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827B1 -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827B1
KR101484827B1 KR1020127006199A KR20127006199A KR101484827B1 KR 101484827 B1 KR101484827 B1 KR 101484827B1 KR 1020127006199 A KR1020127006199 A KR 1020127006199A KR 20127006199 A KR20127006199 A KR 20127006199A KR 101484827 B1 KR101484827 B1 KR 10148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ing chamber
ink
post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254A (ko
Inventor
요시아키 시미즈
다쿠 이시자와
유키 다케다
슈이치 고가네히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603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29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60358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29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7275A external-priority patent/JP56913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7272A external-priority patent/JP56913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7274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4279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removing air bubble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액체 수용실과 연통하고, 액체 수용실의 액체의 소비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액체 수용실 내에 도입하기 위한 공기 수용실과,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공기 수용실에 도입하기 위한 대기 개방구와,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로서,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할 때의 액체 수용 용기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대기 개방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시스템{LIQUID CONTAINER, AND LIQUID JET SYSTEM}
본 발명은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체 분사 장치의 일례인 프린터는, 기록 헤드(간단히, 「헤드」라고도 한다)로부터 잉크를 기록 대상물(예컨대, 인쇄 용지)에 토출하여 인쇄를 행한다.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기술로서, 기록 헤드상에 배치된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함과 아울러, 액체 분사 장치의 바깥쪽에 배치된 잉크 탱크로부터 튜브를 통해 잉크 카트리지나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3). 잉크 탱크는 잉크 카트리지에 비하여 대용량의 잉크를 수용 가능하다. 또한, 잉크 탱크는 잉크 주입구(「액체 주입구」 또는 「잉크 충전구」라고도 한다)를 구비하여, 이용자는 용이하게 잉크 주입구로부터 잉크를 주입(보충)할 수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잉크 탱크(잉크 저장 탱크)는 잉크 배출구를 구비하고, 잉크 배출구 및 플렉서블(flexible) 파이프를 통해 인자 헤드에 잉크가 공급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21948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128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199693호 공보
잉크 탱크는, 잉크 주입구와는 별도로, 잉크의 소비에 따라 내부에 공기(대기)를 도입하기 위한 대기 개방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용자는 잉크 주입구로부터 잉크를 주입하기 때문에, 잉크 주입구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잉크 주입구와 대기 개방구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잉크 탱크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잉크가 수용된 경우에, 잉크 주입구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고 있지 않아도, 대기 개방구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는 사태가 생긴다. 또한, 이용자는 대기 개방구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고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대기 개방구가 기액 분리 기능을 갖는 시트 부재로 덮여 있는 경우, 대기 개방구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면 시트 부재가 잉크에 젖는다. 시트 부재가 잉크에 일단 젖으면, 시트 부재의 본래의 기능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시트 부재가 잉크에 젖으면, 시트 부재를 통해 외부에 잉크가 새어나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컨대, 시트 부재가 잉크에 젖으면, 시트 부재의 환기성이 저하되어, 대기 개방구로부터 잉크 탱크 내부에 공기가 도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이러한 문제는, 잉크 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분사 장치가 분사하는 액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액체 주입구와 대기 개방구가 따로따로 마련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에 공통된 문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 주입구와 대기 개방구가 따로따로 마련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가 액체 수용 용기 내부에 주입되는 경우에 대기 개방구로부터 액체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잉크 탱크의 잉크 잔량이 적어져, 잉크 주입구로부터 잉크를 잉크 탱크에 주입하는 경우, 잉크 배출구의 잉크 탱크 내부로의 연통 위치에 따라서는, 잉크 주입시에 잉크 배출구 및 플렉서블 파이프를 통해 헤드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헤드에 공기가 섞이면, 인쇄 실패에 의한 미싱 도트(missing dot)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잉크 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액체 주입구로부터 내부에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공통된 문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가 내부에 주입되는 경우에, 액체 수용 용기로부터 액체 분사 장치측에 공기가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액체 주입구로부터 잉크 탱크 내부에 잉크를 보충하고, 잉크 탱크로부터 잉크를 프린터에 공급하는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잉크 탱크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잉크 탱크 내부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대기 개방 유로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 대기 개방 유로는, 대기 개방구를 포함한다. 잉크 탱크 내부에 잉크를 충전하는 경우, 대기 개방 유로로부터 외부에 잉크가 흘러넘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잉크 탱크는, 프린터의 기록 헤드에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잉크 탱크 내부의 잉크로서 대기와 접하는 잉크의 액면(대기 접촉 액면)을, 기록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 범위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위해, 대기 접촉 액면의 높이는 기록 헤드가 위치하는 높이 이하가 되도록 유지된다. 그렇지만, 잉크 탱크에 잉크를 충전하여, 잉크 탱크로부터 기록 헤드에 잉크 공급이 재개된 경우, 대기 접촉 액면이 소정의 높이 범위에 유지되지 않아, 잉크 탱크로부터 기록 헤드에 안정적으로 잉크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기록 헤드보다 대기 접촉 액면이 위쪽에 위치하고, 잉크 탱크로부터의 압력(액압)에 의해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가 새어나가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잉크 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분사 장치가 분사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 용기로서,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 용기에 공통된 문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 주입구를 구비한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문제의 발생을 저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잉크 주입구로부터 잉크 탱크 내부에 잉크를 적하하여 주입(보충)하는 경우, 주입된 잉크의 표면(수면)에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거품이 발생한 상태에서 잉크 주입을 계속하면, 거품이 잉크 주입구로부터 흘러넘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잉크 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분사 장치가 분사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 용기로서,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 용기에 공통된 문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 주입구를 구비한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액체를 액체 수용 용기에 주입하는 경우에, 발생한 거품이 액체 주입구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잉크 탱크는, 잉크 탱크로부터 프린터에 잉크를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와, 액체 주입구로부터 내부로 잉크를 주입할 때의 주입 자세가 다른 자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사용 자세와 주입 자세가 다른 경우, 이용자는 각 자세에 있어서 잉크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양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잉크 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분사 장치가 분사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 용기로서,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 용기에 공통된 문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 주입구를 구비한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양을 이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 5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1]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연통하고,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소비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도입하기 위한 공기 수용실과,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공기 수용실에 도입하기 위한 대기 개방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는 대기 개방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가 액체 수용실에 주입되는 경우에, 대기 개방구로부터 액체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주입시에 있어서, 이용자는 액체 주입구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가 흘러넘칠 가능성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2] 적용예 1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대기 개방구와 외부를 구획하기 위한 시트 부재로서, 기체를 투과시킴과 아울러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시트 부재를 더 구비하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2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시트 부재에 의해 액체 수용실에 수용되는 액체가 대기 개방구로부터 외부에 흘러넘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주입구는 대기 개방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액체 주입시에 대기 개방구로부터 액체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 주입시에 시트 부재가 액체에 젖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 부재의 기능을 손상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3] 적용예 1 또는 적용예 2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한쪽 단부가 상기 공기 수용실 내에서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한쪽 단부인 상기 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3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주입시에 액체가 공기 수용실에 도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 주입시에 대기 개방구로부터 액체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4]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 주입구를 막는 탄성을 갖는 마개 부재로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탈착 가능한 마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단 개구까지 상기 액체가 도달할 정도로 상기 액체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주입된 경우에, 용적 V1의 공기를 저장 가능한 공기 저장부를 갇고,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부분 중, 상기 액체 주입구가 위치하는 높이 이상의 위치를 차지하는 주입구 인접부의 용적을 V2로 한 경우, V1≥V2를 만족하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4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예컨대, 액체 주입구로부터 흘러넘칠 정도의 액체가 액체 수용 용기에 주입된 경우에도, 액체 수용실은 소정량의 용적(용적 V1)의 공기를 공기 저장부에 의해 저장할 수 있다. 이 용적 V1은, 주입구 인접부의 용적 V2 이상인 것으로부터, 액체 주입 후에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 자세로 한 경우에, 마개 부재가 액체 수용실의 액체에 노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개 부재의 일부가 액체 중에 불순물로서 섞이는 등의 액체의 품질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5] 적용예 4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공기 저장부는, 상기 액체 수용실을 형성하는 벽면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형상으로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연직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5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연직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하는 오목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공기 저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적용예 6]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상기 액체를 공급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구는, 상기 공기 수용실의 부분 중 저면보다 상면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6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주입시에, 액체가 공기 수용실의 일부에까지 주입된 경우에도,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 자세로 한 경우에 대기 개방구로부터 액체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7]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연통하고,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서 한쪽 단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과 연통하고, 다른 쪽 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있는 액체 도출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외부에 유통시키기 위한 액체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보다 상기 액체 도출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액체 도출부의 상기 한쪽 단부와 연통하는 액체 유지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소정량 이상의 상기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상기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킨 경우에, 상기 액체 도출부 내의 상기 액체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의 상기 액체가 공기를 사이에 두지 않고 연속하도록, 상기 액체 수용실 내의 상기 액체를 유지하는 액체 유지부를 갖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7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부 내의 액체와 액체 수용실 내의 액체를 공기를 사이에 두지 않고 연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를 액체 수용 용기에 주입하는 경우에, 액체 도출부를 통해 공기가 액체 분사 장치측에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8] 적용예 7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 유지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저면부에 접속되고, 상기 소정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구획 벽부로서, 상기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킬 때에, 상기 한쪽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액체의 흐름을 막는 구획 벽부를 갖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8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구획 벽부에 의해 액체의 흐름을 막는 것에 의해, 액체 유지부 내의 액체와 액체 도출부 내의 액체를 공기를 사이에 두지 않고 연속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를 액체 수용 용기에 주입하는 경우에, 액체 도출부를 통해 공기가 액체 분사 장치측에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9] 적용예 7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 유지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저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기 위한 다공질 부재로서, 상기 액체 도출부의 한쪽 단부를 막고,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할 때에,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도출부에 유통 가능한 다공질 부재를 갖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9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다공질 부재에 의해 액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액체 유지부 내의 액체와 액체 도출부 내의 액체를 공기를 사이에 두지 않고 연속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를 액체 수용 용기에 주입하는 경우에, 액체 도출부를 통해 공기가 액체 분사 장치측에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10]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복수의 벽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로서, 한쪽 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주입구를 막기 위한 마개 부재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도입하기 위한 대기 개방 유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 개방 유로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기 수용실과, 상기 공기 수용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유로와, 한쪽 단부인 공기측 개구가 상기 공기 수용실 내에서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인 액체측 개구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공기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제 2 유로로서, 메니스커스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가 유지되는 제 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상기 액체를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측 개구와 상기 공기측 개구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의 주입 자세는, 상기 사용 자세와는 다른 자세이며, 상기 공기측 개구가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자세인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0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주입 자세에서는 공기측 개구가 액체 주입구의 다른 쪽 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액체 주입시에 공기 수용실에 액체가 도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수용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유로로부터 액체가 외부에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수용실에 액체가 도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액체를 주입한 직후에 있어서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도 대기와 접하는 액체 수용 용기 내부의 액면을 소정의 높이 범위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 자세에 있어서, 메니스커스가 형성되는 제 2 유로가 액체 주입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메니스커스를 장시간에 걸쳐 형성하고, 대기와 접하는 액면의 높이를 장시간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적용예 11] 적용예 10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에, 이용자에게 상기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한쪽 단부가, 상기 사용 자세에서는 수평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상기 주입 자세에서는 연직 위 방향을 향해 개구하도록,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일반적으로, 이용자가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 액체 주입구의 한쪽 단부가 연직 위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는 쪽이, 이용자는 액체를 액체 수용실에 주입하기 쉽다. 따라서, 적용예 11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이용자가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할 때에, 액체 수용 용기의 자세를 주입 자세로 하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 주입시에 생기는 문제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12] 적용예 11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복수의 벽부는,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복수의 수직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복수의 수직 벽부 중 상기 공기 수용실이 배치되어 있는 쪽에 위치하는 공기측 벽부에 마련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2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사용 자세에서는 한쪽 단부가 수평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주입 자세에서는 한쪽 단부가 연직 위 방향을 향해 개구하는 액체 주입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적용예 10 내지 적용예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벽부에 마련된 하한부로서,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가 소비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양이 제 1 임계치가 된 것을 외부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하한부와,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상기 제 1 벽부와는 다른 제 2 벽부로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2 벽부에 마련된 상한부로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가 주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양이 제 2 임계치가 된 것을 외부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상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이며, 상기 제 2 벽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인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3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하한부와 상한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각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의 액체의 양을 이용자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적용예 14]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상기 액체를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와,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할 때의 주입 자세가 다른 자세가 되도록 사용되고, 상기 액체 수용 용기는, 복수의 벽부에 의해 형성된 액체 수용실로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도출부와,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벽부에 마련된 하한부로서,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가 소비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양이 제 1 임계치가 된 것을 외부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하한부와,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상기 제 1 벽부와는 다른 제 2 벽부로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2 벽부에 마련된 상한부로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가 주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양이 제 2 임계치가 된 것을 외부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상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이며, 상기 제 2 벽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인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4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하한부와 상한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각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의 액체의 양이 제 1 또는 제 2 임계치가 된 것을 이용자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적용예 15] 적용예 13 또는 적용예 14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하한부는,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수평한 직선 형상이며, 상기 상한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수평한 직선 형상인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5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이용자는 각 자세에 있어서 액면과 하한부 또는 상한부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실의 액체의 양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적용예 16]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한쪽 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한 액체 주입구로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와, 한쪽 단부인 액체 출구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한 액체 도출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액체 수용실을 형성하는 벽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로서, 연직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는 공간부를 갖고,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6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은 액체 주입구의 다른 쪽 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공간부를 갖는 것으로부터, 액체 주입시에 발생하는 액체 수용실 내의 거품을 공간부에 모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간부를 갖고 있지 않은 액체 수용 용기에 비하여, 액체 주입시에 발생하는 거품이 액체 주입구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17] 적용예 16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한쪽 단부는 상기 공간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7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의 한쪽 단부는 공간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액체 주입시에 발생하는 거품이 액체 주입구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적용예 18] 적용예 16 또는 적용예 17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부의 상기 액체 출구부는 상기 공간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
적용예 18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주입시에 발생하는 거품이 액체 도출부에 침입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 용기로부터 액체 분사 장치의 헤드에 기포(공기)가 도입될 가능성을 저감하여, 이른바 인쇄 실패 등의 헤드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19] 액체 분사 시스템으로서,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18 중 어느 하나에 기된 액체 수용 용기와, 대상물에 상기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헤드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와, 상기 액체 수용 용기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유통시키는 유통관을 구비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적용예 19에 기재된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적용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적용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액체 주입시에 대기 개방구로부터 액체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적용예 7 내지 적용예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액체 분사 장치 내에 공기가 혼입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문제의 발생을 저감한 액체 분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적용예 10 내지 적용예 13, 적용예 13에 종속되는 적용예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액체를 주입한 직후에 있어서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도 액체 수용 용기 내부의 대기와 접하는 액면을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범위에 유지한 액체 분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와 대기와 접하는 액면의 고저차를 소정의 범위에 유지할 수 있어, 헤드로부터 안정적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적용예 14 또는 적용예 14에 종속되는 적용예 15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 자세와 주입 자세의 각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의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적용예 16 내지 적용예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액체 주입시에 발생하는 거품이 액체 주입구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술한 액체 수용 용기, 액체 분사 장치와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 외에, 상술한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상술한 액체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액체 분사 방법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참고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제 2 참고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액체 분사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잉크 탱크(3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잉크 탱크(30)를 더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액체 도출부(306)에 이르는 경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잉크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잉크 탱크(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잉크 탱크(3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잉크 탱크(30)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잉크 탱크(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잉크 탱크(30)에 잉크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잉크 탱크(3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 3 실시예의 잉크 탱크(3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4 실시예의 액체 분사 시스템(1c)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 4 실시예의 잉크 탱크(30c)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9는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 잔량이 적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잉크 탱크(30c)에 잉크를 주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사용 자세의 잉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비교예의 액체 분사 시스템(1k)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잉크 탱크(30c)에 잉크를 주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 5 실시예의 잉크 탱크(30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A. 참고예
B. 각종 실시예, 비교예
C. 변형예
A. 참고예
실시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제 1 참고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참고예의 액체 수용 용기(9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방향을 특정하기 위해 서로 직교하는 XYZ축이 도시되어 있다. 또, 이 이후의 도면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 XYZ축이 도시되어 있다. 액체 수용 용기(90)는 잉크 탱크(90)라고도 불린다. 잉크 탱크(90)의 액체 도출부(906)로부터 유통관인 호스(24)를 통해 프린터(액체 분사 장치) 내의 서브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잉크가 공급된다. 잉크를 서브 탱크에 공급할 때의 잉크 탱크(90)의 자세(사용 자세)는, Z축 부방향(negative direction)이 연직 아래 방향이 된다.
