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648A -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648A
KR20030014648A KR1020020046766A KR20020046766A KR20030014648A KR 20030014648 A KR20030014648 A KR 20030014648A KR 1020020046766 A KR1020020046766 A KR 1020020046766A KR 20020046766 A KR20020046766 A KR 20020046766A KR 20030014648 A KR20030014648 A KR 2003001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ift
gear
transmission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510B1 (ko
Inventor
모리모토이사무
요시오카히데타카
사와이메구미
사토겐이치
하나모토기요시
야마우에야스노부
오사와신지
사에구사마코토
야마모토신지
고바야시다이스케
가시모토다츠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27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542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275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34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275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406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3001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56Levers for forward-reverse selection only, e.g. for working machines having a separate lever for switching between forward and reverse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23Disconnectable counter 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 Y10T74/20159Control lever movable through plural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가, 엔진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제 1 축(14)과, 후륜 디퍼렌셜 기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축(18)과, 상기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제 2 축에 전달하는 변속기구(9)와, 상기 변속기구의 각 변속단을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변속레버(33)를 구비하고 있다. 변속기구(9)는, 상기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고속전진으로 변속하여 상기 제 2 축에 전달하는 고속전진 변속단과 상기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저속전진으로 변속하여 상기 제 2 축에 전달하는 저속전진 변속단과 상기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후진저속으로 변속하여 상기 제 2 축에 전달하는 후진 변속단과 중립 변속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변속레버의 변속조작경로는 횡방향으로 뻗은 횡조작경로(P0)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일방측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뻗은 제 1 종조작경로(P1)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종조작경로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뻗은 2 종조작경로(P2)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타방측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뻗은 제 3 종조작경로(P3)로 구성되고, 그 때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1 종조작경로의 단부(H)에 위치함으로써 고속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2 종조작경로의 단부(L)에 위치함으로써 저속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3 종조작경로의 단부(R)에 위치함으로써 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횡조작경로(P0)에 위치함으로써 중립 변속단이 선택된다.

Description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TRANSMISSION APPARATUS FOR WORKING VEHICLE WHICH WORKS WITH MOVING FORWORD AND BACKWORD}
본 발명은,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로서, 입력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고속전진으로 변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고속전진 변속단과 입력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저속전진으로 변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저속전진 변속단과 입력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후진저속으로 변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후진 변속단과 중립 변속단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변속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78574호 공보에, 저속전진 변속단과 후진 변속단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부기어 변속기구가, 1속∼4속의 전체 4단의 변속단으로 만들어 내는 주기어 변속기구에 일체적으로 조합된 변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주기어 변속기구의 변속단은 제 1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전환되고, 부기어 변속기구의 변속단은 제 2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전환된다. 제 2 변속레버의 저속 전진위치, 고속 전진위치, 후진위치의 각각에서, 제 1 변속레버를 적당하게 조작함으로써 1속, 2속, 3속, 및 4속의 전체 4단의 속도를 설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합계로, 전진 8단, 후진 4단의 다단변속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변속장치에서는, 주기어 변속기구와 부기어 변속기구의 각 구성요소가 들어가 조합되어 있으므로, 변속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 조립작업이 곤란하다라는 문제가 있다.
