동력으로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 장치와,
    작업용의 동력을 취출하는 PTO축과,
    상기 PTO축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용 전동계와,
    엔진으로부터 PTO축으로의 동력의 전달을 온오프하는 클러치부와,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상기 변속 장치가 수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전후진 전환 장치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클러치부가, 종동측의 부재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겸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가,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그들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한 맞물림 해제 위치로부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을, 다른 쪽의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ON 위치와, 상기 다른 쪽의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맞물림을 저지하는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전동축에 통축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이 상기 전동축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통축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단일의 상기 전동축 상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축에, 작업 동력 취출용의 전동 기어가 상기 통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전동축에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전동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는 동시에, 상기 전동축에 상기 통축이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고,
    상기 통축에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전동 기어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압축 스프링이며, 상기 압축 스프링이 상기 전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통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는 반대측의 위치에서 외부 끼움 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ON 위치와 상기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의 상기 맞물림 위치와 상기 맞물림 해제 위치에 걸치는 미끄럼 이동에 관계없이, 상기 전동 기어가 전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6.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계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진용의 동력과 후진용의 동력으로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 장치와,
    작업용의 동력을 취출하는 PTO축과,
    상기 PTO축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용 전동계와,
    엔진으로부터 PTO축으로의 동력의 전달을 온오프하는 클러치부와,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상기 변속 장치가 수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전후진 전환 장치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클러치부가, 종동측의 부재의 선행 회전을 허용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겸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가,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그들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한 맞물림 해제 위치로부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을, 다른 쪽의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ON 위치와, 상기 다른 쪽의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의 맞물림을 저지하는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전동축에 통축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이 상기 전동축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통축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단일의 상기 전동축 상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축에, 작업 동력 취출용의 전동 기어가 상기 통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전동축에, 상기 제2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전동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는 동시에, 상기 전동축에 상기 통축이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고,
    상기 통축에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통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는 동시에, 상기 통축에 상기 전동 기어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압축 스프링이며, 상기 압축 스프링이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전동 기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통축에 외부 끼움 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기 맞물림 위치로 복귀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가 상기 ON 위치와 상기 OFF 위치에 위치 전환 보유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갈고리 클러치 부재의 상기 ON 위치와 상기 OFF 위치에 걸치는 미끄럼 이동에 관계없이, 상기 전동 기어가 전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7.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계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진용의 동력과 후진용의 동력으로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 장치와,
    작업용의 동력을 취출하는 PTO축과,
    상기 PTO축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용 전동계와,
    엔진으로부터 PTO축으로의 동력의 전달을 온오프하는 클러치부와,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상기 변속 장치가 수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전후진 전환 장치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작업용 전동계는, 연동 연결용의 제1 연동부를 갖는 제1 연동축과, 연동 연결용의 제2 연동부를 갖는 제2 연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동축과 상기 제2 연동축은 회전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연동축은, 제1 베어링을 통하여 제1 축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1 축 지지부측 단부와, 그 제1 축 지지부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갖고,