잉크 탱크(90)는, 액체 수용실(940)과 공기 수용실(930)을 갖는다. 액체 수용실(940)과 공기 수용실(930)은 연통부(950)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액체 수용실(940)은 잉크를 수용한다. 수용되어 있는 잉크는 액체 출구부(949)(「액체 도출부(906)의 한쪽 단부(949)」라고도 한다)로부터 액체 도출부(906), 호스(24)를 통해 서브 탱크에 공급된다. 또, 잉크를 서브 탱크에 공급하는 잉크 공급시에는, 잉크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904)는 마개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막혀 있다.
액체 수용실(940)의 잉크의 소비와 함께, 연통부(950)를 통해 공기 수용실(930)로부터 공기가 액체 수용실(940)에 도입된다. 잉크 탱크(90)는, 공기 수용실(930)을 대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대기 개방구(918)를 갖는다. 대기 개방구(918)에는, 잉크가 외부에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액(氣液) 분리막(916)이 마련되어 있다.
잉크 탱크(90)에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부방향이 연직 아래 방향이 되도록 잉크 탱크(90)는 소정의 수평면상에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잉크 탱크(90)의 자세를 「주입 자세」라고도 한다. 제 1 참고예의 잉크 탱크(90)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904)는, 대기 개방구(918)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액체 주입구(904)로부터 잉크를 액체 수용실(940)에 주입한 경우, 주입량에 따라서는 대기 개방구(918)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용자는 잉크 주입시에 액체 주입구(904)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 개방구(9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고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할 우려도 있다.
또한, 제 1 참고예와 같이, 대기 개방구(918)와 외부를 구획하도록 기액 분리막(「기액 분리 시트」라고도 한다)(916)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대기 개방구(918)로부터 흘러넘친 잉크에 의해 기액 분리막(916)이 젖어 버린다. 기액 분리 시트(916)가 일단 잉크에 젖으면, 그 기능이 저하되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예컨대, 잉크가 기액 분리 시트(916)를 투과하여 외부에 새어나가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공기가 기액 분리 시트(916)를 투과하지 못하여, 잉크 탱크(90) 내부에 공기가 도입되지 않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2 참고예를 설명한다. 도 2는 제 2 참고예의 액체 수용 용기(잉크 탱크)(9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액체 수용 용기(90)로부터 액체 분사 장치인 프린터에 잉크를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 용기(90)의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잉크를 액체 수용 용기(90)에 주입할 때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 용기(90)의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제 2 참고예의 잉크 탱크(90)와 제 1 참고예의 잉크 탱크(90)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잉크 탱크(9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a)에는, 액체 주입구(904)를 막는 마개 부재(9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실(940)의 잉크의 소비와 함께, 연통부(950)를 통해 공기 수용실(930)로부터 공기가 액체 수용실(940)에 도입된다. 액체 수용실(940)의 잉크 잔량이 적어지면, 잉크 탱크(90)를 화살표 Y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주입구(904)가 연직 위 방향을 향하도록 잉크 탱크(90)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잉크 탱크(90)의 자세가 변화한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이 적은 상태에서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하면, 액체 수용실(940)의 액면이 한쪽 단부(949)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액체 주입구(904)로부터 잉크를 액체 수용실(940)에 주입하면, 액체 도출부(906), 호스(24)를 통해, 프린터의 헤드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B. 실시예
B-1. 제 1 실시예
B-1-1. 액체 분사 시스템의 구성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액체 분사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액체 분사 시스템(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b)는 액체 분사 시스템(1)의 외관 사시도이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액체 수용 용기(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시스템(1)은, 액체 분사 장치로서의 잉크젯 프린터(12)(간단히 「프린터(12)」라고도 한다)와, 탱크 유닛(50)을 구비한다. 프린터(12)는, 용지 급지부(13)와, 용지 배출부(14)와, 캐리지(16)와, 4개의 서브 탱크(20)를 구비한다. 4개의 서브 탱크(20)는 색이 다른 잉크를 수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서브 탱크(20)는, 블랙 잉크를 수용하는 서브 탱크(20Bk)와, 시안 잉크를 수용하는 서브 탱크(20Cn)와, 마젠타 잉크를 수용하는 서브 탱크(20Ma)와, 옐로 잉크를 수용하는 서브 탱크(20Yw)이다. 4개의 서브 탱크(20)는 캐리지(16)에 탑재되어 있다.
용지 급지부(13)에 세트된 인쇄 용지는, 프린터(12) 내부에 반송되고, 인쇄 후의 인쇄 용지가 용지 배출부(14)로부터 배출된다.
캐리지(16)는, 주 주사 방향(지면(紙面)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이동은, 스테핑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타이밍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행해진다. 캐리지(16)의 하면에는, 기록 헤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록 헤드의 복수의 노즐로부터 서브 탱크(2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인쇄 용지상에 분사되어 인쇄가 행해진다. 또, 타이밍 벨트나 캐리지(16) 등의 프린터(12)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은,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보호되고 있다.
탱크 유닛(50)은, 상면 케이스(54)와, 제 1 측면 케이스(56)와, 제 2 측면 케이스(58)와, 저면 케이스(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케이스(54, 56, 58) 및 저면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스티렌(PS)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54, 56, 58) 및 저면 케이스는 폴리스티렌을 이용하여 성형되고, 소정의 색(예컨대, 흑색)으로 착색되어 불투명하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유닛(50)은, 케이스(커버 부재)(54, 56, 58) 및 저면 케이스(커버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4개의 액체 수용 용기로서의 잉크 탱크(30)를 구비한다. 케이스(54, 56, 58) 및 저면 케이스에 의해 탱크 유닛(50)이 보다 안정적으로 소정의 장소(예컨대, 책상이나 선반 등의 수평면)에 설치된다. 또,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케이스(54)는, 한 변(54a)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화살표 Yp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4개의 잉크 탱크(30)는, 4개의 서브 탱크(20)가 수용하는 색에 대응한 잉크를 수용하고 있다. 즉, 4개의 잉크 탱크(30)는, 블랙 잉크, 시안 잉크, 마젠타 잉크, 옐로 잉크를 각각 수용한다. 또, 잉크 탱크(30)는, 서브 탱크(20)보다 많은 양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다.
각 색을 수용한 잉크 탱크(30)는, 대응한 색의 잉크를 수용하는 서브 탱크(20)에 호스(2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가 분사되어 서브 탱크(20)의 잉크가 소비되면, 호스(24)를 통해 잉크 탱크(30)의 잉크가 서브 탱크(20)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액체 분사 시스템(1)은, 프린터(12)의 중단 동작 없이 연속하여 인쇄를 계속할 수 있다. 호스(24)는, 합성 고무 등의 탄성이나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서브 탱크(20)를 마련하지 않고 , 호스(24)를 통해 직접 잉크 탱크(30)로부터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더라도 좋다.
도 4는 잉크 탱크(30)의 외관 사시도이다. 잉크 탱크(30)는 마개 부재(302)를 갖는다. 마개 부재(302)는 액체 주입구(304)에 장착되어 있다. 마개 부재(302)는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떼어내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잉크 탱크(30) 내부에 잉크를 주입(보충)할 수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하나의 잉크 탱크(30)의 액체 주입구(304)를 막는 마개 부재(302)와, 이웃하는 다른 잉크 탱크(30)의 액체 주입구(304)를 막는 마개 부재(302)는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2개의 마개 부재(302)는 연결 부재에 의해 분리할 수 없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잉크 탱크(30)는, 제 1 고정 부재(324)(「돌기부(324)」라고도 한다)와 제 2 고정 부재(325)를 갖는다. 제 1 고정 부재(324)는 돌기 형상이다. 제 2 고정 부재(325)는, 관통 구멍(「구멍」이라고도 한다)(325a)을 갖는다. 제 1, 제 2 고정 부재(324, 325)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잉크 탱크(30)가 연결된다.
도 5는 탱크 유닛(5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상면 케이스(54) 및 저면 케이스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탱크 유닛(50)은, 프린터(12)에 잉크를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에서는 Z축 방향이 연직 방향이 되고, Z축 부방향이 연직 아래 방향이 된다. 각 잉크 탱크(30)는, 이웃하는 잉크 탱크(30)와 고정시켜 일체로 하기 위한 고정 유닛(328)을 갖는다. 고정 유닛(328)은, 상술한 구멍(325a)과 돌기부(324)를 구비한다. 하나의 잉크 탱크(30)의 구멍(325a)에 이웃하는 다른 잉크 탱크(30)의 돌기부(324)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이웃하는 잉크 탱크(30)끼리 조립되어 일체가 된다. 또, 외력에 의해 돌기부(324)는 구멍(325a)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어, 일체가 된 잉크 탱크(30)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12)에 이용되는 잉크색의 수나 사양에 따라, 탱크 유닛(50)은 잉크 탱크(30)의 배치수(적층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탱크 유닛(50)을 이용하는 이용자 등은, 고정 유닛(328)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잉크 탱크(30)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떼어내거나 할 수 있다.
잉크 탱크(30)는, 내부에 잉크를 주입(보충)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304)와, 액체 주입구(304)를 막는 마개 부재(302)를 구비한다. 액체 주입구(304)는 원통 형상이며, 후술하는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고 있다. 마개 부재(302)는, 액체 주입구(30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잉크 탱크(30)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마개 부재(302)는, 연결 부재(30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2개의 마개 부재(302)는 연결 부재(303)에 의해 분리할 수 없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액체 주입구(304)는, 잉크 탱크(30)의 사용 자세에서는, 수평 방향(실시예에서는 X축 정방향(positive direction))을 향해 개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잉크 탱크(30)는, 대기 도입구(317)를 구비한다. 대기 도입구(317)는 후술하는 대기 개방 유로의 양 단부 중 하나이며, 외부의 대기를 잉크 탱크(30) 내부에 도입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잉크 탱크(30)의 액체 도출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호스를 통해 프린터(12)에 잉크가 공급되면, 외부의 대기가 대기 도입구(317)를 통해 잉크 탱크(30) 내부에 도입된다.
B-1-2. 잉크 탱크(30)의 개략
잉크 탱크(3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액체 도출부(306)에 이르는 경로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개념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액체 도출부(306)에 이르는 경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액체 도출부(306)에 이르는 경로는, 대기 개방 유로(300)와, 액체 수용실(34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대기 개방 유로(300)는, 상류로부터 차례로 제 1 유로(310)와, 공기 수용실(330)과, 제 2 유로(350)(연통부(350)라고도 한다)로 구성된다.