이 제 2 변속레버, 즉 부기어 변속기구의 변속레버의 조작위치에 관하여, 도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뻗은 변속 중립영역(N)의 일방측(기체(機體) 전진측)에 저속 전진위치(L)가 배치되고, 변속 중립영역(N)의 타방측(기체 후진측)에 고속 전진위치(H)와 후진위치(R)가 배치되어 있다. 그 배치의 경대상(鏡對象)이 도 13b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작위치의 배치는, 저속 전진위치(L)와 후진위치(R)를 연결하는 변속조작경로를 직선상태로 함으로써, 작업시에 빈번하게 요구되는 저속전진과 후진의 전환을, 변속레버를 일직선적으로 조작 이동하게 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하다. 그렇지만, 저속 전진위치(L)가 변속 중립영역(N)에 관하여 기체 전진측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속 전진위치(H)가 변속 중립영역(N)에 관하여 저속 전진위치(L)의 반대측(기체 후진측)에 위치하므로, 고속으로 전진할 때, 변속레버를 저속전진할 때와는 역방향(기체 후진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이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속전진 변속단과 후진 변속단과 중립 변속단을 선택적으로 전환조작하는 상술한 변속레버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어 변속기구와 부기어 변속기구로 이루어지는 변속장치의 구조를 간단화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장치를 탑재한 트랙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의한 트랙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한 트랙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모식배면도,
도 4는 전동계통도,
도 5는 부변속장치의 종단측면도,
도 6은 부변속조작부의 종단측면도,
도 7은 부변속조작부의 종단배면도,
도 8은 부변속 조작계통도,
도 9a는 부변속 조작부 주요부의 종단배면도,
도 9b는 부변속 조작부 주요부의 횡단평면도,
도 10은 변속안내판의 평면도,
도 11a, 11b, 11c, 11d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각 변속안내경로의 개략도,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변속안내경로의 개략도, 및
도 13a, 13b는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변속안내경로의 개략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고속전진으로 변속하여 제 2 축에 전달하는 고속전진 변속단과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저속전진으로 변속하여 제 2 축에 전달하는 저속전진 변속단과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후진저속으로 변속하여 제 2 축에 전달하는 후진 변속단과 중립 변속단을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만들어 낼 수 있는 작업차용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변속조작경로는 횡방향으로 뻗은 횡조작경로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일방측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뻗은 상기 제 1 종조작경로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종조작경로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뻗은 제 2 종조작경로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타방측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뻗은 제 3 종조작경로로 구성되고, 그 때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1 종조작경로의 단부에 위치함으로써 고속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2 종조작경로의 단부에 위치함으로써 저속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3 종조작경로의 단부에 위치함으로써 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횡조작경로에 위치함으로써 중립 변속단이 선택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진변속단을 설정하기 위한 2개의 변속레버 위치가 중립 변속단을 위한 위치의 일방측, 예를 들면 기체 전진측에 배치되고, 후진 변속단을 설정하기 위한 위치를 변속 중립위치의 타방측, 예를 들면 기체 후진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전진변속시의 변속레버의 조작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는, 2개의 전진변속단의 조작을 위화감 없이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제 2 종조작경로와 상기 제 3 종조작경로는 상기 횡조작경로를 사이에 두고 직선상태로 형성하면, 저속 전진위치와 후진위치를 연결하는 변속조작경로가 직선상태로 되므로, 작업시에 빈번하게 요구되는 저속전진과 후진과의 전환조작이 순조롭게 행해진다.
본 발명의 더욱 적합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변속레버가 운전좌석의 좌우 한쪽에 배치되면, 운전자의 팔의 전후 거동이 변속레버의 전진 후진의 전환조작과 일치하게 되고, 더욱이, 저속전진과 후진의 전환조작이 부드럽게 된다.
또, 상기 고속전진단을 만들어 내는 변속레버의 위치가 저속전진단을 만들어 내는 변속레버의 위치보다도 기체 중심측에 배치되는 것도 이점이 있는 구성으로서 제안된다. 이 구성에서는, 작업중의 사용빈도가 낮은 고속전진단을 위한 위치를 조작에 제약받기 쉬운 기체 중심측으로 배치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저속전진단을 위한 위치를 조작하기 쉬운 기체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빈도가 높은 저속전진과 후진의 전환조작이 부드럽게 된다.
더욱이, 상기 변속기구와 상기 후륜 디퍼렌셜(differential)기구가 공통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예를 들면 1속∼4속의 전체 4단의 변속단으로 만들어 내는 주기어 변속기구를 클러치 하우징 측에 수납시키는 구성을 채용한다면, 클러치 하우징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고, 전륜과 후륜간의 차체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변속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의 일예인 트랙터는,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향용의 좌우 한 쌍의 구동전륜(1)과 좌우 한 쌍의 구동후륜(2)을 구비한 차체의 전방부에 엔진(3)을 탑재하고, 차체의 후부에 운전좌석(4)을 탑재함과 동시에 보호프레임(5)을 설치하고 있다.