    상기 제2 연동축은, 제2 베어링을 통하여 제2 축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2 축 지지부측 단부와, 그 제2 축 지지부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와 상기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는, 막대 형상의 상기 제1 비축 지지부측 단부를 통 형상의 상기 제2 비축 지지부측 단부의 내부에 삽입시켜 직경 방향으로 그 사이에 제3 베어링을 개재시키고, 서로 지지하는 상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는,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축 및 상기 제2 연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연동축이 구비되고, 그 제3 연동축의 축심 방향의 양단부가 제4 베어링을 통하여 제3 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3 연동축에는, 상기 제1 연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연동부로서의 제1 연동 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제3 연동 기어와, 상기 제2 연동축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연동부로서의 제2 연동 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제4 연동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축 및 상기 제2 연동축이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연동축에 상기 클러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KR1020140148106A 2013-03-28 2014-10-29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KR101503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0590A JP5901562B2 (ja) 2013-03-28 2013-03-28 作業車
JPJP-P-2013-070588 2013-03-28
JPJP-P-2013-070590 2013-03-28
JP2013070588A JP6008778B2 (ja) 2013-03-28 2013-03-28 作業車の動力伝達装置
JPJP-P-2013-070589 2013-03-28
JP2013070589A JP2014193671A (ja) 2013-03-28 2013-03-28 作業車のpto伝動構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598A Division KR101471788B1 (ko) 2013-03-28 2013-09-12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939A KR20140135939A (ko) 2014-11-27
KR101503223B1 true KR101503223B1 (ko) 2015-03-16

Family

ID=515927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598A KR101471788B1 (ko) 2013-03-28 2013-09-12 작업차
KR1020140148106A KR101503223B1 (ko) 2013-03-28 2014-10-29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598A KR101471788B1 (ko) 2013-03-28 2013-09-12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79491B2 (ko)
KR (2) KR101471788B1 (ko)
CN (1) CN1040709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333A1 (de) * 2013-08-28 2015-03-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vorrichtung
JP6346037B2 (ja) * 2014-09-09 2018-06-20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5984493B (zh) * 2015-01-28 2020-10-16 株式会社久保田 乘坐式插秧机或乘坐式直播机
CN108547945B (zh) * 2018-05-22 2019-10-29 安徽农业大学 一种拖拉机双动力输入实现可控多向动力输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978A (ja) * 1993-04-19 1994-10-25 Kubota Corp 作業車の動力取り出し用伝動構造
KR20030014648A (ko) * 2001-08-09 2003-02-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JP2006082645A (ja) * 2004-09-15 2006-03-30 Kubota Corp コンスタントメッシュ式の伝動切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9385B (en) * 1982-11-04 1986-09-24 Kubota Ltd A vehicle drive apparatus
US4648040A (en) * 1984-02-21 1987-03-03 J. I. Case Company Engine monitor/control microprocessor for continuously variable power train
JPH06129U (ja) 1992-06-09 1994-01-11 文惠 浅野 傘の柄に盗難防止用部品を取り付けた傘
DE69942245D1 (de) * 1998-06-05 2010-05-2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ydrostatischer kraftfahrzeugantrieb und dafür vorgesehene druckquelle
JP2003054275A (ja) 2001-08-09 2003-02-26 Kubota Corp 作業車の変速装置
JP4194066B2 (ja) 2001-08-09 2008-12-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変速装置
JP3883403B2 (ja) 2001-08-09 2007-02-2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変速操作装置
JP4902075B2 (ja) * 2001-09-25 2012-03-2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の動力取出し装置
US6986295B2 (en) * 2003-05-21 2006-01-17 Kubota Corporation Transmission for work vehicle having PTO function
JP2004345568A (ja) * 2003-05-23 2004-12-09 Yanmar Co Ltd トラクタ
KR100602527B1 (ko) * 2004-03-22 2006-07-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트랙터의 전동 시스템
US7421917B2 (en) * 2004-06-25 2008-09-09 Kubota Corporation Tractor with a PTO apparatus
US7469534B2 (en) * 2005-09-26 2008-12-30 Kubota Corporation Load control structure for work vehicle
KR101032826B1 (ko) * 2009-03-30 2011-05-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전동 장치
JP5123260B2 (ja) * 2009-06-29 2013-01-2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油圧ポンプ装置
JP5313861B2 (ja) 2009-12-22 2013-10-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5672344B2 (ja) * 2012-09-14 2015-02-1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978A (ja) * 1993-04-19 1994-10-25 Kubota Corp 作業車の動力取り出し用伝動構造
KR20030014648A (ko) * 2001-08-09 2003-02-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JP2006082645A (ja) * 2004-09-15 2006-03-30 Kubota Corp コンスタントメッシュ式の伝動切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70996A (zh) 2014-10-01
US20140290399A1 (en) 2014-10-02
KR20140118673A (ko) 2014-10-08
KR101471788B1 (ko) 2014-12-10
US9079491B2 (en) 2015-07-14
KR20140135939A (ko) 2014-11-27
CN104070996B (zh)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2426B2 (ja) 作業車の伝動構造
KR101503223B1 (ko)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JP6008778B2 (ja) 作業車の動力伝達装置
JP2014073829A5 (ko)
JP2006341738A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6589562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910708B2 (ja) 作業車両
JP3960879B2 (ja) 水田作業機
JP5244154B2 (ja) トラクタ
JP2014193671A (ja) 作業車のpto伝動構造
JP5030155B2 (ja) 作業車両
JP2007139168A (ja) 作業車の伝動構造
JP3947623B2 (ja) 乗用管理機
JP2007139170A (ja) 作業車の操作構造
JP4167329B2 (ja) 乗用管理機
JP4296386B2 (ja) 動力車両
JP2009029169A (ja) 作業車両
JPH1016587A (ja)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4666743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3967167B2 (ja) 変速装置及びトラクタ
JP2005170200A (ja) 乗用田植機のステアリング構造
JP3059422B2 (ja) 耕うん機
JP3155739B2 (ja) 前輪舵取り車両の前輪変速操作装置
JP5345108B2 (ja) トラクタ
JPH05429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