제 1 유로(310)는, 한쪽 단부인 대기 개방구(318)가 공기 수용실(330) 내에서 개구 하고, 다른 쪽 단부인 대기 도입구(317)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는 것에 의해, 공기 수용실(330)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제 1 유로(310)는, 연통 유로(320), 기액 분리실(312), 연통 유로(314)를 갖는다. 연통 유로(320)는, 한쪽 단부가 대기 도입구(317)와 연통하고, 다른 쪽 단부가 기액 분리실(312)과 연통하고 있다. 연통 유로(320)의 일부는 가늘고 긴 유로이며, 액체 수용실(340)에 저장된 잉크의 수분이 확산에 의해 대기 개방 유로(300)로부터 증발하는 것을 억제한다. 기액 분리실(312)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는 시트 부재(필름 부재)(3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 부재(316)는, 기체를 투과시킴과 아울러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이 시트 부재(316)를 대기 개방 유로(300)의 도중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실(340)로부터 역류하여 온 잉크가 시트 부재(316)보다 상류측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 이 시트 부재(316)는 잉크에 일단 젖으면, 기액 분리막으로서의 본래의 기능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시트 부재(316)가 잉크에 일단 젖으면 공기를 투과시키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잉크 탱크(30) 내부에 공기가 도입되지 않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연통 유로(314)는, 기액 분리실(312)과 공기 수용실(330)을 연통시킨다. 여기서, 연통 유로(314)의 한쪽 단부는 대기 개방구(318)이다.
공기 수용실(330)은, 후술하는 제 2 유로(350)보다 유로 단면적이 크고, 소정의 용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실(340)로부터 역류하여 온 잉크를 저장하여, 공기 수용실(330)보다 상류측에 잉크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액체 수용실(340) 내의 공기가 온도 변화 등에 의해 팽창하여, 잉크가 제 2 유로(350)를 통해 역류한 경우에, 소정량의 잉크를 저장한다. 잉크 탱크(30)는 공기 수용실(330)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잉크가 역류한 경우에도 잉크가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외부로 새어나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 유로(350)는, 한쪽 단부인 공기측 개구(351)가 공기 수용실(330) 내에서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인 액체측 개구(352)가 액체 수용실(340) 내에서 개구하는 것에 의해, 공기 수용실(330)과 액체 수용실(340)을 연통시킨다. 또한, 제 2 유로(350)는, 메니스커스(액면 가교)를 형성 가능할 정도로 유로 단면적이 작은 유로로 되어 있다.
액체 수용실(340)은 잉크를 수용하고, 액체 도출부(306)의 액체 출구부(349)로부터 호스(24)를 통해 서브 탱크(20)(도 3)에 잉크를 유통시킨다. 액체 수용실(340)은 액체 유지부(345)를 갖는다. 액체 유지부(345)는 리브(rib)를 구성하는 구획 벽부(342)를 갖는다. 구획 벽부(342)는, 액체 수용실(340) 내의 소정 방향으로의 잉크의 흐름을 막는 것에 의해, 액체 유지부(345)로부터 액체 수용실(340)의 다른 부분에 잉크가 흘러넘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용실(340)에는 액체 주입구(304)가 마련되어 있다. 액체 주입구(304)의 한쪽 단부인 상단부(304p)는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인 하단부(304m)는 액체 수용실(340)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더욱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7을 이용하여 잉크 탱크(30)가 서브 탱크(20)에 잉크를 공급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잉크 탱크(30)로부터 서브 탱크(20)로의 잉크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잉크 탱크(30), 호스(24), 프린터(12)의 내부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액체 분사 시스템(1)은, 소정의 수평면 sf(「설치면 sf」라고도 한다) 위에 설치되어 있다. 잉크 탱크(30)의 액체 도출부(306)와, 서브 탱크(20)의 액체 수용부(202)는, 호스(24)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서브 탱크(20)는,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서브 탱크(20)는, 잉크 저장실(204)과, 잉크 유동로(208)와, 필터(206)를 구비한다. 잉크 유동로(208)에는, 캐리지(16)의 잉크 공급침(16a)이 삽입되어 있다. 필터(206)는, 잉크에 이물 등의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 그 불순물을 포착하는 것에 의해 기록 헤드(17)에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잉크 저장실(204)의 잉크는, 기록 헤드(17)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잉크 유동로(208), 잉크 공급침(16a)을 통해 흘러, 기록 헤드(17)에 공급된다. 기록 헤드(17)에 공급된 잉크는, 노즐을 통해 외부(인쇄 용지)를 향해 분사된다.
액체 수용실(340)은, 제 1 벽부(370c1)의 내면으로부터 액체 수용실(340) 내를 향해 소정 길이 연장되는 구획 벽부(342)를 갖는다. 구획 벽부(342)는, 액체 수용실(340) 내부에 Y축 방향(폭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구획 벽부(342)는, 제 1 벽부(370c1)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있다.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영역 중, 액체 도출부(306)와 연통하고 있는 영역을 액체 유지부(345)라고 한다. 또한, 액체 수용실(340)은 공간부(341)를 갖는다. 공간부(341)는, 액체 수용실(340)을 형성하는 벽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형상이며, 잉크 탱크(30)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연직 아래 방향(X축 부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한, 공간부(341)는, 잉크 탱크(30)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의 하단부(304m)보다 위쪽(X축 정방향측)에 위치한다. 또,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액체 수용실(340) 중, 공간부(341)와 그 이외의 영역의 경계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액체 주입구(304)는, 원 형상의 유로를 내부에 갖고, 액체 수용실(340)과 연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액체 주입구(304)의 한쪽 단부인 상단부(304p)는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인 하단부(304m)는 액체 수용실(340)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액체 주입구(304)에는, 마개 부재(302)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잉크가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잉크 탱크(30)의 사용 자세에서는, 액체 주입구(304)는 연직 방향(Z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 도 7에서는 X축 정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다.
액체 도출부(306)의 한쪽 단부인 액체 출구부(349)는 액체 수용실(340)에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액체 출구부(349)는 액체 수용실(340)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액체 출구부(349)는, 잉크 탱크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공간부(341)보다 아래쪽(X축 부방향측)에 위치한다.
주입 자세로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한 후에, 액체 주입구(304)를 마개 부재(302)로 밀봉하고 사용 자세로 한 경우, 액체 수용실(340) 내의 공기가 팽창하여, 액체 수용실(340)은 부압으로 유지된다. 또한, 공기 수용실(330)은 대기 개방구(318)와 연통하는 것에 의해 대기압으로 유지되고 있다.
사용 자세에 있어서, 메니스커스가 형성되어 잉크가 유지되는 제 2 유로(350)는, 액체 주입구(304)의 하단부(304m)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유로(350)는,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30)의 하단부 근방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소비되어, 액체 수용실(340)의 액면이 저하되더라도, 대기와 직접 접촉하는 잉크 액면(대기 접촉 액면) LA는 장시간(잉크 액면이 잉크 보충의 타이밍에 이르는 정도의 시간)에 걸쳐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자세에 있어서, 메니스커스를 형성하는 다른 쪽 단부(352)는, 기록 헤드(17)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수두차(head difference) d1이 발생한다. 또, 사용 자세에 있어서, 다른 쪽 단부(352)에 메니스커스가 형성된 상태에서의 수두차 d1을 「정상시 수두차 d1」이라고도 부른다.
잉크 저장실(204)의 잉크가 기록 헤드(17)에 의해 흡인되는 것에 의해, 잉크 저장실(204)은 소정의 부압 이상이 된다. 잉크 저장실(204)이 소정의 부압 이상이 되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호스(24)를 통해 잉크 저장실(204)에 공급된다. 즉, 잉크 저장실(204)에는, 기록 헤드(17)에 유출된 양의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로부터 자동적으로 보충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잉크 탱크(30) 내의 공기 수용실(330)과 접하는 잉크 액면(대기 접촉 액면 LA)과, 기록 헤드(상세하게는 노즐)의 연직 방향의 높이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수두차 d1보다, 프린터(12)측에서의 흡인력(부압)이 어느 정도 커지는 것에 의해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로부터 잉크 저장실(204)에 공급된다. 여기서, 기록 헤드(17)에 잉크 탱크(30)로부터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기 접촉 액면 LA가 기록 헤드(17)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필요가 있고, 기록 헤드(17)에 비하여 과도하게 낮은 위치에 있어서는 안 된다. 대기 접촉 액면 LA가 기록 헤드(17)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잉크 탱크(30)로부터 프린터(12)에 잉크가 과다하게 공급되어, 기록 헤드(17)로부터 잉크가 새어나가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기록 헤드(17)에 비하여 대기 접촉 액면 LA가 과도하게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기록 헤드(17)의 흡인력으로는 잉크 탱크(30)의 잉크를 프린터(12)에 빨아들일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잉크 탱크(30)가 프린터(12)에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조건으로서, 대기 접촉 액면 LA는 높이 H1a~H2a의 범위에 위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한다.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소비되면, 공기 수용실(330)의 공기 G(「기포 G」라고도 한다)가 연통부(350)를 통해 액체 수용실(340)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실(340)의 액면은 저하된다. 한편, 제 2 유로(350)에는, 대기와 직접 접촉하는 메니스커스(대기 접촉 액면 L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340)의 액면의 저하에 관계없이 수두차 d1은 유지된다. 따라서, 기록 헤드(17)의 소정의 흡인력에 의해, 잉크 탱크(30)로부터 기록 헤드(17)에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B-1-3. 잉크 탱크(30)의 상세 구성
다음으로, 도 8~도 10을 이용하여 잉크 탱크(3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잉크 탱크(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잉크 탱크(3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에는, 마개 부재(302)가 구비하는 연결 부재(303)(도 5 참조)의 도시는 생략 하고 있다. 도 9는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대기 개방구(318)까지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는 도 8을 X축 정방향측에서 본 도면이며,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대기 개방구(318)까지의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에서는, 시트 부재(316, 322)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10에서는, 마개 부재(302)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30)는 대략 기둥 형상(상세하게는 대략 각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30)는, 탱크 본체(32)와, 마개 부재(302)와, 복수의 시트 부재(34, 316, 322)(「필름(34, 316, 322)」이라고도 한다)를 구비한다. 여기서, 필름(34)을 제 1 필름(34)이라고도 하고, 필름(322)을 제 2 필름(322)이라고도 한다. 탱크 본체(32)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한, 탱크 본체(32)는 반투명이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외부로부터 내부의 잉크 상태(잉크의 양, 잉크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탱크 본체(32)의 형상은, 한 측면이 개구한 오목한 형상이다. 탱크 본체(32)의 오목부에는 여러 가지 형상의 리브(벽부)(36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하고 있는 한 측면(개구를 형성하는 탱크 본체(32)의 외곽 프레임을 포함하는 한 측면)을 개구 측면(370)(개구 벽부(370))이라고도 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탱크 본체(32)에 대하여, Z축 정방향측의 면을 상면 fa, Z축 부방향측의 면을 저면 fb로 한다. 또한,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탱크 본체(32)의 4개의 측면에 대하여, X축 정방향측의 면을 우측면 fc, X축 부방향측의 면을 좌측면 fd, Y축 정방향측의 면(즉, 개구가 형성된 면)을 정면 fe, Y축 부방향측의 면을 후면 ff로 한다.
제 1 필름(34)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투명이다. 제 1 필름(34)은 열용착에 의해 개구 측면(370)의 개구를 덮도록 탱크 본체(32)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필름(34)은, 리브(362)의 단면 및 탱크 본체(32)의 외곽 프레임의 단면에 극간이 생기지 않도록 치밀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작은 방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로, 공기 수용실(330)과, 액체 유지부(345)를 포함하는 액체 수용실(340)과, 제 2 유로(350)(연통부(350))가 형성된다. 즉, 탱크 본체(32)와 제 1 필름(34)에 의해 공기 수용실(330), 액체 수용실(340), 제 2 유로(3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필름(34)을 탱크 본체(32)에 부착하는 것은, 열용착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점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더라도 좋다. 또, 이러한 각 방(각 구성)의 상세는 후술한다.
탱크 본체(32)의 우측면 fc에는, 액체 주입구(3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 fc에는, 기액 분리실(312)과, 대기 도입구(317)와, 연통 유로(314, 320)와, 연통구(318, 319a, 319b)가 형성되어 있다. 기액 분리실(312)의 형상은 오목한 형상이다. 연통구(319a)는 오목한 형상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연통구(318)는 대기 개방구(318)라고도 부르고, 공기 수용실(330)과 연통하고, 외부의 공기를 공기 수용실(330)에 도입한다.