엔진(3)으로부터 구동후륜(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후륜전동계의 핵심구성요소로서의 주클러치(7)와 주변속장치(8)는 트랜스미션 케이스(100)에, 부변속장치(9)는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격납되어 있다. 도 4로부터 명백하듯이, 주변속장치(8)는 주클러치(7)로부터의 회전동력을 1속, 2속, 3속, 및 4속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으로 변속하는 기어식 변속기구이다. 주변속장치(8)를 변속조작하는 변속레버(50)는 칼럼 시프트 타입이고, 핸들 포스트 주변에 설치되어 있다. 부변속장치(9)는, 주변속장치(8)로부터의 회전동력를 변속하는 저속변속단과 고속변속단, 및 변속하는 변속단과 주변속장치(8)로부터의 회전동력를 역전하는 후진 변속단을 구비하고, 그 출력동력은 후륜 디퍼렌셜기구(6)에 전달된다. 제 2 축의 후단부에는 디퍼렌셜 입력기어(6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후륜 디퍼렌셜 기구(6)를 내장하는 디퍼렌셜 케이스(10)의 후부에는, 동력빼내기 축(11)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주클러치(7)로부터 이 동력빼내기 축(11)으로의 동력빼내기 전동계에는, 동력빼내기 클러치(12)가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변속장치(9)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축으로서의 제 1 축(14)과 출력축으로서의 제 2 축(18) 사이의 동력 전달상태를 저속전진상태(저속전진 변속단)와 고속전진상태(고속전진 변속단)와 후진상태(후진 변속단)와 변속 중립상태(중립 변속단)의 4상태로 전환자유로운 기어식 변속기구(M)이고, 후륜 디퍼렌셜 기구(6)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변속기구(M)는, (트랙터 차체에 관하여)전후방을 향하는 자세의 제 1 축(14)으로부터 상기 후륜 디퍼렌셜 기구(6)로의 전후방을 향하는 자세의 제 2 축(18)으로 저속전진 전동하는 저속전진 전동상태(저속전진 변속단)와 전동하지 않는 중립상태(중립 변속단)와 후진전동하는 후진 전동상태(후진 변속단)으로 전환 자유로운 콘스탄트 메시식의 제 1 기어 변속부(M1)와, 상기 제 1 축(14)으로부터 제 2 축(18)으로 고속전진 전동하는 고속전진 전동상태(고속전진 변속단)와 전동하지 않는 중립상태(중립 변속단)로 전환자유로운 기어 맞물림식의 제 2 기어 변속부(M2)를 축심방향으로 근접 배치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어 변속부(M1)는 싱크로 메시식으로 구성해도 좋다.
상기 제 1 기어 변속부(M1)는, 제 1 축(14)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저속전진 구동기어(15)와 후진 구동기어(16)와, 저속전진 구동기어(15)와 후진 구동기어(16) 사이의 제 1 축(14)에 장착된 클러치 유닛과, 상기 제 2 축(18)에 상기 저속전진 구동기어(15)에 항상 맞물림 결합하는 저속전진 종동(從動)기어(19)와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아이들 기어(21)를 통해서 상기 후진 구동기어(16)에 항상 맞물림 결합하는 후진 수동기어(22)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동력빼내기 축(11)에 자유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수동기어유닛(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속전진 구동기어(15)와 후진 구동기어(16)의 클러치 유닛 측의 측면에는 각각 도그티스(dog teeth)(25와 26)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유닛은, 제 1 축(14)에 자유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클러치 허브(24)와, 이 클러치 허브(24)의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클러치 슬리브(27)를 갖추고 있고, 제 1 클러치 슬리브(27)가 왼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 1 클러치 슬리브(27)는도그티스(25)와 걸어맞추어져 저속전진 변속단을 만들어 내고, 제 1클러치 슬리브(27)가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 1 클러치 슬리브(27)는 도그티스(26)와 걸어맞추어져서 후진 변속단을 만들어 낸다. 제 1 클러치 슬리브(27)가 어느 도그티스(25, 26)와도 모두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중립 변속단을 만들어 낸다.