기액 분리실(312)의 저면을 둘러싸는 내벽의 전체 둘레에는 방벽(313)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316)는 방벽(313)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시트 부재(316)는, 기체를 투과시킴과 아울러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필름(322)은, 연통 유로(320), 기액 분리실(312), 연통 유로(314), 연통구(318, 319a, 319b)를 덮도록 우측면 fc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통 유로(314, 320)를 형성함과 아울러, 잉크 탱크(30) 내부의 잉크가 외부에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마개 부재(302)는 탄성을 갖는 부재(예컨대, 고무)이며, 외력에 의해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마개 부재(302)가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가 주입(보충)된다. 공기 수용실(330)과 액체 수용실(340)은 연통부(350)에 의해 연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통부(350)의 한쪽 단부(351)는 공기 수용실(330)과 연통하고, 다른 쪽 단부(352)는 액체 수용실(340)(상세하게는, 액체 유지부(345))과 연통하고 있다. 즉, 한쪽 단부(351)는 공기 수용실(330) 내에서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352)는 액체 수용실(340)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 액체 주입구(304)의 설명을 계속한다. 액체 주입구(304)는, 잉크 탱크(30)의 사용 자세에서는, 상단부(304p)가 수평 방향(X축 정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잉크 탱크(30)의 주입 자세에서는 연직 위 방향(X축 정방향)을 향해 개구하도록, 공기측 벽부(370c3)에 마련되어 있다. 공기측 벽부(370c3)는, 잉크 탱크(30)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잉크 탱크가 설치된 설치면(X축과 Y축으로 규정되는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이다. 즉, 공기측 벽부(370c3)는, 잉크 탱크(30)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벽부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기측 벽부(370c3)는, 잉크 탱크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설치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각도를 갖도록 잉크 탱크(30)의 벽부를 구성한다. 또한, 공기측 벽부(370c3)는, 후술하는 액체 수용실(340)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부 중 하나이다. 잉크 탱크(30)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340)의 측면을 형성하는 벽부(수직 벽부)는,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된다. 공기측 벽부(370c3)는, 복수의 수직 벽부 중 공기 수용실(330)측에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자가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 액체 주입구(304)의 상단부(304p)가 연직 위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는 쪽이, 이용자는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하기 쉽다. 따라서, 액체 주입구(304)를 상기와 같이 공기측 벽부(370c3)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잉크 주입시에 잉크 탱크(30)를 주입 자세로 하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다. 또한, 공기측 벽부(370c3)에 액체 주입구(30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잉크를 주입할 때에 잉크 탱크(30)를 주입 자세로 하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는 액체 주입구(304)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부(304p)가 수평 방향을 향해 개구한다」란,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단부(304p)에 평평한 종이를 접촉시킨 경우에, 접촉시킨 종이와 수평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보다 크고 9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관계를 말한다. 또한, 「상단부(304p)가 연직 위 방향을 향해 개구한다」란,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단부(304p)에 평평한 종이를 접촉시킨 경우에, 접촉시킨 종이와 연직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보다 크고 9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관계를 말한다.
탱크 본체(32)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최하부 근방(저면 fb측)에는, 액체 도출부(306)가 형성되고 있다. 액체 도출부(306)는, 통 형상이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액체 도출부(306)의 한쪽 단부(도시하지 않음)는, 액체 수용실(340)과 연통하고, 다른 쪽 단부(348)는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있다. 액체 도출부(306)에는 호스(24)(도 3 참조)가 부착된다.
액체 수용실(340)은, 복수의 벽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벽부는 주로, 개구 벽부(370)와, 대향 벽부(370b)(도 10)와, 접속 벽부(370c)(도 8)를 구비한다. 복수의 벽부 중, 개구 벽부(370), 대향 벽부(370b), 저면 fb를 형성하는 벽부, 공기측 벽부(370c3) 등이 사용 자세에 있어서, 수직 상태가 된다. 개구 벽부(370)는, 제 1 필름(34)이 탱크 본체(32)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대향 벽부(370b)는, 내부 공간(예컨대 액체 수용실(340))을 사이에 두고 개구 벽부(370)와 대향한다. 복수의 접속 벽부(370c)는, 개구 벽부(370)와 대향 벽부(370b)에 접속되어 있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벽부(370)의 외형과 대향 벽부(370b)의 외형은 동일 형상(볼록 형상)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 도입구(317)와 연통 유로(320)는, 연통 유로(320)의 한쪽 단부(320a)와 탱크 본체(32)의 안쪽에 형성된 내부 유로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연통 유로(320)와 기액 분리실(312)은 다른 쪽 단부(320b)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연통 유로(320)는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기액 분리실(312)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 기액 분리실(312)의 바깥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탱크 본체(32) 내부의 잉크 중의 수분이 대기 도입구(317)로부터 외부로 증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수분 증발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연통 유로의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 연통 유로(320)를 구불구불한 유로로 하더라도 좋다.
다른 쪽 단부(320b), 기액 분리실(312), 연통구(319a)를 통해 흐르는 공기는, 그 도중에 방벽(313)에 점착된 시트 부재(316)(도 8)를 통과하게 된다. 기액 분리실(312)과 연통 유로(314)는, 연통구(319a, 319b) 및 탱크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유로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연통 유로(314)는, 대기 개방구(318)를 통해 공기 수용실(330)과 연통하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도 이해할 수 있듯이, 시트 부재(316)(도 8)는, 대기 개방구(318)와 외부를 구획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탱크 본체(32)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잉크 탱크(30)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도 8의 탱크 본체(32) 내부를 Y축 정방향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액체 도출부(306) 부근을 확대한 도면이다. 또, 실제로는 액체 도출부(306)는, 지면 안쪽에 위치하지만,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액체 도출부(306)가 액체 수용실(340)에 연통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기 개방구(318)와 그것에 관련되는 구성(예컨대 시트 부재(316)나 기액 분리실(312) 등), 액체 주입구(304) 등의 잉크 탱크(30) 중 설명에 이용하지 않는 구성은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단, 도 11에 있어서의, 대기 개방구(318)의 높이 위치와 액체 주입구(304)의 높이 위치는, 실제의 높이 위치와 같은 관계가 되도록 도시하고 있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 자세에 있어서 잉크 탱크(30)는, 좌측면 fd가 연직 아래 방향(X축 부방향)이 되도록 잉크 탱크(30)는 설치된다. 즉, 액체 주입구(304)나 대기 개방구(318)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 fd가 저면이 되도록 잉크 탱크(30)는 설치된다.
액체 수용실(340)은, 액체 도출부(306)와 연통하고 있다. 액체 수용실(340)의 액체는, 액체 수용실(340)의 액체 출구부(349)로부터 액체 도출부(306)에 유통 가능하다. 또, 액체 출구부(349)는, 액체 도출부(306)의 한쪽 단이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출구부(349)를 액체 도출부(306)의 한쪽 단부(349)라고도 한다. 액체 수용실(340)은, 주입 자세에 있어서 저면부(346)로부터 위쪽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되는 구획 벽부(342)를 갖는다. 구획 벽부(342)는, 액체 수용실(340) 내부에 Y축 방향(폭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구획 벽부(342)는, 저면부(346)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있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유지부(345)의 높이 T2(즉, 구획 벽부(342)의 높이 T2)는, 한쪽 단부(349)의 높이 T1보다 높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 잔량이 적어져, 잉크 탱크(30)를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킨 경우에도, 액체 유지부(345)를 높이 T1 이상의 잉크로 채울 수 있다. 즉,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유지부(345)가 소정량의 잉크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액체 도출부(306) 내의 잉크와 액체 유지부(345) 내의 잉크가 공기를 거치지 않고 연속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쪽 단부(349)가 공기와 접하는 일 없이, 잉크와 접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획 벽부(342)는, 구획 벽부(342)의 상단부가 액체 수용실(340)의 상면부(347)에 접촉하고, 액체 수용실(340)에 있어서 액체 유지부(345)와 다른 부분의 사이의 잉크의 유통을 차단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 벽부(342)의 저면부(346)의 배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한쪽 단부(349)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다 적은 잉크 잔량에 있어서, 액체 유지부(345)가 높이 T1 이상의 잉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액체 유지부(345)의 저면을 보다 작게 하도록 구획 벽부(34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근방」이란,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액체 도출부(306)를 통해 프린터(12)에 공급될 때에,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유통 가능할 정도(폐색하지 않을 정도)의 최소한의 극간(유로)을 마련하여 구획 벽부(34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도 11(a)로 돌아와 잉크 탱크(30)의 설명을 계속한다. 연통부(350)는, 가늘고 긴 유로 형상이다. 액체 수용실(340) 내의 공기가 열팽창하여,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연통부(350)에 유입된 경우에, 공기 수용실(330)은 잉크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잉크가 대기 개방구(318)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서브 탱크(20)에 공급되는 것에 따라, 공기 수용실(330)의 공기가 연통부(350)를 통해 액체 수용실(340)에 도입된다. 이 상세는 후술한다.
연통부(350)는 공기 수용실(330)이나 액체 수용실(340)에 비하여, 유로 단면적이 작고 유로 저항이 큰 부분이다. 이에 의해, 연통부(350)에서는 메니스커스(액체 가교)가 발생한다.
공기 수용실(330)은, 대기 개방구(318)를 통해 외부의 대기와 연통하고 있다. 사용 자세에 있어서, 대기 개방구(318)는, 공기 수용실(330)의 저면부(330s)보다 상면부(330t)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는 대기 개방구(318)보다 낮아지도록, 액체 주입구(304)는 탱크 본체(32)에 형성되어 있다. 즉,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의 높이 H1은, 대기 개방구(318)의 높이 H2보다 작다. 여기서, 액체 주입구(304)와 대기 개방구(318)의 높이의 비교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12는 잉크 탱크(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a)에 나타내는 잉크 탱크(30)를 사용 자세로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는, 사용 자세에 있어서, 잉크 탱크(30)가 호스(24)를 통해 서브 탱크(20)에 잉크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소정량 이하가 되면, 프린터(12)의 문제의 발생(미싱 도트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자는 잉크의 보충을 행한다. 예컨대, 탱크 본체(32)에 잉크 주입 시기의 기준이 되는 경계선을 마련하여 두고, 경계선보다 잉크의 수위가 하회하는 경우에 이용자는 잉크를 보충한다. 여기서,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잉크의 수위가 경계선을 하회한 것으로 한다.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할 때에는 , 화살표 Y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주입구(304)가 연직 위 방향을 향하도록 잉크 탱크(30)가 회전된다.
도 13은 잉크 탱크(30)에 잉크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도 12에 나타내는 잉크 잔량 상태에서 잉크 탱크(30)를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변화시킨 경우의 도면이다. 도 13(b)는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정상량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과다하게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정상량 주입」이란, 소정량 미만의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액체 주입구(304)보다 아래쪽에 잉크의 액면이 위치할 정도로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된 것을 말한다. 또한,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과다하게 주입」이란, 액체 수용실(340)에 소정량 이상의 잉크가 수용될 때까지 잉크가 주입된 것을 말한다. 예컨대, 액체 주입구(304)에까지 잉크가 도달할 정도로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된 것을 말한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 액체 주입구(304)에 장착되어 있는 마개 부재(302)(도 12)를 분리하고,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잉크를 주입한다. 또한, 잉크의 주입은, 호스(24)에 의해 잉크 탱크(30)와 서브 탱크(20)가 접속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기록 헤드(17)(도 7)의 노즐에는 메니스커스(액면 가교)가 형성되어 있어, 외력(피에조 소자가 잉크에 가하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잉크는 노즐로부터 분사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기록 헤드(17)의 노즐은 일정한 힘으로 잉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노즐과 연통하는 액체 도출부(306) 내의 잉크는 액체 수용실(340)측으로 역류하는 일 없이, 액체 도출부(306) 내에 유지된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이 적은 상태에서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 액체 유지부(345)는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의 다른 부분에 흘러넘치는 것을 억제한다. 즉, 구획 벽부(342)는, 한쪽 단부(34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Z축 정방향)으로의 잉크의 흐름을 막는다. 이 때문에,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유지부(345)에서는 다른 부분보다 수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획 벽부(342)에 의해, 액체 유지부(345)의 수위를 한쪽 단부(349)의 높이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잉크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액체 도출부(306) 내의 잉크와 액체 유지부(345)의 잉크는 공기를 거치지 않고 연속하여 존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잉크 주입시에 공기(기포)가 한쪽 단부(349)로부터 액체 도출부(306)에 유입되고, 호스(24)를 통해 서브 탱크(20)에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 주입시에 기록 헤드(17)(도 7)측으로 공기가 흘러들지 않기 때문에, 인쇄 실패에 의한 미싱 도트를 억제하여, 인자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실(340)에 정상량의 잉크가 주입된 경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 액면 Lf1은 액체 주입구(304)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여기서,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의 높이 H1은, 대기 개방구(318)의 높이 H2보다 낮은 것으로부터, 액체 수용실(340)에 정상량의 잉크가 주입된 경우에, 잉크가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가 과다하게 주입되어, 잉크의 수위가 액체 주입구(304)까지 도달한 경우에도,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주입시에 시트 부재(316) 전면이 잉크에 젖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316)의 기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잉크 탱크(30)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가 대기 개방구(318)보다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잉크 주입시에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유지부(345)를 갖는 것으로부터, 잉크 잔량이 적어져 잉크 탱크(30)를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변화시킨 경우에도, 액체 도출부(306) 내의 잉크와 액체 유지부(345)의 잉크가 연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13(a)). 이에 의해,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한 경우에, 액체 도출부(306), 호스(24)를 통해 기록 헤드(17)에 공기가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B-2. 제 2 실시예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잉크 탱크(3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b)는 제 1 실시예의 도 11(a)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제 2 실시예의 잉크 탱크(30a)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는 잉크 주입량 과다시의 잉크 탱크(30a)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실시예의 잉크 탱크(30)와의 차이는, 액체 수용실(340a)의 구성과, 주입 자세에 있어서의 액체 주입구(304a)의 높이 위치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잉크 탱크(30a)도 제 1 실시예의 잉크 탱크(30)와 같이, 액체 분사 시스템(1)에 이용된다(도 3). 또, 도 14(a)에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개 부재(302)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a)는 대기 개방구(318)보다 낮고, 또한, 연통부(350)의 한쪽 단부(351)인 개구(351)보다 낮아지도록 탱크 본체(32)에 형성되어 있다. 즉,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a)의 높이 H1은, 대기 개방구(318)의 높이 H2와 한쪽 단부(351)의 높이 H3보다 작다.
또한, 액체 수용실(340a)의 공간부(341a)의 용적은 V1이다. 이 용적 V1의 공간부(341a)를 공기 저장부(341a)라고도 부른다. 공기 저장부(341a)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340a)의 부분 중, 액체 주입구(304a)의 일단측인 개구(304m)(「하단 개구(304m)」 또는 「하단부(304m)」라고도 한다)로서, 액체 수용실(340a)의 벽면에 형성된 개구(304m)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 부분이다. 공기 저장부(341a)는, 액체 수용실(340a)을 형성하는 벽면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형상이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연직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공기 저장부(341a)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연직 아래 방향 이외의 주위(방향)가 액체 수용실(340)의 벽면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한 형상이다. 공기 저장부(341a)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a)의 상단 개구(304p)(「상단부(304p)」라고도 한다)까지 달할 정도로 액체 수용실(340a) 내에 과다하게 잉크를 주입한 경우에도 소정량의 공기(용적 V1)를 저장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공기 저장부(341a)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잉크의 주입량에 관계없이, 적어도 소정량의 용적(용적 V1)의 공기를 저장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340a)의 부분 중, 액체 주입구(304a)가 위치하는 높이 이상의 위치를 차지하는 부분을 주입구 인접부(343)로 규정한다. 즉, 주입구 인접부(343)는, 사용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a)의 저부(304f) 이상의 높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주입구 인접부(343)의 용적을 V2로 한 경우, 잉크 탱크(30a)는, V1≥V2를 만족시킨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잉크를 액체 주입구(304a)에 달할 때까지 액체 수용실(340a)에 잉크를 과다하게 주입한 경우에도, H1<H3인 것으로부터 공기 수용실(330)에 잉크는 도입되지 않는다. 또한, 액체 수용실(340a)에 잉크를 과다하게 주입한 경우에도, 액체 수용실(340a)에는, 공기 저장부(341a)에 의해 용적 V1의 공기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1)의 내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5는 도 14(b)의 잉크를 과다하게 주입한 후에 잉크 탱크(30a)를 사용 자세로 한 직후의 잉크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a)에 과다하게 주입한 경우에도, 공기 수용실(330)에는 잉크가 도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자세로 한 경우, 공기 수용실(330)에는 잉크는 거의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 주입 직후의 공기 수용실(330)의 액면 위치는, 부호 Lf1b가 된다. 이때, 수두차 d2가 발생한다. 이 수두차 d2를 「과다시 수두차 d2」라고도 한다. 잉크 탱크(30a)의 잉크가 서브 탱크(20)에 공급되는 것에 따라, 액면 Lf1b는 저하된다. 최종적으로는 다른 쪽 단부(352)에서 메니스커스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저하된다(도 7). 만약 잉크를 주입할 때에 공기 수용실(330)에까지 잉크가 도입된 경우, 잉크 주입 직후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공기 수용실(330)의 잉크 액면은, 액면 Lf1b보다 높은 위치(예컨대 액면 Lf2b)가 된다. 즉, 정상시 수두차 d1로부터 크게 어긋난 수두차가 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높이 H1이 높이 H3보다 작은 것에 의해(도 14(a)), 잉크 주입시에 공기 수용실(330)에 잉크가 도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상시 수두차 d1로부터의 과다시 수두차 d2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두차를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브 탱크(20)의 잉크 저장실(204)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잉크를 잉크 탱크(30a)로부터 서브 탱크(20)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저장부(341a)의 용적 V1은, 주입구 인접부(343)의 용적 V2 이상인 것으로부터, 잉크를 과다하게 잉크 탱크(30a)에 주입한 경우에도, 사용 자세에 있어서 주입구 인접부(343)에는 잉크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02)가 잉크와 접촉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어, 마개 부재(302)의 불순물이 잉크에 섞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a)가 대기 개방구(318)보다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부터(도 14), 잉크 주입시에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B-3. 제 3 실시예
도 16은 제 3 실시예의 잉크 탱크(3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예의 도 11(a)나 도 14(a)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연통부(350b)의 구성과 액체 유지부(345b)의 구성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의 잉크 탱크(30b)는, 연통부(350b)의 형상이, 가늘고 긴 유로 형상이 아니고, 구멍 형상이다. 또한, 연통부(350b)는 메니스커스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다. 또한, 액체 수용실(340) 내에는, 한쪽 단부(349)를 막도록 다공질 부재(345b)가 배치되어 있다. 이 다공질 부재(345b)가 액체 유지부로서 기능하여, 잉크를 소정량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를 서브 탱크(20)에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를 액체 도출부(306)를 향해 유통 가능하도록, 다공질 부재(345b)는 내부를 관통한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다공질 부재(345b)로서는, 예컨대 스펀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부(350b)를 구멍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잉크 탱크(30b)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부재(345b)에 의해, 액체 도출부(306) 내의 잉크와 다공질 부재(345b) 내의 잉크는 공기를 거치지 않고 연속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주입시에 공기(기포)가 한쪽 단부(349)로부터 액체 도출부(306), 호스(24)를 통해 서브 탱크(20)에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의 잉크 탱크(30a)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잉크 주입시에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연통부(350b)를 상기 실시예의 유로 형상의 연통부(350)의 구성으로 치환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다공질 부재(345b) 대신에 구획 벽부(342)를 마련하여 액체 유지부(345)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잉크 주입시에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고, 잉크 주입시에 공기가 서브 탱크에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구획 벽부(342)를 마련함과 아울러, 다공질 부재(345b)를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액체 도출부(306) 내의 잉크와 액체 유지부(345) 내의 잉크가 공기를 거치지 않고 연속한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B-4. 제 4 실시예
B-4-1. 액체 분사 시스템, 잉크 탱크의 설명
도 17은 제 4 실시예의 액체 분사 시스템(1c)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는 잉크 탱크(30c)가 사용 자세일 때의 액체 분사 시스템(1c)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b)는 잉크 탱크(30c)가 주입 자세일 때의 액체 분사 시스템(1c)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액체 분사 시스템(1c)은 X축과 Y축으로 규정되는 수평면인 설치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액체 분사 시스템(1)과 다른 점은, 잉크 탱크(30c)의 외부의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잉크 탱크(30c)의 벽부에 잉크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표식 LM1, LM2가 부착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잉크 탱크(30)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프린터(12)나 잉크 탱크(30c)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30c)는, 사용 자세에 있어서, 일부의 벽부(제 1 벽부)(370c1)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사용 자세에 있어서, 제 1 벽부(370c1)는,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이다. 즉, 사용 자세에 있어서 제 1 벽부(370c1)는, 잉크 탱크(30c)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벽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벽부(370c1)는, 설치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벽부이다. 또, 제 1 벽부(370c1)는, 잉크 탱크(30c)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잉크 탱크(30c)의 저면을 구성한다. 또, 제 1 벽부(370c1)는, 제 1~제 3 실시예의 잉크 탱크(30, 30a, 30b)도 마찬가지로 갖는다.
제 1 벽부(370c1)에는 하한부로서의 하한선 LM1이 마련되어 있다. 하한선 LM1은, 사용 자세에 있어서 수평인 직선 형상이다. 하한선 LM1은, 잉크 탱크(30c)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내부의 잉크가 소비되어 내부의 잉크가 제 1 임계치가 된 것을 식별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용자는, 잉크의 액면이 제 1 임계치 근방이 된 경우에, 잉크를 잉크 탱크(30c) 내부에 보충한다.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30c) 내부에 잉크를 주입(보충)하는 경우, 사용 자세로부터 액체 주입구(304)가 연직 위쪽(Z축 정방향)을 향해 개구하는 주입 자세로 이용자는 잉크 탱크(30c)의 자세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상면 케이스(54)를 연다. 이용자는 마개 부재(302)를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분리하고,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잉크를 내부에 주입한다.
여기서, 상면 케이스(54)를 여는 것에 의해 제 1 벽부(370c1)와는 다른 제 2 벽부(370c2)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해진다. 제 2 벽부(370c2)는,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이다. 즉, 주입 자세에 있어서 제 2 벽부(370c2)는,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벽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벽부(370c2)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설치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벽부이다. 또, 제 2 벽부(370c2)는, 제 1~제 3 실시예의 잉크 탱크(30, 30a, 30b)도 마찬가지로 갖는다.
제 2 벽부(370c2)에는 상한부로서의 상한선 LM2가 마련되어 있다. 상한선 LM2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수평인 직선 형상이다. 상한선 LM2는, 잉크 탱크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가 주입되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제 2 임계치가 된 것을 식별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용자는, 잉크 액면이 상한선 LM2 근방에 달할 때까지 잉크를 잉크 탱크(30c) 내부에 주입(보충)한다. 잉크의 보충이 행해진 후는, 도 17(a)에 나타내는 사용 자세로 잉크 탱크(30c)의 자세는 변화된다. 이와 같이, 이용자는 각 자세에 있어서 잉크 탱크(30c) 내부의 잉크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잉크 탱크(30c)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속 벽부(370c)는, 제 1 벽부(370c1)와, 제 2 벽부(370c2)와, 제 3 벽부인 공기측 벽부(370c3)(도 8)를 포함한다. 탱크 유닛(50)으로서 잉크 탱크(30c)가 조립된 경우(도 17(a)), 제 1 벽부(370c1)는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고, 제 2 벽부(370c2)는 상면 케이스(54)를 여는 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도 17(b)). 또, 액체 수용실(340)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부 중, 복수의 잉크 탱크(30c)의 배치 방향(적층 방향, Y축 방향)에 수직인 평면을 갖는 개구 벽부(370) 및 대향 벽부(370b)(도 10)는, 탱크 유닛(50)으로서 잉크 탱크(30c)가 조립된 경우,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한선 LM1 및 상한선 LM2는, 각 선이 마련된 벽부(370c1, 370c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돌기 형상이며, 탱크 본체(32)와 일체 성형 되어 있다. 여기서, 잉크 탱크(30c)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제 2 유로(350)는, 하한선 LM1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B-4-2. 잉크의 주입 방법
도 19는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 잔량이 적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실제로는, 액체 도출부(306)와 서브 탱크(20)의 액체 수용부(202)는 호스(24)를 통해 접속되어 있지만, 호스(24)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가 프린터(12)에 공급되어 소비되면 잉크 액면이 저하되어, 하한선 LM1에 잉크 액면이 도달한다. 하한선 LM1은, 잉크 탱크(30c)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의 양이 적어져,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주입(잉크를 보충)하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하기 위한 표식이다. 즉, 하한선 LM1은,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의 양이 제 1 임계치가 된 것을 이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한 표식이다. 하한선 LM1 근방에 잉크 액면이 도달한 경우, 이용자는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보충)한다. 이와 같이, 액체 수용 용기(30c)는, 하한선 LM1에 의해 이용자에게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보충하는 것을 재촉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가 없는 상태에서 프린터(12)에 의한 인쇄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기포)가 액체 수용실(340)로부터 프린터(12)에 도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12)의 문제의 발생(미싱 도트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할 때에는, 화살표 Y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주입구(304)의 개구가 수평 방향을 향한 상태로부터 연직 위 방향을 향하도록 잉크 탱크(30c)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잉크 탱크(30c)의 자세가 변화된다. 즉, 잉크 탱크(30c)는, 액체 주입구(304)의 상단부(304p)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는 방향이 다른 사용 자세와 주입 자세의 두 자세로 사용된다. 이용자는, 잉크 탱크(30c)의 자세를 주입 자세로 한 후에, 상면 케이스(54)(도 17(a))를 여는 것에 의해, 상한선 LM2가 마련된 제 2 벽부(370c2)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도 20은, 잉크 탱크(30c)에 잉크를 주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는 잉크 액면이 하한선 LM1에 도달한 상태에서, 잉크 탱크(30c)를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변화시켰을 때의 잉크 탱크(30c) 내부의 잉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b)는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잉크 액면이 상한선 LM2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0(a) 및 (b)는 잉크 탱크(30c)를 Y축 정방향측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도 20(a) 및 (b)는 실제로는, 액체 도출부(306)와 서브 탱크(20)의 액체 수용부(202)는 호스(24)를 통해 접속되어 있지만, 호스(24)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 도 20(a)는 잉크 탱크(30c)를 주입 자세로 한 후에, 마개 부재(302)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 자세에서는, 공기측 개구(351)를 포함하는 제 2 유로(350)는, 액체 주입구(304)의 다른 쪽 단부인 하단부(304m)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30c)의 주입 자세에서는, 공기측 개구(351)는 하단부(304m)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주입 자세에서는, 액체 주입구의 상단부(304p)는 연직 위쪽을 향해 개구한다. 또한, 주입 자세에서는, 공기 수용실(330)과 액체 수용실(340)은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공기 수용실(330)은 액체 수용실(340)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잉크 잔량이 적은 상태에서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액체 유지부(345)는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의 다른 부분에 흘러넘치는 것을 억제한다. 즉, 구획 벽부(342)는, 액체 출구부(34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Z축 정방향)으로의 잉크의 흐름을 막는다. 이 때문에,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유지부(345)에서는 다른 부분보다 수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출구부(349)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구획 벽부(342)에 의해, 액체 유지부(345)의 잉크의 수위(액면)를 액체 출구부(349)의 높이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잉크 주입시에 기록 헤드(17)(도 7)측으로 공기가 흘러들지 않기 때문에, 인쇄 실패에 의한 미싱 도트를 억제하여, 인자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보충하는 것은, 잉크를 수용한 보충용 용기(980)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보충용 용기(980)로부터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적하하여,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가 보충된다. 상한선 LM2는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잉크가 주입되어 액체 수용실(340) 내에 충분한 양(액체 주입구(304)에 액면이 도달하고, 잉크가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흘러넘치지 않을 정도의 양, 제 2 임계치)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이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는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 액면이 상한선 LM2에 달할 정도까지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한다.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지 않을 정도로 잉크를 액체 수용실(340)에 수용한 경우에, 공기측 개구(351)는, 잉크 액면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잉크 주입시에 있어서, 공기측 개구(351)를 통해 잉크가 공기 수용실(330)에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1은 사용 자세의 잉크 탱크(30c) 내부의 잉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주입 자세에 있어서 잉크 액면이 상한선 LM2에 달할 정도로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고, 잉크 탱크(30c)를 주입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변화시킨 직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상태를, 충전 직후 상태라고도 한다. 도 21에는, Y축 정방향측에서 본 경우의 잉크 탱크(30c)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직후 상태에서는, 대기와 직접 접하는 액면(「대기 접촉 액면」이라고도 한다) LA는 공기측 개구(351)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기록 헤드(17)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잉크 탱크(30c) 내부의 잉크가 소비되면, 공기측 개구(351) 근방의 잉크 액면은, 제 2 유로(350) 내까지 이동하고, 제 2 유로(350) 내에서 메니스커스를 형성한다. 메니스커스를 형성한 이후는, 액체 수용실(340) 내의 잉크가 소비되어 액체 수용실(340) 내의 잉크 액면이 서서히 저하된다. 그리고, 액체 수용실(340) 내의 잉크 액면이 하한선 LM1 근방에 도달하면, 이용자에 의해 잉크 탱크(30)가 사용 자세로부터 주입 자세로 변화되어,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가 주입(보충)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직후 상태에서는, 대기 접촉 액면 LA는 높이 H1a~H2a의 범위에 위치한다. 높이 H1a~H2a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잉크 탱크(30c)가 프린터(12)에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대기 접촉 액면 LA의 높이 범위이다. 따라서, 충전 직후 상태에 있어서도, 잉크 탱크(30c)로부터 프린터(12)에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충전 직후 상태에 있어서, 대기 접촉 액면 LA와 기록 헤드(17)의 연직 방향의 높이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수두차 d1a(「초기 수두차 d1a」라고도 한다)는, 잉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소정 범위 내가 된다.