상기 제 2 기어 변속부(M2)는, 클러치 유닛과는 반대측의 후진 구동기어(16)의 측방에서 제 1 축(14)에 자유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고속전진 구동기어(17)와, 상기 제 2 축(18)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자유회전 불능으로 장착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속전진 수동기어(28)에는 슬리브부(28a)가 병설되어 있고, 이 슬리브부(28a)를 사용하여 이 고속전진 수동기어(28)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게 될 수 있고, 제 1 위치에서 고속전진 구동기어(17)와 맞물림 결합하고, 제 2위치에서 고속전진 구동기어(17)와의 맞물림이 빠진다. 즉, 고속전진 수동기어(28)는 제 2 슬리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클러치 슬리브(27) 및 제 2 클러치 슬리브(28)를 함께 중립위치에 시프팅함으로써, 저속전진 전동·고속전진 전동·후진전동의 어느 쪽도 행하지 않는 변속 중립상태(중립 변속단)를 나타내고, 제 2 클러치 슬리브(28)를 중립위치에 시프팅한 상태에서 제 1 클러치 슬리브(27)를 저속 전진위치에 시프팅함으로써, 제 1 축(14)의 동력을 제 2 축(18)에 저속전진 전달하는 저속전진상태(저속전진 변속단)를 나타내고, 제 1 클러치 슬리브(27)를 중립위치에 시프팅한 상태에서 제 2 클러치 슬리브(28)를 고속 전진위치에 시프팅함으로써, 제 1 축(14)의 동력을 제 2축(18)에 고속전진 전달하는 고속전진상태(고속전진 변속단)를 나타내고, 제 2 클러치 슬리브(28)를 중립위치에 시프팅한 상태에서 제 2 클러치 슬리브(27)를 후진위치에 시프팅함으로써, 제 1 축(14)의 동력을 제 2 축(18)에 후진전달하는 후진상태(후진 변속단)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중의 13은, 상기 제 2 축(18)으로부터 기어열을 통해서 빼낸 동력을 상기 구동전륜(1)으로의 전동축(20)에 전달하는 클러치이다.
도 6∼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향 축심둘레에 요동함으로써 상기 제 1 클러치 슬리브(27)를 제 1 시프터 유닛(29)을 통해서 시프트 이동시키는 제 1 시프트 조작축(30) 및, 좌우향 축심둘레로 요동함으로써 상기 제 2 클러치 슬리브(28)를 제 2 시프터 유닛(31)을 통해서 시프트 이동시키는 제 2 시프트 조작축(32) 및, 상기 부변속장치(9)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운전좌석(4)의 좌우 한쪽에 배치시킨 변속레버(33)(도 2, 도3 참조)의 피벗지지축(34)은, 상기 후륜 디퍼렌셜 기구(6)의 제 2축 둘레를 따라서 배치하는 상태로 디퍼렌셜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변속레버(33)는, 도 9a와 도 9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피벗지지축(34)에 피벗지지축 축심둘레에서 전후요동 자유롭게 지지시킨 요동 브래킷(35)에 좌우요동 자유롭게 부착되어서 전후·좌우에 십자요동조작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변속장치(9)를 조작하는 변속레버(33)의 조작위치로서, 모두 전진위치의 일예인 저속 전진위치(L)와 고속 전진위치(H) 및, 변속 중립위치(영역)(N)및, 후진위치(R)가 정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속 전진위치(L)와 고속 전진위치(H)는, 변속 중립위치(N)의 트랙터 전진측에 서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후진위치(R)는, 변속 중립위치(N)의 트랙터 후진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변속 중립위치(N)의 후방에는 후진위치(R)만이 배치되어 있다.
상세히 기술하면, 상기 각 조작위치 사이에서 변속레버(33)를 안내하는 변속안내판(36)에 설치된 가이드 홈에 의해 규정되는 변속조작경로는, 횡방향(여기서는 트랙터 횡단방향)으로 뻗은 횡조작경로(P0)와, 상기 횡조작경로(P0)의 일방측(여기서는 트랙터 전진측)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뻗은 제 1 종조작경로(P1)와, 상기 횡조작경로(P0)의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종조작경로(P1)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뻗은 제 2 종조작경로(P2)와, 상기 횡조작경로(P0)의 타방향측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뻗은 제 3 종조작경로(P3)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종조작경로(P2)와 제 3 종조작경로(P3)는, 상기 횡조작경로(P0)를 사이에 두고 직선상태로 뻗어 있고, 이 조작경로를 셔틀(전후진 작업)조작경로라고 부른다.
변속레버(33)가 제 1 종조작경로(P1)의 단부에 규정되어 있는 고속 전진위치(H)로 조작되므로써 고속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변속레버(33)가 제 2 종조작경로의 단부에 규정되어 있는 저속 전진위치(L)에 조작되므로써 저속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변속레버(33)가 제 3 종조작경로(P3)의 단부에 규정되어 있는 후진위치(R)에 조작되므로써 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횡조작경로(P0)에 규정되어 있는 변속 중립위치(N)에 조작되므로써 중립 변속단이 선택된다.
또한, 고속 전진위치(H)는 저속 전진위치(L)보다도 기체 중심측에 배치되어있다. 또, 변속 중립위치(N)로부터 고속 전진위치(H)로의 조작 스트로크(SH)는, 변속 중립위치(N)로부터 저속 전진위치(L)로의 조작 스트로크(SL)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변속레버(33)를 그 가이드 홈에 끼워통하게 하여 상기 변속조작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변속안내판(36)은, 철판제의 기판(37)과 이것의 상면에 적층시킨 수지제의 표면판(38)으로 이루어지고, 표면판(38)이 변속레버(33)를 미끄럼이동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후륜(2)에 대한 후륜 펜더(39)를 지지하는 스테이(40)중 후륜 펜더(39)의 부착측면(39a)과는 상이한 면, 즉, 상부 절곡편(40a)의 상면(40b)에 상기 운전좌석(4)측에 돌출하는 캔틸레버상태로 볼트·너트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변속레버(33)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틀조작 경로부분측에 스프링(41)으로 요동가세되어 있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셔틀조작 경로부분의 변속 중립위치(N)에는, 변속레버(33)를 좌우요동 시켜서 약간 들어가서 셔틀조작 경로부분에서의 변속 중립위치(N)를 감각적으로 운전자에게 알게 하는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속레버(33)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부변속장치(9)를 전환하는 링크기구는, 도 8, 도 9a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10)에 후륜 디퍼렌셜 기구(6)의 제 2축 둘레를 따르는 상태로 외부장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피벗지지축(34)에, 그 피벗지지축 축심 둘레에서 전후로 요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시프트 조작축(30)의 외단에 일체로 요동하는 상태로 장착된 제 1조작 암(43)을 길이 조정 자유롭게 제 1 로드(44)를 통해서 요동하게하는 제 1 레버(45)와, 피벗지지축 축심 둘레에서 전후로 요동함으로써 상기 제 2 시프트 조작축(32)의 외단에 일체로 요동하는 상태로 장착된 제 2 조작 암(46)을 길이조정 자유롭게 제 2 로드(47)를 통해서 요동시키는 제 2 레버(48)를 장착하고, 상기 변속레버(33)에, 제 1 레버(45)가 변속 중립자세에 있을 때 상기 변속조작경로의 변속 중립위치(N)중 셔틀조작 경로부분의 변속 중립위치(N)에 변속레버(33)가 좌우요동으로 위치함으로써 제 1 레버(45)와 일체로 요동하는 제 1 암(45a)에 전후로 일체로 요동하는 상태로 걸어맞추는 한편, 제 2 레버(48)가 변속 중립자세에 있을 때 상기 변속조작경로의 변속 중립위치(N)중 제 1 종조작경로(P1)의 변속 중립위치에 변속레버(33)가 좌우요동으로 위치함으로써 제 2 레버(48)와 일체로 요동하는 제 2 암(48a)에 전후로 일체로 요동하는 상태로 걸어맞추는 변속선택도구(49)를 고착하고, 