B-4-3. 비교예
도 22는 비교예의 액체 분사 시스템(1k)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잉크 탱크(30k)의 잉크가 소비되어 이용자가 잉크 탱크(30k) 내부에 잉크를 충전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4 실시예와의 차이는, 잉크 탱크(30c, 30k)의 구성이며, 프린터(12)(도 17) 등의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4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다. 비교예의 잉크 탱크(30k)는, 주입 자세와 사용 자세가 동일한 자세에서 이용된다. 이 때문에, 잉크 탱크(30k)는, 제 2 벽부(370c2)에 액체 주입구(304k)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한선 LM1 및 상한선 LM2가 모두, 제 1 벽부(370c1)에 마련되어 있다.
잉크 탱크(30k) 내부의 잉크가 소비되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 액면이 하한선 LM1에 도달한 경우, 도 22에 나타내는 잉크 탱크(30k)의 자세에서 이용자는 잉크를 액체 주입구(304k)로부터 잉크 탱크(30k) 내부에 주입(보충)한다. 여기서, 이용자가 제 4 실시예에서 수용되는 잉크량과 같은 잉크량이 될 때까지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즉, 도 22에 나타내는 상한선 LM2에 잉크 액면이 도달할 때까지 이용자가 잉크를 잉크 탱크(30k) 내부에 주입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잉크 탱크(30k)는, 제 4 실시예의 잉크 탱크(30c)와 달리, 주입 자세에 있어서 공기측 개구(351)를 포함하는 제 2 유로(350)가 액체 주입구(304k)의 하단부(304m)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되면, 제 2 유로(350)를 통해 공기 수용실(330)에도 잉크가 도입된다. 따라서, 충전 직후 상태에서는, 공기 수용실(330)에 잉크가 충전되어 버려,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친다.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면, 시트 부재(316)(도 6, 도 8)가 잉크에 젖어 버려, 시트 부재(316)의 본래의 기능이 손상된다. 또한, 충전 직후 상태에서는, 대기 접촉 액면 LA가 기록 헤드(17)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잉크 탱크(30k)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기록 헤드(17)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치는 경우가 생긴다. 즉, 초기 수두차 d1k가 정상시 수두차 d1로부터 크게 어긋나 버려, 잉크 탱크(30k)로부터 프린터(12)에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없는 사태가 생긴다.
상기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잉크 탱크(30c)는, 상기 제 1~제 3 실시예의 잉크 탱크(30, 30a, 30b)와 같이, 사용 자세와 주입 자세가 다른 자세이다. 또한, 잉크 탱크(30c)는, 상기 제 1~제 3 잉크 탱크(30, 30a, 30b)와 같이, 주입 자세에서는 액체 주입구(304)의 하단부(304m)보다 공기측 개구(351)가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잉크 주입시에 공기 수용실(330)에 잉크가 도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 주입시에 공기 수용실(330)에 마련된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주입시에 공기 수용실(330)에 잉크가 도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충전 직후 상태에 있어서의 대기 접촉 액면 LA를 소정의 높이 범위(높이 H1a~H2a)에 유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대기 접촉 액면 LA와 기록 헤드(17)의 높이의 차이에 따라 생기는 수두차를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탱크(30)로부터 기록 헤드(17)에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한선 LM1 및 상한선 LM2를 갖는 것으로부터, 이용자는 각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잉크를 보충하는 타이밍 및 잉크 보충이 완료된 타이밍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한선 LM1 및 상한선 LM2는 각 자세(사용 자세, 주입 자세)에 있어서, 수평인 직선 형상인 것으로부터, 잉크 액면과 하한선 LM1 또는 상한선 LM2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는 잉크 탱크(30c)가 수평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잉크 액면에 대하여 하한선 LM1 또는 상한선 LM2가 기울어 있으면, 잉크 탱크(30c)가 수평면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23은 잉크 탱크(30c)의 잉크를 주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b)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액체 수용실(340) 내에서 거품(990)이 발생하고 있는 점에서만 도 20(b)와 다르다. 액체 수용실(340)에 잉크를 주입할 때, 액체 수용실(340) 내에 거품(990)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되어 잉크 액면이 상승함에 따라 거품(990)도 상승한다. 여기서, 액체 수용실(340)은, 주입 자세에 있어서 연직 아래 방향(X축 부방향)이 개구하고, 액체 주입구(304)의 하단부(304m)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공간부(341)를 갖는다. 따라서, 잉크 액면의 거품(990)이 상승한 경우에, 거품(990)을 공간부(341)에 모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를 주입할 때에, 잉크 주입시에 발생한 액체 수용실(340)의 거품(990)이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잉크 탱크(30c)는, 액체 수용실(340)에 공간부(341)를 갖는 것으로부터, 공간부(341)를 갖지 않는 잉크 탱크에 비하여, 잉크 주입시에 발생하는 거품(990)이 액체 주입구(304)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도출부(306)의 액체 출구부(349)는, 잉크 탱크(30)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공간부(341)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잉크 주입시에 발생하여 잉크 액면으로 부상한 거품(990)이 액체 도출부(306) 및 호스(24)(도 7)를 통해 프린터(12)의 기록 헤드(17)에 침입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 탱크(30c)를 구비한 액체 분사 시스템(1c)은, 이른바 인쇄 실패 등의 프린터(12)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공간부(341, 341a)를 갖는 제 1, 2 실시예의 잉크 탱크(30, 30a)(도 8, 도 14)도 상기와 같이 제 4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B-5. 제 5 실시예
도 24는 제 5 실시예의 잉크 탱크(30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는 도 20(a)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도 24(a)는 도 20(b)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제 4 실시예의 잉크 탱크(30c)와의 차이는, 탱크 본체(32)가 갖는 액체 주입구(304d)의 형상이다. 그 밖의 구성(액체 수용실(340)이나 공간부(341) 등)에 대해서는, 제 4 실시예의 잉크 탱크(30c)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탱크 유닛(50)의 상면 케이스(54) 등의 구성이나, 프린터(12)의 구성에 대해서도 제 4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30d)는, 액체 주입구(304d)를 구비한다. 액체 주입구(304d)의 상단부(304p)는, 잉크 탱크(30d)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공간부(341)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 액면이 상한선 LM2에 달할 정도까지 잉크가 액체 수용실(340)에 주입된 경우, 제 4 실시예와 같이, 잉크 액면의 거품(990)은 공간부(341)에 모인다. 여기서, 잉크 주입시에 발생한 거품(990)의 일부는, 액체 주입구(304d)(상세하게는 하단부(304m))의 근방에도 존재한다. 제 5 실시예의 액체 주입구(304d)의 상단부(304p)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공간부(341)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제 4 실시예에 비하여 거품(990)이 액체 주입구(304d)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C. 변형예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에 기재한 요소 이외의 요소는, 부가적인 요소이며, 적당히 생략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형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특유의 효과를 갖는 요소를 적당히 조합하더라도 좋다.
C-1. 제 1 변형예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용적 V1의 공기 저장부(341a)를 구비하고 있었지만(도 14(a)), 용적 V1의 공기 저장부(341a)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즉,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a)가 연통부(350)의 한쪽 단부(35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액체 수용실(340a)에 잉크가 과다하게 주입되더라도 공기 수용실(330)에 잉크가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수두차를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다.
C-2. 제 2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 탱크(30~30d)는, 액체 유지부(345)를 갖고 있었지만, 액체 유지부(345)를 갖지 않더라도 좋다. 즉, 액체 수용실(340, 340a) 내에 구획 벽부(342)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잉크 주입시에 대기 개방구(318)로부터 잉크가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C-3. 제 3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 304a, 304d)는, 대기 개방구(318)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액체 주입구(304, 304a, 304d)와 대기 개방구(318)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의 높이의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주입 자세에 있어서, 액체 주입구(304, 304a, 304d)가 대기 개방구(318)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잉크 탱크(30, 30a, 30b)가 액체 유지부(345, 345b)를 갖는 것에 의해, 실시예와 같이 잉크 주입시에 공기가 기록 헤드(17)에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C-4. 제 4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체 주입구(304, 304a, 304d)는, 액체 수용실(340)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부 중, 사용 상태에 있어서 설치면 sf에 대하여 수직 상태에 있는 수직 벽부 중 공기 수용실(330)측에 배치된 공기측 벽부(370c3)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체 주입구(304)는, 액체 수용실(340)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 주입시에, 주입 자세로 잉크 탱크(30)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하기 위해, 액체 주입구(304)의 상단부(304p)는, 사용 자세에서는 수평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주입 자세에서는 연직 위 방향을 향해 개구하도록 액체 주입구(304)를 벽부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액체 주입구(304)를 제 2 벽부(370c2)(도 18)에 마련하는 경우, 액체 주입구(304)는 제 2 벽부(370c2)로부터 위쪽(Z축 정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중에 공기 수용실(330)측으로 향하는 방향(X축 정방향)으로 굴곡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체 주입구(304, 304a, 304d)는, 액체 수용실(340)을 형성하는 벽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었지만(도 8),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한쪽 단부인 상단부(304p)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인 하단부(304m)가 액체 수용실(340) 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으면 된다. 예컨대, 액체 수용실(340)을 형성하는 벽부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벽부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를 형성하는 경우, 하단부(304m)는 액체 수용실(340) 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는 부분(면)이며, 상단부(304p)는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있는 부분(면)이 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가 액체 수용실(340)을 형성하는 벽부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벽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공간부(341, 341a)를 갖는 것에 의해 잉크 주입시에 발생하는 거품(990)이 관통 구멍인 액체 주입구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C-5. 제 5 변형예
상기 제 4 실시예에서는, 하한선 LM1 및 상한선 LM2는 직선 형상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액체 수용실(340) 내의 잉크의 양을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표식이면 된다. 예컨대, 하한선 LM1, 상한선 LM2 중 적어도 하나를 점 형상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하한선 LM1, 상한선 LM2를 흑색 등으로 착색하더라도 좋다. 또한, 사용 자세와 주입 자세의 각 자세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에 대하여, 하한선 LM1과 상한선 LM2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다른 높이에 복수의 선(표식)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복수의 표식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는 보다 정밀하게 액체 수용실(340)의 액체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C-6. 제 6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과 제 2 벽부(370c1, 370c2)를 포함하는 탱크 본체(32)는 반투명이었지만, 투명하더라도 좋다. 또한,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부터 잉크 탱크(30) 내부의 잉크를 시인할 수 있는 시인부를 가지면, 그 밖의 부분은 외부로부터 잉크 탱크(30) 내부를 시인할 수 없더라도 좋다. 즉,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벽부(370c1)로서, 외부로부터 액체 수용실(340)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제 1 시인부를 갖는 제 1 벽부(370c1)에 하한부로서의 하한선 LM1을 마련한다. 하한선 LM1은, 사용 자세에 있어서, 제 1 시인부가 마련되어 있는 높이의 범위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제 1 시인부는,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또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2 벽부(370c2)로서, 외부로부터 액체 수용실(340)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제 2 시인부를 갖는 제 2 벽부(370c2)에 상한부로서의 상한선 LM2를 마련한다. 상한선 LM2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제 2 시인부가 마련되어 있는 높이의 범위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이렇게 하면,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의 양이 제 1 임계치 또는 제 2 임계치가 된 것을 이용자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C-7. 제 7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간부(341, 341a)는,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액체 수용실(340) 중, 액체 주입구(304)의 하단부(304m)와, 액체 도출부(306)의 액체 출구부(349)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었지만(예컨대, 도 14, 도 23, 도 24),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액체 수용실(340) 중, 액체 주입구(304, 304a, 304d)의 하단부(304m)를 사이에 두고 액체 출구부(349)와 대향하는 위치에 공간부(341)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즉, 사용 자세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에 대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공간부(341), 액체 주입구(304)의 하단부(304m), 액체 출구부(349)의 차례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공간부(341, 341a)를 갖는 것에 의해 잉크 주입시에 발생하는 거품(990)이 관통 구멍인 액체 주입구로부터 흘러넘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C-8. 제 8 변형예