상호 견제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호 견제수단은, 상기 제 1 조작 암(43)이 변속 중립자세 이외의 자세, 즉, 저속전진자세 및 후진자세로 요동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조작 암(46)의 변속 중립자세로부터 고속 전진자세로의 요동을 저지하여 제 2 조작 암(46)을 변속 중립자세로 유지하는 한편, 상기 제 2 조작 암(46)이 고속전진 자세로 요동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조작 암(43)의 변속 중립자세로부터 저속전진자세 및 후진자세로의 요동을 저지하여 제 1 조작 암(43)을 변속 중립자세로 유지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조작 암(46)과 일체로 요동하는 조작 암(50)에 걸어맞추기 핀(51)을 연설하고, 상기 제 1 조작 암(43)에, 상기 제 1 시프트 조작 축(30) 둘레를 따르는 자세의 제 1 장공(52)과 제 1 조작 암(43)이 변속 중립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시프트 조작축(32) 둘레를 따르는 자세의 제 2 장공(53)을 서로 연통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걸어맞춤 핀(51)이 제 1 장공(52)에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제 1 장공(52)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제 2 조작 암(46)을 변속 중립자세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 1 조작 암(43)의 요동을 허용하는 한편, 걸어맞춤 핀(51)이 제 2 장공(53)에 걸어맞춰지는 상태에서 이 제 2 장공(53)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제 1 조작 암(43)을 변속 중립자세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 2 조작 암(46)의 요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별도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변속조작경로로서, 셔틀조작 경로부분과 그것보다도 기체 중심측에 위치하는 제 1 종조작경로(P1)를 갖춘 것을 도시하였는 데, 변속 조작경로로서는,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것이라도 좋다. 즉, 도 11a에 도시하는 변속조작경로는, 셔틀조작 경로부분(제 2 종조작경로(P2)와 제 3 종조작경로(P3))을 제 1 종조작경로(P1)보다도 기체 중심측에 배치한 것이다.
도 11b에 도시하는 변속조작경로에서는, 제 1 종조작경로(P1)와 도 11a에 도시한 것에서, 셔틀조작 경로부분의 전단을 고속 전진위치(H)로 하고, 제 1 종조작경로(P1)와 제 3 종조작경로(P3)가 직선상태로 되도록 레이아웃 되어 있다.
도 11c에 도시하는 변속조작경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셔틀조작 경로부분으로서, 변속 중립위치(N)에서 크랭크 부(54)를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크랭크 부(54)가 오목부(42)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므로, 오목부(42)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1d에 도시하는 변속조작경로는, 변속 중립위치(N)로부터 저속 전진위치(L)로의 제 2 종조작경로(P2)와, 변속 중립위치(N)로부터 고속 전진위치(H)로의 제 1 종조작경로(P1)와, 변속 중립위치(N)로부터 후진위치(R)로의 종조작경로(P3)를 좌우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배치 형성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저속 전진위치(L)와 고속 전진위치(H)와 후진위치(R)와 변속 중립위치(N)를 구비한 변속조작장치를 도시했는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위치에 추가하여, 중속 전진위치(M)를 갖춘 변속조작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변속레버(33)를 운전좌석(4)의 좌우 한쪽 위치에 설치했는데, 변속레버(33)를 핸들 포스트에 설치하는 칼럼시프트 형식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2개의 전진변속단의 조작을 위화감 없이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시에 빈번하게 요구되는 저속전진과 후진과의 전환조작이 순조롭게 행해지고, 운전자의 팔의 전후 거동이 변속레버의 전진 후진의 전환조작과 일치하게 되고, 더욱이, 저속전진과 후진의 전환조작이 부드럽게 되며, 그리고 사용빈도가 높은 저속전진과 후진의 전환조작이 부드럽게 된다.

Claims (9)

  1. 엔진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제 1 축(14);
    후륜 디퍼렌셜 기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축(18);
    상기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제 2 축에 전달하는 변속기구(9)로서, 상기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고속전진으로 변속하여 상기 제 2 축에 전달하는 고속전진 변속단과 상기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저속전진으로 변속하여 상기 제 2 축에 전달하는 저속전진 변속단과 상기 제 1 축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후진저속으로 변속하여 상기 제 2 축에 전달하는 후진 변속단과 중립 변속단을 구비하고 있는 변속기구; 및
    상기 변속기구의 각 변속단을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변속레버(33);
    로 구성되는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변속조작경로는 횡방향으로 뻗은 횡조작경로(P0)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일방측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뻗은 제 1 종조작경로(P1)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종조작경로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뻗은 제 2 종조작경로(P2)와, 상기 횡조작경로의 타방측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뻗은 제 3 종조작경로(P3)로 구성되고, 그 때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1 종조작경로의 단부(H)에 위치함으로써 고속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2 종조작경로의 단부(L)에 위치함으로써 저속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제 3 종조작경로의 단부(R)에 위치함으로써 후진 변속단이 선택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상기 횡조작경로(P0)에 위치함으로써 중립 변속단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조작경로는 작업차의 전후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종조작경로와 상기 제 3 종조작경로는 상기 횡조작경로를 사이에 두고 직선상태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구와 상기 후륜 디퍼렌셜 기구가 공통의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변속조작변위를 상기 변속기구에 전달하는 링크기구가 상기 하우징에 외부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구는, 상기 저속전진 변속단과 상기 후진 변속단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제 1 기어 변속부(M1)와, 상기 고속전진 변속단의 선택과 비선택을 전환하는 제 2 기어 변속부(M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 변속부는, 상기 제 1 축(14)에 회전불능으로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 허브(24)와 이 클러치 허브의 외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클러치 슬리브(27) 및 상기 제 1 축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 슬리브와 연결가능한 도그티스를 갖는 제 1·제 2 구동기어(15, 16)로 이루어지는 클러치 유닛과, 상기 제 2 축(18)에 회전불능으로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구동기어(15)와 맞물리는 제 1 종동기어(19)와, 상기 제 2 축(18)에 회전불능으로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기어(16)와 역전용 아이들러 기어(21)를 통해서 맞물리는 제 2 종동기어(22)로 구성되고, 또한,
    제 2 기어 변속부를 구성하는 제 3 구동기어(17)와 제 3 종동기어(28)는 상기 제 1 축(14)과 상기 제 2 축(18)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에는 후륜 디퍼렌셜 기구의 입력기어(6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제 1 축 사이에 주변속기구(8)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KR10-2002-0046766A 2001-08-09 2002-08-08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KR100467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2760A JP2003054275A (ja) 2001-08-09 2001-08-09 作業車の変速装置
JPJP-P-2001-00242759 2001-08-09
JPJP-P-2001-00242758 2001-08-09
JPJP-P-2001-00242760 2001-08-09
JP2001242758A JP3883403B2 (ja) 2001-08-09 2001-08-09 作業車の変速操作装置
JP2001242759A JP4194066B2 (ja) 2001-08-09 2001-08-09 作業車の変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648A true KR20030014648A (ko) 2003-02-19
KR100467510B1 KR100467510B1 (ko) 2005-01-24

Family

ID=2734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766A KR100467510B1 (ko) 2001-08-09 2002-08-08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89569B2 (ko)
KR (1) KR100467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69A1 (ko) * 2012-08-23 2014-02-27 대동공업 주식회사 농 작업차의 셔틀 변속장치
KR101471788B1 (ko) * 2013-03-28 2014-12-1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6295B2 (en) * 2003-05-21 2006-01-17 Kubota Corporation Transmission for work vehicle having PTO function