상한부로서의 상한선 LM2 및 하한부로서의 하한선 LM1은, 상기 실시예의 잉크 탱크(30~30d)의 어느 하나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한부로서의 상한선 LM2 및 하한부로서의 하한선 LM1은, 상기 실시예의 잉크 탱크(30~30d) 이외의 액체 수용 용기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 탱크(30~30d)는, 제 2 유로(350)나 공기 수용실(330)을 갖고 있었지만, 갖지 않더라도 좋다. 즉, 액체 수용실(340)과, 액체 주입구(304)와, 액체 도출부(306)와,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액체)의 소비에 따라 내부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부를 갖는 잉크 탱크(액체 수용 용기)로서, 주입 자세와 사용 자세가 다른 잉크 탱크에 상한선 LM2 및 하한선 LM1을 마련하더라도 좋다. 즉, 주입 자세와 사용 자세에 있어서 저면이 되는 벽부가 다른 잉크 탱크(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제 1 벽부(370c1)에 하한부 LM1을 마련하고, 제 1 벽부(370c1)와는 다른 제 2 벽부(370c2)에 상한부 LM2를 마련한다. 제 1 벽부(370c1)는, 사용 자세에 있어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된다. 제 2 벽부(370c2)는, 주입 자세에 있어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면, 제 4 실시예와 같이, 이용자는 각 자세에 있어서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잉크 탱크(30)가 메니스커스를 형성 가능한 유로를 갖지 않는 경우는, 액체 수용실(340)의 잉크의 소비에 따라 대기 접촉 액면 LA가 저하됨에 따라, 잉크 탱크(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기 접촉 액면 LA와 기록 헤드(17)의 높이의 관계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기록 헤드(17)와 대기 접촉 액면 LA의 높이의 관계를 소정 범위에 유지하여, 수두차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C-9. 제 9 변형예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액체 수용 용기로서 프린터(12)에 이용되는 잉크 탱크(30~30d)를 예로 설명을 행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색재 분사 헤드를 구비한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면발광 디스플레이(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도전 페이스트) 분사 헤드를 구비한 장치, 바이오 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 분사 헤드를 구비한 장치,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분사 헤드를 구비한 장치, 나염 장치나 마이크로 디스펜서 등의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수용 용기는,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 주입구와, 액체 수용 용기 내부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대기 개방구가 따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각종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각종 액체 분사 장치가 분사하는 액체의 종류에 따른 액체(색재, 도전 페이스트, 생체 유기물 등)를, 액체 수용 용기 내부에 수용하면 된다. 또한, 각종 액체 분사 장치와 각종 액체 분사 장치에 대응한 액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 1c, 1k : 액체 분사 시스템
10 : 케이스
12 : 잉크젯 프린터
13 : 용지 급지부
14 : 용지 배출부
16 : 캐리지
16a : 잉크 공급침
17 : 기록 헤드
20 : 서브 탱크
20Bk : 서브 탱크
20Ma : 서브 탱크
20Cn : 서브 탱크
20Yw : 서브 탱크
24 : 호스
30, 30a, 30b, 30c, 30d, 30k : 액체 수용 용기(잉크 탱크)
32 : 탱크 본체
34 : 시트 부재
50 : 탱크 유닛
54 : 상면 케이스
56 : 제 1 측면 케이스
58 : 제 2 측면 케이스
90 : 액체 수용 용기(잉크 탱크)
202 : 액체 수용부
204 : 잉크 저장실
206 : 필터
208 : 잉크 유동로
300 : 대기 개방 유로
302 : 마개 부재
303 : 연결 부재
304, 304a, 304d, 304k : 액체 주입구
304m : 하단부
304p : 상단 개구
304m : 하단 개구
306 : 액체 도출부
310 : 제 1 유로
312 : 기액 분리실
313 : 방벽
314 : 연통 유로
316 : 시트 부재
317 : 대기 도입구
318 : 대기 개방구
318 : 연통구
319a : 연통구
320 : 연통 유로
320a : 한쪽 단부
320b : 다른 쪽 단부
322 : 필름
324 : 제 1 고정 부재
324 : 제 2 고정 부재
325a : 구멍(관통 구멍)
328 : 고정 유닛
330 : 공기 수용실
330s : 저면부
330t : 상면부
340, 340a : 액체 수용실
341 : 공간부
341a : 공기 저장부
342 : 구획 벽부
343 : 주입구 인접부
345 : 액체 유지부
345b : 액체 유지부(다공질 부재)
346 : 저면부
347 : 상면부
348 : 다른 쪽 단부
349 : 한쪽 단부
349 : 액체 출구부
350 : 연통부(제 2 유로)
350b : 연통부
351 : 공기측 개구(한쪽 단부)
352 : 액체측 개구(다른 쪽 단부)
362 : 리브
370 : 개구 측면(개구 벽부)
370b : 대향 벽부
370c : 접속 벽부
370c1 : 제 1 벽부
370c2 : 제 2 벽부
370c3 : 공기측 벽부
902 : 마개 부재
904 : 액체 주입구
906 : 액체 도출부
916 : 기액 분리막(기액 분리 시트)
918 : 대기 개방구
930 : 공기 수용실
940 : 액체 수용실
949 : 액체 출구부
949 : 한쪽 단부
950 : 연통부
980 : 보충용 용기
990 : 거품
G : 공기
fa : 상면
fb : 저면
fc : 우측면
fd : 좌측면
fe : 정면
ff : 후면
LM1 : 하한선
LM2 : 상한선

Claims (19)

  1.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연통하고,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소비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도입하기 위한 공기 수용실과,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공기 수용실에 도입하기 위한 대기 개방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대기 개방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액체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구와 외부를 구획하기 위한 시트 부재로서, 기체를 투과시킴과 아울러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시트 부재를 더 구비하는 액체 수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 단부가 상기 공기 수용실 내에서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한쪽 단부인 상기 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를 막는 탄성을 갖는 마개 부재로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탈착 가능한 마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단 개구까지 상기 액체가 도달할 정도로 상기 액체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주입된 경우에, 용적 V1의 공기를 저장 가능한 공기 저장부를 갖고,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부분 중, 상기 액체 주입구가 위치하는 높이 이상의 위치를 차지하는 주입구 인접부의 용적을 V2로 한 경우, V1≥V2를 만족시키는
    액체 수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액체 수용실을 형성하는 벽면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연직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는 액체 수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상기 액체를 공급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구는, 상기 공기 수용실의 부분 중 저면보다 상면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7.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연통하고,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의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서 한쪽 단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과 연통하고, 다른 쪽 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있는 액체 도출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외부에 유통시키기 위한 액체 도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보다 상기 액체 도출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액체 도출부의 상기 한쪽 단부와 연통하는 액체 유지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소정량 이상의 상기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상기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킨 경우에, 상기 액체 도출부 내의 상기 액체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의 상기 액체가 공기를 거치지 않고 연속하도록, 상기 액체 수용실 내의 상기 액체를 유지하는 액체 유지부를 갖고,
    상기 액체 주입구가 위쪽을 향한 자세에서는, 상기 액체 도출부가 위쪽을 향해서 외부로 개구하고 있는
    액체 수용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지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저면에 접속되고, 상기 소정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구획 벽부로서, 상기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킬 때에, 상기 한쪽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액체의 흐름을 막는 구획 벽부를 갖는 액체 수용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지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기 위한 다공질 부재로서, 상기 액체 도출부의 한쪽 단부를 막고,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할 때에,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도출부에 유통 가능한 다공질 부재를 갖는 액체 수용 용기.
  10.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복수의 벽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로서, 한쪽 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주입구를 막기 위한 마개 부재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도입하기 위한 대기 개방 유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도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 개방 유로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기 수용실과,
    상기 공기 수용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유로와,
    한쪽 단부인 공기측 개구가 상기 공기 수용실 내에서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인 액체측 개구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공기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제 2 유로로서, 메니스커스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가 유지되는 제 2 유로
    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상기 액체를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측 개구와 상기 공기측 개구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의 주입 자세는, 상기 사용 자세와는 다른 자세이며, 상기 공기측 개구가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자세인
    액체 수용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은 복수의 벽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에, 이용자에게 상기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주입 자세로 자세를 변화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액체 주입구의 한쪽 단부가, 상기 사용 자세에서는 수평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상기 주입 자세에서는 연직 위 방향을 향해 개구하도록,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성하는 복수의 벽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부는,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복수의 수직 벽부(vertically-angled wall members)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복수의 수직 벽부 중 상기 공기 수용실이 배치되어 있는 쪽에 위치하는 공기측 벽부에 마련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벽부에 마련된 하한부로서,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가 소비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양이 제 1 임계치가 된 것을 외부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하한부와,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상기 제 1 벽부와는 다른 제 2 벽부로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2 벽부에 마련된 상한부로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가 주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양이 제 2 임계치가 된 것을 외부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상한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이며,
    상기 제 2 벽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인
    액체 수용 용기.
  14.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상기 액체를 공급할 때의 사용 자세와,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할 때의 주입 자세가 다른 자세가 되도록 사용되고,
    상기 액체 수용 용기는,
    복수의 벽부에 의해 형성된 액체 수용실로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도출부와,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벽부에 마련된 하한부로서,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가 소비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양이 제 1 임계치가 된 것을 외부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하한부와,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상기 제 1 벽부와는 다른 제 2 벽부로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2 벽부에 마련된 상한부로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가 주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의 양이 제 2 임계치가 된 것을 외부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상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이며,
    상기 제 2 벽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설치된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가 되는 벽부인
    액체 수용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부는, 상기 사용 자세에 있어서 수평인 직선 형상이며,
    상기 상한부는,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수평인 직선 형상인
    액체 수용 용기.