JP4194094B2 (ja) 2003-12-26 2008-12-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運転部構造
DE102007003340A1 (de) * 2007-01-17 2008-07-24 Deere & Company, Moline Getriebe
JP5881385B2 (ja) 2011-11-24 2016-03-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防塵構造
KR20140008648A (ko) * 2012-07-11 201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자식 변속 장치
US9567729B2 (en) * 2014-09-30 2017-02-14 Kubota Corporation Working machine
CN106015546B (zh) * 2016-07-19 2019-05-21 隆鑫通用动力股份有限公司 限位式换挡机构及其变速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4846A (en) * 1971-02-23 1973-02-06 Sundstrand Corp Hydrostatic-differential transmission
US3993175A (en) * 1974-10-23 1976-11-23 Fiat-Allis Construction Machinery, Inc. Control lever assembly for power shift transmission and modulating clutch
US4060157A (en) * 1976-08-20 1977-11-29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Control mechanism
US4051915A (en) * 1976-11-05 1977-10-04 Deere & Company Neutral start and park brake safety interlock circuitry for a tractor
JPS53110915U (ko) * 1977-02-15 1978-09-05
FR2420062A1 (fr) * 1978-03-16 1979-10-12 Renault Transmission a variateur
US4216680A (en) * 1978-05-19 1980-08-12 Kubota, Ltd. Travel speed change apparatus for a farm vehicle
DE3044311C2 (de) * 1980-11-25 1984-06-07 Deere & Co., Moline, Ill., US, Niederlassung Deere & Co. European Office, 6800 Mannheim Schaltvorrichtung für den Antrieb eines Nutzfahrzeuges
EP0073280B1 (en) * 1981-08-26 1986-04-23 Deere & Company Gear shift arrangement for a vehicle
JPS5952265U (ja) * 1982-09-29 1984-04-06 株式会社クボタ 車輛のpto変速装置
GB2129385B (en) * 1982-11-04 1986-09-24 Kubota Ltd A vehicle drive apparatus
US4648040A (en) * 1984-02-21 1987-03-03 J. I. Case Company Engine monitor/control microprocessor for continuously variable power train
US4698048A (en) * 1985-04-16 1987-10-06 Rundle Kenneth P Variable speed tractor transmission and single lever control
US4856355A (en) * 1987-04-17 1989-08-1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for a tractor
EP0547598B1 (en) * 1991-12-19 1996-07-24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ally controlled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US5901606A (en) * 1996-06-18 1999-05-11 Kubota Corporation Transmission for a tractor
JP3993669B2 (ja) * 1997-09-01 2007-10-17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両の変速操作機構
JP2001287565A (ja) * 2000-04-10 2001-10-16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69A1 (ko) * 2012-08-23 2014-02-27 대동공업 주식회사 농 작업차의 셔틀 변속장치
KR101471788B1 (ko) * 2013-03-28 2014-12-1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KR101503223B1 (ko) * 2013-03-28 2015-03-1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US9079491B2 (en) 2013-03-28 2015-07-14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9569B2 (en) 2005-05-10
US20030033898A1 (en) 2003-02-20
KR100467510B1 (ko) 200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510B1 (ko)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KR0148165B1 (ko) 작업차의 동력전달장치
JPH0533174B2 (ko)
US5038633A (en) Transmission for mini shovel car
JP4537967B2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JP2022060945A (ja) 多目的車両
JP3734513B2 (ja) 作業車の変速装置
CN219673263U (zh) 全地形车
JP2007237788A5 (ko)
JP3883403B2 (ja) 作業車の変速操作装置
JP4194066B2 (ja) 作業車の変速装置
JP3145865B2 (ja) 電気自動車用変速装置
JP2003002228A (ja) トラクタ
JP2660324B2 (ja) 耕うん機
GB2088974A (en) Traction transmission
JP3565612B2 (ja) 歩行型作業機のミッション構造
JPH08156625A (ja)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装置
JP2005238864A (ja) 走行車両の差動機構
JPH0121233Y2 (ko)
JP2024011917A (ja) 変速装置
JP2002205567A (ja) 変速操作装置
JPS62234736A (ja) 耕うん機における変速操作装置
JPS61175347A (ja) トラクタの超低速変速装置
JPH07315071A (ja) トランスファの構造
JP3411432B2 (ja) 作業車の操縦操作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