  16.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실과,
    한쪽 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한 액체 주입구로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와,
    한쪽 단부인 액체 출구부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서 개구한 액체 도출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도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때의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액체 수용실을 형성하는 벽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로서, 연직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하고 있는 공간부를 갖고,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연직 하방을 향하는 벽부는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의 상기 한쪽 단부는 상기 공간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자세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부의 상기 액체 출구부는 상기 공간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
  19. 액체 분사 시스템으로서,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와,
    대상물에 상기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헤드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와,
    상기 액체 수용 용기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유통시키는 유통관
    을 구비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0127006199A 2010-07-15 2011-06-29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시스템 KR101484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0358 2010-07-15
JP2010160361A JP5552932B2 (ja) 2010-07-15 2010-07-15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JP-P-2010-160361 2010-07-15
JP2010160358A JP5552931B2 (ja) 2010-07-15 2010-07-15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JP-P-2010-197272 2010-09-03
JP2010197275A JP5691308B2 (ja) 2010-09-03 2010-09-03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JP-P-2010-197274 2010-09-03
JP2010197272A JP5691307B2 (ja) 2010-09-03 2010-09-03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2010197274A JP5644279B2 (ja) 2010-09-03 2010-09-03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JP-P-2010-197275 2010-09-03
PCT/JP2011/003715 WO2011129123A2 (ja) 2010-07-15 2011-06-29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254A KR20120041254A (ko) 2012-04-30
KR101484827B1 true KR101484827B1 (ko) 2015-01-20

Family

ID=4479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199A KR101484827B1 (ko) 2010-07-15 2011-06-29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8678567B2 (ko)
EP (1) EP2479034A4 (ko)
KR (1) KR101484827B1 (ko)
BR (1) BR112012005682A2 (ko)
IN (1) IN2012DN01303A (ko)
RU (2) RU2533107C2 (ko)
TW (2) TWI462842B (ko)
WO (1) WO201112912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649A (ko) * 2015-10-30 2021-04-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3107C2 (ru) 2010-07-15 2014-11-20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и система выталк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JP5454398B2 (ja) * 2010-07-15 2014-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327168B2 (ja) * 2010-09-03 2013-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ユニット、タンクユニットを備えた液体噴射システム
US8797966B2 (en) 2011-09-23 2014-08-05 Ofinno Technologies, Llc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JP6171313B2 (ja) 2011-12-08 2017-08-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2013121660A (ja) * 2011-12-09 2013-06-20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US8879496B2 (en) 2011-12-19 2014-11-04 Ofinno Technologies, Llc Beamforming codeword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CN104080614B (zh) 2012-01-30 2016-08-2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喷墨记录装置
JP2013166302A (ja) * 2012-02-15 2013-08-2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851640B2 (en) 2012-02-28 2014-10-07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013180465A (ja) * 2012-03-01 2013-09-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161869B2 (ja) * 2012-03-05 2017-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DE102012205990A1 (de) * 2012-04-12 2013-10-1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ruckkopf, Aerosol-Drucker und Aerosol-Druckverfahren
JP2014037057A (ja) * 2012-08-10 2014-02-27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
JP5958292B2 (ja) * 2012-08-10 2016-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6051671B2 (ja) * 2012-08-10 2016-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RU2018105185A (ru) 2012-08-10 2019-02-25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потребляющее жидкость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и блок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жидкости
JP6163734B2 (ja) 2012-08-31 2017-07-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消費装置
JP6036019B2 (ja) * 2012-08-31 2016-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5987564B2 (ja) 2012-08-31 2016-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US9421781B2 (en) 2012-10-15 2016-08-23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JP6281675B2 (ja) 2012-11-08 2018-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6056396B2 (ja) 2012-11-12 2017-0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消費装置
JP6142995B2 (ja) 2012-11-26 2017-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WO2014112344A1 (ja) * 2013-01-18 2014-07-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タンク
JP6127582B2 (ja) 2013-02-28 2017-05-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6102596B2 (ja) * 2013-07-19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ユニット、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インクタンク
TW201733819A (zh) 2013-03-01 2017-10-01 Seiko Epson Corp 液體收容容器
US9481180B2 (en) 2013-03-01 2016-11-0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unit, liquid ejecting system,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TWI599492B (zh) * 2013-03-01 2017-09-21 Seiko Epson Corp Ink tank unit, ink jet printer, ink tank
JP6221303B2 (ja) 2013-03-29 2017-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6476551B2 (ja) * 2013-05-15 2019-03-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6229373B2 (ja) * 2013-08-29 2017-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N104228340B (zh) 2013-06-05 2016-05-1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JP6492393B2 (ja) * 2013-10-23 2019-04-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
JP6260196B2 (ja) 2013-10-23 2018-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15080905A (ja) 2013-10-23 201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15080906A (ja) * 2013-10-23 201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装置
JP6287162B2 (ja) * 2013-12-18 2018-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複合機
JP6330331B2 (ja) 2014-01-14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システム、液体噴射装置
JP6307887B2 (ja) 2014-01-14 2018-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プリンター
JP6303520B2 (ja) * 2014-01-16 2018-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ならびに収容ユニット
JP2015134486A (ja) 2014-01-20 2015-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6503685B2 (ja) * 2014-01-28 2019-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CN104842647B (zh) * 2014-02-13 2017-05-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JP2015187235A (ja) 2014-03-27 2015-10-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セット、及び記録方法
JP2015199261A (ja) * 2014-04-08 2015-1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6387694B2 (ja) * 2014-06-12 2018-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JP6535986B2 (ja) 2014-07-01 2019-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US10611161B2 (en) * 2014-07-24 2020-04-07 Avision Inc. Image forming agent storage member and laser printer using the same
US9994013B2 (en) * 2014-08-05 2018-06-12 Seiko Epson Corporation Composite apparatus
JP6507651B2 (ja) * 2015-01-09 2019-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6503801B2 (ja) * 2015-03-12 2019-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ユニット、及び、液体収容体
JP6631019B2 (ja) * 2015-03-12 2020-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ユニット
JP6609943B2 (ja) 2015-03-12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528478B2 (ja) * 2015-03-12 2019-06-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
JP6497152B2 (ja) 2015-03-19 2019-04-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タンクユニット、液体噴射システム
JP1544004S (ko) * 2015-04-24 2016-02-15
JP1544003S (ko) * 2015-04-24 2016-02-15
JP1543767S (ko) * 2015-04-24 2016-02-15
JP1544002S (ko) * 2015-04-24 2016-02-15
JP1543768S (ko) * 2015-04-24 2016-02-15
JP6536178B2 (ja) 2015-05-29 2019-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WO2016199420A1 (ja) * 2015-06-09 2016-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タンクユニット、プリンター
JP6657670B2 (ja) 2015-08-26 2020-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10076913B2 (en) * 2016-02-02 2018-09-18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fill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17140763A (ja) * 2016-02-10 2017-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US10093105B2 (en) * 2016-04-22 2018-10-0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US10166780B2 (en) 2016-08-24 2019-01-0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accommodating body, liquid filling metho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18161874A (ja) 2017-03-27 2018-10-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JP7031132B2 (ja) * 2017-03-27 2022-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6950228B2 (ja) 2017-03-27 2021-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US10493765B2 (en) 2017-03-27 2019-1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capable of reducing leakage of liquid from liquid storage chamber
JP6942988B2 (ja) 2017-03-27 2021-09-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6900748B2 (ja) * 2017-03-31 2021-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6759150B2 (ja) * 2017-04-28 2020-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988174B2 (ja) 2017-05-31 2022-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WO2019032084A1 (en) 2017-08-07 2019-0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FLUID RESERVOIR
JP7062949B2 (ja) * 2017-12-27 2022-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7054346B2 (ja) 2018-01-15 2022-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水系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US11526123B2 (en) 2018-05-24 2022-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rticulate delivery container
US20200101748A1 (en) * 2018-09-28 2020-04-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tank and inkjet printer
JP7119983B2 (ja) * 2018-12-21 2022-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7183777B2 (ja) 2018-12-25 2022-1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
JP7286978B2 (ja) * 2019-01-28 2023-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7224945B2 (ja) * 2019-02-04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7205295B2 (ja) * 2019-02-27 2023-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CN110449312A (zh) * 2019-08-30 2019-11-15 武汉东环车身系统有限公司 用于交叉臂式升降器齿板的自动涂油装置及齿板涂油方法
JP2021151724A (ja) * 2020-03-24 2021-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液体貯留タ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JP2022022843A (ja) * 2020-07-08 2022-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4337469A1 (en) * 2021-07-29 2024-03-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rain sen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748A (ja) * 1993-05-17 1994-11-22 N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US6540321B1 (en) 1999-05-31 2003-04-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ink-jet cartridge, ink-supplying apparatus,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ink
JP2007045117A (ja) 2005-08-12 2007-02-22 Ricoh Co Ltd 記録液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WO2009072656A1 (ja) 2007-12-07 2009-06-11 S.T.Sangyo Co., Ltd. 液体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2550U (ko) 1977-08-31 1979-03-22
DE3528064A1 (de) * 1984-08-06 1986-02-13 Canon K.K., Tokio/Tokyo Fluessigkeitsstrahlaufzeichnungskopf und damit versehenes fluessigkeitsstrahlaufzeichnungsgeraet
US4769658A (en) 1986-09-16 1988-09-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pressure adjustable mechanisms for discharging a constant ink amount
JPS63267557A (ja) 1987-04-24 1988-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エツト用インクタンクのインク充填方法
JPH06340083A (ja) 1993-06-01 1994-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790157A (en) 1993-08-31 1998-08-04 Canon Kabushiki Kaisha Ink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k cartridge
JP3140619B2 (ja) * 1993-09-08 2001-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へのインク注入方法
JPH08290577A (ja) 1995-04-20 1996-11-05 Hitachi Koki Co Ltd インクタンク
US5933173A (en) * 1996-03-22 1999-08-03 Olivetti Lexikon S.P.A. Holder for refilling and preserving an ink jet printhead
JP3733662B2 (ja) * 1996-10-09 2006-0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13377B2 (ja) * 1996-12-05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への液体充填方法、該充填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充填ユニットと該充填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吐出記録装置
JPH10230623A (ja) * 1997-02-21 1998-09-02 Hitachi Koki Co Ltd 加熱溶融形インク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気泡除去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547377B2 (en) * 1998-03-09 2003-04-15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 air management using unsaturated ink
US6095643A (en) * 1998-05-07 2000-08-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fillable disposable inkjet cartridge with foam-filled and free ink reservoirs
DE69938202T3 (de) * 1998-07-15 2013-06-13 Seiko Epson Corp. Tintenzufuhrvorrichtung
JP2001138537A (ja) * 1999-08-30 2001-05-22 Canon Inc インク保持部材へのインク充填方法、インク充填装置、前記インク充填方法によりインクが充填されるインクタンク
JP3852256B2 (ja) 1999-11-10 2006-11-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2412737Y (zh) 2000-03-23 2001-01-03 杭州宏华电脑技术有限公司 可反复加注墨水的供墨盒
CN2421159Y (zh) 2000-04-03 2001-02-28 林超铭 喷墨打印机的墨水匣
JP2001301196A (ja) 2000-04-21 2001-10-30 Canon Inc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416614B2 (ja) * 2000-04-26 2003-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201438A3 (en) * 2000-10-11 2002-06-26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US6846072B2 (en) 2000-11-29 2005-01-25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jet ink, ink-tank, ink-jet cartridge, ink supply device, method for introducing ink to ink tank and image recording device
TW541248B (en) * 2001-03-16 2003-07-11 Benq Corp Ink cartridge
US6652080B2 (en) * 2002-04-30 2003-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irculating fluid delivery system
US6793331B2 (en) * 2002-08-08 2004-09-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cartridge having a level indicator
ATE353765T1 (de) * 2002-09-30 2007-03-15 Canon Kk Tintenzufuhrvorrichtung, tintenstrahldruckvorrichtung, tintenbehälter, tintennachfüllbehälter und tintenstrahlpatrone
JP4305009B2 (ja) * 2003-03-05 2009-07-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機能液充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5001284A (ja) 2003-06-13 2005-01-06 Taeil System Co Ltd インクの自動供給装置
US7168800B2 (en) * 2003-07-17 2007-01-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JP4277605B2 (ja) * 2003-07-31 2009-06-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5104000A (ja) * 2003-09-30 2005-04-21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集合体、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2700105Y (zh) 2003-10-14 2005-05-1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可组合式连续供墨容器
US7303271B2 (en) * 2003-10-24 2007-12-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er
JP2005161635A (ja) * 2003-12-02 2005-06-2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供給装置
JP2005161638A (ja) 2003-12-02 2005-06-2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供給機構
US7712891B2 (en) * 2003-12-26 2010-05-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CN2691854Y (zh) 2004-02-06 2005-04-1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恒压连续供墨器
GB2412088B (en) 2004-03-19 2007-09-19 Zipher Ltd Liquid supply system
JP4595368B2 (ja) * 2004-03-31 2010-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内圧安定化装置及びインクタンク
CN2726881Y (zh) * 2004-09-06 2005-09-21 聂瑞权 喷墨打印机墨盒
AR051513A1 (es) * 2004-11-29 2007-01-17 Seiko Epson Corp Metodo para cargar liquido en un cartucho dispositivo de carga de liquido y cartucho
JP4735344B2 (ja) * 2005-03-28 2011-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4677296B2 (ja) * 2005-06-24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N2803708Y (zh) * 2005-07-25 2006-08-09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喷墨打印机用墨盒
JP4744243B2 (ja) * 2005-08-31 2011-08-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並びにインク充填方法及び装置
DE602006002212D1 (de) * 2005-09-29 2008-09-25 Brother Ind Ltd Tintenpatrone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JP4835128B2 (ja) * 2005-11-30 2011-12-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リフィルユニット
WO2007122793A1 (ja) * 2006-03-24 2007-11-01 Seiko Epson Corporation 液体収容容器
BRPI0716484A2 (pt) 2006-08-11 2014-03-18 Seiko Epson Corp Método para injeção de líquido e recipiente de líquido
JP2008073856A (ja) * 2006-09-19 2008-04-03 Ricoh Co Ltd 液体容器、液滴吐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06616B2 (ja) * 2006-09-29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858191B2 (ja) * 2007-01-30 2012-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収容装置
JP4941110B2 (ja) * 2007-06-01 2012-05-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201099042Y (zh) 2007-08-23 2008-08-13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墨盒
JP5159431B2 (ja) * 2008-05-23 2013-03-06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KR100963037B1 (ko) * 2010-04-15 2010-06-10 엄영민 잉크 공급 장치
RU2533107C2 (ru) 2010-07-15 2014-11-20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и система выталк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JP5644279B2 (ja) 2010-09-03 2014-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748A (ja) * 1993-05-17 1994-11-22 N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US6540321B1 (en) 1999-05-31 2003-04-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ink-jet cartridge, ink-supplying apparatus,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ink
JP2007045117A (ja) 2005-08-12 2007-02-22 Ricoh Co Ltd 記録液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WO2009072656A1 (ja) 2007-12-07 2009-06-11 S.T.Sangyo Co., Ltd. 液体収納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649A (ko) * 2015-10-30 2021-04-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KR102452933B1 (ko) * 2015-10-30 2022-10-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USRE49336E1 (en) 2015-10-30 2022-12-20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liquid storage member
KR20230018510A (ko) * 2015-10-30 2023-02-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KR102607035B1 (ko) 2015-10-30 2023-11-2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9034A4 (en) 2015-04-29
BR112012005682A2 (pt) 2016-02-23
US20170113466A1 (en) 2017-04-27
US8926073B2 (en) 2015-01-06
TWI462842B (zh) 2014-12-01
US20140146113A1 (en) 2014-05-29
TW201210847A (en) 2012-03-16
US9878551B2 (en) 2018-01-30
US9358795B2 (en) 2016-06-07
TW201515856A (zh) 2015-05-01
EP2479034A2 (en) 2012-07-25
US9505223B2 (en) 2016-11-29
US8678567B2 (en) 2014-03-25
RU2014133046A (ru) 2016-02-27
US20150343789A1 (en) 2015-12-03
KR20120041254A (ko) 2012-04-30
US20120038719A1 (en) 2012-02-16
WO2011129123A2 (ja) 2011-10-20
RU2664337C2 (ru) 2018-08-16
WO2011129123A3 (ja) 2011-12-22
US20150085030A1 (en) 2015-03-26
IN2012DN01303A (ko) 2015-06-05
RU2533107C2 (ru) 2014-11-20
RU2012108631A (ru) 2014-08-20
TWI594896B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827B1 (ko)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시스템
JP5552931B2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644279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KR101443548B1 (ko) 용기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JP5691307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454398B2 (ja) 液体収容容器、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691308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870528B2 (ja)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システム、及び、液体供給システム
JP5552932B2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KR20130059424A (ko) 액체 주입 용기
JP2012144017A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KR200482251Y1 (ko) 캡,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시스템
JP5862812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028827B2 (ja) 液体噴射システム
JP5867548B2 (ja) 液体収容容器
JP6311778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048518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